KR102552971B1 -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71B1
KR102552971B1 KR1020210101699A KR20210101699A KR102552971B1 KR 102552971 B1 KR102552971 B1 KR 102552971B1 KR 1020210101699 A KR1020210101699 A KR 1020210101699A KR 20210101699 A KR20210101699 A KR 20210101699A KR 102552971 B1 KR102552971 B1 KR 102552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ining
track
simulation
scenar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0084A (ko
Inventor
이원식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71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F41H11/02Anti-aircraft or anti-guided missile or anti-torpedo defence installation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군/해군/공군을 포함하는 국방 영역 전반적으로 공통 훈련이 가능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은 육군/해군/공군에서 저비용 고효율로 교전 절차와 관련된 훈련을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구조를 일반화 하고,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및 연동 메커니즘을 공통으로 정립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육해공군 어디에서든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의 연동 매커니즘을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후발 주자가 기 검증된 메커니즘의 활용을 도모하여 시스템 설계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ENGAGEMENT PROCEDURE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OF ENGAGEMENT PROCEDURES TRAINING}
본 발명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군/해군/공군을 포함하는 국방 영역 전반적으로 공통 훈련이 가능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육군/해군/공군으로 구성된 우리나라의 국방 영역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에 대응해야 하고, 합리적인 운영체계를 통해서 군사 교육 및 훈련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서 국방 시뮬레이션의 필요성과 그 활용도에 높은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국방 시뮬레이션은 전력평가, 무기체계 분석, 전투 실험, 각 부대의 훈련 등 국방 영역 전반에 걸쳐서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접근해야 하고, 또한 육해공군 전 영역에 걸쳐서 합동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션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41854호(발명의 명칭 : LVC 연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기록 매체 및 그 연동 모듈의 설계 장치)는 LVC 연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시뮬레이션 장치들 사이에 공유 가능한 표준 시나리오 정보를 초기화 정보로 이용하고, 실기동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정보 교환을 위하여 전술 데이터 링크의 표준 정보를 이용하는 표준화 연동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VC 연합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개시되고 있다.
즉, 종래 등록 특허는 레거시 훈련 시스템의 시나리오 정보와 전술데이터링크 구성을 수행하고 있으나, 육해공을 포함하는 국방 영역 전반적으로 공통 훈련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부분에서는 그 요구도를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하여 계속해서 그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41854(발명의 명칭 : LVC 연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기록 매체 및 그 연동 모듈의 설계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육군/해군/공군을 포함하는 국방 영역 전반적으로 공통 교육 훈련이 가능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군/해군/공군에서 운용되는 유도탄의 발사 절차 훈련을 위한 시스템 구조를 일반화하여 어느 군에서든지 공통적으로 유도탄 발사절차 훈련을 수행할 수 있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육군/해군/공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훈련을 위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기 위한 교관 통제 영역과,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고,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사후 강평 영역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고,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며, 해양/수중/대기/지형 정보의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과, 실 체계 및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3계층 도메인 간 모든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하며, 훈련 수행 중의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영역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 및 상용 장비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과, 국방 표준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훈련 수행 도메인을 포함하며,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과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육군/해군/공군의 교전 절차 훈련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연동 매커니즘과 공통 연동 데이터 구조를 구축하되, 공통 연동 데이터는 시나리오 정보,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 환경 상태 모의 정보, 트랙 조종 정보,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공통 연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6개 영역 기반의 상호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통 연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관 통제 영역은,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 편집을 수행하는 시나리오 생성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는 시뮬레이션 제어기; 훈련 중 음성 통제를 위한 인터컴 시스템; 훈련 중 영상을 실시간 관측을 위한 영상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후 강평 영역은,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는 사후 강평 컴퓨터; 훈련 재생 내용을 전시하기 위한 프로젝터와 스크린 시스템; 강평 중 실시간 음성 강평을 위한 인터컴 시스템; 강평 후 훈련 성적 및 훈련 이력 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은,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는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는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처리 영역은, 실 체계 및 타 체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 3계층 도메인 사이의 모든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분배를 통해서 제어하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 훈련 수행 중, 인터페이스 데이터 로깅 및 훈련 수행 영상을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은,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탐지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전장 환경을 가시화 하는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에서 처리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은, 트랙의 이동 정보의 제어를 담당하는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적국 트랙과 교전을 위한 임무 계획을 생성하고 교전 수행을 담당하는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서 시나리오 사용에 필수적인 객체 속성 정보, 무장 속성 정보, 센서 속성 정보를 편집하는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메커니즘; 시나리오 생성기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를 로딩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는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로딩 메커니즘 및 시나리오 정보 편집 메커니즘;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 저장하는 시나리오 정보 저장 메커니즘; 훈련에 사용할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제어기에 로딩하는 시나리오 정보 로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시나리오 정보를 송신하는 시나리오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로 시나리오 정보를 분배하는 시나리오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시나리오 정보를 수신하는 시나리오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훈련 시작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로 훈련 시작 정보를 분배하는 훈련 시작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훈련 시작 정보를 수신하고 훈련을 시작하는 훈련 시작 수신 및 시작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트랙 이동을 모의하는 트랙 이동 모의 메커니즘;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에서 환경 상태 정보를 모의하는 환경 상태 모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이동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트랙 이동 모의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와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로 분배하는 트랙 이동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트랙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이동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에서 모의 환경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환경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 분배하는 환경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수신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탐지를 모의하고,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트랙 탐지 정보를 송신하는 트랙 탐지 모의 및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트랙 탐지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으로 분배하는 트랙 탐지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트랙 탐지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탐지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조종 모의를 수행하고, 트랙 조종 모의 정보는 중앙 집중 네크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조종 모의 및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트랙 조종 모의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으로 분배하는 트랙 조종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트랙 조종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조종 정보 수신 메커니즘;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은 수신된 트랙 조종 정보를 적용하여 트랙 모의를 수정하는 트랙 조정 변경 정보 적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피아 식별을 통해 교전에 필요한 발사 절차 모의를 수행하는 발사 절차 수행 메커니즘;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가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송신 메커니즘;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로 분배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수신 메커니즘;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는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영상 생성을 모의하고 전시하는 3차원 영상 모의 및 전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서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기동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내용을 전시하는 트랙 기동 분석 및 전시 메커니즘;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기동 분석 송신 메커니즘;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분배하는 트랙 기동 분석 분배 메커니즘; 해당 장비에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기동 분석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발사 절차 훈련이 종료되면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훈련 종료 정보를 송신하는 훈련 종료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를 훈련 종료 정보를 분배하는 훈련 종료 분배 메커니즘; 해당 장비에서 훈련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훈련을 종료하는 훈련 종료 수신 및 종료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시나리오 정보는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시나리오 종류, 총 객체 수, 시뮬레이션 시작 시간, 해양 상태, 습도, 아군 객체 수, 적군 객체 수, 시뮬레이션 종료 시간, 탐지 확율, 시나리오 설명, 온도,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해양 상태, 습도, 탐지 확율, 온도 강수량 정보에 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플랫폼 구조, 플랫폼 이름, 플랫폼 형태, 플랫폼 출처, 적아식별, 이동경로 점수, 이동경로점 위도, 이동경로점 경도, 이동경로점 고도 정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플램폼 구조, 유도탄 수, 유도탄 형태, 유도탄 종류, 유도탄 상태 정보에 대한 유도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공통 연동 데이터에서 시나리오 정보와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정보는 가변 크기로 설정되고,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와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64바이트로 구성하고, 트랙 조종 정보는 30바이트로 구성하고,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16바이트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훈련 시작 및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트랙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트랙 개수 만큼, 트랙 ID, 트랙 피아정보, 객체 생존 여부, 트랙의 상세 정보, 트랙의 이동 속도, 트랙의 지구상의 위치정보, 트랙의 이동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훈련 시작 및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랙 조종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운용 방향, 운용 속도, 운용 심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이벤트 발생 시간,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발사 절차 및 각종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육상, 해상, 공중에서 발사되는 유도탄의 교전 절차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관 통제 영역에서,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기 위한 단계; 사후 강평 영역에서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고,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단계;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에서, 교관 통제 영역의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고,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며, 해양/수중/대기/지형 정보의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단계; 데이터 처리 영역에서, 실 체계 및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3계층 도메인 간 모든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하며, 훈련 수행 중의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상용 장비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 국방 표준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과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육군/해군/공군의 교전 절차 훈련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연동 매커니즘과 공통 연동 데이터 구조를 구축하되, 공통 연동 데이터는 시나리오 정보,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 환경 상태 모의 정보, 트랙 조종 정보,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공통 연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6개 영역 기반의 상호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통 연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은 육군/해군/공군에서 저비용 고효율로 교전 절차와 관련된 훈련을 공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구조를 일반화 하고,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및 연동 메커니즘을 공통으로 정립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육해공군 어디에서든지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의 연동 매커니즘을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후발 주자가 기 검증된 메커니즘의 활용을 도모하여 시스템 설계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육군/해군/공군에서 운용되는 유도탄의 발사 절차 훈련을 위한 시스템 구조를 일반화하여 어느 군에서든지 공통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상호 호환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의 교관 통제 영역(111)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의 사후 강평 영역(112)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의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의 데이터 처리 영역(122)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수행 도메인(130)의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수행 도메인(130)의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에서 구축한 공통 연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아키텍쳐 영역간 공통 연동 데이터와 관련된 영역 간의 연동 매커니즘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도 12는 공통 연동 데이터에서 시나리오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은 훈련시작 및 종료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는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는 환경 상태 모의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트랙 조종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메일 별 장비 구분 및 SW 식별자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속성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은 객체 속도, 및 위치 방향 등에 대한 상세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Entity Orientation 정보의 각 방향각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22는 공통 연동 데이터의 상세도 이고,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 "단말"과 "노드"와 "디지털 무전기"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domain)과 6개의 영역(space) 기반의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 훈련 수행 도메인(130)으로 구성되는 3계층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은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기 위한 교관 통제 영역(111)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은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고,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사후 강평 영역(112)을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은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고,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며, 해양/수중/대기/지형 정보의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을 포함한다.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은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각 모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은 실 체계 및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3계층 도메인 간 모든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하며, 훈련 수행 중의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영역(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훈련 수행 도메인 영역(130)은 상용장비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상용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과, 국방 표준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과 6개의 영역 기반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영역에서 교전 절차 훈련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연동 매커니즘과 공통 연동 데이터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공통 연동 데이터는 시나리오 정보,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 환경 상태 모의 정보, 트랙 조종 정보,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공통 연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6개 영역 기반의 상호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통 연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의 교관 통제 영역(111)을 도시하고 있다.
교관 통제 영역(111)은 시나리오 생성기, 시뮬레이션 제어기,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데이터 베이스 서버, 인터컴 시스템, 영상 분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은 교관 영역으로서 학생 훈련을 통제하는 교관 통제 영역(111)과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사후 강평 영역(112)으로 구분된다.
교관 통제 영역(111)은 훈련 수행 준비 단계에서 훈련에 필요한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과 학생의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자 및 데이터 베이스 서버(이하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로 명명함)를 포함한다. 교관 통제 영역(111)은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 편집을 위한 시나리오 생성기를 포함한다. 교관 통제 영역(111)은 훈련 수행단계에서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과 중지를 통제하는 시뮬레이션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교관 통제 영역(111)은 훈련 수행 중 학생들의 훈련을 음성으로 통제할 수 있는 인터컴 시스템과 학생들의 훈련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측할 수 있는 영상 분배 시스템(RGB Matrix)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10)의 사후강평 영역(112)의 예시도이다.
사후 강평 영역(112)는 사후 강평 컴퓨터, 프린터 시스템, 인터컴 시스템, 프로젝터 시스템, 대형 스크린을 포함한다.
사후 강평 영역(112)은 훈련 수행 후, 학생들의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는 사후 강평 컴퓨터, 강평 중 실시간 음성 강평을 위한 인터컴 시스템, 훈련 재생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시하기 위한 프로젝터와 스크린 시스템, 강평 후 학생들의 성적 및 훈련 이력 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의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의 예시도이다.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은 훈련에 필요한 모델을 모의하는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과 훈련에 필요한 인터페이스(I/F)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영역(122)으로 구분된다.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환경상태 시뮬레이션을 포함한다.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은 교관 통제 영역(111)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 지상, 수상, 수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는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Track Movement Simulation, TMS),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TMS)에서 모의된 트랙의 탐지를 모의하는(일 예로 레이더, 소나, ESM 등)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Track Detection Simulation, TDS) 시스템, 트랙 이동 시뮬레이션(TMS) 및 트랙 탐지모의 시뮬레이션(TDS)의 주요 성능 및 환경 파라미터로 해양, 수중,대기, 지형 정보를 모의하는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Environment State Simulation, ESS)으로 구성된다.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은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다이니믹 모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이벤트 모의 정보를 생성한다.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은 트랙 탐지 정보를 훈련 수행 도메인에 제공한다.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및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의 주요 성능 변수로 작용한다.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은 시나리오 정보의 편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 상태를 모의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의 데이터 처리 영역(122)의 예시도이다.
데이터 처리 영역(122)은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영역(122)은 실 체계 및 타 체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Data Link Simulation, DLS),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120)과 훈련 수행 도메인(130)의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데이터의 분배를 담당하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Centralized Network System), 훈련 수행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로깅 및 학생들의 훈련 수행 영상을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Simulation Data Recoding System, SDRS)로 구성된다.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은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과 MILS(Model In-the Loop Simulation) 기반 시뮬레이터 사이의 인터페이스 처리와, COTS(Commercial Off-the-Shelf) 기반 시뮬레이터와 MILS 기반 시뮬레이터 간의 인터페이스 처리, 3계층 도메인 사이의 모든 시뮬레이터 인터페이스 처리를 수행한다.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본 발명의 교전 절차 교육 훈련 시스템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에 대해서 중앙 집중형으로 수신하고 분배한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는 훈련 수행 중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고, 모든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서 데이터를 로깅한다. 그리고 영상 저장 장치를 이용한 주요 학생 훈련 영상들도 저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수행 도메인(130)의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의 예시도이다.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은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한다.
훈련 수행 도메인(130)은 실제 학생들이 시뮬레이션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과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으로 구분된다.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과 국방 표준 기반의 시뮬레이터 영역(132) 개발의 선택 여부는 실 장비 유사성과 장비 경제성 중 목적하는 바에 따라 실 장비 기반과 상용 장비 기반의 개발 방향이 결정된다.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은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120)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탐지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전장 환경을 가시화하는 장비인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3D Image Generator, 3DIG),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TDS)에서 처리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Track Motion Analysis)로 구분된다. 그리고 인터컴 시스템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훈련 수행 도메인(130)의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의 예시도이다.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은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한다.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은 트랙의 이동 정보의 제어를 담당하는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Track Steering Simulator, TSS)와 적군 트랙과 교전을 위한 임무 계획을 생성하고 교전 수행을 담당하는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Engagement Training Simulator), 훈련 중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관 사이의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컴(Intercom)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는 트랙 분석 시뮬레이터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트랙 기동을 조정한다. 일 예로 적 위협 트랙 회피시 또는 교전 가능 영역으로 이동시에 트랙 기동을 조정한다.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교전 가능 영역으로 진입시에 적 트랙과의 교전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교전 계획을 생성 및 분석하고, 모의 교전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에서 구축한 공통 연동 메카니즘을 보여주는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3계층(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훈련수행 도메인)의 구조는 도 9에 도시되고 있는 순서로 정보 및 메시지를 송수신하며 모든 데이터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서 수신되고 분배된다.
이를 위해서 3계층의 6개 영역 중 사후 강평 영역을 제외한, 교관 통제 영역(111),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데이터 처리 영역(122),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그리고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에서 6개의 영역 사이의 공통 연동 메카니즘은 다음의 과정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1)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편집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서 시나리오 사용에 필수적인 기본 정보(일 예로 객체 속성 정보, 무장 속성 정보, 센서 속성 정보 등)를 편집한다.
2)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로딩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시나리오 생성기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를 로딩한다. 3) 시나리오 정보 편집 매카니즘 :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한다.
4) 시나리오 정보 저장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시나리오 생성기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 저장된다.
5) 시나리오 정보 로딩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시뮬레이션 제어기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 저장된 시나리오 정보에서, 훈련에 사용할 시나리오 정보를 로딩한다.
6) 시나리오 정보 송신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시뮬레이션 제어기는 훈련에 사용할 시나리오 정보를 데이터 처리 영역(122)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7) 시나리오 정보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한 시나리오 정보를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의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으로 전송 및 분배한다.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훈련 시나리오 정보가 필요한 다른 장비로도 송신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임의의 정보의 송신/분배/수신 등에 대해서 일부 장비만이 설명될 수 있다. 즉,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해당 정보가 필요한 설명되지 않은 장비로도 송신/분배가 이루어지고, 설명되지 않은 장비에서 해당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한 동작 제어가 수행될 수 있음을 미리 정의한다.
8) 시나리오 정보 수신 메카니즘 : 훈련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가 필요한 장비들은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서 해당 훈련 시나리오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에도 시나리오 정보를 전송 및 분배한다.
이상의 1) 내지 8)의 메카니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해당 훈련에 사용할 시나리오 정보가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세개의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전달되어진다. 또한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의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에도 시나리오 정보가 전송 및 분배되어진다. 즉, 해당 훈련을 위한 준비 작업이 완료된다.
9) 훈련 시작 송신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의 시뮬레이션 제어기는 훈련 시작 명령을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10) 훈련 시작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훈련 시작 명령을 수신하면,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으로 훈련 시작을 위한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훈련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해서 각 구성 별로 기설정된 해당하는 훈련 시작 신호를 분배한다.
11) 훈련 시작 수신 및 시작 메카니즘 : 각 장치들은 해당 훈련 시작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서 훈련을 시작한다.
또한,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시스템은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와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서도 훈련 시작을 위한 신호를 송신 및 분배하고, 각 장치들은 해당 훈련 시작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와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도 훈련 시작을 위한 신호를 송신 및 분배하고, 각 장치들은 해당 훈련 시작 신호를 수신한다.
훈련 시작 신호를 수신한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과,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와,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해당 훈련을 시작한다.
12) 트랙 이동 모의 메카니즘 :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은 수신된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트랙 이동을 모의하며, 13) 환경 상태 모의 메카니즘 :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은 수신된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환경 상태 정보를 모의한다. 여기서 12)와 13) 메커니즘의 순서는 제어 동작과 무관하며, 이후 발생되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과의 트랙 이동 정보의 분배 및 송신과 수신, 환경 상태 정보의 분배 및 송신과 수신의 과정은 순서와 무관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발생할 수도 있다.
14) 트랙 이동 정보 송신 메카니즘 :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정보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15) 트랙 이동 정보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한 트랙 이동 정보를 해당 시나리오에 기반해서 분배하고,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에 트랙 이동 정보를 송신한다. 16) 트랙 이동 정보 수신 메카니즘 : 해당 장비들은 트랙 이동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한 트랙 이동 정보를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에도 송신한다.
17) 환경 정보 송신 메카니즘 :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에서 모의된 환경 상태 정보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된다.
18) 환경 정보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한 환경 상태 정보를 해당 시나리오에 기반해서 분배하고,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와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그리고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와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 환경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19) 환경 정보 수신 메카니즘 : 해당 장비들은 환경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한 환경 상태 정보를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에도 송신한다.
20) 트랙 탐지 모의 메카니즘 :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트랙 이동 정보가 수신되면,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한다. 21) 트랙 탐지 정보 송신 메카니즘 : 탐지된 트랙 탐지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22) 트랙 탐지 정보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크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와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 송신 및 분배한다. 또한,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정 시뮬레이터와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도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송신 및 분배한다. 23) 트랙 탐지 정보 수신 메카니즘 : 해당 장비들은 트랙 탐지 정보를 수신한다. 데이터 처리 영역(122) 내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에서도 트랙 탐지 정보를 수신한다.
24) 트랙 조종 모의 메카니즘 :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조종 모의를 수행한다. 25) 트랙 조종 정보 송신 메카니즘 :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는 모의 수행후 얻은 트랙 조종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26) 트랙 조종 정보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트랙 조종 정보를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에 송신한다. 또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트랙 조종 정보를 모듈 시뮬레이션 영역(121) 내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 송신한다.
27) 트랙 조종 정보 수신 메카니즘 :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은 트랙 조종 정보를 수신하고, 28) 트랙 조종 변경 정보 적용 메카니즘 : 트랙 조정 변경 정보를 적용하여 트랙 모의를 수정한다.
29) 발사 절차 수행 메카니즘 :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의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에 기반해서 피아 식별을 통해 교전에 필요한 발사 절차 모의를 수행한다. 30) 발사 절차 이벤트 송신 메카니즘 :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송신한다.
31) 발사 절차 이벤트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와, 상용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에 송신한다. 32) 발사 절차 이벤트 수신 메카니즘 : 해당 장비는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수신한다.
33) 3차원 영상 모의 메카니즘 :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영상 생성을 모의하고, 34) 3차원 영상 전시 메카니즘 : 해당 영상을 전시한다.
여기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에서 33), 34) 메커니즘의 3차원 영상 생성을 모의하고 전시하는 구성은 11) 메커니즘의 훈련 시작 정보가 수신된 이후, 각각의 수신 정보{16), 19), 23), 32) 메카니즘}를 기반으로 모의되는 3차원 영상화면이 변경되어 전시된다.
35) 트랙 기동 분석 메카니즘 :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1) 내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는 23) 메카니즘에서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기동 분석을 수행하며, 36) 분석 내용 전시 메카니즘 : 분석된 내용을 전시한다.
37) 트랙 기동 분석 송신 메카니즘 : 트랙 기동 분석 정보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달되고, 38) 트랙 기동 분석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132) 내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와,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로 분배 및 송신한다. 39) 트랙 기동 분석 수신 메카니즘 : 해당 장비는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수신한다.
이상과 같은 공통 연동 메카니즘은 훈련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해서 반복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고, 훈련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발사 절차 훈련이 종료되면, 40) 훈련 종료 송신 메카니즘 : 교관 통제 영역(111) 내 시뮬레이션 제어기는 훈련 종료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한다. 41) 훈련 종료 분배 메카니즘 :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훈련 종료에 따른 신호를 모든 장비로 전송한다. 42) 훈련 종료 수신 및 종료 메카니즘 : 해당 알고리즘에 기반해서 발사 훈련 절차를 수행한 모든 장비들은 훈련 종료가 수신되면, 훈련을 종료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영역(122) 내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는, 6) 메카니즘에 의한 시나리오 정보가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 수신되면서부터 42) 메카니즘에 의한 훈련이 종료되기까지 전 과정에서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저장하고 기록한다(43 기록 메카니즘). 또한 데이터 처리 영역(122) 내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은 훈련 시나리오 정보에 기반하여 공통 연동 메카니즘의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실 체계와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도모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에서 영역간 공통 연동 데이터에 대한 실시 형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도탄의 발사 이벤트에 따른 영역간 공통 연동 데이터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유도탄 발사 절차와 관련된 공통 연동 데이터 및 공통 연동 메카니즘을 구현하고 있다. 이는 수중에서 사용하는 유도무기(또는 유도탄)와 지상 또는 공중에서 사용하는 유도무기의 교전 절차에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을 도출 가능하고, 또한 프레임 워크 기반으로 공통 연동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는 부분에 착안하였다.
일 예로 홍상어의 훈련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는 객체 시나리오 설명 정보, 객체의 정보, 환경 정보 등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철매-2의 훈련을 위한 시나리오 정보도, 홍상어의 훈련을 위한 정보와 거의 유사 또는 동일한 정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항목을 토출하여 프레임 워크 기반으로 공통 연동 메카니즘을 구현하였다.
도 10은 아키텍쳐 영역간 공통 연동 데이터와 관련된 영역 간의 연동 매커니즘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가) 시나리오 정보는 가변크기를 갖도록 기설정 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1)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편집, 2)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로딩, 3) 시나리오 정보 편집, 4) 시나리오 정보 저장, 5) 시나리오 정보 로딩, 6) 시나리오 정보 송신, 7) 시나리오 정보 분배, 8) 시나리오 정보 수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나)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는 12바이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9) 훈련시작 송신, 10) 훈련 시작 분배, 11) 훈련시작 수신 및 시작, 40) 훈련 종료 송신, 41) 훈련 종료 분배, 42) 훈련 종료 수신 및 종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는 가변 크기를 갖도록 기설정 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12) 트랙 이동 모의, 14) 트랙 이동 정보 송신, 15) 트랙 이동 정보 분배, 16) 트랙 이동 정보 수신, 20) 트랙 탐지 모의, 21) 트랙 탐지 정보 송신, 22) 트랙 탐지 정보 분배, 23) 트랙 탐지 정보 수신, 33) 3차원 영상 모의, 34) 3차원 영상 전시, 35) 트랙 기동 분석, 36) 분석 내용 전지, 37) 트랙 기동 분석 송신, 38) 트랙 기동 분석 분배, 39) 트랙 기동 분석 수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라)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64바이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13) 환경 상태 모의, 17) 환경 정보 송신, 18) 환경 정보 분배, 19) 환경 정보 수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마) 트랙 조종 정보는 30바이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24) 트랙 조종 모의, 25) 트랙 조정 정보 송신, 26) 트랙 조종 정보 분배, 27) 트랙 조종 정보 수신, 28) 트랙 조종 변경 정보 적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16바이트로 설정한다. 이와 관련되는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29) 발사 절차 수행, 30) 발사 절차 이벤트 송신, 31) 발사 절차 이벤트 분배, 32) 발사 절차 이벤트 수신, 33) 3차원 영상 모의, 34) 3차원 영상 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가) 내지 바)의 공통 연동 데이터들은 아키텍쳐 영역 간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데이터고, 각 데이터에 관련 연동 메카니즘은 공통적으로 연동되는 메카니즘의 구성을 나타낸다. 각 공통 연동 데이터의 크기 및 관련된 공통 연동 메카니즘은 미리 기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도 12는 공통 연동 데이터에서 시나리오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시나리오 정보는 가변크기를 갖고, 시나리오에 대한 설명 정보, 환경정보, 객체정보, 유도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정보에는 도 11과 도 12에 도시되고 있는 세부 정보들이 포함된다.
시나리오 정보에 대한 설명 정보에는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시나리오 종류, 총 객체 수, 시뮬레이션 시작 시간, 해양 상태, 습도, 아군 객체 수, 적군 객체 수, 시뮬레이션 종료 시간, 탐지 확율, 시나리오 설명, 온도, 강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시나리오 정보에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해양 상태, 습도, 탐지 확율, 온도 강수량 정보에 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정보에 플랫폼 구조, 플랫폼 이름, 플랫폼 형태, 플랫폼 출처, 적아식별, 이동경로 점수, 이동경로점 위도, 이동경로점 경도, 이동경로점 고도 정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객체 정보는 이동경로점 수 만큼 이동경로점 위도, 경도, 고도가 반복해서 구성된다. 즉, 객체 정보는 훈련 대상 체계 별로 교전 대상 객체가 달라지므로, 육군/해군/공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시나리오 정보에 플램폼 구조, 유도탄 수, 유도탄 형태, 유도탄 종류, 유도탄 상태 정보에 대한 유도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도탄 정보는 유도탄 수 만큼 유도탄 형태, 유도탄 종류, 유도탄 상태가 반복해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육군/해군/공군에서 사용하는 유도탄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유도탄 정보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예로 훈련을 위한 유도탄의 종류 홍상어(해양), 철매(지대공)에 따라서 객체 정보와 유도탄 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도 13은 훈련시작 및 종료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는 12바이트로 구성되고, 연동 대상 장비 ID(2바이트),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2바이트), 훈련 시작 및 종료 시간(4바이트) 등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공통 연동 데이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예비용의 데이터 공간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14는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는 가변 크기{(8+(58* N))byte} 로 구성된다. 여기서 N = 트랙 개수로서, 1<=N<=850 로 이루어진다.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트랙 개수 정보, 그리고 예비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랙 개수 만큼, 트랙 ID( 트랙 ID 1 이면 자함), 트랙 피아 정보(아군-1, 적군-2, 중립-3, 아군간주-4, 미식별-5), 객체 생존 여부(0-미생존, 1-생존), 트랙의 상세 정보(일 예로 지상 트랙, 공중 트랙, 수상 트랙 등), 트랙의 이동 속도, 트랙의 지구상의 위치정보, 트랙의 이동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환경 상태 모의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64바이트로 구성된다.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2바이트의 연동 대상 장비 ID, 2바이트의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2바이트의 예비 공간, 1바이트의 해상상태, 1바이트의 구름상태, 8바이트의 바람의 방향, 8바이트의 바람의 속도, 8바이트의 온도, 8바이트의 습도, 8바이트의 대기압, 8바이트의 강수량, 8바이트의 파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트랙 조종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트랙 조종 정보는 30바이트로 구성되고, 2바이트는 연동 대상 장비 ID, 2바이트는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2바이트는 예비 공간, 8바이트는 운용 방향, 8바이트는 운용 속도, 8바이트는 운용 심도 및 고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16바이트로 구성되고, 2바이트의 연동 대상 장비 ID, 2바이트의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4바이트의 이벤트 발생 시간, 2바이트의 출발지 정보, 2바이트의 발사 절차 및 각종 이벤트 정보, 2바이트의 도착지 정보, 2바이트의 예비 공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메일 별 장비 구분 및 SW 식별자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객체 속성의 상세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8은 도메인과 영역 그리고 각 영역 내 운용 장비들에 대한 장비 ID와 어플리케이션 ID를 보여주고 있다.
도 19는 객체(Entity) 형태의 구조의 예시를 보여주고 있다. 객체 종류는 지상 위협, 공중 위협, 선박 위협, 기타 위협 등을 1바이트 크기로 설정 가능하다. 객체의 작전 수행 영역에 대해서도, 지상, 공중, 수면, 수면 밑 등으로 설정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객체 소속 국가 코드, 카테고리, 특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객체 속도, 및 위치 방향 등에 대한 상세 정보의 예시도이다.
일 예로 Linear Velocity 정보, Entity Location 정보, Entity Orientation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도 21은 Entity Orientation 정보의 각 방향각 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도 22는 공통 연동 데이터의 상세도 이고,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에 대한 일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각 코드 정보는, 영역 3자리 정보와 고유 번호 2자리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코드 정보는, 임무자료번호 입력, 임무자료번호 취소, 해상비행궤적생성, 해상비행궤적수정, 탄 선택, 탄 선택 취소, 발사대 전원 인가, 발사대 전원 해제, 유도단 발사 인가, 유도탄 발사 해제, 탄 안전스위치 안전, 탄 안전스위치 활성, 탄 전원 켜짐, 탄 전원 꺼짐, 탄 준비 완료, 발사 준비 완료, 안전/허용 스위치 안전, 비밀번호 입력, 발사 버튼 누름, 발사 진행 중, 발사 거부, 탄 이탈 등의 정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은 일반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구현된다. 컴퓨팅 환경은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 가능하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다른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든 형태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또는 제어모듈),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및 통신버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한 가능 저장 매체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는 프로세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는 통신 버스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미도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는 컴퓨터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디바이스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디바이스와 연결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실행을 위해 프로세서에 명령어를 제공하는데 참여한 임의의 매체를 나타낸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매체, 광기록 매체, 메모리 등이 있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 120 :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 130 : 훈련 수행 도메인, 111 : 교관 통제 영역, 112 : 사후 강평 영역, 121 :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 122 : 데이터 처리 영역, 131 :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 132 :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

Claims (27)

  1. 육군/해군/공군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장비 훈련을 위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에 있어서,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기 위한 교관 통제 영역과,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고,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사후 강평 영역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제어 도메인;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고,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며, 해양/수중/대기/지형 정보의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과,
    실 체계 및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3계층 도메인 간 모든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하며, 훈련 수행 중의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는 데이터 처리 영역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 및
    상용 장비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과,
    국방 표준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훈련 수행 도메인을 포함하며,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과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육군/해군/공군의 교전 절차 훈련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연동 매커니즘과 공통 연동 데이터 구조를 구축하되,
    공통 연동 데이터는 시나리오 정보,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 환경 상태 모의 정보, 트랙 조종 정보,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공통 연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6개 영역 기반의 상호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통 연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은,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는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는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교관 통제 영역에서 편집된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교관 통제 영역은,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 해상, 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 편집을 수행하는 시나리오 생성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는 시뮬레이션 제어기;
    훈련 중 음성 통제를 위한 인터컴 시스템;
    훈련 중 영상을 실시간 관측을 위한 영상 분배 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사후 강평 영역은,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는 사후 강평 컴퓨터;
    훈련 재생 내용을 전시하기 위한 프로젝터와 스크린 시스템;
    강평 중 실시간 음성 강평을 위한 인터컴 시스템;
    강평 후 훈련 성적 및 훈련 이력 정보를 프린트할 수 있는 프린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 영역은,
    실 체계 및 타 체계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링크 시뮬레이션;
    3계층 도메인 사이의 모든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중앙 집중형 네트워크 분배를 통해서 제어하는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
    훈련 수행 중, 인터페이스 데이터 로깅 및 훈련 수행 영상을 저장하는 시뮬레이션 정보 기록 장치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은,
    시뮬레이션 처리 도메인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탐지 및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전장 환경을 가시화 하는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에서 처리된 탐지 정보를 분석하는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은,
    트랙의 이동 정보의 제어를 담당하는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적국 트랙과 교전을 위한 임무 계획을 생성하고 교전 수행을 담당하는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
    음성 정보 교환을 위한 인터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서 시나리오 사용에 필수적인 객체 속성 정보, 무장 속성 정보, 센서 속성 정보를 편집하는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메커니즘;
    시나리오 생성기에서 편집된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를 로딩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는 시나리오 사용 기본 정보 로딩 메커니즘 및 시나리오 정보 편집 메커니즘;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 관리기에 저장하는 시나리오 정보 저장 메커니즘;
    훈련에 사용할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제어기에 로딩하는 시나리오 정보 로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시나리오 정보를 송신하는 시나리오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로 시나리오 정보를 분배하는 시나리오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시나리오 정보를 수신하는 시나리오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훈련 시작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로 훈련 시작 정보를 분배하는 훈련 시작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훈련 시작 정보를 수신하고 훈련을 시작하는 훈련 시작 수신 및 시작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트랙 이동을 모의하는 트랙 이동 모의 메커니즘;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에서 환경 상태 정보를 모의하는 환경 상태 모의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에서 모의된 트랙 이동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이동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트랙 이동 모의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와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로 분배하는 트랙 이동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트랙 이동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이동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환경 상태 시뮬레이션에서 모의 환경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환경 정보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환경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 분배하는 환경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에서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환경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탐지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수신된 환경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탐지를 모의하고,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트랙 탐지 정보를 송신하는 트랙 탐지 모의 및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트랙 탐지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상용 장비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 국방 표준 기반 시뮬레이터 영역으로 분배하는 트랙 탐지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트랙 탐지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탐지 정보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조종 모의를 수행하고, 트랙 조종 모의 정보는 중앙 집중 네크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조종 모의 및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트랙 조종 모의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으로 분배하는 트랙 조종 정보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트랙 조종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조종 정보 수신 메커니즘;
    트랙 이동 모의 시뮬레이션은 수신된 트랙 조종 정보를 적용하여 트랙 모의를 수정하는 트랙 조정 변경 정보 적용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는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피아 식별을 통해 교전에 필요한 발사 절차 모의를 수행하는 발사 절차 수행 메커니즘;
    교전 훈련 시뮬레이터에서 수행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가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은 수신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시뮬레이션 제어기,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로 분배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분배 메커니즘;
    각 장비들은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발사 절차 이벤트 수신 메커니즘;
    3차원 영상 생성 시뮬레이터는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기반으로 3차원 영상 생성을 모의하고 전시하는 3차원 영상 모의 및 전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서 수신된 트랙 탐지 정보를 기반으로 트랙 기동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내용을 전시하는 트랙 기동 분석 및 전시 메커니즘;
    트랙 기동 분석 시뮬레이터에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트랙 기동 분석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시뮬레이션 제어기, 트랙 조종 시뮬레이터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분배하는 트랙 기동 분석 분배 메커니즘;
    해당 장비에서 트랙 기동 분석 정보를 수신하는 트랙 기동 분석 수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시뮬레이션 제어기에서 발사 절차 훈련이 종료되면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훈련 종료 정보를 송신하는 훈련 종료 송신 메커니즘;
    중앙 집중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각 장비를 훈련 종료 정보를 분배하는 훈련 종료 분배 메커니즘;
    해당 장비에서 훈련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훈련을 종료하는 훈련 종료 수신 및 종료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시나리오 정보는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시나리오 종류, 총 객체 수, 시뮬레이션 시작 시간, 해양 상태, 습도, 아군 객체 수, 적군 객체 수, 시뮬레이션 종료 시간, 탐지 확율, 시나리오 설명, 온도, 강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바람의 속도, 바람의 방향, 해양 상태, 습도, 탐지 확율, 온도 강수량 정보에 대한 환경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플랫폼 구조, 플랫폼 이름, 플랫폼 형태, 플랫폼 출처, 적아식별, 이동경로 점수, 이동경로점 위도, 이동경로점 경도, 이동경로점 고도 정보에 대한 객체 정보를 포함하고,
    시나리오 정보에 플램폼 구조, 유도탄 수, 유도탄 형태, 유도탄 종류, 유도탄 상태 정보에 대한 유도탄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공통 연동 데이터에서 시나리오 정보와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정보는 가변 크기로 설정되고,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와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64바이트로 구성하고, 트랙 조종 정보는 30바이트로 구성하고,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16바이트로 구성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훈련 시작 및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트랙 개수 정보를 포함하고,
    트랙 개수 만큼, 트랙 ID, 트랙 피아정보, 객체 생존 여부, 트랙의 상세 정보, 트랙의 이동 속도, 트랙의 지구상의 위치정보, 트랙의 이동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환경 상태 모의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훈련 시작 및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트랙 조종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운용 방향, 운용 속도, 운용 심도 및 고도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5. 청구항 24에 있어서,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는 연동 대상 장비 ID, 연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ID, 이벤트 발생 시간, 출발지 정보, 도착지 정보, 발사 절차 및 각종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육상, 해상, 공중에서 발사되는 유도탄의 교전 절차에 적용되는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2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을 사용하여,
    교관 통제 영역에서, 훈련 수행 준비시에 훈련에 필요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제원 정보 및 교관/학생 이력 정보를 관리하고, 훈련 수행에 필요한 시나리오 정보를 편집하며, 훈련 수행시에 훈련에 필요한 초기 정보 및 시나리오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의 시작/중지를 통제하기 위한 단계;
    사후 강평 영역에서 훈련 수행 후 훈련 수행 내용을 재생해서 볼 수 있고, 훈련 수행 후 훈련 내용에 대한 사후 강평을 수행하는 단계;
    모델 시뮬레이션 영역에서, 교관 통제 영역의 편집된 시나리오 정보를 기반으로 육상/해상/공중 객체의 이동을 모의하고, 모의된 객체의 탐지 정보를 모의 하며, 해양/수중/대기/지형 정보의 환경 상태를 모의 하는 단계;
    데이터 처리 영역에서, 실 체계 및 타 체계와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 3계층 도메인 간 모든 시뮬레이션 인터페이스 데이터 처리하며, 훈련 수행 중의 모든 훈련 내용을 저장하는 단계;
    상용 장비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
    국방 표준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은, 3개의 도메인과 6개의 영역 기반으로 육군/해군/공군의 교전 절차 훈련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연동 매커니즘과 공통 연동 데이터 구조를 구축하되,
    공통 연동 데이터는 시나리오 정보, 훈련 시작 및 종료 정보, 트랙 이동 모의 및 탐지 정보, 환경 상태 모의 정보, 트랙 조종 정보, 발사 절차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공통 연동 메커니즘은 공통 연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6개 영역 기반의 상호 간의 연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다수의 공통 연동 메커니즘으로 구성되는 교전 절차 훈련 방법.
KR1020210101699A 2021-08-03 2021-08-03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KR102552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99A KR102552971B1 (ko) 2021-08-03 2021-08-03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699A KR102552971B1 (ko) 2021-08-03 2021-08-03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84A KR20230020084A (ko) 2023-02-10
KR102552971B1 true KR102552971B1 (ko) 2023-07-07

Family

ID=8522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99A KR102552971B1 (ko) 2021-08-03 2021-08-03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49B1 (ko) * 2014-10-15 2015-04-13 국방과학연구소 Lvc분산 시뮬레이션의 상호운용을 위한 상호운용객체모델 시스템 설계 및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231B1 (ko) * 2009-06-06 2012-06-13 이창훈 소부대 전투기술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041854B1 (ko) 2010-11-24 2011-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Lvc연합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시스템, 방법, 기록 매체 및 그 연동 모듈의 설계 장치
KR20180070131A (ko) * 2016-12-16 2018-06-26 주식회사 한화 유도무기체계용 시뮬레이션 훈련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749B1 (ko) * 2014-10-15 2015-04-13 국방과학연구소 Lvc분산 시뮬레이션의 상호운용을 위한 상호운용객체모델 시스템 설계 및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084A (ko) 202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2939B2 (en) Integrated live and simulation environment system for an aircraft
US20130323686A1 (en) Embedded simulator method and related system
KR102037947B1 (ko) 적아식별 연동을 위한 모의훈련 시스템, 모의훈련 장치 및 방법
CN111210690A (zh) 一种地空防御产品对抗性模拟训练系统
CN104471627A (zh) 嵌入式模拟方法及相关系统
KR102552971B1 (ko) 교전 절차 훈련 시스템 및 교전 절차 훈련 방법
Tolk Tutorial on the engineering principles of combat modeling and distributed simulation
CN114664139A (zh) 可实现多军种联合训练及评估的方法及系统
Chandler Drone Flight and Failure: the United States' Secret Trials, Experiments and Operations in Unmanning, 1936-1973
Board et al. The role of experimentation in building future naval forces
McCue The Practice of Military Experimentation
Morrison et al. The utility of embedded training
Worley et al. Utility of modeling and simulation in the Department of Defense: Initial data collection
Fruchey Advanced simulation and training
Crane et al. Advancing fighter employment tactics in the Swedish and US air forces using simulation environments
Bromley et al. Evaluation of the littoral combat ship (LCS) and Spartan Scout as Information Operations (IO) Assets
Brannon et al. The forward observer personal computer simulator (FOPCSIM)
Wong Evaluation of future unmanned underwater vehicle capabilities in an automated computer-aided wargame
Fruchey Distributed simulation for live training
Zumwalt Lonely Skies: Air-to-Air Training for a 5th Generation Fighter Force
Oregon et al. Smart fires: A COTS approach to tactical fire support using a smartphone
Williams et al.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Society (MORS) Oral History Project Interview of Dr. Marion L. Williams, FS
Mccann Incorporating Radio Frequency Mesh Networks to Link Live, Virtual, Constructive Training
Bragg et al. The Whole Is Greater Than The Sum Of The Parts
Jense et al. Electronic Battlespace Facility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Engin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