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965B1 -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965B1
KR102552965B1 KR1020180074089A KR20180074089A KR102552965B1 KR 102552965 B1 KR102552965 B1 KR 102552965B1 KR 1020180074089 A KR1020180074089 A KR 1020180074089A KR 20180074089 A KR20180074089 A KR 20180074089A KR 102552965 B1 KR102552965 B1 KR 1025529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uminance
imag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302A (ko
Inventor
김태욱
조정근
장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9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2Compensation of deficiencies in the appearance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이외의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하며, 발광 소자의 컬러별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FOR MONITOR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을 이용한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를 이용한 OLED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이용한다.
OLED 디스플레이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으로 유기 발광층을 발광시키는 자발광 소자를 이용하므로 휘도가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초박막화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형상으로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OLED 디스플레이는 발광 소자가 발광 시간이 경과할수록 전류 스트레스의 누적에 의해 열화되어 휘도가 저하됨으로써 수명이 감소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발광 소자의 열화를 저감하여 수명을 개선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 전력 저감을 위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기술이 요구된다.
모니터로 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함에 있어서, 표시 영역 중 사용자가 보는 관심 영역(Region Of Interest; ROI)은 최상위 윈도우 영역으로 특정되는 경향이고, 이외 영역은 사용자의 포커스에서 벗어난 무관심 영역으로 사용자에게는 무의미한 부분이 된다.
이러한 모니터 특성에도 불구하고, OLED 디스플레이에서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유지하는 경우,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발생하고 불필요한 발광에 의해 발광 소자가 열화되어 수명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패널 구동부와,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 및 영상 처리 방법은 입력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이외의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하며, 발광 소자의 컬러별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발광 소자의 각 컬러의 다른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여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를 컬러별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설정 시간 동안 시간이 경과할수록,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각 컬러의 타겟 휘도는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각 컬러의 원래 휘도에서 차감되는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를 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각 컬러의 원래 휘도가 동일한 경우 각 컬러의 타겟 휘도를 녹색>적색>청색 순서로 감소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각 컬러의 원래 휘도에서 차감되는 상기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를 백색<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각 컬러의 원래 휘도가 동일한 경우, 컬러의 타겟 휘도를 백색>녹색>적색>청색 순서로 감소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는 설정 시간 동안 무관심 영역의 영상 변화가 없을 때, 휘도 저감 처리를 적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부는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입력 영상 전체에 대한 다른 영상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사용자의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이외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는 무관심 영역에서 설정 시간 동안 영상 변화가 없는 경우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를 적용하여 불필요한 소비 전력 및 발광 소자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은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시, 컬러별로 다른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고려하여 컬러별로 휘도 감소 정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는 무관심 영역에서 수명 특성이 좋지 않은 발광 소자의 휘도를 다른 발광 소자 대비 더 많이 저감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열화를 더욱 저감하여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의 서브픽셀 구성을 예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선 검출 및 모서리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할 때 영상 변화 여부에 따른 영역별 휘도 저감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기술이 적용된 OLED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구동시 발광 소자 열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의 영상 처리 기술의 적용 여부에 대한 검증 방법에 이용되는 영상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픽셀의 구성을 예시한 등가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O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100),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타이밍 컨트롤러(400), 감마 전압 생성부(500) 등을 포함한다.
패널(100)은 픽셀 어레이를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픽셀 어레이의 기본 픽셀은 백색(W), 적색(R), 녹색(G), 청색(B) 중 2색, 3색, 또는 4색 서브픽셀들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패널(100)은 터치 센서 어레이가 더 내장되거나 부착된 패널일 수 있다.
각 서브픽셀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이하, 발광 소자)와, 그 발광 소자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면, 각 서브픽셀(SP)은 고전위 구동전압(EVDD) 라인(PW1) 및 저전위 구동전압(EVSS) 라인(PW2) 사이에 접속된 발광 소자(10)와, 발광 소자(10)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 및 구동 TFT(DT)와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적어도 포함하는 픽셀 회로를 구비한다. 한편, 픽셀 회로는 도 2의 구성 이외에도 다양하므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스위칭 TFT(ST1, ST2) 및 구동 TFT(DT)는 아몰퍼스 실리콘 (a-Si) TFT, 폴리-실리콘(poly-Si) TFT, 산화물(Oxide) TFT, 또는 유기(Organic) TFT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발광 소자(10)는 구동 TFT(DT)의 소스 노드(N2)와 접속된 애노드와, EVSS 라인(PW2)과 접속된 캐소드와, 애노드 및 캐소드 사이의 유기 발광층을 구비한다. 애노드는 서브픽셀별로 독립적이지만 캐소드는 전체 서브픽셀들이 공유하는 공통 전극일 수 있다. 발광 소자(10)는 구동 TFT(DT)로부터 구동 전류가 공급되면 캐소드로부터의 전자가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고, 애노드로부터의 정공이 유기 발광층으로 주입되어, 유기 발광층에서 전자 및 정공의 재결합으로 형광 또는 인광 물질을 발광시킴으로써, 구동 전류의 전류값에 비례하는 밝기의 광을 발생한다.
제1 스위칭 TFT(ST1)는 게이트 드라이버(200)로부터 한 게이트 라인(Gn1)에 공급되는 스캔 펄스(SCn)에 의해 구동되고,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 데이터 라인(Dm)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1)에 공급한다.
제2 스위칭 TFT(ST2)는 게이트 드라이버(200)로부터 다른 게이트 라인(Gn2)에 공급되는 센스 펄스(SEn)에 의해 구동되고,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 레퍼런스 라인(Rm)에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Vref)을 구동 TFT(DT)의 소스 노드(N2)에 공급한다.
구동 TFT(DT)의 게이트 노드(N1) 및 소스 노드(N2) 사이에 접속된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를 통해 게이트 노드(N1) 및 소스 노드(N2)에 각각 공급된 데이터 전압(Vdata)과 레퍼런스 전압(Vref)의 차전압을 구동 TFT(DT)의 구동 전압(Vgs)으로 충전하고, 제1 및 제2 스위칭 TFT(ST1, ST2)가 오프되는 발광 기간 동안 충전된 구동 전압(Vgs)을 홀딩한다.
구동 TFT(DT)는 EVDD 라인(PW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로부터 공급된 구동 전압(Vgs)에 따라 제어하여 구동 전압(Vgs)에 의해 정해진 구동 전류를 발광 소자(10)로 공급함으로써 발광 소자(10)를 발광시킨다.
한편, 서브픽셀(SP)의 센싱 모드일 때, 구동 TFT(DT)는 데이터 라인(Dm) 및 제1 스위칭 TFT(ST1)를 통해 공급되는 센싱용 데이터 전압(Vdata)과, 레퍼런스 라인(Rm) 및 제2 스위칭 TFT(ST2)를 통해 공급되는 레퍼런스 전압(Vref)를 공급받아 구동한다. 구동 TFT(DT)의 전기적인 특성(Vth, 이동도)이 반영된 픽셀 전류는 제2 스위칭 TFT(ST2)를 통해 플로팅 상태인 레퍼런스 라인(Rm)의 라인 커패시터에 전압으로 충전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레퍼런스 라인(Rm)에 충전된 전압을 샘플링하고 각 서브픽셀(SP)의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0)로 출력한다.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패널(100)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로 정의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복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공급받아 쉬프트 동작을 하여 패널(100)의 게이트 라인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각 게이트 라인의 구동 기간에 게이트 온 전압의 스캔 신호를 해당 게이트 라인에 공급하고, 각 게이트 라인의 비구동 기간에는 게이트 오프 전압을 해당 게이트 라인에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게이트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되고, COF(Chip On Film) 등과 같이 회로 필름에 게이트 IC가 개별적으로 실장되어 패널(100)에 TAB(Tape Automatic Bonding) 방식으로 본딩 및 접속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패널(1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패널(100)의 픽셀 어레이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함께 기판에 형성되어 패널(100)의 양측부 또는 일측부의 비표시 영역에 GIP(Gate In Panel) 타입으로 내장될 수 있다.
감마 전압 생성부(500)는 전압 레벨이 서로 다른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한다. 감마 전압 생성부(5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기준 감마 전압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타이밍 컨트롤러(400)로부터 공급받은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감마 전압 생성부(500)로부터 공급된 복수의 기준 감마 전압들이 세분화된 계조 전압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데이터 신호를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레퍼런스 전압(Vref)을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패널(100)의 레퍼런스 라인들에 공급한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따라 센싱 모드일 때, 데이터 라인으로 센싱용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여 각 서브픽셀이 구동되게 하고, 구동된 서브픽셀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픽셀 전류를 레퍼런스 라인을 통해 전압으로 센싱하고 디지털 센싱 데이터로 변환하여 타이밍 컨트롤러(400)에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복수의 데이터 IC로 구성되고, COF(Chip On Film) 등과 같이 회로 필름에 데이터 IC가 개별적으로 실장되어 패널(100)에 TAB(Tape Automatic Bonding) 방식으로 본딩되거나, COG(Chip On Glass) 방식으로 패널(10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호스트 시스템(컴퓨터)으로부터 소스 영상 및 타이밍 제어 신호들을 공급받는다. 타이밍 제어 신호들은 도트 클럭,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동기 신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공급받은 타이밍 제어 신호들과 내부에 저장된 타이밍 설정 정보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 및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복수의 게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게이트 드라이버(400)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는 복수의 데이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화질 보정, 열화 보정,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한 휘도 보정 등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영상 처리부(60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600)는 공급받은 영상을 분석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보는 주 시청 영역으로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이외 나머지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에서 설정 시간동안 영상 변화가 없는 경우, 그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 전력 및 발광 소자의 열화를 저감하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의 휘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의 휘도 저감 처리시, 발광 소자의 컬러별로 다른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컬러별로 다른 수준으로 휘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과 함께 색감(색좌표)을 가변시킬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의 휘도 저감 처리시, 컬러별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도록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짧은 발광 소자에 대한 휘도 저감 정도를,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긴 발광 소자에 대한 휘도 저감 정도보다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시,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짧은 발광 소자의 휘도를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긴 발광 소자보다 더 많이 감소시킴으로써 수명 특성이 좋지 않은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전술한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감소 처리 이전에, 전체 입력 영상에 대하여 화질 향상 및 소비 전력 감소, 열화 보상 등을 위한 영상 전처리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전처리된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검출하고 무관심 영역의 휘도 감소 처리를 영상 후처리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부(600)는 컨트라스트비 향상 및 소비 전력 감소를 위하여, 입력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분석하여 평균 화상 레벨(Average Picture Level; 이하 APL)을 산출하고 산출된 APL에 따라 영상의 피크 휘도를 제어함으로써 영상 전체의 휘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APL이 낮을수록 영상의 피크 휘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컨트라스트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APL이 높을수록 영상의 피크 휘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전술한 피크 휘도 제어와 같은 영상 전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입력 영상을 디감마(De-gamma) 보정하고, 전술한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와 같은 영상 후처리를 수행한 이후에 후처리된 영상을 감마 보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패널(100)의 픽셀 어레이가 W, R, G, B 서브픽셀들을 포함하는 경우, 영상 처리부(600)는 디감마 보정 후 영상 전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RGB-WRGB 변환, 서브픽셀 렌더링 등의 영상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영상 처리부(600)의 출력을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하기 이전에 메모리에 저장된 각 서브픽셀의 특성 편차에 대한 보상값을 적용하여 더 보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센싱 모드일 때, 타이밍 컨트롤러(400)는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통해 패널(100)의 각 서브픽셀의 전기적인 특성(구동 TFT의 Vth, 이동도, OLED의 Vth 등)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이용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각 서브픽셀의 보상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600)는 타이밍 컨트롤러(400)와 분리되어 타이밍 컨트롤러(400)의 입력단에 접속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이 경우 영상 처리부(600)의 출력은 타이밍 컨트롤러(400)를 통해 데이터 드라이버(3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무관심 영역에 대한 영상 처리 결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도 3(a)에 도시된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A1)으로 검출하고, 이외 영역을 무관심 영역(A2)으로 검출한다.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A2)의 영상에 대하여, 컬러별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고려하여 컬러별로 다른 수준으로 휘도를 저감시킴으로써,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를 저감과 함께 색감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선 및 모서리 검출 방법을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 입력 단계(S2), 경계선 검출 단계(S4), 모서리 검출 단계(S6), 사각형 검출 단계(S8), 윈도우 검출 단계(S10), 영상 변화가 없는 무관심 영역의 휘도 저감 처리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영상 처리부(600)에 의해 수행된다.
도 4(a)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받은 영상을 입력한다(S2). 영상 처리부(600)는 입력 영상에 대한 디감마 보정, 화질 향상, 열화 보상 등과 같은 영상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경계선 검출 마스크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을 미분하고 이진화하여 경계선을 검출한다(S4).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600)는 도 5(a)에 도시된 경계선 검출 마스크를 픽셀 단위로 쉬프트시키면서 입력 영상에 적용하여 영상을 미분한다(S52). 영상 처리부(600)는 다양한 경계선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경계선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계선 검출 마스크는 도 5(a)와 같이 3*3 픽셀 크기와, 마스크 크기의 픽셀들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계수(-a, -b, 0)를 갖는다. 여기서 a, b는 0 보다 큰 양의 정수이고, b는 a 보다 큰 정수이다.
영상 처리부(600)는 경계선 임계치(th)를 기준으로 영상 미분값을 이진화함으로써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선은 백색 휘도로 선명해지고 경계선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블랙 휘도로 표시되는 이진화 영상을 얻을 수 있다(S54).
도 4(c)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모서리 검출 마스크를 이용하여 이진화 영상에서 경계선의 각 모서리를 검출한다(S6). 영상 처리부(600)는 도 5(c)에 도시된 모서리 검출 마스크를 픽셀 단위로 쉬프트시키면서 이진화 영상에 적용하여 "ㄱ", "ㄴ"자 형태로 직교하는 각 모서리를 검출한다(S56). 예를 들어, 모서리 검출 마스크는 도 5(c)와 같이 3*3 픽셀 크기와, 그 마스크 크기의 픽셀들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계수(c, 0)를 갖는다. 여기서 c는 0 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ㄱ", "ㄴ"자 형태의 각 모서리로부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마주보는 각 모서리를 탐색하고, 서로 마주보는 4개 모서리를 통해 폐루프 형태로 결정되는 각 사각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각 사각형의 면적을 계산한다(S8).
도 4(e)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검출된 사각형들 중 설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갖는 사각형을 윈도우 영역으로 검출한다(S10).
도 4(f)를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600)는 윈도우 영역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입력 영상을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영역별로 프레임간 영상 변화를 감지한다. 영상 처리부(600)는 프레임간 영상 변화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이외 나머지 영역은 일정 시간 동안 영상 변화가 없는 경우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600)는 영상 변화가 없는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하여 컬러별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휘도를 저감시키고 컬러를 가변시킬 수 있다(S12).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윈도우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에서 영상 변화 여부에 따른 영역별 휘도 저감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의 윈도우 영역(WA1, WA2)이 오버랩하는 영상이 입력되는 경우, 설정 크기 이상의 윈도우 영역의 검출이 끝난 후, 입력 영상은 복수의 윈도우 영역(WA1, WA2)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3 영역(A1, A2, A3)으로 구분하고 구분되는 영역별로 영상 변화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영역(A1)은 가장 큰 제1 윈도우 영역(WA1)의 경계선을 기준으로 외곽 영역으로 정의되고, 제2 영역(A2)는 제1 윈도우 영역(WA)의 경계선과 제2 윈도우 영역(WA2)의 경계선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되며, 제3 영역(A3)은 제2 윈도우 영역(WA1)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A1)의 영상 변화가 설정 시간(T1) 동안 없고 제2 영역(A2) 및 제3 영역(A3)은 영상 변화가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600)는 제1 영역(A1)의 휘도를 T2-T1 동안 타겟 저감 휘도까지 최대 저감 휘도만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영역(A2)의 영상 변화가 설정 시간(T1) 동안 없고 제3 영역(A3)은 영상 변화가 있는 경우, 영상 처리부(600)는 제2 영역(A2)의 휘도를 T2'-T1' 동안 타겟 저감 휘도까지 최대 저감 휘도만큼 선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영상 처리부(600)는 영상 변화가 없는 무관심 영역(A1, A2)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시, 컬러별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적용하여 컬러별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도록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W), 적색(R), 녹색(G), 청색(B) 발광 소자는 W>G>R>B 순으로 발광 효율이 낮기 때문에 W수명>G수명>R수명>B수명 순서로 수명 특성이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고려하여,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A1, A2)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시, 발광 소자의 컬러별 수명 특성과 반비례하는 W<G<R<B 순서로 휘도 저감 정도를 크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처리부(600)는 무관심 영역(A1, A2)에 대한 휘도 저감시, 수명 특성이 가장 짧은 B 발광 소자의 휘도를 다른 컬러의 발광 소자보다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B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변화가 없는 무관심 영역(A1, A2)에 적용되는 타겟 저감 휘도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정해진 시간 동안(T2-T1) 시간(t>T1)이 증가할수록 최대 저감 휘도까지 선형적으로 증가하도록 결정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63199405-pat00001
아래 수학식 2 내지 5에서 각 컬러의 기존 휘도에서 차감되는 성분에 해당하는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도록 결정된 타겟 저감 휘도와, 컬러별 수명 특성을 적용하여 결정된다. 이에 따라서,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는 자신의 수명 특성과 반비례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결정된다. 이에 따라, 수명 특성이 나쁠수록(작을수록) 기존 휘도에서 차감되는 휘도 저감 정도가 증가하여 컬러별 타겟 휘도는 감소하게 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18063199405-pat00002
<수학식 3>
Figure 112018063199405-pat00003
패널(100)이 R, G, B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2, 3과 같이 R, G, B 각각의 기존 휘도로부터 차감되는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는 자신의 수명 특성과 반비례함으로써 R, G, B 각각의 휘도 저감 정도는 G<R<B 순서로 커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학식 3에서 R, G, B 기존휘도가 모두 동일할 경우 G<R<B 순서로 커지는 컬러별 휘도 저감 정도에 의해, 컬러별 타겟휘도는 G>R>B 순서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8063199405-pat00004
<수학식 5>
Figure 112018063199405-pat00005
패널(100)이 R, G, B, W 서브픽셀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수학식 4, 5와 같이 R, G, B, W 각각의 기존 휘도로부터 차감되는 각 컬러의 휘도 저감 정도는 자신의 수명 특성과 반비례함으로써 R, G, B, W의 휘도 저감 정도는 W<G<R<B 순서로 커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수학식 5에서 R, G, B, W 기존휘도가 모두 동일할 경우 W <G<R<B 순서로 커지는 컬러별 휘도 저감 정도에 의해, 컬러별 타겟휘도는 W>G>R>B 순서로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는 무관심 영역에서 수명 특성이 좋지 않은 B 발광 소자의 휘도를 다른 R, G, W 발광 소자 대비 더 많이 저감시킴으로써 B 발광 소자의 열화를 더욱 저감하여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도 7은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기술이 적용된 OLED 디스플레이를 장시간 구동시 발광 소자 열화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간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과, 이외의 나머지 영역은 프레임간 영상 변화가 없는 배경을 포함하는 영상을,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에 수만 시간 이상의 장시간 표시 후, 발광 소자의 열화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 7(b) 및 도 7(c)에 색변화 정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종래의 OLED 디스플레이에서는 프레임간 영상 변화가 없는 배경 영역 중 휘도가 높은 부분에서 색변화 정도가 큰 영역이 넓게 분포하므로 발광 소자의 열화 정도가 큼을 알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는 영상 변화가 없는 배경 영역에 대하여, 컬러별 수명 특성을 고려하여 휘도 저감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장시간 구동 후 색변화 정도가 큰 영역이 감소하였으므로 발광 소자의 열화 정도가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OLED 디스플레이의 영상 처리 기술의 적용 여부에 대한 검증 방법에 이용되는 영상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의 패턴A와, 도 8(b)의 패턴 B는 서로 다르지만 동일 APL을 갖는 패턴들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패턴 A는 표시 영역을 중앙에 위치하는 영역 #6과, 그 영역 #6을 둘러싸는 12개의 영역 #1~#7, #8~#13 각각에 영역별로 다른 그레이 레벨을 표시하지만, 패턴 A의 APL은 평균값이므로 영역 #8의 그레이 레벨과 동일하고, 도 8(b)에 도시된 패턴 B는 표시 영역에 전체에 영역 #8과 동일한 그레이 레벨을 표시하므로 패턴 B의 APL도 영역 #8의 그레이 레벨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 APL을 갖는 패턴A 및 패턴B의 체크 부분(CK, CK')은 일반적으로 동일 휘도 및 색감(색좌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이 적용된 OLED 디스플레이는 패턴 A를 표시할 때, 영상 변화가 있는 영역 #6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1~#7, #8~#13을 영상 변화가 없는 무관심 영역으로 인식하고, 무관심 영역에 대한 컬러별 수명 특성을 고려한 휘도 저감 처리에 의해 무관심 영역의 휘도가 저감되고 색좌표가 가변하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2개의 OLED 디스플레이에 패턴A 및 패턴B를 각각 표시하고 패턴A 및 패턴B의 체크 부분(CK, CK')에 대한 휘도 및 색좌표 측정을 통해 측정 결과가 서로 다른 경우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를 사용자의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이외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는 무관심 영역에서 설정 시간 이상 영상 변화가 없는 경우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를 적용하여 불필요한 소비 전력 및 발광 소자의 열화를 저감할 수 있고 발광 소자의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용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은 무관심 영역에 대한 휘도 저감 처리시, 컬러별로 다른 발광 소자의 수명 특성을 고려하여 컬러별로 휘도 감소 정도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는 무관심 영역에서 수명 특성이 좋지 않은 발광 소자의 휘도를 다른 발광 소자 대비 더 많이 저감시킴으로써 해당 발광 소자의 열화를 더욱 저감하여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패널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타이밍 컨트롤러
500: 감마 전압 생성부 600: 영상 처리부

Claims (15)

  1. 발광 소자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과,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와,
    입력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이외의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들은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및 청색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적색 발광 소자, 상기 녹색 발광 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 각각의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에서 각각 차감되는 휘도 저감 정도를 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는 각각 감소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 상기 녹색 발광 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각각다른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를 다르게 결정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설정 시간 동안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는 각각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를 녹색>적색>청색 순서로 감소하도록 결정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발광 소자들이 백색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에서 각각 차감되는 휘도 저감 정도를 백색<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가 동일한 경우,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를 백색>녹색>적색>청색 순서로 감소하도록 결정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변화가 없을 때,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영상 처리를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입력 영상 전체에 대한 다른 영상 전처리를 수행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
  10. 입력 영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관심 영역으로, 이외의 영역을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적색 발광 소자, 녹색 발광 소자, 청색 발광 소자, 및 백색 발광 소자들 각각의 수명 특성을 반영하여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각각에서 차감되는 휘도 저감 정도를 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하거나, 백색<녹색<적색<청색 순서로 증가하도록 결정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시,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는 각각 감소되거나,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원래 휘도는 각각 감소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단계는
    상기 적색 발광 소자, 상기 녹색 발광 소자,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각각 다른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를 다르게 결정하거나,
    상기 적색 발광 소자, 상기 녹색 발광 소자, 상기 청색 발광 소자,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각각 다른 수명 특성에 반비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를 다르게 결정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단계는
    설정 시간 동안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및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는 각각 점진적으로 감소하거나,
    설정 시간 동안 시간이 경과할수록,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휘도 저감 정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상기 적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녹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상기 청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 및 상기 백색 발광 소자의 타겟 휘도는 각각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처리 단계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 변화가 없을 때, 상기 무관심 영역의 영상에 대한 휘도를 저감하고 상기 무관심 영역의 컬러를 가변시키는 영상 처리를 수행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으로부터 상기 관심 영역과 상기 무관심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영상에 경계선 검출 마스크를 적용하여 경계선 영상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선 영상에 모서리 검출 마스크를 적용하여 각 모서리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각 모서리로부터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마주하는 모서리를 탐색하여 각 사각형 및 그 사각형 면적을 검출하는 단계와,
    설정 크기 이상의 면적을 갖는 각 사각형을 각 윈도우 영역으로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윈도우 영역 중 상기 영상 변화가 있는 윈도우 영역을 상기 관심 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관심 영역 이외의 영역을 상기 무관심 영역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O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0180074089A 2018-06-27 2018-06-27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552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89A KR102552965B1 (ko) 2018-06-27 2018-06-27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089A KR102552965B1 (ko) 2018-06-27 2018-06-27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02A KR20200001302A (ko) 2020-01-06
KR102552965B1 true KR102552965B1 (ko) 2023-07-10

Family

ID=6915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089A KR102552965B1 (ko) 2018-06-27 2018-06-27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9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8122A (ja) 2011-03-28 2012-10-25 Samsung Led Co Ltd 発光素子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2170B2 (ja) * 1998-02-02 2005-04-27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温度制御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99890B1 (ko) * 2001-10-16 2003-09-2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 센서의 자동 휘도 조절 장치 및 자동 휘도 조절 방법
KR102007369B1 (ko) * 2012-11-27 2019-08-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 구동 방법과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40137949A (ko) * 2013-05-24 2014-12-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207190B1 (ko) * 2015-05-28 2021-0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영상 처리 회로와,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8122A (ja) 2011-03-28 2012-10-25 Samsung Led Co Ltd 発光素子検査装置およびその検査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302A (ko) 202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0569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
US9466243B2 (en) Compensation of threshold voltage in driving transistor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67276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18196119A1 (zh) Oled显示装置的亮度补偿系统及亮度补偿方法
KR20130050490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WO2019196615A1 (zh) 电压补偿方法、装置、显示设备及计算可读存储介质
CN107871475A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
KR102574596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001099B2 (en) Image display and image display method
US1085412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182382B1 (ko)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20035038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929037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901354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552965B1 (ko) 모니터용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48299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KR102597751B1 (ko) 멀티비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28100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81008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130050491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1936679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90014850A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의 센싱 방법
KR10262335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51057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센싱 방법
KR10236384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그 센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