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789B1 - 사물 인터넷(iot)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물 인터넷(iot)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2789B1 KR102552789B1 KR1020177003722A KR20177003722A KR102552789B1 KR 102552789 B1 KR102552789 B1 KR 102552789B1 KR 1020177003722 A KR1020177003722 A KR 1020177003722A KR 20177003722 A KR20177003722 A KR 20177003722A KR 102552789 B1 KR102552789 B1 KR 102552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vent
- iot
- iot device
- dictionary
- ty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6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the criterion being a learning criter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들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일 양태에서, 디바이스는,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고, 제 1 이벤트 전후에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고, 그리고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특허 출원은 2014 년 8 월 11 일에 출원되고, 본 명세서의 양수인에게 양도되며,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명백히 통합되는, 명칭이 "AUTOMATICALLY GENERATING A MACHINE-TO-MACHINE (M2M) EVENTS DICTIONARY IN A DISTRIBUTED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인, U.S. 가출원 제 62/035,580 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이 개시물은 분산된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머신-투-머신 (M2M) 이벤트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서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묶음 (예를 들어,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사용하는 상호연결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사물 인터넷 (IoT) 은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오브젝트들이 IoT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애드혹 시스템 또는 인터넷) 를 통해 판독가능하고, 인식가능하고, 로케이팅가능하고, 어드레싱가능하며, 제어가능하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다수의 시장 경향들은 IoT 디바이스들의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 비용들의 증가는 스마트 그리드들에서의 정부의 전략적 투자들 그리고 예컨대 전기 차량들 및 공공 충전 스테이션들에 대한, 장래 소비에 대한 지원을 추진시키고 있다. 헬스 케어 비용들 및 노령화 인구들의 증가는 원격/연결형 헬스 케어 및 피트니스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가정에서의 기술적 변혁은, 'N' 플레이 (예를 들어, 데이터, 음성, 비디오, 보안, 에너지 관리 등) 를 마케팅하고 홈 네트워크들을 확장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들에 의한 통합을 포함하여, 새로운 "스마트" 서비스들에 대한 개발을 추진시키고 있다. 빌딩들은 기업체 설비들에 대한 운용 비용들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보다 스마트해지고 더욱 편리해지고 있다.
IoT 에 대한 다수의 주요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그리드들 및 에너지 관리의 영역에서, 유틸리티 회사들은 가정들 및 사업체들에 대한 에너지 전달을 최적화할 수 있는 한편, 고객들은 에너지 사용을 보다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다. 집 및 빌딩 자동화의 영역에서, 스마트 홈들 및 빌딩들은, 어플라이언스들에서부터 PEV (plug-in electric vehicle) 보안 시스템들까지, 집 또는 사무실에서의 사실상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통한 중앙집중화된 제어를 가질 수 있다. 자산 추적 분야에서, 기업체들, 병원들, 공장들, 및 다른 큰 조직들은 고가의 장비, 환자들, 차량들 등의 위치들을 정확히 추적할 수 있다. 헬스 및 웰니스 (wellness) 의 영역에서, 의사들은 환자의 건강상태를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한편, 사람들은 피트니스 루틴들의 진행을 추적할 수 있다.
다음은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한 간단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된 포괄적인 개요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고,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주요한 또는 중대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특정 양태 및/또는 실시형태와 연관된 범위를 기술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도 안된다. 이에 따라, 다음의 요약은 아래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여 단순화된 형태로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양태들 및/또는 실시형태들에 관련된 특정 개념들을 제시하기 위한 유일한 목적을 갖는다.
개시물은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다.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은,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제 1 이벤트 전후에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는 단계,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제 1 이벤트 전후에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는,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단, 제 1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수단,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는 수단,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는 수단,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수단, 및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제 1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개시물의 제한이 아닌 예시를 위해서만 제시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개시물의 양태들 및 그 수반되는 많은 이점들의 보다 완전한 이해가 쉽게 획득될 것이다.
도 1a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b 는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c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d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e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a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b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수동적 IoT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3 은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4 는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서버를 나타낸다.
도 5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발견가능한 피어-투-피어 (P2P)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6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7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8 은 개시물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근접 IoT 네트워크 (800) 를 도시한다.
도 9 는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10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은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몇몇 샘플 양태들의 간략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a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b 는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c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d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1e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나타낸다.
도 2a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2b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수동적 IoT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3 은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4 는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에 따른 예시적인 서버를 나타낸다.
도 5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발견가능한 피어-투-피어 (P2P)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6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환경을 도시한다.
도 7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를 도시한다.
도 8 은 개시물의 적어도 일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근접 IoT 네트워크 (800) 를 도시한다.
도 9 는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10 은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통해 통신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은 통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장치의 몇몇 샘플 양태들의 간략화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들 및 시스템들이 개시된다. 일 양태는,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고, 제 1 이벤트 전후에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고, 그리고 이벤트 사전에서,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관한 구체적인 예들을 보여주기 위해, 이하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서 그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이 개시된다.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이 개시물을 읽으면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고, 개시물의 범위 또는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구성되고 실시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자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고,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 및 실시형태들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이라는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임의의 실시형태는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마찬가지로, 용어 "실시형태들" 은 모든 실시형태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형태들만을 기재하며,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실시형태들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a", "an", 및 "the" 와 같은 부정관사 및 정관사의 단수 형태들은, 문맥에서 분명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 역시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용어들 "구비하다", "구비하는", "포함하다", 및/또는 "포함하는" 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이는 진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이 추가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많은 양태들이,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되는 액션들의 시퀀스들의 관점에서 설명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액션들은, 특정 회로들 (예를 들어,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에 의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에 의해, 또는 이들 양자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되는 액션들의 이들 시퀀스는, 실행시 관련 프로세서로 하여금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명령들의 대응 세트가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완전히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물의 다양한 양태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들 형태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물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부가적으로, 여기에 기재된 양태들 각각에 대해, 임의의 그러한 양태들의 대응 형태는, 예를 들어, 기재된 액션을 수행 "하도록 구성된 로직" 으로서 여기에 설명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또는 "IoT 디바이스") 는 어드레싱가능한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 (IP) 어드레스, 블루투스 식별자 (ID), 근거리장 통신 (NFC) ID 등) 를 갖는 임의의 오브젝트 (예를 들어, 어플라이언스, 센서 등) 를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QR (quick response) 코드, 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NFC 태그 등과 같은 수동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모뎀, 트랜시버, 송신기-수신기 등과 같은 능동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는 특정 속성 세트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가 온인지 아니면 오프인지, 개방되었는지 아니면 폐쇄되었는지, 유휴 상태인지 아니면 활성 상태인지, 태스크 실행을 위해 이용가능한지 아니면 비지 (busy) 상태인지 여부와 같은 디바이스 상태 또는 스테이터스 (status), 냉각 또는 가열 기능, 환경 모니터링 또는 기록 기능, 발광 기능, 사운드 방출 기능 등) 를 가질 수 있으며, 이 속성 세트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ASIC 등에 임베딩되거나 및/또는 이들에 의해 제어/모니터링될 수 있고, 로컬 애드혹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과 같은 IoT 네트워크로의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들은, 그 디바이스들이 IoT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어드레싱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고 있다면, 냉장고들, 토스터들, 오븐들, 전자레인지들, 냉동고들, 식기세척기들, 접시들, 공구들, 세탁기들, 의류 건조기들, 보일러들, 에어컨들, 온도조절장치들, 텔레비전들, 조명 기구들, 진공 청소기들, 스프링클러들, 전기 계량기들, 가스 계량기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IoT 디바이스들은 또한, 휴대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랩톱 컴퓨터들, 태블릿 컴퓨터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들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IoT 네트워크는 통상적으로 인터넷 연결성을 갖지 않는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식기세척기들 등) 에 부가적으로, "레거시 (legacy)" 인터넷 액세스가능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랩톱 또는 데스크톱 컴퓨터들, 휴대폰들 등) 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a 는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의 하이-레벨 시스템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은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온도조절장치 (114), 냉장고 (116) 및 세탁기와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을 포함한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로서 도 1a 에 나타낸,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에어 인터페이스 (108) 는 IEEE 802.11 과 같은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IP) 을 따를 수도 있다. 도 1a 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통신하는 IoT 디바이스 (118) 를 예시하지만,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또는 이들 양자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편의를 위해 도 1a 에 도시되지 않은) 다수의 라우팅 에이전트들 및 프로세싱 에이전트들을 포함한다. 인터넷 (175) 은 상이한 디바이스들/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해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 묶음 (예를 들어, 송신 제어 프로토콜 (TCP) 및 IP) 을 사용하는, 상호연결된 컴퓨터들 및 컴퓨터 네트워크들의 글로벌 시스템이다. TCP/IP 는 데이터가 목적지에서 어떻게 포맷화되고, 어드레싱되고, 송신되고, 라우팅되며 수신되어야만 하는지를 특정하는 종단간 연결성을 제공한다.
도 1a 에서, 데스크톱 또는 퍼스널 컴퓨터 (PC) 와 같은 컴퓨터 (120) 는 (예를 들어, 이더넷 연결 또는 Wi-Fi 또는 802.11-기반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컴퓨터 (120) 는, 일 예에서, (예를 들어, 유선 및 무선 연결성 양자를 갖는 Wi-Fi 라우터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 (125) 자체에 대응할 수 있는, 모뎀 또는 라우터로의 직접 연결과 같은, 인터넷 (175) 으로의 유선 연결을 가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유선 연결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및 인터넷 (175) 에 연결되기 보다, 컴퓨터 (120) 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또는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에 연결되고, 에어 인터페이스 (108)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액세스 (access) 할 수도 있다. 데스크톱 컴퓨터로서 예시되지만, 컴퓨터 (120) 는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 스마트폰 등일 수도 있다. 컴퓨터 (120) 는 IoT 디바이스일 수도 있거나 및/또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의 네트워크/그룹과 같은 IoT 네트워크/그룹을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예를 들어, FiOS 와 같은 광학 통신 시스템, 케이블 모뎀,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모뎀 등을 통해, 인터넷 (175) 에 연결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 (125) 는 표준 인터넷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TCP/IP) 을 사용하여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및 인터넷 (175)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1a 를 참조하면, IoT 서버 (170) 는 인터넷 (175) 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된다. IoT 서버 (170) 는 복수의 구조적으로 별개의 서버들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단일 서버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IoT 서버 (170) 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이고,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의 그룹은 피어-투-피어 (P2P)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은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 직접 유선 연결 (109) 과 독립적인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108) 가 Wi-Fi 인터페이스에 대응한다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하나 이상은 서로 또는 다른 블루투스 또는 NFC-가능 디바이스들과 직접 통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또는 NFC 인터페이스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피어-투-피어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발견 방식들은 노드들의 존재, 그들의 능력들, 및 그룹 멤버십을 멀티캐스팅할 수 있다. 피어-투-피어 디바이스들은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관들 및 후속하는 상호작용들을 확립할 수 있다.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b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a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텔레비전 (110), 실외 에어 컨디셔닝 유닛 (112), 온도조절장치 (114), 냉장고 (116), 및 세탁기와 건조기 (118) 를 포함하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인터넷 (175) 에 직접적으로 연결하거나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 (125) 를 통해 인터넷 (175) 에 연결하는 컴퓨터 (120), 및 인터넷 (175) 을 통해 액세스가능한 IoT 서버 (170) 등).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도 1a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b 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대안적으로 IoT 관리자 (130) 또는 IoT 관리자 디바이스 (130) 라고 지칭될 수도 있는 수퍼바이저 (supervisor) 디바이스 (13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음 설명이 용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를 사용할 경우, 당업자는 IoT 관리자, 그룹 소유자 또는 유사한 기술용어에 대한 어떠한 언급들도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또는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른 물리적 또는 논리적 컴포넌트를 지칭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일반적으로 관측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에어 인터페이스 (108) 및/또는 직접 유선 연결 (109) 을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125)) 와 통신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인터넷 (175) 으로의 및 선택적으로 (점선으로 도시된) IoT 서버 (170) 로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가질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추가로 모니터링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를 인터넷 (175) 및/또는 IoT 서버 (170) 로부터 획득할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컴퓨터 (120) 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하나 또는 자립형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물리적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 연관된 모니터링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과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고, 연관된 속성들, 활동들 또는 다른 상태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하기 위해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관측하거나,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유선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다.
도 1b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은,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을 이룰 수 있는 (능동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과는 대조적인) 하나 이상의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바코드 디바이스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무선 주파수 (RF) 디바이스들, RFID 태그 디바이스들, 적외선 (IR) 디바이스들, NFC 태그 디바이스들, 또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경우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능동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의 속성들에 있어서의 변화들을 검출하고, 저장하고, 통신하고, 영향을 주는 것 등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각각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갖는 커피잔 및 오렌지주스 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는 각각, 커피잔 및/또는 오렌지주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이 부가되거나 제거되었을 때를 검출하기 위해 RFID 태그 또는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를 가질 수도 있다. 캐비닛 IoT 디바이스가 커피잔 수동 IoT 디바이스 (105) 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가 오렌지주스 용기 수동 IoT 디바이스의 제거를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캐비닛 IoT 디바이스 및 냉장고 IoT 디바이스 (116) 에서 검출된 활동들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신호들을 수신할 수도 있다.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그 후에, 사용자가 커피잔으로부터의 오렌지주스를 마시고 있음 및/또는 커피잔으로부터의 오렌지주스를 마시기를 원함을 추론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이 RFID 태그 또는 바코드 통신 인터페이스의 일부 형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이러한 통신 능력들을 갖지 않는 다른 물리적 오브젝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을 식별하기 위해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과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측가능한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합한 물리적 오브젝트는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통신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 (100B) 의 부분이 되고,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로 관측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될 수도 있다. 추가로, 수동 IoT 디바이스들 (105) 은 도 1a 의 무선 통신 시스템 (100A) 에 커플링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그 부분을 이룰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관측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될 수도 있다.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c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c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a 및 도 1b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c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및 도 1b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및 100B)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c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C) 은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과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사이의 예시적인 피어-투-피어 통신들을 예시한다. 도 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IoT 수퍼바이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각각과 통신한다. 추가로, IoT 디바이스들 (110 및 114), IoT 디바이스들 (112, 114, 및 116), 및 IoT 디바이스들 (116 및 118) 은 서로 직접 통신한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을 형성한다. IoT 디바이스 그룹 (160) 은 로컬로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 예컨대, 사용자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연결된 IoT 수퍼에이전트 (SuperAgent) (140) 를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연결될 수도 있다. 하이-레벨에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는 그룹내 통신들을 관리하는 한편,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그룹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별개의 디바이스들로 도시되었지만,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및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동일한 디바이스 (예를 들어, 도 1a 의 컴퓨터 (120) 와 같은 IoT 디바이스 또는 자립형 디바이스) 이거나, 그 동일한 디바이스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액세스 포인트 (125) 의 기능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IoT 서버 (170) 와 같은 IoT 서버의 기능에 대응하거나 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IoT 수퍼에이전트 (140) 는 게이트웨이 기능 (145)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IoT 디바이스 (110 내지 118) 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를 피어 (peer) 로서 취급할 수 있고, 속성/스키마 업데이트들을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에 송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가 다른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그 IoT 디바이스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로부터 그 IoT 디바이스까지의 포인터를 요청하고, 그 후에 피어로서 타깃 IoT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18) 은 공통 메시징 프로토콜 (CMP) 을 사용하여 피어-투-피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2개의 IoT 디바이스들이 CMP-인에이블되고, 공통 통신 전송을 통해 연결되기만 한다면, 이 디바이스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토콜 스택에서, CMP 계층 (154) 은 어플리케이션 계층 (152) 밑에 있고, 전송 계층 (156) 및 물리 계층 (158) 위에 있다.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d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c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D)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내지 도 1c 에 예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C)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인터넷 (175) 은 IoT 의 개념을 사용하여 규제될 수 있는 "리소스 (resource)" 이다. 그러나, 인터넷 (175) 은 규제되는 리소스의 단 하나의 예이고, 어떤 리소스라도 IoT 의 개념을 사용하여 규제될 수 있다. 규제될 수 있는 다른 리소스들은 전기, 가스, 스토리지, 보안물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IoT 디바이스는 리소스에 연결되어 리소스를 규제할 수도 있거나, 또는 리소스는 인터넷 (175) 을 통해 규제될 수 있다. 도 1d 는 천연 가스, 가솔린, 온수, 및 전기와 같은 몇몇 리소스들 (180) 을 도시하며, 여기서 리소스들 (180) 은 인터넷 (175) 에 부가적으로 및/또는 인터넷 (175) 을 통해 규제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들은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스터, 컴퓨터 및 헤어드라이어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전기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데스크톱 컴퓨터, 전화기, 및 태블릿 컴퓨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인터넷 (175) (리소스 (180)) 에 대한 액세스를 규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난로, 의류 건조기, 및 온수기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은 가스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해 Wi-Fi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리소스 (180) 의 사용을 규제하기 위한 로직을 갖는 IoT 서버, 예컨대, IoT 서버 (170) 에 연결될 수도 있다.
개시물의 다른 양태에 따라, 도 1e 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의 하이-레벨 아키텍처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1e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1a 내지 도 1d 에 각각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1e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각각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된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과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 (100E) 은 2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포함한다. 다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은 인터넷 (175) 에 연결된 IoT 수퍼에이전트를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연결될 수도 있다. 하이-레벨에서, IoT 수퍼에이전트는 IoT 디바이스 그룹들 사이에서 그룹간 통신들을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e 에서, IoT 디바이스 그룹 (160A) 은 IoT 디바이스들 (116A, 122A, 및 124A) 과 IoT 수퍼에이전트 (140A) 를 포함하는 한편, IoT 디바이스 그룹 (160B) 은 IoT 디바이스들 (116B, 122B, 및 124B) 과 IoT 수퍼에이전트 (140B)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IoT 수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은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인터넷 (175) 에 연결하고, 인터넷 (175) 을 통해 서로 통신하거나 및/또는 서로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e 가 IoT 수퍼에이전트들 (140A 및 140B) 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2개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 (160A 및 160B) 을 예시하지만, 당업자는 임의의 수의 IoT 디바이스 그룹들이 IoT 수퍼에이전트들을 사용하여 서로 적절히 통신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도 2a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IoT 디바이스 (200A)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IoT 디바이스 (200A)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도 있고, 부가적으로 슈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및 게이트웨이 (145) 의 기능이 IoT 디바이스 (예를 들어, 컴퓨터 (120)) 에서 구현될 때 슈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및/또는 게이트웨이 (145)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외부의 외관들 및/또는 내부 컴포넌트들이 IoT 디바이스들 사이에서 상당히 상이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들은 디스플레이 및 사용자 입력을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 임의의 종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질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없는 IoT 디바이스들은 도 1a 및 도 1b 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와 같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디바이스 (200A) 에 대한 일 예시적인 구성에서, IoT 디바이스 (200A) 의 외부 케이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다른 컴포넌트들 중에서도,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및 2개의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226) 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의 부분으로서 명시적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IoT 디바이스 (200A) 는, Wi-Fi 안테나들, 셀룰러 안테나들, 위성 포지션 시스템 (SPS) 안테나들 (예를 들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GPS) 안테나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외부 케이싱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외부 안테나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통합형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IoT 디바이스 (200A) 와 같은 IoT 디바이스들의 내부 컴포넌트들이 상이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지만, 내부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기본 하이-레벨 구성은 도 2a 에 플랫폼 (202) 으로서 도시된다. 플랫폼 (202) 은 도 1a 및 도 1b 에서의 에어 인터페이스 (108) 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또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데이터 및/또는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또한 로컬로 저장된 어플리케매핑들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플랫폼 (202) 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208), 예컨대, 일반적으로 프로세서 (208) 라고 지칭되는,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회로, 또는 다른 데이터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된,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된 하나 이상의 트랜시버들 (206) (예를 들어, Wi-Fi 트랜시버, 블루투스 트랜시버, 셀룰러 트랜시버, 위성 트랜시버, GPS 또는 SPS 수신기 등) 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08) 는 IoT 디바이스 (200A) 의 메모리 (212) 내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명령들을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212) 는 판독 전용 메모리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EPROM), 플래시 카드들, 또는 컴퓨터 플랫폼들에 공통인 임의의 메모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입력/출력 (I/O) 인터페이스들 (214) 은, 프로세서 (208) 로 하여금 예시된 디스플레이 (226), 전원 버튼 (222),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과 같은 다양한 I/O 디바이스들 및 IoT 디바이스 (200A) 과 연관된 센서들, 액추에이터들, 중계기들, 밸브들, 스위치들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하게 하고 이들을 제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물의 일 양태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다양한 로직 엘리먼트들은 개별 엘리먼트들, 프로세서 (예컨대, 프로세서 (208))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 또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206), 프로세서 (208), 메모리 (212) 및 I/O 인터페이스 (214) 는 모두 본원에 기술된 다양한 기능들을 로딩, 저장, 및 실행하기 위해 협동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따라서, 이들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로직은 다양한 엘리먼트들에 걸쳐 분포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기능은 하나의 개별 컴포넌트 내로 통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 2a 에서의 IoT 디바이스 (200A) 의 특징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개시물은 예시된 특징들 및 배열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200A) 가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슈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와 같은, 슈퍼바이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경우, IoT 디바이스 (200A) 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의 성능을 수행하거나 야기하도록 구성된 이벤트 모니터 및 사전 생성기 (EMDG) 모듈 (2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EMDG 모듈 (210) 은 하드웨어 모듈, 프로세서 (208) 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일 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트랜시버 (206) 는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 (208)/EMDG 모듈 (210) 은, 트랜시버 (206) 와 협력하여,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EMDG 모듈 (21) 은 또한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며, 그리고 이벤트 사전에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08)/EMDG 모듈 (210) 은, 메모리 (212) 와 협력하여, 이벤트 사전에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이고, 메모리 (212) 는 이벤트 사전에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2b 는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의 하이-레벨 예를 예시한다. 일반적으로,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더 상세히 위에서 설명되었던 도 2a 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동일한 및/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명의 간결함 및 용이함을 위해,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서의 특정 컴포넌트들에 관련된 다양한 상세들은, 그 동일하거나 유사한 상세들이 도 2a 에 예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관련하여 위에서 이미 제공되었던 정도까지는 여기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b 에 도시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특정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도 2a 에 도시된 IoT 디바이스 (200A) 와 상이할 수도 있다. 대신에, 일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오직 I/O 인터페이스 (214) 또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제어형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측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관리되거나, 또는 그 외에 알려진 다른 적합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I/O 인터페이스 (214) 는 바코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RF) 인터페이스, RFID 태그, IR 인터페이스, NFC 인터페이스, 또는 단거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질의될 경우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식별자 및 속성들을 다른 디바이스 (예를 들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속성들과 관련된 정보를 검출하거나, 저장하거나, 통신하거나, 그에 작용하거나, 또는 그 외에 프로세싱할 수 있는 능동 IoT 디바이스, 예컨대, IoT 디바이스 (200A)) 에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I/O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가 RF, 바코드, 또는 다른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는 이러한 I/O 인터페이스 (214) 를 갖지 않는 디바이스 또는 다른 물리적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IoT 디바이스들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를 식별하기 위해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와 연관된 형상들, 사이즈들, 컬러들, 및/또는 다른 관측가능한 특징들을 검출할 수 있는 적절한 스캐너 또는 판독기 메커니즘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오브젝트는 그 식별자 및 속성들을 통신하고, 제어형 IoT 네트워크 내에서 관측되거나, 모니터링되거나, 제어되거나, 또는 그 외에 관리될 수도 있다.
도 3 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을 포함하는 통신 디바이스 (300) 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 (300) 는 IoT 디바이스들 (110 내지 120), IoT 디바이스 (200A), 인터넷 (175) 에 커플링된 임의의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IoT 서버 (170))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 전술된 통신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도 1a 내지 도 1d 의 무선 통신 시스템들 (100A 내지 100D) 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도록 (또는 그들과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전자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을 포함한다. 일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무선 통신 디바이스 (예를 들어,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무선 트랜시버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RF 안테나, MODEM, 변조기 및/또는 복조기 등) 와 같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Wi-Fi 다이렉트, 롱-텀 에볼루션 (LTE) 다이렉트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직렬 연결,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연결, 인터넷 (175) 이 액세스될 수 있는 이더넷 연결 등) 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몇몇 타입의 네트워크 기반 서버 (예를 들어, IoT 서버 (170))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일 예에서,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 서버를 다른 통신 엔티티들에 연결하는 이더넷 카드에 대응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통신 디바이스 (300) 가 그의 로컬 환경 (예를 들어, 가속도계, 온도 센서, 광 센서, 로컬 RF 신호들을 모니터링하는 안테나 등) 을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하는 센서류 또는 측정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수신 및/또는 송신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그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적어도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싱 타입의 예시적 구현들은 결정들을 수행하는 것, 연결들을 확립하는 것, 상이한 정보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들을 하는 것, 데이터에 관련된 평가들을 수행하는 것, 통신 디바이스 (300) 에 커플링된 센서들과 상호작용하여 측정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 하나의 포맷으로부터 다른 포맷으로 (예를 들어, .wmv 내지 .avi 등과 같은 상이한 프로토콜들 사이에서) 정보를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 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프로세싱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그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을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적어도 비일시적 메모리 및 연관된 하드웨어 (예를 들어, 메모리 제어기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포함된 비일시적 메모리는 RAM, 플래시 메모리, ROM,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밍가능 ROM (EP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가능한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대응할 수 있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저장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그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통신 디바이스 (300) 가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와 같은, 수퍼바이저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경우,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과 협력하여,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또한,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며, 그리고 이벤트 사전에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과 협력하여, 이벤트 사전에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이고,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은, 이벤트 사전에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 의 매핑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적어도 출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디바이스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크린, USB, HDMI 와 같이 비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및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스피커들, 마이크로폰 잭, USB, HDMI 와 같은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진동 디바이스 및/또는 정보가 출력을 위해 포맷화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실질적으로 출력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 도시된 것과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디스플레이 (226) 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또한, 실행될 경우,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프리젠테이션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로직 (320) 은 그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통신 디바이스 (300) 는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한다. 일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적어도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및 연관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버튼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카메라, 오디오 입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로폰 잭과 같이 오디오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포트 등), 및/또는 정보가 통신 디바이스 (300) 의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수신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 도시된 것과 같은 IoT 디바이스 (200A) 및/또는 도 2b 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동 IoT 디바이스 (200B) 에 대응한다면,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전력 버튼들 (222), 제어 버튼들 (224A, 및 224B), 및 (터치스크린인 경우) 디스플레이 (2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예에서,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특정 통신 디바이스들, 예컨대, 로컬 사용자를 갖지 않는 네트워크 통신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스위치들 또는 라우터들, 원격 서버들 등) 에 대해 생략될 수 있다.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또한, 실행될 경우,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의 연관된 하드웨어가 그의 입력 수신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소프트웨어 단독으로만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25) 은 그의 기능을 달성하도록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구성된 로직들 (305 내지 325) 이 도 3 에서 개별적인 또는 별개의 블록들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구성된 로직이 그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는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된 로직들 (305 내지 325) 의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과 연관된 비일시적 메모리에 저장되어, 305 내지 325 의 구성된 로직들 각각이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로직 (315) 에 의해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들의 기능 (즉, 이 경우에서, 소프트웨어 실행) 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성된 로직들 중 하나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하드웨어는 가끔 다른 구성된 로직들에 의해 대여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의 프로세서는,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에 의해 송신되기 전에, 데이터를 적절한 포맷으로 포맷화하여,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이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과 연관된 하드웨어 (즉, 프로세서) 의 동작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그의 기능 (즉, 이 경우에서, 데이터의 송신) 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르게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개시물 전반에 걸쳐 사용된 어구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양태를 호출하려고 의도된 것이며, 하드웨어와 독립적인 소프트웨어 전용 구현들에 매핑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블록들에서 구성된 로직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특정 로직 게이트들 또는 엘리먼트들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통해) 여기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지칭한다. 따라서, 다양한 블록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로직들 또는 "하도록 구성된 로직" 은 단어 "로직" 을 공유하지만 로직 게이트들 또는 로직 엘리먼트들로서 반드시 구현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블록들에서의 로직 간의 다른 상호작용들 또는 협력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양태들의 검토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다양한 실시형태들은 도 4 에 예시된 서버 (400) 와 같은 다양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서버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것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서버 (400) 는 상술된 IoT 서버 (170) 또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성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4 에서, 서버 (400) 는 휘발성 메모리 (402) 및 대용량 비휘발성 메모리, 예컨대, 디스크 드라이브 (403) 에 커플링된 프로세서 (401) 를 포함한다. 서버 (400) 는 또한 프로세서 (401) 에 커플링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콤팩트 디스크 (CD) 또는 DVD 디스크 드라이브 (406)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400) 는 또한, 다른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컴퓨터들과 서버들에 또는 인터넷에 커플링된 로컬 영역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407) 와의 데이터 연결들을 확립하기 위해 프로세서 (401) 에 커플링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 (400) 가 IoT 네트워크에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서버 (400) 는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의 성능을 수행하거나 야기하도록 구성된 EMDG 모듈 (4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EMDG 모듈 (410) 은 하드웨어 모듈,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도 있다. 일 예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 (404) 는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 (401)/EMDG 모듈 (410) 은,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과 협력하여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1)/EMDG 모듈 (410) 은 또한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며, 그리고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401)/EMDG 모듈 (410) 은 디스크 드라이브 (403) 와 협력하여, 이벤트 사전에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이 타입이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할 수도 있고,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이고, 디스크 드라이브 (403) 는, 이벤트 사전에,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3 의 맥락에서, 도 4 의 서버 (400) 는 통신 디바이스 (300) 의 하나의 예시적인 구현을 예시하고, 그에 따라 정보를 수신 및/또는 송신하도록 구성된 로직 (305) 은 네트워크 (407) 와 통신하기 위해 서버 (400) 에 의해 사용된 네트워크 액세스 포트들 (404) 에 대응하고, 정보를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된 로직 (310) 은 프로세서 (401) 에 대응하며, 여기서 EMDG 모듈 (410) 은 하드웨어 모듈인, EMDG 모듈 (410) 이고, 그리고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성된 로직 (315) 은 휘발성 메모리 (402), 디스크 드라이브 (403), 디스크 드라이브 (406) 의 임의의 조합에 대응하며, 여기서 EMDG 모듈 (410) 은 실행가능 소프트웨어 모듈인, EMDG 모듈 (410) 인 것이 인지될 것이다. 정보를 제시하도록 구성된 선택적 로직 (320) 및 로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선택적 로직 (325) 은 도 4 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며, 도 4 에 포함될 수도 있고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도 4 는, 통신 디바이스 (300) 가 도 2a 에서와 같은 IoT 디바이스 구현에 부가적으로, 서버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비 (UE), 예컨대 전화기들, 테블릿 컴퓨터들, 랩탑 및 데스크탑 컴퓨터들, 소정의 차량들 등은, 국부적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로컬 Wi-Fi 등) 또는 원격으로 (예를 들어, 셀룰러 네트워크들을 통해, 인터넷을 통해서 등) 서로 접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소정의 UE들은 또한 서로 직접 통신하기 위해서 디바이스들이 몇몇 디바이스들 포함하는 그룹에 일 대 일 접속 또는 동시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소정의 무선 네트워킹 기술들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 등) 을 사용하여 근접도 기반 피어-투-피어 (P2P)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도 5 는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WAN (500) 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는 LTE 네트워크 또는 다양한 기지국들 (510)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포함하는 다른 적절한 WAN 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간략함을 위해, 도 5 에서는 단지 3 개의 기지국들 (510a, 510b 및 510c),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기 (530), 및 하나의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 (DHCP) 서버 (540) 가 나타나 있다. 기지국 (510) 은 디바이스들 (520) 과 통신하는 엔티티일 수도 있고 또한 노드 B, 진화된 노드 B (eNB),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각각의 기지국 (510) 은 특정 지리적 영역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고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디바이스들 (520) 을 위한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용량을 개선하기 위해, 기지국 (510) 의 전반적인 커버리지 영역은 다중 (예를 들어, 3 개) 소형 영역들로 파티셔닝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소형 영역은 개별 기지국 (510) 에 의해 서빙될 수도 있다. 3GPP 에 있어서, 용어 "셀" 은 이 용어가 사용되는 콘텍스트에 의존하여,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510) 및/또는 기지국 서브시스템 (510) 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3GPP2 에 있어서, 용어 "섹터" 또는 "셀 섹터" 는 이러한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 (510) 및/또는 기지국 (510) 의 커버리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명백함을 위해, "셀" 의 3GPP 개념이 본 명세서에서 기재에 사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 (510) 은 매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및/또는 다른 셀 타입들에 대해 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매크로 셀은 상대적으로 큰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반경 수 킬로미터) 를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을 갖는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해 한정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피코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을 커버할 수도 있고 서비스 가입을 갖는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해 한정되지 않은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펨토 셀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리적 영역 (예를 들어, 홈) 을 커버할 수도 있고 펨토 셀과 연관성을 갖는 디바이스들 (520)(예를 들어, 폐쇄 가입자 그룹 (CSG) 에서의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해 한정된 액세스를 허용할 수도 있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는 매크로 셀들에 대한 매크로 기지국들 (510a, 510b, 및 510c) 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는 또한 피코 셀들에 대한 피코 기지국들 (510) 및/또는 펨토 셀들 (도 5 에 도시되지 않음) 에 대한 홈 기지국들 (51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530) 는 일 세트의 기지국들 (510) 에 커플링할 수도 있고 이들 기지국들 (510) 에 대해 조정 및 제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 (530) 는 백홀을 통해 기지국들과 통신할 수 있는 단일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집합일 수도 있다. 기지국들 (510) 은 또한, 예를 들어 무선 또는 유선 백홀을 통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통신할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하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P2P 통신을 지원할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의 부분일 수도 있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외부에 있을 수도 있고, 인터넷 접속 공유 (ICS) 통해 실행할 수도 있으며, 또는 그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도 있다. DHCP 서버 (540) 는 별도의 엔티티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음) 일 수도 있고, 또는 기지국 (510), 네트워크 제어기 (530), 또는 일부 다른 엔티티의 부분일 수도 있다. 어쨌든, DHCP 서버 (540) 는 피어-투-피어 통신하기를 요망하는 디바이스들 (520) 에 의해 도달가능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들 (520) 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도 있고, 각각의 디바이스 (520) 는 정지식 또는 모바일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또한, 노드, 사용자 장비 (UE), 스테이션, 이동국,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가입자 유닛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셀룰러 폰,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디바이스,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탑 컴퓨터,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 (WLL) 스테이션, 스마트 폰, 넷북, 스마트북, 테블릿 등일 수도 있다. 디바이스 (520) 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 (500) 에서 기지국들 (510) 과 통신할 수도 있고 추가로 다른 디바이스들 (520) 과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520a 및 520b)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들 (520c 및 520d)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들 (520e 및 520f)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들 (520g, 520h, 및 520i) 은 피어-투-피어 통신할 수도 있는 한편, 나머지 디바이스들 (520) 은 기지국들 (5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도 5 에 추가로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520a, 520d, 520f, 및 520h) 은 또한, 예를 들어 P2P 통신에 관여되지 않을 때 또는 가능한 대로 P2P 통신과 공존하고 있을 때, 기지국들 (51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 있어서, WAN 통신은 예를 들어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와 같은 원격 엔티티와의 콜을 위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 (520) 와 기지국 (510) 사이의 통신을 지칭할 수도 있다. WAN 디바이스는 WAN 통신에 관심이 있거나 관여되는 디바이스 (520) 이다. P2P 통신은 임의의 기지국 (510) 을 통하지 않으면서 2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사이에서 직접 통신하는 것을 지칭한다. P2P 디바이스는 P2P 통신에 관심이 있거나 관여되는 디바이스 (520), 예를 들어 P2P 디바이스의 근접도 내에서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에 대해 트래픽 데이터를 갖는 디바이스 (520) 이다. 2 개의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각각의 디바이스 (520) 가 다른 디바이스 (520) 를 검출하는 경우, 서로의 근접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520) 는 WAN 통신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510) 을 통해 또는 P2P 를 위해 직접적으로 또 다른 디바이스 (520) 와 통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들 (520) 사이의 직접 통신은 P2P 그룹들로 조직화될 수도 있다. 특히, P2P 그룹은 일반적으로 P2P 통신에 관심이 있거나 관여되는 2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의 그룹을 지칭한다. 게다가, 일 실시형태에서, P2P 그룹은 P2P 그룹 소유자 (또는 P2P 서버) 로 지정된 하나의 디바이스 (520) 및 P2P 그룹 소유자에 의해 서빙되는 P2P 클라이언트들로 지정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520) 을 포함할 수도 있다. P2P 그룹 소유자는 WAN 과 시그널링을 교환하는 것, P2P 그룹 소유자와 P2P 클라이언트들 사이의 데이터 송신을 조정하는 것 등과 같은 소정의 관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P2P 그룹은 기지국 (510a) 의 커버리지 하의 디바이스들 (520a 및 520b) 을 포함하고, 제 2 P2P 그룹은 기지국 (510b) 의 커버리지 하의 디바이스들 (520c 및 520d) 를 포함하고, 제 3 P2P 그룹은 상이한 기지국들 (510b 및 510c) 의 커버리지 하의 디바이스들 (520e 및 520f) 를 포함하며, 제 4 P2P 그룹은 기지국 (510c) 의 커버리지 하의 디바이스들 (520g, 520h 및 520i) 를 포함한다. 디바이스들 (520a, 520d, 520f, 및 520h) 은 그 개별 P2P 그룹들에 대한 P2P 그룹 소유자들일 수도 있고 디바이스들 (520b, 520c, 520e, 520g, 및 520i) 은 그 개별 P2P 그룹들에서 P2P 클라이언트들일 수도 있다. 도 5 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520) 은 WAN 통신에 관여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P2P 통신은 P2P 그룹 내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고 추가로 P2P 그룹 소유자와 이와 연관된 P2P 클라이언트들 사이에서만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P2P 그룹 (예를 들어, 디바이스들 (520g 및 520i)) 내의 2 개의 P2P 클라이언트들이 정보를 교환하기를 요망하는 경우, P2P 클라이언트들 중 하나는 P2P 그룹 소유자 (예를 들어, 디바이스 (520h)) 에게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P2P 그룹 소유자는 그 후 다른 P2P 클라이언트에 송신들을 중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 디바이스 (500) 는 다중 P2P 그룹들에 속할 수도 있고 P2P 그룹 소유자 또는 각각의 P2P 그룹에서의 P2P 클라이언트 중 어느 하나로서 거동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일 실시형태에서, 특정 P2P 클라이언트는 단지 하나의 P2P 그룹에만 속할 수도 있고 다중 P2P 그룹에 속할 수도 있으며, 임의의 특정 순간에 다중 P2P 그룹들 중 임의의 것에서 디바이스들 (520) 과 통신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은 다운링크 및 업링크 상에서 송신을 통해 용이해질 수도 있다. WAN 통신에 대하여,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링크) 는 기지국들 (510) 로부터 디바이스들 (52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업링크 (또는 역방향 링크) 는 디바이스들 (520) 로부터 기지국들 (510) 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P2P 통신에 대하여, P2P 다운링크는 P2P 그룹 소유자들로부터 P2P 클라이언트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하고 P2P 업링크는 P2P 클라이언트들로부터 P2P 그룹 소유자들로의 통신 링크를 지칭한다. 소정의 실시형태들에서, P2P 통신하기 위해 WAN 기술들을 사용하기 보다는, 2 이상의 디바이스들이 소형 P2P 그룹들을 형성하고 Wi-Fi, 블루투스, 또는 Wi-Fi 다이렉트와 같은 기술들을 사용하여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WLAN) 상에서 P2P 통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Wi-Fi 다이렉트, 또는 다른 WLAN 기술들을 사용하는 P2P 통신은 2 이상의 모바일 폰들, 게임 콘솔들, 랩탑 컴퓨터들, 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엔티티들 사이에서 P2P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6 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이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 (625) 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환경 (600) 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단일 플랫폼 상에서 어플리케이션들 등등 사이의 통신들은, 분산 버스 (625) 를 통해 프로세스간 통신 프로토콜 (IPC)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여 용이해질 수도 있으며, 분산 버스 (625) 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 대 어플리케이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 소프트웨어 버스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서 어플리케이션들은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에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분산된 버스 (625) 에 등록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들은 등록된 어플리케이션들에 관한 정보에 대해 분산된 버스 (625) 에 질의한다. 그러한 프로토콜은 비동기 통지들 및 원격 절차 콜들 (RPC들) 을 제공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신호 메시지들 (예를 들어, 통지들) 은 포인트-투-포인트 또는 브로드캐스트일 수도 있고, 방법 콜 메시지들 (예를 들어, RPC들) 은 동기 또는 비동기일 수도 있으며, 분산된 버스 (625)(예를 들어, "데몬(daemon)" 버스 프로세스) 는 다양한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사이의 메시지 라우팅을 핸들링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분산된 버스 (625) 는 다양한 전송 프로토콜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 TCP/IP, Wi-Fi, CDMA, GPRS, UMTS 등) 에 의해 지원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양태에 따라, 제 1 디바이스 (610) 는 분산된 버스 노드 (612) 및 하나 이상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614) 를 포함할 수도 있고, 분산된 버스 노드 (612) 는 분산된 버스 (625)를 통해 (예를 들어,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상의 분산된 버스 노드들 (632 및 642) 을 통해) 제 1 디바이스 (610) 와 연관된 로컬 엔드포인트들 (614) 과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와 연관된 로컬 엔드포인트들 (634 및 644)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하기에서 더 상세하게 기재될 바와 같이, 분산된 버스 (625) 는 대칭 멀티 디바이스 네트워크 기술들을 지원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 드롭 아웃들의 존재 시 강건한 동작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임의의 하부에 놓인 전송 프로토콜 (예를 들어, 블루투스, TCP/IP, Wi-Fi 등) 로부터 독립적일 수도, 분산된 버스 (625) 는 안전하지 않은 것 (예를 들어, 개방형) 으로부터 안전한 것 (인증되고 암호화된 것) 까지 다양한 보안 옵션들을 허용할 수도 있으며, 보안 옵션들은 다양한 디바이스들 (610, 630, 640) 이 서로에 대한 근접도 또는 범위 내에 들어올 때 개입 없이 제 1 디바이스 (610), 제 2 디바이스 (630), 및 제 3 디바이스 (640) 사이의 자발적인 접속들을 용이하게 하면서 사용될 수 있다.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7 은 제 1 디바이스 ("디바이스 A")(710) 및 제 2 디바이스 ("디바이스 B")(730) 가 통신할 수도 있는 근접도 기반 분산 버스를 확립하기 위해 발견가능한 P2P 서비스들이 사용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메시지 시퀀스 (700) 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A (710) 는 디바이스 B (730) 와 통신하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고, 디바이스 A (710) 는 그러한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는 버스 노드 (712) 에 부가하여, 통신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는, 로컬 엔드포인트 (714)(예를 들어, 로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등)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디바이스 B (730) 는, 디바이스 A (71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14) 와 디바이스 B (73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34) 사이의 통신들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보조할 수도 있는 버스 노드 (732) 에 부가하여, 로컬 엔드포인트 (714) 가 통신하도록 시도될 수도 있는 로컬 엔드포인트 (734)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4) 에서 적절한 발견 메커니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TCP/IP, UNIX 등에 의해 지원된 접속들을 발견하기 위한 메커니즘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6) 에서, 디바이스 B (73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 (734) 는 버스 노드 (732) 를 통해 가용인 엔티티, 서비스, 엔드포인트 등에 접속하는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요청은 로컬 엔드포인트 (734) 및 버스 노드 (732) 사이에서 요청 및 응답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8) 에서, 분산된 메시지 버스는 버스 노드 (732) 를 버스 노드 (712) 에 접속하기 위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로써 디바이스 A (710) 와 디바이스 B (730) 사이의 P2P 접속을 확립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의 분산된 버스로/로부터의 통신들은 적절한 근접도 기반 P2P 프로토콜 (예를 들어, 근접 네트워크들을 동적으로 생성하고 근접 P2P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제조자들로부터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및 접속된 제품들 사이 및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상호운용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 AllJoyn™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을 사용하여 용이해질 수도 있다. 대안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서버 (미도시) 는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게다가,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사이의 접속을 형성하기 전에 적절한 인증 메커니즘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인증 대화를 개시하기 위해 인증 커맨드를 전송할 수도 있는 SASL 인증) 이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메시지 시퀀스 단계 (758) 동안,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다른 가용 엔드포인트들 (예를 들어, 도 6 에서 디바이스 C (6400 상의 로컬 엔드포인트들) 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버스 노드가 유지하는 각각의 로컬 엔드포인트는 다른 버스 노느들에 광고될 수도 있으며, 이 광고는 고유 엔드포인트 명칭들, 전송 타입들, 접속 파라미터들, 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0),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로컬 엔드포인트들 (734 및 714) 와 연관된 획득된 정보를 각각 사용하여, 다양한 버스 노드들을 통해 이용가능한 실제 획득된 엔드포인트들을 나타낼 수도 있는 가상 엔드포인트들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노드 (712) 상의 메시지 라우팅은 실제 및 가상 엔드 포인트들을 사용하여 메시지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디바이스들 (예를 들어, 디바이스 A (710) 상에 존재하는 매 엔드포인트에 대해 하나의 로컬 가상 엔드포인트가 있을 수도 있다. 더욱이, 그러한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분산된 버스 (예를 들어, 버스 노드 (712) 와 버스 노드 (732) 사이의 접속) 을 통해 전송된 메시지들을 멀티플렉싱 및/또는 디멀티플렉싱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실제 엔드포인트들 처럼, 로컬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로부터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도 있고 분산된 버스를 통해 메시지들을 포워딩할 수도 있다. 이로써,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엔드포인트 멀티플렉싱된 분산된 버스 접속으로부터 로컬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로 메시지들을 포워딩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원격 디바이스 상의 가상 엔드포인트들에 대응하는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특정 전송 타입들의 원하는 토폴로지들을 수용하기 위해 언제라도 재접속될 수도 있다. 그러한 양태에서, UNIX 기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로컬로 고려될 수도 있고 이로써 재접속을 위한 후보들로 고려되지 않을 수도 있다. 추가로, TCP-기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하나의 홉 라우팅에 대해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스 노드 (712 및 732) 가 서로 직접 접속될 수도 있다). 더욱이, 블루투스-기반 가상 엔드포인트들은, 블루투스-기반 마스터가 로컬 마스터 노드와 동일한 버스 노드일 수도 있는 단일 피코-네트 (예를 들어, 하나의 마스터 및 n 개의 슬레이브들) 에 대해 최적화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2)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버스 상태 정보를 교환하여 버스 인스턴스들을 병합하고 분산된 버스를 통해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버스 상태 정보는 고유 엔드포인트 명칭 매핑, 매칭 규칙들, 라우팅 그룹 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에 잘 알려진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태 정보는 분산된 버스 기반 로컬 명칭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과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들을 버스 노드 (712) 와 버스 노드 (732) 사이에서 통신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각각 분산된 버스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하는 로컬 버스를 유지할 수도 있고, 버스 제어기는 글로벌 방법들, 인수(argument)들, 신호들 및 다른 정보를 분산된 버스와 연관된 표준들로 번역할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4)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은, 버스 노드 접속들 동안 도입된 임의의 변화들에 관하여 개별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들을 통신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신규 및/또는 제거된 글로벌 및/또는 번역된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된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명칭 충돌들로 인해) 국부적으로 분실될 수도 있는 글로벌 명칭들은 명칭 분실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더욱이, 명칭 충돌들로 인해 전달된 글로벌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고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가 접속해제되는 경우 및/또는 때에 사라지는 고유 명칭들은 명칭 소유자 변경된 신호들로 표시될 수도 있다.
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잘 알려진 명칭들은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을 유일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디바이스 A (710) 와 디바이스 B (730) 사이에서 통신들이 발생할 때, 상이한 잘 알려진 명칭 타입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로컬 명칭은 버스 노드 (712) 가 직접 어태치하는 디바이스 A (710) 와 연관된 버스 노드 (712) 상에서만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글로벌 명칭은 모든 알려진 버스 노드들 (712 및 723) 상에 존재할 수도 있으며, 명칭의 단 하나의 소유자만이 모든 버스 세그먼트들 상에 존재할 수도 있다. 환언하면,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가 접합되고 임의의 충돌들이 발생할 때, 소유자들 중 하나는 글로벌 명칭을 분실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번역된 명칭은 클라이언트가 가상 버스와 연관된 다른 버스 노드들에 접속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한 양태에서, 번역된 명칭은 첨부된 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글로벌 고유 식별자 (Globally Unique Identifier) "1234" 를 갖는 분산된 버스에 접속된 잘 알려진 명칭 "org.foo" 를 갖는 로컬 엔드포인트 (714) 는 "G1234.org.foo" 로서 보여질 수도 있다).
메시지 시퀀스 단계 (766) 에서, 버스 노드 (712) 및 버스 노드 (732) 는 다른 버스 노드들에게 엔드포인트 버스 토폴로지들에 대한 변화들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들을 통신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 할 수도 있다. 그 후, 로컬 엔드포인트 (714) 로부터의 트래픽이 가상 엔드 포인트들을 통해 이동하여 디바이스 B (730) 상의 의도된 로컬 엔드포인트 (734) 에 도달할 수도 있다. 추가로, 동작에 있어서, 로컬 엔드포인트 (714) 와 로컬 엔드포인트 (734) 사이의 통신들은 라우팅 그룹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라우팅 그룹들은 엔드포인트들이 엔드포인트들의 서브세트로부터 신호들, 방법 콜들, 또는 다른 적절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로써, 라우팅 명칭은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2P 어플리케이션은 그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 있는 고유의, 잘 알려진 라우팅 그룹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추가로, 버스 노드들 (712 및 732) 은 라우팅 그룹들에 로컬 엔드포인트들 (714 및 734) 을 등록하는 것 및/또는 등록해제하는 것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라우팅 그룹들은 현재 버스 인스턴스를 넘는 지속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은 분산된 버스에 접속할 때마다 그들의 선호된 라우팅 그룹들에 대해 등록할 수도 있다. 더욱이, 라우팅 그룹들은 개방 (예를 들어, 임의의 엔드포인트가 접합할 수 있음) 되거나 폐쇄 (예를 들어, 단지 그룹의 생성자만이 그룹을 수정할 수 있음) 될 수도 있다. 또한,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다른 원격 버스 노드들에게 라우팅 그룹 엔드포인트들에 대한 부가들, 제거들, 또는 다른 변경들을 통지하기 위한 신호들을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멤버가 부가되고 및/또는 그룹으로부터 멤버가 제거될 때마다 다른 그룹 멤버들에게 라우팅 그룹 변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추가로, 버스 노드 (712 또는 732) 는 라우팅 그룹으로부터 그들 자신들을 먼저 제거하지 않으면서 분산된 버스로부터 접속해제하는 엔드포인트들로 라우팅 그룹 변경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조만간, IoT 기술들에서의 개발 증가는, 홈에서, 차량 내에서, 작업 시에, 그리고 많은 다른 위치들에서 사용자를 둘러싸는 많은 IoT 디바이스들을 유도할 것이다. IoT 가 성장함에 따라,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하게 될 것이고, 이에 의해 상이한 IoT 디바이스들은 상호 동작하고 상호 이해된 머신-투-머신 (M2M) 이벤트들을 전송/수신하는 것에 의해 액션들을 취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것은 디바이스 제조자 (또는 총괄적으로 주어진 디바이스 클래스에 대한 제조자들의 세트) 가 이벤트 사전을 정의하고 그것을 일부 전체적으로 액세스가능한 수단, 예를 들어 M2M 이벤트 사전의 글로벌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공개하는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이것은 수반된 상이한 IoT 파티들 사이의 공동작업의 상당한 양을 필요로 하고, 솔루션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M2M 상호작용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액세스가능한 인프라 구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개시물은 상이한 IoT 벤더들 사이의 이전 공동작업 없이 분산된 IoT 네트워크에서 M2M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그러한 사전은 그 후 IoT 디바이스들에 분산되어 이들이 M2M 이벤트들을 이해하고 그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액션(들) 을 취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주어진 IoT 네트워크는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상이한 벤더들로부터의 다중 IoT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네트워크는 2 개의 상이한 벤더들로부터 윈도우 센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IoT 디바이스들은 상호 운용성을 위해, 그러한 윈도우 센서 인터페이스와 동일한 P2P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IoT 디바이스들은 엔드 사용자에 동일한 의미를 갖는 상이한 원분 기술들을 사용하여 유사한 이벤트들/상태 천이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2 개의 윈도우 센서들은, 그 연관된 윈도우들이 폐쇄될 때, "윈도우 폐쇄" 및 "윈도우 셧" 이벤트들을 각각 가질 수도 있다.
또 다른 IoT 디바이스가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액션들을 취하는데 관심이 있는 경우, 상이한 디스크립션들을 갖는 2 개의 이벤트들이 실제로 동일한 타입의 이벤트임을 해석할 수 있어야 한다. 윈도우 센서들 예를 계속하면, 이것이 윈도우가 폐쇄되는 것을 표시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때, HVAC 시스템은 턴 "온" 하여야 하는 규칙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단일 이벤트와 유사한 다중 이벤트들을 매핑할 수 있는 공통 M2M 이벤트들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윈도우 폐쇄" 및 "윈도우 셧" 이벤트들은 단일 일반 이벤트에 매핑하게 된다.
주어진 IoT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은 일반적으로 그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M2M 이벤트들에 기초하여서만 액션들을 취한다. 이로써, 이들 IoT 디바이스들은, IoT 디바이스들의 글로벌 유니버스에 대한 이벤트 사전 대신, 그 네트워크에서의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이벤트들이 대한 이벤트 사전만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국부화된 M2M 이벤트 사전이 생성되는 한, 주어진 IoT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들은 그 사전에 기초하여 액션들을 취할 수 있다.
각각의 IoT 네트워크는 분산된 방식으로 M2M 이벤트 사전의 발행을 어드레싱하는, 그 자신의 국부화된 M2M 이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것은 M2M 이벤트 사전들을 유지하고/공유하기 위한 임의의 중앙집중화된 인프라구조를 필요로 하는 것을 회피한다.
M2M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해서, 이벤트 모니터 및 사전 생성기 (EMDG) 컴포넌트, 예컨대 EMDG 모듈 (210/410) 은, 그 IoT 네트워크에서의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모든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을 모니터하는 분산된 IoT 네트워크에 설치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IoT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어, 예컨대 수퍼바이저 (130), IoT 수퍼에이전트 (140), 또는 게이트웨어 (145)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양태에서, 이벤트들은 브로드캐스트될 수 있어서 이 컴포넌트에 의해 수신될 것이다. 대안의 양태에서, 이벤트들이 공개/가입 모델을 사용하여 공유되는 경우, 이 컴포넌트는 이벤트들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모든 IoT 디바이스들에 가입할 것이다. EMDG 컴포넌트는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발견 공지들에 기초하여 이벤트 브로드캐스터들 (예를 들어, 이벤트들을 브로드캐스팅하는 IoT 디바이스들) 을 발견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네트워크 상에서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해 디바이스 클래스/타입을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센서 (X) 및 윈도우 센서 (Y) 가 동일한 디바이스 클래스/타입에 속하는 것을 알게 된다. 이 정보는 또한 IoT 디바이스들로부터의 발견 공지들로부터 학습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 전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모니터한다. 이것은 상태들 전후를 비교하고 시스템 값에서의 변화들 또는 상태 변화와 이벤트를 연관시킬 수 있다. 윈도우 센서들 예를 다시 참조하면, EMDG 컴포넌트는 "윈도우 폐쇄" 전후의 제 1 윈도우 센서의 상태, 및 "윈도우 셧" 이벤트 전후의 제 2 윈도우 센서의 상태를 비교할 수 있다.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EMDG 컴포넌트는 이들 2 개의 이벤트들을 IoT 디바이스의 그 클래스/타입에 대해 M2M 이벤트 사전 엔트리에서의 단일 일반 M2M 이벤트에 매핑할 수 있다.
윈도우 센서 예로 계속하면, 제 1 윈도우 센서로부터 "윈도우 폐쇄" 이벤트를 수신한 후, EMDG 컴포넌트는 "윈도우 폐쇄" 이벤트 전의 제 1 윈도우 센서의 상태 (예를 들어, "개방") 를 "윈도우 폐쇄" 이벤트가 발생한 후의 제 1 윈도우 센서의 상태 (예를 들어, "폐쇄") 와 비교할 수 있고, 그 이벤트를 "개방" 에서 "폐쇄" 로의 윈도우 상태에서의 변화에 매핑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그 디바이스 클래스/타입 및 검출된 상태 변화에 대해 일반/공통 이벤트 엔트리를 생성하고 그 것을 스티어링 "1: 윈도우가 지금 폐쇄됨" 과 같은 열거 및 텍스트 기술에 할당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또한 일반 이벤트의 실제 상태 변화로의 매핑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어링 "1: 윈도우가 지금 폐쇄됨" 은 "개방" 에서 "폐쇄" 로의 상태 변화에 매핑하게 된다. 즉, EMDG 컴포넌트는 검출된 이벤트 주위에서 발생하는 상태 변화를 기술하는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고, 그 후 그 일반 엔트리를 윈도우 센서로부터 수신된 특정 이벤트로 매칭한다.
"윈도우 셧" 이벤트가 제 2 윈도우 센서로부터 수신될 때, EMDG 컴포넌트는 일반 이벤트에 대한 상태 변화를 매칭하는 관측된 상태 변화에 기초하여 그 디바이스 클래스/타입에 대해, 이전에 생성된 일반/공통 이벤트, 즉 "1: 윈도우가 지금 폐쇄됨" 으로 그 이벤트를 매핑할 것이다. EMDG 컴포넌트는 실제 브로드캐스트된 디바이스 이벤트들로의 일반/공통 이벤트들의 매핑을 유지하며, 즉 "1:윈도우가 지금 폐쇄됨" 이 "윈도우 폐쇄" 및 "윈도우 셧" 이벤트들로 매핑한다. 이로써, EMDG 컴포넌트는, "1: 윈도우가 지금 폐쇄됨" 및 "2: 윈도우가 지금 개방됨" 과 같은, 윈도우 센서 디바이스 클래스에 대해 일반/공통 M2M 이벤트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더욱 더 상세하게 IoT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EMDG 컴포넌트를 참조하면, EMDG 컴포넌트는 그 전류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디바이스들을 주기적으로 폴링할 수 있다. 이벤트를 검출한 후, EMDG 컴포넌트는 이벤트 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획득하기 위해 다시 IoT 디바이스를 폴링할 수 있다. 일부 IoT 디바이스들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이들은 이벤트들 전후에 그 시스템의 상태를 로깅한다. 그러한 서비스는 EDGM 컴포넌트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어서, EMDG 컴포넌트는 주어진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할 시 디바이스 상태들 전후에 취출할 수 있다.
EMDG 컴포넌트는 이벤트들에 관하여 학습하고 IoT 네트워크 상에서 IoT 디바이스들에 의해 이벤트들이 브로드캐스트될 때 일반 이벤트 사전 엔트리들을 생성한다. 이러한 자기 학습 프로세스는 약간의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자기 학습 페이즈를 촉진하기 위해서, 각각의 IoT 디바이스는 IoT 디바이스가 그것이 지원하는 모든 이벤트들을 브로드캐스트하고 그 이벤트들에 대한 상태 변화들을 시뮬레이팅하게 되는, "이벤트 브로드캐스팅 모드" 와 같은 특정 모드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것은 M2M 이벤트들에 대한 자기 학습/자동 생성 양태를 촉진할 것이다. 이 모드는 IoT 디바이스가 온보딩 (onboarding)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네트워크 상으로 온-보딩된 직후에 트리거될 수 있다.
M2M 이벤트 사전은 홈 자동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홈 자동화 규칙들은 일반 M2M 이벤트 사전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상이한 벤더들에 대해 자동화 규칙들을 맞출 필요가 없을 때 사용자 경험 관점으로부터 가장 바람직하다. EMDG 컴포넌트는 생성된 일반 M2M 이벤트 사전을 전송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실제 IoT 디바이스 이벤트가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노드들에 매핑한다. 예를 들어, EMDG 컴포넌트는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액션들을 취하는데 관심이 있는 IoT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정의하기 위해 UI 를 제공하는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M2M 이벤트 사전을 전송할 수 있다. 이들 IoT 디바이스들은 홈 자동화 규칙들로부터 일반 M2M 사전에 기초하여 액션들을 취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실제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이 수신될 때, 이들은 원하는 액션을 취하기 위해 일반 M2M 이벤트들에 매핑된다.
기재된 매커니즘은 자기-학습이다. 신규 IoT 디바이스가 IoT 네트워크에 부가될 때, EMDG 컴포넌트는 신규 IoT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을 이미 정의된 일반 M2M 이벤트 사전 엔트리에 매핑하거나 그 디바이스 클래스에 대해 일반 M2M 이벤트 사전 엔트리들의 신규 세트를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규 IoT 디바이스로부터의 이벤트들의 매핑은 이벤트 전후에 관측된 상태 변화게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제 개시물의 이들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이 도 8 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도 8 은 개시물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근접 IoT 네트워크 (800) 를 도시한다. IoT 네트워크 (800) 는 게이트웨이 에이전트 (802), EMDG (804)(EMDG 모듈 (210/410) 에 대응할 수도 있음), 제어 어플리케이션 (806), 및 4 개의 IoT 디바이스들 (810) 를 포함한다. 게이트웨이 에이전트 (802) 는 예를 들어,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수퍼에이전트 (14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 에서, 원형 참조 번호들은 동작들의 순서를 표시한다.
동작 1 에서, 참조 번호 (810) 으로 식별된 디바이스들 (3 및 4) 은, EMDG (804) 에 의해 검출되는 이벤트 통지들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들 (3 및 4) 은 이벤트들을 브로드캐스트할 수도 있고, 이 경우 EMDG (804) 는 브로드캐스트들을 인터셉트하거나, EMDG (804) 가 IoT 네트워크 (800) 에서 각각의 디바이스 (810) 에 의해 공개된 이벤트들에 가입할 수도 있다. 동작 2 에서, EMDG (804) 는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들 전후에 디바이스들 (3 및 4) 의 상태를 취출하고 비교한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EMDG 는 이벤트 전후에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상태 정보를 페치한다. 동작 3 에서, EMDG (804) 는 디바이스 상태들 전후에 기초하여 일반 M2M 이벤트 매핑을 생성한다.
동작 4 에서, EMDG (804) 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스마트폰 또는 수퍼바이저 디바이스 (130) 상에 설치될 수도 있는, 제어 어플리케이션 (806) 에 M2M 일반 이벤트 사전을 전송한다. 또한, 동작 4 에서, EMDG (804) 는, 참조 번호 (810) 에 의해 식별된, 디바이스들 (1 및 2) 와 같은, IoT 네트워크 (800) 에서 다른 디바이스들 (810) 로 M2M 일반 이벤트 사전을 전송한다. 더욱이, 제어 어플리케이션 (806) 및 디바이스들 (810) 은, 예를 들어 개시 시에 M2M 일반 이벤트 사전을 페칭하는 것에 의해, EMDG (804) 로부터 M2M 일반 이벤트 사전을 페칭할 수 있다.
동작 5 에서, 사용자는 제어 어플리케이션 (806) 을 사용하여 일반 M2M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홈 자동화 (HA) 규칙들을 정의할 수도 있다. 홈 자동화 규칙들은 일반 M2M 이벤트 사전을 사용하여 정의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 이벤트들 및 다중 벤더들과 상이하지 않은 유사한 이벤트들의 종류로 나타내어야 한다. 이것은 홈 자동화 규칙들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경험을 크게 간략화한다.
동작 6 에서, 제어 어플리케이션 (806) 은 디바이스들 (1 및 2) 과 같은, IoT 네트워크 (800) 에서 다른 디바이스 (810) 에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전파한다. 도 8 은 단지 2 개의 디바이스들로만 전파되는 홈 자동화 규칙들을 도시하지만, 규칙들은 모든 디바이스들 (810) 을 포함한, 네트워크 (800) 에서의 임의의 수의 디바이스들 (810) 로 전파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동작 7 에서, 디바이스 (4) 는 다시 이벤트를 브로드캐스트한다. 동작 8 에서, 이벤트는 디바이스 (2) 에 의해 검출된다. 동작 9 에서, 디바이스 (2) 는 수신된 이벤트가 생성된 M2M 이벤트 사전에서 일반 이벤트로 매핑하는 것을 결정한다. 디바이스 (2) 는 그 후 M2M 이벤트 사전에서 연관된 일반 이벤트에 대해 정의된 하나 이상의 홈 자동화 규칙들을 실행한다.
도 9 는 IoT 네트워크에서, M2M 프로토콜과 같은,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플로우를 도시한다. 도 9 에 도시된 플로우는 도 8 에서의 EMDG (804) 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910 에서, EMDG (804) 는 도 8 에서의 IoT 디바이스들 (810) 중 하나와 같은, IoT 네트워크에서의 IoT 네트워크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한다. 통지는 예를 들어 브로드캐스트로서 또는 가입 이벤트로서 수신될 수도 있다.
920 에서, EMDG (804) 는 이벤트 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및 이벤트 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한다. EMDG (804) 는 IoT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폴링할 수도 있고, 이로써 이벤트 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한다. 이벤트 직후에, EMDG (804) 는 주기적인 폴링과 관계없이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할 수도 있다. 930 에서, EMDG (804) 는 이벤트 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 및 이벤트 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비교한다.
940 에서, EMDG (804) 는 920 에서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한다. 940 에서 결정하는 것은 이벤트 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해 IoT 디바이스를 폴링하고, 이벤트 후에 IoT 디바이스의 상태에 대해 IoT 디바이스를 폴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950 에서, EMDG (804) 는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엔트리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EMDG (804) 가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엔트리가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EMDG (804) 는 어떤 것도 행할 필요가 없고 그 플로우는 시작으로 복귀한다.
하지만, EMDG (804) 가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엔트리가 없다고 결정하면, 960 에서, EMDG (804) 는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를 생성한다. 일반 엔트리는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의 열거 및 텍스트 디스크립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태 변화의 타입은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이다. 970 에서, EMDG (804) 는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한다.
일 양태에서, EMDG (804) 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950) 은, IoT 디바이스의 타입과 매칭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것 (960) 은 IoT 디바이스의 타입과 매칭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가 없다는 것에 기초하여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EMDG (804) 는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이벤트를 검출하고 (910 과 유사), 제 2 이벤트 전의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 및 제 2 이벤트 후의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920 과 유사), 제 2 이벤트 전의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제 2 이벤트 후의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와 비교하고 (930 과 유사), 비교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검출하고 (940 과 유사),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 및 이벤트의 상태 변화와 동일한 상태 변화의 타입인 제 2 이벤트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에 제 2 이벤트를 매핑하고, 그리고 일반 엔트리와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매핑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은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과 상이할 수도 있다. 일반 엔트리는 IoT 디바이스 및 제 2 IoT 디바이스에 공통인 일반 상태 변화를 기술하고 IoT 디바이스 및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들에 대해 이벤트 디스크립션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도 9 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EMDG (804) 는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이벤트 사전을 송신할 수도 있다. EMDG (804) 는 또한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벤트 사전에 정의된 일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정의하고,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홈 자동화 규칙들을 분산할 수도 있다. IoT 네트워크에서의 제 3 IoT 디바이스는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또는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를 이벤트 사전에서 일반 엔트리에 매핑하며, 그리고 이벤트 사전에서 일반 엔트리에 대해 정의된 홈 자동화 규칙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개시물의 일 양태에 따라, 도 10 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IoT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이벤트들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에 대응할 수도 있는 예시적인 통신 디바이스 (1000) 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 8 에서 게이트웨이 에이전트 (802) 또는 EMDG (804) 를 구현하는 다른 디바이스). 특히,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예를 들어, 수신 안테나 (미도시)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해 통상의 액션들 (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다운컨버팅 등) 을 수행하며, 그리고 컨디셔닝된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샘플들을 획득할 수도 있는, 수신기 (1002)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신기 (1002) 는 수신된 심볼들을 복조하고 채널 추정을 위해 이들을 프로세서 (1006) 에 제공할 수 있는 복조기 (1004)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006) 는 수신기 (1002)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및/또는 복조기 (1018) 및 송신기 (1020) 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데 전용되는 프로세서, 통신 디바이스 (1000)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또는 수신기 (1002) 에 의해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송신기 (102) 에 의한 송신을 위한 정보를 생성하며,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 (1000) 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부가적으로 프로세서 (1006) 에 동작가능하게 커플링되고 송신될 데이터, 수신된 데이터, 가용 채널들과 관련된 정보, 분석된 신호와 연관된 데이터 및/또는 간섭 강도, 할당된 채널, 전력, 레이트 등과 관련된 정보, 및 채널을 추정하고 그 채널을 통해 통신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1008) 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008) 는 부가적으로 채널을 추정하고 및/또는 활용하는 것과 연관된 프로토콜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능 기반, 용량 기반 등).
메모리 (1008) 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또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비휘발성 메모리는 리드 온니 메모리 (ROM), 프로그램가능 ROM (PROM), 전기적 프로그램가능 ROM (EPROM), 전기적 소거가능 PROM (EEPROM),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외부 캐시 메모리로서 작용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를 포함할 수 있다. 한정이 아닌 예시로서, RAM 은 동기식 RAM (SRAM), 동적 RAM (DRAM), 동기식 DRAM (SDRAM), 이중 데이터 레이트 SDRAM (DDR SDRAM), 인핸스드 SDARM (ESDRAM), 싱크링크 DRAM (SLDRAM), 및 다이렉트 램버스 RAM (DRRAM) 과 같은 많은 형태들로 이용가능하다. 대상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메모리 (1008) 는, 메모리의 이러한 타입들 및 임의의 다른 적절한 타입들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 메모리 (1008) 는 EMDG 모듈 (1010) 을 저장할 수도 있다. EMDG 모듈 (1010) 은 프로세서 (1006) 에 의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도 있다. 대안으로, EMDG 모듈 (1010) 은 프로세서 (1006) 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이거나 프로세서 (1006) 에 커플링될 수도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EMDG 모듈 (1010) 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일 수도 있다. EMDG 모듈 (1010) 은 도 8 에서 EMDG (804) 에 대응할 수도 있다.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통신 디바이스 (1000) 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들과의 접속들을 확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은 다중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을 관리하는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을 보조하기 위해 버스 노드 모듈 (1032)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양태에서, 버스 노드 모듈 (1032) 은 다른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엔드포인트 어플리케이션들과 통신하는 버스 노드 모듈 (1032) 을 보조하기 위해 오브젝트 네이밍 (object naming) 모듈 (1034) 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로,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은 확립된 분산 버스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들 상에서 액세스가능한 엔드포인트들 및/또는 다른 로컬 엔드포인트들과 통신하는 로컬 엔드포인트들을 보조하기 위해 엔드포인트 모듈 (1036) 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양태에서,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은 다중 가용 전송들 (예를 들어, 블루투스, UNIX 도메인-소켓들, TCP/IP, Wi-Fi 등) 을 통해 인터-디바이스 및/또는 인트라-디바이스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통신 디바이스 (1000) 로의 입력들을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메커니즘들 (1042) 및 통신 디바이스 (1000) 의 사용자에 의한 소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메커니즘들 (1044) 을 포함할 수도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1040) 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메커니즘 (1042) 은 키 또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등과 같은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출력 메커니즘 (1044) 은 디스플레이, 오디오 스피커, 햅틱 피드백 메커니즘, 개인 영역 네트워크 (PAN)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양태들에서, 출력 메커니즘 (1044) 은 오디오 형태로 미디어 콘텐츠를 렌더링하도록 동작가능한 오디오 스피커, 미디어 콘텐츠를 이미지 또는 비디오 포맷으로 및/또는 타이밍된 메타데이터를 원분 또는 시각적 형태로 렌더링하도록 동작가능한 디스플레이, 또는 다른 적절한 출력 메커니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일 실시형태에서, 통신 디바이스 (1000) 가 무헤드 디바이스인 경우, 통신 디바이스 (1000) 는 소정의 입력 메커니즘들 (1042) 및/또는 출력 메커니즘들 (1044) 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는 무헤드 디바이스들이 일반적으로 모니터,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 없이 동작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들 또는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때문이다.
통신 디바이스 (1000) 가 여기서 기재된 바와 같이, IoT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간 통신 프로토콜에 대해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수신기 (1002), 프로세서 (1006), 메모리 (1008), EMDG 모듈 (1010), 송신기 (1020), 및 분산된 버스 모듈 (1030) 은 협력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 (1002) 가 IoT 네트워크에서 IoT 디바이스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할 시, EMDG 모듈 (1010) 은, 프로세서 (1006) 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 (1006) 로 하여금, 이벤트 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이벤트 후의 IoT 디바이스의 상태와 비교하게 하고, 비교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게 하고,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엔트리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며, 그리고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과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엔트리가 없는 경우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이벤트 사전에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게 할 수도 있다. 메모리 (1008) 는 그 후 일반 엔트리와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매핑을 저장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EMDG 모듈 (1010) 이 하드웨어 모듈인 경우, EMDG 모듈 (1010) 은 프로세서 (1006) 에 의해 수행되는 바와 같은 위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1 은 일련의 상호 관련된 기능 모듈들로서 나타낸 일 예의 장치 (1100 를 도시한다. 수신하기 위한 모듈 (1102)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 수신기 (1002) 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에 대응할 수도 있다. 결정하기 위한 모듈 (1104)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비교하기 위한 모듈 (1106)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결정하기 위한 모듈 (1108)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결정하기 위한 모듈 (1110)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생성하기 위한 모듈 (1112)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의 메모리 (1008) 와 함께, 저장 시스템과 연계하는, 도 10 에서의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저장하기 위한 모듈 (1114) 은, 적어도 일부 양태들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 10 에서의 메모리 (1008) 와 같은, 저장 시스템과 함께, 도 10 에서의 프로세서 (1006) 및/또는 EMDG 모듈 (1010) 과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응할 수도 있다.
도 11 의 모듈들의 기능은 본 명세서에서의 교시들과 일치하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전기적 컴포넌트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블록들의 기능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컴포넌트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일부 설계들에서, 이들 모듈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들의 적어도 일부 (예를 들어, ASCI) 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집적 회로는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다른 관련된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이한 모듈들의 기능은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상이한 서브세트들로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세트의) 주어진 서브세트는 하나 보다 많은 모듈에 대해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부가적으로, 도 11 에 의해 나타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른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한 수단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대응 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1 의 컴포넌트들을 "위한 모듈" 과 함께 위에 기재된 컴포넌트들은 또한 유사하게 지정된 기능을 "위한 수단" 에 대응할 수도 있다. 이로써, 일부 양태들에서, 그러한 수단의 하나 이상은 프로세서 컴포넌트들, 집적 회로들, 또는 본 명세서에 교시된 바와 같은 다른 적절한 구조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당업자는 정보 및 신호들이 임의의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 필드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양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쪽 모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백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일반적으로 이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중 어느 것으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법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은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에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여기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 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들 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는,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는 IoT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는,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상주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설명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그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송신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양쪽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 매체들일 수도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운반하거나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적절히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twisted pair), 디지털 가입자 라인 (DSL) 또는 무선 기술들, 예컨대,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를 사용하여, 웹 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이 그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디스크 (disk) 및 디스크 (disc) 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콤팩트 디스크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 (DVD), 플로피 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 (disk) 들은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보통 재생하지만, 디스크 (disc) 들은 레이저로 데이터를 광학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상술한 것들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전술한 개시물은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나타내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는 개시물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화들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여기에 설명된 개시물의 양태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어떤 특정의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비록 개시물의 엘리먼트들이 단수로 설명되거나 또는 청구될 수도 있지만, 그 단수로의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폴링 (polling) 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매칭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의 텍스트 디스크립션 및 열거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이벤트의 제 2 통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와 동일한 상태 변화의 타입 및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엔트리에 상기 제 2 이벤트를 매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은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과 상이한,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에 공통인 일반 상태 변화을 기술하고, 추가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들에 대한 이벤트 디스크립션들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상기 이벤트 사전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정의된 일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상기 홈 자동화 규칙들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의 제 3 IoT 디바이스는,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또는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통지에서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에 매핑하며, 그리고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에 대해 정의된 상기 홈 자동화 규칙들을 실행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서,
상기 제 1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폴링 (polling)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매칭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의 텍스트 디스크립션 및 열거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제 2 이벤트의 제 2 통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제 2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고;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와 동일한 상태 변화의 타입 및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엔트리에 상기 제 2 이벤트를 매핑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메모리는 또한,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은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과 상이한,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에 공통인 일반 상태 변화을 기술하고, 추가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들에 대한 이벤트 디스크립션들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상기 이벤트 사전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또한,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정의된 일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정의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시버는 또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상기 홈 자동화 규칙들을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의 제 3 IoT 디바이스는,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의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또는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 통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이벤트 통지에서의 이벤트 정보를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에 매핑하며, 그리고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에 대해 정의된 상기 홈 자동화 규칙들을 실행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1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으로서,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 1 이벤트 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기 위해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를 주기적으로 폴링 (polling)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 1 이벤트 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취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타입에 매칭하는 IoT 디바이스의 타입 및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에 매칭하는 상태 변화의 타입에 대해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의 텍스트 디스크립션 및 열거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2 이벤트의 제 2 통지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2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상기 제 2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와 동일한 상태 변화의 타입 및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일반 엔트리에 상기 제 2 이벤트를 매핑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은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과 상이한,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엔트리는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에 공통인 일반 상태 변화을 기술하고,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 및 상기 제 2 IoT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이벤트들에 대한 이벤트 디스크립션들을 저장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로 상기 이벤트 사전을 송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정의된 일반 이벤트들에 기초하여 홈 자동화 규칙들을 정의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및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 디바이스들에 상기 홈 자동화 규칙들을 분산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더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사물 인터넷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IoT 네트워크에서 제 1 IoT 디바이스로부터 제 1 이벤트의 통지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제 1 이벤트 전후에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을 비교하는 수단;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의 상태들의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제 1 이벤트의 상태 변화의 타입이 상기 이벤트 사전에 존재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일반 엔트리와 연관된 상기 상태 변화의 타입은 상기 제 1 IoT 디바이스와 동일한 타입 및/또는 클래스의 IoT 디바이스들에 공통인, 상기 일반 엔트리를 생성하는 수단; 및
상기 이벤트 사전에서, 상기 제 1 이벤트의 이벤트 디스크립션의 상기 일반 엔트리로의 매핑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462035580P | 2014-08-11 | 2014-08-11 | |
US62/035,580 | 2014-08-11 | ||
US14/820,370 | 2015-08-06 | ||
US14/820,370 US10001759B2 (en) | 2014-08-11 | 2015-08-06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vents dictionary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
PCT/US2015/044340 WO2016025336A1 (en) | 2014-08-11 | 2015-08-07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vents dictionary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1743A KR20170041743A (ko) | 2017-04-17 |
KR102552789B1 true KR102552789B1 (ko) | 2023-07-06 |
Family
ID=55267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03722A KR102552789B1 (ko) | 2014-08-11 | 2015-08-07 | 사물 인터넷(iot)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10001759B2 (ko) |
EP (1) | EP3180902B1 (ko) |
JP (1) | JP6640833B2 (ko) |
KR (1) | KR102552789B1 (ko) |
CN (1) | CN106576220B (ko) |
AU (1) | AU2015301975B2 (ko) |
BR (1) | BR112017002283B1 (ko) |
ES (1) | ES2681629T3 (ko) |
HU (1) | HUE039764T2 (ko) |
WO (1) | WO201602533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074195A1 (en) * | 2013-09-09 | 2015-03-12 | Qualcomm Incorporated | Increasing power savings through intelligent synchronizing of data |
FR3031209A1 (fr) * | 2014-12-24 | 2016-07-01 | Orange | Gestion d'entites electroniques pour la creation d'un fil d'actualites |
US9729340B2 (en) | 2015-01-06 | 2017-08-08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a user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an internet-of-things (IoT) hub |
US9860681B2 (en) | 2015-01-06 | 2018-01-02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a cell carrier to connect an IOT hub |
US20160197769A1 (en) * | 2015-01-06 | 2016-07-07 | Kiban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events at an iot hub |
US9774507B2 (en) | 2015-01-06 | 2017-09-26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user behavior data within an IoT system |
US9774497B2 (en) | 2015-01-06 | 2017-09-26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
US9933768B2 (en) | 2015-01-06 | 2018-04-03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internet of things (IOT) remote control applications |
US10816944B2 (en) | 2015-01-06 | 2020-10-27 | Afero, Inc. |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ata collected from internet-of-things (IoT) sensors to disable IoT-enabled home devices |
US10547503B2 (en) * | 2015-07-30 | 2020-01-28 | Cisco Technology, Inc. | Network connected device usage profile management |
US11720571B2 (en) * | 2015-08-17 | 2023-08-08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Unified description scheme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
US10742739B2 (en) | 2015-08-18 | 2020-08-11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Platform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network connected devices |
US9537914B1 (en) * | 2015-12-01 | 2017-01-0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Vehicle domain multi-level parallel buffering and context-based streaming data pre-processing system |
GB2559310B (en) * | 2016-03-11 | 2021-10-06 | Tridonic Gmbh & Co Kg | Building technology device communication system with IoT-network devices |
US10270738B1 (en) * | 2016-09-19 | 2019-04-23 | Amazon Technologies, Inc. | Aggregated group state for a group of device representations |
US10887174B2 (en) * | 2016-09-19 | 2021-01-05 | Amazon Technologies, Inc. | Group command management for device groups |
US10270875B1 (en) * | 2016-09-19 | 2019-04-23 | Amazon Technologies, Inc. | Dynamic grouping of device representations |
US10320583B2 (en) * | 2016-10-07 | 2019-06-11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nteroperability across internet of things (IOT) domains |
FR3058540A1 (fr) * | 2016-11-10 | 2018-05-11 | Orange | Procede de gestion d'autorisation dans une communaute d'objets connectes |
US10057880B2 (en) * | 2016-12-11 | 2018-08-21 | Qualcomm Incorporated | Smart notifications between devices |
US10394578B2 (en) | 2017-01-20 | 2019-08-2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rnet of things device state and instruction execution |
US20180212791A1 (en) | 2017-01-25 | 2018-07-26 | Sears Brands, L.L.C. | Contextual application interactions with connected devices |
US10555258B2 (en) * | 2017-03-13 | 2020-02-04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User-centric ecosystem for heterogeneous connected devices |
US10594585B2 (en) | 2017-03-20 | 2020-03-17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Methods and systems for polling devices |
US10552294B2 (en) * | 2017-03-31 | 2020-02-04 | Commvault Systems, Inc. | Management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
US11294786B2 (en) | 2017-03-31 | 2022-04-05 | Commvault Systems, Inc. | Management of internet of things devices |
US11221939B2 (en) | 2017-03-31 | 2022-01-11 | Commvault Systems, Inc. | Managing data from internet of things devices in a vehicle |
KR101965779B1 (ko) * | 2017-04-27 | 2019-04-24 | (주)빅데이터연구소 | 스마트 홈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
US10635108B2 (en) * | 2017-07-03 | 2020-04-28 | Baidu Usa Llc | Centralized scheduling system using global store for operating autonomous driving vehicles |
JP2019028599A (ja) * | 2017-07-27 | 2019-02-21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
EP3451626B1 (en) * | 2017-08-31 | 2021-11-17 | FIMER S.p.A. | Method and system for data stream processing |
CN111052710B (zh) * | 2017-09-06 | 2023-11-07 | 康维达无线有限责任公司 | 用于物联网可配置事件和动作排序框架的装置和方法 |
US10587482B2 (en) * | 2017-09-18 | 2020-03-1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scovery of IoT devices |
US10644961B2 (en) | 2018-01-12 | 2020-05-05 | Intel Corporation | Self-adjusting data processing system |
US10728340B2 (en) * | 2018-03-29 | 2020-07-28 | Servicenow, Inc. | Internet of things (IOT) platform for device configuration management and support |
TWI678092B (zh) * | 2018-04-27 | 2019-11-21 | 奇邑科技股份有限公司 | 長距離全雙工無線通訊方法與通訊系統 |
CN118605832A (zh) * | 2018-05-07 | 2024-09-06 | 谷歌有限责任公司 | 提供用于控制连接设备的复合图形助理界面的方法和系统 |
CN109040171A (zh) * | 2018-06-14 | 2018-12-18 | 厦门理工学院 | 一种事件响应系统、方法、设备以及存储介质 |
CN109104495A (zh) * | 2018-09-16 | 2018-12-28 | 安徽三实软件科技有限公司 | 一种房屋智能管家应用系统及其使用方法 |
US10839411B2 (en) * | 2018-12-21 | 2020-11-17 | Noodle Technology Inc. | Validation in a decentralized network |
KR102156281B1 (ko) * | 2019-01-04 | 2020-09-15 |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 시멘틱 웹 기반의 IoT의 SPARQL에 대한 기본대응규칙(DRRFS)의 정의 |
US11341463B2 (en) | 2019-11-25 | 2022-05-24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Blockchain ledger entry upon maintenance of asset and anomaly detection correction |
US11291077B2 (en) * | 2019-11-25 | 2022-03-2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Internet of things sensor major and minor event blockchain decisioning |
US11449811B2 (en) | 2019-11-25 | 2022-09-20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Digital twin article recommendation consultation |
US11954701B2 (en) | 2020-03-23 | 2024-04-09 |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 Real-time merchandising system |
KR20210123709A (ko) * | 2020-04-03 | 2021-10-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IoT 장치들의 인스트럭션 공유 방법 및 전자 장치 |
US11442692B1 (en) | 2021-03-16 | 2022-09-13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Acoustic workflow system distribution |
US11915708B2 (en) | 2021-03-18 | 2024-02-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s and systems for invoking a user-intended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from a plurality of IoT devices |
US20220303186A1 (en) * | 2021-03-22 | 2022-09-22 | Apple Inc. | Techniques for reacting to device event state changes that are shared over a network of user devices |
TWI820985B (zh) | 2022-10-28 | 2023-11-01 | 犀動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 物聯網設備整合控制系統及物聯網設備整合控制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55390A1 (en) | 2005-09-06 | 2007-03-08 | Homexperience Inc. | Extensible universal home automation integration framework and user interface |
JP2008501202A (ja) | 2004-05-24 | 2008-01-1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化システム用の装置アブストラクションレイヤ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70061406A1 (en) | 2003-05-30 | 2007-03-15 | Seung-Myun Baek | Home network system |
JP5443625B2 (ja) * | 2010-03-01 | 2014-03-19 |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マシンツーマシンゲートウェイのアーキテクチャおよび機能性 |
CN102238573A (zh) * | 2010-04-30 | 2011-11-09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一种m2m业务的架构及实现m2m业务的方法 |
US20130054863A1 (en) * | 2011-08-30 | 2013-02-28 | Allure Energy, Inc. | Resource Manager,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Resource Management Information For Smart Energy And Media Resources |
US8671099B2 (en) * | 2011-12-28 | 2014-03-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lustering devices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
CN102651020B (zh) * | 2012-03-31 | 2014-01-15 |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 一种海量传感器数据存储与查询方法 |
KR101392868B1 (ko) * | 2012-07-11 | 2014-05-09 | 전자부품연구원 |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
WO2014035432A2 (en) | 2012-08-31 | 2014-03-06 | Nest Labs, Inc. | Dynamic distributed-sensor network for forecasting external events |
CN102915346B (zh) * | 2012-09-26 | 2015-07-01 | 中国科学院软件研究所 | 面向物联网智能感知的数据索引建立与查询方法 |
KR101558236B1 (ko) * | 2012-10-16 | 2015-10-12 | 전자부품연구원 |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
US9769034B2 (en) * | 2012-12-14 | 2017-09-19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olicy based routing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based home networks |
EP2954666A1 (en) * | 2013-02-08 | 2015-12-16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NCORPORATING AN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 INTERFACE PROTOCOL LAYER IN A NODE |
EP3005659B1 (en) * | 2013-05-28 | 2019-07-10 | Convida Wireless, LLC | Load balancing in the internet of things |
US9372922B2 (en) * | 2013-07-11 | 2016-06-21 | Neura, Inc. | Data consolidation mechanisms for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
US9774709B2 (en) * | 2013-11-18 | 2017-09-26 |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 Service discovery |
US20150381737A1 (en) * | 2014-06-30 | 2015-12-31 | Davra Networks Limited | Gateway device and a gateway system for an internet-of-things environment |
-
2015
- 2015-08-06 US US14/820,370 patent/US10001759B2/en active Active
- 2015-08-07 CN CN201580042879.9A patent/CN106576220B/zh active Active
- 2015-08-07 ES ES15753810.9T patent/ES2681629T3/es active Active
- 2015-08-07 BR BR112017002283-4A patent/BR112017002283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5-08-07 AU AU2015301975A patent/AU2015301975B2/en active Active
- 2015-08-07 WO PCT/US2015/044340 patent/WO201602533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08-07 HU HUE15753810A patent/HUE039764T2/hu unknown
- 2015-08-07 EP EP15753810.9A patent/EP3180902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08-07 KR KR1020177003722A patent/KR10255278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8-07 JP JP2017507006A patent/JP6640833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501202A (ja) | 2004-05-24 | 2008-01-1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 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化システム用の装置アブストラクションレイヤ |
US20070055390A1 (en) | 2005-09-06 | 2007-03-08 | Homexperience Inc. | Extensible universal home automation integration framework and user interface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Konstantinos Kotis et al., "Semantic Interoperability on the Web of Things : The Semantic Smart Gateway Framework" , CISIS 2012, 4 July 2012, pages 630-635. |
Zheng Hu et al., "Representation and self-configuration of physical entities in extended Smart Grid perimeter", ISGT EUROPE 2012, 14 October 2012, pages 1- 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531357A (ja) | 2017-10-19 |
US10001759B2 (en) | 2018-06-19 |
EP3180902A1 (en) | 2017-06-21 |
BR112017002283A2 (pt) | 2018-02-06 |
AU2015301975A1 (en) | 2017-02-02 |
HUE039764T2 (hu) | 2019-02-28 |
EP3180902B1 (en) | 2018-05-16 |
WO2016025336A1 (en) | 2016-02-18 |
CN106576220A (zh) | 2017-04-19 |
CN106576220B (zh) | 2020-01-03 |
AU2015301975B2 (en) | 2018-11-29 |
JP6640833B2 (ja) | 2020-02-05 |
ES2681629T3 (es) | 2018-09-14 |
KR20170041743A (ko) | 2017-04-17 |
BR112017002283B1 (pt) | 2023-05-02 |
US20160041534A1 (en) | 2016-02-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2789B1 (ko) | 사물 인터넷(iot)네트워크에서 이벤트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EP3146733B1 (en) | Triggering commands on a target device in response to broadcasted event notifications | |
US9596603B2 (en) | Distributed bulk onboarding process | |
US9185641B2 (en) | Using discoverable peer-to-peer services to allow remote onboarding of headless devices over a Wi-Fi network | |
EP3047616B1 (en) | A user interactive application enabled gateway | |
US20150156266A1 (en) | Discovering cloud-based services for iot devices in an iot network associated with a user | |
CN106256105B (zh) | 用于设置用户偏好或设备配置的方法和装置 | |
US20160128043A1 (en) | Dynamic mobile ad hoc internet of things (iot) gateway | |
US20150071052A1 (en) | Reconfiguring a headless wireless device | |
US20150071216A1 (en) | Allowing mass re-onboarding of headless devices | |
US2015025638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uman readable representation of an event and a human readable action in response to that event | |
EP3152882B1 (en) | Determining trust levels on a device receiving authorization | |
US20160119403A1 (en) | Modification-time ordering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