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780B1 -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 Google Patents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780B1
KR102552780B1 KR1020160113197A KR20160113197A KR102552780B1 KR 102552780 B1 KR102552780 B1 KR 102552780B1 KR 1020160113197 A KR1020160113197 A KR 1020160113197A KR 20160113197 A KR20160113197 A KR 20160113197A KR 102552780 B1 KR102552780 B1 KR 10255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temperature
degree
menopausal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1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6169A (en
Inventor
김승훈
김수현
이해광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1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780B1/en
Publication of KR2018002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78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은,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온도 분석부,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nd the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and a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configured to measure a temperature in a second region, and a temperature analyze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 menopausal symptom severity calculation unit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Description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of menopausal symptoms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본 발명은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피부 온도 이미지 영상 분석을 통해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객관적 및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which can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measur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through image analysis of a skin temperature image.

"갱년기"란 여성의 노화과정에서 생식능력이 쇠퇴하는 시기를 말하는 것으로서, 갱년기에는 난소의 기능 저하와 노화로 인해 폐경과 더불어 "갱년기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신체적, 정신적, 생리학적 증상들을 동반하게 된다. 이 시기의 여성들 중 일부는 아무런 증상도 겪지 않고 지나가지만, 대부분의 여성들은 "홍조", "발한", "불안", "우울", "불면" 등과 같은 증상들을 겪고 이는 생활에 큰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삶의 부분이 강조되면서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Menopause" refers to a period in which women's fertility declines during the aging process. Menopause is accompanied by physical, mental, and physiological symptoms called "menopausal syndrome" along with menopause due to ovarian function decline and aging. Some women during this period pass without experiencing any symptoms, but most women suffer from symptoms such as "hot flashes", "sweating", "anxiety", "depression", "insomnia", etc. will cause As the part of life is emphasized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interest in menopausal syndrome is increasing.

이러한 갱년기 증상을 평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을 통해 다양한 증상 패턴들을 측정하고 이를 객관화 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이뤄져 왔다. 대표적인 예로서, 갱년기 지수(Kupperman's index) 라는 대상자들에 대한 설문 평가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문 평가는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평가에 근거한 것이므로 객관화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Through many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se menopausal symptoms,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easure and objectify various symptom patterns.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 is a questionnaire evaluation of subjects called a menopausal index (Kupperman's index). However, since these survey evaluations were based o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subjects, it was difficult to objectify them.

비특허문헌 1의 경우 갱년기 증상을 호소하는 질병 부위들의 평균 온도와 부위별 온도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특허문헌 1의 경우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만 각각의 부위별 평균 온도와 그 온도차이가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나, 갱년기 증상의 경우 그 증상 발생 시점 및 여부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 결국 신뢰성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In the case of Non-Patent Document 1, it is disclosed to investigate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disease parts complaining of menopausal symptoms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for each part. However, in the case of Non-Patent Document 1,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for each part show meaningful results only when symptoms occur, but in the case of menopausal symptoms,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time and whether the symptoms occur, resulting in reliability There was a problem in which it was difficult to obtain a certain result.

갱년기 증상을 호소하는 여성들의 적외선 체열 영상 유형에 대한 연구; 허자경, 이창훈, 이경섭;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제22권 제3호 (2009년 8월) 143-151페이지. A study on the type of infrared body temperature imaging in women complaining of menopausal symptoms; Heo Ja-kyung, Lee Chang-hoon, Lee Kyung-seop; Korean Journal of Oriental Gynecology, Vol. 22, No. 3 (Aug. 2009) pp. 143-15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pable of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또한, 객관적이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한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that can be objectively and accurately measu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은,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온도 분석부,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temperature within the interior, a temperature analyzer for calculating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a menopausal symptom severity calculation unit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열화상 이미지 측정부이고, 상기 온도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열화상 이미지 분석부일 수 있다.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a thermal image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rmal imag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the temperature analyzer measures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rom the thermal image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t may be a thermal image analysis unit that calculates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이고, 상기 온도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ttach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measure temperatures, and the temperature analyzer comprises a plurality of temperatures distribut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may be calculated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1]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 S1 = │X1 - X2[Equation 1] S 1 = │X 1 - X 2

여기서, S1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은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 X2는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이다. Here, S 1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and X 2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2]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 S2 = │Y1 - Y2[Equation 2] S 2 = │Y 1 - Y 2

여기서, S2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Y1은 상기 제1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 Y2는 상기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이다. Here, S 2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Y 1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Y 2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3]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menopausal symptom level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menopausal symptom level value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3].

[식 3] S3 = │Y1/X1 - Y2/X2[Equation 3] S 3 = │Y 1 /X 1 - Y 2 /X 2

여기서, S3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 Y1은 각각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고, X2와 Y2는 각각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다. Here, S 3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and Y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respectively, and X 2 and Y 2 are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피험자의 뺨 부위일 수 있다.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may be the subject's cheek are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Calculating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one of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the ab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where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measuring a thermal image of the region; calculating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the thermal imag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nd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two reg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pable of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즉, 열화상 이미지 또는 열 센서를 사용하여 기존의 주관적 설문 평가에 의존하였던 갱년기 증상 측정을 수치화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갱년기 증상, 즉 안면 홍조와 같은 증상이 발현되고 있는 상황이 아니더라도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정확하고, 정밀하며, 신뢰도 높은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quantified results of menopausal symptom measurement, which relied on subjective questionnaire evaluation, using a thermal image or a thermal sensor, and can provide symptoms even when menopausal symptoms, that is, symptoms such as hot flashes, are not occurr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ccurate, precise, and reliabl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that can be meas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며, 갱년기 증상의 완화 정도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asuring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that can accurately and precisely measure and analyze the degree of relief of menopausal sympto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에 측정된 열화상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비교예에 따라 육안 평가된 열화상 이미지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easuring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easuring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hermal image measur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thermal images evaluated with the naked eye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present embodiments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exemplifying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echnology disclos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module' or 'unit' perform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with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modules' or a plurality of 'units' are integrated into at least one module and implemented by at least one processor (not shown), except for 'modules' or 'units' that need to be implemented with specific hardware. It can be.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easuring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은,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10),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온도 분석부(20),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A measuring unit 10, a temperature analyzer 20 that calculates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and the first and a menopausal symptom severity calculation unit 30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상기 온도 측정부(10)는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갱년기의 대표적인 증상인 안면 홍조 증상의 경우, 갱년기의 호르몬 변화로 발생하며 얼굴, 목, 머리, 가슴 부위의 피부가 갑자기 붉게 변하며 전신의 불쾌한 열감과 발한이 동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단순히, 열이 나서 특정 부위의 온도가 오르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10 may measure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the subject's face. In the case of hot flashes, a representative symptom of menopause, it is caused by hormonal changes during menopause, and the skin of the face, neck, head, and chest suddenly turns red, accompanied by an unpleasant feeling of heat and sweating throughout the body. There is a difference from simply having a fever and raising the temperature of a specific part.

안면 홍조의 경우 갱년기 여성의 70% 정도가 경험하며, 이러한 증세는 대략 1 내지 3분 이내로 지속되고, 그 빈도는 하루에 대략 5회 내지 10회 정도 나타난다. In the case of hot flashes, about 70% of menopausal women experience these symptoms, and these symptoms last about 1 to 3 minutes, and the frequency appears about 5 to 10 times a day.

안면 홍조 증상의 경우, 단순히 체온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증상 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증상이 나타나는 주기가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며, 빈도도 불규칙하여 단순히 체온을 측정하는 것만으로는 증상 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In the case of hot flashe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egree of symptoms simply by measuring body temperature. The cycle of symptoms is not fixed, and the frequency is irregular, so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degree of symptoms simply by measuring body temperature.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얼굴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대칭성을 확인한다. 즉, 열감 또는 발한의 상태는 피부 표면상에 분포된 모세혈관이 부분적으로 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급격하게 팽창하거나 확장되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부위와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부위가 공존하기 때문에 느껴지며, 즉 피부 표면상의 온도 분포의 불균형에 의해 느껴진다. 특히 안면 홍조의 경우 평소 좌우 대칭을 이루고 있는 얼굴 부위(뺨, 목, 머리, 가슴 부위)의 온도 분포의 불균형으로 인해 느껴지는 것이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mperature symmetry is confirmed by measuring temperatures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that are symmetrical on the face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That is, the state of heat sensation or sweating is felt because the capillaries distributed on the skin surface are partially expanded or expanded rapidly under the influence of hormones, etc., so that areas with relatively high temperatures and areas with relatively low temperatures coexist, That is, it is felt by an imbalance 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n the skin surfa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facial flushing, it is felt due to an imbalance 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parts of the face (cheek, neck, head, chest) that are normally symmetrical.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분석부(20)에서는 얼굴 부위에서 온도 분포의 불균형을 확인하기 위하여, 얼굴에서 좌우 대칭이 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heck the imbalance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face part, the temperature analyzer 20 averages and temperatures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that are symmetrical on the face. Calculate the standard deviation.

그리고,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30)에서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을 비교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30 compares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o quantitatively analyze and calculat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얼굴 부위의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뺨, 목, 머리 및 가슴 부위에서 좌우 대칭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양측 뺨 부위의 경우 체내의 다른 기관이나 혈관에 영향이 적어 상대적으로 모세혈관에 의한 온도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refer to symmetrical regions of the face, and more specifically, may be symmetrical regions of the cheeks, neck, head, and chest. .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both cheeks, temperature changes due to capillaries can be relatively accurately measured because other organs or blood vessels in the body are less aff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측정부(1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도 분석부(20)에서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10 may be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ttach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measure temperatures.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analyzer 20 determines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temperature values measured from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distribut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can be calculated

즉, 얼굴의 대칭 영역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일 예로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지점에서 측정된 온도의 평균 값과 표준 편차 값을 사용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temperature sensors attached to symmetrical regions of the 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for example at regular intervals, may be used. In addition,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may be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temperatures measured at each point.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easuring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측정부(20)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열화상 이미지 측정부(11)이고, 상기 온도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열화상 이미지 분석부(21)일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이미지 분석부(21)는 일 예로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20 is a thermal image measurement unit 11 that measures thermal image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nd the temperature analysis unit The thermal image analysis unit 21 may calculate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the thermal imag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the thermal image analysis unit 21 may use an image analysis program.

그리고,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31)에서 이미지 분석부(21)에서 도출한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인 결과로서 산출해 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may be calculated as a quantitative result by the menopausal symptom level calculator 31 using at least one of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derived by the image analyzer 21 .

상기 열화상 이미지 측정부(11)는 피험자의 얼굴 부위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화상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는 기술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열화상 이미지의 경우 제1 영역 및 제2 영역 전체에 걸쳐 온도를 측정하고, 그 평균 값과 표준 편차 값을 사용하므로 보다 정확한 갱년기 증상의 정도 산출이 가능하다. The thermal image measuring unit 11 is for capturing a thermal image of the subject's face,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may be used, and various devices that may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capable of capturing thermal images may be used. . In the case of the thermal image, temperatures are measured throughout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the mean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value are used, so that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n be more accurately calcul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화상 이미지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에 열화상 카메라의 중심을 맞추어, 좌/우측 이미지상이 동일하게 측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에 따른 온도 변화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피험자의 촬영 시점이나 촬영 전후에 열화상 카메라와 피사체의 거리를 고정하고, 열화상 영상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화면에 차게 촬영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distortion of the thermal image, the center of the thermal imaging camera is aligned with the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in the subject's face so that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measured identically. can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f temperature change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distance between the thermal imaging camera and the subject is fixe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subject or before and after photographing, and the thermal image can be captured 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while filling the screen.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대칭되는 뺨 영역인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이 화면에 차게 촬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의 중심은 피험자의 코와 입을 지나가는 중심축에 맞춰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영역(A)과 제2 영역(B)은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영역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3 shows a thermal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which are symmetrical cheek areas, are captured on the screen. The center of the thermal imaging camera may be aligned with a central axis passing through the subject's nose and mouth, and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may be set as areas at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또한, 항온/항습 등의 일정한 환경 조건이 가능한 방에 5 내지 30분 가량, 일 예로 20분 이상 편한 자세로 대기하여 측정 부위를 안정화시킨 뒤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image may be measured after stabilizing the measurement site by waiting in a comfortable posture for about 5 to 30 minutes, for example, 20 minutes or more in a room where constan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onstant temperature/humidity ar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면 홍조 증상이 발생하는 시점이 아니더라도, 안면 홍조 전후의 호르몬 변화에 의한 모세 혈관의 미세한 변화를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표준 편차로 측정하기 때문에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해 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hot flush symptom does not occur, measuring minute changes in capillaries due to hormonal changes before and after hot flushes as average temperatur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symmetrical first and second regio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특히, 표준 편차의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다양한 지점들이 평균 온도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이러한 표준 편차가 크다는 것은 해당 영역의 온도의 산포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표준 편차의 차가 크다는 것은 대칭되는 영역에서의 온도의 산포도가 크다는 것, 즉 국부적으로 온도가 높거나 낮은 지역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면 홍조 증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도 열화상 이미지를 통하여 갱년기 증상을 측정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standard deviation, since it is an indicator of how much the various points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differ from the average temperature, a large standard deviation means that the dispersion of the temperature in the corresponding region is lar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A large difference means that the dispersion of temperature in a symmetrical area is large, that is, there are more areas with high or low temperatures locally.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nopausal symptoms can be measured through thermal images even in a situation where hot flashes do not occur.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30, 31)는 다음의 [식 1]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ors 30 and 31 may calculat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1].

[식 1] S1 = │X1 - X2[Equation 1] S 1 = │X 1 - X 2

여기서, S1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은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 X2는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이다. 평균 온도의 차를 측정함으로써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국부적인 온도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다. Here, S 1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and X 2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A local temperature imbalance between the symmetrical first and second regions may be confirmed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average temperature.

평균 온도차가 크다는 것은, 대칭되는 영역 중 일부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고 다른 부분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온도 불균형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e fact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means that a temperature imbalance occurs because the temperature of one part of the symmetrical area is relatively higher and the temperature of another part is relatively low, so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n be calculated through this.

또한,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30, 31)는 다음의 [식 2]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ors 30 and 31 may calculat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2].

[식 2] S2 = │Y1 - Y2[Equation 2] S 2 = │Y 1 - Y 2

여기서, S2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Y1은 상기 제1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 Y2는 상기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이다.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의 차를 이용하여 국부적인 온도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다.Here, S 2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Y 1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Y 2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A local temperature imbalance may be identified using a difference betwee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symmetrical first and second regions.

즉, 온도 표준 편차의 차가 크다는 것은, 어느 한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가 더 크다는 것이다. 즉, 어느 한 영역 내에서 온도의 산포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지점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지점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를 통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is large,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in one area is larger. That is, it means that a point with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and a point with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exist due to a high degree of dispersion of temperature within a certain region, and thu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n be calculated.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3]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 정도 값을 산출할 수 있다.The menopausal symptom level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menopausal symptom level value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3].

[식 3] S3 = │Y1/X1 - Y2/X2[Equation 3] S 3 = │Y 1 /X 1 - Y 2 /X 2

여기서, S3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 Y1은 각각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고, X2와 Y2는 각각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다. 표준 편차를 평균 온도로 나눈 값은 해당 영역의 온도 산포도의 비율을 나타낸다. 즉, 표준 편차를 평균 온도를 나눈 값이 크다는 것은 해당 영역 내에서 온도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Here, S 3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and Y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respectively, and X 2 and Y 2 are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tandard deviation by the average temperature represents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spread in the region. That is, a larg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tandard deviation by the average temperature means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within the corresponding region.

즉,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의 차이가 있는 경우, 온도 산포도의 비를 비교하기 위해 위 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식 3의 값이 크다는 것은 어느 한 지역의 온도 산포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지점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지점이 공존하여 온도 불균형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above formula can be used to compare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spread, and the higher the value of Equation 3, the higher the temperature spread in one region, and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is means that a point with a high temperature and a point with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coexist, resulting in a temperature imbalance. Therefor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an be calculated from th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온도차(S1),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 및 온도 표준 편차와 평균온도의 비의 차(S3)는 이중 하나의 값만을 사용하여 갱년기 증상을 분석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값을 사용하여 이를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S 2 ),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temperature (S 3 ) are symptoms of menopause using only one of these values. may be analyzed, and one or more values may be used to analyze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온도차(S1)가 큰 경우, 평균 온도차(S1) 만으로도 대칭 영역의 온도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으나, 평균 온도차(S1)가 크지 않은 경우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 또는 온도 표준 편차와 평균온도의 비의 차(S3)를 사용하여 온도의 산포도를 확인하여 대칭 영역 중 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온도의 불균형을 확인해 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is large, the temperature imbalance of the symmetric region can be confirmed only by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ut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is not larg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 S 2 ) 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temperature (S 3 ) can be used to check the temperature scatter plot to identify the temperature imbalance that occurs in one of the symmetrical regions.

하나 이상의 값을 사용하여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More precise and accurate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more than one valu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10),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in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are measured. (S10), calculating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20), and and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S30).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단계(S10),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S20),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where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a subject's face Measuring the thermal image of the region (S10), calculating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the thermal imag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20), and and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30).

상술한 갱년기 증상의 정도 측정 시스템에 대한 내용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측정 방법에 대한 것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information about the above-described degree measurement system of menopausal symptoms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method of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주관적 설문평가에 의한 갱년기 증상의 정도 측정 또는 평가를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차, 온도 표준 편차의 차, 그리고 평균온도에 대한 온도표준편차의 비의 차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해 졌으며, 정량적 분석을 통해 차가 발생하는 경우 증상의 발현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or evaluation of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y the conventional subjective questionnaire evaluation is performed us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and the ratio of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to the average temperature. By quantitatively analyzing through the difference of , quantitative analysis is possible, and when a difference occurs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e degree of symptom expression can be evaluated.

또한, 열화상 이미지에서 육안으로만 온도차를 평가하는 경우 연구자에 따라 최소 0.3 ℃이 최대 1.0 ℃의 차이밖에 구별할 수 없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별할 수 있는 최소 온도차는 0.03 ℃이고 온도표준편차의 차는 0.005 ℃이며, 온도표준편차/평균온도의 차는 0.00005로 정도가 된다. 즉, 본 발명을 통해 증상의 발현 및 개선을 육안으로는 평가할 수 없는 범위까지 평가할 수 있어 갱년기 또는 갱년기 제품의 연구 및 시험 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valuating a temperature difference only with the naked eye in a thermal image, researchers can only distinguish a difference between a minimum of 0.3 ° C and a maximum of 1.0 ° C.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imum temperature difference that can be distinguished is 0.03 ° C. ,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 is 0.005 ℃, and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is about 0.00005.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evaluate the manifestation and improvement of symptoms to a range that cannot be evaluated with the naked eye, so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in the research and testing stage of menopause or menopausal products.

[실시예 1][Example 1]

14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 완화 제품을 섭취하기 전과 후의 갱년기 증상 정도 측정 시스템으로 갱년기 증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For 14 subject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was measured with the menopausal symptom level measurement system before and after taking the menopausal symptom relief product.

피험자들의 양쪽 뺨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섭취 전/후 평균 온도의 차(S1)를 측정하였고, 아래 [표 1]과 같았다. The difference (S 1 ) in average temperature before/after intak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of both cheeks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 [Table 1]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1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1

그리고, 피험자들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섭취 전/후의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와,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섭취 전/후의 온도 표준 편차/평균온도의 비의 차(S3)를 산출 하였고 이는 아래 [표 2]와 같았다.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ubjects before/after intak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S 2 )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average temperature ratio before/after intake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 S 3 ) was calculated, which was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2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2

위 [표 1]을 참조하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가 크다는 것은, 온도 불균형이 발생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섭취 전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가 가장 큰 피험자 7의 경우 심한 갱년기 증상의 정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Referring to [Table 1] above, the fact that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is large means that a temperature imbalance has occurred.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evere menopausal symptoms was high in subject 7, who had the largest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fore intake.

한편,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가 상대적으로 작았던, 피험자 9의 경우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는 작았으나, 위 [표 2]를 참조하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평균 온도의 차(S3)가 비교적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ubject 9,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was relatively small,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reas was small, but the above [Table 2] ,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 2 ) or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3 )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as relatively high.

피험자 9의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가 적더라도 어느 한 영역에서의 온도 산포도가 높아 국부적으로 온도가 높고 낮은 영역이 존재하므로, 심한 갱년기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the case of subject 9, even if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as small, it was confirmed that he was experiencing severe menopausal symptoms because the temperature spread in one region was high and there were regions with high and low temperatures locally.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섭취 전/후의 온도차(S1) 값의 변화가 미소한 차이로 줄어들었던 피험자 11과 피험자 14의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평균 온도의 차(S3)는 다른 피험자들에 비하여 크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Table 1], in the case of subjects 11 and 14 in which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value before/after intake was reduced to a slight differenc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 2 ) or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3 )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 3 ) was found to be greatly reduced compared to other subjects.

섭취 전후에 피험자 11과 피험자 14는 갱년기 증상의 개선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Before and after intake,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s 11 and 14 improved menopausal symptom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동일한 피험자들에 대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제품의 섭취 전/후의 증상 정도를 갱년기 지수(Kupperman's index) 항목(하기 [표 3])으로 주관적 설문 평가를 수행하였다. 갱년기 지수가 높을수록 증상의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For the same subjects, subjective questionnaire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e degree of symptoms before/after intake of menopausal symptom relief products as Kupperman's index items (Table 3 below). The higher the menopausal index, the more severe the symptoms.

[표 3] [Table 3]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3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3

그리고, 이와 동시에 열화상 이미지의 육안 평가를 수행하였다. 갱년기 증상 완화 제품의 섭취 전후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에서, 도 5에서와 같이 1점 내지 5점 사이에서 비대칭일수록 낮은 점수를 부여하고 대칭일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게 하였다. 피험자 1 내지 14에 대한 갱년기 지수와 온도 불균형에 대한 육안 평가는 아래 [표 4]와 같았다. And, at the same time, visual evaluation of the thermal image was performed. In the thermal image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efore and after intake of the menopausal symptom relief product, as shown in FIG. 5, a lower score was assigned as the asymmetrical between 1 and 5 points, and a higher score was assigned as the symmetrical product was obtained. The visual evaluation of the menopausal index and temperature imbalance for subjects 1 to 14 was shown in [Table 4] below.

[표 4][Table 4]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4
Figure 112016085928890-pat00004

위 [표 4]를 참조하면, 피험자 7과 9의 경우 갱년기 지수가 모두 20 이상으로 그 정도가 심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위 실시예 1에서 검토한 것과 같이 피험자 7과 9의 경우 온도 분포의 불균형으로 인해 심한 갱년기 증상을 겪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4] above,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subjects 7 and 9, the menopausal index was 20 or more, which was severe. That is, as reviewed in Example 1 above, it can be confirmed that subjects 7 and 9 suffered severe menopausal symptoms due to an imbalance in temperature distribution.

그러나, [표 1]을 참조하면 피험자 7의 경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가 피험자 9에 비하여 대략 7배 정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갱년기 증상의 주관 평가의 경우 평가자의 주관적 관점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위 표 4의 피험자의 설문 결과에 근거하면 갱년기 지수의 경우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차(S1)의 경우 대략 7배 정도 큰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육안으로도, 즉 육안 평가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었다. However, 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subject 7,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about 7 times higher than that of subject 9. In the case of subjective evaluation of menopausal symptoms, errors may occur due to the subjective viewpoint of the evaluator. That i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the subjects in Table 4 above, there wa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case of the menopausal index, but in the case of the 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of about 7 times. This could be confirmed visually, that is, by visual evaluation.

한편, 피험자 11과 피험자 14의 경우 위 [표 4]를 참조하면 육안으로는 섭취 전후의 온도차가 거의 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실시예 1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섭취 전/후의 온도차(S1) 값의 변화가 미소한 차이로 줄어들었으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의 차(S2) 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평균 온도의 차(S3)는 다른 피험자들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여 갱년기 증상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피험자의 갱년기 지수의 변화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ubjects 11 and 14, referring to [Table 4],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emperature before and after intake with the naked eye. However, as reviewed in Example 1 above, the chang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S 1 ) before/after intake was reduced to a slight difference, but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S 2 ) or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average temperature difference (S 3 ) betwee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was greatly reduced compared to other subjects, confirming that menopausal symptoms were improved, which could also be confirmed by changes in the subject's menopausal index. there was.

10: 온도 측정부
20: 온도 분석부
30: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
10: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20: temperature analysis unit
30: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Claims (9)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온도 분석부; 및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As a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the subject's face;
a temperature analyzer configured to calculate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nd
and a menopausal symptom severity calculation unit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열화상 이미지 측정부이고,
상기 온도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열화상 이미지 분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is a thermal image measurement unit that measures thermal image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The temperature analyzer is a thermal image analyzer that calculates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from the thermal imag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각각 기설정된 간격으로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복수의 온도 센서이고,
상기 온도 분석부는,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 분포된 복수의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erature measuring unit i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ttached to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measure temperatures,
The temperature analyzer calculates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emperature values measured from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distribut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system for measuring menopausal symptom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1]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식 1] S1 = │X1 - X2
여기서, S1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은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 X2는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1].
[Equation 1] S 1 = │X 1 - X 2
Here, S 1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first region, and X 2 is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2]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식 2] S2 = │Y1 - Y2
여기서, S2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Y1은 상기 제1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 Y2는 상기 제2 영역의 온도 표준 편차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2].
[Equation 2] S 2 = │Y 1 - Y 2
Here, S 2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Y 1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Y 2 is the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는 다음의 [식 3]에 기초하여 갱년기 증상 정도 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식 3] S3 = │Y1/X1 - Y2/X2
여기서, S3은 갱년기 증상의 정도 값, X1 Y1은 각각 상기 제1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고, X2와 Y2는 각각 상기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이다.
According to claim 1,
The menopausal symptom severity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nopausal symptom severity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menopausal symptom severity value based on the following [Equation 3].
[Equation 3] S 3 = │Y 1 /X 1 - Y 2 /X 2
Here, S 3 is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X 1 and Y 1 is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respectively, and X 2 and Y 2 are the averag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second region,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피험자의 뺨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cheeks of the subject.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온도 측정부에 의해,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 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온도 분석부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측정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방법.
As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measuring temperatures i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symmetrical about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the subject's face by a temperature measuring unit;
calculating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ased on the temperatures measured in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a temperature analyzer;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omprising the step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a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열화상 이미지 측정부에 의해, 피험자의 얼굴 부위에서 코와 입을 지나는 축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를 측정하는 단계;
열화상 이미지 분석부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와 온도 표준 편차를 산출하는 단계;
갱년기 증상 정도 산출부에 의해,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평균 온도 및 온도 표준 편차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갱년기 증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년기 증상 정도의 측정 방법.
As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measuring, by a thermal image measuring unit, thermal images of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that ar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axis passing through the nose and mouth of the subject's face;
calculating an average temperature and a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from the thermal image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a thermal image analyzer;
A method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comprising the step of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degree of menopausal symptoms from at least one of average temperatures and temperature standard deviations of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by a menopausal symptom degree calculation unit. .
KR1020160113197A 2016-09-02 2016-09-02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KR10255278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97A KR102552780B1 (en) 2016-09-02 2016-09-02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197A KR102552780B1 (en) 2016-09-02 2016-09-02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69A KR20180026169A (en) 2018-03-12
KR102552780B1 true KR102552780B1 (en) 2023-07-10

Family

ID=6172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197A KR102552780B1 (en) 2016-09-02 2016-09-02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780B1 (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51B1 (en) * 2007-08-23 2014-08-25 (주)메쉬 Infrared thermography det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69A (en) 2018-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inotto et al. Physical frailty and gait speed in community elderly: a systematic review
Ji et al. Parametric comparisons of intracranial mechanical responses from three validated finite element models of the human head
Wiley et al. A metabolic syndrome severity score: A tool to quantify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Panerai et al. Statistical criteria for estimation of the cerebral autoregulation index (ARI) at rest
Raghuram et al. Automated movement recognition to predict motor impairment in high‐risk infants: a systematic review of diagnostic test accuracy and meta‐analysis
KR101117770B1 (en) Apparatus for alzheimer's disease diagnosis using eeg(electroencephalogram) analysis
Schmidt et al. Balance regularity among former high school football players with or without a history of concussion
US9256937B2 (en) Assessing peripheral vascular disease from a thermal image
US2011023078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mentia diagnosis through eeg (electroencephalogram) analysis
JP2010017447A (en) Walking movement analyzer, walking movement analyzing method, walking movement analyzing program and its recording medium
KR102321991B1 (en) Method for analyzing shape of respiratory tract for diagnosis of sleep apnea and apparatus thereof
JP2017522927A (en) Biological brain age calculation device and calculation method thereof
RU2015144472A (en) MONITORING PATIENTS WITH COPD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FTER DISCHARGE FROM THE HOSPITAL USING A DYNAMIC BASIC LEVEL OF SYMPTOMS / MEASUREMENTS
JP5199685B2 (en) Examination value conversion program for health check
Yang et al. Optimised retinopathy of prematurity screening guideline in China based on a 5-year cohort study
Juliastuti et al. Risk zone estimation of newborn jaundice based on skin color image analysis
Betteridge et al. Objectifying clinical gait assessment: using a single-point wearable sensor to quantify the spatiotemporal gait metrics of people with lumbar spinal stenosis
Vellara et al. In vivo ocular biomechanical compliance in thyroid eye disease
KR102552780B1 (en) Measuring system and measuring method of degree of menopausal symptom
Cao et al. Evaluation of an Expanded Disability Status Scale (EDSS) modeling strategy in multiple sclerosis
Vanhelst et al. Concurrent validity of the modified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for French obese adolescents
KR20160035318A (en) Methods of measuring the degree of panic disorder by using SampEn
Schwesig et al. Comparison of intraobserver single-task reliabilities of the Interactive Balance System (IBS) and Vertiguard in asymptomatic subjects
García-González et al. A methodology to qua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alternative methods of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ement
Pundlik et al. Area under the dark adaptation curve as a reliable alternate measure of dark adaptation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