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2172B1 -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2172B1
KR102552172B1 KR1020220088140A KR20220088140A KR102552172B1 KR 102552172 B1 KR102552172 B1 KR 102552172B1 KR 1020220088140 A KR1020220088140 A KR 1020220088140A KR 20220088140 A KR20220088140 A KR 20220088140A KR 102552172 B1 KR102552172 B1 KR 10255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dementia
range
personalized
iad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626A (ko
Inventor
권이남
전홍우
박건우
조광희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Priority to PCT/KR2022/01888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96416A1/ko
Publication of KR2023007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eu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은,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PERSONALIZ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S DEMENTIA}
본 개시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의 인지능력과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에 기반하여 치매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노인 인구 비율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선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유병률이 2012년에는 9.2%(54만 명)으로 나타났으며, 2030년에는 127만명, 2050년에는 약 27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의료 수준상 치매는 완치가 불가능한 병이라는 점에서 치매의 발병을 조기에 진단하여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만이 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해결책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독거 노인 또는 의료에 취약한 노인의 경우 치매의 위험에 대해 면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부족하기 때문에 치매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특히, 고령화된 노인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보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외부의 인력들을 통해 노인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일상생활 능력정보를 기반으로 치매를 진단하는 발명은 스마트홈 기술을 기반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집에서 유사한 생활패턴으로 보내는 노인들에 대해 일상생활 능력정보를 이용하여 치매를 진단하는 방법이었다.
기존의 일상생활 능력정보를 기반으로 치매를 진단하는 발명보다 개인화된 일상생활 모델을 이용하여 성능 및 정확도가 향상된 치매 발병 진단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2931호 (2020.04.14 등록)
논문문헌 양영순, 양현덕, 홍윤정, 김정은, 박문호, 나해리, 한일우, 김상윤"일상생활능력과 치매"2012; 11: 29-37
본 개시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대상자의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일상생활 패턴을 고려한 정상 행위 범위 개인화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의 인지능력을 고려한 정상 행위 범위 개인화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활동 데이터를, 상기 조정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이진화 하는 단계와, 상기 이진화 된 IADL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정상 행동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활동 데이터를 평가하되,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된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위험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0.5*IQR 보다 크고 Q3+0.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하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IQR 보다 크고 Q3+1*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중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2*IQR 보다 크고 Q3+1.2*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상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5*IQR 보다 크고 Q3+1.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대상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제1 대상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계 학습된 치매 진단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IADL 패턴으로부터 액션 데이터를 얻는 제1 단계와, 상기 액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정상 여부를 평가하는 제2 단계와, 정상으로 평가된 액션 데이터는 제1 기호로, 비정상으로 평가된 액션 데이터는 제2 기호로 변환하는 제3 단계와, 상기 IADL 패턴에 시간 순서로 포함된 상기 액션 데이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방법은, 피험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피험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피험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매 진단 모델을 기계 학습 시키는 단계와, 상기 기계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는,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메모리와,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과,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제공하는 장치는,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결과를 저장하는 스토리지와,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메모리와,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과,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제1 대상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과,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계 학습된 치매 진단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인의 일상생활 패턴을 고려한 정상 행위 범위의 개인화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여 치매 발생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인의 인지능력을 고려한 정상 행위 범위의 개인화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여 치매 발생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일상생활 능력정보 데이터 수집 시 상황을 고려한 패턴 세밀화 방법을 적용하여 대상자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여 치매 발생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기준 생성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MMSE 점수에 기반하여 나뉘는 인지능력 등급과, 인지능력 등급에 기반하여 기준 범위가 나뉘는 개인화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 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은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일부 동작의 수행 주체에 대한 기재가 생략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동작의 수행 주체는 상기 컴퓨팅 장치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기재에서 상기 컴퓨팅 장치는 ‘치매 발병 진단 장치'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시스템은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 센서 기기(200), 정보 DB(500), 인지능력 데이터(400)를 저장하고 치매 발병 진단 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병원 시스템(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대상자에게 부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대상자가 거주하고 있는 집에 설치될 수 있는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센서 기기(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자신을 돌보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신체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대소변 가리기, 화장실 사용하기, 세수하기, 목욕하기, 식사하기, 옷 입기, 이동하기, 걷기,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은 기본적이고 육체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일상생활 능력정보이다.
기본적이고 육체적인 신체적 일상생활 능력정보에 비해 복잡한 인지능력을 필요로 하는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전화 사용, 물건 구입, 음식 장만, 돈 관리, 재정 관리, 가정 돌보기, 교통 수단 이용, 길 찾기, 취미생활, 약 복용, 신문 읽기, 세탁, TV 보기, 탐구적 또는 창의적 활동, 상황대응 등과 같은 동작을 포함한다.
신체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치매 말기까지도 대체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는 데 비해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치매 초기 단계부터 민감하게 감퇴하는 경향이 있다.
대상자의 상태를 민감하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는 데이터에 따라 생성된 모델을 진단에 이용하는 것은 모델의 생성에 반영된 데이터의 표본크기가 작아도 모델을 이용한 진단의 성능과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에서 상기 도구적 일상생활 능력정보는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로 지칭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IADL 수집항목은 조리 기구, 세탁 기구, 청소 기구, 가전 기구 등의 도구를 사용하는 모든 활동 횟수와 활동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자가 조리 시 한 번에 냉장고와 가스 레인지를 이용하는 행동, 한 번에 가스 레인지와 씽크대 수전을 이용하는 행동 등 동시에 연관된 조리 기구를 사용하는 행동의 횟수와 사용 시간, 특정 시간대(아침/점심/저녁/밤)의 활동 횟수와 활동 시간 등에 대한 항목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대상자의 IADL을 모니터링하여 대상자의 행동에 따라 IADL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센서 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을 정보 DB(50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정보 DB(500)로부터 기 저장된 대상자의 IADL 패턴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기 IADL 패턴은, 대상자의 IADL 데이터의 시계열 시퀀스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ADL 패턴은 소정의 시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ADL 패턴은 24시간 동안의 대상자의 IADL 데이터를 시계열적으로 연결한 것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대상자에게 부착될 수 있는 디바이스로서 대상자의 생체 정보와 위치 정보 및 활동 정보를 감지하여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대상자의 현재 위치를 탐지하고 위치 정보를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대상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자의 현재 위치와,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환경을 연동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환경은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날씨 또는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공간적 특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날씨와 대상자의 현재 활동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현재 위치에 비가 오면, 대상자가 우산을 사용하는 행동, 대상자의 현재 위치에 자외선이 심하면, 대상자가 양산을 사용하는 행동 등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날씨와, 상기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날씨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 활동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공간적 특성과 대상자의 현재 활동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현재 위치가 마트이면, 대상자가 상품을 선택하고 계산대에서 계산하는 행동 등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공간적 특성과, 상기 대상자의 현재 위치의 공간적 특성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 활동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스마트 홈 IoT 디바이스는 전자 제품의 동작에 대한 정보 및 센서의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대상자의 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IoT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거주하고 있는 집에 설치되어 스마트 홈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방 IoT 디바이스는 대상자가 현재 조리하려는 객체를 탐지하여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에 송신할 수 있다. 대상자가 현재 조리하려는 객체 정보를 수신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자가 현재 조리하려는 객체를 조리하는 행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가 조리하려는 객체가 빵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빵을 조리하는 행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대상자가 조리하려는 객체가 밥이라는 정보를 수신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밥을 조리하는 행동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빵을 조리하는 행동과 밥을 조리하는 행동은 조리 시 이용하는 조리 기구의 종류가 다를 수 있다. 빵을 조리하는 행동에 소요되는 시간과 밥을 조리하는 행동에 소요되는 시간은 다를 수 있다.
대상자가 특정 기구를 이용할 시 소요되는 시간이 IADL의 수집항목이 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와 같이 복잡한 인지능력을 필요로 하는 IADL은 치매 초기 단계부터 민감하게 감퇴하는 경향이 있어, 초기 치매 단계를 평가하기 유용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또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병원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지능력 데이터(400)를 수신하여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정상 행동 범위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치매 발병 진단 방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기준 생성의 순서도이다.
도 2의 단계 S110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사용자의 IADL을 모니터링하여 IADL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정보DB(500)로부터 기 저장된 대상자의 IADL 패턴을 수신 받아 IADL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병원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지능력 데이터(400)를 수신하여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스코어링 정보는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가 병원 시스템(300)으로부터 수신하는 인지능력 데이터(400)에 기반하여 정해지는 등급일 수 있다.
병원 시스템(300)이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로 송신하는 인지능력 데이터(400)는 대상자가 기존에 진행한 인지기능검사(MMSE)의 점수일 수 있다. 또한, 병원 시스템(300)이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로 송신하는 인지능력 데이터(400)는 MMSE 검사에 준하는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일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병원 시스템(300)으로부터 인지능력 데이터(400)를 수신하여 획득한 스코어링 정보를 반영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한다.
정상 행동 범위는 대상자의 행동이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대상자가 현재 치매 위험 상태가 아님으로 판단할 수 있는 범위이다. 대상자의 행동이 정상 행동 범위를 벗어나면, 대상자의 치매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IADL 데이터 중, 특정 기구를 이용할 때 소요되는 시간의 정상 범위가 30분 내지 45분으로 사전 정의된 경우, 대상자의 IADL 패턴에 포함된 상기 특정 기구의 이용 시간이 40분이라면 정상 행동 범위로 판단될 것이고, 대상자의 IADL 패턴에 포함된 상기 특정 기구의 이용 시간이 50분이라면 비정상 행동 범위로 판단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IADL 데이터에 따른 행동의 종류 별 정상 행동 범위 데이터를 외부 서비스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정상 행동 범위는, 상기 다운로드 된 종류 별 정상 행동 범위 데이터를 중앙값으로 하고 대상자의 인지능력의 스코어링 정보에 따라 조정되는 범위일 수 있다. 즉, 대상자의 인지능력의 스코어링 정보가 정상 수준일 수록, 상기 정상 행동 범위가 더 넓어지도록 조정될 수 있을 것이고, 대상자의 인지능력의 스코어링 정보가 비정상일 수록, 상기 정상 행동 범위가 더 좁아지도록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조정은, 인지능력이 정상 수준이라면 상기 정상 행동 범위를 다소 벗어나는 행동을 하더라도 가끔씩 있을 수 있는 것으로 너그러이 평가하고, 반대로 인지능력에 문제가 있다면 상기 정상 행동 범위를 벗어나는 행동을 하는 것에 엄격하게 평가함으로써, 대상자의 IADL 패턴을 평가하는 것이 초기 치매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본 개시 고유의 발견에 따른 것이다.
상기 스코어링 정보에 따라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은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대상자의 등급 별로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MMSE 점수에 기반하여 나뉘는 인지능력 등급과, 인지능력 등급에 기반하여 기준 범위가 나뉘는 개인화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 표가 도시된다.
상기 스코어링 점수는 MMSE 점수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점수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가 높아지면, 인지능력 등급이 높아지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아지면, 개인화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라 넓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가 낮아지면, 인지능력 등급이 낮아지고, 인지능력 등급이 낮아지면, 개인화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가 축소된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가 수신한 대상자의 MMSE 점수가 29점 이상, 만점(30)이라면, 상기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은 Cognitive Health(상)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자의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는 Q1-1.5*IQR 보다 크고 Q3+1.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가 수신한 대상자의 MMSE 점수가 만점 미만 26점 이상, 28점 이하라면, 상기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은 Very mild cognitive decline(중)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자의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는 Q1-1.2*IQR 보다 크고 Q3+1.2*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가 수신한 대상자의 MMSE 점수가 24점 이상, 25점 이하라면, 상기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은 Mild cognitive impairment(하)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자의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는 Q1-1*IQR 보다 크고 Q3+1*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가 수신한 대상자의 MMSE 점수가 20점 이상, 23점 이하라면 초기 치매에 해당되어, 상기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은 Moderate cognitive decline(위험)등급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대상자의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는 Q1-0.5*IQR 보다 크고 Q3+0.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가 도시 되어있다.
도 4에서 중앙값(Median)은 단계 S110에서 획득한 IADL 패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IQR은 중앙값을 기준으로 50%의 흩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Q1 보다 크고 Q3 보다 작은 범위 내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전체 데이터 표본 크기 중 50%를 차지할 수 있다. Q3과 Q1 사이 간격을 IQR로 정의할 수 있다. Q1은 중앙값 - 0.5*IQR 일 수 있다. Q3는 중앙값 + 0.5*IQR 일 수 있다.
도 4는 인지능력 등급이 Cognitive Health(상)등급인 대상자의 정상 행동 기준 범위 조정에 기반이 되는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인지능력 등급이 Cognitive Health(상)등급인 대상자의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조정하는 기반이 되는 IQR 배수는 1.5일 수 있다.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조정하는 기반이 되는 IQR 배수가 커져 정상 행동 기준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대상자의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조정하는 기반이 되는 IQR 배수가 작아져 정상 행동 기준 범위가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행동 기준 범위는 인지능력 등급이 높은 대상자보다 인지능력 등급이 낮은 대상자가 실수가 더 많은 것을 감안한 기준 범위이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인지능력 등급이 높은 대상자의 IADL 패턴을 벗어나는 행동을 자율적이고 의식적인 행동으로 인지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낮은 대상자의 IADL 패턴을 벗어나는 행동을 실수로 인지한다.
단계 S170에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수신된 활동 데이터를 이진화(binarization)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동 데이터는 상술한 IADL 패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IADL 패턴은 24 시간 동안의 IADL 데이터 시퀀스일 수 있다.
즉,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상기 수신된 활동 데이터에 포함된 각각의 행동 데이터 별로 이진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행동 데이터가 상기 단계 S150에서 조정된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행동 데이터를 제1 값으로 레이블링하고, 상기 수신된 활동 데이터가 상기 단계 S150에서 조정된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활동 데이터를 제2 값으로 레이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값은 Boolean 값의 true 값이고, 상기 제2 값은 Boolean 값의 false 값일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에 의하여 이진화 된 상기 활동 데이터는, boolean 값의 시퀀스(sequence) 형태로 변환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개인의 인지능력별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를 차별화하고, 개인별로 차별화된 정상 행동의 기준 범위에 기반하여 치매 발병 진단 장치에 수신된 활동 데이터가 정상 행동인지, 치매 위험 상태 행동인지를 평가하면, 치매 발병 진단의 활동 데이터 평가 동작(S170)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치매 진단 방법의 순서도이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단위 시간별 데이터(B)를 생성하여 상기 단계 S170에서 이진화 시킬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별 데이터는 동일한 단위 시간별로 수집된 행동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은 하루 또는 한 시간이 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단위 시간별 데이터에 대해 각 개인별로 정상행동범위 인지 평가의 결과를 기계학습을 위한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데이터는 Boolean 값의 시퀀스 일 수 있다. 이처럼 IADL 패턴이 Boolean 값의 시퀀스 형태의 학습 데이터로 표현됨으로써, 각 대상자의 단위 기간 동안 축적된 IADL 데이터가, 상기 단위 기간 동안의 치매 위험 관련 특징이 명확하게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IADL 패턴을 조정한 기준에 활동 데이터 중 특정 시점의 행동인 행동 데이터를 입력하여 특정 시점의 이진화 된 활동 데이터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S210).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 행동 데이터가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는 액션 데이터인 경우 단위 해당 액션 데이터를 제1 기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 행동 데이터가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이진화된 활동 데이터에 0을 추가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 행동 데이터가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액션 데이터인 경우 단위 해당 행동 데이터를 제2 기호로 변환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대상 행동 데이터가 정상 행동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활동 데이터인 경우 이진화 된 활동 데이터에 1을 추가할 수 있다.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상기 이진화 된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계 학습 함으로써, 치매 진단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S240).
즉,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은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의 결과로 생성된 인공 신경망 기반 모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기계 학습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각 학습 데이터, 즉 상기 이진화 된 활동 데이터 각각에 대하여 치매 진단 여부의 레이블링(label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각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제1 클래스 및 제2 클래스 중 어느 하나로 레이블링 할 수 있다. 즉,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각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치매 및 정상 중 어느 하나로 레이블링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각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제1 내지 제3 클래스 중 어느 하나로 레이블링 할 수도 있다. 즉,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각 학습 데이터에 대하여 치매, 초기 치매 및 정상 중 어느 하나로 레이블링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의 생성 방법을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은 기계 학습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고, 따라서 학습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기계 학습에 이용될수록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의 정확도는 더 증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은 주기적으로 추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갱신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을 이용한 추론 단계(inferring stage)로서, 치매 발병 진단 장치는 치매 진단 모델에 활동 데이터를 입력하여 치매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S250). 상기 활동 데이터가 IADL 패턴일 수 있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상술된 기계 학습의 알고리즘으로 RF(랜덤포레스트), LR(로지스틱회귀), SVM 등의 분류 알고리즘이 활용될 수 있다. 이때, 가장 분류 성능이 높은 RF 알고리즘을 우선 선택할 수 있다. 기계학습의 모든 입력데이터는 특성별로 하루 또는 한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고, 학습 데이터로 이용되는 학습 데이터셋은 동일한 기준으로 계산된 데이터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인의 상황과 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IADL 패턴을 개인의 상황과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갱신하여 치매의 조기 진단에 반영할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시스템의 정상 행동 범위의 기준이 개인화되고, 정상 행동 범위의 기준이 상황에 따라 갱신되면, 치매의 조기 진단에 대한 속도와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른 치매 발병 진단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0), 시스템 버스(1600), 통신 인터페이스(1200), 프로세서(1100)에 의하여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하는 메모리(1400)와,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저장하는 스토리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치매 발병 진단 장치(100)의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1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각종 데이터, 명령 및/또는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40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300)로부터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로드(load) 할 수 있다. 버스(160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구성 요소 간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0)는 시뮬레이션 장치(200)의 인터넷 통신을 지원한다. 스토리지(1300)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1500)을 비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0)는 상술한 치매 진단 모델의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로드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치매 진단 모델에, 대상자의 IADL 패턴의 평가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이진화된 IADL 패턴을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의 출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치매 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이 구현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1500)이 메모리(1400)에 로드 되면, 프로세서(11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실행시킴으로써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치매 발병 진단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제1 대상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제1 대상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계 학습된 치매 진단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컴퓨터 프로그램(1500)은 치매 진단 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피험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피험자의 인지능력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피험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매 진단 모델을 기계 학습 시키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기계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을 언급하였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 상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다른 컴퓨팅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한 순서로 또는 순차적 순서로 실행 되어야만 하거나 또는 모든 도시 된 동작들이 실행 되어야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상황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처리가 유리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발명이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 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활동 데이터를, 상기 조정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이진화 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 된 IADL 활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갱신된 정상 행동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활동 데이터를 평가하되,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갱신된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위험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0.5*IQR 보다 크고 Q3+0.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하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IQR 보다 크고 Q3+1*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중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2*IQR 보다 크고 Q3+1.2*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점수 별로 대상자의 등급을 차별화하여 인지능력 등급이 낮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축소하고, 인지능력 등급이 높으면 정상 행동 범위를 확대하는 단계는,
    인지능력 등급이 상등급인 경우 정상 행동 범위를 Q1-1.5*IQR 보다 크고 Q3+1.5*IQR 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9.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대상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제1 대상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계 학습된 치매 진단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IADL 패턴으로부터 액션 데이터를 얻는 제1 단계;
    상기 액션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정상 여부를 평가하는 제2 단계;
    정상으로 평가된 액션 데이터는 제1 기호로, 비정상으로 평가된 액션 데이터는 제2 기호로 변환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IADL 패턴에 시간 순서로 포함된 상기 액션 데이터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1 내지 제3 단계를 반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1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의 IAD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피험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피험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단계;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학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매 진단 모델을 기계 학습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기계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치매 진단 모델을 표현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모델 생성 방법.
  12.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장치에 있어서,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메모리; 및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획득 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IADL 패턴이 가리키는 상기 제1 대상자의 정상 행동 범위를 조정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장치.
  13.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장치에 있어서,
    제1 대상자의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메모리; 및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대상자의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패턴을 획득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상기 제1 대상자의 인지기능 검사의 결과에 대한 스코어링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 행동 범위를 상기 제1 대상자를 위해 개인화 하는 인스트럭션;
    상기 개인화 된 정상 행동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IADL 패턴을 평가함으로써,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스트럭션; 및
    상기 입력 데이터를 기계 학습된 치매 진단 모델에 입력하고, 상기 치매 진단 모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대상자의 치매 관련 진단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장치.
KR1020220088140A 2021-11-25 2022-07-18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KR10255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8882 WO2023096416A1 (ko) 2021-11-25 2022-11-25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852 2021-11-25
KR20210164852 2021-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626A KR20230077626A (ko) 2023-06-01
KR102552172B1 true KR102552172B1 (ko) 2023-07-06

Family

ID=8677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140A KR102552172B1 (ko) 2021-11-25 2022-07-18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1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566A1 (ja) * 2016-02-22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認知症状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438B1 (ko) * 2015-09-11 2017-08-23 디투이모션 주식회사 이상 활동 탐지를 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그룹 내 구성원들의 관리 지원 시스템
KR102102931B1 (ko) 2018-04-23 2020-04-22 주식회사 바이탈식스랩 치매 예측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5566A1 (ja) * 2016-02-22 2017-08-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認知症状検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626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874B1 (ko) 일상생활 능력정보 기반 치매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EP3367883A1 (en) Monito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a person
CA3032605A1 (en) Analysing energy/utility usage
EP3468467B1 (en) Assessing the functional ability of a person to perform a task
Oyeleke et al. Situ-centric reinforcement learning for recommendation of task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mart homes
Huzooree et al. Glucose prediction data analytics for diabetic patients monitoring
JP7006199B2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センサ装置
KR102552172B1 (ko)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Naeem et al. Activities of daily life recognition using process representation modelling to support intention analysis
Pazhoumand-Dar Fuzzy association rule mining for recognising daily activities using Kinect sensors and a single power meter
US20210208753A1 (en) Generating a user-specific user interface
KR102646691B1 (ko)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JP6866838B2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センサ装置
Saranya et al. Autism spectrum prognosis using worm optimized extreme learning machine (woem) technique
WO2023096416A1 (ko) 개인 맞춤형 치매 진단 방법 및 그 장치
JP6848842B2 (ja) データ生成装置、データ生成方法、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およびセンサ装置
WO2023224085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5496105B (zh) 睡眠预测模型训练方法、睡眠状况预测方法及相关装置
Spyrou et al. Cognitive game for OCD effects minimisation using IoT
US20230309884A1 (e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ocessing device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Kiruthika et al. An ill-identified classification to predict cardiac disease using data clustering
Sarni et al. Activity support framework for people with dementia based on Markov decision process
Hamper et al. Dementia monitoring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CN117561578A (zh) 患者场景检测
Irvine et al. Design of a Rule-Based and ADL Analysis System to Support Care of the Elder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