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864B1 -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 Google Patents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864B1
KR102551864B1 KR1020220026691A KR20220026691A KR102551864B1 KR 102551864 B1 KR102551864 B1 KR 102551864B1 KR 1020220026691 A KR1020220026691 A KR 1020220026691A KR 20220026691 A KR20220026691 A KR 20220026691A KR 102551864 B1 KR102551864 B1 KR 102551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unit
tray
water
waterway
channel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규문
Original Assignee
심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문 filed Critical 심규문
Priority to KR102022002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86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8Food-conveying devices for tables; Movable or rotary food-serv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1/00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 A47B31/02Service or tea tables, trolleys, or wagons with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를 따라 운반되는 순회트레이를 이용하여 음식점 또는 주점에서 매장 내의 손님에게 식음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테이블이 비치되어 있는 매장 내부를 순회할 수 있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수로형성유닛;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펌프;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비스공급테이블;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 위에 부상하며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음식물을 운반하는 복수 개의 순회트레이; 주문한 음식이 담긴 상기 순회트레이를 주문한 고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레이 표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food and beverage services to customers in a store at a restaurant or pub using a circulating tray transported along a waterway. Its configuration includes a channel forming unit made in a closed loop form so that it can tour the inside of the store where the table is furnished; a pump inducing circulation of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a service supply table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waterway forming unit; a plurality of circulating trays floating on the water filled in the channel forming unit and transporting foo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by the flow of wat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y marking means for enabling the customer who ordered the circulation tray containing the ordered food to be identified.

Description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sion System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본 발명은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처럼 수로를 따라 운반되는 순회트레이를 이용하여 음식점 또는 주점에서 매장 내의 손님에게 식음료 서비스를 재미와 즐거움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way floating type that can provide food and beverage services to customers in a restaurant or pub with fun and pleasure by using a circuit tray that is transported along a waterway like a boat. It is about a service delivery system.

음식점 또는 주점의 매장 내부에는 복수 개의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다. 고객이 주문한 음식은 주인이나 종업원에 의해 각 테이블로 공급된다. 음식의 공급과정에서 종업원은 음식이 담긴 그릇을 쟁반을 통해 테이블에 운반한다. 이 과정에서 카트를 이용하기도 한다. A plurality of tables are arranged inside a store of a restaurant or pub. Food ordered by customers is served to each table by the owner or waitress. In the process of serving the food, the waiter carries the bowl with the food to the table through the tray. Carts are also used in this process.

그러나 근래 전세계적인 펜더믹 현상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반화되었으며, 고정비용의 지출을 줄이기 위하여 AI로봇을 이용한 서빙 시스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42380호 참조) 또는 무인서빙시스템(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8107호)이 채용되기도 한다. However, due to the recent worldwide pandemic, social distancing has become commonplace, and in order to reduce fixed costs, a serving system using an AI robot (refer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42380) or an unmanned serving syst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 -1188107) is also employed.

본 발명은 이러한 서비스 시스템(또는 서빙 시스템)의 새로운 제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proposal of such a service system (or serving system).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2242380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242380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88107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88107

본 발명은 카페, 음식점 또는 주점에서 테이블에 음료 또는 음식을 무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고객에게 즐거움을 제공해줄 수 있으며 좀더 인간적이며 자연친화적인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drinks or food unattended to a table in a cafe, restaurant or pub. More specifically, it aims to provide pleasure to customers and to provide a more humane and nature-friendly service system.

위와 같은 목적은, 테이블이 비치되어 있는 매장 내부를 순회할 수 있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수로형성유닛;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펌프;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비스공급테이블;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 위에 부상하며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음식물을 운반하는 복수 개의 순회트레이; 주문한 음식이 담긴 상기 순회트레이를 주문한 고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레이 표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For the above purpose, a waterway forming unit made in the form of a closed loop so as to be able to tour the inside of the store where the table is furnished; a pump inducing circulation of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a service supply table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waterway forming unit; a plurality of circulating trays floating on the water filled in the channel forming unit and transporting foo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by the flow of water; It is achieved by the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y marking means for enabling the customer who ordered the circulation tray containing the ordered food to be identified.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서비스공급테이블은 조리대의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ice supply table can perform the function of a kitchen count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트레이 표지수단은; 상기 순회트레이에 설치되는 푯말, 램프,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트레이표지부;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cover means; A tray cover portion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signposts, lamps, speakers, or display devices installed on the circulation tray;

상기 순회트레이가 주문한 고객의 테이블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고객에게 경보하기 위한 고객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It may include; a customer notification unit for detecting that the circulating tray is approaching the table of a customer who placed an order and alerting the custom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군데군데 설치되는 것으로서 순회하고 있는 순회트레이를 제자리게 멈춰놓을 수 있게 하는 트레이홀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being installed here and ther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it may further include tray holding means for stopping the circulating tray in place.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카페, 음식점 또는 주점에서 테이블에 음료 또는 음식을 무인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특히 수로를 따라 서빙용 트레이가 배와 같이 운반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주문 또한 테이블에서 부유체에 의해 전달함으로 재미와 함께 비대면시대에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유리하며, 자연친화적인 식음료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service system for unattendedly providing drinks or food to a table in a cafe, restaurant, or pub is provided. In particular, by having the serving tray transported along the waterway like a boat, new pleasure can be given to customers, and manpower can be sa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service providers, and orders are also delivered by a floating body at the table, providing fun and a non-face-to-face era. It is also advantageous for social distancing, and a nature-friendly food and beverage service system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로형성유닛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의 순회트레이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의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의 일부 평면구성도이다.
1 is a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of the channel forming unit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
4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irculation tray of a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lan configuration diagrams of a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plan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기본적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나머지 도면은 필요한 곳에서 인용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primarily to FIGS. 1 to 3 . The rest of the drawings will be cited where necessary.

본 발명은 일반음식점, 주점, 까페 등 음식, 음료, 주류를 서비스하는 영업장소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can be applied to business places serving food, beverages, and alcoholic beverages, such as general restaurants, taverns, and cafes.

본 발명은 무인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자동화 시스템으로서 하나 이상의 서비스공급부(101,102,103,104. 이하 '101 등'이라 함)로 구성된다. 서비스공급부(101 등)은 수로형성유닛(20), 서비스공급테이블(10), 복수 개의 순회트레이(40), 각 순회트레이(40)에 설치되는 트레이 표지수단, 및 순회트레이(40)를 운반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e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services unattended, and is composed of one or more service supply units (101, 102, 103, 1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1, etc.'). The service supply unit (101, etc.) transports the channel forming unit 20, the service supply table 10, a plurality of circulating trays 40, a tray cover means installed on each circulating tray 40, and the circulating tray 40 It includes a transport means for

고객이 착석하게 되는 테이블(60)은 수로형성유닛(20)의 연장방향을 따라 그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테이블(60)에는 복수 개의 의자(61)가 부속되어 있다. 테이블(60)은 수로형성유닛(20)의 구조에 따라 직사각형, 타원형, 반달형, 땅콩 형태 등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The table 60 on which customers are seated is disposed adjacent to it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 A plurality of chairs 61 are attached to the table 60 . The table 60 may be design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 half-moon shape, and a peanut sha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

물길을 제공하는 수로형성유닛(20)은 테이블(60)이 비치되어 있는 매장의 내부를 순회할 수 있도록 폐루프(closed loof) 형태로 이루어진다. 수로형성유닛(20)에는 물이 채워진다. 수로형성유닛(20)은 금속, 유리, 자기 또는 합성수지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수로형성유닛(20)은 매장 전체에 걸쳐 설치될 수도 있고, 일부 공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매장 내에 복수 개의 독립된 수로형성유닛(20)이 각각 다른 구조로 또는 같은 구조로 배치될 수도 있다. The waterway forming unit 20 providing a waterway is formed in a closed loop form so that it can tour the inside of the store where the table 60 is provided.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20 is filled with water. The channel forming unit 20 may be made of metal, glass, porcelain or synthetic resin. The waterway forming unit 20 may be installed throughout the store or only in some spaces. In some cases, a plurality of independent channel forming units 20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structure or the same structure in one store.

수로형성유닛(20)은 도 2 내지 도 3의 단면도에 예시된 것처럼 수조(21), 베이스판(23), 기둥(24)으로 구성된다. 수조(20)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구(미도시됨)가 마련될 수 있다.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조(21)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수조(20')의 다른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The waterway forming unit 20 is composed of a water tank 21, a base plate 23, and a pillar 24 as illustrated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 and 3. A drainage hole (not shown) for draining may be provided in the water tank 20 . In order to enhance the interior effect, the water tank 21 may be provided in various designs. Figure 3 illustrates another form of water tank 20'.

펌프(70)는 수로형성유닛의 수조(21)에 채워진 물(W)의 순환을 유도한다. 펌프(70)는 수로형성유닛(20)의 연장방향을 따라 2곳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7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조(21)의 바닥에 설치될 수도 있고, 수조(21)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파이프를 통해 수조(21)와 연결될 수도 있다. The pump 70 induces circulation of the water W filled in the water tank 21 of the channel forming unit. The pump 70 may be installed at two or more place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 The pump 7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tank 21, as shown in FIGS. 2 and 3, or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21 through a pipe while being installed outside the water tank 21.

서비스공급테이블(10)은 수조의 끝부분(22)에 설치된다. 수조의 끝부분(22)은 둥근 연못과 유사한 형태로 되어 있으며 물(W)의 방향이 바뀌는 부분이 된다. The service supply table 10 is installed at the end 22 of the water tank. The end portion 22 of the water tank has a shape similar to a round pond and becomes a portion where the direction of the water W changes.

서비스공급자는 주방에서 조리된 음식을 서비스공급테이블(10)에 올려놓고 서빙할 준비를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서비스공급테이블(10)에서 직접 조리를 할 수도 있다. 서비스공급테이블(10)은 주방 내부에 있거나 주방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The service provider may prepare to serve by placing food cooked in the kitchen on the service supply table 10 . In some cases, cooking may be performed directly on the service supply table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supply table 10 be installed inside the kitchen or adjacent to the kitchen.

복수 개의 순회트레이(40)는 수로형성유닛(20)의 수조(21)에 채워진 물(W) 위에 부상하며 그의 흐름에 의해 수로형성유닛(101 등)의 연장방향을 따라 기동하면서 음식물을 운반한다. The plurality of circulating trays 40 float on the water W filled in the water tank 21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and transport food while moving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101 by the flow thereof. .

순회트레이(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본체(41)와 부력체(42)를 포함한다. 부력체(42)는 에어튜브 또는 스티로폼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순회트레이(40)에는 음식을 담은 그릇(43) 또는 음료컵(44)이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고려하여 설계되고 구성된다. 순회트레이(40)에는 혹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뚜껑(미도시됨)이 덮일 수 있다. 뚜껑과 트레이본체(41)의 방수 기능은 필수적이다. The circulation tray 40 includes a tray main body 41 and a buoyancy body 42 as shown in FIG. 2 . The buoyancy body 42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n air tube or Styrofoam. The circulation tray 40 is designed and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bowl 43 or the beverage cup 44 containing food can be stably placed. The circulation tray 40 may be covered with a lid (not shown)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waterproof function of the lid and the tray body 41 is essential.

또한 순환트레이(40)에는 음식이나 서비스를 주문한 고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레이 표지수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주문한 음식이 담긴 순회트레이가 정확한 곳에 배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a tray marking means should be provided on the circulation tray 40 so that customers who order food or service can identify it. This is because the traveling tray with the ordered food must be delivered to the correct pl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 표지수단은 순회트레이(40)에 설치되는 푯말, 램프,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트레이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회트레이가 주문한 고객의 테이블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주문한 고객에게 경보하기 위한 고객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근접센서 및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고객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면 당업자는 충분히 구현 가능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y cover means may include a tray cover portion composed of any one or more of signposts, lamps, speakers, or display devices installed on the circulating tray 40 .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ustomer notification unit for alerting customers who have ordered by detecting that the circulating tray is approaching the table of customers who have ordered. To this end,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rol unit may be provided. Methods for notifying customers may be variou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m sufficiently using known technologies.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로형성유닛(20)의 수조(21)는 선형(line type)으로 구성되지만 그 중간에 분리벽(30)이 설치됨으로써 물(W)이 화살표(K) 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는 수로를 형성할 수 있다. 분리벽(3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수조(21)의 중간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분리벽(30)은 하나의 수조(21)로 하여금 복렬의 수로가 마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water tank 21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20 is configured in a line type, but the partition wall 30 is installed in the middle so that the water W is circul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You can form a waterway that can do it. The partition wall 30 may be vertically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tank 21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partition wall 30 is for allowing one water tank 21 to provide double rows of water channels.

이하, 수로형성유닛(20)의 다양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various examples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로형성유닛(20")에는 서비스공급테이블(10)에 인접한 부분에만 분리벽(30)이 설치된다. 수로형성유닛(20")은 링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로형성유닛(20")의 중심 공간(105)에는 각종의 실내장식이 조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partition wall 30 is installed only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service supply table 10 in the channel forming unit 20" of this embodiment. The channel forming unit 20" will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can In this case, various interior decorations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space 105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로형성유닛(20)에는 분리벽(30)이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도 중심 공간(105)에는 자연석과 식물의 자연스런 조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channel forming unit 20 is not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30. Even in this case, natural landscaping of natural stones and plants can be made in the central space 105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수로형성유닛(20)의 연장방향을 따라 군데군데 설치되는 것으로서 순회하고 있는 순회트레이(40)를 제자리게 멈춰놓을 수 있게 하는 트레이홀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stalled here and ther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and can further include tray holding means for stopping the circulating tray 40 in place. there is.

트레이홀딩수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형성유닛(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각 테이블(60)마다 설치되는 도크(25)가 될 수 있다. 도크(25)는 포구와 같은 형태로 수로형성유닛(20)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7 , the tray holding unit may be a dock 25 installed on each table 60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unit 20 . The dock 25 protrudes outward from the waterway forming unit 20 in the shape of a muzzle.

도크(25)로 유입되는 입구에는 화살표(P) 방향으로 개방하는 슬라이딩도어(80)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80)는 목적하는 테이블에 인접하면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순회트레이(40)는 고객이 손으로 잡고 당김으로써 화살표(N) 방향을 따라 도크(25)로 유입될 수도 있고 자력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순회트레이(40)는 고객이 내보낼 때까지 도크(25)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A sliding door 80 opening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P may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to the dock 25 . The sliding door 80 may be automatically opened when adjacent to the target table. The circulation tray 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ock 25 along the direction of an arrow N by holding and pulling by the customer, or may be automatically introduced using magnetic force or the like. The circuit tray 40 may remain in the dock 25 until the customer leaves.

한편, 순회트레이(40)와 함께 장식부상체(50)가 수로형성유닛(101 등)을 따라 기동하게끔 할 수 있다. 장식부상체(50)는 화분, 선박모형, 동물(예를 들어, 오리)모형, 촛불, 전등 등의 형태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decorative floating body 50 together with the circulating tray 40 can be operated along the channel forming unit 101 and the like. The decorative floating body 5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ower pot, a ship model, an animal (eg, duck) model, a candle, or a lamp.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회트레이(40)의 저부에는 순회트레이(40)가 수조(20)를 따라 움직이면서 수조(21)의 측벽에 부딪힐 때 마찰력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롤러(46)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46)는 트레이본체(41)의 저부에 고정 설치되는 롤러브래킷(45)에 회전 가능한 동시에 트레이본체(41)의 측벽보다 외측으로 살짝 돌출되게 설치된다. 돌출 간격(M)은 3 ~ 10mm이면 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at the bottom of the circulation tray 40 when the circulation tray 40 moves along the water tank 20 and collides with the side wall of the water tank 21. A roller 46 may be installed to minimize this. The roller 46 is rotatably mounted on a roller bracket 45 fixed to the bottom of the tray body 41 and slightly protrudes outward from the side wall of the tray body 41 . The protrusion interval M may be 3 to 10 mm.

롤러(46)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트레이본체(41)의 주변을 따라 여러 곳에 설치될 수 있다. The rollers 46 are rotated around a vertical axis and may be installed in several places along the periphery of the tray body 41 .

이상에서 설명된 것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한 몇가지 예시에 불과하다. 당업자는 청구범위를 통해 표현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않는 선에서 예시된 바를 활용하여 다양한 변형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위에 설명된 모든 실시예들은 당업자에 의해 자유롭게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합이든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a few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by utilizing the exemplified bar without exceeding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d through the claims. For example, all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freely combin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ny combina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서비스공급테이블 20(20',20") : 수로형성유닛
21 : 수조 22 : 수조의 끝부분
23 : 베이스판 24 : 기둥
30 : 분리벽 40 : 순회트레이
41 : 트레이본체 42 : 부력체
43 : 그릇 44 : 음료컵
46 : 롤러 50 : 장식부상체
60 : 테이블 61 : 의자
70 : 펌프 101,102,103,104 : 서비스공급부
W : 물
10: service supply table 20 (20', 20"): waterway forming unit
21: tank 22: end of the tank
23: base plate 24: pillar
30: dividing wall 40: circulation tray
41: tray body 42: buoyancy body
43: bowl 44: drink cup
46: roller 50: decorative floating body
60: table 61: chair
70: pump 101, 102, 103, 104: service supply unit
W: water

Claims (6)

테이블이 비치되어 있는 매장 내부를 순회할 수 있도록 폐루프 형태로 이루어진 수로형성유닛;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의 순환을 유도하는 펌프;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일지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비스공급테이블;
상기 수로형성유닛에 채워진 물 위에 부상하며 물의 흐름에 의해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연장방향을 따라 음식물을 운반하는 복수 개의 순회트레이; 및
주문한 음식이 담긴 상기 순회트레이를 주문한 고객이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트레이 표지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순회트레이는,
상기 음식을 놓을 수 있는 트레이본체와, 상기 트레이본체를 상기 물 위에 부상시키는 부력체와, 상기 트레이본체의 저부에 고정 설치된 롤러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으로부터 회전 가능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트레이본체의 측벽보다 3 ~ 10mm의 돌출 간격만큼 돌출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로형성유닛의 수조의 중간에 분리벽이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수조로 하여금 복렬의 수로가 마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부유식 서비스제공 시스템.
A waterway forming unit formed in a closed loop form so as to tour the inside of the store where the table is furnished;
a pump inducing circulation of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a service supply table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waterway forming unit;
a plurality of circulating trays floating on the water filled in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and transporting food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unit by the flow of water; and
Including a tray marking means for identifying the customer who ordered the circuit tray containing the ordered food,
The circulation tray,
A tray body for placing the food, a buoyancy body for floating the tray body on the water, a roller bracket fixed to the bottom of the tray body, and a roller rotatable from the roller bracket,
The roller has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side wall of the tray body by a protrusion interval of 3 to 10 mm,
A waterway float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artition wall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tank of the waterway forming unit so that a double row of waterways are provided in one water tan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26691A 2022-03-02 2022-03-02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KR102551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91A KR102551864B1 (en) 2022-03-02 2022-03-02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691A KR102551864B1 (en) 2022-03-02 2022-03-02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864B1 true KR102551864B1 (en) 2023-07-06

Family

ID=8718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691A KR102551864B1 (en) 2022-03-02 2022-03-02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864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130A (en) * 1997-12-29 1999-07-21 Tendan:Kk Multi-step circulating food transfer device
KR20000066348A (en) * 1999-04-15 2000-11-15 윤만걸 system for selling of alcoholic drinks using water strean
JP2004166854A (en) * 2002-11-19 2004-06-17 Kura Corporation:Kk Food and drink delivery guiding device
JP2006304919A (en) * 2005-04-27 2006-11-09 Yoshio Shimizu Food and drink serving device
KR20090101011A (en) * 2008-03-21 2009-09-24 배종문 Table with a waterway
KR101188107B1 (en) 2011-03-04 2012-10-04 (주)아이엠테크놀로지 Unmanned ser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88049A (en) * 2013-03-26 2014-10-06 Ishino Seisakusho Co Ltd Article circulation-conveyor apparatus
KR102242380B1 (en) 2020-04-01 2021-04-20 (주) 피큐아이넷 Robot System for Serving of Restauran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130A (en) * 1997-12-29 1999-07-21 Tendan:Kk Multi-step circulating food transfer device
KR20000066348A (en) * 1999-04-15 2000-11-15 윤만걸 system for selling of alcoholic drinks using water strean
JP2004166854A (en) * 2002-11-19 2004-06-17 Kura Corporation:Kk Food and drink delivery guiding device
JP2006304919A (en) * 2005-04-27 2006-11-09 Yoshio Shimizu Food and drink serving device
KR20090101011A (en) * 2008-03-21 2009-09-24 배종문 Table with a waterway
KR101188107B1 (en) 2011-03-04 2012-10-04 (주)아이엠테크놀로지 Unmanned serv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4188049A (en) * 2013-03-26 2014-10-06 Ishino Seisakusho Co Ltd Article circulation-conveyor apparatus
KR102242380B1 (en) 2020-04-01 2021-04-20 (주) 피큐아이넷 Robot System for Serving of Restau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6816B2 (en) Aquaponics system
CA2600163C (en) Restaurant system with gravity-based transport for meals
US5085391A (en) Plate and glass holder
US4462544A (en) Beverage sipper
US20180140120A1 (en) Modified Tumbler Lid
US3451622A (en) Decorator fountains
KR102551864B1 (en) Serving System Using Floating Tray On Waterway
US6705109B2 (en) Hot/cold food container
US9101237B2 (en) Multi-use tower plates
US20160183676A1 (en) Portable Table with Smartphone Device Pocket
KR20210059403A (en) Cup pedestal
US9771132B1 (en) Floating apparatus for supporting a grill
CN204244912U (en) A kind of fish jar stone table
Banjac et al. Gastronomic offer of Gornje Podunavlje Special Nature Reserve for the purpose of authentic development of tourism
KR200455303Y1 (en) Food stand for table
JPS6129351Y2 (en)
CN2603642Y (en) Mobile circulated dispensing equipment for chafing dish vegetables
WO2023216154A1 (en) Special tea table for kung fu tea
KR100290235B1 (en) benquet system using streaming of water
Corne Northern Brewers
CN101763768A (en) Dining cup capable of switching type marks
KR101097194B1 (en) Food rotation apparatus using water current
KR20080018342A (en) Apparatus for conveyance of cycle type food
Batova et al. ECO-HOTEL CONCEPT IN THE MOSCOW REGION
JP2009072539A (en) Chopping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