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847B1 -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Google Patents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1847B1 KR102551847B1 KR1020217004338A KR20217004338A KR102551847B1 KR 102551847 B1 KR102551847 B1 KR 102551847B1 KR 1020217004338 A KR1020217004338 A KR 1020217004338A KR 20217004338 A KR20217004338 A KR 20217004338A KR 102551847 B1 KR102551847 B1 KR 1025518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tent
- stents
- catheter
- support tub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214—Expandable means emitting energy, e.g. by elements carried thereon
- A61B2018/0022—Ballo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42—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with feedback, i.e. closed loop contr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02—Power or energ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75—Resistance or impeda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35—Spiral
- A61B2018/1437—Spiral whereby the windings of the spiral touch each other such as to create a continuous sur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가 개시된다. 이 전극 스텐트 장치는 조직의 병변 부위로 이동 가능한 카테터와, 카테터의 단부에 이격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와,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와,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과,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는 매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출력의 고주파를 특정 간격으로 인체에 인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에 따른 열을 이용하여 간의 종양세포를 괴사시키는 간암고주파열치료술, 고주파전류를 체내에 인가하여 인체 내부에 열을 발생하여 근육통, 관절통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고주파요법(High Frequency Therapy) 등 다양한 형태의 시술이 행하여지고 있다.
임상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고주파 소작술용 카테터로는, Habib EndoHBP (EMcision, London, UK)와 ELRA RFA catheter (Starmed, Goyang, Korea)가 있다. Habib 카테터는 8Fr 양극형 카테터로 2개의 8mm 전극이 부착되어 있는 형태로 안내철사를 따라 내시경내로 삽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ELRA 카테터는 7Fr 양극형 카테터로 11mm, 18mm, 22mm, 33mm의 4가지 형태가 있다.
그러나, 담도암을 비롯한 악성 담도 협착치료를 위해, 고주파 소작술(RFA)에 사용되는 종래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는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를 굴곡이 형성된 담도부 병변에 적용할 경우, 담도 내 조직에 균일하게 열전달이 어려울 수 있고,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를 통해 원하지 않는 부위에 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병변부에 대한 충분한 소작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7Fr 혹은 8Fr 양극형 카테터의 경우, 협착이 심한 부위에 대해 카테터가 통과할 수 없으므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가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를 굴곡이 형성된 담관부 병변에 적용할 경우, 담관 내 조직에 균일하게 열전달이 어려울 수 있고, 원하지 않는 부위에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에 의한 소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주파 소작용 카테터를 통해 병변부에 충분한 소작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직경이 7Fr 혹은 8Fr 양극형 카테터의 경우, 미세 담관 협착부 혹은 협착이 심한 부위에 대해 카테터가 통과할 수 없어 치료가 어려울 수 있으며, 제한된 전극이 부착되어 고주파 소작의 길이 및 범위가 정형화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특정한 전극 스텐트에 국부적으로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에너지를 조직의 병변 부위에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직의 병변 부위로 이동 가능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이격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전극 스텐트; 상기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 상기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 및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는, 매쉬 형태로 제공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외면에 마련되는 발룬을 더 포함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초하여,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테터는 가이드팁; 상기 가이드팁의 후단에 연결되고 둘레부에 상기 전극 스텐트가 배치되는 지지 튜브; 상기 지지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 스텐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 튜브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튜브; 및 상기 지지 튜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튜브를 상기 이동 튜브에대해 상기 지지 튜브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튜브의 상기 이동 튜브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팁과 상기 이동 튜브 사이의 간격이 변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는 상기 가이드팁과 상기 이동 튜브 사이의 상기 간격이 작아지도록 상기 지지 튜브가 상기 이동 튜브에 대하여 이동하였을 때, 직경 방향으로 팽창되어 열 에너지를 병변 부위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는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서 상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2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는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서 상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 스텐트, 제2 스텐트 및 제3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스텐트, 상기 제2 스텐트 및 상기 제3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되,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상기 양 전류 또는 상기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룬의 외면에 마련되는 전극 스텐트는 상기 발룬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매쉬 형태이거나, 단일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함으로써,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작술에 필요한 소작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고, 조직의 병변 부위에 대한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기기 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긴 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고주파 발생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기기 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긴 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고주파 발생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기기 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에서 푸셔를 완전히 당긴 후, 전극 스텐트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고주파 발생기의 제어 흐름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10)는, 카테터(100), 전극 스텐트(200), 절연체(300),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테터(100)는 조직의 병변 부위로 이동 가능한 탐침자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카테터(100)가 조직의 병변 부위에 위치되면, 전극 스텐트(200)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의 병변에 대해 소작(Thermal Ablation)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카테터(100)는 지지 튜브(110), 허브(130), 이동 튜브(140) 및 푸셔(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튜브(110)의 적어도 일부, 일 예로, 지지 튜브(110)의 전단부에는 전극 스텐트(2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튜브(110)의 전단에는 원추형의 가이드팁(160)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튜브(110)의 후단은 허브(130)를 관통하여 푸셔(1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동 튜브(140)는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선단부)가 전극 스텐트(200)를 감싸는 튜브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 튜브(140)에는 지지 튜브(110)가 삽입되어 관통될 수 있다. 이동 튜브(140)는 지지 튜브(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 튜브(110)의 후방향 또는 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 튜브(140)는 열전도를 차단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허브(130)에는 지지 튜브(110)가 관통될 수 있다. 푸셔(150)는 지지 튜브(1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푸셔(150)를 허브(130)에 대해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푸셔(150)를 허브(130)에 대해 멀어지도록 당길 때, 푸셔에 연결된 지지 튜브(110)의 전단부가 이동 튜브(140) 내로 소정거리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튜브(110와 이동 튜브(140) 사이에 배치된 전극 스텐트(200)가 지지 튜브(110)의 길이 방향으로 압축되는 한편, 지지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또한, 사용자가 푸셔(150)를 허브(130)에 대해 가까워지도록 밀 때, 지지 튜브(110와 이동 튜브(140)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된 전극 스텐트(200)가 지지 튜브(11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편, 지지 튜브(110)의 직경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전극 스텐트(200)는 그물망 구조의 메쉬 형태로 신축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 전극 스텐트(200)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 스텐트(200)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아 열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극 스텐트(200)가 푸셔(150)에 의해 풀(pull) 될때, 전극 스텐트(200)는 병변 부위에 접촉되면서, 열 에너지를 병변 부위에 제공할 수 있다.
전극 스텐트(200)는 카테터(100)의 단부에 이격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서 보듯이, 전극 스텐트(200)는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는, 카테터(100)의 단부에서 절연체(300)를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텐트(210)는 이동 튜브(140)와 절연체(300)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튜브(110)와 이동 튜브(140) 사이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동 튜브(140)와 절연체(300)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으로써 직경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 제2 스텐트(220)는 절연체(300)와 가이드팁(160)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 튜브(110)와 이동 튜브(140) 사이의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이동 절연체(300)와 가이드팁(160)사이의 거리가 좁아짐으로써 직경방향으로 확장 변형될 수 있다.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는 카테터(100)의 단부에서 직경방향으로 펼쳐질 때(확장될 때), 병변 부위에 밀착되도록 원통형 메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듯이, 전극 스텐트(200)는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들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는, 카테터(100)의 단부에서 절연체(300)를 사이에 두고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는, 카테터(100)의 단부에서 펼쳐질 때, 병변 부위에 밀착되도록 원통형 메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극 스텐트(200)는 원통형 메쉬 형태의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로 구성되거나, 원통형 메쉬 형태의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병변 부위의 길이, 형상 및 크기 등에 따라, 전극 스텐트(200)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절연체(300)는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절연체(300)는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 스텐트(200) 간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체(300)는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 사이에 위치하여 전극 스텐트(200) 간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은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은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전원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전원을 전극 스텐트(200)에 제공할 수 있다.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은 컨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은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도록 컨트롤러(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의 제어를 통해,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200)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200)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 스텐트(200)가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로 구성되는 경우, 컨트롤러(500)는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500)는 양 전류를 제1 스텐트(210)에 인가하고 음 전류를 제2 스텐트(220)에 인가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음 전류를 제1 스텐트(210)에 인가하고 양 전류를 제2 스텐트(220)에 인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스텐트(200)가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로 구성되는 경우, 컨트롤러(500)는 제1 스텐트(210),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되,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500)는 양 전류를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에 인가하고 음 전류를 제3 스텐트(230)에 인가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음 전류를 제1 스텐트(210) 및 제2 스텐트(220)에 인가하고 양 전류를 제3 스텐트(230)에 인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500)는 양 전류를 제1 스텐트(210)에 인가하고 음 전류를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에 인가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음 전류를 제1 스텐트(210)에 인가하고 양 전류를 제2 스텐트(220) 및 제3 스텐트(230)에 인가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200)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는 바이폴러(Bi-polar) 방식이 적용되지만, 필요에 따라, 병변 부위에 근접한 환자의 외측 피부에 별도의 외부 전극(일 예로, 전극 패드, 접지 패드 등)을 위치시키는 경우,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200)에 음 전류를 인가하고, 외부 전극에 양 전류를 인가하는 모노폴러(Mono-polar)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극 스텐트(200)에는 제1 감지센서(710) 및 제2 감지센서(720)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710)는 전극 스텐트(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710)는 전극 스텐트(200)가 병변 부위에 접촉될 때, 전극 스텐트(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710)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5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감지센서(720)는 전극 스텐트(200)의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제2 감지센서(720)는 전극 스텐트(200)의 외측 또는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감지센서(720)에서 측정된 임피던스에 대한 정보는, 컨트롤러(500)에 전달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제1 감지센서(710)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컨트롤러(500)는 제2 감지센서(720)를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초하여, 측정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가 70℃ 내지 80℃ 범위이고 경우, 이고, 제1 감지센서(710)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가 65℃이면, 전극 스텐트(200)의 온도가 70℃를 초과할 때까지, 컨트롤러(500)는 전극 스텐트(200)에 전류를 인가하도록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러(500)는 제2 감지센서(720)를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고려하여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감지센서(710)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컨트롤러(500)는 전류가 차단되도록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9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10)는, 카테터(100), 전극 스텐트(200), 절연체(300), 전기에너지공급유닛(400), 컨트롤러(500) 및 발룬(6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은 발룬(600)을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바,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들을 원용한다.
발룬(600)은 가스 주입시 팽창이 가능한 풍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발룬(600)의 외면에는 고리 형태의 전극 스텐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발룬(600)은 전극 스텐트(200)와 연속되도록 카테터(100)의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서 보듯이, 카테터(100)의 단부에는 원통 메쉬 형태의 제1 스텐트(210)와, 고리 형태의 제2 스텐트(220)가 구비된 발룬(600)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보듯이, 카테터(100)의 단부에는 고리 형태의 제1 스텐트(210)가 구비된 발룬(600)과, 원통 메쉬 형태의 제2 스텐트(220)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룬(600)의 외면에는 전극 스텐트(200)가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도 9에서 보듯이, 전극 스텐트(200) 이외에, 발룬(600)의 외면에는 전극 와이어(800)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전극 스텐트 장치의 전극 스텐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터(100)의 단부에는 원통 메쉬 형태의 제1 스텐트(210)와, 발룬(600)과, 원통 메쉬 형태의 제2 스텐트(220)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카테터(100)의 단부에는 원통 메쉬 형태의 제1 스텐트(210)와, 원통 메쉬 형태의 제2 스텐트(220)와, 발룬(600)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함으로써, 복수 개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소작술에 필요한 소작 범위의 조절이 가능하고, 조직의 병변 부위에 대한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10)
- 조직의 병변 부위로 이동 가능한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이격하여 제공되는 복수의 전극 스텐트;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선택적으로 인가하는 전기에너지공급유닛;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외면에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마련되고, 팽창이 가능한 발룬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는
상기 카테터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1 스텐트; 및
상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제2 스텐트에 연속하여 배치되고, 상기 발룬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2 스텐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텐트는 상기 카테터의 지지 튜브 및 이동 튜브 간 이동 변화에 따라, 직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고, 상기 제2 스텐트는 상기 발룬의 팽창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텐트 및 제2 스텐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는,
매쉬 형태로 제공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제2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측정 온도가 기 설정된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 후,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2 감지센서를 통해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초하여, 상기 측정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열 에너지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 중 어느 하나의 전극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가이드팁;
상기 가이드팁의 후단에 연결되고 둘레부에 상기 전극 스텐트가 배치되는 지지 튜브;
상기 지지 튜브가 삽입되는 중공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 스텐트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 튜브를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튜브; 및
상기 지지 튜브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 튜브를 상기 이동 튜브에 대해 상기 지지 튜브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튜브의 상기 이동 튜브에 대한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팁과 상기 이동 튜브 사이의 간격이 변하고,
상기 복수의 전극 스텐트는
상기 가이드팁과 상기 이동 튜브 사이의 상기 간격이 작아지도록 상기 지지 튜브가 상기 이동 튜브에 대하여 이동하였을 때, 직경 방향으로 팽창되어 열 에너지를 병변 부위에 제공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스텐트 및 상기 제2 스텐트에 양 전류 또는 음 전류를 교번하여 인가하도록 상기 전기에너지공급유닛을 제어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룬의 외면에 마련되는 전극 스텐트는
상기 발룬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매쉬 형태이거나, 단일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는,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00023 WO2022145554A1 (ko) | 2021-01-04 | 2021-01-04 |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국소 열 치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095A KR20220099095A (ko) | 2022-07-12 |
KR102551847B1 true KR102551847B1 (ko) | 2023-07-06 |
Family
ID=82259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4338A KR102551847B1 (ko) | 2021-01-04 | 2021-01-04 |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51847B1 (ko) |
WO (1) | WO2022145554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50171A1 (en) | 2006-08-21 | 2012-06-14 | Asirvatham Samuel J | Controlling Coagulum Formation |
US20140025069A1 (en) * | 2012-07-17 | 2014-01-23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Renal nerve modulation catheter design |
US20140228843A1 (en) * | 2009-04-06 | 2014-08-14 | Michael J. O'Donnell | System and method for resecting a valve |
US20160310211A1 (en) | 2014-01-06 | 2016-10-27 | Iowa Approach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renal denervation ablation |
JP2018089431A (ja) | 2012-08-09 | 2018-06-14 |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イオワ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 カテーテル、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組織構造を刺通す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0675A (en) * | 1992-08-12 | 1994-12-06 | Vidamed, Inc. | Medical probe device and method |
WO2010107182A2 (ko) | 2009-03-19 | 2010-09-23 | 서울대학교병원 | 양극형 고주파 절제술용 카테터 |
KR101415902B1 (ko) * | 2012-05-18 | 2014-07-08 | 신경민 | 소작 겸용 스텐트 시술장치 |
-
2021
- 2021-01-04 WO PCT/KR2021/000023 patent/WO202214555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1-01-04 KR KR1020217004338A patent/KR10255184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50171A1 (en) | 2006-08-21 | 2012-06-14 | Asirvatham Samuel J | Controlling Coagulum Formation |
US20140228843A1 (en) * | 2009-04-06 | 2014-08-14 | Michael J. O'Donnell | System and method for resecting a valve |
US20140025069A1 (en) * | 2012-07-17 | 2014-01-23 |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 Renal nerve modulation catheter design |
JP2018089431A (ja) | 2012-08-09 | 2018-06-14 |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アイオワ リサーチ ファウンデーション | カテーテル、カテーテルシステム、及び組織構造を刺通する方法 |
US20160310211A1 (en) | 2014-01-06 | 2016-10-27 | Iowa Approach Inc. | Apparatus and methods for renal denervation ab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99095A (ko) | 2022-07-12 |
WO2022145554A1 (ko) | 2022-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13246B2 (en) | Tissue ablation systems and method | |
JP5579726B2 (ja) | 組織ア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 | |
CN106725838B (zh) | 兼具球囊扩张和射频消融功能的导管及其消融方法 | |
ES2703556T3 (es) | Aparato para controlar con precisión el tamaño y la forma de ablaciones por radiofrecuencia | |
EP2155094B1 (en) | Radiofrequency ablation device | |
US7399299B2 (en) | Thermal ablation of biological tissue | |
US7115124B1 (en) | Device and method for tissue ablation using bipolar radio-frequency current | |
US20100049191A1 (en) | Tissue ablator | |
KR101415902B1 (ko) | 소작 겸용 스텐트 시술장치 | |
WO2017024055A1 (en) | Steerable tissue mapping and ablation device | |
US20240180605A1 (en) | Tissue ablation systems and method | |
KR101415900B1 (ko) | 고주파 열치료용 중첩형 바이폴라 전극 | |
US20220313354A1 (en) | Radio frequency ablation medical device | |
KR20230161488A (ko) | 원주 방향 절제 장치 및 방법 | |
KR20220039731A (ko) | 플라즈마 수술을 위한 기구 및 플라즈마 생성 방법 | |
WO2023161492A1 (en) | An electroporation device | |
US20240299090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ed volume ablation | |
KR102551847B1 (ko) | 바이폴러 전극을 이용한 전극 스텐트 장치 | |
CN219680751U (zh) | 自适应管腔结构的消融导管,导管装置和神经消融导管 | |
JP4294147B2 (ja) | 高周波処置具 | |
CN111743617A (zh) | 用于月经过多的治疗的具有环形电极的设备 | |
KR20240038498A (ko) | 고주파 국소 소작을 위한 풍선카테터 장치 | |
JP2004160083A (ja) | 電気手術装置 | |
CN117241752A (zh) | 周向消融装置和方法 | |
CN116407248A (zh) | 冷却球囊及消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