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538B1 -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538B1
KR102551538B1 KR1020210033118A KR20210033118A KR102551538B1 KR 102551538 B1 KR102551538 B1 KR 102551538B1 KR 1020210033118 A KR1020210033118 A KR 1020210033118A KR 20210033118 A KR20210033118 A KR 20210033118A KR 102551538 B1 KR102551538 B1 KR 10255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robot
event
tray
predetermined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31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9886A (en
Inventor
김명식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로보틱스
Priority to PCT/KR2021/0035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94192A1/en
Publication of KR2021011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5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및 그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은, 이동로봇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상기 이동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소정의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are disclosed.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of the mobile robot, at least one tray connected to the frame on which loads can be loade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and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through a connect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o det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Description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및 그 제공방법{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및 그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로봇(예컨대, 서빙로봇)에 전원 연결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확장단자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연결장치나 액세서리를 간편하게 추가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로봇의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음으로써 이동로봇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a method for provi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robot (e.g., a serving robot) provided with an expansion terminal for power connection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various connection devices as needed. It is about a technical idea that can improve the usability of a mobile robot by easily expanding the function of the mobile robot by enabling easy additional installation of accessories.

자율주행이나 로봇 기술의 발달과 함께 자율주행이 가능한 이동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driving or robot technology, research on mobile robots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예를 들어, 음식점 등의 매장에서 음식물의 서빙을 서빙로봇으로 수행함으로써 매장 내 업무량을 줄이면서도 고객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by serving food at a store such as a restaurant with a serving robot,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customers while reducing workload in the store.

서빙로봇은 사람을 대신하여 매장 내에서 정해진 경로를 따라 주행하거나, 주행경로 상의 장애물 등을 인식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싣고 고객에게 서빙하고 있다.Serving robots drive along a set route in a store instead of humans, or recognize obstacles on the driving route, load cooked food, and serve customers.

이러한 서빙로봇은 주로 외식 업장(이하, 매장이라 함)에 구비되어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단순히 음식을 적재하고 나르는 서빙 외에도 현장에서 다양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These serving robots are mainly provided in food service establishment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tores) to perform predetermined functions, and various requirements in the field are increasing in addition to serving simply loading and carrying food.

그러나 서빙로봇과 같은 종래의 이동로봇에 별도의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이동로봇의 외장 및/또는 내부 하드웨어의 변경이 필요하며, 이는 막대한 개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이동로봇이 다양한 요구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However, in order to add a separate function to a conventional mobile robot such as a serving robot,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external and/or internal hardware of the mobile robot, which requires enormous development costs and time, so that the mobile robot can provide customized services according to various needs. is difficult to provide.

예를 들어, 전술한 서빙로봇의 경우 서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음식물을 적재하여 서빙하는 단순한 기능 외에 다른 기능을 추가하기 어려워, 각 매장별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rving robot described above,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 customized service for each store because it is difficult to add other functions than a simple function of loading and serving food on a tray provided in the serving robot.

종래에는 이러한 이동로봇에 외부 엔지니어링 포트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구동부 펌웨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변경할 수는 있으나, 전원 공급이나 데이터 교환을 위한 확장 포트가 구비되지 않아 이동로봇의 하드웨어 추가를 요구하는 기능은 부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rive unit firmware and user interface through an external engineering port or wireless connection to these mobile robots, but there is no expansion port for power supply or data exchange, so functions that require additional hardware of the mobile robot are added. There was a problem with not being able to do it.

따라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동로봇에 추가 기능을 위한 하드웨어를 설치/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로봇의 기능을 보다 다양화하고, 각 상황/장소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Therefore, a technical idea is needed to diversify the functions of mobile robots by enabling users to simply and easily install/remove hardware for additional functions in mobile robots, an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situation/place. do.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등록번호 10-1083700, "음식점 서빙을 위한 로봇 시스템")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Registration No. 10-1083700,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동로봇에 전원과 데이터 연결을 위한 확장단자를 설치하여, 각종 추가 기능을 위한 하드웨어나 액세서리 등을 용이하게 설치 및/또는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idea that allows easy installation and / or removal of hardware or accessories for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by installing an extension terminal for power and data connection in a mobile robot. .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은, 이동로봇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상기 이동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장치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에 상응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mobile robot, which is easy to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 in the mobile robot, a frame of the mobile robot, at least one tray connected to the frame and capable of loading loads, It includ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and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herein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hrough the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Depending on the connection device to be us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device can be added.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감지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ensing position to detect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through a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접점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may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a contact point between the frame and the tray.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타입, 상기 제어부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타입,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is a first typ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data, a second type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or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and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It may be characterized as any one of the third types.

또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트레이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각각 디텍팅하고,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weigh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eight on the tray,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etect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increases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weight sensor or the weight sensor to detect the weight on the tray.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each detects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decreases, and controls the mobile robot to perform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또한, 상기 무게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based opera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robot is controlled to mov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적재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대기장소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and controls the mobile robot to move toward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the load loaded on the tray has been received, and the mobile robot can be controlled to move toward a predetermined waiting plac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weight change of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weight senso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적재물의 종류별로 무게 변경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적재물에 상응하는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hange range is set in advance for each type of load, and an event is detected only when a weight chan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load is detected as a result of detection by the weight sensor. can

또한, 상기 위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트레이 상의 적재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load on the tray can be sens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ased opera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to perform.

또한, 상기 온도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 후,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로봇으로부터 소정의 안내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based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mobile robot moves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predetermined guidance information is output from the mobile robot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can do.

또한, 상기 이동로봇은, 서빙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robo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rving robot.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의 제공방법은, 이동로봇이 상기 이동로봇의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통해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에 기초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through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formed so that the mobile robot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Connecting with the connection device,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aft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connection device. A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ed event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에 기초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i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또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프레임에 연결된 트레이 상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로봇이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트레이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llows the mobile robot to detect the weight. detecting the weight on a tray connected to the frame through the connecting device therein,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by the mobile robot,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includes performing, by the mobile robot, a weight-bas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wherein the event is a case where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increases. An event 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is reduced by the weight sensor may be included.

또한, 상기 이동로봇이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적재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대기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performing the weight-bas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by the mobile robot includes moving the mobile robo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wherein the moving of the mobile robo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includes the tray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the mobile robot determines that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and moves toward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or when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is When a decreasing event is detected, the mobile robot may determine that the load loaded on the tray has been received and move toward a predetermined waiting area.

또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wherei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connection device. A result may include detecting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weight change of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s detected.

또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적재물의 종류별로 무게 변경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연결장치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적재물에 상응하는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mobile robot weighs each type of load. Setting a change range in advance, and detec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weight chan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load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또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적재물의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로봇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llows the mobile robot to sense the temperature.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 through a connection device located thereon,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ensing result,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step of performing the operation includes performing, by the mobile robot,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wherein the mobile robot performs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may include moving the mobile robot to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and outputting predetermined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connection device by the mobile robot.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동로봇에 추가 기능을 위한 하드웨어(연결장치)를 설치/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로봇의 기능을 보다 다양화하고, 사용자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rs can easily and easily install/remove hardware (connecting devices) for additional functions in mobile robots to further diversify the functions of mobile robots and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user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don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기능 추가를 위한 확장단자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구비되는 확장단자의 위치의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연결되는 연결장치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무게센서가 연결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온도센서가 추가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s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pansion terminal for adding functions to a mobile robot in which function expansion is eas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 of an expansion terminal provided in a mobile robot that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ypes of connection devices connected to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s ar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weight sensor is connected to a mobile robot that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9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added to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show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1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s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100, 이하, '이동로봇'이라 함)은 상기 이동로봇의 프레임(110),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어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20), 상기 이동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robot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bile robot') that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rame 110 of the mobile robot and the frame 110. At least one tray 120 on which loads can be loade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t may include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130 formed.

상기 이동로봇(100)은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동이 가능한 로봇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로봇(100)은 자율주행 기능을 포함하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스스로 주행할 수 있는 로봇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바퀴, 동력기관, 휠 등 로봇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 일체의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The mobile robot 100 may refer to a movable robot including a driving unit. For example, the mobile robot 100 may be a robot capable of autonomously driving along a set path including an autonomous driving function.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ny device that may be provided to move the robot, such as a wheel, a power engine, and a wheel. Since the configuration of such a driving unit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어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연산 및 타 구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 저장장치, 및 상기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이동로봇(100) 및/또는 제어부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고 함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행하는 일련의 데이터 처리 및/또는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The control unit may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calculations and other configurations for implementing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include a processor, a storage device, and a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Hereinafter, when the mobile robot 100 and/or the control unit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in this specification, it can be performed by a series of data processing and/or control performed by the processor executing the pro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verage expert in a technical field of .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이동로봇(100)이 매장 내에서 음식물을 고객에게 서빙하는 서빙로봇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동로봇(100)은 소정의 물품을 적재하고 매장과 같은 실내는 물론 야외 경로를 주행하며 고객 또는 소정의 목적지에 배달할 수 있는 배달로봇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정의 건물 내에서 각 층간을 이동하며 정해진 임무(예컨대, 청소, 신문배달 등)를 수행하는 로봇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mobile robot 100 is a serving robot serving food to customers in a stor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mobile robot 100 may be implemented as a delivery robot capable of loading predetermined items and delivering them to customers or predetermined destinations while driving on outdoor routes as well as indoors such as stores, and each within a predetermined building. It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robot that moves between floors and performs predetermined tasks (eg, cleaning, delivering newspapers, etc.).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연결장치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상기 이동로봇(100)에 추가하고자 원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 해당 기능이 포함된 소정의 연결장치를 상기 확장단자(130)에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로봇(100)은 상기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장치에 따라, 해당 연결장치에 상응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Various connection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as needed. For example, if there is a function that the user wants to add to the mobile robot 100, it can be used by connect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he corresponding function to the extension terminal 130. That is, the mobile robot 100 may hav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device add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tension terminal 130 .

상기 확장단자(1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 및/또는 소정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전원은 물론 소정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송수신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단자(130)에 대하여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extension terminal 1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or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device to receive power required for driving,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example, power as well as data required to implement a predetermined func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expansion terminal 13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기능 추가를 위한 확장단자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2 schematically show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xpansion terminal for adding functions to a mobile robot in which function expansion is eas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확장단자(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로봇(100) 또는 상기 이동로봇(100)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면에는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데이터 입출력 단자가 하나로 구성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데이터 입출력 단자는 인터페이스 종류에 따라 복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xpansion terminal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or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obile robot 100 as described above. In the drawing, there is shown a case in which one data input/output terminal is configured for data input/output, but the data input/output terminal may b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lines depending on the interface type.

그리고 상기 확장단자(130)는 방수/방진 기능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로봇(100)이 적재물을 운반하면서 진동이 발생하거나, 적재물의 운반 도중 물이나 오염물질이 튀어 들어가 합선이 유발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특히, 적재물이 음식물인 경우, 음식물의 서빙 도중 물이나 국, 양념 등의 액체가 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단자가 방수/방진 단자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단자(130)이 연결장치를 연결하지 않는 미사용 상태일 때에는, 소정의 커버를 이용하여 상기 확장단자(130)를 덮어 보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xtension terminal 130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waterproof/dustproof function. This may be to prevent the mobile robot 100 from generating vibration while transporting loads or causing a short circuit by splashing water or contaminants while carrying loads. In particular, when the load is food, it is highly likely that liquid such as water, soup, seasoning, etc. may splash during food serving, so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be implemented as a waterproof/dustproof terminal. In addition, when the expansion terminal 130 is not connected to a connection device and is not in use, a predetermined cover may be used to cover and protect the expansion terminal 130 .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트레이(1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로봇(100) 상의 상기 소정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obot ( 100) may be provid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상기 상태정보는 예컨대, 상기 적재물의 무게 및/또는 온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atus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weight and/or temperature of the load.

예를 들면,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와 연결되어 상기 트레이(1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무게 및/또는 온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장치는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 및/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For example, the connec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to sense the weight and/or temperature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120 . In this case, the connection device may include a weigh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eight and/or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emperatur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적재물의 무게나 온도 외에도 상기 적재물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상기 상태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weight or temperature of the loa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load may be included in the status information as needed.

이를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20) 각각의 접점(140)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20) 각각의 접점(140)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를 의미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may be preferably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tact point 140 of each of the frame 110 and the at least one tray 120, as shown in FIG. there is. That is, the predetermined position may mean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from the contact point 140 of each of the frame 110 and the at least one tray 120 .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는 각각의 상기 접점(140)에서도 상기 트레이(120)의 하단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130 may be formed to be located at the lower side of the tray 120 at each of the contact points 140 as well.

이는 연결장치의 용이한 연결 또는 해제를 위해 상기 확장단자(130)가 외부로 노출되면서도, 상기 이동로봇(100)의 관리자 또는 관계자가 아닌 다른 외부인(예컨대, 매장의 고객, 행인 등)의 눈에 쉽게 띄지 않기 위함일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된 적재물의 상태정보 취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확장단자(130)의 위치가 상기 트레이(120)와 근접한 상태가 바람직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the expansion terminal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easy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but it is not visible to the outsiders (eg, store customers, passersby, etc.) It may be that it is not easily visible.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terminal 130 is positioned close to the tray 120 to facilitate acquisition of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120 .

물론, 상기 확장단자(130)의 형성 위치는 반드시 전술한 상기 프레임(110)과 상기 트레이(120)의 접점(140)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확장단자(130)의 형성 위치는 상기 이동로봇(100)의 설계 현황이나 기타 조건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구현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가 도 3에 도시된다.Of cours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expansion terminal 1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contact point 140 between the frame 110 and the tray 120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extension terminal 130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positions according to the design status of the mobile robot 100 or other conditions, which is easily accessible to experts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can be inferred.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3 .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구비되는 확장단자의 위치의 예를 나타낸다.3 shows an example of the position of an expansion terminal provided in a mobile robot that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확장단자(130)는 상기 이동로봇(100)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120) 각각의 접점(140), 및/또는 상기 트레이(120) 하단뿐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0) 중에서도 최상단 트레이(1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이동로봇(100)의 트레이(120)가 아닌 상기 이동로봇(100)의 구동부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이동로봇(100)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경우, 상기 확장단자(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expansion terminal 130 includes a frame 110 of the mobile robot 100, a contact point 140 of each of at least one tray 120 connected to the frame 110, and/or Alternatively, it may be installed not only at the bottom of the tray 120, but also at the uppermost tray 120 among the trays 12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mobile robot (not the tray 120 of the mobile robot 100) 100) may be installed at the location of the driving unit. Alternatively, when the mobile robot 100 i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the extension terminal 130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확장단자(130)는 상기 이동로봇(100) 상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expansion terminal 130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on the mobile robot 100 as needed.

예컨대, 연결장치가 무게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확장단자(130) 중 적어도 하나는 트레이(120)와 프레임(110)의 접점 또는 기타 적재물의 무게를 센싱하기 위해 적합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a weight sensor, at least one of the expansion terminals 130 may be provided at a suitable position to sens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tray 120 and the frame 110 or the weight of other loads.

예컨대, 연결장치가 온도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확장단자(130) 중 적어도 하나는 트레이(120)에 적재된 적재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적재물을 촬영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예컨대, 트레이(120)별로 트레이(120)의 상부를 촬영할 수 있는 프레임(110)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a temperature sensor, at least one of the extension terminals 130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eg, the tray 120) at which the load can be photograph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120 can be measured. Each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rame 110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120).

한편 상기 이동로봇(100)에 상기 트레이(120)가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확장단자(130) 역시 적어도 상기 트레이(12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plurality of trays 120 are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100, the expansion terminals 130 may also be formed at least i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rays 120.

이러한 경우, 상기 확장단자(130)들을 통해 상기 트레이(120)들별로 각각 다른 기능을 추가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different functions may be added to each of the trays 120 through the expansion terminals 130 .

한편, 상기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장치는 상기 이동로봇(100)에 추가하고자 하는 기능에 따라 다양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예가 도 4에 도시된다.Meanwhile,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terminal 130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according to functions to be added to the mobile robot 100 .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연결되는 연결장치의 타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ypes of connection devices connected to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s ar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장치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로봇(100)의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직접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타입,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와는 별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타입,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외부 시스템(200)과 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타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상기 제2타입의 연결장치인 경우, 상기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는 있으나, 그 외에 해당 연결장치의 기능들이 상기 이동로봇(100)의 동작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타입의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기능 및 동작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나 신호 등을 외부 시스템(200)과의 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obile robot 100 as shown in FIG. 4A to transmit/receive predetermined data. Type, as shown in FIG. 4B, a second type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or as shown in FIG. 4C,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200 and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It can be divided into a third type that Among them,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connection device, when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terminal 130, power for driving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rol unit (not shown), but other functions of the connection device are described above. It may not be direct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third type, power can be supplied from the controller (not shown), but data or signals necessary for functions and operation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system 200 .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연결장치에 무게센서 및/또는 온도센서가 포함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설명하는 무게센서 및 온도센서 외에도 다양한 장치(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 등)나 센서, 액세서리 등이 연결장치로 구현되어 상기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a weight sensor and/or a temperature sensor are included in the conn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described weight sensor and temperature sensor, various devices (eg, display devices, etc.), sensors, and accessories may be implemented as connection devices and connected through the extension terminal 130 .

상기 이동로봇(100)의 제어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를 활용하여 연결장치별로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f the mobile robot 100 may be set in advance to perform a corresponding operation for each connected device by utiliz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device.

예컨대, 이동로봇(100)에 소정의 연결장치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제1상태의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상태에서 미리 정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first state in which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is not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perform a predefined operation in the first state.

그러다가 상기 이동로봇(100)의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를 통해 소정의 연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제2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Then, it can be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through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100 . This state will be defined as the second state.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를 더 이용하여 이동로봇(100)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출력정보를 이용하여 제1상태에서는 제어할 수 없었던 동작의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다.The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mobile robot 100 by further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That is, it is possible to control an operation that could not be controlled in the first state by using the output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예컨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에 기초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고, 이러한 이벤트의 발생이 디텍팅된 경우 상기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은 연결장치별로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and when the occurrence of such an event is detected, the mobile robot ( 100) can be controlled. Of course,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may be predetermined for each connected device.

상기 이동로봇(100)을 관리하는 사용자는 어떤 연결장치가 연결되면 상기 연결장치가 어떤 출력정보를 출력할 경우에 이베트가 발생했다고 판단할지 및/또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동로봇(100)이 어떤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지에 대해 미리 정의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에 저장된 이벤트에 대한 정의 및/또는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정할 수도 있다. The user who manages the mobile robot 100 decides that an event has occurred when a connection device outputs what kind of output information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and/or what the mobile robot 100 does when an event occurs. Whether or not to perform an operation may be defined in advance, and such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control unit. Of course, the user may modify the definition of the event stored in the control unit and/or information abou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event.

상기 이벤트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The event may be defined in various ways.

예컨대, 소정의 연결장치가 상기 확장단자(130)와 연결되는 것 자체가 이벤트로 정의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fact that a predetermined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 terminal 130 may itself be defined as an event.

제어부는 연결장치의 연결이라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연결장치가 연결되기 전과는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perform a different operation from before the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when an event of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occurs.

또는 상기 제어부는 연결장치가 연결된 후 상기 연결장치가 출력하는 출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정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연결장치가 무게센서인 경우는 무게가 변하는 경우, 일정 범위이상 변하는 경우 등과 같이 연결장치가 출력하는 출력정보에 따라 다양하게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 온도센서인 경우는 센싱되는 온도가 변하는 경우, 온도가 어떤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등 다양하게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ler may define an even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nection device after the connection device is connected. 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a weight sensor, various events may be defined according to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nection device, such as when the weight changes or changes over a certain range. In the case of a temperature sensor, various events may be defined, such as when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or when the temperature falls within a certain range.

각각의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이동로봇(100)이 수행하는 동작 역시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의 일 예는 후술하도록 한다.An operation performed by the mobile robot 100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each event may also be defined in various ways. An example of such a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이동로봇(10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연결장치가 확장단자(130)들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연결장치들 각각의 이동로봇(100)에의 연결 자체가 이벤트로 정의될 수도 있다. Meanwhile, different types of connection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through extension terminals 130 . In this case, the connection itself to the mobile robot 100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connection devices may be defined as an event.

또는 연결장치들 각각의 출력정보가 같이 이벤트를 정의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연결장치(예컨대, 무게센서)가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제1연결장치가 출력하는 제1출력정보에 기초하여 이벤트(예컨대, 무게가 소정 값 이상 변하는 경우)가 정의될 수 있다. Alternatively, output information of each of the connected devices may be used to define an event together. For example, when a first connection device (eg, a weight sensor) is connected, an event (eg, when a weight chang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may be defined based on first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connection device.

이 상태에서 제2연결장치(예컨대, 온도센서)가 더 이동로봇(10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연결장치가 출력하는 제2출력정보에 더 기초하여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출력정보 및 제2출력정보 모두에 기초하여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무게가 소정 값 이상 변하고 적재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또는 이하)인 경우에 이벤트가 발생했다고 정의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connection device (eg, temperature sensor) is further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an event may be further defined based on second output information output from the second connection device. That is, an event may be defined based on both the first output information and the second output information. For example, it may be defined that an event occurs when the weight chang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temperature of the load is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이처럼 이동로봇(100)에 연결된 연결장치의 종류가 복수 개인 경우에도 복수 개의 연결장치의 종류별로 미리 이벤트가 정의될 수 있으며, 정의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 역시 미리 제어부에 정의되어 있을 수 있다. As such,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ypes of connection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robot 100, events may be defined in advance for each type of the plurality of connection devices, and operations according to the defined events may also be defined in advance in the control unit.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이동로봇(100)에 미리 복잡하거나 고가의 장치를 디폴트로 구비하지 않고, 연결장치 또는 연결장치의 조합에 따라 이벤트 및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동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유지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과적인 기능확장 및/또는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robot 100 is not provided with complicated or expensive devices by default, but dynamically defines events and actions corresponding to the events according to a connection device or a combination of connection devices. By allowing maintenance or modification, effective function expansion and/or cost reduction may b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장치는 다양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주로 이동로봇(100)에 구비된 트레이(120)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연결장치의 일 예를 위주로 설명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terminal 130 may be various, but hereinafter, mainly to detect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120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100 An example of a possible connection device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5 내지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무게센서가 연결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5 to 7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weight sensor is connected to a mobile robot that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로봇(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확장단자(131)에 무게센서(10)가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weight sensor 1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extension terminal 131 that is any one of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130 formed in the mobile robot 100 .

이처럼 연결장치가 무게센서(10)를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되는 적재물(예컨대, 음식물)의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연결장치는 상기 무게센서(10)를 포함하는 트레이 매트일 수 있다.If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the weight sensor 1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for detecting the weight of the load (eg, food) loaded on the tray 120 . Accordingly, in this case, the connection device may be a tray mat including the weight sensor 10 .

이때 상기 연결장치가 전술한 제1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무게센서(10)를 통해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물인 음식물이 적재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the first type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detect whether or not food, which is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120 through the weight sensor 10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무게센서(10)를 통해 적재물의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물이 적재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용도로 상기 무게센서(10)를 활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로봇(100)이 전술한 바와 같이 매장 내에서 음식물을 서빙하는 서빙로봇으로 구현되는 경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does not measure the exact weight of the load through the weight sensor 10, bu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oad is loaded on the tray 120. The weight sensor 10 may be utilized. This may be more effective when the mobile robot 100 is implemented as a serving robot serving food in a store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디텍팅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예컨대,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및/또는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detect an event occurring on the tray 120 . The event may include, for example,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120 increases and/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120 .

이처럼 이벤트가 디텍팅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an event is detected as such,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perform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상기 무게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100)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동작 및 기능들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무게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100)이 정해진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무게기반 동작이 반드시 특정 목적지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상기 이동로봇(100)이 수행 가능한 어떤 동작(예컨대, 소정의 음성 정보 출력 등)이든 수행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평균적인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The weight-based motion may be various motions and functions that the mobile robot 100 can perform. For example, the weight-based operation may mean that the mobile robot 100 moves toward a predetermined destination. Of course, the weight-based oper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moving to a specific destination, and any operation that the mobile robot 100 can perform when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120 increases or decreases as needed ( For example, outputting predetermined audio information, etc.) can be easily inferred by an average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무게센서(10)의 감지결과 상기 트레이(120)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를 디텍팅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not shown) may detect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120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weight sensor 1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perform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an event in which the weight increases.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를 디텍팅하면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that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120 when detecting an event in which a weight increases, and moves the mobile robot 100 toward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 can be controlled to move.

또는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되어 있던 적재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대기장소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when an event in which the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120 is detected, the controller (not shown) determines that the load loaded on the tray 120 has been received, and sets up a predetermined waiting area.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move towards.

상기 이동로봇(100)이 레스토랑 등의 매장에서 서빙을 수행하는 서빙로봇인 경우를 가정하면,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디텍팅 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트레이(120)에 서빙해야할 음식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음식물이 서빙되어야 할 목적지인 특정 테이블(음식물을 주문한 테이블)을 향해 상기 이동로봇(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로봇(100)은 매장 내 POS나 소정의 주문 시스템,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주문정보를 미리 전달받을 수 있으며, 음식물이 적재되었다고 판단되면 전달받은 주문정보에 상응하는 테이블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Assuming that the mobile robot 100 is a serving robot serving at a store such as a restaurant, when an event of increasing weight is detected, the controller (not shown) places food to be served on the tray 120. It is determined that the food is loaded, and the mobile robot 100 can be controlled to move toward a specific table (the table where the food is ordered), which is the destination where the corresponding food is to be served. At this time, the mobile robot 100 may receive order information from an in-store POS, a prescribed ordering system, or a prescribed external system in advanc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food is loaded, the mobile robot 100 automatically moves to a tabl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der information. can move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정해진 목적지(예컨대, 주문 테이블)에 도착한 이후 상기 무게센서(10)에 의해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된 음식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대기장소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100)이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동로봇(100)은 서빙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대기하고 있도록 미리 정해진 대기장소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대기장소는 매장의 주방에서 음식물이 조리되어 나오는 배식구일 수도 있고, 또는 사람들의 통행이나 직원들의 업무동선에 방해가 되지 않는 별도의 공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rmines the weight loaded on the tray 120 when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120 is reduced by the weight sensor 10 after arriving at a predetermined destination (eg, an order table). It is determined that food has been received, and the mobile robot 100 may be controlled to move toward a designated waiting area.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waiting area may be set so that the mobile robot 100 stands by when not serving. Such a waiting area may be a distribution outlet where food is cooked in the store's kitchen, or may be a separate spa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people's traffic or the work flow of employees.

이처럼 확장단자(130)를 통해 무게센서(10)를 연결하여 트레이(120) 상에 적재물(음식물)의 적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면, 매장 관리자나 직원이 음식물을 적재한 후 이동로봇(100)에게 별도의 조작이나 신호를 보내지 않더라도 이동로봇(100)이 자동으로 서빙을 수행할 수 있어 업무 효율이 증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weight sensor 10 is connected through the extension terminal 13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load (food) is loaded on the tray 120, the store manager or employee loads the food and then the mobile robot 100 ), even if a separate operation or signal is not sent to the mobile robot 100, it can have an effect of increasing work efficiency because the mobile robot 100 can automatically serve.

한편,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준은 무게 증가 또는 무게 감소시 변화하는 무게의 변화 정도일 수 있다.Meanwhile, a criterion for the controller (not shown) to determine whether the event has occurred may be set in advance. This criterion may be the degree of change in weight when the weight is increased or decreased.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비교적 가벼운 무게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경우에는 이벤트로 디텍팅하지 않고, 일정 범위 이상의 무게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이벤트로 디텍팅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ler (not shown) may not detect an increase or decrease in a relatively light weight as an event, but may detect as an event only a change in weight within a certain range.

이는 상기 이동로봇(100)이 매장의 서빙로봇으로 구현되는 경우, 적재되는 적재물이 음식물과 음식물을 수용하는 식기들일 수 있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무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수 g단위의 미세한 무게 변화까지 이벤트로 디텍팅하게 되면, 지나가던 사람들의 접촉이나 음식물이 아닌 다른 물체가 잘못 적재된 경우에도 상기 이동로봇(100)의 오작동을 유발할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This is because when the mobile robot 100 is implemented as a serving robot in a store, loaded objects may be food and tableware accommodating the food, which basically has a weight above a certain level. If the control unit (not shown) detects even a minute weight change in the unit of several grams as an event, there is a risk of causing the mobile robot 100 to malfunction even if objects other than food are incorrectly loaded or contacted by passers-by. may exist.

구현 예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로봇(100)이 매장 내 주문 시스템(예컨대, POS 등)으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매장에서 판매하는 주문 메뉴별(즉, 적재물 종류별)로 무게 범위를 미리 설정해놓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robot 100 can receive order information from an in-store ordering system (eg, POS, etc.), each order menu sold in the store (ie, each load type) ) to set the weight range in advance.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주문 시스템으로부터 곧 서빙되어야할 주문 메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메뉴의 무게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 해당 메뉴의 무게 범위에 상응하는 무게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로 디텍팅, 상기 이동로봇(100)의 무게감지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information about an order menu to be served soon from the ordering system, and only when a weight change corresponding to the weight range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detected based on the weight range of the corresponding menu. Detecting as an even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erformance of the weight sensing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이렇게 주문 메뉴별 무게 범위를 각각 설정해두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현재 서빙해야할 음식물이 주문정보에 맞는 음식물인지 여부를 무게 변화를 통해 파악할 수 있어 서빙 오류를 줄이고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when weight ranges are set for each order menu,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determine whether the food to be served currently fits the order information through weight change, thereby reducing serving errors and providing improved service. can have possible effects.

한편 상기 연결장치에 온도센서가 포함된 경우를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a cas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included in the connec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에 온도센서가 추가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8 to 9 show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a temperature sensor is added to a mobile robot whose function can be easily expan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로봇(100)에 구비된 트레이(120) 상에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20)가 상기 제1확장단자(131)에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temperature sensor 20 capable of detecting a temperature on a tray 120 provided in the mobile robo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expansion terminal 131 .

이처럼 온도센서(20)가 포함된 연결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의 위치는 상기 온도센서(20)를 통해 상기 트레이(120) 상의 적재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ing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connected, the position of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is the temperature of the load on the tray 12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20 can be sensed. Location may be preferred.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확장단자(131)는 상기 이동로봇(100)의 프레임(110) 상에서 상기 트레이(120)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확장단자(131)에 연결된 온도센서(20)가 상기 트레이(120)의 상면을 센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expansion terminal 131 is formed at a position as high a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tray 120 on the frame 110 of the mobile robot 100, and the first expansion terminal ( The temperature sensor 20 connected to 131 may be implemented to sense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20 .

이처럼 온도센서(20)가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130)들 중 제1확장단자(131)에 연결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0) 상에 적재물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된 적재물의 온도가 상기 온도센서(2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expansion terminal 131 of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130, as shown in FIG. 9, when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120, the loaded load The temperature of may be sens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이렇게 상기 트레이(120) 상의 적재물의 온도가 센싱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100)을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of the load on the tray 120 is sensed in this way, the controller (not shown) can control the mobile robot 1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상기 온도기반 동작은 센싱되는 온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소정의 안내정보(예컨대, 음성정보, 텍스트 정보, 영상정보 등)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온도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100)이 적재된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 후 수행될 수 있다.The temperature-based operation may be predetermined guide information (eg, voice information, text information, video information, etc.) that is selectively output according to the sensed temperature. It can be performed after moving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만약 매장의 서빙로봇에 적재된 음식물이 상대적으로 뜨거운 음식인 경우, 고객이 이동로봇(100) 즉, 상기 서빙로봇으로부터 음식물을 수령할 때 자칫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다.If the food loaded in the serving robot of the store is relatively hot, there is a risk of burns when the customer receives the food from the mobile robot 100, that is, the serving robot.

따라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도센서(20)를 통해 감지되는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인 경우, 적재된 적재물(음식물)을 목적지로 운송(서빙)한 뒤 즉, 상기 이동로봇(100)이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 이후, 소정의 안내정보("음식이 뜨거우니 조심해주세요" 등)를 출력하도록 하여 고객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20 is higher than a certain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ports (serves) the loaded goods (food) to the destination, that is, the mobile robot 100 After moving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predetermined guidance information ("Please be careful because the food is hot", etc.) can be output to call the customer's attention.

상기 안내정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정보일 수 있으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이동로봇(100)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경우 텍스트 정보 및/또는 영상정보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guide information may be audio inform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nd may be implemented as text information and/or image information when the mobile robot 100 is equipped with a display device.

만약 상기 연결장치가 상기 무게센서(10) 및 상기 온도센서(20)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음식물이 트레이(120)에 적재되면 상기 이동로봇(100)이 자동으로 서빙을 수행하고, 목적지(주문 테이블)에 도착한 후 감지되는 온도에 따라 안내정보를 출력할 수 있어 편리하면서도 보다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the weight sensor 10 and the temperature sensor 20 together, when food is loaded on the tray 120, the mobile robot 100 automatically serves, and the destination After arriving at the (order table), guidance information can be output accor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providing a more convenient and improved service.

이처럼 상기 확장단자(130)를 통해 연결된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는 상기 연결장치가 전술한 제1타입 또는 제3타입인 경우 가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연결장치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이동로봇(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as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xpansion terminal 130 may be possib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s the first type or the third type. That is,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nection device can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data or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

상기 연결장치가 제3타입인 경우, 상기 연결장치에 무게센서(10)와 소정의 호출 기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트레이(120) 상에 감지되는 무게에 일정 수준 이상의 변화(증가 또는 감소)가 있으면 상기 연결장치의 호출 기능이 작동하여, 상기 이동로봇(100)을 원격으로 호출, 상기 이동로봇(100)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If the connecting device is of the third type, the weight sensor 10 and a predetermined paging device may be included in the connecting device. In this case, if there is a change (increase or decrease) of a certain level or more in the weight detected on the tray 120, the call fun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operates, and the mobile robot 100 is remotely called, and the mobile robot 100 ) can be moved to a fixed position.

한편 상기 연결장치가 무게센서(10)를 포함하면서 전술한 제2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무게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무게가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무게센서(10)에 의해 감지되는 무게에 따라 각종 이펙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the weight sensor 10 and is the aforementioned second type, the weight sensed by the weight sensor 10 may not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device may output various effects according to the weight sensed by the weight sensor 10 .

예컨대, 상기 연결장치가 무게센서(10)와 LED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2타입인 경우, 상기 이동로봇(100)의 동작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nnection device includes the weight sensor 10 and the LED and is of the second type, it may not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100.

이 때에는 상기 트레이(120)에 소정의 적재물이 적재될 때, 상기 무게센서(10)를 통해 감지되는 무게가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 상기 LED에 경고를 의미하는 적색등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로봇(100)의 트레이(120)에 과도한 무게의 적재물을 적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트레이(120) 및/또는 이동로봇(100)의 프레임(110) 파손이나, 이동로봇(10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a predetermined load is loaded on the tray 120, when the weight detected through the weight sensor 10 exceeds a certain weight, the LED may be turned on to indicate a warning. Accordingly, the tray 120 and/or the frame 110 of the mobile robot 100 may be damaged or the mobile robot 100 may be overturned by loading an excessive load on the tray 120 of the mobile robot 100. can prevent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을 나타낸다.10 to 11 show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100)은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10)를 통해 프레임에 연결된 트레이 상의 무게를 감지(s1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mobile robot 100, which can easily expand func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weight on the tray connected to the frame (s100) through the weight sensor 10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there is.

그리고 상기 이동로봇(100)은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s110)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상기 트레이(120)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상기 트레이(120)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Further, the mobile robot 100 may detect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s110). In this case, the event may include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120 increases 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120 by the weight sensor, as described above.

이후 상기 이동로봇(100)은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s120)할 수 있다.Thereafter, the mobile robot 100 may perform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s120).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로봇(100)은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온도센서(20)를 통해 프레임에 연결된 트레이(120) 상의 온도를 센싱(s200)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 the mobile robot 100 may sense (s200) the temperature on the tray 120 connected to the frame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20 capable of sensing the temperature.

그리고 상기 이동로봇(100)은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s210)할 수 있다.Further, the mobile robot 100 may perform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S210).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 및 대상 프로그램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mputer-readable program commands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ntrol program and a target program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software field.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r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computer systems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전자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장치, 예를 들어,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device that electronically processes information using an interpreter, for example, a computer,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써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Claims (20)

이동로봇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어 적재물이 적재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트레이;
상기 이동로봇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은,
서빙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감지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감지위치는,
상기 감지위치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접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동로봇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연결장치에 따라 상기 연결장치에 상응하는 기능이 추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In mobile robots,
a frame of the mobile robot;
At least one tray connected to the frame and capable of receiving load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robot; and
It includes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rving robot,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ensing position to detect state information of the load loaded on the tray through a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The sensing location is
The sensing loc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contact point of the frame and the tray,
The mobile robot,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device can be added according to a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타입, 상기 제어부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제2타입, 또는 소정의 외부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며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3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evice,
One of the first type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data, the second type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control unit, and the third type that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external system and transmits and receives predetermined data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상기 트레이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또는 상기 무게센서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각각 디텍팅하고,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device,
It includes a weight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eight on the tray,
The control unit,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weight sens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by the weight sensor is detected, respectively, and a weight-based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is performed.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to perfor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eight-based operation,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robot is controlled to mov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적재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대기장소를 향해 상기 이동로봇이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it is determined that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and the mobile robot is controlled to move toward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that determines that the load loaded on the tray has been received and controls the mobile robot to move toward a designated waiting area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cts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weight change of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weight senso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재물의 종류별로 무게 변경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무게센서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적재물에 상응하는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control unit,
Function expansion is easy,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hange range is set in advance for each type of load, and an event is detected as occurring only when a weight chan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load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weight sensor. robo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위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통해 상기 트레이 상의 적재물의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위치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이동로봇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nsing position,
It is a position where the temperature of the load on the tray can be sens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temperature,
The control unit,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to perform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기반 동작은,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한 후,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로봇으로부터 소정의 안내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emperature-based operation,
After the mobile robot moves to the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 mobile robot is controlled to output predetermined guide information. .
삭제delete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의 제공방법에 있어서,
이동로봇이 상기 이동로봇의 소정의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를 통해 연결장치와 연결되는 단계;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에 기초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은,
서빙로봇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확장단자에 연결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의 프레임에 연결되는 트레이에 적재되는 상태정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감지위치에 구비되되,
상기 감지위치는,
상기 프레임 및 상기 트레이의 접점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connecting the mobile robot to a connecting device through at least one extension terminal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detecting an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aft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and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The mobile robo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erving robot,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It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sensing position to detect state information loaded on a tray connected to the frame of the mobile robot through a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at least one expansion terminal,
The sensing location is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the contact point of the frame and the tra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출력정보에 기초한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fter the mobile robo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device,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output informa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comprises: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tha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comprising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load loaded on a tray of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프레임에 연결된 트레이 상의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로봇이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벤트는,
상기 트레이 상에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 또는 무게센서에 의해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load loaded on a tray of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weight on the tray connected to the frame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and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an event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Performing, by the mobile robot,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The event,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al expansion, including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on the tray increases or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decreases on the tray by a weight sensor.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로봇이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무게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로봇이 정해진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증가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물이 적재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 또는
상기 트레이 상에서 소정의 무게가 감소하는 이벤트가 디텍팅된 경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트레이 상에 적재된 적재물이 수령된 것으로 판단하고, 정해진 대기장소를 향해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the mobile robot performing a weight-based mo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Including the step of moving the mobile robo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The step of moving the mobile robot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When an event in which a predetermined weight increases on the tray is detected, the mobile robot determining that a load is loaded on the tray and moving toward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or
When an event of a predetermined weight reduction on the tray is detected, the mobile robot determines that the load loaded on the tray has been received and moves toward a predetermined waiting area. How to provide a mobile robo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범위 이상의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load loaded on a tray of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and detecting, by the mobile robot, that the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change in weigh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connecting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적재물의 종류별로 무게 변경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상기 연결장치의 감지결과 미리 정해진 종류의 적재물에 상응하는 무게 변경이 감지되는 경우에만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load loaded on a tray of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Functional expansion including the step of allowing the mobile robot to set a weight change range for each type of load in advance and detecting that an event has occurred only when a weight chang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ype of load is detected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connection device A method for providing this easy mobile robo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이동로봇에 구비된 트레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상태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통해 상기 적재물의 온도를 센싱하고, 센싱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디텍팅한 경우 디텍팅된 이벤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로봇이 센싱된 온도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 온도기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적재물에 상응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로봇이 상기 연결장치에 의해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소정의 안내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능확장이 용이한 이동로봇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tate information by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a load loaded on a tray of the mobile robot through the connection device,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load through a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mobile robot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sensing result,
The step of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event when the mobile robo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cluding the step of the mobile robot perform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The step of the mobile robot perform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based operation based on the sensed temperature,
moving the mobile robot to a destination corresponding to the load;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comprising the step of outputting, by the mobile robot, predetermined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connection device.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3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installed in a data processing device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to perform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9.
KR1020210033118A 2020-03-25 2021-03-15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KR1025515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1/003506 WO2021194192A1 (en) 2020-03-25 2021-03-22 Mobile robot for facilitating functional expansion, and provis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6486 2020-03-25
KR1020200036486 2020-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86A KR20210119886A (en) 2021-10-06
KR102551538B1 true KR102551538B1 (en) 2023-07-06

Family

ID=7807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3118A KR102551538B1 (en) 2020-03-25 2021-03-15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15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80406A1 (en) * 2021-11-02 2023-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Device and method for preserving item according to serving order
KR20230122349A (en) 2022-02-14 2023-08-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llision avoidance control of mobile robot based on virtual obstacles
WO2024025010A1 (en) * 2022-07-28 2024-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erving robot
WO2024043370A1 (en) * 2022-08-25 2024-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Traveling robo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700B1 (en) 2009-04-02 2011-11-16 주식회사 유진로봇 robot system for restaurant serving
KR102566528B1 (en) * 2018-06-14 2023-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ar movable robot
KR102560904B1 (en) * 2018-06-14 2023-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dular movable robot having porter module
WO2020209426A1 (en) * 2019-04-11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Loading module and transport robot having same
KR20190117417A (en) * 2019-09-2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Robot and method of delivering articles by the rob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86A (en)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538B1 (en) Mobile robot with easy function expansion and providing method thereof
JP7071475B2 (en) Elevator control method, elevator control system, robot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9694976B1 (en) Re-arrange stored inventory holders
JP6416590B2 (en) Material management system and transport robot
JP5982729B2 (en) Transport management device,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anagement program
US11396428B2 (en) Flexible automated sorting and transport arrangement
CA26521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inventory items
US10206519B1 (en) Auto-facing unit with sensors
US11378968B2 (en) Autonomous ground vehicle (AGV) cart for item distribution
JP7199003B2 (en) Carrier device, carrier device with receiving function, carrier system, host system, carrier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9153070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30009857A (en) Smart method and device for adaptive user interface experiences
JP5417255B2 (en) Robot system for serving service
CN110025258B (en) Autonomous electric vacuum cleaner
US20190197904A1 (en) Mobile objec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object system
KR2021011988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and wireless calling device
CN216535159U (en) Robot cleaner and robot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858202B1 (en) Air cushioned materials handling system
WO2021194192A1 (en) Mobile robot for facilitating functional expansion, and provision method therefor
KR102376299B1 (en) Moving robot ha and method thereof
CN110113468B (en) Stat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20076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mote ordering
KR102655839B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robot
US10322663B1 (en) Storage locations with inflatable bladders
KR20200094831A (en)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