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1069B1 - Dust coll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Dust coll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1069B1
KR102551069B1 KR1020220188036A KR20220188036A KR102551069B1 KR 102551069 B1 KR102551069 B1 KR 102551069B1 KR 1020220188036 A KR1020220188036 A KR 1020220188036A KR 20220188036 A KR20220188036 A KR 20220188036A KR 102551069 B1 KR102551069 B1 KR 102551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s
printing device
printing
unit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0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치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김치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김치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디어플러스넷
Priority to KR1020220188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1069B1/en
Priority to KR1020230083417A priority patent/KR1025961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0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0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printing on webs
    • B41F5/1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printing on webs with several impression cylinders arranged around a forme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10Relief printing
    • B41P2200/12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00/00Printing processes
    • B41P2200/10Relief printing
    • B41P2200/13Offset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5/00Cleaning
    • B41P2235/10Clean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r devices
    • B41P2235/27Suction devices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을 개시한다.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images or text on the packaging box; Discloses a dust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and a dust collect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device to suck dust generated from the printing device.

Description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DUST COLLECTION SYSTEM}Dust collection system that purifies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rinting device {DUST COLLECTION SYSTEM}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정화하는 집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system for purify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a print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포장박스는 제품이 내부에 삽입됨과 더불어 외면에는 해당 제품의 상품명이나 제조업체 등을 알 수 있도록 여러 이미지가 인쇄된다. 현대에는 해당 이미지가 디자인적 요소가 가미되도록 점진적으로 발전되었고, 이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를 정교하게 인쇄할 수 있는 장치가 시장에서 요구되었다. In general, various images are printed on the outer surface of a packaging box so that the product name or manufacturer of the product can be known along with the product being inserted inside. In modern times, the image has been gradually developed to add design elements, and accordingly, a device capable of precisely printing various images has been required in the market.

상기 포장박스에 대한 인쇄기술은 플렉소(Flexo)인쇄와 그라비아오프셋인쇄가 널리 사용된다. 이 중에서 상기 플렉소 기법은 양각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포장박스에 인쇄하도록 이루어진다. As the printing technology for the packaging box, flexo printing and gravure offset printing are widely used. Among them, the flexo technique is made to print an image on a packaging box using embossing.

상기 플렉소 인쇄는 기본적인 제판만 하면 빠른 시간에 대량으로 인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지만, 현대의 흐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디자인을 즉각적으로 반영하기가 힘들며 디자인이 정교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방식들은 잉크와 물과 희석되어 잉크폐수가 많이 나오는 단점이 있었다. The flexo printing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int in large quantities in a short time by simply making basic plates, bu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reflect the design that changes every moment according to the modern trend and the design is not sophisticated. In addition, the existing method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lot of ink wastewater is produced due to dilution with ink and water.

한편 특허등록 제10-1887566호 "포장박스용 인쇄장치"(선행문헌)에 기술된 "포장박스용 인쇄장치"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00), 컨베이어(200), 프린팅장치(300) 및 조절부(400)를 포함한 구성을 기재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inting device for packaging box" describ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7566 "Printing device for packing box" (prior literature) includes a main body 100, a conveyor 200, and a printing device 300 as shown in FIG. )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the control unit 400 is described.

상기 선행문헌에 공지된 프린팅장치(300)에는 복수 개의 헤드(310)가 구성되며, 포장용 박스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200)는 흡착홈(220)을 형성하여 공기의 흡입장치에 의한 흡착력으로 포장용 박스(10)가 컨베이어 (200)에 밀착되게 하여 인쇄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쇄시 공급되는 포장용 박스(10)를 후방으로 이동시 공기의 흡착력으로 포장용 박스(10)가 컨베이어(200) 상부에 밀착되게 하여 인쇄의 품질을 높이도록 하였다.The printing device 300 known in the prior literature includes a plurality of heads 310, and the conveyor 200 that moves the packing box backwards forms an adsorption groove 220, and uses an adsorption force by an air suction devic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acking box 1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veyor 200 to improve the quality of printing is known. In this way, when the packing box 10 supplied during printing is moved backward, the packing box 10 adheres to the top of the conveyor 200 by the adsorption force of the air,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printing.

한편 인쇄 단계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은 인쇄 품질 저하를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generated in the printing step cause deterioration in print quality.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집진 시스템을 개시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dust collection system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시스템은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한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an image or text on a packaging box; and a dust collector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device to suck in dust generated from the printing device.

한편,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 및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an installation unit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device and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a duct unit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ing,

상기 설치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The install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gs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n upper plate supported by the legs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printing apparatu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the packaging box; includes,

상기 집진부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면이 상기 인쇄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The dust collection part, the lower surface is maintained in a completely open state, formed in a funnel structure having a sealed upper surface, the body fram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ortion so that the lower surface faces the printing device; And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includes,

상기 덕트부는,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The duct part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late,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ake devic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집진부 및 덕트부를 통해 흡입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ust that may be generated in the printing process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suction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unit and the duct unit, and furthermore, it ha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printing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인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판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rinting apparatus.
2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2;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nd operations to the stated components, steps, and operation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1000)은 인쇄장치(10),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설치부(100), 집진부(200) 및 덕트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dust collect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device 10, an installation unit 100 installed above the printing device 10, a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a duct unit ( 300) may be included.

인쇄장치(10)는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나 글씨를 인쇄하는 장치일 수 있다.The printing device 10 may be a device that prints images or letters on a packaging box.

예를 들면, 인쇄장치(10)는 포장박스를 이동시키는 컨베이어 및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나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부는 잉크 분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printing device 10 may include a conveyor for moving the packing box and a printing unit for printing images or letters on the packing box. The printing unit may be formed of an ink jetting type.

설치부(100)는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다리부 및 상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unit 100 may be installed above the printing device 10 and may include a leg unit and an upper plate unit.

다리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인쇄장치(10)의 길이 보다 길 길이로 형성되고, 인쇄장치(1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legs may be provided and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for exampl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rinting device 10, and may be install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inting device 10.

상판부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인쇄장치(10)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판부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면에 인쇄장치(10)에 투입할 포장박스나, 인쇄장치(10)에 의해 인쇄가 완료된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The upper plate part may be supported by the leg part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apparatus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upper plate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a packing box to be put into the printing apparatus 10 or a packing box printed by the printing apparatus 10 on the upper surface.

집진부(200)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ay have a funnel structure with a bottom surface completely open and a sealed top surface.

집진부(200)는 하향 방향으로 집진방향을 갖도록 형성하여 인쇄장치(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ay be formed to have a dust collecting direction in a downward direction to suck dust generated from the printing apparatus 10 .

덕트부(300)는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집진부(200)의 밀폐된 상면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The duct unit 300 is formed through the top plat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ealed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

덕트부(300)의 일단부는 집진부(200)의 밀폐된 상면 중앙과 연통되고, 타단부는 흡기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duct unit 30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center of the closed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n intake devi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시스템(1000)은 인쇄장치(10)에서의 인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진을 집진부(200) 및 덕트부(300)를 통해 흡입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The dust collect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dust that may occur during the printing process in the printing apparatus 10 by suctioning it through the dust collecting part 200 and the duct part 300, , and further has an advantageous effect of increasing the print quality.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집진부를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dust collecting unit shown in FIG. 2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집진부(200)는 본체 프레임(210) 및 연결홀(2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ay include a body frame 210 and a connection hole 230 .

본체 프레임(210)은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frame 210 may have a funnel structure with a bottom surface completely open and a sealed top surface.

본체 프레임(210)은 하단면이 인쇄장치(10)를 향하도록 설치부(100)에 설치될 수 있다.The body frame 210 may b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unit 100 so that its lower surface faces the printing device 10 .

연결홀(230)은 본체 프레임(210)의 상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e 23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210 .

연결홀(230)은 덕트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hole 230 may be connected to the duct unit 300 .

이와 같은 집진부(200)는 덕트부(300)의 타단에 연결되는 흡기장치의 작동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인쇄장치(10)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할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 unit 200 may suck in dust generated from the printing apparatus 10 located at the lower si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n air intake devic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uct unit 300 .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상판부의 일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top plate shown in FIG. 2;

도 4를 참조하면, 상판부는 보조 트레이(1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upper plate portion may include an auxiliary tray 110 .

보조 트레이(110)는 상판부의 상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판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트레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포장박스(1)가 거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tray 110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ray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The packaging box 1 may be mount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s.

복수의 트레이는 연결 밴드(1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밴드(112)는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는 상태로 배치될 것이다. 즉, 연결 밴드(112)의 하부면은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고, 연결 밴드(112)의 포장박스(1)가 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rays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band 112 .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nd 112 will be disposed in a state of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and 11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packing box 1 of the connection band 112 may be mounted thereon.

복수의 트레이는 각각 일단부 및 타단부에 진동 발생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trays may include a vibration generating unit 111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진동 발생부(111)는 소정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or 111 may generate vibration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applied.

진동 발생부(111)는 연결 밴드(112)가 연결되어 연결 밴드(112)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연결 밴드(112)는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11 may apply vibration to the connecting band 112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and 112 .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and 112 may be installed in a zigzag form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s.

예를 들면, 연속하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 사이에는 제1 트레이 및 제2 트레이 각각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진동 발생부(111)에 연결 밴드(112)가 연결되고, 연속하는 제2 트레이 및 제3 트레이 사이에는 제2 트레이 및 제3 트레이 각각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진동 발생부(111)에 연결 밴드(112)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between the continuous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the connecting band 112 is connect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11 formed at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tray and the second tray, and the second tray is continuous. And between the third tray, the connection band 112 may be connected to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11 formed at the other end of each of the second tray and the third tray.

복수의 트레이 중 양 끝 단에 배치되는 트레이는 손잡이 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블록(113)는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Tray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rays may include handle blocks 113. The handle block 113 is formed in a block shape so that the user can grip it.

이와 같은 보조 트레이(110)는 상판부의 상부에서 포장박스(1)의 거치 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소정 제어 신호에 따라 거치된 포장박스(1)로 진동을 인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인쇄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블록(113)을 통해 복수의 포장박스(1)를 한번에 상판부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Such an auxiliary tray 110 can partition the mounting space of the packaging box 1 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and by applying vibration to the packaging box 1 mount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the print quality is improved. can be rai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work efficiency by allowing a plurality of packing boxes 1 to be mounted on the top plate at once through the handle block 113.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00: 집진 시스템
10: 인쇄장치
100: 설치부
200: 집진부
300: 덕트부
1000: dust collection system
10: printing device
100: installation part
200: dust collection unit
300: duct part

Claims (3)

포장박스에 대하여 이미지 또는 글씨를 인쇄하는 인쇄장치; 및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장치에서 발생하는 분진을 흡입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설치부; 및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는 덕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하단면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밀폐된 상면을 갖는 깔때기 구조로 형성되며, 하단면이 상기 인쇄장치를 향하도록 상기 설치부에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일단부가 상기 연결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흡기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설치부는,
복수 개 마련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인쇄장치의 상부에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포장박스의 거치 공간을 제공하는 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상판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 마련되고, 상기 상판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트레이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포장박스가 거치되는 보조 트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트레이는,
복수의 트레이;
상기 복수의 트레이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트레이를 연결하며, 하부면이 상기 상판부의 상면과 맞닿는 상태로 배치되는 연결 밴드;
상기 복수의 트레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연결 밴드와 연결되고, 소정 제어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연결 밴드로 진동을 인가하여 상기 연결 밴드에 거치된 포장박스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 및
상기 복수의 트레이 중 양 끝단에 배치되는 트레이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블록 형태로 형성되는 손잡이 블록;을 포함하는, 집진 시스템.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images or text on the packaging box; and
A dust collecting unit installed on the top of the printing device to suck in dust generated from the printing device; includes,
an installation unit installed above the printing device and providing an installation space for the dust collection unit; and
Further comprising a; duct unit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The dust collector,
a body frame having a funnel structure with a bottom surface completely open and having a sealed top surface,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part so that the bottom surface faces the printing device; and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frame; includes,
The duct par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take device,
The installation part,
Legs provided with a plurality and install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and
An upper plate supported by the legs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bove the printing apparatus,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provide a mounting space for a packaging box; includes,
The duct part,
It is formed through the upper plate,
The top plate,
An auxiliary tray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tray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portion, and having a packaging box mount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s,
The auxiliary tray,
a plurality of trays;
a connection band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trays in a zigzag form to connect the plurality of trays, and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low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t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urality of tray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nd, and when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is applied, vibra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band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packing box mounted on the connection band. Vibration generating unit to be able to; and
A dust collection system comprising a handle block provided on a tra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trays and formed in a block shape so that a user can grip i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88036A 2022-12-28 2022-12-28 Dust collection system KR1025510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en) 2022-12-28 2022-12-28 Dust collection system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en) 2022-12-28 2023-06-28 Dust coll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en) 2022-12-28 2022-12-28 Dust collec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417A Division KR102596152B1 (en) 2022-12-28 2023-06-28 Dust collec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1069B1 true KR102551069B1 (en) 2023-07-04

Family

ID=871567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036A KR102551069B1 (en) 2022-12-28 2022-12-28 Dust collection system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en) 2022-12-28 2023-06-28 Dust collection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417A KR102596152B1 (en) 2022-12-28 2023-06-28 Dust coll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5106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501A (en) * 1996-04-24 1997-11-11 Kinki Seiko Kk Dust collector for printing press
KR200347528Y1 (en) * 2003-10-09 2004-04-17 이광성 A dust collector for printing machine
KR101887566B1 (en) * 2017-12-13 2018-08-10 편장호 Printing machine for packing box
KR101939551B1 (en)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Printing machine for packing box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612B1 (en) * 2020-10-15 2021-05-06 (주)앤픽스시스템즈 UV Printer and Pr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0501A (en) * 1996-04-24 1997-11-11 Kinki Seiko Kk Dust collector for printing press
KR200347528Y1 (en) * 2003-10-09 2004-04-17 이광성 A dust collector for printing machine
KR101887566B1 (en) * 2017-12-13 2018-08-10 편장호 Printing machine for packing box
KR101939551B1 (en) * 2018-09-03 2019-04-11 편장호 Printing machine for packing box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528호(2004.4.17. 공고)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290501호(1997.11.11.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152B1 (en)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1069B1 (en) Dust collection system
ATE276093T1 (en) MACHINES FOR PRODUCING FOLDING BOXES AND METHOD FOR RETROFITTING
JP2000135825A5 (en)
MXPA04006484A (en) Cleaning apparatus for printing press.
DE60005433D1 (en) Wiping device in a gravure printing machine
CN211138597U (en) Hard board printing machine with exhaust gas purification function
JP2984261B1 (en) Automatic descaling apparatus and method
CN206217361U (en) A kind of printing machine for corrugated board
CN212097973U (en) Food package bag printing plate-making device
CN217553515U (en) Filtration convenient to clean spool
CN210616701U (en) Cutting equipment of digital printing paper
CN219096263U (en) Dust blowing cleaning mechanism for printing equipment
CN209143267U (en) A kind of carton press cardboard aligning device
CN219850927U (en) Feeding device
CN210995617U (en) Material surface cleaning device
CN218558296U (en) Automatic coding device for paper box
CN217944646U (en) Novel paper feeding device of environment-friendly packaging material printing machine
CN218536042U (en) Static electricity eliminating device for printing corrugated case
CN218315925U (en) Main frame structure of wide-width digital printing machine
CN216153397U (en) Clear useless device of ink and wash printing machine
JPH0260750A (en) Slant descent device of bed in screen printing machine
CN220995844U (en) Efficient printing machine
CN219620419U (en) Feeding device for single-sided printing machine
JPH07256886A (en) Ink jet recorder
JPH10309799A (en) Method and unit for cleaning metal mask of solder paste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