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918B1 -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918B1
KR102550918B1 KR1020200175989A KR20200175989A KR102550918B1 KR 102550918 B1 KR102550918 B1 KR 102550918B1 KR 1020200175989 A KR1020200175989 A KR 1020200175989A KR 20200175989 A KR20200175989 A KR 20200175989A KR 102550918 B1 KR102550918 B1 KR 102550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power pack
fuel cell
fuel
hydroge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9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86728A (en
Inventor
최순진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그린에어
Priority to KR1020200175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918B1/en
Publication of KR2022008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67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9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thereby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 using steam, electricity,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005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groups B64D37/02 - B64D37/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7/00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for power plant
    • B64D37/30Fuel systems for specific fu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 H01M8/04388Pressure; Ambient pressure; Flow of anode reactants at the inlet or inside the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1/00Power install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 B64D2041/005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안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파워팩;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수소연료가 충진된 수소탱크;와, 상기 수소탱크로부터 수소연료를 공급받는 수소 파워팩; 및 상기 수소탱크의 배출구에 대해 결합하고, 상기 수소 파워팩에 연결된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의 수소연료를 상기 수소 파워팩에 공급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배관과 독립된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에 수소연료를 주입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comprising: a case having a mounting space therein; and a fuel cell power pack disposed in the case, wherein the fuel cell power pack comprises: a hydrogen tank filled with hydrogen fuel; and a hydrogen power pack receiv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hydrogen tank and supply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to the hydrogen power pack through a first pipe connect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and a second pipe independent of the first pipe. and a regulator having a second flow path for injecting hydrogen fuel into the hydrogen tank.

Description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및 이를 구비하는 드론{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and drone having it

본 발명은 드론에 탑재되는 연료전지 파워팩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수소탱크 및 파워 스택과, 그 사이에 배치되는 레귤레이터가 상호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레귤레이터를 통해 수소탱크에 수소연료를 주입할 수 있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cell power pack mounted on a drone, and specifically, a hydrogen tank and a power stack, and a regulator disposed therebetween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ydrogen fuel can be injected into the hydrogen tank through the regulator. It relates to a hydrogen tank 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서 군사적 용도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대를 전후하여 군사적 용도 외 다양한 민간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A drone is a general term for military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in the shape of airplanes or helicopters that can fly and control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a pilot. In addition to military use, it is also used in various civilian fields.

드론은 프로펠러의 개수에 따라 바이콥터(2개), 쿼드콥터(4개), 헥사콥터(6개), 옥토콥터(8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프로펠러 개수가 3개인 드론도 있으나 이는 바이콥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공중에 뜬다. 드론에 부착되는 프로펠러가 짝수인 것은 뉴턴의 제3 법칙인 작용 반작용의 법칙을 활용하기 때문이다.Drones can be divided into bicopters (2), quadcopters (4), hexacopters (6), and octocopters (8) according to the number of propellers. There are also drones with three propellers, but they float in the air in a similar way to bicopters. The even number of propellers attached to drones is because Newton's third law, the law of action and reaction, is used.

프로펠러가 4개 달려 있는 쿼트콥터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프로펠러 1쌍은 시계 방향으로 돌고 다른 1쌍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일정 고도를 유지하며 떠 있는 호버링(hovering)을 할 수 있게 된다.Based on a quartcopter with four propellers, if one pair of opposing propellers rotates clockwise and the other pair rotates counterclockwise, it maintains a constant altitude and hovers by the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You can do it.

그리고,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은, 이동하려는 방향(예를 들어, 앞쪽)의 반대편 프로펠러(뒤쪽)를 좀더 빠르게 회전시켜 양력을 키움으로써 이동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는 방식으로 운전하게 된다.In addition, movement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increases lift by rotating the propeller (rear) opposite to the direction to be moved (for example, the front) more quickly, so that it is tilted toward the direction of movement to generate thrust. do.

현재 드론의 용도는 급속히 확장되고 있다. 소형의 드론은 레저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카메라를 장착하여 일반적으로는 찍을 수 없었던 구도의 역동적인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 개인은 물론 방송용으로도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배송업계에서도 드론을 이용하여 주문받은 상품을 수송하는 배송 메카니즘을 계획 및 실행하고도 있다.Currently, the use of drones is expanding rapidly. Small drones are used for leisure and are equipped with a camera to realize dynamic images of composition that could not be taken in general, so they are used for personal as well as broadcasting. In addition, the delivery industry is also planning and implementing a delivery mechanism that transports ordered products using drones.

그런데, 드론의 운용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 되는 것 중의 하나는 장시간 운용이 가능한지 여부이다.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드론은 비행시간이 몇 십분 정도로 그리 길지 않다. 복수개의 프로펠러를 구동하여 드론을 운용해야 하는데, 프로펠러를 구동하는데 많은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이다.By the way, in the operation of the dron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s whether it is possible to operate for a long time. Most of the drones currently in use on the market do not have a very long flight time of several tens of minut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drone by driving a plurality of propellers, because a lot of power is consumed to drive the propellers.

그렇다고 하여 비행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형의 고용량 배터리 또는 많은 배터리를 드론에 장착하게 되면, 배터리 크기와 무게로 인해 드론 전체의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출력과 중량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 관계로 인해, 오히려 비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중량체를 적재하는 드론, 예를 들어 배송용 드론이나 농업용 드론과 같은 경우에는 페이로드(payload) 값도 고려해야 하므로, 드론 자체의 크기와 무게를 줄이는 것은 드론 운용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된다.However, if a large, high-capacity battery or many batteries are installed on a drone to increase flight time, it is rather inefficient due to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power and weight, which increases the size and weight of the entire drone due to the size and weight of the battery. can result i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rones that load heavy objects, such as delivery drones or agricultural drones, payload values must also be considered, so reduc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drone itself is an important factor in drone operation.

이러한 드론의 동력 향상과 무게 절감의 양자를 만족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연료전지를 동력원으로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수소 연료전지는 전력생산의 효율이 높고 장기간 운용이 가능하기에, 여러 기술적 난제가 있음에도 개발 가치가 높은 기술로 평가할 수 있다.As a way to satisfy both the power improvement and weight reduction of these drones, a technology using a fuel cell as a power source is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hydrogen fuel cells are highly efficient in power generation and can be operated for a long time, so they can be evaluated as a technology with high development value despite various technical difficulties.

현재 소개되어 있는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은 연료전지 파워팩의 일면에 삽입구를 형성하고, 삽입구에 가스탱크를 끼워 내부의 레귤레이터에 결속한 후 고정부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스연료(수소)가 충진된 가스탱크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The currently introduced hydrogen fuel cell power pack consists of a method of forming an insertion hole on one side of the fuel cell power pack, inserting a gas tank into the insertion hole, and binding it to an internal regulator and then fastening a fixing member. In other words, drones are operated by replacing gas tanks filled with gas fuel (hydrogen).

위와 같은 방식은, 충분히 충진된 가스탱크를 여러 개 준비함으로써 드론의 운용시간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에 가스탱크를 연결하는 구조는 복잡해진다. 가스탱크에서 가스연료가 누설됨으로써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위험이 있기에, 안전을 고려한 각종 부수적인 기구가 추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가스탱크를 고정하는 부재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고온영역으로 가스연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설계가 요구된다. 이러한 복잡한 설계는 드론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또한 부수적인 기구의 추가에 따른 중량 증가는 드론의 비행시간을 깎아내리는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The above method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drone by preparing several sufficiently filled gas tanks, but the structure of connecting the gas tank to the hydrogen fuel cell power pack becomes complicated. Since there is a risk of fire or explosion due to leakage of gas fuel from the gas tank, various auxiliary devices considering safety must be added.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a member fixing the gas tank becomes complicated, and a design for preventing leakage of gas fuel into a high-temperature region is required. This complicated design become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price of the drone, and the increase in weight due to the addition of ancillary equipment causes a negative result of reducing the flight time of the drone.

한국등록특허 제10-2130213호 (2020.06.29 등록)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2130213 (registered on June 29, 2020)

본 발명은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과 수소탱크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의 위험은 낮추고 중량절감에 의한 비행시간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hydrogen fuel cell power pack and the hydrogen tank,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providing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that can prolong flight time by reducing weight. there is.

본 발명은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장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안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파워팩;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수소연료가 충진된 수소탱크;와, 상기 수소탱크로부터 수소연료를 공급받는 수소 파워팩; 및 상기 수소탱크의 배출구에 대해 결합하고, 상기 수소 파워팩에 연결된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의 수소연료를 상기 수소 파워팩에 공급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배관과 독립된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에 수소연료를 주입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comprising: a case having a mounting space therein; and a fuel cell power pack disposed in the case, wherein the fuel cell power pack comprises: a hydrogen tank filled with hydrogen fuel; and a hydrogen power pack receiv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hydrogen tank and supply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to the hydrogen power pack through a first pipe connect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and a second pipe independent of the first pipe. and a regulator having a second flow path for injecting hydrogen fuel into the hydrogen tank.

여기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규정 압력 이상의 수소연료가 주입되면 상기 제1 유로는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수소연료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유로는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는 폐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는 밸브 기구를 포함한다.Here, the regulator opens the second flow path while closing the first flow path when hydrogen fuel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s injected through the second pipe, and opens the first flow path when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fuel is released. The second passage includes a valve mechanism that closes and returns to an original state.

그리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수소 파워팩에 공급되는 수소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유로상에 유량조절 밸브를 구비한다.The regulator includes a flow control valve on the first flow path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ydrogen fuel suppli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또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수소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상기 압력센서에서 출력한 압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량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gulator include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the fuel cell power pack receives a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adjusts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w control valv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outputs a control comman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케이스 밖에서 관찰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는 수소연료의 잔량이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구동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dicator observable outside the case may be provided, and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indicator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ignal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그리고,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에 포함된 상기 수소탱크, 수소 파워팩 및 레귤레이터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일체로 고정 장착되며,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이 고정적으로 장착된 장착 프레임이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일체로서 상기 케이스 안에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ydrogen tank, hydrogen power pack, and regulator included in the fuel cell power pack are integrally fixedly mounted to the case, an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 mounting frame to which the fuel cell power pack is fixedly mounted is connected to the fuel cell power pack. It can be mounted in the case as an integral part.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과, 상기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의 케이스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날개부;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된 다리부;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 드론을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wing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se of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and a leg par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ase.

여기서, 상기 제2 배관의 수소 충진구와 상기 인디케이터는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시야영역 안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에 충진되는 수소연료의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에 수소연료의 잔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the hydrogen filling port of the second pipe and the indicator are disposed in a field of view that can be observed together, and the control unit responds to a pressure signal of hydrogen fuel filled in the hydrogen tank through the second pipe to the indicator. It may be desirable to drive the indicator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is display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은, 레귤레이터를 매개로 하여 수소탱크와 수소 파워팩 전부가 하나의 일체를 이루고, 이러한 일체형으로 케이스에 탑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소 연료전지 파워팩과 수소탱크의 연결구조를 단순화하고, 이를 통해 안전사고의 위험은 낮추면서 중량절감에 의한 비행시간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다.In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ydrogen tank and the hydrogen power pack are all integrally formed through a regulator, and are mounted in the case as such an integral form.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hydrogen fuel cell power pack and the hydrogen tank,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flight time by reducing the weight while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또한,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 안에 탑재된 밸브 기구가 수소연료를 충진하는 때에만 한시적으로 충전유로만을 개방하므로, 충진되는 수소연료가 수소 파워팩으로 역류한다거나, 연료전지 파워팩의 구동 중에 수소연료가 외부로 누출될 염려 없이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alve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emporarily opens the filling oil only when the valve mechanism mounted in the regulator is filling the hydrogen fuel, the hydrogen fuel to be filled flows back to the hydrogen power pack or the hydrogen fuel leaks to the outside during operation of the fuel cell power pack. You can operate it safely without any worri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드론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수소 파워팩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의 (a) 및 (b)는 도 2에 나타난 레귤레이터의 상세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장착 프레임 상에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이 일체로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드론에 인디케이터와 수소 충진구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ydrogen fuel cell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ydrogen power pack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b)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regulator shown in FIG. 2;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is integrally mounted on a mounting frame;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dicator and a hydrogen filling hole are provided in a hydrogen fuel cell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s that a stated component, step, operation, and/or element is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Existence or additions are not ex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이 적용될 수 있는 수소 연료전지 드론(10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은, 연료인 수소가스의 공급원과, 수소가스를 공급받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 파워팩(210)이 일체를 이루는 하나의 모듈로서 구성되므로, 전력이 필요한 각종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중량 대비 에너지 생산 밀도가 높은 연료전지 파워팩(200)을 적용하기에 적절한 대표적인 예가 드론이기에 이를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hydrogen fuel cell drone 1000 to which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odule in which a supply source of hydrogen gas, which is a fuel, and a hydrogen power pack 210 that receives the hydrogen gas and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re integrally formed.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requiring power. However, since a representative example suitable for applying the fuel cell power pack 200 having a high energy production density to weight ratio is a dron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is is explained as an example.

도 1의 수소 연료전지 드론(1000)은 양력을 발생하는 날개부(1100)가 4개인 쿼드콥터를 하나의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은 케이스(100) 안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100)의 외측 둘레를 따라 4개의 날개부(1100)가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하면에는 지면에 안착하는 한 쌍의 다리부(1200)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의 수소 연료전지 드론(1000)은 케이스(100) 안의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에서 생산된 전력으로 각각의 날개부(1100)를 구동하여 비행을 하며, 드론의 일반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과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hydrogen fuel cell drone 1000 of FIG. 1 shows a quadcopter having four wings 1100 generating lift as an example.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case 100, and four wings 1100 are evenly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se 100. Also, a pair of leg parts 1200 seated on the ground ar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00 . The hydrogen fuel cell drone 1000 of FIG. 1 flies by driving each wing 1100 with power generated from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in the case 100, and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drone is as follows. Since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ubject of the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되는 수소 파워팩(210)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수소 파워팩(210)은 중앙의 제어부(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수소 파워팩(21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수소 파워팩(210) 안에는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연료전지 스택(미도시)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수소 파워팩(210)에는 독립된 수소 공급구(24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연료전지 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는 등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hydrogen power pack 21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llustrated hydrogen power pack 210, a pair of hydrogen power packs 210 facing each other with a central control unit 220 interposed therebetween are disposed. A fuel cell stack (not shown) in whic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occurs is provided in each hydrogen power pack 210, and an independent hydrogen supply port 242 is provided in each hydrogen power pack 210. And, the controller 220 plays a pivotal role, such as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hydrogen fuel supplied to the fuel cell stac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은 케이스(100)와 연료전지 파워팩(200)을 포함하고, 연료전지 파워팩(200)은 수소탱크(300)와 수소 파워팩(210), 그리고 레귤레이터(400)를 포함한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and a fuel cell power pack 200, and the fuel cell power pack 200 includes a hydrogen tank 300, a hydrogen power pack 210, and a regulator ( 400).

케이스(100)는 내부에 장착 공간이 형성된 몸체로서, 그 안에 연료전지 파워팩(200)이 배치된다. 연료전지 파워팩(200)은 연료인 수소가스를 저장하고 공급하는 수소탱크(300)와, 수소연료를 공급받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는 수소 파워팩(210), 그리고 수소탱크(300)와 수소 파워팩(210)를 연결하는 레귤레이터(400)로서 이루어진다.The case 100 is a body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fuel cell power pack 200 is disposed therein. The fuel cell power pack 200 includes a hydrogen tank 300 that stores and supplies hydrogen gas as fuel, a hydrogen power pack 210 that receives hydrogen fuel and generates electricity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and a hydrogen tank 300. It is made as a regulator 400 connecting the hydrogen power pack 210.

수소탱크(300)는 수소연료가 충진된 고압 저장용기로서, 저장하고 있는 수소연료를 수소 파워팩(210)에 공급하는 한편, 외부에서 가압 충진하는 수소연료를 수용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수소연료를 공급하거나, 또는 수소연료를 받아들여 충진하는 두 방향의 수소연료의 흐름은 후술하는 레귤레이터(400)를 통해 이루어진다.The hydrogen tank 300 is a high-pressure storage container filled with hydrogen fuel, and serves to supply stored hydrogen fuel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and to receive and store hydrogen fuel that is pressurized and filled from the outside. The flow of hydrogen fuel in two directions, supplying hydrogen fuel or accepting and filling hydrogen fuel, is performed through a regulator 400 described later.

수소 파워팩(210)은 앞서 설명한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한 쌍을 이루는 수소 파워팩(210)은 수소가스를 연료로 공급받아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한다.The hydrogen power pack 210 is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and the pair of hydrogen power packs 210 receive hydrogen gas as fuel and generate electricity through a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레귤레이터(400)는 수소탱크(300)에 대한 수소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레귤레이터(400)는 수소탱크(300)의 배출구(310)에 대해 나사결합의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결합한다. 레귤레이터(400) 내부에는 두 개의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유로는 어느 하나의 유로만 개방되고, 다른 하나의 유로는 폐쇄된다. 즉, 두 개의 유로는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개방된다.The regulator 400 is a hardware device that controls the flow of hydrogen fuel to the hydrogen tank 300 . The regulator 400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let 310 of the hydrogen tank 300 by screwing. Two flow paths are formed inside the regulator 400, and only one flow path is open and the other flow path is closed. That is, only one of the two passages is selectively opened.

제1 유로(412)는 수소탱크(300)의 수소연료를 수소 파워팩(210)에 공급하는 유로로서, 수소 파워팩(210)에 연결된 제1 배관(410)이 레귤레이터(400)의 출구에 연결된다. 제2 유로(422)는 수소탱크(300)에 수소연료를 주입하는 유로로서, 제1 배관(410)과는 독립된 제2 배관(420)의 일단이 레귤레이터(400)의 입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수소 충진구(421)로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The first flow path 412 supplies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300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and the first pipe 410 connect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regulator 400. . The second flow path 422 is a flow path for injecting hydrogen fuel into the hydrogen tank 300, and one end of the second pipe 420 independent of the first pipe 410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regulator 4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regulator 4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a hydrogen filling hole 421 .

도 4는 레귤레이터(4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참고로, 도 4는 제1 유로(412)와 제2 유로(422) 사이의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개념도이기에, 실제 공학적인 설계는 이와는 다소 다를 수 있다. 그렇지만, 다양한 실시형태가 있더라도 그 기본원리는 동등하다.4 schematically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gulator 400. For reference, FIG. 4 is a kind of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version between the first flow path 412 and the second flow path 422, and the actual engineering design may be slightly different from this. However, even if there are various embodiments, the basic principle is equivalent.

도 4는 레귤레이터(400)의 내부에 설치된 밸브 기구(450)를 보여준다. 밸브 기구(450)는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수소탱크(300)와 수소 파워팩(210)을 연결하는 제1 배관(410)에 의해 연장되는 제1 유로(412)를 개방하고, 제2 유로(422)는 폐쇄하고 있다. 도 4의 (a)가 통상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탄성부재(454)에 의해 인장력을 받고 있는 제어밸브(452)가 제2 배관(420)이 연결된 제2 유로(422)는 폐쇄하면서 제1 유로(412)는 개방하고 있다.4 shows a valve mechanism 450 installed inside the regulator 400 . In a normal state, the valve mechanism 450 opens the first flow path 412 extending by the first pipe 410 connecting the hydrogen tank 300 and the hydrogen power pack 210, and opens the second flow path 422. is closing 4 (a) shows a normal state, and the control valve 452 under tension by the elastic member 454 closes the second flow path 422 to which the second pipe 420 is connected, while the first The flow path 412 is open.

반면, 도 4의 (b)는 제2 배관(420)을 통해 규정 압력 이상의 수소연료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배관(420)의 단부가 형성하는 수소 충진구(421)를 통해 정해진 압력 이상의 수소연료가 주입되면, 제어밸브(452)는 탄성부재(454)의 인장력을 이기고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어밸브(452)의 이동에 따라, 개방되었던 제1 유로(412)는 폐쇄되면서, 막혀 있던 제2 유로(422)는 개방된다. 제2 유로(422)는 수소 충진구(421)와 수소탱크(300)를 연결하는 유로이며, 따라서 제2 유로(422)의 개방과 함께 외부에서 주입되는 수소연료는 수소탱크(300)에 충진된다.On the other hand, (b)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hydrogen fuel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s injected through the second pipe 420. When hydrogen fuel above a predetermined pressure is injected through the hydrogen filling port 42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pipe 420, the control valve 452 overcomes the tensil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454 and moves downward. As the control valve 452 moves, the opened first flow path 412 is closed and the blocked second flow path 422 is opened. The second flow path 422 is a flow path connecting the hydrogen filling port 421 and the hydrogen tank 300, and thus, when the second flow path 422 is opened, the hydrogen fuel injected from the outside fills the hydrogen tank 300. do.

그리고, 수소연료의 충진이 끝나면 제2 배관(420)에 작용하던 압력은 해제되고, 압력의 해제와 함께 탄성부재(454)의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제어밸브(452)는 도 4의 (a)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수소연료를 충진하는 때에만 한시적으로 제2 유로(422)가 개방되므로, 충진되는 수소연료가 수소 파워팩(210)으로 역류한다거나 사용 중에 수소연료가 제2 배관(420)으로 누출될 염려는 없다.And, when the filling of the hydrogen fuel is finished, the pressure acting on the second pipe 420 is released, and the control valve 452 is in the state (a) of FIG. return to As such, since the second flow passage 422 is temporarily opened only when hydrogen fuel is being fill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hydrogen fuel to be filled will flow back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or that hydrogen fuel will leak into the second pipe 420 during use. There is no

한편, 레귤레이터(400)는 수소 파워팩(210)에 공급되는 수소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제1 유로(412)상에 유량조절 밸브(430)를 구비한다. 유량조절 밸브(43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소연료의 유량을 선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gulator 400 includes a flow control valve 430 on the first flow path 412 to control the flow rate of hydrogen fuel suppli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 The flow control valve 430 may be a solenoid valve, and preferably can linearly control the flow rate of hydrogen fuel.

또한, 레귤레이터(400)는 수소탱크(300)의 압력, 다시 말해 수소탱크(300)에서 토출되는 수소연료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40)를 구비할 수 있다. 압력센서(440)는 유량조절 밸브(430)의 개도량을 피드백 제어하기 위한 입력값으로 사용되는 수소탱크(300)의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센서(440)에서 출력한 압력신호는 연료전지 파워팩(200)의 제어부(220)로 입력되며, 제어부(220)는 입력된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유량조절 밸브(430)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한다. In addition, the regulator 40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440 that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300, that is,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fuel discharged from the hydrogen tank 300. The pressure sensor 440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300 used as an input value for feedback control of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w control valve 430 . The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440 is input to the controller 220 of the fuel cell power pack 200, and the controller 220 controls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w control valve 430 in response to the input pressure signal. print the command

압력신호의 입력과 유량조절 밸브(430)의 제어명령은 레귤레이터(400)와 제어부(220)를 연결하는 제어라인(230)을 통해 송수신된다. 대략적으로 설명한다면, 수소탱크(300)의 압력이 낮아질수록 유량조절 밸브(430)의 개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일정한 유량의 수소연료가 수소 파워팩(210)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고부하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유량조절 밸브(430)를 더 열거나, 또는 대기상태에서는 유량조절 밸브(430)를 좁히는 등의 사전에 설정된 전력관리 알고리즘에 따라 압력신호에 대응하는 유량조절 밸브(430)의 개도량 제어가 이루어진다.The input of the pressure signal and the control command of the flow control valve 430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control line 230 connecting the regulator 400 and the control unit 220. Roughly speaking, as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300 decreases, the opening amount of the flow control valve 430 is increased so that a constant flow rate of hydrogen fuel is suppli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210, or when a high load is required, the flow rate is increased. The amount of opening of the flow control valve 430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ignal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preset power management algorithm, such as further opening the control valve 430 or narrowing the flow control valve 430 in the standby stat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는, 케이스(100) 밖에서 관찰 가능한 인디케이터(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0)는 수소탱크(300) 안의 수소 잔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인디케이터(110)를 통해 수소 잔량을 확인하고 연료 충전시점을 판단할 수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수소탱크(300)의 압력을 나타내는 압력신호에 대응하는 수소연료의 잔량이 인디케이터(110)에 표시되도록 인디케이터(110)를 구동한다. 제어부(220)와 인디케이터(110)는 출력라인(240)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220)는 압력센서(440)로부터 취득한 압력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인디케이터(110)에 현재의 수소 잔량에 대응하는 표지가 나타나도록 구동한다.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cator 110 observable outside the case 100 may be provided. The indicator 110 is a device that visually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in the hydrogen tank 300. Through the indicator 110,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can be checked and the fuel charging time can be determined. To this end, the controller 220 drives the indicator 110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ignal representing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300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110 . The control unit 220 and the indicator 110 are connected through an output line 240, and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a pressur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residual amount of hydrogen to the indicator 110 based on the pressure signal obtained from the pressure sensor 440. Drive the marker to appea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은, 수소탱크(300)와 수소 파워팩(210), 그리고 레귤레이터(400)가 케이스(100)에 대해 일체로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는 종래기술과는 다르게 본 발명은 수소탱크(300)를 착탈식으로 교체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귤레이터(400)를 통해 외부에서 수소연료를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이는 수소탱크(300)를 고정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Meanwhile, in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ydrogen tank 300, the hydrogen power pack 210, and the regulator 400 are integrally and fixedly mounted to the case 100. This means that unlike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place the hydrogen tank 300 in a detachabl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harge hydrogen fue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gulator 400, which is for fixedly mounting the hydrogen tank 300.

다만, 수소탱크(300)를 고정식으로 장착한다는 것이,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을 케이스(100)에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불가능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일례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장착 프레임(500) 상에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10)을 장착한 상태로 케이스(100) 안에 탑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장착 프레임(500)채로 케이스(100)에서 탈거하여 수리, 교체 등의 관리를 편리하고 일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However, the fixed installation of the hydrogen tank 300 does not mean that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and manage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from the case 100 .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as an example,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 may be mounted in the case 100 while being mounted on a separate mounting frame 500 .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frame 500 is detached from the case 100 so that maintenance such as repair and replacement can be conveniently and collectively performed.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전지 드론(1000)에 인디케이터(110)와 수소 충진구(421)가 구비된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2 배관(420)의 수소 충진구(421)와 인디케이터(110)는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시야영역 안에 인접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제2 배관(420)의 수소 충진구(421)를 통해 수소탱크(300)에 충진되는 수소연료의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인디케이터(110)에 수소연료의 잔량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도록 인디케이터(110)를 구동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는 인디케이터(110)를 보면서 적정량의 수소연료를 충진할 수 있게 된다.And, FIG.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ndicator 110 and the hydrogen filling port 421 are provided in the hydrogen fuel cell dron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hydrogen filling port 421 of the second pipe 420 and the indicator 110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in a viewing area that can be observed togethe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20 displays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on the indicator 110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signal of the hydrogen fuel filled in the hydrogen tank 300 through the hydrogen filling port 421 of the second pipe 420. The indicator 110 is driven so as to be displayed, and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fill an appropriate amount of hydrogen fuel while looking at the indicator 11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0: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100: 케이스 110: 인디케이터
200: 연료전지 파워팩 210: 수소 파워팩
220: 제어부 230: 제어라인
240: 출력라인 300: 수소탱크
310: 배출구 400: 레귤레이터
410: 제1 배관 412: 제1 유로
420: 제2 배관 421: 수소 충진구
422: 제2 유로 430: 유량조절 밸브
440: 압력센서 450: 밸브 기구
452: 제어밸브 454: 탄성부재
500: 장착 프레임 1000: 수소 연료전지 드론
1100: 날개부 1200: 다리부
10: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100: case 110: indicator
200: fuel cell power pack 210: hydrogen power pack
220: control unit 230: control line
240: output line 300: hydrogen tank
310: outlet 400: regulator
410: first pipe 412: first flow path
420: second pipe 421: hydrogen filling port
422: second flow path 430: flow control valve
440: pressure sensor 450: valve mechanism
452: control valve 454: elastic member
500: mounting frame 1000: hydrogen fuel cell drone
1100: wing part 1200: leg part

Claims (9)

내부에 장착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안에 배치되는 연료전지 파워팩;을 포함하고,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수소연료가 충진된 수소탱크;
상기 수소탱크로부터 수소연료를 공급받는 수소 파워팩; 및
상기 수소탱크의 배출구에 대해 결합하고, 상기 수소 파워팩에 연결된 제1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의 수소연료를 상기 수소 파워팩에 공급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배관과 독립된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에 수소연료를 주입하는 제2 유로를 구비하는 레귤레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제2 배관의 일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규정 압력 이상의 수소연료가 주입되면 상기 제1 유로는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를 개방하고, 상기 수소연료의 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제1 유로는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는 폐쇄하여 원상태로 복귀하는 밸브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에 포함된 상기 수소탱크, 수소 파워팩 및 레귤레이터는 상기 케이스에 대해 일체로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2 배관의 타단은 상기 케이스에 외부로 노출된 수소 충진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A case with a moun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fuel cell power pack disposed in the case; includes,
The fuel cell power pack,
A hydrogen tank filled with hydrogen fuel;
a hydrogen power pack receiv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and
A first flow path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hydrogen tank and supplying hydrogen fuel from the hydrogen tank to the hydrogen power pack through a first pipe connect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and a second pipe independent of the first pipe. a regulator having a second flow path for injecting hydrogen fuel into a hydrogen tank;
including,
The regulator opens the second flow path while closing the first flow path when hydrogen fuel at a predetermined pressure or higher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through one end of the second pipe, and when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fuel is released, the first flow path A valve mechanism that closes the second flow path while opening and returns to an original state,
The hydrogen tank, hydrogen power pack, and regulator included in the fuel cell power pack are integrally fixedly mounted to the case,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ipe forms a hydrogen filling hol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수소 파워팩에 공급되는 수소연료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1 유로상에 유량조절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According to claim 1,
The regulator,
A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characterized in that a flow control valve is provided on the first flow path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hydrogen fuel supplied to the hydrogen power pa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귤레이터는 상기 수소탱크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상기 압력센서에서 출력한 압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유량조절 밸브의 개도량을 제어하는 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According to claim 3,
The regulator has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the pressure of the hydrogen tank,
The fuel cell power pack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 pressure sensor and outputs a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ning amount of the flow control valv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signal. power pa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밖에서 관찰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신호에 대응하는 수소연료의 잔량이 상기 인디케이터에 표시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According to claim 4,
Equipped with an indicator observable outside the cas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indicator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corresponding to the pressure signal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은 장착 프레임 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장착 프레임은 상기 연료전지 파워팩과 일체로서 상기 케이스 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According to claim 1,
The fuel cell power pack is fixedly mounted on a mounting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is integrally mounted with the fuel cell power pack in the case.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
상기 수소탱크 일체형 연료전지 파워팩의 케이스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된 날개부; 및
상기 케이스의 하면에 배치된 다리부;
를 포함하는 수소 연료전지 드론.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to 5, and 7;
Wings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se of the hydrogen tank-integrated fuel cell power pack; and
Leg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A hydrogen fuel cell drone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관의 수소 충진구와 상기 인디케이터는 함께 관찰할 수 있는 시야영역 안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배관을 통해 상기 수소탱크에 충진되는 수소연료의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에 수소연료의 잔량이 표시되도록 상기 인디케이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전지 드론.
According to claim 8,
The hydrogen filling hole of the second pipe and the indicator are disposed in a field of view that can be observed together,
The control unit drives the indicator so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hydrogen fuel is displayed on the indicator in response to a pressure signal of the hydrogen fuel filled in the hydrogen tank through the second pipe.
KR1020200175989A 2020-12-16 2020-12-16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KR1025509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89A KR102550918B1 (en) 2020-12-16 2020-12-16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989A KR102550918B1 (en) 2020-12-16 2020-12-16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28A KR20220086728A (en) 2022-06-24
KR102550918B1 true KR102550918B1 (en) 2023-07-05

Family

ID=82215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989A KR102550918B1 (en) 2020-12-16 2020-12-16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91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213B1 (en) 2018-08-31 2020-07-03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Gas supply structure of fuel cell power pack
KR102192453B1 (en) * 2018-08-31 2020-12-17 (주)두산 모빌리티 이노베이션 Drone equipped with fuel cell power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6728A (en) 2022-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841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transporting, and using hydrogen
CN107925101B (en) System and method for unmanned aerial vehicle fuel cell
Lapeña-Rey et al. First fuel-cell manned aircraft
JP2021535035A (en) Fuel cell power pack integrated drone
US20120312919A1 (en) Lifting gas replenishment in a tethered airship system
CN107140229A (en) One kind is tethered at unmanned plane energy supplyystem
JP2011506186A (en) Fuel cell system module
JP2021535563A (en) Fuel cell power pack
KR102550918B1 (en) Fuel cell powerpack integrated with hydrogen tank and drone having the same
Herwerth et al. Development of a small long endurance hybrid PEM fuel cell powered UAV
KR102121663B1 (en) Drone equipped with fuel cell power pack having structure for air circulation control
WO2020217058A1 (en) Uav having configurable fuel cell power system
Rathke et al. Antares DLR-H2–flying test bed for development of aircraft fuel cell systems
JP735428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configurable fuel cell power system
US118661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passively filtered ram air to a hydrogen fuel cell of a UAV
CN114291297A (en) Lunar surface launch vehicle propulsion system
Lapeña-Rey et al. The boeing fuel cell demonstrator airplane
CN113727910A (en) UAV with configurable fuel cell power system
CN212861846U (en) Simple aerial aircraft and delivery vehicle
RU2707154C1 (en) Unmanned aerial vehicle
Ferguson et al. Fuel cell power system development for lox/lh/2 upper stage
US20220359900A1 (en) Hybrid o2/h2 regenerative fuel cell system
US20200388868A1 (en) Open type module structure of fuel cell power pack
US20230286374A1 (en) Internally compliant fuel tank
CN210156483U (en) Open modular structure for fuel cell power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