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81B1 -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81B1
KR102549981B1 KR1020220185203A KR20220185203A KR102549981B1 KR 102549981 B1 KR102549981 B1 KR 102549981B1 KR 1020220185203 A KR1020220185203 A KR 1020220185203A KR 20220185203 A KR20220185203 A KR 20220185203A KR 102549981 B1 KR102549981 B1 KR 102549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application server
remote service
control devic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5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선근
김진광
Original Assignee
브레인즈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레인즈컴퍼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레인즈컴퍼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85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2Program synchronisation; Mutual exclusion, e.g. by means of semaphores
    • G06F9/524Deadlock detection or avo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65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 G06F11/3072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reporting the monitored data where the reporting involves data filtering, e.g. pattern matching, time or event triggered, adaptive or policy-based repor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66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12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 G06F9/4831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with variable priority
    • G06F9/4837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with variable priority time 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Abstract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트랜잭션 처리를 모니터링하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 및 트랜잭션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프록시 객체 생성부,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주기적으로 타임아웃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타임아웃 설정부, 및 타임아웃 설정부의 타임아웃 이벤트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만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Exception) 신호를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예외 신호에 의해 트랜잭션을 종료시킨다.

Description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TRANSACTION OF REMOTE SERVICE RESPONSE BLOCKING STANDBY}
본 발명은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CP를 기반으로 한 원격 시스템 연계 서비스에 대한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웹 환경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서버를 어플리케이션 서버라 한다.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서버와 여러 원격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서버를 연계하여 동작하며, 배포된 서비스를 통해 여러 연계 시스템의 처리 결과를 가공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전달한다.
사용자가 웹에 접속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특정 명령을 입력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현재 웹페이지가 갱신되거나 혹은 다른 웹페이지로 이동하는 등의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를 트랜잭션이라 한다.
이러한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연계 시스템의 응답 지연, 무한 수신 대기와 같은 처리 지연 트랜잭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지연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경우, 지연된 트랜잭션이 잠금(Lock) 상태로 점유하고 있는 리소스에 대한 접근 차단으로 인한 멀티 트랜잭션의 병목(Bottlene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지연 트랜잭션의 증가는 작업 쓰레드(Worker Thread) 부족 현상으로 인해 서비스 전체가 무응답 상태로 빠질 수 있다.
현재 시스템에서는 처리 지연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하여, 트랜잭션을 강제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트랜잭션의 강제 처리를 위해, 해당 쓰레드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거나, 쓰레드 자체를 강제로 죽이는 시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트랜잭션에서 원격 호출 후 응답 수신을 위해 블로킹 상태로 대기중인 쓰레드의 경우에는 강제 중지 처리가 동작하지 않고, 쓰레드 강제 중지시 리소스 동기화 문제로 인한 서비스 응답불가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8-0000614호(2018. 01. 03. 공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TCP를 기반으로 한 원격 시스템 연계 서비스에 대한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며, 블로킹 상태의 원격 응답 대기 트랜잭션까지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트랜잭션 처리를 모니터링하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 및 트랜잭션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프록시 객체 생성부,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주기적으로 타임아웃 설정하는 타임아웃 설정부, 및 타임아웃 설정부의 타임아웃 설정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만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Exception) 신호를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예외 신호에 의해 트랜잭션을 종료시킨다.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jVM(Java Virtual Machine)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주입하는 코드 주입부를 더 포함하며, 모니터링부는, 주입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에 의해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트랜잭션의 시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트랜잭션의 식별을 위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er)를 생성하고, 트랜잭션의 UUID를 트랜잭션의 처리 쓰레드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프록시 객체 생성부는,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I/O(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격서비스 서버에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타임아웃(Time out)으로 변경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NI/O(New 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본 대기 방식을 비차단 방식으로 변경한 후,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타임아웃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 트랜잭션 제어 장치, 및 원격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트랜잭션 및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타임아웃 설정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만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 신호를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예외 신호에 의해 트랜잭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JVM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감지하는 단계는, 주입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에 의해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감지된 트랜잭션의 식별을 위한 UUI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수집하는 단계는, 트랜잭션의 UUID를 트랜잭션의 처리 쓰레드의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I/O(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격서비스 서버에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타임아웃(Time out)으로 변경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NI/O(New 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본 대기 방식을 비차단 방식으로 변경한 후,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타임아웃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잭션을 감지 및 제어 가능한 에이전트의 동작에 의해, 처리되지 않고 중단된 트랜잭션을 중지시켜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트랜잭션 제어 장치의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또한, 제1 엘리먼트 (또는 구성요소)가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 상(ON)에서 동작 또는 실행된다고 언급될 때, 제1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동작 또는 실행되는 환경에서 동작 또는 실행되거나 또는 제2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동작 또는 실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이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언급되는 경우, 명시적인 언급이 없더라도, 그 엘리먼트, 구성요소, 장치, 또는 시스템은 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가 실행 또는 동작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예를 들면, 메모리, CPU 등)나 다른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면 운영체제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드라이버 등)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가 구현됨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그 엘리먼트(또는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어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 및 원격서비스 서버(300)로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트랜잭션을 수행하여 후술하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를 통해 원격서비스 서버(300)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잭션(Transaction)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관리의 대상이 되는 기본적인 정보를 기록한 기본파일(Master file)에 대해서 그 내용에 추가, 삭제, 및 갱신을 하도록 하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망을 통해서 양 단말장치 간에서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해 대화가 교환되는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기도 한다.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의 트랜잭션 처리를 모니터링한다. 구체적으로,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 및 제어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코드를 주입하고, 원격 연결(Socket) 추적을 위해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전달하며, 사용자의 제어 명령을 수행한다.
또한,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BCI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추적 코드를 주입하고, 트랜잭션 수행 중 원격 호출을 위한 I/O 객체 생성시 추적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며, 원본 I/O(Input/Output) 객체를 담아 호출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전달한다.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에 관하여는 후술하는 도 2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원격서비스 서버(300)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의 서비스 요청이 수신되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트랜잭션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와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가 독립적인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이는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 포함된 구성으로 구비되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의 트랜잭션 처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이때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를 포함하여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자바 프로세스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트랜잭션 제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모니터링부(210), 코드 주입부(220), 프록시 객체 생성부(230), 통신부(240), 타임아웃 설정부(250), 저장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1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모니터링부(210)는 코드 주입부(220)에 의해 주입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할 수 있다.
코드 주입부(220)는 JVM(Java Virtual Machine)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주입한다.
프록시 객체 생성부(23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원격서비스 서버(300)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한다.
프록시는 객체의 변화를 감지해 특정 동작의 트랩을 설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록시는 데이터 검증에 사용되는 검증자(Validator)로 사용할 수 있고, 데이터 변화를 감지하는 로거(Logger)로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록시 객체를 사용하면, 한 객체에 대한 기본 작업을 가로채고 재정의하는 프록시를 만들 수 있다.
통신부(240)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의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면, 통신부(240)는 프록시 객체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달한다.
타임아웃 설정부(250)는 주기적으로 타임아웃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도록 원본 원격 연결(Socket) 객체를 발생시킨다설정한다.
저장부(260)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260)는 트랜잭션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er)를 트랜잭션의 처리 쓰레드의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270)는 모니터링부(210), 코드 주입부(220), 프록시 객체 생성부(230), 통신부(240), 타임아웃 설정부(250), 및 저장부(260)들 간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요청을 입력받게 되고, 이 요청에 대응하는 트랜잭션을 수행한다. 이때,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지속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를 모니터링한다(S401).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가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JVM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주입한다(S403).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에서는 기주입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한다(S405).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 시작한 트랜잭션의 정보를 수집한다(S407). 트랜잭션은 처리 중 DB, API 서버 등 원격 서비스 호출을 위한 접속을 시도하며, 이때, 각 시스템 접속을 위한 어댑터(Adapter)는 내부적으로 TCP 통신을 시도한다.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에서는 원격서비스 서버(300)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달한다(S409).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에서는 원격서비스 연결이 I/O 연결인지 혹은 NI/O 연결인지를 확인한다(S411). S411 단계에서, 원격서비스 연결이 NI/O 연결인 것으로 확인되면(S411-N), 원본 대기 방식을 비차단 방식으로 변경한다(S413).
만약, S411 단계에서, 원격서비스 연결이 I/O 연결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S411-Y), 및 S413 단계를 수행한 이후에는 원격서비스 서버에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타임아웃(Time out)으로 변경하는 이벤트 리스터(Event Listener)를 구성한다(S415).
이후, 타임아웃 설정부(250)에 의해 원본 원격 연결 객체에서 주기적으로 발생되는 타임 아웃 이벤트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되는 경우(S417-Y),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 신호를 발생한다(S419). 예외 신호는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달되고, 어플리케이션 서버(100)에서는 예외 신호에 따라 트랜잭션을 종료 처리한 후 정상적으로 트랜잭션을 종료한다.
트랜잭션 제어 장치(200)는 중지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 수신된 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 서버(100)로 전달하고, 원본 연결 객체의 설정을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만약, S417 단계에서, 중지 조건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S417-N)에는 S419 및 S421 단계는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직접적인 수정 및 변경 없이 어플리케이션에 동일한 입출력 동기화 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연계 프록시 객체를 통한 비차단 대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하는 시점에 원격서비스에 대한 응답 대기를 중단하고, 트랜잭션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비정상적인 쓰레드 중단 방식이 아닌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예외 발생을 통해 정상적으로 트랜잭션 종료 처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어플리케이션 서버 200 : 트랜잭션 제어 장치
300 : 원격서비스 서버 210 : 모니터링부
220 : 코드 주입부 230 : 프록시 객체 생성부
240 : 통신부 250 : 타임아웃 설정부
260 : 저장부 270 : 제어부

Claims (8)

  1.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트랜잭션 처리를 모니터링하는 트랜잭션 제어 장치; 및
    상기 트랜잭션에 의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격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트랜잭션을 시작하면,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프록시 객체 생성부;
    상기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통신부;
    주기적으로 타임아웃을설정하는 타임아웃 설정부; 및
    상기 타임아웃 설정부의 타임아웃 설정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만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Exception) 신호를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예외 신호에 의해 트랜잭션을 종료시키며,
    상기 프록시 객체 생성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I/O(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에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타임아웃(Time out)으로 변경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NI/O(New 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본 대기 방식을 비차단 방식으로 변경한 후,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타임아웃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JVM(Java Virtual Machine)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주입하는 코드 주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주입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에 의해 상기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는,
    상기 트랜잭션의 시작이 감지되면, 감지된 트랜잭션의 식별을 위한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er)를 생성하고, 상기 트랜잭션의 UUID를 상기 트랜잭션의 처리 쓰레드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4. 삭제
  5. 어플리케이션 서버, 트랜잭션 제어 장치, 및 원격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트랜잭션 및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트랜잭션의 시작이 감지되면 트랜잭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로의 연결이 감지되면, 입출력 통신 객체의 추적 및 제어를 위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프록시 객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주기적으로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타임아웃 설정에 의해, 중지 조건이 확인된 경우에만 트랜잭션 중지를 위한 예외 신호를 발생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상기 예외 신호에 의해 트랜잭션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I/O(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에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타임아웃(Time out)으로 변경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상기 원격서비스 서버의 연결이 NI/O(New Input/Output) 연결인 경우에는, 원본 대기 방식을 비차단 방식으로 변경한 후, 기설정된 체크 주기를 타임아웃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JVM 로드 시점에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 및 TCP 연결 객체의 생성 시점 코드에 필요한 코드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주입된 트랜잭션 시작 시점 코드에 의해 상기 트랜잭션의 시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잭션 제어 장치에서, 상기 감지된 트랜잭션의 식별을 위한 UUID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트랜잭션의 UUID를 상기 트랜잭션의 처리 쓰레드의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방법.
  8. 삭제
KR1020220185203A 2022-12-27 2022-12-27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549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203A KR102549981B1 (ko) 2022-12-27 2022-12-27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5203A KR102549981B1 (ko) 2022-12-27 2022-12-27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981B1 true KR102549981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5203A KR102549981B1 (ko) 2022-12-27 2022-12-27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066B1 (ko) * 2016-06-20 2017-08-21 티쓰리큐 주식회사 분산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 호출 로그를 이용한 비즈니스 트랜잭션의 실시간 추적 및 분석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20180000614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와탭랩스 트랜잭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02211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드라이어드 분산 트랜잭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07948B1 (ko) * 2020-03-27 2021-10-05 주식회사 와탭랩스 학습 기반의 트랜잭션 관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0066B1 (ko) * 2016-06-20 2017-08-21 티쓰리큐 주식회사 분산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 호출 로그를 이용한 비즈니스 트랜잭션의 실시간 추적 및 분석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KR20180000614A (ko) 2016-06-23 2018-01-03 주식회사 와탭랩스 트랜잭션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002211A (ko) * 2017-06-29 2019-01-08 주식회사 드라이어드 분산 트랜잭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307948B1 (ko) * 2020-03-27 2021-10-05 주식회사 와탭랩스 학습 기반의 트랜잭션 관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00614호(2018.01.03.) 1부.*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02211호(2019.01.08.) 1부.*
한국등록특허 제10-1770066호(2017.08.21.) 1부.*
한국등록특허 제10-2307948호(2021.10.05.) 1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350B1 (en) Automated failure recovery service
US69619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debugging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control programs are recorded
US8219990B2 (en) Techniques for managing virtual machine (VM) states
US6823460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epting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US7127635B2 (en) Method for correcting a program running on a computer system
WO2021098354A1 (zh) 一种基于无障碍服务实现缄默安装的安卓渗透方法和装置
US5867650A (en) Out-of-band data transmission
CN109918187B (zh) 任务调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958217B (zh) 远程控制服务器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7682460B (zh) 一种分布式存储集群数据通信方法及系统
EP1882222A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rmi activation system daemon with non-java applications
CN109245962A (zh) 服务器监控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02209115A (zh) 一种虚拟桌面系统中不同用户之间的协同方法
CN111124761B (zh) 一种设备重启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7315959B2 (en) Real-time remote backup system and related method
KR102549981B1 (ko) 원격 서비스 응답 블로킹 대기 상태의 트랜잭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6826761B1 (en) Efficient timer management system
EP3352415A1 (en) Smb service failure handling method, and storage device
KR100403659B1 (ko) 서버 프로세스 장치 및 서버 프로세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A23861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cepting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CN105468941A (zh) 一种权限控制方法和装置
KR20090123518A (ko) 실시간 데이터 복제 시스템
US200400400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rocess shutdown interface
CN1183452C (zh) 被动式程序监控方法
CN107025404B (zh) 一种监控进程的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