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885B1 -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 Google Patents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885B1
KR102549885B1 KR1020220096522A KR20220096522A KR102549885B1 KR 102549885 B1 KR102549885 B1 KR 102549885B1 KR 1020220096522 A KR1020220096522 A KR 1020220096522A KR 20220096522 A KR20220096522 A KR 20220096522A KR 102549885 B1 KR102549885 B1 KR 10254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ench
model
geological
s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5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석준
이재호
조성준
허철호
이창원
오일환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96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8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01V99/0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4Texture m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04Still image; Photographic im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에서 관찰되는 사면(자연 또는 인공 사면)들의 실제 사면 형태의 이미지 모델을 생성하고, 위치 정보(GCP)를 입력한 후, 이들을 재현된 공간 상에 배치 및 분석 대상들을 표현하고 연결하여, 분석 대상들의 2차원 또는 3차원적 분포와 기하학적 특징에 대한 해석에 용이한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부에 의해 수집하는 제 1 단계;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에 입력하는 제 2 단계; 및 입력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n image model of the actual slope shape of slopes (natural or artificial slopes) observed outdoors, input location information (GCP), place them on the reproduced space, and express the analyzed objects, In connection with this, it is to provide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that is easy to analyze the 2D or 3D distribution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ob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collecting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by a collection unit; a second step of inputting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to a 3D spatial data generator; and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by a 3D trench model builder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Description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3D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 section

본 발명은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야외에서 관찰되는 사면(자연 또는 인공 사면)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분석 대상의 3차원 재현 공간 내 분포 및 발달 특징을 해석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3D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nd in particular, distribution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a 3D reproduction space of an analysis target through direct connection of slopes (natural or artificial slopes) observed in the field. It relates to a 3D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to be analyzed.

산업자원통상부가 지정한 12대 관심 광물(희토류, 탄탈륨, 몰리브덴, 인듐, 백금족, 크롬, 니오븀, 실리콘, 티타늄, 마그네슘, 갈륨, 바나듐) 중 하나인 크롬은 국내 경제 발전의 기반인 첨단 산업의 필수 원자재로 합금 및 그린 에너지 분야에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Chromium, one of the 12 minerals of interest (rare earth, tantalum, molybdenum, indium, platinum group, chromium, niobium, silicon, titanium, magnesium, gallium, vanadium)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is an essential raw material for high-tech industries that are the foundation of domestic economic development. Demand is rapidly increasing in the field of furnace alloys and green energy.

크롬은 내식성이 풍부하기 때문에 도금으로서 쓰임이 많고, 철합금으로서 내식성 및 내열성이 뛰어나며, 스테인리스 강은 녹이 발생되지 않는 강철로서 중요하다.Since chromium is rich in corrosion resistance, it is often used as plating, and as an iron alloy, it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stainless steel is important as a steel that does not rust.

특히, 크롬은 3D 프린팅, 우주 항공/드론, 첨단 로봇 등 4차 산업 혁명과 맞물리는 유망 신 산업에 유용한 광물 자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In particular, chromium is in the limelight as a useful mineral resource for promising new industries aligned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3D printing, aerospace/drones, and advanced robots.

크롬은 국내에는 그 부존 여부가 매우 미미하게 알려져 있지만 동남 아시아, 아프리카 및 남미 오피올라이트 벨트 내 초염기성암 지역에서 부존함이 보고되고 있다.Although the existence of chromium is very little known in Korea, its existence has been reported in the ultramafic rock regions within the ophiolite belts of Southeast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또한, 국내외의 현재까지 연구 결과를 보면, 미얀마 북서부 보피붐 지역의 대산괴는 주로 감람암, 고철질 관입암, 고철질 화산암, 해양 퇴적물 및 크롬 철광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to date, the massif of the Bopibum region in northwestern Myanmar is mainly composed of peridotite, mafic intrusive rock, mafic volcanic rock, marine sediments, and chromite.

특히, 작은 크로미타이트 개방 피트가 대산괴의 동쪽 저지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다.In particular, small chromitite open pits are randomly distributed in the eastern lowlands of the massif.

이와 같은 무작위 또는 임의의 분포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해 지질 욧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이 수행되고 있다.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this random or random distribution,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lipid elements is being performed.

하지만, 종래의 이러한 3차원 모델링은 종이 지질도를 바탕으로 기하학적으로 해석된 단면들을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에 주로 입력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3D modeling, geometrically analyzed cross-sections based on paper geological maps were mainly input into a 3D modeling program.

즉, 종이 지질 도면을 가지고 3차원 모델링을 추정 또는 추론하였기 때문에 그 정밀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3D modeling was estimated or inferred with paper geological drawing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was low.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48787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48787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외에서 관찰되는 사면(자연 또는 인공 사면)들의 실제 사면 형태의 이미지 모델을 생성하고, 위치 정보(GCP)를 입력한 후, 이들을 재현된 공간 상에 배치 및 분석 대상들을 표현하고 연결하여, 분석 대상들의 2차원 또는 3차원적 분포와 기하학적 특징에 대한 해석에 용이한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create an image model of an actual slope shape of slopes (natural or artificial slopes) observed outdoors, input location information (GCP), and then reproduce them. It is to provide a 3D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that is easy to interpret the 2D or 3D distribution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objects by expressing and connecting the objects to be arranged and analyzed on the spac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부에 의해 수집하는 제 1 단계;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에 입력하는 제 2 단계; 및 입력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collecting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by a collection unit; a second step of inputting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to a 3D spatial data generator; and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by a 3D trench model builder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include one or more of superimposed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reference poi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ch data is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a pi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reference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to generate a georeferenced orthographic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상기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ds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in the field survey data, estimates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and is a high-density point model composed of high-density points. (Dense Point Mod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생성된 상기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4 단계; 및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the geological elements on the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model is built by the 3D model building unit using the constructed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The fourth step of doing; and a fifth step of constructing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region to be analyzed by an integrated 3D model build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이미지 기반의 상기 3차원 트렌치 모델은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based 3D trench model is provided to the 3D model building unit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mite rock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는 상기 지질 자료와, 상기 시추 자료와, 상기 드론 자료와 함께 상기 크롬철석암의 형태와 전체 분포를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the geological elements on the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model building unit calculates the shape and overall distribution of the chromite rock together with the geological data, the drilling data, and the drone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xpressed on the three-dimensional spa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드론 자료는 드론으로부터 취득된 지형 자료와 항공 영상을 이용하여 구축한 지표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ground model built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s acquired from dron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지표 모델은 상기 드론 자료로부터 표현 정보와 텍스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model is characterized in that expression information and a texture image are obtained from the dron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텍스처 이미지는 분석 대상 지역의 구조와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ure image is characterized by expressing the structure and color of the area to be analy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트렌치 자료에서 획득한 암상 분포, 암상 경계, 형태와, 폭과, 연장과, 주향과, 경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암석 특징 및 중첩 사진을 사용하여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3D space data generation unit obtains rock phase distribution, rock phase boundary, shape, width, extension, strike, It is characterized by representing dunite and chromit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rock features and superimposed photographs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slope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은,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입력하는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 및 입력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구축하는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a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inputting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nd a 3D trench model construction unit constructing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은,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3차원 모델 구축부; 및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3D modeling system for the geological elements on the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3D model building unit for building a 3D model using the built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and an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that builds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area to be analy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에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system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include one or more of superimposed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reference poi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에서, 상기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nch data is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pictur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에서, 상기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control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to generate a georeferenced orthographic im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은, 상기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nds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in the field survey data, estimates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and is a high-density point model composed of high-density points. (Dense Point Mode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은, 생성된 상기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기타 실시 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 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embodiment disclosed below,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each embodiment disclosed herein only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each claim of the claims.

본 발명에 의하면, 야외에서 관찰되는 사면(자연 또는 인공 사면)들의 실제 사면 형태의 이미지 모델을 생성하고, 위치 정보(GCP)를 입력한 후, 이들을 재현된 공간 상에 배치 및 분석 대상들을 표현하고 연결하여, 분석 대상들의 2차원 또는 3차원적 분포와 기하학적 특징에 대한 해석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reating an image model of the actual slope shape of slopes (natural or artificial slopes) observed outdoors, 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GCP), arranging them on a reproduced space and expressing analysis targets, In connection,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2D or 3D distribution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objec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사면들의 연결을 통해 비교적 작은 스케일(지역적 또는 광상 규모)의 연구 지역에서 정밀한 해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precise analysis in a relatively small scale (regional or mineral deposit scale) research area through the connection of actual slop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차원 사면에서 나타나는 1차원적인 구조들을 3차원 또는 2차원으로 변환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converting one-dimensional structures appearing on a two-dimensional slope into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는 보피붐 일대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D 모델링의 결과를 나타내며, (a)는 트렌치 및 시추공 위치이고, (b)는 WNW 또는 NW 경향으로 분포하는 3개의 렌즈상 더나이트이며, (c)는 더나이트와 유사한 WNW 또는 NW 경향으로 분포하는 크롬철석암군이고, (d)는 트렌치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D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하나의 능선에 대한 정밀 트렌치 조사를 나타내며, (a)는 능선에서 수행된 트렌치 및 조사된 노천굴들의 위치이고, (b)는 능선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의 방향들에 대한 장미도이며, (c)는 능선에 발달하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 방향들에 대한 장미도이고, (d)는 각 트렌치 및 노천굴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보피붐 노천굴1(BO1)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약 75 ㎝ 두께의 크롬철석암이고, (b)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에 발달하는 단열대이며, (c)는 크롬철석암과 더나이트의 경계부이고, (d) 수평면상에서 분기되는 맥상의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보피붐 노천굴2(BO2)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약 75 ㎝ 두께의 크롬철석암이고, (b)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에 발달하는 단열대이며, (c)는 크롬철석암과 더나이트,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이고, (d)는 더나이트 내에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보피붐 트렌치4(BT4)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80 ㎝ 두께의 렌즈상 크롬철석암이 렌즈상의 더나이트 내에 발달함을 나타내고, (b)는 트렌치에서 크롬철석암의 연장이 확인되었으며, 수평면상에서는 무딘끝을 보이며 연장이 종료되며, 수직면 상에서는 두 개로 분기되어 상부로 가면서 연장이 종료됨을 나타내고, (c)는 트렌치 서쪽에 위치하는 소규모 노천굴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보피붐 트렌치5(BT5)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북서-남동 방향이며, 최대 두께 24 ㎝ 의 두 개의 크롬철석암 분절이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부에 발달함을 나타내고, (b)는 수직단면 1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이며, (c)는 수직단면 2에서 3까지 연장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보피붐 트렌치6(BT6)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여러 조직(textures)의 크롬철석암들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들은 조직에 따라 3개의 도메인(Domain I~III)들로 나눌 수 있음을 나타내고, (b)는 도메인 I에 발달하는 맥상의 크롬철석암이며, (c)는 도메인 II에 발달하는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크롬철석암 조각들을 나타내고, (d)는 도메인 III에는 4개의 크롬철석암 포드들이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a three-dimensional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3D modeling for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in the bopi boom area, (a) is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borehole, (b) is three lenticular dunite distributed in WNW or NW trend , (c) is a chromite group distributed in a WNW or NW trend similar to Dunite, and (d) is a diagram showing a 3D model for a trench survey area (ridge).
Figure 3 shows a precision trench survey for one ridge, (a) is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surveyed open pits conducted on the ridge, (b) is a rose diagram of the directions of chromite development on the ridge , (c) is a rose diagram for boundary directions of dunite and hasbergite developing on a ridge, and (d)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trench and open pit.
Figure 4 shows the chromite rock that develops in the bopi boom open pit 1 (BO1), (a) is a chromite stone with a thickness of about 75 cm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b) is the boundary between dunite and hasbergite (c) is the boundary between chromite rock and dunnite, and (d) is a diagram showing vein-shaped chromite rock branching on a horizontal plane.
Figure 5 shows the chromite rock that develops in the bopi boom open pit 2 (BO2), (a) is a chromite stone with a thickness of about 75 cm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b) is the boundary between dunite and hasbergite (c) is the boundary between chromite rock, dunite, and hasbergite, and (d) shows chromite rock irregularly dispersed within dunite.
Figure 6 shows the panoramic view of Bopi Boom Trench 4 (BT4), (a) is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and shows that 80 cm thick lenticular chromite is developed within the lenticular dunite, (b) is in the trench The extension of chromite rock was confirmed, and the extension ends with a blunt end o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extension ends as it goes upward by bifurcating into two on the vertical plane. A drawing representing ironstone.
7 shows a panoramic view of Bopiboom Trench 5 (BT5), (a) is in the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and shows that two chromate rock segments with a maximum thickness of 24 cm develop at the Hasbergite-Thenite boundary, (b) is a chromateite that develops in vertical section 1, and (c) shows a chromateite that extends from vertical section 2 to 3.
8 shows a panoramic view of Boby Boom Trench 6 (BT6), and in (a), chromate rocks of various textures are developing,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domains (Domains I to III) according to the textures. (b) is veined chromite that develops in domain I, (c) shows irregularly dispersed chromite fragments that develop in domain II, and (d) shows four chromite rocks in domain III. A drawing showing that chromite rock pods are irregularly dispersed.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Before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unconditionally in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sense, and in order fo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noted that concepts of various terms may be appropriately defined and used, and furthermore, these terms or words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That is,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specifically limit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terms represent various possibiliti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a defined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and similarly, even if they are expressed in plural numbers, they may include singular meanings. .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nothe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ny other component, but further includes any other component, unless otherwise stated. It can mean you can do it.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라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하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existing inside or connected to and installed” of another component, this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ther component, and a certain It may be installed at a distance, and when it is installed at a certain distance, a third component or means for fixing 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component to another component may exist, and now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he components or means of 3 may be omitted.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or is "directly connecte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third element or means exists.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milarly,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have the same meaning. should be interpreted a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ne side", "the other side",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if used, refer to one component It is used to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components,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eaning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ly used by such a term.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related to positions such as "top", "bottom", "left", and "right", if used, should be understood as indicating a relative position in the drawing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component, Unless an absolute position is specified for these positions, these positional term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ferring to an absolute posi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 specifying the reference numerals for each component of each drawing, for the same component, even if the component is displayed in different drawings, it has the same reference numeral, that is, the same reference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Symbols indicate identical components.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In the drawings accompanying this specification, the size, position, coupling relationship, etc.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ally exaggerated, reduced, or omitted in order to sufficiently clear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ay be described, and therefore the proportions or scale may not be exact.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configuration that i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known technology including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1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verall flow of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은 5개의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ve steps.

제 1 단계(S100)에서는,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부에 의해 수집한다.In a first step (S100),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are collected by a collection unit.

제 2 단계(S200)에서는,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에 입력한다.In the second step (S200),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are input to the 3D spatial data generator.

여기서,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트렌치 자료에서 획득한 암상 분포, 암상 경계, 형태와, 폭과, 연장과, 주향과, 경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암석 특징 및 중첩 사진을 사용하여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한다.Here, the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uses the rock features including one or more of rock phase distribution, rock phase boundary, shape, width, extension, strike, and inclination obtained from the trench data, and an overlapping photograph of the dunnite and the rock phase. Chromite is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이와 같은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는 디지털 이미지(예: 노두 이미지)의 사진 측량 처리 및 3차원 모델링에 사용할 수 있는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을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Such a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specialized software for generating 3D spatial data usable for photogrammetry processing and 3D modeling of digital images (eg, outcrop images).

또한, 해당 전문 소프트웨어로는 Agisoft Metashape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gisoft Metashape can be used as the corresponding specialized softw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software capable of driving a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한편, 입력되는 현장 자료로는 현장 사진, 지질 조사 자료,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eld data to be input may include field photos, geological survey data,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ike.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은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제공될 수 있다.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may be provided to the 3D model building unit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mite.

제 3 단계(S300)에서는, 입력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한다.In a third step (S300),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is built by the 3D trench model construction unit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3차원 모델 구축부는 지질 자료와, 시추 자료와, 드론 자료와 함께 크롬철석암의 형태와 전체 분포를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표현한다.The 3D model construction unit expresses the shape and overall distribution of chromite rocks together with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on the 3D space.

드론 자료는 드론으로부터 취득된 지형 자료와 항공 영상을 이용하여 구축한 지표 모델이다.Drone data is a ground model built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s acquired from dron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에서, 상기 지표 모델은 상기 드론 자료로부터 표현 정보와 텍스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3D modeling method for a geological element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face model is characterized in that expression information and a texture image are obtained from the drone data.

또한, 텍스처 이미지는 분석 대상 지역의 구조와 색상을 표현한다.Also, the texture image expresses the structure and color of the area to be analyzed.

여기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may include one or more of overlapping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control points.

또한,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한다.In addition, the trench data are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pictures.

한편,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한다.Meanwhile, as for ground control points,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in order to generate a georeferenced orthoimage.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한다.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are found in the field survey data, and a dense point model composed of dense points is created by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또한, 생성된 상기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한다.In addition,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are cre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제 4 단계(S400)에서는,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한다.In a fourth step (S400), a 3D model is built by the 3D model builder using the constructed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이와 같은 3차원 모델 구축부는 표면 모델을 명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질학적 모델링 패키지인 지질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Such a 3D model building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geological modeling software, which is a geological modeling package capable of explicitly configuring a surface model.

또한, 해당 전문 소프트웨어로는 SKUA-GOCAD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차원 모델 구축부를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KUA-GOCAD can be used as the corresponding specialized softwa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ll software capable of driving a 3D model building unit.

제 5 단계(S500)에서는,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한다.In a fifth step (S500),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region to be analyzed is built by the integrated 3D model builder.

환언하면, 보피붐 일대에서 트렌치 조사와 지질조사를 완료 후, 현장 자료(중첩된 사진, 노두스케치, 지상기준점 등)들을 Agisoft Metashape에 입력하여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In other words, after completing the trench survey and geological survey in the bopi boom area, the field data (overlapping photos, outcrop sketches, ground control points, etc.) are input into Agisoft Metashape to build an image-based 3D model.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정확하게 구축하기 위해 트렌치 조사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사진을 중첩시켜 촬영한다.In order to accurately build an image-based 3D model, overlapping pictures are taken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trench survey.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10 ~ 15개 이상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한다.In order to generate georeferencing orthoimages, more than 10 to 15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현장 자료를 Agisoft Metashape에 입력하여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한다.Field data are input into Agisoft Metashape to find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and a dense point model is created by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in each photo.

생성된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한다.A polygonal mesh and texture model are cre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보피붐 일대 각 트렌치 조사 지역에 대한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An image-based 3D model for each trench survey area in the Boby Boom area is built.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통합 3차원 모델 구축을 위해,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링 자료는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SKUA-GOCAD로 입력된다.In order to build an integrated 3D model for the area to be analyzed, image-based 3D modeling data are input into SKUA-GOCAD to indicate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mite rocks.

지질 조사, 시추 조사 및 드론 자료들과 함께 크롬철석암의 형태와 전체적인 분포를 3차원 공간상에 표현한다.Together with geological surveys, drilling surveys and drone data, the morphology and overall distribution of chromite rocks ar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트렌치 분석 대상 지역의 3차원 모델링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results of the 3D modeling of the area subject to trench analysis are as follows.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의 3차원 모델은 트렌치 조사, 지질 조사, 시추 조사 및 드론 자료들을 바탕으로 구축된다.A 3D model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is built based on trench survey, geological survey, drilling survey and drone data.

모델링을 위한 입력 자료는 다음과 같이 두 그룹으로 분류한다.Input data for modeling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이전 KIGAM-DGSE 공동 연구 자료들(예: 지형 및 시추 탐사 자료)과, 본 발명에서 도출한 트렌치 조사와 지질 조사 자료들(예: 암석유형 및 경계, 크롬철 석암의 특성 및 트렌치조사 지역 이미지들)로 분류한다.Previous KIGAM-DGSE joint research data (e.g. topography and drilling exploration data), trench survey and geological survey data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e.g. rock type and boundary, characteristics of chromate rock and trench survey area images) ) to be classified as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는 상술한 사진 측량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Agisoft Metashape)와, 지질 모델링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SKUA-GOCADTM)를 사용한 3차원 통합 모델링을 수행한다.The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performs 3D integrated modeling using the above-described photogrammetry software (eg, Agisoft Metashape) and geological modeling software (eg, SKUA-GOCADTM).

이에 의해, 크롬철광의 3D 분포를 시각화하고, 분석 대상 지역에서 크롬 광물화로 이어지는 지역적 특징을 식별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visualize the 3D distribution of chromite and identify regional features that lead to chromium mineralization in the area to be analyzed.

사진 측량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이미지(예를 들어, 노두 이미지)의 사진 측량 처리 및 3D 모델링에 사용할 수 있는 3D 공간 데이터 생성을 위한 전문 소프트웨어이다.Photogrammetry software is specialized software for photogrammetric processing of digital images (eg, outcrop images) and for generating 3D spatial data that can be used for 3D modeling.

지질 모델링 소프트웨어는 표면 모델을 명시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질학적 모델링 패키지이다.Geological modeling software is a geological modeling package that allows the explicit construction of surface models.

즉, 운영자는 암시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각 표면의 위치와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That is, the operator can define the position and shape of each surface without using implicit methods.

사진 측량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 구축은 지질 단면 데이터의 3차원 이미지를 3차원 통합 모델에 직접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예비 작업이다.The construction of image-based 3D models using photogrammetry software is an important preliminary task because 3D images of geological cross-section data can be directly input into 3D integrated models.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성하려면 5가지 기본 단계가 필요하다.Five basic steps are required to construct an image-based three-dimensional model.

첫째, 겹친 해구 사진을 사진 측량 소프트웨어로 가져온다.First, the overlapped trench photos are imported into photogrammetry software.

둘째, 사진을 정렬한다.Second, sort the photos.

셋째, 지상 기준점(GCP)을 추가한다.Third, add a ground control point (GCP).

넷째, 건물 지점, 메쉬 및 텍스처 모델을 생성한다.Fourth, create building points, mesh and texture models.

다섯째, 모델에 중요한 구조 그리기를 수행한다.Fifth, drawing important structures on the model is performed.

이와 같은 절차를 사용하여 각 트렌치 사이트 및 노천광에 대한 3D 이미지가 준비된다.Using this same procedure, 3D images are prepared for each trench site and open pit.

지질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통합 3차원 모델은 항공 사진 측량 데이터(0.078 ㎢), 1:1,000 축척 지질 지도, 8개의 지질 횡단면 및 3개의 드릴 구멍 로그를 통합하여 구성된다.An integrated three-dimensional model using geologic modeling software is constructed by integrating aerial photogrammetric data (0.078 km2), a 1:1,000 scale geologic map, eight geologic cross-sections, and three drill hole logs.

[표 1][Table 1]

Figure 112022081110920-pat00001
Figure 112022081110920-pat00001

모델링을 위한 입력 데이터는 표 1과 같으며, (1) 이전 KIGAM-DGSE 자료 데이터(예: 지형 및 시추 탐사 데이터)와, (2)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예: 지질학적 단면, 암석 유형, 암석 경계, 크롬철광 특성 및 해구 포토모자이크)로 분류할 수 있다.The input data for modeling are shown in Table 1, (1) previous KIGAM-DGSE data (eg topography and drilling exploration data), (2)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g geological cross section, rock type, rock boundaries, chromite properties, and trench photomosaics).

3차원 표면은 점(예: 디지털 항공 사진 측량에서 추출한 디지털 고도 모델(DEM)), 곡선(예: 지질학적 단면에서 디지털화된 암석 경계) 및 드릴 구멍의 마커(예: 암석 지평)에서 생성될 수 있다.Three-dimensional surfaces can be created from points (e.g.,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extracted from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curves (e.g., rock boundaries digitized from geological sections), and markers of drill holes (e.g., rock horizons). there is.

먼저, 드론에서 얻은 지형 데이터와 항공 이미지(픽셀 크기 10 ×10 ㎝)를 사용하여 능선의 표면 모델을 구성한다.First, a surface model of the ridge is constructed using topographical data obtained from a drone and aerial images (pixel size 10 × 10 cm).

둘째, 모든 암석 유형의 기하학적 구조와 경계를 포함하는 8개의 3차원 이미지 지질학적 단면(6개의 해구 및 2개의 노천 구덩이)을 가져온다.Second, 8 three-dimensional image geological cross-sections (6 trenches and 2 open-pit pits) are imported, including the geometries and boundaries of all rock types.

셋째, 3개의 로깅 데이터 세트(BT5에서 서쪽으로 20 m에 위치한 DH-3, BO2에 인접한 DH-10, BT6에 인접한 DH-12)를 사용하여 각 암석 유형의 수직 분포를 결정한다.Third, three logging data sets (DH-3 located 20 m west of BT5, DH-10 adjacent to BO2, and DH-12 adjacent to BT6) are used to determi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type.

즉, 이전 자료에서 획득한 코어 로깅 자료와 지형 자료를 이용한 상세 트렌치조사 지역 표면(surface)을 3차원 모델링한다.That is, the surface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is 3D modeled using the core logging data and topographical data obtained from the previous data.

3개의 코어 로깅 자료들(BDH-3, BDH-10, BDH-12)을 사용하여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있는 각 암석들의 수직 분포를 결정한다.Three core logging data (BDH-3, BDH-10, BDH-12) are used to determin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in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코어 로깅 자료에서는 하즈버가이트, 더나이트 및 크롬철석암이 확인되었고, 그 경계는 비교적 뚜렷하다.Core logging data identified hasberg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with relatively distinct boundaries.

크롬철석암의 분포 깊이(10 m)는 BDH-10과 BDH-12의 코어로깅 자료에서 확인된다.The distribution depth (10 m) of chromite is confirmed in the corelogging data of BDH-10 and BDH-12.

분석 대상 지역 전체의 코어로깅 자료(18공)에서는 30 m의 심도까지 일부 산 점상의 크롬철석암의 분포가 확인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심도 15 m 깊이 내외에서만 두꺼운 크롬철석암이 확인된다.In the core logging data (18 holes) of the entire area to b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hromite rocks on some mountain points was confirmed up to a depth of 30 m, but in most cases, thick chromite rocks were identified only around a depth of 15 m.

더나이트의 최대 깊이(65 m)는 BDH-3의 코어로깅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한다.The maximum depth of the night (65 m) is determined using BDH-3's core logging data.

크로마이타이트는 주로 지표면에서 30 m 깊이까지 검출되었고 두나이트는 지표면에서 65 m 깊이까지 검출될 수 있다.Chromite was mainly detected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30 m, and dunite can be detected from the surface to a depth of 65 m.

드론(drone)으로부터 취득된 지형 자료와 항공 영상을 이용한 지표 모델 구축은 다음과 같다.The ground model construction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s obtained from drones is as follows.

드론 탐사 자료에서 정밀한 표면 정보와 고품질의 텍스처 이미지(texture image)를 취득한다.Acquire precise surface information and high-quality texture images from drone exploration data.

텍스처 이미지는 3D 모델링에서 사용되어 연구지역의 사실적인 구조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Texture images can be used in 3D modeling to represent the realistic structure and color of the study area.

트렌치 조사 자료를 이용한 하즈버가이트, 더나이트 및 크롬철석암을 3차원 모델링한다.Three-dimensional modeling of hasberg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using trench survey data.

트렌치 조사에서 취득한 암상 분포, 암상 경계, 암석 특징(형태, 폭, 연장, 주향/경사) 및 중첩사진을 사용하여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한다.Dunite and chromite ar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bed distribution, bed boundaries, rock features (shape, width, elongation, strike/slope) and superimposed photographs obtained from trench surveys.

6개소의 트렌치와 2개소의 노천채굴지(open pit)에서 조사한 지질 단면은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암의 분포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며, 중첩이미지는 Agisoft Metashape 소프트웨어에서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데 사용한다.Geological cross-sections from 6 trenches and 2 open pits are used to express the distribution of dunnite and chromite, and overlapping images are used to construct an image-based 3D model in Agisoft Metashape software. do.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차원 모델링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3D modeling results for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are as follows.

8개의 이미지 기반 3D 모델들은 SKUA-GOCAD로 입력되어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데 사용된다.Eight image-based 3D models are input into SKUA-GOCAD and us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3D model.

도 2는 보피붐 일대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D 모델링의 결과를 나타내며, (a)는 트렌치 및 시추공 위치이고, (b)는 WNW 또는 NW 경향으로 분포하는 3개의 렌즈상 더나이트이며, (c)는 더나이트와 유사한 WNW 또는 NW 경향으로 분포하는 크롬철석암군이고, (d)는 트렌치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D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3D modeling for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in the bopi boom area, (a) is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borehole, (b) is three lenticular dunite distributed in WNW or NW trend , (c) is a group of chromite rocks distributed in a WNW or NW trend similar to Dunite, and (d) is a diagram showing a 3D model of a trench survey area (ridge).

도 2를 참조하면, 3개의 렌즈상 더나이트군(연장 240 m, 두께 65 m 정도)이 SW 방향의 경사로 WNW 또는 NW 방향으로 정렬하며, 크롬철석암은 지표하 15m 이내에 분포한다.Referring to FIG. 2, three lenticular dunnite groups (extension of 240 m, thickness of about 65 m) are aligned in the WNW or NW direction with a slope in the SW direction, and the chromite is distributed within 15 m of the subsurface.

크롬철석암의 부피는 범위가 25 ~ 222 ㎥ 이며 더나이트의 부피(1,218 ~ 324,435 ㎥)와는 관련이 없지만, 두 암체의 트렌드는 유사하다.The volume of chromite rock ranges from 25 to 222 m3 and is not related to the volume of dunite (1,218 to 324,435 m3), but the trends of the two rocks are similar.

크롬철석암들은 더나이트와 유사하게 WNW 또는 NW의 트렌드를 가지고 있으며, 하즈버가이트와의 접촉부에 가까운 더나이트 내에 불연속적으로 모여 있다.Chromite rocks have WNW or NW trends, similar to dunite, and are discontinuously clustered within dunite close to the contact with hasbergite.

크롬철석암은 괴상에서 구상으로 구조가 변하는 경향을 보이며, 상세 트렌치조사 지역(Ridge)의 능선을 따라 분포되는 특징을 보인다.Chromite rocks tend to change in structure from blocky to spherical, and are characterized by being distributed along the ridge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도 3은 하나의 능선에 대한 정밀 트렌치 조사를 나타내며, (a)는 능선에서 수행된 트렌치 및 조사된 노천굴들의 위치이고, (b)는 능선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의 방향들에 대한 장미도이며, (c)는 능선에 발달하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 방향들에 대한 장미도이고, (d)는 각 트렌치 및 노천굴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3 shows a precision trench survey for one ridge, (a) is the location of the trench and surveyed open pits conducted on the ridge, (b) is a rose diagram of the directions of chromite development on the ridge , (c) is a rose diagram for boundary directions of the dunite and hasbergite developing on the ridge, and (d) is a diagram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each trench and open pit.

도 3을 참조하면, 보피붐 지역 대부분의 크롬철석암은 무작위로 분포하는 노천굴들에서 채굴되며, 이러한 분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하나의 능선에 대해 정밀 트렌치 조사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most of the chromite rocks in the Bopi Boom area are mined from randomly distributed open pits, and a detailed trench survey is performed on one ridge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선택된 능선에는 2 개의 노천굴들(BO1 및 2)이 약 10 m 간격을 두고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노천굴들에서는 약 75 ㎝ 두께의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크롬철석암들이 확인할 수 있다.On the selected ridge, two open-pit caves (BO1 and 2) are aligned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with an interval of about 10 m.

노천굴들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들의 발달특징을 기초로 하여 트렌치 조사를 수행하며, 트렌치와 노천굴의 위치 및 세부 사항은 도 3과 같다.A trench survey is performed based on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chromite rocks developed in open pits, and the locations and details of trenches and open pits are shown in FIG. 3 .

서북서 방향의 능선에 발달하는 노천굴들과 트렌치 내에서 발달하는 크롬철석암들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나타낸다.Open pits that develop on the ridge in the west-northwest direction and chromite rocks that develop within the trench are shown going from east to west.

보피붐 노천굴1(BO1)에는 심하게 풍화 받은 하즈버자이트와 더나이트, 그리고 크롬철석암이 관찰된다.In Bopi Boom Open-air Cave 1 (BO1), severely weathered hasbaz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are observed.

하즈버가이트는 갈색 또는 노란색이고 높은 단열밀도를 갖는 반면, 더나이트는 갈색 또는 녹색이며 단열 밀도가 낮다.Hasbergite is brown or yellow and has a high insulating density, while dunite is brown or green and has a low insulating density.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와 평행을 이루는 N60°W/45°SW 방향의 단열대는 하즈버가이트의 가장자리에 발달한다.Adiabatic zones along the N60°W/45°SW direction, parallel to the hasbergite–thenite boundary, develop at the edge of the hasbergeit.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더나이트는 하즈버가이트 내에서 렌즈상으로 발달하며, 두께는 약 5 m 이다.The dunite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develops in a lenticular shape within the hasbergite, and is about 5 m thick.

하즈버가이트와 더나이트 사이의 접촉 영역은 비교적 넓으며 사방휘석은 더나이트와의 접촉부로 가면서 갑자기 감소하며, 75 ㎝ 두께의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결절성(nodular) 크롬철석암은 더나이트와 뚜렷한 접촉면을 보인다.The contact area between hasbergite and dunite is relatively wide, and rhomboids suddenly decrease as they approach the contact with dunite. show

크롬철석암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진상 동쪽 하부에서는 북쪽으로 40°의 경사를 보여주며, 서쪽 상부로 갈수록 남쪽으로 80°의 경사로 변화하는 특징을 보여준다.Chromite rocks extend in a 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showing a 40° northward slope in the lower eastern part of the photograph, and a 80° southward slope toward the upper west side of the photograph.

크롬철석암의 수직 연장은 N60°W/45°SW의 주향과 경사를 가지는 단열대를 만나면서 단절되나, 변위 된 크롬철석암은 하즈버가이트의 단열대 내에서 관찰되지 않는다.The vertical extension of the chromite is broken while meeting the fracture zone with the strike and slope of N60°W/45°SW, but the displaced chromite is not observed within the fracture zone of the hasbergheit.

동쪽 수평면에서 크롬철석암은 분기되며, 분기된 크롬철석암은 동쪽으로 가면서 쐐기형으로 소멸한다.On the eastern horizontal plane, the chromite diverges, and the bifurcated chromite rocks dissipate in a wedge shape going east.

이 트렌치에서 크롬철석암은 경사의 변화로 인해 곡선 모양을 가지며, 수직 연장은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에 의해 제어되고, 크롬철석암은 BO1의 동쪽에 위치한 BT1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In this trench, the chromite has a curved shape due to the change in slope, and the vertical extension is controlled by the Hasbergite-Dunite boundary, and the chromite is not observed at BT1, located east of BO1.

크롬철석암의 동쪽 연장은 BO1과 BT1 사이에서 종료되는 것으로 해석된다.The eastern extension of the chromite is interpreted as terminating between BO1 and BT1.

도 4는 보피붐 노천굴1(BO1)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약 75 cm 두께의 크롬철석암이고, (b)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에 발달하는 단열대이며, (c)는 크롬철석암과 더나이트의 경계부이고, (d) 수평면상에서 분기되는 맥상의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shows the chromite rock that develops in Bopi Boom open-air cave 1 (BO1), (a) is a chromite rock with a thickness of about 75 cm in the 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and (b) is the boundary between dunite and hasbergite. (c) is the boundary between chromite rock and dunite, and (d) is a diagram showing vein-shaped chromite rock branching on a horizontal plane.

도 4를 참조하면, 보피붐 노천굴2(BO2)에도 심하게 풍화 받은 하즈버자이트와 더나이트, 그리고 크롬철석암이 관찰된다.Referring to FIG. 4, severely weathered hasbazite, dunnite, and chromite rock are also observed in Bopi Boom open-air cave 2 (BO2).

75 ㎝ 두께의 서북서-동남동 방향의 결절 크롬철석암이 하즈버가이트 및 더나이트와 날카로운 접촉면을 보이며 발달하고, 크롬철석암은 N60°W/45°SW 방향의 하즈버가이트 경계와 평행하지만, 수직연장은 더나이트와의 접촉에 의해 종료된다.Nodular chromite, 75 cm thick, oriented northwest-east, develops with sharp contact with hasbergite and dunnite, chromite is parallel to the hasbergite boundary in the direction N60°W/45°SW, but perpendicular to it. The extension ends upon contact with Dunite.

더나이트 내에 일부 크롬철석암 파편 (장축 <10 cm)들이 발견되지만, 이 파편들이 주 광석으로부터 변위되어 나왔다는 것을 지시하는 운동역학적 증거(파편들의 배열 방향성 또는 규칙성 등)들이 부족하다.Some chromite fragments (major axis <10 cm) are found in dunnite, but kinetic evidence (such as orientation or regularity of fragments) to indicate that these fragments have been displaced from the main ore is lacking.

이 사이트의 크롬철석암은 BO1보다 저각이고 얕은 판상이며, 수직 연장은 더나이트에 의해 제어되며, 크롬철석암은 BO2의 서쪽 부분에 위치한 BT2 또는 BT3에서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서쪽 연장은 BO2와 BT2 사이에서 끝나는 것으로 해석된다.The chromite at this site is low-angled and shallower than BO1, and the vertical extension is controlled by dunnite, and since chromite is not observed in BT2 or BT3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BO2, the western extension is between BO2 and BT2. interpreted as ending in

두 개의 노천굴(BO1 및 BO2)의 크롬철석암은 비슷한 두께, 조직뿐만 아니라 유사한 방향을 가지고 있으며, 하즈버가이트의 가장자리에 발달하는 단열대와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가 크롬철석암의 연장을 제어했다는 공통점들이 있다.The chromite rocks of the two open pits (BO1 and BO2) have similar thickness and texture, as well as similar orientation, and a fracture zone developing at the edge of the hasbergite and the hasbergite-dunite boundary control the extension of the chromite rock. There are commonalities that

두 지점에서 크롬철석암의 경사각도는 차이가 있지만, 이것은 BO1 크롬철석암 내에서도 경사의 변화가 관찰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사각도의 차이는 광체 내의 기하학적 구조로 해석 될 수 있다.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hromite at the two sites, this difference in inclination angle can be interpreted as the geometric structure within the ore body, as a change in inclina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BO1 chromite.

2개의 개별 크롬철석암은 하나의 렌즈상 광체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BT1에서 BT2까지,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최대 연장길이는 45 m, 두께는 75 ㎝ 로 해석된다.The two individual chromite rocks can be considered as one lenticular ore body, which extends from BT1 to BT2 in the 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interpreting a maximum extension of 45 m and a thickness of 75 cm.

도 5는 보피붐 노천굴2(BO2)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약 75 cm 두께의 크롬철석암이고, (b)는 더나이트와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에 발달하는 단열대이며, (c)는 크롬철석암과 더나이트, 하즈버가이트의 경계부이고, (d)는 더나이트 내에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5 shows the chromite rock that develops in Bopi Boom open-air cave 2 (BO2), (a) is a chromite stone with a thickness of about 75 cm in the west-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and (b) is the boundary between dunite and hasbergite. (c) is the boundary between chromite rock, dunite, and hasbergite, and (d) is a diagram showing chromite rock irregularly dispersed within dunite.

도 5를 참조하면, 보피붐 트렌치4(BT4)는 소규모 노천굴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의 서북서 방향 연장을 확인하기 위하여 설계한다.Referring to FIG. 5, Boby Boom Trench 4 (BT4) is designed to confirm the west-northwest extension of chromite rocks that develop in small-scale open pits.

노천굴 내에서는 80 ㎝ 두께의 결절 크롬철석암이 관찰되며, 이 크롬철석암은 트렌치 내에서 80 ㎝ 두께의 괴상의 크롬철석암으로 조직(texture) 변화한다.Nodular chromite with a thickness of 80 cm is observed in the open pit, and the texture of this chromite is changed to a massive chromite with a thickness of 80 cm in the trench.

괴상의 크롬철석암은 무딘끝(blunt-ended)을 보이며 트렌치 바닥의 동쪽 끝에서 소멸하며, 크롬철석암은 트렌치 수직단면 상에서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두 갈래로 분기되며, 분기된 크롬철석암들은 무딘끝 형태를 보이며 소멸한다.The bulky chromite is blunt-ended and disappears at the eastern end of the trench bottom, and the chromite is bifurcated as it extends upward on the vertical section of the trench. Appears in its final form and disappears.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대략 85 ㎝ 의 두께를 가진 더나이트는 하즈버가이트 내에서 렌즈 모양으로 발달하며, 하즈버가이트는 갈색 또는 노란색이며 심하게 풍화한다.Dawnite, which is oriented northwest-east-southeast and has a thickness of about 85 cm, develops in a lens shape within the hasbergite, which is brown or yellow and heavily weathered.

이 지점에서는 렌즈상의 더나이트 내에 두 가지 조직을 보이는 렌즈상의 크롬철석암이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약 5 m 길이로 발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At this point, it is interpreted that a lenticular chromite with two textures within the lenticular dunite develops in a 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about 5 m long.

도 6은 보피붐 트렌치4(BT4)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서북서-동남동 방향이며 80 cm 두께의 렌즈상 크롬철석암이 렌즈상의 더나이트 내에 발달함을 나타내고, (b)는 트렌치에서 크롬철석암의 연장이 확인되었으며, 수평면상에서는 무딘끝을 보이며 연장이 종료되며, 수직면 상에서는 두 개로 분기되어 상부로 가면서 연장이 종료됨을 나타내고, (c)는 트렌치 서쪽에 위치하는 소규모 노천굴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6 shows the panoramic view of Bopi Boom Trench 4 (BT4), (a) is in the northwest-east-southeast direction and shows that lenticular chromite with a thickness of 80 cm develops within the lenticular dunite, (b) shows that in the trench The extension of chromite rock was confirmed, and the extension ends with a blunt end on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extension ends as it goes upward by bifurcating into two on the vertical plane. It is a diagram showing ironstone.

도 6을 참조하면, 보피붐 트렌치5(BT5)는 3 개의 수직면과 1 개의 수평면으로 구성되며, 하즈버가이트, 더나이트 및 크롬철석암은 모두 심하게 풍화된다.Referring to FIG. 6, bopi boom trench 5 (BT5) is composed of three vertical planes and one horizontal plane, and hasberg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are all severely weathered.

더나이트는 모양이 불규칙하며 하즈버가이트에 비해 밝은 노란색을 나타내며, 두 개의 분리된 북서-남동 방향의 크롬철석암들이 수직 단면(섹션 1의 동쪽 크롬철석암; 섹션 2 및 3의 서쪽 크롬철석암)에서 관찰되며 약 1 m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Dunite is irregular in shape and displays a brighter yellow color than Hasbergite, and two separate northwest-southeast chromite rocks in vertical section (Eastern Chromite in Section 1; Western Chromite in Sections 2 and 3). ) and are spaced about 1 m apart.

동쪽 크롬철석암은 최대 두께가 8 ㎝ 이고 길이가 1 m 이며, 끝이 뾰족한 북쪽 끝과 쐐기 모양의 남쪽 끝을 보여주고, 괴상의 조직을 보이는 동쪽 크롬철석암은 N52°W/40°SW 방향의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와 거의 평행하다.The eastern chromite has a maximum thickness of 8 cm and a length of 1 m, shows a pointed northern tip and a wedge-shaped southern tip, and shows a blocky texture in the N52°W/40°SW direction. It is almost parallel to the hasbergheit-the-night boundary of .

최대 두께가 24 ㎝ 인 서쪽의 크롬철석암은 더나이트와의 규칙적인 접촉을 보이며, 섹션 1과 2에서만 연장되고, 띠 모양(banded)의 크롬철석암은 양쪽 끝으로 갈수록 쐐기 모양으로 변하며 끝이 무뎌지고 결국 소멸된다.The western chromite, with a maximum thickness of 24 cm, shows regular contact with the dunite, extending only in sections 1 and 2, and the banded chromite, which wedges at both ends and ends dull and eventually perish.

보피붐 트렌치5(BT5)의 크롬철석암과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의 방향들은 북서-남동방향으로 나타나나, BT5의 크롬철석암들은 앞선 트렌치들과 노천굴들에서 조사된 크롬철석암들(예: BO2 및 BT4)과 유사하게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 근처에서 경계와 평행하게 발달하는 특징을 보여준다.The chromite rocks of Boby Boom Trench 5 (BT5) and the directions of the Hasbergite-Dunite boundary appear to be northwest-southeast, but the chromite rocks of BT5 are similar to the chromite rocks investigated in the preceding trenches and open pits ( Example: Similar to BO2 and BT4), it shows features that develop parallel to the boundary near the hasbergite-the-night boundary.

BT5의 크롬철석암도 능선에 발달하는 다른 크롬철석암들과 하나의 시스템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북쪽 방향으로의 회전은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의 회전 또는 굴곡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The chromite rocks of BT5 are also interpreted as a system with other chromite rocks that develop on the ridge, and this northward rotation is interpreted as due to the rotation or bending of the Hasbergite-Dunite boundary.

도 7은 보피붐 트렌치5(BT5)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북서-남동 방향이며, 최대 두께 24 cm 의 두 개의 크롬철석암 분절이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부에 발달함을 나타내고, (b)는 수직단면 1에 발달하는 크롬철석암이며, (c)는 수직단면 2에서 3까지 연장되는 크롬철석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shows a panoramic view of Boby Boom Trench 5 (BT5), (a) is in the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and shows that two chromite fragments with a maximum thickness of 24 cm develop at the Hasbergite-Thenite boundary, (b) is a chromateite that develops in vertical section 1, and (c) is a view showing a chromateite that extends from vertical section 2 to 3.

도 7을 참조하면, 보피붐 트렌치6(BT6)은 풍화된 황색의 더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즈버가이트는 관찰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7 , bopi boom trench 6 (BT6) is composed of weathered yellow dunite, and hasbergite is not observed.

다양한 형태와 조직(textures)의 크롬철석암들이 불규칙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조사의 편의를 위해 트렌치를 크롬철석암 조직과 분포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세 개의 도메인(Domain I ~ III)으로 구분된다.Since chromite rocks of various shapes and textures are irregularly distributed, the trenches are divided into three domains (Domains I to III)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texture and distribution of chromite rocks for the convenience of investigation.

도메인 I에는 최대 두께 36 ㎝ 의 띠 모양 크롬철석암이 쐐기 모양의 서쪽 말단부를 가지며 N80°W/50°SW에서 N44°W/70°SW로 주향과 경사의 변화가 나타난다.In domain I, belt-shaped chromite with a maximum thickness of 36 cm has a wedge-shaped western end and changes in strike and inclination from N80°W/50°SW to N44°W/70°SW.

도메인 II에서는 크롬철석암 파편들(장축 <20 cm)이 N60°E/84°NW 방향이며 약 60 ㎝ 폭의 단열대 내에서 무작위로 분포한다.In domain II, chromite fragments (major axis <20 cm) are oriented N60°E/84°NW and are randomly distributed within an approximately 60 cm wide adiabatic zone.

도메인 III에서는 4 개의 크롬철석암 포드(pods)들이 더나이트 내에 불규칙하게 분포한다.In domain III, four chromite pods are randomly distributed within the dunnite.

상기 불규칙한 분포와 다양한 조직의 혼재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발생가능하다.The irregular distribution and the coexistence of various tissues may be caused by the following factors.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의 부재; 이전 트렌치와 노천굴에서 조사된 크롬철석암들은 모두 하즈버가이트-더나이트 경계부근에 위치하였으며, 이들에 의해 크롬철석암의 연장과 기하학적인 형태가 제어된 것으로 해석었으나, BT6에서는 하즈버가이트가 관찰되지 않기 때문에 두 암석의 경계에 의한 제어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Absence of hasbergite-thenite boundary; All of the chromite rocks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trenches and open pits were located near the Hasbergite-Dunite boundary, and it was interpreted that the extension and geometric shape of the chromite rocks were controlled by them, but in BT6, Hasbergite was observed. Since it is not, it is judged that there was no control by the boundary between the two rocks.

단층 작용; 도메인 II의 N60°E/84°NW 방향의 균열대를 형성시킨 단층의 운동에 의해 크롬철석암들이 변위 되거나 각력화 되었을 수 있다.monolayer action; The chromite rocks may have been displaced or brectolithic due to the movement of the fault that formed the crack zone in the N60°E/84°NW direction of Domain II.

노출된 평면의 영향; 동-서 방향의 트렌치 수직면에 남아있는 크롬철석암들이 트렌치 굴착으로 인한 고르지 않은 평면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the effect of exposed planes; It is possible that the remaining chromite rocks in the east-west trench vertical plane were exposed to uneven planes resulting from trench excavation.

도 8은 보피붐 트렌치6(BT6)의 전경을 나타내며, (a)는 여러 조직(textures)의 크롬철석암들이 발달하고 있으며, 이들은 조직에 따라 3개의 도메인(Domain I~III)들로 나눌 수 있음을 나타내고, (b)는 도메인 I에 발달하는 맥상의 크롬철석암이며, (c)는 도메인 II에 발달하는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는 크롬철석암 조각들을 나타내고, (d)는 도메인 III에는 4개의 크롬철석암 포드들이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도면이다8 shows a panoramic view of Boby Boom Trench 6 (BT6), and in (a), chromate rocks of various textures are developing, which can be divided into three domains (Domains I to III) according to the textures. (b) is veined chromite that develops in domain I, (c) shows irregularly dispersed chromite fragments that develop in domain II, and (d) shows four chromite rocks in domain III. A diagram showing that the chromite rock pods are irregularly distributed.

도 8을 참조하면, 비록 앞서 소개한 다른 크롬철석암들과는 달리 BT6의 크롬철석암들은 다양한 조직를 보이며 무작위로 산재되어 있지만, 정렬방향은 서북서-동남동 또는 북서-남동 방향으로, 능선에 발달하는 다른 크롬철석암들의 정렬방향과 일치한다.Referring to FIG. 8, although unlike the other chromite rocks introduced above, the chromite rocks of BT6 show a variety of structures and are randomly scattered, but the alignment direction is in the northwest-southeast or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and other chromite developing on the ridge It coincides with the alignment direction of ironstone rock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1000)은 수집부(100)와,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200)와,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300)와, 3차원 모델 구축부(400)와,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5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3D modeling system 1000 for geological elements on an actual cross-s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llection unit 100, a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200, and a 3D trench model building unit ( 300), a 3D model building unit 400, and an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500.

여기서, 수집부(100)는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한다.Here, the collection unit 100 collects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여기서,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10)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Here, the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include one or more of superimposed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control points 10 .

또한,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한다.In addition, the trench data are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pictures.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한다.The ground control point establishes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for each trench site to generate a georeferencing orthoimage.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200)는 수집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입력한다.The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200 inputs collected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300)는 입력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구축한다.The 3D trench model building unit 300 builds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using input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한다.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are found in the field survey data, and a dense point model composed of dense points is created by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또한, 생성된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20)을 생성한다.In addition,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20 are cre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3차원 모델 구축부(400)는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30)을 구축한다.The 3D model building unit 400 builds the 3D model 30 using the constructed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500)는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The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500 builds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region to be analyzed.

환언하면, 보피붐 일대에서 트렌치 조사와 지질조사를 완료 후, 현장 자료(중첩된 사진, 노두스케치, 지상기준점 등)들을 Agisoft Metashape에 입력하여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In other words, after completing the trench survey and geological survey in the bopi boom area, the field data (overlapping photos, outcrop sketches, ground control points, etc.) are input into Agisoft Metashape to build an image-based 3D model.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정확하게 구축하기 위해 트렌치 조사에서 적절한 간격으로 사진을 중첩시켜 촬영한다.In order to accurately build an image-based 3D model, overlapping pictures are taken at appropriate intervals in the trench survey.

지리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10 ~ 15개 이상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한다.In order to generate georeferencing orthoimages, more than 10 to 15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현장 자료를 Agisoft Metashape에 입력하여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한다.Field data are input into Agisoft Metashape to find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and a dense point model is created by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in each photo.

생성된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한다.A polygonal mesh and texture model are cre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보피붐 일대 각 트렌치 조사 지역에 대한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An image-based 3D model for each trench survey area in the Boby Boom area is built.

다음,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축한다.Next, an integrated 3D model for the area to be analyzed is built.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링 자료는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SKUA-GOCAD로 입력된다.Image-based 3D modeling data are input into SKUA-GOCAD to represent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mite rocks.

지질 조사, 시추 조사 및 드론 자료들과 함께 크롬철석암의 형태와 전체적인 분포를 3차원 공간상에 표현한다.Together with geological surveys, drilling surveys and drone data, the morphology and overall distribution of chromite rocks ar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트렌치 조사 지역 3차원 모델링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results of the 3D modeling of the trench survey area are as follows.

상세 트렌치조사 지역(Ridge)의 3D 모델은 트렌치 조사, 지질 조사, 시추 조사 및 드론 자료들을 바탕으로 구축된다.A 3D model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is built based on trench survey, geological survey, drilling survey and drone data.

모델링을 위한 입력 자료는 상기 표 1과 같으며, 다음과 같이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The input data for modeling are shown in Table 1 above, and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이전 KIGAM-DGSE 공동 연구 자료들(예: 지형 및 시추 탐사 자료)과, 본 발명에서 도출한 트렌치 조사와 지질 조사 자료들(예: 암석유형 및 경계, 크롬철 석암의 특성 및 트렌치조사 지역 이미지들)로 분류된다.Previous KIGAM-DGSE joint research data (e.g. topography and drilling exploration data), trench survey and geological survey data deriv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e.g. rock type and boundary, characteristics of chromate rock and trench survey area images) ) is classified as

이전 공동 연구에서 획득한 코어로깅 자료와 지형 자료를 이용한 상세 트렌치조사 지역 표면(surface)을 3차원 모델링한다.Three-dimensional modeling of the surface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using the core logging data and topographical data obtained in the previous joint research.

3개의 코어로깅 자료들(BDH-3, BDH-10, BDH-12)을 사용하여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있는 각 암석들의 수직 분포를 결정한다.Using three core logging data (BDH-3, BDH-10, BDH-12),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in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is determined.

코어로깅 자료에서는 하즈버가이트, 더나이트 및 크롬철석암이 확인되었고, 그 경계는 비교적 뚜렷하다.In the corelogging data, hasberg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were identified, and the boundaries are relatively clear.

크롬철석암의 분포 깊이(10 m)는 BDH-10과 BDH-12의 코어로깅 자료에서 확인된다.The distribution depth (10 m) of chromite is confirmed in the corelogging data of BDH-10 and BDH-12.

분석 대상 전체의 코어로깅 자료(18공)에서는 30 m의 심도까지 일부 산점상의 크롬철석암의 분포가 확인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심도 15 m 깊이 내외에서만 두꺼운 크롬철석암이 확인된다.In the core logging data (18 holes) of the entire analysis object, the distribution of some scattered chromite rocks was confirmed up to a depth of 30 m, but in most cases, thick chromite rocks were identified only around a depth of 15 m.

더나이트의 최대 깊이(65 m)는 BDH-3의 코어로깅 자료를 사용하여 결정한다.The maximum depth of the night (65 m) is determined using BDH-3's core logging data.

드론(drone)으로부터 취득된 지형 자료와 항공 영상을 이용한 지표 모델을 구축한다.Build a ground model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s acquired from drones.

드론 탐사 자료에서 정밀한 표면 정보와 고품질의 텍스처 이미지(texture image)를 취득한다.Acquire precise surface information and high-quality texture images from drone exploration data.

텍스처 이미지는 3차원 모델링에서 사용되어 연구 지역의 사실적인 구조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Texture images can be used in 3D modeling to represent the realistic structure and color of the study area.

트렌치 조사 자료를 이용한 하즈버가이트, 더나이트 및 크롬철석암을 3차원 모델링한다.Three-dimensional modeling of hasbergite, dunite, and chromite rocks using trench survey data.

트렌치 조사에서 취득한 암상 분포, 암상 경계, 암석 특징(형태, 폭, 연장, 주향/경사) 및 중첩사진을 사용하여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한다.Dunite and chromite are expressed in a three-dimensional space using bed distribution, bed boundaries, rock features (shape, width, elongation, strike/slope) and superimposed photographs obtained from trench surveys.

6개소의 트렌치와 2개소의 노천채굴지(open pit)에서 조사한 지질 단면은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암의 분포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며, 중첩이미지는 Agisoft Metashape 소프트웨어에서 이미지 기반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데 사용한다.Geological cross-sections from 6 trenches and 2 open pits are used to express the distribution of dunnite and chromite, and overlapping images are used to construct an image-based 3D model in Agisoft Metashape software. do.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Ridge)에 대한 3차원 모델링 결과는 다음과 같다.The 3D modeling results for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ridge) are as follows.

8개의 이미지 기반 3D 모델들은 SKUA-GOCAD로 입력되어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성하는데 사용한다.Eight image-based 3D models are input into SKUA-GOCAD and used to construct an integrated 3D model.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야외에서 관찰되는 사면(자연 또는 인공 사면)들의 실제 사면 형태의 이미지 모델을 생성하고, 위치 정보(GCP)를 입력한 후, 이들을 재현된 공간 상에 배치 및 분석 대상들을 표현하고 연결하여, 분석 대상들의 2차원 또는 3차원적 분포와 기하학적 특징에 대한 해석에 용이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reating an image model of the actual slope shape of slopes (natural or artificial slopes) observed outdoors, inputting location information (GCP), arranging them on a reproduced space and analyzing objects By expressing and connecting, there is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2D or 3D distribution and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object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 사면들의 연결을 통해 비교적 작은 스케일(지역적 또는 광상 규모)의 연구 지역에서 정밀한 해석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precise analysis in a relatively small scale (regional or mineral deposit scale) research area through the connection of actual slop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2차원 사면에서 나타나는 1차원적인 구조들을 3차원 또는 2차원으로 변환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capable of converting one-dimensional structures appearing on a two-dimensional slope into a three-dimensional or two-dimensional structure.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variou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some examples, but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 Content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ection is only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 implement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above description is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only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each claim of the claims.

10 :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20 : 고밀도 점모델, 폴리곤 메시 텍스처
30 : 지질 데이터, 시추 데이터
100 : 수집부
200 :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
300 :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
400 : 3차원 모델 구축부
500 :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
1000 :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10: Photos, outcrop sketches, ground control points
20: High-density point model, polygon mesh texture
30: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100: collection unit
200: 3D space data generation unit
300: 3D trench model building unit
400: 3D model building unit
500: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1000: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on actual cross section

Claims (20)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부에 의해 수집하는 제 1 단계;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에 입력하는 제 2 단계;
입력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3 단계;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4 단계; 및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의해 구축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며,
3차원 표면은 디지털 항공 사진 측량에서 추출한 디지털 고도 모델(DEM) 점과, 지질학적 단면에서 디지털화된 암석 경계의 곡선과, 암석 지평의 드릴 구멍의 마커에 의해 생성되고,
드론에서 얻은 지형 데이터와 항공 이미지를 사용하여 능선의 표면 모델을 구성하며,
암석 유형의 기하학적 구조와 경계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지질학적 단면을 가져오고,
로깅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각 암석 유형의 수직 분포를 결정하며, 획득한 코어 로깅 자료와 지형 자료를 이용한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 표면을 3차원 모델링하며,
코어 로깅 자료를 사용하여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에 있는 각 암석들의 수직 분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 first step of collecting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for an analysis target by a collecting unit;
a second step of inputting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to a 3D spatial data generator;
a third step of constructing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by a 3D trench model builder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 fourth step of constructing a 3D model by a 3D model builder using the constructed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and
A fifth step of building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area to be analyzed by an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s created by digital elevation model (DEM) points extracted from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curves of rock boundaries digitized from geological sections, and markers of drill holes in rock horizons;
Construct a surface model of the ridge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ry obtained from the drone;
import a three-dimensional image geological cross-section including the geometry and boundaries of the rock typ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type is determined using the logging data set, and the surface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is 3-dimensionally modeled using the obtained core logging data and terrai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in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is determined using core logging data,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include one or more of superimposed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reference points,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data is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pictures,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2,
The ground control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to generate a georeferenced orthoimage.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a dense point model composed of high-density points is created by finding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in the field survey data and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5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are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지 기반의 상기 3차원 트렌치 모델은 크롬철석암의 분포 및 형태학적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based 3D trench model is provided to the 3D model building unit to indicate the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omite rock,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 구축부는 상기 지질 자료와, 상기 시추 자료와, 상기 드론 자료와 함께 상기 크롬철석암의 형태와 전체 분포를 상기 3차원 공간 상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8,
Characterized in that the 3D model building unit expresses the shape and overall distribution of the chromite rock together with the geological data, the drilling data, and the drone data on the 3D space,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자료는 드론으로부터 취득된 지형 자료와 항공 영상을 이용하여 구축한 지표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rone data is a ground model built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s acquired from drones,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모델은 상기 드론 자료로부터 표현 정보와 텍스처 이미지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0,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ex model acquires expression information and texture images from the drone data,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처 이미지는 분석 대상 지역의 구조와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1,
Characterized in that the texture image expresses the structure and color of the area to be analyzed,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트렌치 자료에서 획득한 암상 분포, 암상 경계, 형태와, 폭과, 연장과, 주향과, 경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암석 특징 및 중첩 사진을 사용하여 더나이트와 크롬철석을 3차원 공간에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uses the rock features including one or more of rock bed distribution, rock bed boundary, shape, width, extension, strike, and inclination obtained from the trench data, and an overlapping photograph of dunnite and chrome. Characterized in expressing iron stones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 3D modeling method for geological elements on real cross-sections.
분석 대상에 대한 트렌치 자료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수집하는 수집부;
수집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입력하는 3차원 공간 데이터 생성부;
입력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이미지 기반의 3차원 트렌치 모델을 구축하는 3차원 트렌치 모델 구축부;
구축된 3차원 트렌치 모델과, 지질 자료, 시추 자료, 드론 자료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3차원 모델 구축부; 및
분석 대상 지역에 대한 최종 통합 3차원 모델을 구축하는 통합 3차원 모델 구축부;를 포함하며,
3차원 표면은 디지털 항공 사진 측량에서 추출한 디지털 고도 모델(DEM) 점과, 지질학적 단면에서 디지털화된 암석 경계의 곡선과, 암석 지평의 드릴 구멍의 마커에 의해 생성되고,
드론에서 얻은 지형 데이터와 항공 이미지를 사용하여 능선의 표면 모델을 구성하며,
암석 유형의 기하학적 구조와 경계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지질학적 단면을 가져오고,
로깅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각 암석 유형의 수직 분포를 결정하며, 획득한 코어 로깅 자료와 지형 자료를 이용한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 표면을 3차원 모델링하며,
코어 로깅 자료를 사용하여 상세 트렌치 조사 지역에 있는 각 암석들의 수직 분포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rench data and field survey data on the subject to be analyzed;
a 3D spatial data generation unit inputting the collected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 3D trench model construction unit constructing an image-based 3D trench model using the input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a 3D model building unit that builds a 3D model using the built 3D trench model, geological data, drilling data, and drone data; and
An integrated 3D model building unit for building a final integrated 3D model for the area to be analyzed;
The three-dimensional surface is created by digital elevation model (DEM) points extracted from digital aerial photogrammetry, curves of rock boundaries digitized from geological sections, and markers of drill holes in rock horizons;
Construct a surface model of the ridge using topographical data and aerial imagery obtained from the drone;
import a three-dimensional image geological cross-section including the geometry and boundaries of the rock typ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type is determined using the logging data set, and the surface of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is 3-dimensionally modeled using the obtained core logging data and terrain data,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each rock in the detailed trench survey area is determined using core logging data,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삭제delete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자료 및 상기 현장 조사 자료는 중첩된 사진, 노두 스케치, 지상 기준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data and the field survey data include one or more of superimposed photos, outcrop sketches, and ground reference points,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자료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중첩시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Characterized in that the trench data is overlapp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take pictures,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상 기준점은 지리 참조 정사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각 트렌치 사이트 마다 복수의 지상 기준점(GCP)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ground control poin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re set for each trench site to generate a georeferenced orthoimage.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조사 자료에서 중첩된 사진 사이에 일치하는 점들을 찾고, 각 사진의 카메라 위치를 추정하여 고밀도 점들로 구성된 고밀도 점모델(Dense Point Model)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Characterized in that a dense point model composed of high-density points is created by finding matching points between overlapping photos in the field survey data and estimating the camera position of each photo,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제 19 항에 있어서,
생성된 상기 고밀도 점모델을 이용하여 폴리곤 메시(Polygonal Mesh) 및 텍스처(Texture) 모델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단면 상의 지질 요소에 대한 3차원 모델링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9,
Characterized in that a polygonal mesh and a texture model are generated using the generated high-density point model,
A 3D modeling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s in real cross-sections.
KR1020220096522A 2022-08-03 2022-08-03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KR102549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22A KR102549885B1 (en) 2022-08-03 2022-08-03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522A KR102549885B1 (en) 2022-08-03 2022-08-03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885B1 true KR102549885B1 (en) 2023-07-03

Family

ID=8715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22A KR102549885B1 (en) 2022-08-03 2022-08-03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88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87B1 (en) 2013-10-16 2014-01-07 한국광물자원공사 3d magnetic inversion method based on the assemblage of 2d forward modeling and inversion as a technique to reflect the a-priori information
KR20160120970A (en) * 2015-04-09 2016-10-19 네이버시스템(주) Method for 3d data building using lidar and drawings
KR20180055518A (en) * 2016-11-17 2018-05-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3d mineral prospectivity
KR101863188B1 (en) *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Method for 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3D models
KR20180094702A (en) * 2017-02-16 2018-08-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tidal creeks in tidal flat zones using drone
KR20210077390A (en) * 2019-12-17 2021-06-25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Analysis of corrosion and accumulation in coastal region using time series drone imag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787B1 (en) 2013-10-16 2014-01-07 한국광물자원공사 3d magnetic inversion method based on the assemblage of 2d forward modeling and inversion as a technique to reflect the a-priori information
KR20160120970A (en) * 2015-04-09 2016-10-19 네이버시스템(주) Method for 3d data building using lidar and drawings
KR20180055518A (en) * 2016-11-17 2018-05-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System and method of 3d mineral prospectivity
KR20180094702A (en) * 2017-02-16 2018-08-24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tidal creeks in tidal flat zones using drone
KR101863188B1 (en) * 2017-10-26 2018-06-01 (주)아세아항측 Method for construction of cultural heritage 3D models
KR20210077390A (en) * 2019-12-17 2021-06-25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Analysis of corrosion and accumulation in coastal region using time series drone im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ollgger et al. Mapping folds and fractures in basement and cover rocks using UAV photogrammetry, Cape Liptrap and Cape Paterson, Victoria, Australia
García-Sellés et al. Supervised ident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near-planar geological surfaces from terrestrial laser scanning
Bates et al. High-resolution LiDAR and photogrammetric survey of the Fumanya dinosaur tracksites (Catalonia):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and interpretation of geological heritage sites
Bistacchi et al. Photogrammetric digital outcrop reconstruction, visualization with textured surfaces,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al analysis and modeling: Innovative methodologies applied to fault-related dolomitization (Vajont Limestone, Southern Alps, Italy)
Pringle et al. Capturing stratigraphic and sedimentological complexity from submarine channel complex outcrops to digital 3D models, Karoo Basin, South Africa
CN109872393B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geological data processing method based on ground, subsurface geology information
Pavlis et al. Application of LIDAR to resolving bedrock structure in areas of poor exposure: An example from the STEEP study area, southern Alaska
Schultz-Fellenz et al. Detecting surface changes from an underground explosion in granite using unmanned aerial system photogrammetry
Labant et al. Geodetic determining of stockpile volume of mineral excavated in open pit mine
Lawal et al. A simplified GIS and google-earth-based approach for lineaments and terrain attributes mapping in a basement complex terrain
Hakonen et al. Assessing the application of laser scanning and 3D inspection in the study of prehistoric cairn sites: The case study of Tahkokangas, Northern Finland
CN111103632B (en) Method for analyzing laterite-nickel ore in prediction area based on remote sensing detection
KR102549885B1 (en) 3-dimension modeling method and system for geological element of true cross section
Al-Ruzouq et al. Integrated archaeological modeling based on geomatics techniques and Ground-Penetrating Radar
Mizukoshi et al. Use of contour-based DEMs for deriving and mapping topographic attributes
Krajnovich et al. Characterizing fault zone structure and geometry using photogrammetry and 3D geologic modeling
Marsico et al. Terrestrial laser scanning for 3D cave reconstruction: Support for geomorphological analyses and geoheritage enjoyment and use
Levy et al. Digital underwater technologies in the Methoni bay cultural heritage project, Greece: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sustainability
Marinos et al. 3D modelling of the ancient underground quarries of the famous Parian marble in the Aegean Sea, Greece and assessment of their stability using LiDAR scanning
Filzwieser et al. Integrating geophysical and photographic data to visualize the quarried structures of the roman town of bassianae
Blachowski et al. Geophysical Research of Secondary Deformations in the Post Mining Area of the Glaciotectonic Muskau Arch Geopark—Preliminary Results
Jayawardena Characteristics of neotectonic faulting in the mount lofty and flinders ranges, South Australia
Petschko et al. Erosion processes and mass movements in sinkholes assessed by terrestrial structure from motion photogrammetry
Stead et al. Rock slope characterization and geomechanical modelling
Faltýnová et al. RELICS OF MINING ACTIVITIES IN WEST BOHEMIA–MAPPING BY AIRBORNE LASER SC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