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592B1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Google Patents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9592B1 KR102549592B1 KR1020210035751A KR20210035751A KR102549592B1 KR 102549592 B1 KR102549592 B1 KR 102549592B1 KR 1020210035751 A KR1020210035751 A KR 1020210035751A KR 20210035751 A KR20210035751 A KR 20210035751A KR 102549592 B1 KR102549592 B1 KR 1025495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rasitic element
- radiators
- short
- radiator
- antenna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16 miti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5—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e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78—Combination of fed elements with parasit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개시된다. 개시된 안테나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 상기 방사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기생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되어 배치된다. 개시된 안테나에 의하면, 멀티 링크를 통신을 위해 다수의 방사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IoT와 같은 사물 통신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휴대폰 이외에도 다양한 장치들에 안테나가 설치되어 다양한 종류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다수의 기기 사이에서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지는 기기간 통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다중 기기간 통신은 IoT와는 달리 LTE 및 5G와 같이 기지국에 의해 통신이 제어되지 않고 로컬 네트워크에서 독립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중 기기간 근거리 통신은 다수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기와 멀티 링크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송신 시기와 수신 시기가 구분되는 IoT에 비해 방사체간 간섭이 더욱 심하게 작용한다. 특정 방사체가 송신을 할 때 다른 방사체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방사체간 간섭은 일반적인 IoT 통신에 비해 더욱 큰 통신 성능의 열화를 초래한다.
방사체간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종래의 다중 방사체를 사용하는 배열 안테나는 슬릿, 격벽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다중 기기간 통신 안테나는 이러한 구조만으로 안테나가 간섭을 충분히 완화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멀티 링크를 통신을 위해 다수의 방사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를 제안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 상기 방사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기생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되어 배치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2 기생 소자는 타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는 상기 방사 엘리먼트의 중심이 아닌 지점에 급전점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다른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 각각은 λ/2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방사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는 제1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생 소자, 상기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제2 디커플링 소자는 상기 제1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는 접지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 상기 방사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상기 제1 기생 소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기생 소자; 및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링크를 통신을 위해 다수의 방사체를 구비하는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간 간섭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단일 방사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방사체의 급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단일 방사체의 방사 소자의 회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별 급전을 위한 급전 선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단일 방사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방사체의 급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단일 방사체의 방사 소자의 회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별 급전을 위한 급전 선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테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안테나이며, 여기서 멀티 링크 통신은 다수의 기기와 멀티 링크를 형성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을 의미한다. 일례로, 다수의 기기간 통신은 다수의 TV 단말로 이루어지는 멀티 비전 장치에서의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 비전은 다수의 TV 단말로 이루어지며 각 TV 단말간 통신을 위해 본 발명의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기기간 통신은 멀티 비전의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수의 기기간 통신에서 하나의 기기는 다수의 기기와 동시에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다수의 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며, 각 방사체는 독립적으로 송신 및 수신을 수행한다. 다수의 방사체가 독립적으로 송수신을 수행하기에 특정 방사체에서 송신하는 신호는 다른 방사체의 간섭 신호로 작용하게 된다. 일반적인 LTE 이동통신의 경우,하프 듀플렉스(Half-Duplex) 방식으로 통신이 이루어지기에 송신 시기와 수신 시기는 구별되며, 이에 배열 안테나가 사용된다고 할지라도 각 방사체간 간섭의 영향이 크지 않다.
그러나,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의 각 방사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에 송신 시기와 수신 시기가 구분되지 아니하며 특정 방사체의 송신 신호는 다른 방사체에는 수신 신호로 작용할 수 있기에 방사체간 격리도가 더욱 중요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는 다수의 방사체(100, 200, 300, 400)를 포함한다. 도 1에는 2 X 2 형태로 배열된 4개의 방사체(100, 200, 300, 4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구조는 예시적인 구조이며 방사체의 수 및 방사체의 배열 구조가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방사체의 수는 통신 대상인 다중 기기의 수의 비례하여 정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방사체는 송신 또는 수신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사체(100)는 제1 기기로 송신을 위한 방사체이고, 제2 방사체(200)는 제1 기기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방사체일 수 있다. 나아가, 제3 방사체(300)는 제2 기기로 송신을 위한 방사체이고, 제4 방사체(200)는 제2 기기로부터의 수신을 위한 방사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방사체가 송신 기능 과 수신 기능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수행하게 될 경우 도 1과 같이 4개의 방사체를 구비한 근거리 통신용 안테나는 2개의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4개의 다른 기기와 통신하고자 할 경우 총 8개의 방사체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각 방사체가 송신 또는 수신 중 어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방사체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에는 하나의 기판상에 각 방사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각 방사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은 다층 기판상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에서 단일 방사체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통신 안테나의 각 방사체는 방사 엘리먼트(110), 제1 기생 소자(120), 제2 기생 소자(130),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140) 및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2에는 제1 기판(500) 및 제2 기판(600)으 두 개의 기판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사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은 단일 기판에 형성될 수도 있고, 다층 기판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2에는 2개의 기판상에 방사체를 구성하는 엘리먼트들이 형성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방사 엘리먼트(110)는 급전 신호를 제공받아 급전 신호를 방사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방사 엘리먼트(110)는 패치 형태를 가지며, 급전점을 통해 급전 신호를 제공받는다.
방사 엘리먼트(100)와 이격되며 방사 엘리먼트(100)를 둘러싸는 제1 기생 소자(120)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사 엘리먼트(100) 및 제1 기생 소자(120)는 제1 기판(500)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생 소자(120)는 타원 형태를 가진다. 제1 기생 소자(120)는 접지 또는 급전점과 결합되지 아니하며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존재한다. 방사 엘리먼트(100)에서 방사되는 신호에 의해 제1 기생 소자(120)에서는 기생 공진이 발생하며, 제1 기생 소자(120)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공진으로 인해 방사 대역이 확장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사 엘리먼트(100)의 광대역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기생 소자(130)는 제1 기생 소자(120)와 이격되어 제1 기생 소자(1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제2 기생 소자(130)도 접지 또는 급전점과 결합되지 아니하며 전기적으로 플로팅 상태로 존재한다. 또한, 제2 기생 소자(130) 역시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기생 소자(130)는 방사 엘리먼트(110) 및 제1 기생 소자(120)에 의해 방사되는 신호의 빔 패턴을 변경시키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방사 엘리먼트(110)에서 방사되는 신호의 빔 폭을 좁게 하여 빔의 지향성이 향상되도록 동작한다. 제2 기생 소자(130)를 통해서도 기생 공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제1 기생 소자(120)보다 큰 지름을 가지는 제2 기생 소자(130)에서의 기생 공진을 통해 빔 패턴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2 기생 소자(130)의 외부에는 제2 기생 소자(130)와 이격되어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140)가 형성된다. 도 2에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140)가 직사각형 패치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디커플링 소자(140)의 형상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에는 제1 방향으로 3개의 디커플링 소자가 배열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2 기생 소자(130)의 외부에는 제2 기생 소자(130)와 이격되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150)가 형성된다. 도 2에는 3개의 제2 디커플링 소자(150)가 직사각형 패치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2 디커플링 소자(150)의 형상 및 수 역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및 제2 디커플링 소자(140, 150)가 배열되는 방향은 인접하는 방사체가 위치하는 방향에 대응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방사체(100)는 제2 방사체(20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고 제4 방사체(400)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다. 이 경우, 제1 방사체(100)는 제1 방향(제1 방사체에서 제2 방사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하고, 제2 방향(제1 방사체에서 제4 방사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한다.
동일한 원리로, 제3 방사체(300)는 수평 방향으로 제4 방사체(400)와 인접하고 수직 방향으로 제2 방사체(200)와 인접한다. 제3 방사체는 제1 방향(제3 방사체에서 제4 방사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1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하고, 제2 방향(제3 방사체에서 제2 방사체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디커플링 소자들은 λ/2 간격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디커플링 소자가 λ/2 간격으로 배열될 때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에서 주변 안테나와의 분리도를 개선할 수 있다.
디커플링 소자로 인해 각 방사체에서 유도되는 전류가 다른 방사체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디커플링 소자를 경유하여 흐르기 때문에 안테나간 분리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기판(500)의 하부에는 접지면(700)이 형성되며 각 방사체의 적절한 방사를 위한 접지 전위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방사체의 급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일 방사체는 기판의 하부를 관통하는 비아홀에 삽입되는 비아핀(800)이 방사 엘리먼트(110)의 급전점(112)과 결합되어 급전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비아핀(800)은 별도의 급전 선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급전 신호를 방사 엘리먼트(11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 엘리먼트(110)의 급전점(112)은 방사체의 중심이 아닌 곳에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엘리먼트(110)의 형태가 직사각형일 경우, 직사각형의 테두리로부터 근접한 지점에 급전점(112)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급전점(112)을 방사 엘리먼트(110)의 중심이 아닌 지점에 형성하는 것은 차후 설명하는 방사체들(100, 200, 300, 400)의 회전에 따른 격리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단일 방사체의 방사 소자의 회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커플링 소자를 제외한 상태의 방사체들(100, 200, 300, 400)의 회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방사체(100)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제2 방사체(200)는 제1 방사체(100)와 비교하여 +90도 회전되어 배치된다. 제2 방사체(200)의 방사 엘리먼트(210)는 제1 방사체(100)의 방사 엘리먼트(110)와 비교하여 +90도 회전되므로 급전점의 위치도 회전된다. 한편, 제1 방사체(100)의 제1 기생 소자(120) 및 제2 기생 소자(130)에 비해 제2 방사체(200)의 제1 기생 소자(220) 및 제2 기생 소자(230)도 +90도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방사체(100)와 수직 방향으로 인접한 제3 방사체(400)는 제1 방사체(100)과 비교하여 -90도 회전되어 배치된다. 제3 방사체(300)의 방사 엘리먼트(310)의 회전으로 인해 급전점의 위치 역시 변경되고 제3 방사체(300)의 제1 기생 소자(320) 및 제3 기생 소자(330) 역시 제1 방사체(100)와 비교하여 회전하여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방사체들(100, 200, 300, 400)은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사체의 회전 배치로 인해 각 방사체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방사 엘리먼트(110), 제1 기생 소자(120) 및 제3 기생 소자(130)뿐만 아니라 제1 디커플링 소자(140) 및 제2 디커플링 소자(150) 역시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한다.
물론, 디커플링 소자는 인접하는 방사체의 배치구조에 따라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방사체의 상, 하 좌, 우 모두에 인접하여 다른 방사체가 배치될 경우, 디커플링 소자는 상, 하, 좌, 우 모든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안테나에서 각 방사체별 급전을 위한 급전 선로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방사체의 회전으로 인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급전 선로가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방사체(100)는 하부 방향에서 급전 선로가 연결되고, 제2 방사체(200)는 좌측 방향에서 급전 선로가 연결되며, 제3 방사체(300)는 상부 방향에서 급전 선로가 연결되며, 제4 방사체(400)는 우측 방향에서 급전 선로가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각 급전 선로는 도 3에 도시된 비아핀과 결합되어 각 방사 엘리먼트(110)에 급전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
상기 방사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기생 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되어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2 기생 소자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는 상기 방사 엘리먼트의 중심이 아닌 지점에 급전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다른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 각각은 λ/2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는 제1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생 소자, 상기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제2 디커플링 소자는 상기 제1 기판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는 접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소정의 배열 구조를 가지는 다수의 방사체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
상기 방사 엘리먼트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1 기생 소자;
상기 제1 기생 소자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제2 기생 소자; 및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제2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상기 제2 기생 소자와 이격되어 상기 기생 소자의 외부 영역에 배치되며 인접하는 다른 방사체로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방사체 각각은 인접하는 방사체와 비교하여 +90도 또는 -90도 회전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생 소자 및 상기 제2 기생 소자는 타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형상의 방사 엘리먼트는 상기 방사 엘리먼트의 중심이 아닌 지점에 급전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제2 디커플링 소자 각각은 λ/2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엘리먼트 및 상기 제1 기생 소자는 제1 기판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생 소자, 상기 제1 디커플링 소자 및 상기 제2 디커플링 소자는 상기 제1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기판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기판의 하부에는 접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5751A KR102549592B1 (ko) | 2021-03-19 | 2021-03-19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PCT/KR2022/001619 WO2022196933A1 (ko) | 2021-03-19 | 2022-01-28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EP22771599.2A EP4311026A1 (en) | 2021-03-19 | 2022-01-28 |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for multi-link communication |
US18/468,955 US20240006757A1 (en) | 2021-03-19 | 2023-09-18 | Short-range communication antenna for multi-link communic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5751A KR102549592B1 (ko) | 2021-03-19 | 2021-03-19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0909A KR20220130909A (ko) | 2022-09-27 |
KR102549592B1 true KR102549592B1 (ko) | 2023-07-07 |
Family
ID=8332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5751A KR102549592B1 (ko) | 2021-03-19 | 2021-03-19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006757A1 (ko) |
EP (1) | EP4311026A1 (ko) |
KR (1) | KR102549592B1 (ko) |
WO (1) | WO2022196933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0921B1 (ko) * | 2015-08-11 | 2016-09-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생선로를 이용한 원형편파 gps 안테나 |
KR101745961B1 (ko) * | 2016-01-12 | 2017-06-14 | 한국과학기술원 | 다수의 원형 편파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oam 안테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061025A (en) * | 1995-12-07 | 2000-05-09 | Atlantic Aerospace Electronics Corporation | Tunable microstrip patch antenna and control system therefor |
US9437935B2 (en) * | 2013-02-27 | 2016-09-0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ual band antenna pair with high isolation |
US20170033461A1 (en) * | 2015-07-27 | 2017-02-02 | Qualcomm Incorporated | Low-profile antenna with high isolation for bluetooth and wifi coexistence |
KR102063222B1 (ko) * | 2016-05-26 | 2020-01-07 | 더 차이니즈 유니버시티 오브 홍콩 | 안테나 어레이에서의 상호 결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DE102019125675A1 (de) | 2019-09-24 | 2021-03-25 |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 Elektrische Anschlussanordnung umfassend eine Stromschiene mit einer daran angeschlossenen Leiteranordnung und einem Klammerelement |
-
2021
- 2021-03-19 KR KR1020210035751A patent/KR1025495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1-28 WO PCT/KR2022/001619 patent/WO202219693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1-28 EP EP22771599.2A patent/EP4311026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09-18 US US18/468,955 patent/US20240006757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0921B1 (ko) * | 2015-08-11 | 2016-09-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기생선로를 이용한 원형편파 gps 안테나 |
KR101745961B1 (ko) * | 2016-01-12 | 2017-06-14 | 한국과학기술원 | 다수의 원형 편파 패치 안테나를 이용한 oam 안테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006757A1 (en) | 2024-01-04 |
EP4311026A1 (en) | 2024-01-24 |
KR20220130909A (ko) | 2022-09-27 |
WO2022196933A1 (ko) | 2022-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53934B2 (en) | Antenna system and method | |
US11303016B2 (en) | Multi-sector antennas | |
US6795020B2 (en) | Dual band coplanar microstrip interlaced array | |
CN101385201B (zh) | 具有增强覆盖度的无线接入点 | |
US9281979B2 (en) | Millimeter-wave line of sight MIMO communication system for indoor applications | |
US8988298B1 (en) | Collocated omnidirectional dual-polarized antenna | |
US20120007790A1 (en) | Dual band dual polarization antenna array | |
US20100103065A1 (en) | Dual Polarization Antenna with Increased Wireless Coverage | |
US20110205137A1 (en) | Antenna with Polarization Diversity | |
KR101750336B1 (ko) | 다중대역 기지국 안테나 | |
US20220399918A1 (en) | Apparatus that supports spatial diversity, at least at reception | |
US7239288B2 (en) | Access point antenna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US12100899B2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lurality of antennas | |
US20220393758A1 (en) | Repeater device with multi-range antenna array and method of operation of repeater device | |
KR20230003933A (ko) | 전방향 mimo 안테나 | |
KR101596922B1 (ko) | 도로 주변 설치용 기지국 안테나 | |
KR20080028408A (ko) | 개선된 중계기 안테나 | |
KR102549592B1 (ko) | 멀티 링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안테나 | |
JP2008545326A (ja) | 改良型リピータアンテナ | |
WO2021233353A1 (zh) | 天线装置和无线电通信设备 | |
US11594823B2 (en) | Discrete antenna module with via wall structure | |
KR102197412B1 (ko) | 밀리미터 웨이브 대역 배열 안테나 | |
US6246380B1 (en) |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oint to point radio system | |
US20050159196A1 (en) | Communication device and related antenna module | |
KR102624142B1 (ko) | Rfic 일체형 안테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