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098B1 -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098B1
KR102549098B1 KR1020210184470A KR20210184470A KR102549098B1 KR 102549098 B1 KR102549098 B1 KR 102549098B1 KR 1020210184470 A KR1020210184470 A KR 1020210184470A KR 20210184470 A KR20210184470 A KR 20210184470A KR 102549098 B1 KR102549098 B1 KR 10254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isk assessment
agricultural environment
spatial
statis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호
권일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도
Priority to KR1020210184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며,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는,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도출부 및 상기 도출부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SPATIAL INFORMATION-BASED MULTIDIMENSIONAL MESH DISTRIBUTION TYPE AGRICULTURAL ENVIRONMENT RISK ASSESSMENT DEVICE AND METHOD}
본원은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 기술의 경우 차원에 대한 고려없이 단순한 통계 조사 및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어 정보의 정확도가 낮고 위해성 평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불확실성이 높다.
공간 정보란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이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최근 공공 데이터의 개방이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공간정보의 개방 속도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다양한 지도서비스 등을 통해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268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농업환경에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분포형 위해성 평가를 통해 실제 토양 형태와 지형 정보, 조사된 오염원 정보(정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쉬-분포형 위해성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쉬-분포형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2차원 및 3차원 등 다차원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는,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도출부 및 상기 도출부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인자 정보는, 토양도 정보, 지질도 정보, 토지이용도 정보, 침수흔적도 정보, 입지토양도 정보, 산사태위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경인자 정보는, 토양도 정보, 지질도 정보, 토지이용도 정보, 침수흔적도 정보, 입지토양도 정보, 산사태위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농업환경에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분포형 위해성 평가를 통해 실제 토양 형태와 지형정보, 조사된 오염원 정보(정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메쉬-분포형 위해성을 분석하여 보다 정확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메쉬-분포형 위해성 평가를 통하여 2차원 및 3차원 등 다차원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지하 흐름의 정보를 고려하여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함으로써, 보다 정확도 높은 위해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의 평가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성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10)를 본 장치(10)라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존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의 평가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예시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기존의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차원에 대한 고려없이 단순히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및 통계 조사값과 행정구역 정보를 바탕으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이런 기존의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는 정확도가 낮고 위해성 평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한 불확실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장치(1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업환경에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분포형 위해성 평가를 통해 실제 토양 형태와 지형정보, 조사된 오염원 정보(정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농산물, 토양, 농용수 등의 노출경로에 대한 단순 이론적인 경험치를 적용하여 농업환경성 평가를 진행하였으나, 본 장치(10)는 농산물, 토양, 농용수 등의 실제 공간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여 농업환경의 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도출된 평가 결과는 해당 행정구역의 통계적 경향치를 제공하여 실제 의사결정에 활용하기에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장치(10)의 경우 세부적인 공간기반(지적)의 결과를 통해 실제적이 의사결정에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장치(10)는 이론적인 정성적 데이터, 실측된 정량적 데이터, 메쉬 기반의 공간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 등을 기반으로 농업 환경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11), 생성부(12), 도출부(13) 및 평가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장치(10)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본 장치(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로부터 공간 빅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는 국토 교통부, 기상청, 통계청, 산림청,행정안전부, 우정사업본부, 한국전력공사 등 공공기간과 연계된 서버로부터 수집된 공간 빅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로부 수신된 공간 빅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될 수 있다.
공간 빅데이터는 일반적인 빅데이터의 특징과 마찬가지로 기존 방식으로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대규모의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또한, 공간 빅데이터는 기본적으로 2D/3D 수치지도, 지적도, 지형도, 위성 영상, 항공사진, DEM 등과 같이 다양한 대규모의 정형/반정형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간 정보와 쉽게 연계 될 수 있는 확장형 공간 빅데이터에는 공공시설물 DB, 지하시설물 DB, 부동산 DB, BIM 정보, 공공 DB, 통계 DB, 센서 정보, 이동객체 정보, 재난재해 정보, u-City/Smart City 정보, IoT 정보, 위치기반 SNS 정보, 사용자 참 여형 공간정보 등의 정형/반정형/비정형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11)는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포함(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는 외부 서버,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미도시) 등에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포함(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1)는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 환경인자 정보 등을 외부 서버 및 측정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포함(저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부(12)는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는 이중선형 보간법을 적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생성부(12)는 단계 S10에서 데이터베이스(11)에 저장된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생성부(12)는 단계 S20에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생성부(12)는 GeoSpatia(지리공간)을 이용하여 공간실측 오염원에 대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0에서 생성부(12)는 공간실측 오염원에 대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이중선형 보간법에 적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중선형 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은 1차원에서의 선형 보간법을 2차원으로 확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출부(13)는 생성부(12)에서 생성된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40에서 도출부(13)는 이중선형 보간법에 적용하여 생성된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2차원 메쉬로 도출하고, 도출된 2차원 메쉬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3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도출된 결과는 단계 S50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도출부(13)는 래스터 계산(Raster calculate)을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환경인자 정보는, 토양도 정보, 지질도 정보, 토지이용도 정보, 침수흔적도 정보, 입지토양도 정보, 산사태위험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가부(14)는 도출부(13)에서 도출된 결과 및 데이터베이스(11)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실시)할 수 있다. 도4의 S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출부(13)에서 도출된 결과 및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통계조사값을 고려하여 평가부(14)는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은 앞서 설명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본 장치(10)는 데이터베이스(11)로부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본 장치(10)는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본 장치(10)는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440에서, 본 장치(10)는 단계 S430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11)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10 내지 S440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11: 데이터베이스
12: 생성부
13: 도출부
14: 평가부

Claims (4)

  1.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공간 빅데이터 통합 서비스 제공 장치의 상기 공간 빅데이터 및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를 기반으로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도출부; 및
    상기 도출부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여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부,
    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인자 정보는,
    토양도 정보, 지질도 정보, 토지이용도 정보, 침수흔적도 정보, 입지토양도 정보, 산사태위험도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도출부는 래스터 계산을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것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2. 삭제
  3.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평가식 정보 및 통계 조사값 정보와 공간 빅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상기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위해 공인된 위해성 평가식 정보 및 상기 통계 조사값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공간실측 오염원 정보 및 상기 공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생성부가 메쉬 기반 통계 정보를 도출하고, 이중선형 보간법을 이용하여 2차원 통계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2차원 통계 결과 정보 및 환경인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도출부가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도출하는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고려하는 평가부가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환경인자 정보는,
    토양도 정보, 지질도 정보, 토지이용도 정보, 침수흔적도 정보, 입지토양도 정보, 산사태위험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도출하는 단계는 래스터 계산을 기반으로 상기 다차원 메쉬 분포를 도출하는 것인,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방법.
  4. 삭제
KR1020210184470A 2021-12-22 2021-12-22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54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70A KR102549098B1 (ko) 2021-12-22 2021-12-22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470A KR102549098B1 (ko) 2021-12-22 2021-12-22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098B1 true KR102549098B1 (ko) 2023-06-30

Family

ID=8695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470A KR102549098B1 (ko) 2021-12-22 2021-12-22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0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18B1 (ko) * 2014-07-30 2015-11-19 대보건설 주식회사 3차원 지도를 이용한 매립 폐기물 조사 방법
KR20170022711A (ko) * 2015-08-21 2017-03-02 광주과학기술원 광역스케일의 환경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13350A (ko) * 2018-03-28 2019-10-08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토양오염사고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20210144235A (ko) * 2020-05-22 2021-1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기 성능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518B1 (ko) * 2014-07-30 2015-11-19 대보건설 주식회사 3차원 지도를 이용한 매립 폐기물 조사 방법
KR20170022711A (ko) * 2015-08-21 2017-03-02 광주과학기술원 광역스케일의 환경공간정보를 사용하여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평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13350A (ko) * 2018-03-28 2019-10-08 그린에코스 주식회사 토양오염사고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KR20210144235A (ko) * 2020-05-22 2021-11-3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기 성능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hen et al. Estimating floodwater depths from flood inundation maps and topography
Brouwer et al. Probabilistic flood extent estimates from social media flood observations
Boeing Street network models and indicators for every urban area in the world
El-Ashmawy Investigation of the accuracy of google earth elevation data
Li et al. Evaluation of ASTER GDEM using GPS benchmarks and SRTM in China
Feng et al. Past terrestrial hydroclimate sensitivity controlled by Earth system feedbacks
Carrea et al. Automatic rockfalls volume estimation based on terrestrial laser scanning data
Hubacek et al. Analysis of influence of terrain relief roughness on DEM accuracy generated from LIDAR in the Czech Republic territory
Olyazadeh et al. An offline–online Web-GIS Android application for fast data acquisition of landslide hazard and risk
Altunel Evaluation of TanDEM-X 90 m digital elevation model
Castro et al. ADER scheme on unstructured meshes for shallow water: simulation of tsunami waves
Khade et al. Oceanic ensemble forecasting in the Gulf of Mexico: An application to the case of the Deep Water Horizon oil spill
Ali On the selection of an interpolation method for creating a terrain model (TM) from LIDAR data
Iqbal et al. Effectiveness of UAV‐based DTM and satellite‐based DEMs for local‐level flood modeling in Jamuna floodplain
Abily et al. Global sensitivity analysis with 2D hydraulic codes: application on uncertainties related to high-resolution topographic data
Salih et al. Sources of Sahelian‐Sudan moisture: Insights from a moisture‐tracing atmospheric model
KR102549098B1 (ko) 공간정보 기반의 다차원 메쉬 분포형 농업환경 위해성 평가 장치 및 방법
Presti et al. Linear versus non-linear earthquake location and seismogenic fault detection in the southern Tyrrhenian Sea, Italy
Glasscoe et al. E-decider: using earth science data and modeling tools to develop decision support for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Yulianto et al. The utiliz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to analyze the estimated volume of pyroclastic deposits and morphological changes caused by the 2010–2015 eruption of Sinabung Volcano, North Sumatra, Indonesia
Jjumba et al. Integrating GIS‐based geo‐atom theory and voxel automata to simulate the dispersal of airborne pollutants
Lovett et al. Data sources for assessments
Pepe et al. A matlab geodetic software for processing airborne LIDAR bathymetry data
Kuzmin et al. Road network accounting when estimating settlement field potential
Senyurdusev et al. Exploring the opportunities of open source data use in creation 3d procedural city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