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564B1 -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564B1
KR102548564B1 KR1020220139978A KR20220139978A KR102548564B1 KR 102548564 B1 KR102548564 B1 KR 102548564B1 KR 1020220139978 A KR1020220139978 A KR 1020220139978A KR 20220139978 A KR20220139978 A KR 20220139978A KR 102548564 B1 KR102548564 B1 KR 102548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hole
exposed
drum body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국주
Original Assignee
이수기술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기술단(주) filed Critical 이수기술단(주)
Priority to KR102022013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elephone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춘 원통 형상을 이루고, 통신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된 접속코드보다 작은 폭 사이즈를 이루는 개구라인이 양측면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코드의 관통이 가능한 사이즈로 확장 형성되어서 개구라인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관통구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지점에는 롤링구멍과 표시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원통체; 상기 원통체를 받쳐 지지하는 제1받침부와, 통신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받침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장착레일이 형성된 제2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제2받침부의 상면을 이격하게 덮으면서 양측 가장자리가 제1장착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로 구성된 트레이유닛; 상기 원통체의 양측면에서 개구라인의 원호 중심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샤프트;를 갖춘 하우징,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통체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멍을 통해 노출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식별번호가 순차로 표시된 드럼 본체; 상기 개구라인과 관통구를 따라 노출되도록 드럼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관통구를 통해 접속코드가 인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표시구멍에서 식별번호 노출시 관통구에서 노출되도록 정렬되며, 상기 드럼 본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된 하나와 타측면에 배치된 하나가 서로 짝을 이루며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포트;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라인;을 갖춘 드럼, 상기 기어라인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원통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구멍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치차 형태의 돌림롤러, 상기 원통체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드럼 본체와 마주하는 내면에는 통신포트 개수에 상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스텝링;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본체와, 상기 관통구에 통신포트가 노출되면 드럼 본체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걸림홈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구와, 상기 드럼 본체의 회전을 따라 걸림홈에서 걸림구가 삽탈하도록 걸림구를 링 본체에 탄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제2스텝링;을 갖춘 스텝기구, 상기 제2받침부에 내설된 도전재질의 매쉬; 상기 매쉬의 전류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기; 상기 누전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점등하는 경고등;을 갖춘 누전감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communication tray with leakage warning function}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통신트레이는 통신케이블을 안착해 가이드하며 안전한 배선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배선 거리가 긴 구간의 경우 통신케이블의 길이 한계로 인해 다른 통신케이블로의 연장이 요구되고, 이를 위해서 통신커넥터가 활용된다.
그런데 복수의 통신케이블이 개별화된 커넥터를 통해 연결될 경우 통신케이블의 연결 상태에 대한 관리가 불편하고, 복수의 통신케이블이 분산되어 불필요한 공간 점유가 발생했다. 또한, 통신커넥터의 포트에 삽입된 접속코드의 접속 유지가 캡의 누름버튼에만 의존하므로, 누름버튼의 걸림턱이 마모되거나 훼손될 경우 포트에 대한 걸림턱의 기능이 상실되어 통신케이블의 접속코드는 포트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사 시에는 문제가 있는 통신케이블을 지정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통신케이블 지정의 곤란함은 커넥터의 일괄 교체로 이어져서 통신케이블 및 커넥터 관리의 비효율성은 물론 유지 보수에도 불합리함이 컸다.
결국, 통신케이블의 접속코드를 커넥터의 포트에 삽입해서 안정하게 연결함은 물론 복수의 통신케이블 연결이 일지점에 집중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사시 문제가 있는 통신케이블과 통신포트를 손쉽게 지정해서 보수 및 관리할 수 있게 하는 통신커넥터가 시급히 요구되었다.
또한, 통신트레이에는 통신케이블 이외에도 배전선이 함께 안착될 수 있는데, 배전선이 누전될 경우 통신케이블 또한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트레이 상의 누전을 신속히 감지해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되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060205호(2020.05.29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케이블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의 접속코드를 통신커넥터의 포트에 삽입해서 접속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통신케이블 연결이 일지점에 집중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사시 문제가 있는 통신케이블과 통신포트를 손쉽게 지정 및 확인해서 보수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누전 발생 시 이를 신속히 감지해서 경고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의 제공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춘 원통 형상을 이루고, 통신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된 접속코드보다 작은 폭 사이즈를 이루는 개구라인이 양측면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코드의 관통이 가능한 사이즈로 확장 형성되어서 개구라인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관통구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지점에는 롤링구멍과 표시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원통체; 상기 원통체를 받쳐 지지하는 제1받침부와, 통신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받침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장착레일이 형성된 제2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제2받침부의 상면을 이격하게 덮으면서 양측 가장자리가 제1장착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로 구성된 트레이유닛; 상기 원통체의 양측면에서 개구라인의 원호 중심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샤프트;를 갖춘 하우징,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통체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멍을 통해 노출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식별번호가 순차로 표시된 드럼 본체; 상기 개구라인과 관통구를 따라 노출되도록 드럼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관통구를 통해 접속코드가 인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표시구멍에서 식별번호 노출시 관통구에서 노출되도록 정렬되며, 상기 드럼 본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된 하나와 타측면에 배치된 하나가 서로 짝을 이루며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포트;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라인;을 갖춘 드럼,
상기 기어라인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원통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구멍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치차 형태의 돌림롤러,
상기 원통체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드럼 본체와 마주하는 내면에는 통신포트 개수에 상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스텝링;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본체와, 상기 관통구에 통신포트가 노출되면 드럼 본체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걸림홈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구와, 상기 드럼 본체의 회전을 따라 걸림홈에서 걸림구가 삽탈하도록 걸림구를 링 본체에 탄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제2스텝링;을 갖춘 스텝기구, 및
상기 제2받침부에 내설된 도전재질의 매쉬; 상기 매쉬의 전류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기; 상기 누전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점등하는 경고등;을 갖춘 누전감지모듈,
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에 안착된 통신케이블의 접속코드를 통신커넥터의 포트에 삽입해서 접속 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복수의 통신케이블 연결이 일지점에 집중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유사시 문제가 있는 통신케이블과 통신포트를 손쉽게 지정 및 확인해서 보수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누전 발생 시 이를 신속히 감지해서 경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통신커넥터가 설치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누전감지모듈이 보강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의 일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드럼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통신커넥터가 설치된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누전감지모듈이 보강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는, 통신케이블(C)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신커넥터와, 상기 통신커넥터와 통신케이블(C; 도 3 참조)을 받쳐 지지하는 트레이유닛(120)과, 트레이유닛(120)의 누전 발생 여부를 감지해서 경고하는 누전감지모듈(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트레이의 통신커넥터는 트레이유닛(120)과 누전감지모듈(600)을 제외한 구성요소이며, 통신케이블(C) 간의 커넥팅 기능을 전담한다. 상기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통신커넥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트레이유닛(120)은 하우징(100)의 일구성으로서, 원통체(110)를 받쳐 지지하는 제1받침부(121)와, 통신케이블(C)을 받쳐 지지하며 제1받침부(121)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장착레일(122a)이 형성된 제2받침부(122)와, 제2받침부(122)의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123)과, 제2받침부(122)의 상면을 이격하게 덮으면서 양측 가장자리가 제1장착레일(122a)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124)로 구성된다. 따라서 통신커넥터에 연결된 통신케이블(C)은 제2받침부(122)와 커버부(124) 사이에 수용되어 보호되고, 트레이유닛(120)은 고정브래킷(123)을 통해 벽면 또는 바닥면 또는 천장면 등에 설치된다. 통신케이블(C)의 배선 관리를 위해 커버부(124)는 제2받침부(122)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를 위해 커버부(12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장착레일(122a)과의 탈착을 위한 제2장착레일(124a)이 형성된다. 제1장착레일(122a)과 제2장착레일(124a)은 서로 상응하는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되고, 탈착을 위해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누전감지모듈(600)은, 제2받침부(122)에 내설된 도전재질의 매쉬(610)와, 매쉬(610)의 전류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기(620)와, 누전감지기(620)의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점등하는 경고등(630)을 갖춘다. 제2받침부(122)를 포함한 트레이유닛(120)은 절연 재질의 합성수지재이므로, 제2받침부(122) 상에서의 누전감지는 쉽지 않다. 따라서 제2받침부(122)의 표면에 얕은 깊이로 도전성 재질의 매쉬(610)를 매설해서, 유사시 제2받침부(122) 곳곳에서 누전에 의한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결국, 누전감지기(620)는 매쉬(610)의 전류 감지를 통해 누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누전감지기(620)가 매쉬(610)의 통전을 확인하는 즉시 감지신호를 출력하므로, 경고등(630은 누전 발생과 더불어 점등한다. 결국 사용자는 경고등(630)의 점등 여부로 통신트레이 상에 누전을 감지하고 후속 조치를 신속히 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의 일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드럼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는, 외부 케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하우징(100)과, 한 쌍의 통신케이블(C)을 서로 연결하는 커넥팅 기능의 드럼(200)과, 하우징(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드럼(200)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가하는 동력을 드럼(200)에 전달하는 돌림롤러(300)와, 하우징(100)에 설치된 드럼(200)을 받쳐 지지하는 받침롤러(400)와, 드럼(200)에 구성된 드럼 본체(210)가 일정한 각도 단위로 회전하며 정지하도록 제한하는 스텝기구(500)와, 누전감지모듈(600)을 포함한다.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우징(100)은 원통체(110)와 트레이유닛(120)과 샤프트(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원통체(110)는, 중공(S)을 갖춘 원통 형상을 이루고, 통신케이블(C)의 말단에 연결된 접속코드(C1)보다 작은 폭 사이즈를 이루는 원호 형상의 개구라인(111, 111')이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접속코드(C1)의 관통이 가능한 사이즈로 확장 형성되어서 개구라인(111, 111')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관통구(112, 112')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외주면의 일지점에는 롤링구멍(113)과 표시구멍(114)이 나란히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라인(111, 111')은 샤프트(130)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양측면의 일지점을 중심으로 원호 형상을 이루므로, 드럼 본체(210)가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중에도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에서 동일한 지점이 개구라인(111, 111')을 통해 노출된다. 본 발명에서 개구라인(111, 111')으로 노출되는 부분은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에 배치된 통신포트(220)이다. 계속해서 통신포트(220)에는 통신케이블(C)의 접속코드(C1)가 삽입되어 접속한다. 그런데 개구라인(111, 111')의 폭은 접속코드(C1)보다 작은 폭 사이즈를 이루므로, 통신포트(220)에서 일부분만이 개구라인(111, 111')으로 노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포트(220)에 접속코드(C1) 삽입 시 접속코드(C1)가 통신포트(22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걸어 제한하는 정도의 폭 사이즈이면서도 최소한 접속코드(C1)에 연결된 통신선(C2)이 개구라인(111, 111')을 통해 인출될 수 있는 폭 사이즈가 되도록 하였다.
한편, 개구라인(111, 111')의 일단부에는 통신포트(220)로의 삽입을 위해 접속코드(C1)의 관통이 가능한 크기로 확장 형성된 관통구(112, 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관통구(112, 112')에 노출된 통신포트(220)에 접속코드(C1)를 삽입하고 드럼 본체(210)를 회전시키면, 접속코드(C1)에 연결된 통신선(C2)은 개구라인(111, 111')을 통해 인출되고, 접속코드(C1)는 개구라인(111, 111')의 턱에 저지되어서 이탈 없이 안정된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통신포트(220)에 대한 접속코드(C1)의 접속은 관통구(112, 112')에서만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원통체(110)의 외주면의 일지점에는 롤링구멍(113)과 표시구멍(114)이 나란히 형성된다. 롤링구멍(113)과 표시구멍(114)은 돌림롤러(300)와 드럼(200)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트레이유닛(120)은 원통체(110)를 받쳐 지지한다. 원통체(110)는 벽면 또는 바닥 또는 천장에 설치되며, 본 실시 예와 같이 원통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원통 형상의 원통체(110)가 안정하게 제 위치를 유지하며 고정되도록 평판 형상의 트레이유닛(120)이 구성된다. 트레이유닛(120)은 벽면 또는 바닥 또는 천장 등에 볼팅 또는 접착제 등의 부재를 매개로 설치된다. 트레이유닛(120)의 형상은 원통체(11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트레이유닛(120)은 이미 전술한 바와 있으므로 각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샤프트(130)는 원통체(110)의 양측면에서 개구라인(111)의 원호 중심점에 해당하는 위치에 양단이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샤프트(130)는 원통체(110)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원호 중심점에 해당하는 드럼 본체(210)의 중심홀(211)을 관통하므로, 드럼 본체(210)는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원통체(110)의 중공(S)에서 회전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샤프트(130)는 원통체(110)의 양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원통체(110)에 고정되어서, 샤프트(130)의 회전으로 원통체(110)가 회전할 수도 있다.
드럼(200)은 드럼 본체(210)와 통신포트(220)와 기어라인(230)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드럼 본체(210)는, 샤프트(130)가 관통하도록 원통체(110)의 중공(S)에 삽입되어서 샤프트(13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표시구멍(114)을 통해 노출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식별번호(212)가 순차로 표시된다. 드럼 본체(210)는 원통체(110)의 중공(S) 형상에 상응하는 원통 형상을 이루므로,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은 원통체(110)의 양측면에 각각 마주하고, 드럼 본체(210)의 외주면은 원통체(110)의 내주면에 마주한다. 한편, 드럼 본체(210)의 외주면에는 식별번호(212)가 표시구멍(114)에 노출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순차 표시된다. 따라서 드럼 본체(210)의 회전각에 따라 표시구멍(114)에 노출되는 식별번호(212)는 달라진다. 결국, 사용자는 표시구멍(114)에 노출된 식별번호(212)를 확인해서 드럼 본체(210)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관통구(112, 112')에 노출된 통신포트(220)를 식별할 수 있다.
통신포트(220)는 개구라인(111, 111')과 관통구(112, 112')를 따라 노출되도록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관통구(112, 112')를 통해 접속코드(C1)가 인입출 가능하게 연결되고, 표시구멍(114)에서 식별번호(212) 노출시 관통구(112, 112')를 통해 노출되도록 정렬되며,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된 하나(220)와 타측면에 배치된 하나(220')가 서로 짝을 이루며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통신포트(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의 개구라인(111, 111')을 따라 노출되도록 중심홀(211)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므로, 개구라인(111, 111')은 물론 관통구(112, 112')에 노출된다. 특히 통신포트(220)는 개구라인(111, 111')에서 통신선(C2)만이 인출될 수 있는 일부분만이 노출되고, 관통구(112, 112')에서 접속코드(C1)가 통신포트(220)에 인입출할 수 있도록 전체가 노출된다. 한편, 드럼 본체(21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된 통신포트(220, 220')는 서로 짝을 지어서 통신선(221)을 매개로 연결된다. 따라서 드럼 본체(210)의 일측면에 배치된 통신포트(220)는 타측면에 배치된 통신포트(220)와 1:1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상기 일측면의 통신포트(220)에 하나의 접속코드(C1)를 접속하고, 상기 타측면의 통신포트(220')에 다른 접속코드를 접속하면, 상기 하나의 접속코드(C1)와 다른 접속코드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를 매개로 서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원통체(110)의 일측면의 관통구(112)에 노출된 통신포트(220)와, 원통체(110)의 타측면의 관통구(112')에 노출된 통신포트(220')가 통신선(221)으로 서로 연결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관통구(112, 112')에서 통신포트(220)가 노출되면, 표시구멍(114)에서 식별번호(212) 노출되도록 통신포트(220)와 식별번호(212)의 위치를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구멍(114)에 노출된 식별번호(212)가 관통구(112, 112')에 노출된 통신포트(220, 220')인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통신케이블(C)이 연결되는 통신포트(220)는 공지된 데이터통신용 접속 기구의 일종이고, 통신포트(220)에 인인출하는 접속코드(C1) 또한 이미 공지된 데이터통신 기구의 일종이므로, 통신포트(220)와 접속코드(C1) 각각의 탈착 구조와 형태 및 단자 간의 접속 방식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기어라인(230)은 드럼 본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기어라인(230)은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일정 피치로 형성된 치차이며, 드럼 본체(210)의 외주면에서 원통체(110)의 롤링구멍(113)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하우징의 단면을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트레이에 구성된 돌림롤러(300)는, 기어라인(230)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원통체(110)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롤링구멍(113)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치차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롤링구멍(113)을 통해 돌출된 돌림롤러(300)를 손가락으로 회전시켜서 드럼 본체(210)를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포트(220)를 관통구(112, 112')에 노출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돌림롤러(300)는 기어라인(230)과 기어 물림하며 회전하는 제1치차 본체(310)와, 제1치차 본체(310)를 원통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지지대(320)로 구성된다.
받침롤러(400)는 드럼 본체(210)를 받쳐 지지하도록 드럼 본체(210)의 하부에 배치되고, 기어라인(230)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원통체(110)에 설치되는 치차이다. 받침롤러(400)는 돌림롤러(300)와 기어라인(230) 간의 이격으로 상호 맞물림이 해제되지 않도록 받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참고로, 받침롤러(400)는 기어라인(230)과 기어 물림하며 회전하는 제2치차 본체(410)와, 제2치차 본체(410)를 원통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지지대(420)로 구성된다.
드럼 본체(210)가 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받침롤러(400) 이외에 볼베어링(R)을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통체(110)의 중공(S)에 내설된 드럼 본체(210)는 위치 이탈이나 흔들림 없이 제 위치를 유지하며 안정된 회전 상태를 유지한다.
스텝기구(500)는, 원통체(110)에 설치되는 제1스텝링(510)과, 드럼 본체(210)에 설치되는 제2스텝링(520)으로 구성된다.
제1스텝링(510)은, 원통체(110)의 중공(S)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드럼 본체(210)와 마주하는 내면에는 적어도 통신포트(220) 개수의 걸림홈(511)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걸림홈(511)의 개수를 통신포트(220)의 개수와 동일하게 하였다.
제2스텝링(520)은, 드럼 본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본체(521)와, 관통구(112, 112')에 통신포트(220, 220')가 노출되면 드럼 본체(210)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걸림홈(511)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구(522)와, 드럼 본체(210)의 회전을 따라 걸림홈(511)에서 걸림구(522)가 삽탈하도록 걸림구(522)를 링 본체(521)에 탄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프링(미도시함)이 구비된다. 결국, 도 7의 (a)도면과 같이 관통구(112, 112')에 통신포트(220, 220')가 노출되는 위치에 이르면, 링 본체(521)에 설치된 걸림구(522)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걸림홈(511)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드럼 본체(210)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사용자는 관통구(112, 112')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는 통신포트(220, 220')에 통신케이블(C)의 접속코드(C1)를 삽입해서 접속할 수 있다. 통신포트(220, 220')에 접속코드(C1)를 접속한 이후, 돌림롤러(300)의 제1치차 본체(310)를 조작해서 외력을 가하면, 도 7의 (b)도면과 같이 상기 스프링의 탄력에 저항해서 걸림구(522)가 걸림홈(511)으로부터 이탈하고, 이를 통해 드럼 본체(210)는 회전한다.
상기 스프링의 탄성률은 걸림홈(511)에 걸림구(522) 삽입 시 드럼 본체(210)가 회전하지 않도록 저지하면서도, 드럼 본체(210)의 회전을 위해 사용자가 큰 부담없이 돌림롤러(300)를 조작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하우징 110; 원통체 111, 111'; 개구라인
112, 112'; 관통구 113; 롤링구멍 114; 표시구멍
120; 트레이유닛 121; 제1받침부 122; 제2받침부
123; 고정브래킷 124; 커버부 130; 샤프트
200; 드럼 210; 드럼 본체 211; 중심홀
212; 식별번호 220, 220'; 통신포트 230; 기어라인
300; 돌림롤러 400; 받침롤러 500; 스텝기구
510; 제1스텝링 511; 걸림홈 520; 제2스텝링
522; 걸림구 600; 누전감지모듈 610; 매쉬
620; 누전감지기 630; 경고등

Claims (1)

  1. 중공을 갖춘 원통 형상을 이루고, 통신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된 접속코드보다 작은 폭 사이즈를 이루는 개구라인이 양측면에 각각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코드의 관통이 가능한 사이즈로 확장 형성되어서 개구라인의 일단부와 연통하는 관통구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지점에는 롤링구멍과 표시구멍이 나란히 형성된 원통체; 상기 원통체를 받쳐 지지하는 제1받침부와, 통신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받침부의 일단 또는 양단에 연장 형성되고 상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제1장착레일이 형성된 제2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말단에 연장 형성되고 벽면에 장착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제2받침부의 상면을 이격하게 덮으면서 양측 가장자리가 제1장착레일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로 구성된 트레이유닛; 상기 원통체의 양측면에서 개구라인의 원호 중심점 위치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샤프트;를 갖춘 하우징,
    상기 샤프트를 중심으로 원통체의 중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표시구멍을 통해 노출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식별번호가 순차로 표시된 드럼 본체; 상기 개구라인과 관통구를 따라 노출되도록 드럼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방사형으로 배치되어서 관통구를 통해 접속코드가 인입출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표시구멍에서 식별번호 노출시 관통구에서 노출되도록 정렬되며, 상기 드럼 본체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배치된 하나와 타측면에 배치된 하나가 서로 짝을 이루며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통신포트;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라인;을 갖춘 드럼,
    상기 기어라인의 톱니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원통체에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롤링구멍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치차 형태의 돌림롤러,
    상기 원통체의 중공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드럼 본체와 마주하는 내면에는 통신포트 개수에 상응하는 걸림홈이 형성된 제1스텝링; 상기 드럼 본체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링 본체와, 상기 관통구에 통신포트가 노출되면 드럼 본체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걸림홈에 맞물려 걸리는 걸림구와, 상기 드럼 본체의 회전을 따라 걸림홈에서 걸림구가 삽탈하도록 걸림구를 링 본체에 탄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프링이 구비된 제2스텝링;을 갖춘 스텝기구, 및
    상기 제2받침부에 내설된 도전재질의 매쉬; 상기 매쉬의 전류를 감지해서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누전감지기; 상기 누전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수신해서 점등하는 경고등;을 갖춘 누전감지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KR1020220139978A 2022-10-27 2022-10-27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KR102548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978A KR102548564B1 (ko) 2022-10-27 2022-10-27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9978A KR102548564B1 (ko) 2022-10-27 2022-10-27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564B1 true KR102548564B1 (ko) 2023-06-28

Family

ID=86993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9978A KR102548564B1 (ko) 2022-10-27 2022-10-27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744A (ko) * 2009-09-24 2011-03-30 김성숙 이중 케이블릴 장치
KR20200060205A (ko) 2018-11-22 2020-05-29 (주)원영이엔지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KR102327129B1 (ko) * 2021-05-04 2021-11-16 최규섭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744A (ko) * 2009-09-24 2011-03-30 김성숙 이중 케이블릴 장치
KR20200060205A (ko) 2018-11-22 2020-05-29 (주)원영이엔지 콘크리트 바닥 매설용 전기통신선 배선 시스템 박스
KR102327129B1 (ko) * 2021-05-04 2021-11-16 최규섭 완충기능을 갖춘 건축물 전선 보호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7933B1 (en) Subunit module for constructing modular robot
CN101991405A (zh) 病人监测模块及其系统和方法
JP3121225U (ja) スライド型ソケット
KR102548564B1 (ko) 통신케이블 연결 누전 감지형 통신트레이
CN102879024A (zh) 编码器
US20110207348A1 (en) Steering column module
US7906956B2 (en) Polarity tester for an electronic communication port
US20210210892A1 (en) Rotatable Electric Plug
CN106099599A (zh) 一种旋转导电装置和一种可旋转球体
CN112739955A (zh) 照明式电力插座
KR102548538B1 (ko) 외부 통신망과의 연결이 편리한 실내 인터넷 통신 공유기기
KR102548541B1 (ko) 옥내 통신케이블 안전 접속형 통신커넥터 기구
EP3432423A1 (en) Connection connector, connection connector-provided flat cable, and rotary connector device
EP3470795B1 (en) Rotation detecting device and hollow actuator
SE522329C2 (sv) Roterande kontaktdon vid en styrstång i en bil
EP3308430B1 (en) Cable connector
KR102548539B1 (ko) 인터넷 전용 통신케이블의 커넥팅 중계장치
CN215340023U (zh) 可反窃电装置的结构
US11603936B2 (en) Through bore slip ring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6778063B1 (en) Angular position sensor
JP2000228264A (ja) 回転コネクタ
KR101454440B1 (ko) 핀 홀 변경 장치 및 이를 적용한 수밀커넥터
CN211697955U (zh) 一种可分体可旋转的交流电流传感器
CN214745575U (zh) 具有可穿线转轴结构的折叠应急电源盒
CN212965024U (zh) 非接触线缆监测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