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210B1 -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210B1
KR102548210B1 KR1020210132251A KR20210132251A KR102548210B1 KR 102548210 B1 KR102548210 B1 KR 102548210B1 KR 1020210132251 A KR1020210132251 A KR 1020210132251A KR 20210132251 A KR20210132251 A KR 20210132251A KR 102548210 B1 KR102548210 B1 KR 102548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put
authentication
pattern
touch ge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9299A (ko
Inventor
최치원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3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8210B1/ko
Priority to PCT/KR2022/005829 priority patent/WO2023058833A1/ko
Publication of KR2023004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9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2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인증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1)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2)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해 인증 패턴을 형성 및 설정하고, 상기 인증 패턴을 사용해 인증 처리를 하는 터치 인증부; 및 상기 터치 인증부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인증부는,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 및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모듈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사용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인증 패턴을 구성하고, 인증 패턴을 사용해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스처를 사용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USER AUTHENTICATION PATTERN MAKING METHOD USING TOUCH GESTURES AND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USING TOUCH GESTURES}
본 발명은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의 경량화 및 소형화 추세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종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 등을 제공받을 수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 되어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는 투과(see-through)형과 밀폐(see-closed)형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투과형은 주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용으로 사용되고, 밀폐형은 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휴대 단말기나 컴퓨터 등과 같은 입력 방식을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한 최적화된 입력 방식이 필요하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증강현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입력 방식으로, HMD에 구비된 버튼이나 HMD와 연결된 별도의 입력 장치, 제스처 인식, 음성 인식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증강현실용 HMD는 그 특성상 대부분의 조작이 제스처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기본 입력 방법이 제스처인 경우 기존의 휴대 단말기,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인증 방식인 ID, 패스워드 등을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할 수 있더라도 매우 불편하게 패스워드 등을 입력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서 제스처를 사용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증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19-0093966호(발명의 명칭: HMD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공개일자: 2019년 08월 12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사용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인증 패턴을 구성하고, 인증 패턴을 사용해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스처를 사용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은,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를 구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인증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1)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2)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위핑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를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쓰는(sweeping) 동작으로, 스위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탭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를 두드리는 동작으로 정의되며, 두드림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은,
(1-1)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1-2)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및
(1-3) 상기 단계 (1-2)에서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
(2-1)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및
(2-2) 상기 단계 (2-1)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1)에서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입력에 대응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해 인증 패턴을 형성 및 설정하고, 상기 인증 패턴을 사용해 인증 처리를 하는 터치 인증부; 및
상기 터치 인증부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인증부는,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 및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모듈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인증 패턴의 입력에 관한 안내를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터치 패드를 사용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인증 패턴을 구성하고, 인증 패턴을 사용해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스처를 사용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120에서 인증 패턴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210에서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터치 패드(200), 터치 인증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및 통신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측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 혼합현실 및 가상현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AR, VR 또는 MR 글라스에 해당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10) 및 광학계(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영상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110)는, 영상 정보가 착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광학계(120)와 결합해, 광학계(120)에 의해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되는 영상 광을 출력하며, 양안 디스플레이를 위해 한 쌍의 디스플레이(110)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OLED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광학계(12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실제 세계의 광과 영상 광의 결합에 의한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계(120)는, 착용자의 시야를 통한 실제 세계(real world)의 광의 적어도 일부를 투과시키고, 디스플레이(110)에서 출력되는 영상 광을 착용자의 눈 방향으로 전달하여 증강현실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광학계(12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가 증강현실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광학계(120)는 복수의 렌즈와 미러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광학 회절 방식, 빔 스플리터 방식, 핀 미러 방식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드(20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 패드(200)는 착용자의 터치에 의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패널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일측에 터치 패드(200)를 구비할 수 있다. 터치 패드(20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또는 왼쪽의 다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쉽고 편하게 터치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관자놀이 부근에 터치 패드(200)가 오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서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착용자는, 착용 상태에서 일측에 구비된 터치 패널을 스위핑(sweeping) 하거나 탭(tap) 하는 동작을 사용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 제스처는 터치 패드(200)을 쓰는(sweeping) 스위핑 동작과 터치 패드(200)을 두드리는 탭 동작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 스위핑 동작은, 터치 패드(200)를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쓰는(sweeping) 동작으로, 스위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위쪽으로 터치 패드(200)를 쓰는 상향 스위핑 동작, 반대 방향의 하향 스위핑 동작,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터치 패드(200)를 쓰는 우향 스위핑 동작, 반대 방향의 좌향 스위핑 동작 등 스위핑 방향에 따라 여러 종류의 터치 제스처가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탭 동작은, 터치 패드(200)를 두드리는 동작으로 정의되며, 두드림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드(200)를 짧게 두드리는 싱글 탭 동작, 터치 패드(200)를 짧게 두 번 두드리는 더블 탭 동작, 터치 패드(200)를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 길게 누르는 롱 탭 동작 등 두드림 횟수와 누르는 시간의 길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터치 제스처가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한 손가락 탭인지 두 손가락 탭인지와 같이 터치 손가락 개수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될 수 있다.
터치 인증부(300)는,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해 인증 패턴을 형성 및 설정하고, 인증 패턴을 사용해 인증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인증부(300)는, 설정 모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310), 및 잠금 상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설정 모듈(310)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패턴은,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증 패턴은 터치 제스처의 종류와 순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터치 인증부(300)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인증 패턴의 입력에 관한 안내를 증강현실로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500)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다른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나 서버 등과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500)가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3/4/5/6G(3/4/5/6th Gene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은,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200)를 구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인증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설정 모드에서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S100), 잠금 상태에서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S200) 및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터치 인증부(300)의 설정 모듈(310)이, 설정 모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패턴은,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00에서는, 터치 인증부(300)의 인증 모듈(320)이, 잠금 상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단계 S100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00에서는, 단계 S200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제어부(400)가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입력 패턴과 인증 패턴이 일치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로그인 처리될 수 있으며, 입력 패턴과 인증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잠금 상태 초기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100은, 터치 인증부(300)의 설정 모듈(310)에서 각 단계가 수행되며,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S11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S120) 및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착용한 착용자가 전원을 켠 다음 미리 정해진 설정 모드 요청 신호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여 설정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설정 모드 요청 신호는 제스처, 음성 등으로도 입력할 수도 있으나, 터치 패드(200)를 사용해 입력하는 터치 동작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향 스위핑 동작 다음 더블 탭 동작으로 정의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의해 설정 모드를 개시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모드가 개시되면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증강현실로 인증 패턴 설정을 위한 안내 문구가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된 안내 문구에 따라 착용자는 일정한 시간 동안 복수의 터치 제스처를 입력해 인증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120에서 인증 패턴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120에서는, 착용자가 터치 패드(200)를 이용해 원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인증 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인증 패턴은 터치 제스처의 종류와 순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하향 스위핑 동작, 상향 스위핑 동작 2회, 우향 스위핑 동작 2회의 총 5개의 터치 제스처가 순서대로 조합되어 인증 패턴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터치 제스처의 개수가 반드시 5개인 것은 아니며, 인증 패턴을 구성하는 터치 제스처의 개수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고, 보안 유지가 가능한 정도라면 착용자가 원하는 개수의 터치 제스처로 인증 패턴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120에서는, 미리 정해진 입력 시간 동안 인증 패턴을 입력받으며, 입력 시간이 종료되면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지 않은 시간이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면 입력 시간이 종료되기 전이더라도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과 관계없이 입력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 종료 신호는 인증 패턴을 구성하는 터치 제스처와는 다른 터치 동작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 패턴은 상, 하, 좌 및 우향 스위핑 동작과 싱글 탭 동작을 조합해 구성하도록 하고, 더블 탭 동작은 입력 종료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20에서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할 수 있다. 즉, 단계 S120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종료하는 등으로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인증 패턴을 저장하여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해제 또는 로그인을 위한 제스처 패턴 형태의 암호로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130에서 인증 패턴을 저장한 다음에는 초기 화면 또는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200은, 터치 인증부(300)의 인증 모듈(320)에서 각 단계가 수행되며, 잠금 상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S210) 및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에서 터치 패드(200)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전원을 켠 후 로그인 전이거나 로그아웃한 상태이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잠금 상태일 수 있으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안내 문구가 증강현실로 출력될 수 있다. 착용자는 출력된 안내 문구에 따라 터치 패드(200)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에서는, 터치 제스처의 입력에 대응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아이콘 색 변화, 소리, 이미지, 텍스트, 햅틱을 통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210에서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모습을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의 단계 S210에서는, “인증 패턴을 입력하세요”라는 안내 문구에 따라 착용자는 단계 S100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구성하는 터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착용자가 하향 스위핑 동작과 상향 스위핑 동작을 입력함에 따라, 아이콘 색 변화에 의한 피드백이 증강현실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피드백은 터치 제스처의 입력에 따른 것으로,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가 인증 패턴과 매칭되는지에 관계없이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단계 S210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단계 S100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220에서는,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터치 제스처의 입력을 완료하고 입력 패턴을 구성할 수 있다. 즉, 터치 제스처를 입력하고 더블 탭 동작 등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그 전까지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입력 패턴을 구성해 인증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증 패턴이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개수의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입력 완료된 것으로 보고 입력 패턴과 인증 패턴의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따르면,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구비된 터치 패드(200)를 사용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인증 패턴을 구성하고, 인증 패턴을 사용해 잠금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제스처를 사용하면서도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 인증을 처리하고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100: 광학 디스플레이부
110: 디스플레이
120: 광학계
200: 터치 패드
300: 터치 인증부
310: 설정 모듈
320: 인증 모듈
400: 제어부
500: 통신부
S100: 설정 모드에서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S110: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설정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S120: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S130: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
S200: 잠금 상태에서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S210: 잠금 상태에서 터치 패드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S220: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S300: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

Claims (8)

  1.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200)를 구비한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의해 각 단계가 수행되는 인증 패턴 형성 방법으로서,
    (1)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단계;
    (2)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며,
    상기 스위핑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쓰는(sweeping) 동작으로, 스위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되고,
    상기 탭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두드리는 동작으로 정의되며, 두드림 횟수, 누르는 시간의 길이 및 터치 손가락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되며,
    상기 단계 (1)은,
    (1-1)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1-2)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및
    (1-3) 상기 단계 (1-2)에서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1-2)에서는,
    입력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며,
    상기 단계 (2)는,
    (2-1)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및
    (2-2) 상기 단계 (2-1)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2-1)에서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입력에 대응해 피드백을 제공하되, 아이콘 색 변화, 소리, 이미지, 텍스트 및 햅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기 단계 (2-2)에서는,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전까지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입력 패턴을 구성해 상기 인증 패턴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로서,
    착용자의 양안의 전방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증강현실을 제공하는 광학 디스플레이부(100);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착용자로부터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터치 패드(200);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해 인증 패턴을 형성 및 설정하고, 상기 인증 패턴을 사용해 인증 처리를 하는 터치 인증부(300); 및
    상기 터치 인증부(300)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광학 디스플레이부(100)를 통해 상기 인증 패턴의 입력에 관한 안내를 증강현실로 제공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인증부(300)는,
    설정 모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설정하는 설정 모듈(310); 및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에 의한 입력 패턴과 상기 설정 모듈(310)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 모듈(320)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패턴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되는 스위핑(sweeping) 동작 및 탭(tap) 동작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조합해 구성되며,
    상기 스위핑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상, 하, 좌 또는 우 방향으로 쓰는(sweeping) 동작으로, 스위핑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되고,
    상기 탭 동작은,
    상기 터치 패드(200)를 두드리는 동작으로 정의되며, 두드림 횟수, 누르는 시간의 길이 및 터치 손가락 개수에 따라 서로 다른 터치 제스처로 정의되며,
    상기 설정 모듈(310)은,
    (1-1) 입력된 설정 모드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설정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
    (1-2)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입력받은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인증 패턴을 입력받는 단계; 및
    (1-3) 상기 단계 (1-2)에서 입력받은 인증 패턴을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해 인증 패턴을 설정하되,
    상기 단계 (1-2)에서는,
    입력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인증 패턴의 입력이 완료된 것으로 처리하며,
    상기 인증 모듈(320)은,
    (2-1) 상기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잠금 상태에서 상기 터치 패드(200)를 통해 터치 제스처를 입력받는 단계; 및
    (2-2) 상기 단계 (2-1)에서 터치 제스처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구성되는 입력 패턴과 상기 단계 (1)에서 설정한 인증 패턴을 비교하여 인증을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해 인증을 처리하되,
    상기 단계 (2-1)에서는,
    상기 터치 제스처의 입력에 대응해 피드백을 제공하되, 아이콘 색 변화, 소리, 이미지, 텍스트 및 햅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하며,
    상기 단계 (2-2)에서는,
    입력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 완료 신호 전까지 입력된 터치 제스처로 입력 패턴을 구성해 상기 인증 패턴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10).
  8. 삭제
KR1020210132251A 2021-10-06 2021-10-06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48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51A KR102548210B1 (ko) 2021-10-06 2021-10-06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22/005829 WO2023058833A1 (ko) 2021-10-06 2022-04-24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251A KR102548210B1 (ko) 2021-10-06 2021-10-06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9299A KR20230049299A (ko) 2023-04-13
KR102548210B1 true KR102548210B1 (ko) 2023-06-28

Family

ID=8580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251A KR102548210B1 (ko) 2021-10-06 2021-10-06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8210B1 (ko)
WO (1) WO202305883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8814A (ja) * 2012-10-10 2014-05-01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2011A (ko) * 2013-09-17 201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1724A (ko) * 2014-02-03 2015-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안경장치
KR102227087B1 (ko) * 2014-07-08 2021-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166697B1 (ko) * 2020-02-28 2020-10-16 (주)파워엔지니어링 머리 착용형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8814A (ja) * 2012-10-10 2014-05-01 Olympus Corp 頭部装着型表示装置、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ロック解除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8833A1 (ko) 2023-04-13
KR20230049299A (ko)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1113B2 (en) Password management
US10432623B2 (en) Companion out-of-band authentication
JP4693329B2 (ja) 命令を入力する方法と端末装置
US9715619B2 (en) Facilitating aligning a user and camera for user authentication
CN103198249B (zh) 对可漫游凭证存储的安全且可用保护
EP3118761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763105B1 (en) Keyfob for use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entities
CN106850201B (zh) 智能终端多因子认证方法、智能终端、认证服务器及系统
CN102243590A (zh) 用于在外部设备上的应用程序和车辆系统之间通信的方法
EP2998781A1 (en) Commun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3927658A (zh) 移动支付方法和移动支付终端
MX2007015897A (es) Provision de conectividad inalambrica para dispositivos que utilizan un enlace de comunicacion de campo cercano (nfc).
US11695748B2 (en) Sharing authentication between applications
US20160262196A1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90357048A1 (en) Authentic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108730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9534497A (ja) 多様なモードで作動可能なデータ処理ターミナル及びこれと関連した方法
US20180270226A1 (en) Secure Transfer of User Information Between Devices Based on User Credentials
CN110534073A (zh) 一种屏幕亮度调节方法及装置
KR102548210B1 (ko) 터치 제스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패턴 형성 방법 및 터치 제스처를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하는 머리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268402A1 (en) Dynamically Pass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ross Devices
CN108200075A (zh) 一种身份认证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US20190180257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3346406A1 (en) Data inpu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the data input method
CN111383015B (zh) 交易安全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