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926B1 -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 Google Patents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926B1
KR102546926B1 KR1020220048713A KR20220048713A KR102546926B1 KR 102546926 B1 KR102546926 B1 KR 102546926B1 KR 1020220048713 A KR1020220048713 A KR 1020220048713A KR 20220048713 A KR20220048713 A KR 20220048713A KR 102546926 B1 KR102546926 B1 KR 10254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nclosure
iot device
moving plate
prevention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덕
Original Assignee
최봉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봉덕 filed Critical 최봉덕
Priority to KR102022004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배출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 물질을 저감 처리하기 위한 방지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의 측정값을 수집 및 저장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수집서버로 전송하는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전면이 개방된 함체; IoT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제1도어와 투명한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제1도어의 전면을 보호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도어;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부속기기가 설치되어 고정되되,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되,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판;을 포함함으로써,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장치 내부의 부속의 교체 및 점검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IoT device-based pollution prevention facility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의 문제는 전세계적으로 인류가 꼭 해결해야 할 문제로 급박하게 다가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중국과의 지정학적인 위치로 인한 대기, 해양 오염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도 공기, 물, 토양, 기상 등으로 인한 수많은 오염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화학물 제조 공장, 제철 공장 등을 포함하는 산업단지 및 대형 플랜트 산업에서 유독물, 폐기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환경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배출시설(예컨대, 소각로, 보일러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적정하게 처리후 배출 허용 기준 이하로 줄여서 배출하도록 환경 오염 물질 방지시설(이하, '방지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 가동하여야 한다.
한편, 방지시설은 일반적으로 유해물질의 배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로부터 측정값을 취합하여 센서가 측정한 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치(이하 '모니터링장치')가 함께 수반되는데, 상기 모니터링장치는 공장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공장 내부는 상기 모니터링장치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유먼지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장치 내부의 부속의 교체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는 함체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21-123135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91184 호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장치 내부의 부속의 교체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는 함체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출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 물질을 저감 처리하기 위한 방지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의 측정값을 수집 및 저장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수집서버로 전송하는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전면이 개방된 함체; IoT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제1도어와 투명한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제1도어의 전면을 보호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도어;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부속기기가 설치되어 고정되되,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되,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도어는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도어에 접근가능하도록 제1도어를 노출시키거나 상기 제1도어로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폐쇄시키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1자석과 상기 함체의 전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2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일단이 상기 함체의 상면의 내면 일측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힌지부와 연결되어 제1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상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상부가이드부;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나오는 경로 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도어의 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손잡이; 및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체의 전면이 폐쇄될 때, 상기 내부손잡이가 위치하는 지점의 맞은편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제3자석이 삽입되어 고정되되, 내부에 제4자석이 구비된 내부손잡이삽입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의 중앙부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IoT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부속이 설치된 PCB기판; 및 상기 PCB기판과 제1도어의 내측면을 이격시켜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PCB기판가 제1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폐부재;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도어는 상면에 상기 제1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멍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힌지부와 맞닿게 되면서 상기 제1도어의 추가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부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하면은 상기 원형기어의 상측에 맞물리는 제1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일측과 타측면에는 상기 원형기어의 하측에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홈부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감에 따라 제1기어에 맞물리는 상기 원형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형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는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나오게 되면서,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한 쌍의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하측 후측에는 상기 제1돌출부재에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 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하부의 전면에 제2힌지부를 통해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도어의 하측에서 상기 제1도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면서 상부가 상기 이동판에 의해 밀려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개방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다시 들어가면서 상기 개폐판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2힌지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탄성체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은 다시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는 고무소재로 제작되는 충격흡수부재가 덧대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판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물방울모양인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끼움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함몰부는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서 각각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의하면 함체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디스플레이패널이 노출되는 통공을 포함하는 제1도어와, 제1도어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투명한 제2도어를 포함함으로써, 도어를 열지 않고도 공장 내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제1도어가 함체 내부로 삽입되면서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부속기기가 설치되는 설치판이 이동판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노출되어 부속기기의 점검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를 사용한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의 함체와 제1도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와 제1도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손잡이와 내부손잡이삽입부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와 디스플레이장치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와 제1도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와 이동판의 이동원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 제1도어 및 개폐판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판과 이동판이 서로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부", "하부", "전", "후", "상측", "하측", "일측", "타측", "일방향", "타방향" 이라는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대로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배치 및 배향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용이하면서도 외부의 먼지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니터링장치 내부의 부속의 교체 및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는 함체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를 사용한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를 사용한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업장 내에 설치되어 오염 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시설(10), 상기 배출시설(10)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을 적정하게 처리후 배출 허용 기준 이하로 줄여서 배출하는 방지시설(30), 상기 배출시설(10)에 설치되는 제1센서(20)와 상기 방지시설(30)에 설치되는 제2센서(40)로부터 상기 배출시설(10) 및 방지시설(30)의 가동상태에 대한 측정값을 전송받아 일시 저장 관리하는 모니터링장치(100), 상기 모니터링장치(100)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측정값을 전송받아 저장하고, 상기 측정값에 따라 모니터링장비(51)로 상기 배출시설(10) 및 방지시설(30)의 가동상태를 표시하는 수집서버(50)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시설(10)은 소각로나 보일러 등과 같이 연소나 가열에 의해 환경 오염 물질이 배출하는데, 상기 제1센서(20)는 상기 배출시설(10)의 가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온도센서 및 전류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0)의 온도 센서는 배출시설(10)의 내부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것으로 측정되면, 상기 모니터링장치(100) 및 수집서버(50)는 배출시설(10)이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센서(20)의 전류계에서 기 설정된 범위의 전류값이 검출되면 상기 배출시설(10)에 전력이 공급되어 가동 중인 것으로 상기 모니터링장치(100) 및 수집서버(50)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방지시설(30)은 사업자의 유형과 배출되는 오염 물질의 종류 및 처리방법에 따라 다양한 유형을 가지는데, 상기 방지시설(30)은 중력집진시설, 관성력집진시설, 원심력집진시설, 세정집진시설, 여과집진시설, 전기집진시설, 음파집진시설, 흡수에 의한 시설, 흡착에 의한 시설, 직접연소시설(RTO),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응축에 의한 시설, 산화환원시설(SNCR), 미생물을 이용하는 시설, 연소조절에 의한 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40)는 상기 방지시설(30)에 따라 차압계, pH미터, 전류계, 전압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방지시설(30)이 중력집진시설일 경우에 상기 제2센서(40)는 중력집진시설의 전후단 덕트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여 유속을 유추하는 차압계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방지시설(30)이 전기집진시설일 경우에 상기 제2센서(40)는 전류계와 전압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장치(100)는 상기 제1센서(20) 및 제2센서(40)로부터 측정값을 수집 및 저장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수집서버(50)로 전송한다.
아래에서는 도 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의 주요 구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을 도면에 생략하여 표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의 함체(110)와 제1도어(121)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10)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는 함체(110), 도어(120), 설치판(130), 이동판(140), 개폐판(118), 상기 이동판(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150)을 포함한다.
상기 함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을 포함하되, 전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수용공간(111)에는 IoT 디바이스(171)를 포함하는 부속기기(17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0)는 IoT 디바이스(171)가 수신한 상기 제1센서(20)와 제2센서(40)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200)가 고정되는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121a)을 포함하는 제1도어(121)와 투명한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제1도어(121)의 전면을 보호하는 제2도어(122)를 포함하여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킨다.
상기 도어(120)가 제1도어(121)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1) 내부로 이물질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용공간(111)에 설치되는 IoT 디바이스(171)를 포함하는 부속기기(170)의 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도어(121)의 통공(121a)에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도어(121)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소재의 제2도어(12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도어(122)를 열지 않고도 디스플레이장치(200)에 표시되는 내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아래에서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여 제1도어(12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10)와 제1도어(121)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손잡이(121b)와 내부손잡이삽입부(117)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121)는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거나 개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121)는 일단이 상기 함체(110)의 상면의 내면 일측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힌지부(112a)와 연결되어 제1힌지축(112b)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도어(121)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도어(121)의 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손잡이(121b)와 상기 제1도어(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전면이 폐쇄될 때, 상기 내부손잡이(121b)가 위치하는 지점의 맞은편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자석(121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함체(110)에는 상기 제3자석(121e)이 삽입되어 고정되되, 내부에 제4자석(117a)이 구비된 내부손잡이삽입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어(121)가 회전하여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하게 되면, 상기 제3자석(121e)은 내부손잡이삽입부(117)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도어(121)는 제3자석(121e)과 제4자석(117a)의 자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어 함체(110)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손잡이(121b)는 상기 제1도어(121)와 맞닿아 상기 제1도어(121)의 전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원기둥 형상의 제1부분(121c) 및 상기 제1부분(121c)의 원기둥 형상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원판 형상의 제2부분(121d)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가 제2부분(121d)을 파지한 채로 제1도어(121)를 회전시킬 수 있어 용이하게 함체(110)의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더 참조하여 제1도어(121)와 디스플레이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121)와 디스플레이장치(200)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0)의 내부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이 때, 도 10의 (a)는 제1도어(121)의 통공(121a)에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설치되기 전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의(b)는 제1도어(121)의 통공(121a)에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121)의 통공(121a)이 형성된 부위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케이스(210), 디스플레이패널(220), PCB기판(230) 및 복수의 차폐부재(2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단면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디스플레이패널(220)이 설치되는 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도어(121)의 함체(110) 쪽을 향하는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121)에 의해 함체(110)의 전면에 폐쇄되면 상기 수용공간(111)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0)은 제1센서(20) 및 제2센서(40)가 측정한 측정값을 표시하는 장치로 상기 케이스(210)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121)의 중앙부의 통공(121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PCB기판(23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0)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IoT 디바이스(171)로부터 수신한 제1센서(20)와 제2센서(40)의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0)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부속이 설치된다.
복수의 상기 차폐부재(240)는 상기 PCB기판(230)과 제1도어(121)의 내측면을 이격시켜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PCB기판(230)가 제1도어(121)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데, 상기 차폐부재(240) 각각의 형상은 PCB기판(230)에 설치되는 전자부속 및 디스플레이패널(22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10)와 제1도어(121)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도어(121)와 이동판(140)의 이동원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체(110), 제1도어(121) 및 개폐판(118)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 도 8, 도 12 내지 도 1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의 이동 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1도어(121)는 상면에 상기 제1도어(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112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21f)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구멍(121f)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힌지부(112a)와 맞닿게 되면서 상기 제1도어(121)의 추가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함체(110)는 제1도어(121)의 상기 수용공간(111) 내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면서, 상기 이동판(140)과 설치판(130)의 함체(110)의 개방된 전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상부가이드부(115)와 하부가이드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가이드부(115)는 상기 함체(110)의 상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21)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11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홈부(115a)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가이드부(116)는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121)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11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수용공간(111)에서 나오는 경로 또는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가이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가이드부(116)는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내부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기어(116a)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121)의 하면은 상기 원형기어(116a)의 상측에 맞물리는 제1기어(121g)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판(140)의 일측과 타측면에는 상기 원형기어(116a)의 하측에 맞물리는 제2기어(14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홈부(115a)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감에 따라 제1기어(121g)에 맞물리는 상기 원형기어(116a)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형기어(116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기어(141)는 상기 함체(110)의 전면으로 나오게 되면서,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함체(110)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가 상부가이드부(115)와 하부가이드부(116)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도어(121)를 회전하여 함체(110)의 전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상부가이드부(115)를 따라 수용공간(111)으로 밀어넣은 동작만으로도 상기 이동판(140)과 이동판(140)에 끼움고정된 설치판(130)이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 있다.
이를 통해, 설치판(130)에 부착 또는 설치되어 있는 IoT 디바이스(171) 또는 부속기기(170)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할 때, 함체(110)의 좁은 수용공간(111) 내에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설치판(130)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유지보수작업 및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작업자가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다시 도 2, 도4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제2도어(122)는 제3힌지부(16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도어(121)에 접근가능하도록 제1도어(121)를 노출시키거나 상기 제1도어(121)로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폐쇄시키는데, 이때 상기 제2도어(122)가 함체(110)에 밀착된 채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도어(122)는 상기 제2도어(122)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1자석(122a)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함체(110)는 상기 함체(110)의 전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2자석(114)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제1자석(122a)과 제2자석(114) 사이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2도어(122)의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121)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부의 이물질이 함체(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도어(122)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부손잡이(122b)가 있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도어(122)를 통해 상기 함체(110)를 쉽게 여닫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설치판(130)은 IoT 디바이스(171)를 포함하는 부속기기(170)가 설치되어 고정되는 사각평판으로, 상기 수용공간(111)에 구비되는데, 상기 설치판(130)은 제1도어(121)가 수용공간(111)으로 상부가이드부(115)를 따라서 들어가고 이동판(140)이 외부로 나옴에 따라 상기 제1도어(121)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0)와 설치판(130)이 서로 교차되어 설치판(130)과 제1도어(121)의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설치판(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200)의 케이스(210)의 외형에 대응하여 함몰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0)통과홀(13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도어(121)에 디스플레이장치(20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판(130)에 디스플레이장치(200)통과홀(131)이 구비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패널(220)만 상기 제1도어(121)의 통공(121a)에 설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20)을 작동시키기 위한 나머지 부속이 상기 설치판(130)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판(130)에 디스플레이장치(200)통과홀(131)이 구비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판(140)의 이동범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110)는 함체(110)의 하면의 내면에 한 쌍의 제1돌출부재(112)와 상기 제1돌출부재(112)에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140)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상기 이동판(140)의 하면의 후측에 제2돌출부재(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재(11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내면 전측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돌출부재(11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내면 후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재(142)의 일측면이 상기 어느 하나의 제1돌출부재(112)에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140)의 상기 함체(110)의 전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되고,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함체(110)의 후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돌출부재(142)의 타측면이 상기 다른 하나의 제1돌출부재(112)에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140)의 상기 함체(110)의 후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이동판(140) 전체가 수용공간(111)에서 빠져나와 상기 함체(1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판(118)은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단부에 제2힌지부(118b)를 통해 제2힌지축(118c)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도어(121)의 하측에서 상기 제1도어(121)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118)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함체(110)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면서 상부가 상기 이동판(140)에 의해 밀려 상기 제2힌지축(118c)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함체(110)의 전면의 하부를 개방하고, 상기 이동판(140)이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다시 들어가면서 상기 개폐판(118)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2힌지부(118b)의 내부에 포함되는 탄성체(118d)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118)은 다시 상기 함체(110)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한다.
또한, 상기 개폐판(118)의 상부에는 고무소재로 제작되는 충격흡수부재(118a)가 덧대어져 있어, 상기 이동판(140)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개폐판(118)과 이동판(140)의 접촉에 따라 상기 이동판(140)과 개폐판(118)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판(130)과 이동판(140)이 서로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판(140)은 상기 설치판(130)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되, 상기 제1도어(121) 및 제2도어(122)에 의해 상기 함체(11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121)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면, 상기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판(140)은 상기 이동판(140)과 상기 함체(110)의 하면의 내면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레일(150)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함체(110)의 일측에서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도록 제1도어(121)에 가해지는 외력은 상기 하부가이드부(116)에 의해 상기 이동판(140)을 함체(110)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시키게 작용하도록 외력을 방향을 변경하는데, 이때 상기 레일(150)은 함체(110)의 일측에서 수용공간(111)으로 들어가도록 제1도어(121)에 가해지는 외력이 상기 이동판(140) 전반에 걸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동판(140)이 용이하게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이동판(140)이 설치판(13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설치판(130)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판(130)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 물방울모양인 끼움돌출부(13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140)은 상기 끼움돌출부(1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함몰부(14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끼움함몰부(143)는 상기 이동판(140)의 상면에서 각각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출부(132)가 단면이 물방울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끼움함몰부(143)가 상기 끼움돌출부(132)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기 끼움돌출부(132)가 끼움함몰부(143)에 삽입되면 설치판(130)은 이동판(140)에서 빠지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함몰부(143)가 상기 이동판(140)의 상면에서 각각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설치판(130)이 상기 이동판(140)의 상면에 끼움고정되는 위치를 상기 설치판(130)에 설치되는 부속기기(170) 및 IoT 디바이스(171)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도어(121)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장치(200)의 크기가 커서 상기 제1도어(121)가 함체(110)를 폐쇄한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0)가 수용공간(111)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비중이 클 경우에는 상기 설치판(130)의 끼움돌출부(132)는 상기 이동판(140)의 수용공간(111) 안 쪽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동판(140)의 어느 하나의 끼움함몰부(143)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판(130)이 이동판(140)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될 수 있어, 상기 설치판(130)에 설치되는 IoT 디바이스(171) 및 부속기기(17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새로운 IoT 디바이스(171) 및 부속기기(170)가 설치되어 있는 새로운 설치판(130)으로 설치판(130) 자체를 교체할 수 있어 교체작업을 빠른 시간에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100)에 의하면 함체(110)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되, 디스플레이패널(220)이 노출되는 통공(121a)을 포함하는 제1도어(121)와, 제1도어(121)의 전면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투명한 제2도어(122)를 포함함으로써, 도어(120)를 열지 않고도 공장 내 유해물질의 배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제1도어(121)가 함체(110) 내부로 삽입되면서 IoT 디바이스(171(를 포함하는 부속기기(170)가 설치되는 설치판(130)이 이동판(14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부속기기(170)의 점검 또는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 배출시설
20 : 제1센서
30 : 방지시설
40 : 제2센서
50 : 수집서버
100 :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장치
110 : 함체
120 : 도어
130 : 설치판
140 : 이동판
150 : 레일
160 : 제3힌지부
170 : 부속기기
200 : 디스플레이장치

Claims (12)

  1. 배출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1센서와 상기 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환경 오염 물질을 저감 처리하기 위한 방지시설의 가동 상태를 감지하는 제2센서의 측정값을 수집 및 저장하고,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의 수집서버로 전송하는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포함하되, 전면이 개방된 함체;
    IoT디바이스가 수신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되는 중앙부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제1도어와 투명한 플라스틱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제1도어의 전면을 보호하는 제2도어를 포함하여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키는 도어;
    IoT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부속기기가 설치되어 고정되되,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설치판;
    상기 설치판이 분리가능하게 끼움고정되되,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에 의해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면, 상기 함체의 개방된 전면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는 일단이 상기 함체의 상면의 내면 일측의 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1힌지부와 연결되어 제1힌지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상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홈부를 포함하는 상부가이드부;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도어가 회전하여 상기 함체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경로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정도에 비례하여 상기 이동판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나오는 경로 또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는 경로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제3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도어에 접근가능하도록 제1도어를 노출시키거나 상기 제1도어로의 접근을 방지하도록 폐쇄시키고,
    상기 제2도어는 상기 제2도어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1자석과 상기 함체의 전면의 테두리를 따라서 구비되는 제2자석의 자력에 의해 회전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제1도어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로 고정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상기 제1도어의 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내부손잡이; 및,
    상기 제1도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함체의 전면이 폐쇄될 때, 상기 내부손잡이가 위치하는 지점의 맞은편 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3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함체는 상기 제3자석이 삽입되어 고정되되, 내부에 제4자석이 구비된 내부손잡이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설치되어 상기 제1도어의 중앙부의 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작동시키면서, 상기 IoT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을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전자부속이 설치된 PCB기판; 및,
    상기 PCB기판과 제1도어의 내측면을 이격시켜 전자파를 차폐하도록 상기 PCB기판가 제1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차폐부재;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는 상면에 상기 제1도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 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부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구멍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제1힌지부와 맞닿게 되면서 상기 제1도어의 추가적인 이동이 방지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가이드부는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부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형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의 하면은 상기 원형기어의 상측에 맞물리는 제1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일측과 타측면에는 상기 원형기어의 하측에 맞물리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도어가 상기 홈부를 따라 상기 수용공간으로 들어감에 따라 제1기어에 맞물리는 상기 원형기어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원형기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기어는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나오게 되면서,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함체의 전면으로 이동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경로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일을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하면의 내면에 상기 이동판의 이동범위를 결정하는 한 쌍의 제1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의 하측 후측에는 상기 제1돌출부재에 맞닿으면서 상기 이동판 의 추가적인 이동을 방지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함체의 하부의 전면에 제2힌지부를 통해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도어의 하측에서 상기 제1도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개폐판;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판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면서 상부가 상기 이동판에 의해 밀려 상기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개방하고,
    상기 이동판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다시 들어가면서 상기 개폐판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2힌지부의 내부에 포함되는 탄성체의 회복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은 다시 상기 함체의 전면의 하부를 폐쇄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의 상부에는 고무소재로 제작되는 충격흡수부재가 덧대어져 있는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의 하부에는 상기 설치판에서 하측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단면이물방울모양인 끼움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판은 상기 끼움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끼움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움함몰부는 상기 이동판의 상면에서 각각이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KR1020220048713A 2022-04-20 2022-04-20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KR10254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13A KR102546926B1 (ko) 2022-04-20 2022-04-20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713A KR102546926B1 (ko) 2022-04-20 2022-04-20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926B1 true KR102546926B1 (ko) 2023-06-23

Family

ID=86993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713A KR102546926B1 (ko) 2022-04-20 2022-04-20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92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484A (ja) * 1999-10-26 2001-05-11 Boon Kogyo Kk 電磁波漏洩防止装置
KR200444506Y1 (ko) * 2007-05-21 2009-05-15 정수연 함체 도어 고정장치
KR101091184B1 (ko) 2011-05-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슬라이딩 개방 또는 회전 개방, 슬라이딩 개방 및 회전 개방이 가능한 분전함용 도어
KR101643880B1 (ko) * 2014-11-03 2016-08-01 보명테크 주식회사 변압기의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수배전반
KR20210094498A (ko) * 2019-07-29 2021-07-29 (주) 에코센스 계측 및 자료수집 일체형 장치
KR20210123135A (ko) 2020-04-02 2021-10-13 (주)두일테크 IoT 기반 환경 오염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7484A (ja) * 1999-10-26 2001-05-11 Boon Kogyo Kk 電磁波漏洩防止装置
KR200444506Y1 (ko) * 2007-05-21 2009-05-15 정수연 함체 도어 고정장치
KR101091184B1 (ko) 2011-05-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슬라이딩 개방 또는 회전 개방, 슬라이딩 개방 및 회전 개방이 가능한 분전함용 도어
KR101643880B1 (ko) * 2014-11-03 2016-08-01 보명테크 주식회사 변압기의 슬라이딩 인출이 가능한 수배전반
KR20210094498A (ko) * 2019-07-29 2021-07-29 (주) 에코센스 계측 및 자료수집 일체형 장치
KR20210123135A (ko) 2020-04-02 2021-10-13 (주)두일테크 IoT 기반 환경 오염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1039B1 (ko) 천연 가스용 휴대형 수분 분석기
EP1507133A2 (de)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eines Feldgeräts
KR102546926B1 (ko)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장치
DE19757581A1 (de) Armatur mit integrierbarer, permanenter Lecküberwachung
KR101793550B1 (ko)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및 배기가스 성분 분석 방법
KR101909862B1 (ko) 단일 펌프를 이용한 샘플링 및 클리닝 기능을 갖춘 이동형 가스 샘플링 시스템
CN105259308B (zh) 一种水幕洗消泄漏氨气效果的测试系统
CN202854036U (zh) 一种一氧化碳浓度在线检测装置
TW201604526A (zh) 用以監測空氣中污染物之裝置
KR101430433B1 (ko) 볼 플로트 트랩
US4683762A (en) Containment system
KR102435626B1 (ko) IoT 디바이스 기반의 오염 방지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20408B1 (ko) 가스 감지 시스템
DE102013020896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Objektes in einem explosionsgeschützten Bereich mittels Ultraschall
KR101499691B1 (ko) 오염물질 분석 장치
US3990301A (en) Inspection device
CA2468111C (en) Fugitive emission collection device
KR101220465B1 (ko) 스프링장력에 의한 공기구동밸브의 스템 편심 측정장치
KR102186156B1 (ko) 냉장고용 회전 힌지의 조립 시스템
CN201967270U (zh) 电子气体传感器防尘除尘装置
KR100989430B1 (ko) 인시츄 가스 측정 프로브의 오염방지 장치
US20110000282A1 (en) Passive glovebox glove leak detector
CN215005483U (zh) 一种具有防护功能的电力设施维修用检测设备
KR102022344B1 (ko) 배기가스 성분 분석 시스템
KR102600748B1 (ko) 맨홀 내 환경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내 악취 저감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