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277B1 -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277B1
KR102546277B1 KR1020180109863A KR20180109863A KR102546277B1 KR 102546277 B1 KR102546277 B1 KR 102546277B1 KR 1020180109863 A KR1020180109863 A KR 1020180109863A KR 20180109863 A KR20180109863 A KR 20180109863A KR 102546277 B1 KR102546277 B1 KR 102546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ndle
ssp
bundles
limit valu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980A (ko
Inventor
구종회
이덕기
윤강진
이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277B1/ko
Priority to US17/274,584 priority patent/US20220053029A1/en
Priority to PCT/KR2019/011419 priority patent/WO2020055034A1/ko
Priority to CN201980059721.0A priority patent/CN112740637A/zh
Priority to RU2021109962A priority patent/RU2771140C1/ru
Priority to EP19859325.3A priority patent/EP3843362A4/en
Publication of KR2020003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2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 H04L63/20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managing network security; network security policies in general involving negotiation or determination of the one or more network security mechanisms to be used, e.g. by negotiation between the client and the server or between peers or by selection according to the capabilities of the entities invol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4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s or networks with limited capabilities; specially adapted for terminal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30Security of mobile devices; Security of mobile applications
    • H04W12/35Protecting application or service provisioning, e.g. securing SIM application provi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단말의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인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의 제한값 결정 정책에 기초하여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과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기초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SMART PLATFORM TO MANAGE CONCURRENT ENABLING OF SECONDARY PLATFORM BUNDLES}
본 개시는 단말의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3GPP에서 정한 5G 통신 시스템은 New Radio (NR) 시스템이라고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사물인터넷 (Internet of Things, IoT)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 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상술한 것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러한 서비스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인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의 제한값 결정 정책에 기초하여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및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과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값을 기초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은, 번들에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에 설치된 번들의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활성화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활성화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단말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에 제한값 결정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 단말에 제한값 결정 정책을 확인하는 단계, 단말에 설정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제한값 결정 정책에 의해 특정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는 단계, 특정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는 단계, 임의의 번들에 대해 해당 번들의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참고하여 해당 번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특정 번들의 활성화 요청 시 해당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활성화 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위해서 다른 번들을 비활성화하는 명령어를 SSP로 전달하는 단계, 다른 번들의 비활성화와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명령어를 SSP로 전달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SSP에 설치된 번들의 활성화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에게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기반하여 번들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의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은, 단말에 설치된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고,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SSP에 설정하고, 제한값 결정 정책을 SSP에 설정하고,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고,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기반으로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에 번들이 설치되는 과정과 번들이 설치된 형태와 관련된 단말 내, 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Secondary Platform Bundle (SPB, 번들)의 번들 상태 (SPB state)와 번들 상태 변화(SPB state transitio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기초하여,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상에 하나의 번들이 활성화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서로 다른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가지는 두 개의 번들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번들에 두 개 이상의 번들이 동시 활성화 되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과 제한값 결정 정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SSP 내에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 (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 제한값 결정 정책, 제한값 결정 정책에 따라서 결정되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변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에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변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에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설치된 번들의 정보를 나타내고 번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 있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Local Bundle Assistant과 SSP 간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을 활성화 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시 번들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일부 번들을 비활성화 후 해당 번들을 활성화시키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SE(Secure Element)는 보안 정보(예: 이동통신망 접속 키, 신분증/여권 등의 사용자 신원확인 정보, 신용카드 정보, 암호화 키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보안 정보를 이용하는 제어 모듈(예: USIM 등의 망 접속 제어 모듈, 암호화 모듈, 키 생성 모듈 등)을 탑재하고 운영할 수 있는 단일 칩으로 구성된 보안 모듈을 의미한다. SE는 다양한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자동차, IoT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보안 정보와 제어 모듈을 통해 보안 서비스(예: 이통통신 망 접속, 결제, 사용자 인증 등)를 제공할 수 있다.
SE는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eSE (Embedded Secure Element), UICC와 eSE가 통합된 형태인 SSP(Smart Secure Platform)등으로 나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에 연결 또는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탈착식(Removable), 고정식(Embedded), 그리고 특정 소자 또는 SoC(system on chip)에 통합되는 통합식(Integrated)으로 세분화 될 수 있다.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스마트카드(smart card)이고 UICC 카드라고도 부른다. UICC에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접속 제어 모듈의 예로는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ISIM(IP Multimedia Service Identity Module) 등이 있다. USIM이 포함된 UICC를 통상 USIM 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SIM 모듈이 포함된 UICC를 통상적으로 SIM카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편, SIM 모듈은 UICC 제조시 탑재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SIM 모듈을 UICC 카드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UICC 카드는 또한 복수개의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고 그 중의 적어도 한 개의 SIM 모듈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UICC 카드는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UICC를 eUICC(embedded UICC)라고 하며, 특히 단말의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이 두 프로세서가 통합된 단일 프로세서 구조를 포함하는 System-On-Chip(SoC)에 내장된 UICC를 iUICC(Integrated UICC)라고 칭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eUICC와 iUICC는 단말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서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를 eUICC 또는 iUICC로 통칭한다. 즉 원격으로 SIM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선택할 수 있는 UICC 카드 중 단말에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는 UICC 카드를 통칭하여 eUICC 또는 iUICC로 사용한다. 또한 다운로드 받는 SIM 모듈정보를 통칭하여 eUICC 프로파일 또는 iUICC 프로파일, 또는 더 간단히 프로파일 이라는 용어로 사용한다.
eSE(Embedded Secure Element)는 전자 장치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고정식 SE를 의미한다. eSE는 통상적으로 단말 제조사의 요청에 의해 제조사 전용으로 제조되며, 운영체제와 프레임워크를 포함하여 제조 될 수 있다. eSE는 원격으로 애플릿 형태의 서비스 제어 모듈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전자지갑, 티켓팅, 전자여권, 디지털키 등과 같은 다양한 보안 서비스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원격으로 서비스 제어 모듈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는 전자 장치에 부착된 단일 칩 형태의 SE를 eSE로 통칭한다.
SSP(Smart Secure Platform)은 UICC와 eSE의 기능을 단일 칩에서 통합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탈착식(rSSP, Removable SSP), 고정식(eSSP, Embedded SSP) 그리고 SoC에 내장된 통합식(iSSP, Integrated SSP)로 구분될 수 있다. SSP는 하나의 프라이머리 플랫폼(PP, Primary Platform)과 PP상에서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PB, Secondary Platform Bundle) 구성될 수 있으며, 프라이머리 플랫폼은 하드웨어 플랫폼과 low level Operating System(LLOS)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은 High-level Operating System(HLOS) 및 HLOS 위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은 SPB 또는 번들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번들은 PP가 제공하는 Primary Platform Interface (PPI)를 통해 PP의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등을 자원에 접근하고 이를 통해 PP상에서 구동될 수 있다. 번들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USIM(Universal SIM), ISIM(IP Multimedia SIM)등의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으며, 또한 전자지갑, 티켓팅, 전자여권, 디지털 키 등과 같은 다양한 응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될 수 있다.
SSP는 원격에서 다운로드 되고 설치되는 번들에 따라서 상술된 UICC 또는 eSE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번들을 단일 SSP에 설치하고 동시에 운영하여 UICC와 eSE의 용도를 혼용할 수 있다. 즉,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번들이 동작하는 경우 SSP는 이동통신사업자의 망에 접속하기 위한 UICC 용도로 사용 될 수 있다. 해당 UICC 번들은 eUICC 또는 iUICC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파일을 원격에서 번들 내로 다운로드 받아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SSP상에서 전자지갑, 티켓팅, 전자여권 또는 디지털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응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서비스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번들이 동작하는 경우 SSP는 eSE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다수의 서비스 제어 모듈은 하나의 번들에 통합되어 설치되고 동작하거나, 각기 독립적인 번들로 설치되고 동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서 SSP는 UICC와 eSE의 기능을 단일 칩에서 통합 지원이 할 수 있는, 탈착식(rSSP, Removable SSP), 고정식(eSSP, Embedded SSP) 그리고 SoC에 내장된 통합식(iSSP, Integrated SSP)로 구분될 수 있는 칩 형태의 보안 모듈이다. SSP는 OTA(Over The Air)기술을 이용하여 번들을 외부의 번들 관리 서버(Secondary Platform Bundle Manager, SPB Manager)로부터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SSP에 OTA 기술을 이용하여 번들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은 단말에 삽입 및 탈거가 가능한 착탈식 SSP(rSSP), 단말에 설치되는 고정식 SSP(eSSP), 단말에 설치되는 SoC내부에 포함되는 통합식 SSP(iSSP)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용어 UICC는 SIM과 혼용될 수 있고, 용어 eUICC는 eSIM과 혼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PB, Secondary Platform Bundle)은 SSP의 프라이머리 플랫폼(PP, Primary Plaform) 상에서 PP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구동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UICC 번들은 기존 UICC 내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 파일시스템, 인증키 값 등과 이들이 동작하는 운영체체(HLOS)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은 번들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USIM Profile(USIM Profile)은 프로파일과 동일한 의미 또는 프로파일 내 USIM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정보를 소프트웨어 형태로 패키징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번들을 활성화(enable)하는 동작은, 해당 프로파일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enabled)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예: 통신사업자를 통해 통신서비스,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사용자 인증 서비스 등)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활성화된 번들 (enabled Bundle)"로 표현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활성화된 번들은 번들 외부 입력(예: 사용자 입력, 푸쉬,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통신 사업자의 인증 요청, PP 관리 메시지 등) 또는 번들 내부의 동작(예: 타이머, Polling)에 따라 구동 상태(Active)로 변경될 수 있다. 구동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서 SSP 내부의 구동 메모리에 로딩되고 SSP 내부의 보안 제어 장치(Secure CPU)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를 처리하고 단말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 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번들을 비활성화(disable)하는 동작은, 해당 번들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disabled)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비활성화 상태의 프로파일은 "비활성화된 번들(disabled Bundle)"로 표현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번들을 삭제(delete)하는 동작은, 해당 번들의 상태를 삭제 상태(deleted)로 변경하여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더 이상 해당 번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삭제 상태의 번들은 "삭제된 번들(deleted Bundle)"로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하는 용어 '단말'은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 송수신 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M2M(Machine to Machine) 단말,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단말은 전자 장치라 지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전자 장치는 번들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 가능한 SSP가 내장될 수 있다. SSP가 전자 장치에 내장되지 않은 경우, 물리적으로 전자 장치와 분리된 SSP는 전자 장치에 삽입되어 전자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SP는 카드 형태로 전자 장치에 삽입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단말은 번들을 다운로드하여 설치 가능한 SSP를 포함하는 단말일 수 있다. 단말에 SSP는 내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과 SSP가 분리된 경우 SSP는 단말에 삽입될 수 있고, 단말에 삽입되어 단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 또는 전자 장치는 SSP를 제어하도록 단말 또는 전자 장치 내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Local Bundle Assistant(LBA) 또는 Local Bundle Manager(LBM)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번들 구분자는 번들 식별자(SPB ID),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번들 Matching ID, 이벤트 식별자(Event ID)와 매칭되는 인자로 지칭될 수 있다. 번들 식별자(SPB ID)는 각 번들의 고유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는 번들의 종류(예: 이동통신사 망 접속을 위한 텔레콤 번들)의 종류를 구분하는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번들 구분자는 번들 관리 서버에서 번들을 색인할 수 있는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SSP 식별자(SSP ID)는, 단말에 내장된 SSP의 고유 식별자일 수 있고, sspID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말과 SSP 칩이 분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말 ID일 수 있다. 또한, SSP 내의 특정한 번들 식별자(SPB ID)를 지칭할 수도 있다. 좀더 자세히는 SSP에서 다른 번들을 설치하고 활성화, 비활성화, 삭제를 관리하는 관리 번들 또는 로더(SPBL,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의 번들 식별자를 지칭 할 수도 있다. SSP는 복수개의 SSP 식별자를 가질 수 도 있으며, 복수개의 SSP 식별자는 고유한 단일의 SSP 식별자로부터 유도된 값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로더(SPBL,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는 SSP에서 다른 번들을 설치하고 활성화, 비활성화, 삭제를 관리하는 관리 번들을 지칭할 수 있다. 단말의 LBA 또는 원격의 서버는 로더를 통해 특정 번들을 설치, 활성화, 비활성화, 삭제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로더는 SSP로도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이벤트(Event)는 번들 다운로드(Bundle Download), 또는 원격 번들 관리(Remote Bundle Management), 또는 기타 번들이나 SSP의 관리/처리 명령어를 통칭하는 용어일 수 있다. 이벤트(Event)는 원격 Bundle 제공 동작(Remote Bundle Provisioning Operation, 또는 RBP 동작, 또는 RBP Operation) 또는 이벤트 기록(Event Record)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각 이벤트(Event)는 그에 대응하는 이벤트 식별자(Event Identifier, Event ID, EventID) 또는 매칭 식별자(Matching Identifier, Matching ID, MatchingID)와, 해당 이벤트가 저장된 번들 관리 서버 또는 개통중개서버의 주소(FQDN, IP Address, 또는 URL) 또는 각 서버 식별자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데이터로 지칭될 수 있다. 번들 다운로드(Bundle Download)는 번들 설치(Bundle Installation)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종류(Event Type)는 특정 이벤트가 번들 다운로드인지 원격 번들 관리(예를 들어, 삭제, 활성화, 비활성화, 교체, 업데이트 등)인지 또는 기타 번들이나 SSP 관리/처리 명령인지를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동작 종류(Operation Type 또는 OperationType), 동작 분류(Operation Class 또는 OperationClass), 이벤트 요청 종류(Event Request Type), 이벤트 분류(Event Class), 이벤트 요청 분류(Event Request Class) 등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로컬 번들 관리(Local Bundle Management, LBM)는 번들 로컬 관리(Bundle Local Management), 로컬 관리(Local Management), 로컬 관리 명령(Local Management Command), 로컬 명령(Local Command), 로컬 번들 관리 패키지(LBM Package), 번들 로컬 관리 패키지(Bundle Local Management Package), 로컬 관리 패키지(Local Management Package), 로컬 관리 명령 패키지(Local Management Command Package), 로컬명령 패키지(Local Command Package)로 명명될 수 있다. LBM은 단말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등을 통해 특정 번들의 상태(Enabled, Disabled, Deleted)를 변경하거나, 특정 번들의 내용(예를 들면, 번들의 별칭(Bundle Nickname), 또는 번들 요약 정보(Bundle Metadata) 등)을 변경(update)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LBM은 하나 이상의 로컬 관리 명령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 로컬 관리 명령의 대상이 되는 번들은 로컬 관리 명령마다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목표 번들(target Bundle)은 로컬 관리 명령 내지 원격 관리 명령의 대상이 되는 번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는 번들 관리 서버에 요구사항을 발행하여 번들 생성을 요청하고, 해당 번들을 통해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번들 통해 통신망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사업자(Mobile Operator)를 나타낼 수 있으며, 통신사업자의 사업 지원 시스템(Business Supporting System, BSS), 운영 지원시스템(Operational Supporting System, OSS), POS 단말(Point of Sale Terminal), 그리고 기타 IT 시스템을 모두 통칭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특정 사업체를 하나만 표현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하나 이상의 사업체의 그룹 또는 연합체(association 또는 consortium) 내지 해당 그룹 또는 연합체를 대표하는 대행사(representative)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사업자(Operator 또는 OP 또는 Op.), 번들 소유자(Bundle Owner, BO), 이미지 소유자(Image Owner, IO)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각 서비스 제공자는 이름 그리고/또는 고유 식별자(Object Identifier, OID)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정하거나 할당 받을 수 있다. 만일 서비스 제공자가 하나 이상의 사업체의 그룹 또는 연합체 또는 대행사를 지칭하는 경우, 임의의 그룹 또는 연합체 또는 대행사의 이름 또는 고유 식별자는 해당 그룹 또는 연합체에 소속한 모든 사업체 내지 해당 대행사와 협력하는 모든 사업체가 공유하는 이름 또는 고유 식별자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NAA는 네트워크 접속 어플리케이션(Network Access 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으로, UICC에 저장되어 망에 접속하기 위한 USIM 또는 ISIM과 같은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NAA는 망접속 모듈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텔레콤(Telecom) 번들은 적어도 하나의 NAA를 탑재하거나, 원격에서 적어도 하나의 NAA 다운로드 하고 설치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는 번들 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텔레콤 번들은 이를 지칭하는 텔레콤 번들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 내에 설정되어 단말 내에 활성화된 번들(enabled bundle)과 구동 번들(active bundle) 중 해당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을 가지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의 개수를 제한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번들 관리 서버에 의해서 번들 생성 시 설정될 수 있다. 번들 관리 서버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 번들 제공자(Bundle Provisioner, BP), 번들 공급자(Bundle Provider) 중 적어도 하나로 표현될 수 있다.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번들 내부의 특정 필드값에 포함되어 단말에 다운로드 되거나, 인증서나 번들의 metadata와 같이 번들과 함께 다운로드 되는 정보에 포함되어 단말에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은 번들 다운로드 후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을 번들 내부에 저장하거나 번들이 관리하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설정될 수 있다.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Bundle Family Identifier)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단말에 설치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 중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Bundle Family Identifier)을 가지고 활성화 상태(Enabled) 또는 구동 상태(active) 인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 중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단말의 SSP(Smart Secure Platform)에 설정되어 단말 내에 활성화된 번들(enabled bundle)과 구동 번들(active bundle) 중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을 가지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Secondary Platform Bundle)의 개수를 제한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단말 내 SSP의 SPBL(Seconadry Platform Bundle Loader)가 관리하는 메모리나 레지스트리에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SSP 설정값은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단말 내에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가지는 활성화된 번들(enabled bundle) 과 구동 번들(active bundle)의 수의 합을 제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은 단말 내 설정에 따라서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 또는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 또는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과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 중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한값 결정 정책은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을 결정하는 방법을 구체화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한값 결정 정책은 번들 제공자 또는 번들 공급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한값 결정 정책은 단말 제조사 또는 SSP 제조사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한값 결정 정책은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Final Concurrent Enabling Limit)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Minimum Bundle Concurrent Enabling Limit)과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Platform Concurrent Enabling Limit) 중 작은 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플랫폼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Platform Bundle Concurrent Enabling Setting)은 단말 내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과 제한값 결정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플랫폼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Platform Bundle Concurrent Enabling Setting)은 단말 내 SSP 내의 메모리 영억 또는 레지스트리에 설정될 수 있다. 플랫폼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Platform Bundle Concurrent Enabling Setting)은 SPBL가 관리하는 데이터와 메모리 영역, 또는 레지스트리에 설정될 수 있다. 플랫폼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Platform Bundle Concurrent Enabling Setting)은 LBA에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는 플랫폼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Platform Bundle Concurrent Enabling Setting)에 의해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과 제한값 결정 정책값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단말에 설치된 번들을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로 번들의 동시 활성화를 관리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설치된 보안 모듈에 설치된 보안 서비스(예: 이동통신 망 접속, 결제, 사용자 인증, 디지털 키 등)를 제공하는 번들의 동시 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110)이 SSP(130)로 번들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위한 단말(110) 내, 외부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단말(110) 은 SSP(130)가 장착되고 SSP(130)을 제어하기 위한 Local Bundle Assistant (LBA)(112)가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SSP(130)은 단말(110)에 내장되거나 착탈형 일 수도 있다. SSP(130)는 프라이머리 플랫폼(131),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로더(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SPBL)(133), 그리고 하나 이상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135, 137, 13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135, 137, 139)은 단말 출하 시점에는 SSP(130)내부에 설치되지 않고, 출하 후 원격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각 번들은 서로 다른 번들 패밀리 식별자(141, 142)를 가질 수 있다. SSP(130) 또는 SPBL(133)은 서로 다른 패밀리 식별자가 할당된 번들의 다운로드 및 설치 시에 사용할 인증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 할 수 있다. 이때, 각 패밀리 식별자로 구분되어 관리되는 인증서 정보는 서로 다른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에 의해 발급된 인증서 계층구조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번들 관리 서버(151, 또는 153)로부터 번들을 다운로드 및 설치하는 경우, SSP(130) 또는 SPBL(133)은 번들에 할당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설정되어 있는 인증서 정보를 선택하고 번들 관리 서버(151 또는 153)에 해당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다. 인증서 정보는 해당 인증서 계층구조의 인증서 발급자(Certificate Issuer, CI)의 인증서 또는 공개키(Public Key)일 수 있으며, 해당 인증서 및 공개키에 대응하는 식별자(예: CI ID, CI ID, CI Object ID, Object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Object UUID, CI Public Key ID)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Secondary Platform Bundle (SPB, 번들)의 번들 상태 (SPB state)와 번들 상태 변화(SPB state transition)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번들은 네 가지 상태, 즉, 구동 상태(active)(210), 활성화 상태(enabled)(230), 비활성화 상태(disabled)(250), 삭제 상태(deleted)(270) 중 하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290)는 구동 상태(active)(210)와 활성화 상태(enabled)(230)를 포함하게 된다. 즉,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번들은 활성화된 번들(enabled Bundle)과 구동된 번들(active Bundle)을 포함하게 된다.
도 2에서 구동하는 동작(2001)은 번들을 활성화 상태(enabled)(230)에서 구동 상태(active)(210)로 상태 변화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구동하는 동작(2001)은 번들 외부 입력(예: 사용자 입력, 푸쉬,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의 요청, 통신 사업자의 인증 요청, PP 관리 메시지 등) 또는 번들 내부의 동작(예: 타이머, Polling)에 따라 구동 상태(Active)로 변경될 수 있다. 구동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서 SSP 내부의 구동 메모리에 로딩되고 SSP 내부의 보안 제어 장치(Secure CPU)를 이용하여 보안 정보를 처리하고 단말에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구동을 중지하는 동작(2002)는 번들을 구동 상태(active)(210)에서 활성화 상태(enabled)(230)로 상태 변화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활성화하는 동작(2003)은 번들을 비활성화 상태(disabled)(250)에서 활성화 상태(enabled)(230)로 상태 변화시키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하는 동작(2003)은 해당 번들의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disabled)(250)에서 활성화 상태(enabled)(230)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예: 통신사업자를 통해 통신서비스, 신용카드 결제 서비스, 사용자 인증 서비스 등)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활성화 상태(enabled)(230)의 번들은 "활성화된 번들 (enabled Bundle)"로 표현될 수 있다. 활성화 상태의 번들은 SSP 내부 또는 외부의 저장공간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에서 비활성화 하는 동작(2004)은 번들의 상태를 활성화 상태(enabled)(230)에서 비활성화 상태(disabled)(250)로 변경하여 단말이 해당 번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삭제하는 동작(2005)은 해당 번들의 상태를 삭제 상태(deleted)(270)로 변경하여 단말 또는 외부 서버가 더 이상 해당 번들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없도록 설정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삭제 상태(deleted)(270)의 번들은 "삭제된 번들(deleted Bundle)"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기초하여,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SP(300)내에 설치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310, 320, 330)에는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1
)(311, 321, 331), 번들 상태(312, 322, 332), 번들 패밀리 식별자(번들 Family Identifier)(313, 323, 333)이 설정될 수 있다.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2
)(311, 321, 331), 번들 상태(312, 322, 332), 번들 패밀리 식별자(313, 323, 333)은 번들이 SSP(300)에 설치되기 전 번들을 제공하는 Service Provider로부터 설정될 수 있다.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3
)(311, 321, 331), 번들 상태(312, 322, 332), 번들 패밀리 식별자(313, 323, 333)은 번들이 SSP(300)에 설치 후 SSP(300) 내의 번들 관리용 레지스트리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번들 상태, 번들 패밀리 식별자 는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 (SPBL)가 관리하는 데이터에서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번들 상태, 번들 패밀리 식별자 는 번들의 메타데이터의 일부로 속하여 Local Bundle Assistant (LBA)를 통하여 사용자 또는 SSP 관리 서버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3001 단계에서 SSP에 설치된 번들 중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310, 32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4
)이 결정될 수 있다. 3001 단계는 SSP(300) 내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활성화 상태의 번들(310, 32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311, 321) 중 최소값인 2 로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5
)이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3002 단계는 SSP(300) 내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활성화 상태의 번들(33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333)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6
)이 1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상에 하나의 번들이 활성화 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410, 420, 430, 44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7
)이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의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410, 420, 430, 440)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번들은 상태가 구동 상태인 번들 객체1(410)이다. 4001 단계는 번들 객체 1(41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A 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8
)이 3으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420, 430, 440)에 의해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421, 431, 441)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09
)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450, 46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0
)이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450, 460)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번들이 없는 예를 나타낸다. 4002 단계는 SSP(400)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의 번들이 존재하지 않아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1
)이 무한대(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2
)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서로 다른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가지는 두 개의 번들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550, 56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3
)이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SSP(5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 (550, 560)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번들은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 번들 객체5(550)이다. 5002 단계는 번들 객체5(550)에 의해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551)에 의해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4
)이 1로 결정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 (510, 520, 530, 54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511, 521, 531, 541)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5
)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 (550, 56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551, 561)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6
)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의 번들에 두 개 이상의 번들이 동시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SSP(6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610, 620, 630, 640)에 의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7
)이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6의 SSP(6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610, 620, 630, 640)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번들은 상태가 구동 상태인 번들 객체1(610)과 활성화 상태인 번들 객체2(620)이다. 6001 단계는 번들 객체1(610)과 번들 객체2(620)에 의해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611, 621) 중 작은 값인 2에 의해 번들 패밀리 식별자 A 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8
)이 2으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A인 번들 중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630, 640)에 의해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631, 641)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19
)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SSP(400)에 설치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450, 460)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에 해당되는 번들이 없는 예를 나타낸다. 6002 단계는 SSP(600)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가 B인 번들 중 동시 활성화에 고려되는 상태의 번들이 존재하지 않아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0
)이 무한대(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1
)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과 제한값 결정 정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SSP(700) 내에 설치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710, 720, 730)의 동시 활성화를 제한하기 위해서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750)을 SSP(700) 내에 설정할 수 있다.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750)에서 관리되는 값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751), SSP 설정값(752), 제한값 결정 정책(753)을 포함할 수 있다. SSP 설정값(752)와 제한값 결정 정책(753)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751) 별로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SSP 설정값(752)는 대응하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SSP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다. 제한값 결정 정책(753)은 대응하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결정하는 정책을 구체화 할 수 있다. 제한값 결정 정책(753)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SSP 설정값(752)으로 설정하는 'SSP 설정 우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한값 결정 정책(753)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으로 설정하는 'SPB 설정 우선'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한값 결정 정책(753)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SSP 설정값(752)과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으로 설정하는 '최소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7은 구동 상태(712)의 번들 객체1(71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13)가 A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75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51)가 A에 해당하는 SSP 설정값(752)와 제한값 결정 정책(753) 값인 1과 'SSP 설정 우선'에 의해 번들 패밀리 식별자 A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SSP 설정값인 1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활성화 상태(722)의 번들 객체2(72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23)가 B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75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51)가 B에 해당하는 SSP 설정값(752)와 제한값 결정 정책(753) 값인 2과 'SPB 설정 우선'에 의해 번들 패밀리 식별자 B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721)인 2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활성화 상태(732)의 번들 객체2(73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33)가 B의 값을 가지고 있으며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750)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751)가 C에 해당하는 SSP 설정값(752)와 제한값 결정 정책(753) 값인 3과 '최소값'에 의해 번들 패밀리 식별자 C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번틀 패밀리 식별자 C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인 3과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731)인 1의 최소값인 1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SSP 내에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 (SPB Family Identifier) 별 SSP 설정값, 제한값 결정 정책, 제한값 결정 정책에 따라서 결정되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800)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810), SSP 설정값 (820), 제한값 결정 정책(830),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8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따르면 SSP 설정값(820), 제한값 결정 정책(830),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840)은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810) 별로 값을 가지고 관리될 수 있다.
SSP 설정값(821,822,824)은 자연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SSP 설정값(823)과 같이 값이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값이 설정되지 않은 SSP 설정값(823)은 무한대와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제한값 결정 정책(830)은 SSP 설정 우선(831), SPB 설정 우선(832), 최소값(833,834)을 포함할 수 있다. SSP 설정 우선(831) 정책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841)을 SSP 설정값(821)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SSP 설정 우선(831) 정책은 단말 제조사 또는 SSP 제조사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설정할 수 있다. 특히, Telecom 번들의 경우 SSP가 속하는 단말 SoC의 통신 모뎀의 modem capability에 따라 동시 활성화 가능한 Telecom 번들의 수를 SSP 설정값에 의해 제한할 수 있다. SPB 설정 우선(832) 정책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842)를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2
)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SPB 설정 우선(832) 정책은 번들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번들이 설치되는 단말을 신뢰하는 정도에 따라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이용하여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하고자 하는 요구를 반영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최소값(833,834) 정책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843,844)를 SSP 설정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3
)과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4
) 중 최소값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변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에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9는 SSP에 설치된 번들 중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923, 933, 943)를 가지는 번들(920, 930, 940)과 SSP에 설정된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에 의해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통신 모뎀(950)은 SSP가 속하는 SoC(System on Chip, 900)의 Modem일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뎀(950)은 SSP 내 Telecom 번들(920, 930, 94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다.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의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961)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962)은 통신 모뎀(950)의 안테나(952) 수, cellular baseband(951)의 수, 기타 통신 capability, 또는 그 외의 다른 고려요소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9001 단계에서 통신 모뎀(950)의 안테나(952) 수, cellular baseband(951)의 수, 기타 통신 capability, 또는 그 외의 다른 고려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Telecom 번들의 SSP 설정값이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의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962)으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따르면 9002 단계에서 Telecom 번들(920, 930, 940) 중 구동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의 번들(920, 930)의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921, 931)에 의해 Telecom 패밀리 식별자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3으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따르면 비활성화 상태의 Telecom 번들(94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941)은 9002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도 9의 9003 단계에 따르면 Telecom 번들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964)은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과 9001 단계에 의해 결정된 SSP 설정값(962)과 9002 단계에 의해 결정된 Telecom 번들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9003 단계에 따르면 Telecom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964)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의 Telecom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한값 결정 정책(963)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9의 9003 단계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960)의 Telecom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962), 제한값 결정 정책(963), 9002 단계에서 결정된 Telecom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5
)을 기반으로 Telecom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2로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변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상태(SPB state), 그리고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를 도시하며, SSP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에 설정된 파라미터에 의해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특히, 도 10은 SSP에 설치된 번들 중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1023, 1033, 1043)를 가지는 번들(1020, 1030, 1040)과 SSP에 설정된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1060)에 의해 Telecom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결정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1001 단계는 통신 모뎀(1050)의 안테나(1052) 수와 cellular baseband(1051)의 수에 의해서 Telecom 번들의 SSP 설정값이 1로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의 1001 단계에서 결정되는 Telecom 번들의 SSP 설정값은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1060)의 Telecom 패밀리 식별자(1061)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1062)와 같을 수 있다.
도 10에 따르면 1002 단계에서 Telecom 번들(1020, 1030, 1040) 중 구동 상태 또는 활성화 상태의 번들(102)의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1021)에 의해 Telecom 패밀리 식별자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3으로 결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비활성화 상태의 Telecom 번들(1030,1040)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1041,1042)은 1002 단계에서 고려하지 않는다.
도 10의 1003 단계에 따르면 Telecom 번들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1064)은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1060)과 1001 단계에 의해 결정된 SSP 설정값(1062)과 1002 단계에 의해 결정된 Telecom 번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1003 단계에 따르면 Telecom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1064)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1060)의 Telecom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제한값 결정 정책(1063)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의 1003 단계는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1060)의 Telecom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SSP 설정값(1062), 제한값 결정 정책(1063), 1002 단계에서 결정된 Telecom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6
)을 기반으로 Telecom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이 1로 설정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설치된 번들의 정보를 나타내고 번들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 있어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Local Bundle Assistant과 SSP 간의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1101 단계에서 사용자가 SSP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말 어플리케이션(SSP 관리 앱)을 통해서 SSP 내 설치된 번들의 활성화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1101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SSP의 접근을 제어하는 권한을 가지는 단말 제조사가 제공할 수 있다.
1101단계에서 사용자가 SSP 관리 앱을 실행하면 1102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단말의 Local Bundle Assistant(LBA)를 통해서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정보를 획득하여 가공 후 사용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1102단계에서 LBA가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SSP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번들의 metadata(SPB metadata) 일 수 있다. 1102단계에서 LBA가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또 다른 방법은 번들의 설치 시 LBA에서 번들의 metadata를 저장하여 관리한 값에서 불러올 수 있다.
1103단계에서 SSP관리 앱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활성화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읽어들여 그 중 최소값을 계산할 수 있다. 1103단계에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SPB Family Identifier) 별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는 부분은 SSP 관리 앱 뿐만 아니라 SSP 내에서, LBA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1104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LBA를 통해서 SSP 내에 설정된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로부터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SSP 설정값을 읽어들일 수 있다. 1104단계에서 SSP관리 앱은 SSP 설정값이 변동이 없을 시, LBA가 이전에 SSP 내 번들 동시 활성화 설정표로부터 읽어들인 후 따로 관리 중인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SSP 설정값으로부터 읽어들이는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다.
1105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할 수 있다. 1105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기 위해서 1103단계에서 획득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과 1004단계에서 획득한 번들 패밀리 식별잘 별 SSP 설정값을 활용할 수 있다. 1105단계는 SSP 관리 앱 뿐만 아니라 LBA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1106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사용자에게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보여줄 수 있다.
1107단계에서 사용자는 SSP 관리 앱을 통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7
)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108단계에서 SSP 관리 앱 또는 LBA 또는 SSP는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8
)의 즉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1108단게에서 즉시 활성화 여부는 SSP에서 활성화 상태인 번들 중 어느 것도 비활성화 하지 않고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29
)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1108 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0
)의 즉시 활성화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Algorithm1)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1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활성화 상태 또는 구동 상태인 번들이 없는 경우,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2
)은 즉시 활성화가 가능하다.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3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활성화 상태 또는 구동 상태인 번들이 있는 경우,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4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활성화 상태 또는 구동 상태인 번들의 수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5
라고 한다. 1103단계에서 획득한 최소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6
라 하고, 1104단계에서 획득한 SSP 설정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7
라 하고, 1105단계에서 획득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8
라고 한다. 그리고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39
)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0
라고 한다. 만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1
또는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2
인 경우, (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3
+1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4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5
) 을 만족하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6
)은 즉시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7
인 경우, (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8
+1
Figure 112018091391017-pat00049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0
) 이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1
)은 즉시 활성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2
)은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1109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3
)의 즉시 활성화가 가능하면 111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110단계는 SSP 관리 앱이 LBA를 통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4
)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11109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5
)의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할 경우 1111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1111단계는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6
)가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할 경우,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7
)의 활성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을 파악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111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8
)의 활성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을 파악하는 동작은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59
)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와 동일한 활성화 상태의 번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1111단계에서 SSP 관리 앱은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0
)의 활성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을 파악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1111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1
)의 활성화를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조건을 파악하는 알고리즘(Algorithm2)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2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활성화 상태 또는 구동 상태인 번들의 수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3
라고 한다. 1103단계에서 획득한 최소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4
라 하고, 1104단계에서 획득한 SSP 설정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5
라 하고, 1105단계에서 획득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6
라고 한다.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7
)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8
라고 한다. 그리고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69
)과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 중 활성화 상태 또는 구동 상태인 번들의 리스트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0
라고 한다. 그리고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1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2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3
로 정의하고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4
로 정렬되었다고 가정하고,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5
인 k 중 가장 작은 값을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6
으로 지정한다. 만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7
인 경우 번들 리스트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8
에 속하는 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번들을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79
)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0
또는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1
인 경우,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2
중 적어도 하나의 번들을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3
)을 활성화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4
또는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5
이면서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6
중 어느 것도 비활성화 할 수 없다면,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7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번들을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8
)을 활성화 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1112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89
)의 활성화를 위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0
)과 같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활성화된 번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의 가능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1112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1
)과 같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활성화된 번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이 불가능할 경우 1116단계에 의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2
)의 활성화 동작이 거부될 수 있다.
1112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3
)과 같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활성화된 번들 중 일부를 비활성화하는 동작이 가능할 경우 1113단계에 의해서 비활성화할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은 LBA에서 SSP로 전달되는 명령어 중 하나로써, 목표 번들을 활성화 시킴과 동시에 다른 번들을 비활성화 시키는 명령어를 의미할 수 있다. 1113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4
)의 활성화를 위해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이 불가능할 시 1116단계에 의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5
)의 활성화 동작이 거부될 수 있다.
1113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6
)의 활성화를 위해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이 가능할 시, 1114단계에 의해 사용자에게 implicitly disabling을 수행할 번들의 비활성화 동작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1114단계에서 사용자가 implicitly disabling을 수행할 번들의 비활성화 동작에 대해서 동의하지 않은 경우 1116단계에 의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7
)의 활성화 동작이 거부될 수 있다.
1114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8
)의 활성화를 위해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에 대해 사용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 1115단계에서 번들의 비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1115단계에서 번들의 비활성화 요청 명령은 LBA에서 생성되어 SSP로 전달될 수 있다. 1115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099
)의 활성화를 위해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implicitly disabling을 수행 후 1110 단계에 의해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0
)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을 활성화 시키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시 번들을 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일부 번들을 비활성화 후 해당 번들을 활성화시키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1205단계에서 사용자(1201)은 SSP 관리 앱(1202)을 통해서 현재 비활성화 상태인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1
)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1205단계에 의해 사용자(1201)에 의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2
)의 활성화를 요청받은 SSP 관리 앱(1202)은 1206단계에서 LBA(1203)에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3
)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LBA(1203)은 1211단계에 의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4
)의 활성화 명령어를 SSP(1204)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5
)의 즉시 활성화 가능한 상황(1210)에서 1211단계에 의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6
)의 활성화 명령어를 받은 SSP(1204)는 1212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7
)을 활성화할 수 있다.
SSP(1204)는 1212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8
)을 활성화 한 후 LBA에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09
)을 정상적으로 활성화 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0
)의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한 상황(1220)에서 1221단계에 의해 LBA(1203)은 SSP 관리 앱(1202)에게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1
)의 활성화를 위해서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리스트(ListSPB)를 전달할 수 있다.
1222단계에서 SSP 관리 앱(1202)은 1221단계에서 전달받은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의 리스트(ListSPB)를 사용자(1201)에게 알리고 비활성화를 동작 진행을 위한 동의 요청을 할 수 있다.
1222단계에서 SSP 관리 앱(1202)은 사용자(1201)의 동의를 받은 후 1223단계에 의해 LBA(1203)에게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2
)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다. LBA(1203)은 1224단계에 의해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3
)의 활성화와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를 SSP(1204)에 요청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4
)의 활성화가 가능한 상황(1230)에서, SSP(1204)는 1231단계에서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5
)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SSP(1204)는 1231단계에서 동작을 수행 후 1232단계에서 LBA(1203)에게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를 정상적으로 수행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SSP(1204)는 1231단계에서 동작을 수행 후 1233단계에서 LBA(1203)에게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6
)의 활성화를 정상적으로 수행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2에 따르면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의 비활성화 후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7
)의 활성화가 불가능한 상황(1230)에서 SSP(1204)는 1241단계에서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8
)의 활성화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LBA(1203)에 전달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19
)의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한 상황(1220)에서 사용자(1201)는 목표 번들(
Figure 112018091391017-pat00120
)의 활성화 요청 전, 비활성화 해야할 번들 리스트(ListSPB)에 속하는 번들의 비활성화를 요청하는 동작을 SSP 관리 앱(1202)을 통해 수행한 후 120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따르면 SSP 관리 앱(13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는 탭(1301)을 포함한다. SSP 관리 앱(1300)은 설치된 번들의 정보(1302)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설치된 번들의 정보(1302)는 번들의 이름, 번들의 상태, 번들의 즉시 활성화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SSP 관리 앱(1300)은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버튼(130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SSP 관리 앱(1300)은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 중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한 번들에 대해서 추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버튼(1304)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SSP 관리 앱(1300)은 현재 1301에 의해 설정된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해서 번들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1305)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번들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1305)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 현재 활성화된 번들의 수, 추가로 활성화될 수 있는 번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 따르면 번들의 활성화 버튼(1401)을 사용자가 클릭 시, SSP 관리 앱(1400)은 사용자의 확인과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창(1402)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확인과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창(1402)은 번들의 활성화에 대한 사용자의 확인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확인과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창(1402)은 번들의 추가 활성화 시, 번들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번들의 개수와 관련된 정보의 변화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의 변화, 현재 활성화된 번들의 수의 변화, 추가로 활성화될 수 있는 번들의 수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따르면 SSP 관리 앱(1500)은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는 창(15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SSP 내에 설치된 번들의 리스트와 활성화/비활성화를 관리할 수 있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 따르면 SSP 관리 앱(1600)은 사용자가 즉시 활성화가 불가능한 번들을 활성화 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버튼(1601)을 클릭 시, 추가 정보(1602)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 정보(1602)는 해당 번들의 활성화를 위해서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보(1602)는 해당 번들의 활성화를 위해 비활성화 해야하는 번들을 비활성화 한 후 해당 번들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버튼(160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정보(1602)는 버튼(1603)에 의해 번들의 비활성화 및 활성화 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한 번들 개수와 관련된 정보의 변화(160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은 SSP에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하여 설정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따라 특정 번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로 단말의 SSP에서 동시 활성화 될 수 있는 번들의 수를 제한 및 관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에 설정된 제한값 결정 정책에 따라서 번들에 설정된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과 단말에 설정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하나를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으로 설정하여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이 동시 활성화 될 수 있는 개수를 제한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활성화가 불가능한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위해서 활성화 상태인 다른 번들을 비활성화 후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송수신부(Transceiver)(17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SSP(17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SP(1730)는 단말에 삽입될 수 있고, 단말에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는 제어부로 명명할 수도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은 도 17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7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7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20) 및 메모리(미도시)는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SSP(1730)가 내장되는 경우, SSP(1730)를 포함하여, 하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송수신부(1710)는 번들 관리서버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정보, 데이터 등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7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송수신부(1710)의 일 실시예일뿐이며, 송수신부(1710)의 구성요소가 RF 송신기 및 RF 수신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송수신부(17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20)로 출력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2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와 SSP(1730)는 단말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와 SSP(17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와 SSP(1730)는 각각 개별적으로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와 SSP(1730)가 협력하여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 및/또는 SSP(1730)는 단말에 설치된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인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고, 단말의 제한값 결정 정책에 기초하여 동일한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갖는 활성화된 번들들 별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며,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과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의 비교를 통해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 값을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 및/또는 SSP(1730)는 단말에 설치된 번들의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며,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번들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고,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활성화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을 확인하며, 단말에 설치된 특정 번들 패밀리 식별자를 가지는 활성화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제한값 중 최소값을 해당 번들 패밀리 식별자의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으로 설정하고, 단말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 및/또는 SSP(1730)는 단말에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고, 단말에 제한값 결정 정책을 설정하며, 단말에 제한값 결정 정책을 확인하고, 단말에 설정된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며, 제한값 결정 정책에 의해 특정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고, 특정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 및/또는 SSP(1730)는 임의의 번들에 대해 해당 번들의 패밀리 식별자의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참고하여 해당 번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고, 특정 번들의 활성화 요청 시 해당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응하는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활성화 가능 여부를 결정하며,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위해서 다른 번들을 비활성화하는 명령어를 SSP로 전달하고, 다른 번들의 비활성화와 특정 번들의 활성화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명령어를 SSP로 전달하며, 사용자에게 SSP에 설치된 번들의 활성화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화면에 표시하며,사용자에게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기반하여 번들의 활성화와 비활성화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20) 및/또는 SSP(1730)는 단말에 설치된 번들의 번들 패밀리 식별자 별 최소 번들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확인하고, 플랫폼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SSP에 설정하고, 제한값 결정 정책을 SSP에 설정하고,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계산하고, 최종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기반으로 비활성화 상태의 번들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20)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17)

  1. SSP(smart secure platform) 내에 설치되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한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은 활성화 상태 (enable state) 또는 구동 상태 (active state)에 있는 텔레콤 번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지시함;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한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 및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기초하여,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 패밀리 식별자는, 텔레콤 번들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 값은, 단말의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상기 단말의 통신 모뎀의 안테나 성능, 또는 셀룰러 베이스밴드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는 상기 SSP의 SPBL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에 의해 관리되는 레지스트리에 설정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활성화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활성화시킬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식별하는 단계;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한 후,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SSP 내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SSP 내의 상기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추가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또는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SSP(smart secure platform) 내에 설치되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관리하는 단말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번들 패밀리 식별자에 대한 동시 활성화 제한값을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은 활성화 상태 (enable state) 또는 구동 상태 (active state)에 있는 텔레콤 번들의 수를 제한하기 위한 정보를 지시함,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한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 및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기초하여,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번들 패밀리 식별자는, 텔레콤 번들 식별자를 포함하는, 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 값은, 단말의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는, 상기 단말의 통신 모뎀의 안테나 성능, 또는 셀룰러 베이스밴드의 성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텔레콤 번들과 관련된 SSP 설정 정보는 상기 SSP의 SPBL (Secondary Platform Bundle Loader)에 의해 관리되는 레지스트리에 설정되는, 단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하고,
    상기 동시 활성화된 번들의 수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활성화가 상기 동시 활성화 제한값에 의해 제한된다는 것을 식별하는, 단말.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활성화시킬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식별하고,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한 후, 상기 타겟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을 활성화하는, 단말.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중 적어도 하나를 비활성화하는, 단말.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SSP 내의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SSP 내의 상기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활성화된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추가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또는 동시에 활성화시킬 수 있는 세컨더리 플랫폼 번들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말.
  17.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80109863A 2018-09-13 2018-09-13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46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63A KR102546277B1 (ko) 2018-09-13 2018-09-13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US17/274,584 US20220053029A1 (en) 2018-09-13 2019-09-04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current activation of bundle installed in smart security platform
PCT/KR2019/011419 WO2020055034A1 (ko) 2018-09-13 2019-09-04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CN201980059721.0A CN112740637A (zh) 2018-09-13 2019-09-04 用于对安装在智能安全平台中的捆绑包的同时启用进行管理的装置和方法
RU2021109962A RU2771140C1 (ru) 2018-09-13 2019-09-04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одновременной активацией пакета, установленного в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й платформе безопасности
EP19859325.3A EP3843362A4 (en) 2018-09-13 2019-09-04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IMULTANEOUS ACTIVATION OF A BEAM INSTALLED IN AN INTELLIGENT SECURITY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63A KR102546277B1 (ko) 2018-09-13 2018-09-13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80A KR20200030980A (ko) 2020-03-23
KR102546277B1 true KR102546277B1 (ko) 2023-06-21

Family

ID=69776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863A KR102546277B1 (ko) 2018-09-13 2018-09-13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53029A1 (ko)
EP (1) EP3843362A4 (ko)
KR (1) KR102546277B1 (ko)
CN (1) CN112740637A (ko)
RU (1) RU2771140C1 (ko)
WO (1) WO2020055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49319B2 (en) * 2019-02-14 2022-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oading bundle to smart secure platform by using activation code
US11671265B2 (en) * 2019-10-25 2023-06-06 John A. Nix Secure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platform bundle within a primary platform
CN113873516B (zh) * 2021-08-25 2023-10-2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泰州供电分公司 一种高安全性的电网无线通信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001A1 (en) 2012-05-16 2013-11-21 AT&T International Property l,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devices to utilize services of mobile network operators
US20160088464A1 (en) 2014-09-24 2016-03-2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aging Selection and Triggering of Applications on a Card Compu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0708B2 (en) * 2010-06-29 2013-10-15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bundles of sessions in a network element
EP2490393B1 (de) * 2011-02-17 2013-07-17 Desom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alyse von Datenpaketen
WO2013048084A2 (ko) * 2011-09-28 2013-04-04 주식회사 케이티 프로파일 관리 방법, 내장 uicc 및 내장 uicc 탑재 기기
US9049723B2 (en) * 2013-05-18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s for increasing network efficiency using VAMOS channels on a multi-SIM device
US9264890B2 (en) * 2013-09-05 2016-02-16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WO2015183759A1 (en) * 2014-05-30 2015-12-03 Apple Inc. SUPPORTING SIM TOOLKIT APPLICATIONS IN EMBEDDED UICCs
FR3025965B1 (fr) * 2014-09-15 2016-09-30 Oberthur Technologies Procede d'administration de cycles de vie de profils de communication
KR102329824B1 (ko) * 2014-09-16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과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0001A1 (en) 2012-05-16 2013-11-21 AT&T International Property l, LP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sioning devices to utilize services of mobile network operators
US20160088464A1 (en) 2014-09-24 2016-03-24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anaging Selection and Triggering of Applications on a Card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5034A1 (ko) 2020-03-19
CN112740637A (zh) 2021-04-30
RU2771140C1 (ru) 2022-04-27
EP3843362A4 (en) 2021-09-22
US20220053029A1 (en) 2022-02-17
EP3843362A1 (en) 2021-06-30
KR20200030980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695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fficiently providing profile for communication service
KR10255947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사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536948B1 (ko) Ssp의 번들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00351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undle information
KR102546277B1 (ko) 스마트 보안 매체에 설치된 번들의 동시 활성화 관리 방법 및 장치
US20240171981A1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ging euicc terminal
US202400155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management and verification of remote management authority
US2023037968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vents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416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communication bundle of smart secure platform
US202203856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tting state of bundle after transfer of bundle between apparatuses
US1195032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linkage of or profile transfer between devices
KR102607207B1 (ko) 활성화 코드를 이용한 ssp의 번들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20220377081A1 (en) Mutual device-to-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during device-to-device bundle or profile transfer
US20220095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rofiles with different versions during device change
US202202789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bundle between devices
KR20210116169A (ko) 기기 간 번들 또는 프로파일 온라인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210110145A (ko) 원격 관리 및 원격 관리 권한 검증 방법 및 장치
KR20210034460A (ko) 기기 간 번들 또는 프로파일 이동 시 기기 간 상호 인증 방법 및 장치
KR20210020744A (ko) 기기 간 번들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210123191A (ko) 스마트 보안 매체를 위한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020725A (ko) 기기 간 번들 이동 방법 및 장치
KR20210034522A (ko) 기기 간 번들 이동 후 번들의 상태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