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248B1 -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 Google Patents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248B1
KR102546248B1 KR1020210007423A KR20210007423A KR102546248B1 KR 102546248 B1 KR102546248 B1 KR 102546248B1 KR 1020210007423 A KR1020210007423 A KR 1020210007423A KR 20210007423 A KR20210007423 A KR 20210007423A KR 102546248 B1 KR102546248 B1 KR 102546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alon filter
optical
light
receiving
photo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4966A (en
Inventor
최진수
윤의식
Original Assignee
(주) 라이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이트론 filed Critical (주) 라이트론
Priority to KR1020210007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248B1/en
Publication of KR20220104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9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2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6Bidirectionally operating package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06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5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being wavelength selective optical elements, e.g. variable wavelength optical modules or wavelength lock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66Thermal aspects, temperature control or temperature monito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10Construction or shape of the optical resonator, e.g. extended or external cavity, coupled cavities, bent-guide, varying width, thickness or composition of the active region
    • H01S5/14External cavity lasers
    • H01S5/141External cavity lasers using a wavelength selective device, e.g. a grating or etal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72Wavelength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 Laser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는 송신광과 수신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광 경로 분리기로 인해, 투과광을 위한 광섬유와 수신광을 위한 광섬유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광섬유만으로도 양방향 광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망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제2 에탈론 필터, 제2 온도 감지 소자 및 제2 온도 조절 소자는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나 수신용 TO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단 측에 활용할 수 있는 소자의 폭이 넓어져, 수신단측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나 수신용 TO의 재고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optical path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optical paths of the transmission light and the reception light, so tha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 optical fiber for transmitting light and an optical fiber for receiving light. Since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just this,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etalon filte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re housed inside the housing, the number of receiving wavelength bands is fixed. Credit photodiodes and receiving TOs can also be us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element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receiving end side is widened, and the stock burden of the receiving photodiode or the receiving TO at the receiving end side is reduced.

Figure R1020210007423
Figure R1020210007423

Description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본 발명은 가입자 측이나 중앙국 측에 마련되어, 가입자와 중앙국이 서로 광을 송수신함으로써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provided at a subscriber side or a central office side and enabl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light between a subscriber and a central office.

스마트폰, 고성능 텔레비전(HDTV, 3D TV, 스마트 TV), 전자상거래 및 주문형 비디오(VOD: Video On Demand)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현존하는 광 통신망의 용량 확장이 요구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파장 분할 멀티플렉싱(WDM: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이 궁극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In order to meet the demand for various multimedia services such as smartphones, high-performance televisions (HDTV, 3D TV, smart TV), e-commerce and Video On Demand (VOD), capacity expansion of existing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is required. For these reasons,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WDM) technology is being recognized as the ultimate alternative.

WDM 기술은 한 가닥의 광섬유를 통해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광을 묶어서 전송하는 기술이다. WDM 기술은 각 가입자에게 고유의 독립적인 파장 할당을 통해 점대점(point-to-point)의 전용 채널을 제공하며, 가입자는 할당된 고유의 광 신호 파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나온 기술 중 가장 높은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WDM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bundles and transmits light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through a single optical fiber. WDM technology provides each subscriber with a dedicated, point-to-point channel with unique and independent wavelength assignments, and because each subscriber uses its own assigned optical signal wavelength, it is the highest technology to date. speed can be provided.

예를 들어, WDM-PON(PON: 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은 시간분할방식인 TDM(Time-Division Multiplexing)-PON에 비해 많은 파장을 사용하므로 양방향 대칭형 서비스를 보장하고, 대역폭을 독립적으로 할당하며, 해당 가입자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 신호를 수신하므로 보장성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For example, WDM-PON (PON: Passive Optical Network) technology uses more wavelengths than Time-Division Multiplexing (TDM)-PON, which is a time-division method, so it guarantees bidirectional symmetric service, allocates bandwidth independently, Since the corresponding subscriber receives optical signals of different wavelengths, it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security.

이러한 WDM-PON 기술이 실효성 있게 구현되기 위해서는, 가입자 측이나 중앙국 측에 마련되는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광을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 운용 효율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광 서브어셈블리의 송신단에 포함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하는 송신광의 파장을 잠금 및 가변 가능해야 하고, 광 서브어셈블리의 수신단에 포함된 포토 다이오드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만을 수신광으로서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게다가, 수신광의 파장에 따라 수신용 TO(Transistor Outline package)를 별도 제작할 것이 아니라, 상기 수신용 TO를 수신광의 파장과 관계없이 광 서브어셈블리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광 서브어셈블리의 제작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 역시 필요하다.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such a WDM-PON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improve network operation efficiency by enabling bi-directio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light in an optical subassembly provided on the subscriber side or the central office side. In addition,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terminal of the optical subassembly must be lockable and variable, and the photodiode included in the reception terminal of the optical subassembly must be able to receive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s reception light. .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of the optical subassembly can be applied to the optical subassembly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of the receiving light, rather than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receiving TO (transistor outline package)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the receiving light. also needs to be improved.

한편, 특허문헌 1에는, 광섬유로부터 발산되는 레이저 광이 투과하는 파장 가변 필터와, 상기 파장 가변 필터를 투과하는 레이저 광을 수신하는 포토 다이오드가 구비된 파장 가변 광 수신기가 개시되어 있다.Meanwhi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unable optical receiver including a wavelength tunable filter through which laser light emitted from an optical fiber passes, and a photodiode for receiving the laser light passing through the wavelength tunable filter.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50733호(2019.02.15.)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950733 (2019.02.15.)

본 발명은 통신망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은 송신단에 포함된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하는 송신광의 파장을 잠금 및 가변 가능하고, 수신단에 포함된 포토 다이오드에서는 특정 파장의 광만을 수신광으로서 수신할 수 있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apable of locking and varying the wavelength of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a laser diode included in a transmitter and receiving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as reception light in a photodiode included in a receiver.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ssembly.

게다가, 본 발명은 수신광의 파장에 따라 별도 제작된 수신용 TO를 활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that eliminates the need to utilize a separately manufactured reception TO according to the wavelength of received light.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송신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상기 송신광을 검출하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상기 송신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기하는 광 분기기; 상기 반사광을 제1 파장 대역에서 투과시키는 제1 에탈론 필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반사광을 검출하는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소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 소자; 상기 투과광의 광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투과광과 수신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광 경로 분리기;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입사되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에서 출사된 이후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수신광을 제2 파장 대역에서 투과시키는 제2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소자;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 조절 소자; 및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을 검출하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ser diode outputting transmission light; a first monitoring photodiode that detects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to the rear of the laser diode; an optical diverter splitting the transmitted light output to the front of the laser diode into reflect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a first etalon filter that transmits the reflected light in a first wavelength band;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o detec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for sensing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a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an optical path separator disposed in the optical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to separate the optical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and the received light; an optical fiber into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is incident; a second etalon filter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light in a second wavelength b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and a receiving photodiode for detecting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반사광이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도록 반사광 통과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반사광이 상기 반사광 통과홀을 거쳐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rst etalon filter supporting the first etalon filter and provided with a reflective light passage hole so tha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can be incident to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wherein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so that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passes through the reflected light passage hole. It may be incident on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수신광이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도록 수신광 통과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반사광이 상기 수신광 통과홀을 거쳐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second etalon filter and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light passage hole so that the receiv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can be incident to the receiving photodiod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wherein the reception photodiode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so that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passes through the reception light passage hole. It can be incident on the photodiode for reception.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1 포트로는 상기 투과광이 입력되고,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2 포트로는 상기 투과광이 출력되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에서 출사되는 상기 수신광이 입력되며,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3 포트로는 상기 수신광이 출력되어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로 입사될 수 있다.The transmitted light is input to a first port of the optical path splitter, the transmitted light is output to the second port of the optical path splitter and enters the optical fiber, and the receiv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is input. The received light may be output to a third port of the optical path separator and may be incident to the second etalon filter.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광 분기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1 온도 감지 소자,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 상기 광 경로 분리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온도 감지 소자 및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광섬유는, 상기 함체의 외부이자,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함체의 외부이자,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aser diode,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the optical diverter, the first etalon filter,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first temperature sensor. The control element, the optical path separator, the second etalon filte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may further include an enclosure accommodating therein, wherein the optical fiber is outside the enclosure and , It may be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proceeds,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is outside the enclosure and disposed along a path along which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proceeds. It can be.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 및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는 상기 함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closur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제2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indow provided on a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and sealing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a second window disposed on a path through which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proceeds, and sealing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광섬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일측에 결합된 제1 평행광 렌즈; 및 상기 제2 윈도우와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타측에 결합된 제2 평행광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llimated light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ow and the optical fiber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a second parallel light len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ndow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TO(Transistor Outline package); 및 상기 TO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함체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istor outline package (TO) accommodating the receiving photodiod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mounted outside the TO,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fixed to the enclosure by laser welding.

본 발명에 따른 통신용 광 모듈은, 상기 제1 온도 감지 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 감지 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module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based on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sensed by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본 발명에 의하면, 투과광(즉, 송신광)과 수신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광 경로 분리기로 인해, 투과광(즉, 송신광)을 위한 광섬유와 수신광을 위한 광섬유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 없이, 하나의 광섬유만으로도 양방향 광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망 운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optical path separator that separates the optical paths of transmitted light (i.e., transmitted light) and received ligh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provide an optical fiber for transmitted light (i.e., transmitted light) and an optical fiber for received light, Since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is possible with only one optical fib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network oper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와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에서 검출되는 광 및 제1 에탈론 필터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출력하는 송신광의 파장을 잠금 및 가변할 수 있고, 제2 에탈론 필터를 통해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에서 특정 파장의 광만을 수신광으로서 수신할 수 있게 되어, 양방향 광 통신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lengths of ligh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and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can be locked and varied, and the second etalon Through the filter, only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can be received as receiving light from the receiving photodiode, so that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an be improved.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에탈론 필터, 제2 온도 감지 소자 및 제2 온도 조절 소자가 함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나 수신용 TO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신단 측에 활용할 수 있는 소자의 폭이 넓어져, 수신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는 수신단측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나 수신용 TO의 재고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etalon filte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re accommodated inside the enclosure, a receiving photodiode or a receiving TO having a fixed receiving wavelength band can also be used. Anything can be us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of device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is widened, and the burden of inventory of receiving photodiodes or TOs for reception having a fixed receiving wavelength band is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송신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수신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광 분기기에서 반사 및 투과되는 송신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에탈론 필터의 투과 스펙트럼(transmission spectrum)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어기가 송신광의 파장을 안정화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어기가 송신광의 파장을 잠금 및 가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제어기가 제2 에탈론 필터에서 투과되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6 are three-dimensional views of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of transmission light 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of FIG. 1 .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th of received light 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of FIG. 1 .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ransmitted light reflected and transmitted by an optical diverter.
10 is a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spectrum of an etalon filter by way of example.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stabilizes the wavelength of transmission light.
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locks and varies the wavelength of transmission light.
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changes th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Hereinafter,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의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의 입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송신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에서 수신광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6 are three-dimensional views of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path of transmission light 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of FIG. 1 ,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path of reception light 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of FIG. 1 .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1000)는 가입자 측 및 중앙국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입자와 중앙국은 상호 간에 양방향 광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1 to 8,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1000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on the subscriber side and the central office side, and thus the subscriber and the central office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Two-way optical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etween th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1000)는 함체(100), 광섬유(200) 및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를 포함할 수 있다.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1000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an optical fiber 200, and a photodiode 300 for reception.

함체(100)는 레이저 다이오드(11),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 광 분기기(13), 제1 에탈론 필터(14),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 제1 온도 감지 소자(16), 제1 온도 조절 소자(17), 광 경로 분리기(18), 제2 에탈론 필터(19), 제2 온도 감지 소자(20) 및 제2 온도 조절 소자(21) 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The enclosure 100 includes a laser diode 11, a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an optical diverter 13, a first etalon filter 14,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and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a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an optical path separator 18, a second etalon filter 19,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and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etc. Acceptable.

레이저 다이오드(11)는 송신광을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송신광은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전방 및 후방으로 각각 출력될 수 있다.The laser diode 11 serves to output transmission light, and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light may be output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laser diode 11, respectively.

레이저 다이오드(11)의 후방(도 1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로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는 송신광은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는 송신광을 광전류(photocurrent) 형태로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송신광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제어기(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600)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에서 검출된 송신광에 대한 정보를 통해 송신광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 Transmission light output to the rear of the laser diode 11 (a direction from the laser diode 11 to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in FIG. 1 ) may be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may detect the transmitted light in the form of a photocurrent, and information on the detected transmitted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0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0 may obtain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through information on the transmitted ligh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전방(도 1에서 레이저 다이오드(11)로부터 광 분기기(13)로 향하는 방향)으로 출력되는 송신광은 송신광용 평행광 렌즈(22)에 의해 평행광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송신광용 평행광 렌즈(22)에 의해 평행광 형태로 변환된 송신광은 아이솔레이터(23)를 거쳐 광 분기기(13)에 입사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솔레이터(23)는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광 분기기(13)를 향해서만 광이 진행되도록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는 광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ransmitted light output to the front of the laser diode 11 (in the direction from the laser diode 11 to the optical diverter 13 in FIG. 1) can be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by the collimated light lens 22 for the transmitted light. there is. Transmitted light converted into parallel light by the collimated light lens 22 for the transmitted light may pass through the isolator 23 and be incident to the optical splitter 13 . Here, the isolator 23 serves to allow light to travel from the laser diode 11 only toward the optical diverter 13 and to prevent light from travel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광 분기기(13)는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송신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기한다. 여기서, 광 분기기(13)는 입사되는 광을 일부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킬 수 있는 빔 스플리터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The light splitter 13 splits the transmitted light output forward of the laser diode 11 into reflect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Here, the optical diverter 13 may correspond to a beam splitter capable of partially transmitting and partially reflecting incident light.

도 9는 광 분기기(13)에서 반사 및 투과되는 송신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분기기(13)는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송신광 중 90~99%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1~10%는 파장 안정화기(wavelength locker)를 향해 반사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장 안정화기는 광 분기기(13), 제1 에탈론 필터(14) 및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온도 감지 소자(16) 및 제1 온도 조절 소자(17)는 송신광의 파장 안정화에 필수적이므로, 제1 온도 감지 소자(16) 및 제1 온도 조절 소자(17) 역시 상기 파장 안정화기의 구성 요소에 해당될 수 있다.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ransmitted light reflected and transmitted by the optical diverter 13. Referring to FIG. As shown in FIG. 9, the optical splitter 13 transmits 90 to 99% of the transmitted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11 and reflects the remaining 1 to 10% toward the wavelength locker. can be designed to Here, the wavelength stabilizer may include an optical diverter 13, a first etalon filter 14, and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and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and a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 17) is essential for wavelength stabilization of transmitted light, so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and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may also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of the wavelength stabilizer.

제1 에탈론 필터(14)는 광 분기기(13)에서 분기된 반사광을 제1 파장 대역에서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에탈론 필터(14)는 양단에 위치한 반사면 사이에 유리와 같은 투과 재질이 채워져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파장 대역은 제1 에탈론 필터(14)를 투과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을 의미한다.The first etalon filter 14 serves to selectively transmit the reflected light split by the light diverter 13 in a first wavelength b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formed by filling a transmissive material such as glass between reflective surfaces positioned at both ends. Here, the first wavelength band means a wavelength band that can pass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14 .

도 10은 제1 에탈론 필터(14)의 투과 스펙트럼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낸 제1 에탈론 필터(14)의 FSR(Free Spectral Range) 및 투과 대역폭은 제1 에탈론 필터(14)의 재질, 두께, 다층 박막 코팅, 반사광의 입사 각도 등에 의해 좌우된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에탈론 필터(14)의 투과 스펙트럼은 투과율(transmittance)이 일정한 주기로 커지는 순환적인(cyclic) 특성을 보이며, 여기서 상기 투과 스펙트럼의 주기를 FSR이라 하고, 투과 대역폭은 피크 투과율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에탈론 필터(14)의 제1 파장 대역은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 변경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10 is a diagram showing a transmission spectrum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as an example. The free spectral range (FSR) and transmission bandwidth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shown in FIG. 10 are influenced by the material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its thickness, multilayer thin film coating, and the incident angle of reflected light. As shown in FIG. 10, the transmission spectrum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exhibits a cyclic characteristic in which transmittance increases at regular intervals, where the period of the transmission spectrum is referred to as FSR, and the transmission bandwidth is It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eak transmittance. Meanwhile, the first wavelength band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adjusted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

제1 에탈론 필터(14)를 투과하는 반사광은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 역시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와 마찬가지로 광전류 형태로 반사광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반사광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6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600)는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서 검출된 반사광에 대한 정보를 통해 반사광의 세기를 획득할 수 있다.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detected by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 Like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may also detect reflected light in the form of a photocurrent, and information on the detected reflected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600 may obtain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through information on the reflected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

제1 에탈론 필터(14)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에탈론 필터(14)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의 전방(반사광이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에 입사되는 쪽)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fixed to the front side of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the side on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ncident on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에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의 전방과 후방(반사광이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에서 출사되는 쪽)을 관통하는 반사광 통과홀(25)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의 후방에는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에탈론 필터(14)를 투과하는 반사광은 반사광 통과홀(25)을 거쳐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입사될 수 있다. 제1 에탈론 필터(14),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 및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가 이와 같은 배치 관계를 가질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광 서브어셈블리(1000)를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In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a reflected light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emitted from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passes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25) is provided, and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may be disposed behind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In this case,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incident to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through the reflected light passage hole 25 . When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have such an arrangement relationship, the optical subassembly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compact. be able to produce.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써미스터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등에는 1개의 제1 온도 감지 소자(16)만 도시되어 있으나,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와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별도로 감지하기 위해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2개일 수도 있다. 즉,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또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serves to sense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 To this end,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may be formed of a thermistor or may include the thermistor. Although only on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i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is used to separately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two. That is,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may be attached to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or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respectively.

제1 온도 조절 소자(17)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온도 조절 소자(17)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 TEC(Thermo-Electric Cooler)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기(600)는 제1 온도 조절 소자(17)의 양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흘려줄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 도 1 등에는 1개의 제1 온도 조절 소자(17)만 도시되어 있으나,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와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별도로 조절하기 위해 제1 온도 조절 소자(17)는 2개일 수도 있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serves to control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may be formed of or include a Thermo-Electric Cooler (TEC) to change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 The controller 600 may apply a voltage to both electrodes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to allow current to f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can be raised or lowered. Although only on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i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in order to separately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may be two.

제1 온도 조절 소자(17)는 발열 작용 또는 흡열 작용을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1 온도 조절 소자(17)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광 서브어셈블리(10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않으면,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가 제대로 조절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온도 조절 소자(17)를 함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제1 온도 조절 소자(17)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광 서브어셈블리(10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온도 조절 소자(17)가 함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경우에는, 제1 온도 조절 소자(17)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함체(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송신광의 파장을 특정 파장으로 정확하게 가변 및 잠금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controls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rough an exothermic action or an endothermic action. At this time, if the heat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is not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optical subassembly 1000,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is properly controlled. can't be Accordingly, by directly contacting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with the enclosure 100, the heat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subassembly 1000. It is desirable to do That is, whe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closure 100, heat generated by temperature control of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closure 100. Because of this,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first etalon filter 14 is precisely controlled, and as a result,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11 can be accurately varied and locked to a specific wavelength. .

한편, 제1 온도 조절 소자(17)의 상부에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부에는 상술한 레이저 다이오드(11),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 송신광용 평행광 렌즈(22), 아이솔레이터(23), 광 분기기(13), 제1 에탈론 필터(14),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4),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 및 제1 온도 감지 소자(16)가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a first base plate 26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laser diode 11,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the collimated light lens 22 for transmitting light, the isolator 23, the optical splitter 13, A first etalon filter 14 , a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4 ,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 and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may be disposed.

특히,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부에서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온도 조절 소자(17)가 발열 작용 또는 흡열 작용에 의한 온도 조절을 할 경우,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온도가 곧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와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온도 감지 소자(16)가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면, 제1 온도 감지 소자(16)는 제1 베이스 플레이트(26)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동시에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may directly contact the first base plate 26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ase plate 26 . When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controls temperature by exothermic action or heat absorbing actio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base plate 26 is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temperature can be Accordingly, when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base plate 26,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is a laser diode disposed on the first base plate 26 (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can be sensed simultaneously.

도 11은 제어기(600)가 송신광의 파장을 안정화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600 stabilizes the wavelength of transmission light.

도 11을 참고하면, 제어기(600)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 및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에서 검출된 송신광에 대한 정보와,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서 검출된 반사광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and thereby transmits ligh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reflected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may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1)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송신광은 제1 모니터링 포트 다이오드(12)에 의해 송신광의 세기가 검출된다. 또한,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송신광은 광 분기기(13)에서 소량 분기되고, 소량 분기된 반사광은 파장 의존성을 가지는 제1 에탈론 필터(14)를 투과한 뒤,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그 세기가 검출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output to the rear of the laser diode 11 is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ort diode 12 .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to the front of the laser diode 11 is branched in a small amount by the light splitter 13, and the reflected light split in a small amount passes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14 having a wavelength dependency,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4. The intensity is detected by the monitoring photodiode 15.

제어기(600)는 제1 온도 감지 소자(16)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온도 감지 소자(16)에 의해 감지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600)는 제1 온도 조절 소자(17)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온도 조절 소자(17)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an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can be obtained. In addition, 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and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can control.

도 12는 제어기(600)가 송신광의 파장을 잠금 및 가변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600 locks and varies the wavelength of transmission light.

도 12의 상단 그래프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 및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검출되는 광전류(광의 세기를 나타냄)를 파장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상단 그래프에 의하면,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에 의해 검출되는 송신광의 세기는 파장과 무관하게 일정한 값을 가지는 데 반하여,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의 세기는 제1 파장 대역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제1 에탈론 필터(14)에 의하여 파장 의존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The upper graph of FIG. 12 shows the photocurrent (indicating light intensity)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with respect to wavelength. According to the upper graph of FIG. 12 ,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ligh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has a constant value regardless of the wavelength, whereas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detected by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It can be seen that has a wavelength dependency due to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at transmits only the light having the first wavelength band.

도 12의 하단 그래프는 제어기(600)가 그 내부에 구비된 비교기(미도시)를 통해,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에 의해 검출되는 송신광의 세기와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검출되는 반사광의 세기를 비교한 값(즉, 비교값)을 나타낸 것이다. The lower graph of FIG. 12 shows the intensity of transmitted ligh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through a comparator (not shown) provided therein by the controller 600. It represents a value obtained by comparing the intensity of the detected reflected light (ie, a comparison value).

제어기(600)는 상기 비교값이 도 12의 하단 그래프에 나타나 있는 잠금 파장(Locking Wavelength)이 되도록, 제1 온도 감지 소자(16)에 의해 감지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1) 및 제1 에탈론 필터(14)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1 온도 조절 소자(17)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600)가 제1 온도 조절 소자(17)를 제어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송신광의 파장이 변하게 되고, 이와 함께 제1 에탈론 필터(14)의 제1 파장 대역 역시 변하게 된다.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laser diode 11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6 and the first etalon filter (so that the comparison value becomes the locking wavelength shown in the lower graph of FIG. 12). Based on the temperature of 14),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can be controlled. When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11 is changed, and the first wavelength band of the first etalon filter 14 is also changed. do.

상기 잠금 파장은 정확하게 ITU-grid에 해당하는 파장이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가 검출하는 광전류의 기울기 중 선형 부분이 상기 잠금 파장에 오도록 제어기(600)가 제1 온도 조절 소자(17)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기(600)는 그 내부에 구비된 증폭기(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가 검출하는 광전류의 세기를 미세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비교값이 ITU-grid에 해당하는 파장에 정확히 일치되도록 한다.The locking wavelength must be a wavelength exactly corresponding to the ITU-grid. To this end,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7 so that the linear part of the slope of the photocurrent detected by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comes to the locking wavelength, and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The intensity of the photocurren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is minutely changed using an internal amplifier (not shown) so that the comparison value exactly matches the wavelength corresponding to the ITU-grid.

이와 같이 제어기(600)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2) 및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15)에 의해 검출된 광전류에 의해 그 파장의 변화를 읽고, 그 변화에 기초하여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온도나 전류 등을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송신광의 파장을 제어하게 된다. 레이저 다이오드(11)에서 출력되는 송신광의 파장을 제어하기 위한 변수로서 온도를 사용할 것인지 또는 전류를 사용할 것인지는 사용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1)의 종류에 따라 제각기 선택되어야 하는 사항이며, DFB 레이저 다이오드(distributed feedback laser diode)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온도를 송신광의 파장 제어 수단으로 한다.In this way, the controller 600 reads the change in wavelength by the photocurrent detected by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2 and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5, and the temperature of the laser diode 11 based on the change. By adjusting the current or the like,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11 is controlled. Whether to use temperature or current as a variable for controlling the wavelength of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from the laser diode 11 is a matter to be indivi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laser diode 11 used, and the DFB laser diode (distributed feedback In the case of a laser diode), temperature is generally used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wavelength of transmitted light.

한편, 광 경로 분리기(18)는 광 분기기(13)에서 분기된 투과광의 광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투과광과 후술하는 수신광의 광 경로를 분리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is disposed in the optical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diverged from the optical splitter 13 to separate the transmitted light from the optical path of the received light to be described later.

도 1 등에 도시한 광 경로 분리기(18)는 써큘레이터를 나타낸 것이며, 광 경로 분리기(18)에는 제1 포트, 제2 포트 및 제3 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광 경로 분리기(18)의 제1 포트로는 광 분기기(13)에서 분기된 투과광이 입력된다. 광 경로 분리기(18)의 제2 포트로는 상기 투과광이 출력되어 광섬유(200)로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200)에서 출사되는 수신광이 입력된다. 그리고 광 경로 분리기(18)의 제3 포트로는 상기 수신광이 출력되어 제2 에탈론 필터(19)로 입사된다. 광 경로 분리기(18)로는 써큘레이터 외에도 광 로테이터, 인터리버 필터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 경로 분리기(18)에 의해 매우 미세한 파장 간격을 갖는 송신광(여기에서는, 투과광)과 수신광도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shown in FIG. 1 and the like represents a circulator, and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includes a first port, a second port, and a third port. The transmitted light diverged from the optical splitter 13 is input to the first port of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 The transmitted light is output and incident to the optical fiber 200 through the second port of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and the receiv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200 is input. The received light is output to the third port of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and is incident to the second etalon filter 19 . As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in addition to the circulator, an optical rotator, an interleaver filter, etc. can be used, and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can separate transmitted light (here, transmitted light) and received light having a very fine wavelength interval. there will be

광섬유(200)는 함체(100)의 외부이자, 광 경로 분리기(18)를 통과하는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되며, 상기 광 경로 분리기(18)를 통과하는 투과광이 입사된다. 또한, 광섬유(200)는 광 경로 분리기(18)를 향해 수신광을 출사한다.The optical fiber 200 is outside the enclosure 100 and is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travels, and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is incident. In addition, the optical fiber 200 emits received light toward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

제2 에탈론 필터(19)는 광섬유(200)에서 출사된 이후 광 경로 분리기(18)를 통과하는 수신광을 제2 파장 대역에서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제2 에탈론 필터(19)는 제1 에탈론 필터(14)와 마찬가지로 양단에 위치한 반사면 사이에 유리와 같은 투과 재질이 채워져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파장 대역은 제2 에탈론 필터(19)에 입사되는 광의 파장 대역 중에서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할 수 있는 파장 대역을 의미한다.The second etalon filter 19 selectively transmits received light in a second wavelength b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200 . Like the first etalon filter 14,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formed by filling a transmissive material such as glass between reflective surfaces located at both ends. Here, the second wavelength band means a wavelength band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mong wavelength bands of light incident on the second etalon filter 19 .

광섬유(200)에서 출사된 이후 광 경로 분리기(18)를 통과하는 수신광에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광과, 그 외 노이즈에 해당하는 파장 대역의 광이 혼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에탈론 필터(19)는 상기 제2 파장 대역에 해당하는 광만을 투과시키고, 그 외 파장 대역에 해당하는 광은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서는 수신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광만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In the receiv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200 and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the light of the wavelength band to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and the light of the wavelength band corresponding to other noise are mixed. may have been At this time,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ransmits only the ligh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wavelength band and blocks light corresponding to other wavelength bands. Accordingly,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It is possible to receive only the light of the desired wavelength band.

제2 에탈론 필터(19)의 FSR 및 투과 대역폭은, 상술한 제1 에탈론 필터(14)와 마찬가지로, 필터의 재질, 두께, 다층 박막 코팅, 수신광의 입사 각도 등에 의해 좌우된다. 여기서, 제2 에탈론 필터(19)에 대한 수신광의 입사 각도는 90°일 수 있으며, 제2 에탈론 필터(19)의 제2 파장 대역은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 변경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Similar to the first etalon filter 14 described above, the FSR and transmission bandwidth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re influenced by the filter's material, thickness, multilayer thin film coating, incident angle of received light, and the like. Here, the angle of incidence of the received light to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90°, and the second wavelength band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can be adjusted through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하는 수신광은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는 광전류 형태로 수신광을 검출할 수 있다.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detected by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may detect received light in the form of a photocurrent.

제2 에탈론 필터(19)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에탈론 필터(19)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의 전방(수신광이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에 입사되는 쪽)에 고정될 수 있다.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supported by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the side on which the received light is incident to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에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의 전방과 후방(수신광이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에서 출사되는 쪽)을 관통하는 수신광 통과홀(28)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의 후방에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하는 수신광은 상기 수신광 통과홀(28)을 거쳐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 입사될 수 있다. 제2 에탈론 필터(19),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 및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가 이와 같은 배치 관계를 가질 경우 광 서브어셈블리(1000)를 비교적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In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the side where the received light is emitted from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passes A hole 28 is provided, and a receiving photodiode 3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 In this case,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be incident to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through the receiving light passage hole 28 . When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have such an arrangement relationship, the optical subassembly 1000 can be manufactured in a relatively small size.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써미스터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제2 에탈론 필터(14) 또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에 부착될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serves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 To this e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may be formed of a thermistor or may include the thermisto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etalon filter 14 or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

제2 온도 조절 소자(21)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온도 조절 소자(21)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변경하기 위해 TEC로 이루어지거나 이를 포함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기(600)는 제2 온도 조절 소자(21)의 양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를 흘려줄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질 수 있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serves to control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may be made of or include a TEC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 The controller 600 may apply a voltage to both electrodes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to allow current to flow,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

제2 온도 조절 소자(21)는 발열 작용 또는 흡열 작용을 통해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때 제2 온도 조절 소자(19)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광 서브어셈블리(10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않으면,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가 제대로 조절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온도 조절 소자(21)를 함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제2 온도 조절 소자(21)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광 서브어셈블리(1000)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온도 조절 소자(21)가 함체(1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경우에는, 제2 온도 조절 소자(21)의 온도 조절에 따라 발생한 열이 함체(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의 조절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control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hrough an exothermic action or an endothermic action. At this time, if the heat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9 is not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sub-assembly 1000,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cannot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ly, by directly contact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with the housing 100, the heat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light subassembly 1000. It is desirable to do That is, wh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closure 100, heat generated by temperature control of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nclosure 100.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is accurately adjusted, and thus, the wavelength band to be received by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can be accurately adjusted.

제2 온도 조절 소자(21)의 상부에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의 상부에는 상술한 제2 에탈론 필터(19),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 및 제2 온도 감지 소자(20)가 배치될 수 있다. A second base plate 29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econd etalon filter 19 ,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 and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29 .

여기서,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의 상부에서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또는,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의 상부에 배치되되,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온도 조절 소자(21)가 발열 작용 또는 흡열 작용에 의한 온도 조절을 할 경우,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 또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의 온도가 곧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온도 감지 소자(20)가 제2 베이스 플레이트(29)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거나,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27) 상에 배치될 경우, 제2 온도 감지 소자(20)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Here,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may directly contact the second base plate 29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ase plate 29 . Alternativel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base plate 29 and on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as shown in FIG. 1 and the like. When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controls the temperature by exothermic action or heat absorbing actio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base plate 29 or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is the second etalon filter ( 19) can b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directly contacts the second base plate 29 or is disposed on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7,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can be sensed.

도 13은 제어기가 제2 에탈론 필터에서 투과되는 파장을 변화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how the controller changes th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도 13을 참고하면, 제어기(600)는 제2 온도 감지 소자(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온도 감지 소자(20)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600)는 제2 온도 조절 소자(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2 온도 조절 소자(2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600)가 제2 온도 조절 소자(21)를 제어할 경우, 제2 에탈론 필터(19)의 제2 파장 대역 역시 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and thus obtain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can do. In addition, the controller 6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and thus can control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When the controller 600 controls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the second wavelength band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is also changed.

한편, 광 경로 분리기(18)를 통과하는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는 제1 윈도우(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윈도우(30)는 광 경로 분리기(18)에서 광섬유(200)를 향해 투과광이 이동하는 통로이자, 광섬유(200)에서 광 경로 분리기(18)를 향해 수신광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이때 제1 윈도우(30)는 함체(100)의 일측을 밀폐시킴으로써, 함체(100) 안으로 외부 물질이 침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 first window 30 may be provided in a path along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18 travels. The first window 30 corresponds to a path through which transmitted light moves from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toward the optical fiber 200 and a path through which received light moves from the optical fiber 200 toward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 In this case, the first window 30 may prevent an external material from entering the enclosure 100 by sealing one side of the enclosure 100 .

또한, 제1 윈도우(30)와 광섬유(200) 사이에는 제1 평행광 렌즈(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 평행광 렌즈(400)는 상기 함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체(100)에 제1 평행광 렌즈(500)가 결합되어 있을 경우에는, 송신단을 위한 광섬유 정렬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광 서브어셈블리(1000) 제작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평행광 렌즈(400)는 광 경로 분리기(18)에서 광섬유(200)를 향해 이동하는 투과광을 집속시킴과 동시에, 광섬유(200)에서 광 경로 분리기(18)를 향해 이동하는 수신광을 평행광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first collimated light lens 4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ow 30 and the optical fiber 200. At this time, the first collimated light lens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enclosure 100 There may be. In this way, when the first collimated light lens 500 is coupled to the enclosure 100, since the optical fiber alignment for the transmitting end can be relatively easily performed,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subassembly 1000 can be greatly improved. . The first collimated light lens 400 focuses the transmitted light moving from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toward the optical fiber 200 and at the same time collimates the received light moving from the optical fiber 200 toward the optical path splitter 18. It plays a role in converting it into light form.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는 제2 윈도우(3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윈도우(31)는 제2 에탈론 필터(19)에서 수신용 포트 다이오드(300)를 향해 수신광이 이동하는 통로에 해당한다. 이때 제2 윈도우(31)는 함체(100)의 타측을 밀폐시킴으로써, 함체(100) 안으로 외부 물질이 침입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 second window 31 may be provided on a path along which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ravels. The second window 31 corresponds to a passage through which reception light moves from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oward the reception port diode 300 . At this time, the second window 31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external substances into the enclosure 100 by sealing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100 .

또한, 제2 윈도우(31)와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 사이에는 제2 평행광 렌즈(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평행광 렌즈(500)는 상기 함체(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평행광 렌즈(500)는 제2 에탈론 필터(19)에서 수신용 포트 다이오드(300)를 향해 이동하는 수신광을 집속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second collimated light lens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ndow 31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At this time, the second collimated light lens 500 is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may be linked to The second collimated light lens 500 serves to focus the received light moving from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oward the receiving port diode 300 .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는 함체(100)의 외부이자,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하는 수신광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는 수신광을 광전류 형태로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송신광에 대한 정보는 제어기(6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receiving photodiode 300 is outside the housing 100 and is disposed on the path of the receiv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nd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It plays a role in detecting new light.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may detect the received light in the form of a photocurrent, and information on the detected transmitted ligh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600 .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는 TO(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TO(310)의 상단에는,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한 수신광이 수신용 포트 다이오드(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투과 윈도우(315)가 구비될 수 있다.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TO 310 . A transmission window 315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TO 310 so that the receiv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may move to the reception port diode 300 .

TO(310)를 함체(100)에 고정시킬 때에는, 제2 에탈론 필터(19)를 투과한 수신광이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 높은 효율로 전달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제2 에탈론 필터(19)와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가 광학적으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TO(310)의 외부에는 고정부재(320)가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TO 310 is fixed to the enclosure 100, it is important that the received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19 is transmitted to the photodiode 300 for reception with high efficiency. That is, in order to improve reception efficiency of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need to be optically aligned. To this end, a fixing member 320 may be mounted outside the TO 310 .

고정부재(320)를 함체(100)에 고정시킬 때에는 자외선 경화제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자외선 경화제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제2 에탈론 필터(19)와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 간 광학적 정렬이 어긋나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320)를 함체(100)에 고정시킬 때에는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용접에 의한 고정은 경화제에 의한 고정에 비해 시간 소요가 적고, 제2 에탈론 필터(19)와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의 광학적인 정렬이 비교적 정교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이저 용접에 의한 고정 후에는 상기 정렬이 틀어지는 현상이 비교적 적어서,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가 수신광을 비교적 높은 효율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When fixing the fixing member 320 to the enclosure 100, an ultraviolet curing agent may be used, but in this case, optical alignment between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is achieved while the ultraviolet curing agent is cured. There is a risk that this will slip off. Accordingly, when fixing the fixing member 320 to the enclosure 100, it is preferable to fix it by laser welding. Fixing by laser welding takes less time than fixing by hardener, the optical alignment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can be relatively sophisticated, and the fixing by laser welding After that, since the misalignment phenomenon is relatively small,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can receive the receiving light with relatively high efficienc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함체(100)는 제2 에탈론 필터(19), 제2 온도 감지 소자(20) 및 제2 온도 조절 소자(21)를 내부에 수용하고 있다. 이때 제2 온도 조절 소자(21)는 제2 온도 감지 소자(20)에 의해 감지되는 제2 에탈론 필터(19)의 온도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3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광의 파장 대역을 가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enclosure 100 accommodates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therein.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19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the receiving photodiode 300 A wavelength band of light to be used may be vari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2 에탈론 필터(19), 제2 온도 감지 소자(20) 및 제2 온도 조절 소자(21)가 함체(100) 내부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파장 대역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수신단 측에 별도로 구비시킬 필요가 없으며, 수신 파장 대역이 고정되어 있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나 수신용 TO(수신용 포토 다이오드, TO 스템 및 캡으로 이루어짐)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함체(100)에 제2 평행광 렌즈(500)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단을 위한 TO 정렬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 서브어셈블리(1000) 제작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ter that transmits only the reception wavelength band because the second etalon filter 19,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0,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1 are accommodated inside the enclosure 100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equip the receiving terminal side, and a receiving photodiode having a fixed receiving wavelength band or a receiving TO (consisting of a receiving photodiode, a TO stem, and a cap) can be used as much as desir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collimated light lens 500 is coupled to the enclosure 100, TO alignment for the receiving end can be relatively easily performed, and thus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subassembly 1000 is greatly increased. be able to improve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from these descrip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for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only by the claims,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 said to belong to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레이저 다이오드 12: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13: 광 분기기 14: 제1 에탈론 필터
15: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16: 제1 온도 감지 소자
17: 제1 온도 조절 소자 18: 광 경로 분리기
19: 제2 에탈론 필터 20: 제2 온도 감지 소자
21: 제2 온도 조절 소자 22: 송신광용 평행광 렌즈
23: 아이솔레이터 24: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
25: 반사광 통과홀 26: 제1 베이스 플레이트
27: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 28: 수신광 통과홀
29: 제2 베이스 플레이트 30: 제1 윈도우
31: 제2 윈도우 100: 함체
200: 광섬유 300: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
310: TO 315: 투과 윈도우
320: 고정부재 400: 제1 평행광 렌즈
500: 제2 평행광 렌즈 600: 제어기
1000: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11: laser diode 12: first monitoring photodiode
13: optical diverter 14: first etalon filter
15: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16: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17: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18: optical path separator
19: second etalon filter 20: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21: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22: collimated light lens for transmission light
23: isolator 24: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5: reflected light passage hole 26: first base plate
27: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28: receiving light passage hole
29: second base plate 30: first window
31: second window 100: enclosure
200: optical fiber 300: photodiode for reception
310: TO 315: transmission window
320: fixing member 400: first parallel light lens
500: second parallel light lens 600: controller
1000: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laims (10)

송신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후방으로 출력되는 상기 송신광을 검출하는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방으로 출력되는 상기 송신광을 반사광과 투과광으로 분기하는 광 분기기;
상기 반사광을 제1 파장 대역에서 투과시키는 제1 에탈론 필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반사광을 검출하는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 감지 소자;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 조절 소자;
상기 투과광의 광 경로에 배치되어, 상기 투과광과 수신광의 광 경로를 분리하는 광 경로 분리기;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입사되는 광섬유;
상기 광섬유에서 출사된 이후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수신광을 제2 파장 대역에서 투과시키는 제2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 감지 소자;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 조절 소자; 및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을 검출하는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제1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광 분기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 상기 제1 온도 감지 소자,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 상기 광 경로 분리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 상기 제2 온도 감지 소자 및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 및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는 상기 함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 laser diode that outputs transmission light;
a first monitoring photodiode that detects the transmission light output to the rear of the laser diode;
an optical diverter splitting the transmitted light output to the front of the laser diode into reflected light and transmitted light;
a first etalon filter that transmits the reflected light in a first wavelength band;
a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o detect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a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for sensing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a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an optical path separator disposed in the optical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to separate the optical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and the received light;
an optical fiber into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is incident;
a second etalon filter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light in a second wavelength b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plitter after being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a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for sensing a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a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etalon filter; and
A receiving photodiode for detecting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the laser diode, the first monitoring photodiode, the optical diverter, the first etalon filter,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the optical path separator, the A second etalon filter,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for receiving therein,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nd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enclos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반사광이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도록 반사광 통과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반사광이 상기 반사광 통과홀을 거쳐 상기 제2 모니터링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supporting the first etalon filter and having a reflective light 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is incident to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is disposed behind the first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and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first etalon filter is incident to the second monitoring photodiode through the reflected light passage hole.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상기 수신광이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될 수 있도록 수신광 통과홀이 마련되어 있는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제2 에탈론 필터 지지부재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반사광이 상기 수신광 통과홀을 거쳐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에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second etalon filter supporting member supporting the second etalon filter and having a reception light passage hole so that the reception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is incident to the reception photodiode.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is disposed behind the second etalon filter support member, and reflec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is incident to the receiving photodiode through the receiving light passage hol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1 포트로는 상기 투과광이 입력되고,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2 포트로는 상기 투과광이 출력되어 상기 광섬유로 입사되고, 상기 광섬유에서 출사되는 상기 수신광이 입력되며,
상기 광 경로 분리기의 제3 포트로는 상기 수신광이 출력되어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로 입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ed light is input to a first port of the optical path separator,
The transmitted light is output and incident to the optical fiber, and the received light emitted from the optical fiber is input to a second port of the optical path splitter.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ed light is output through a third port of the optical path separator and is incident to the second etalon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는, 상기 함체의 외부이자,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되고,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는, 상기 함체의 외부이자,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optical fiber is outside the enclosure and is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travels;
The receiving photodiode is outside the enclosure and is disposed on a path along which the receiv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travels.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 경로 분리기를 통과하는 상기 투과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의 일측을 밀폐시키는 제1 윈도우; 및
상기 제2 에탈론 필터를 투과하는 수신광이 진행하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함체의 타측을 밀폐시키는 제2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a first window provided on a path of the transmitted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path separator and sealing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indow disposed on a path of the received light passing through the second etalon filter and sealing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윈도우와 상기 광섬유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일측에 결합된 제1 평행광 렌즈; 및
상기 제2 윈도우와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함체의 타측에 결합된 제2 평행광 렌즈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 first collimated light lens disposed between the first window and the optical fiber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enclosure; and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llimated light len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window and the receiving photodiode and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용 포토 다이오드를 수용하는 TO; 및
상기 TO의 외부에 장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함체에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a TO accommodating the receiving photodiode; and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mounted outside the TO,
The fixing member is a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enclosure by laser we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도 감지 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및 상기 제1 에탈론 필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온도 조절 소자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온도 감지 소자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제2 에탈론 필터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온도 조절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광통신용 파장 가변 광 서브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Controlling the first temperature control element based on the temperatures of the laser diode and the first etalon filter sensed by the first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the second etalon sensed by the second temperature sensing element. The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mperature control element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filter.
KR1020210007423A 2021-01-19 2021-01-19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KR1025462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23A KR102546248B1 (en) 2021-01-19 2021-01-19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423A KR102546248B1 (en) 2021-01-19 2021-01-19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66A KR20220104966A (en) 2022-07-26
KR102546248B1 true KR102546248B1 (en) 2023-06-22

Family

ID=82609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423A KR102546248B1 (en) 2021-01-19 2021-01-19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24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3149A (en) * 2002-10-31 2004-05-27 Sumitomo Electric Ind Ltd Light emitting module
KR100476319B1 (en) 2002-11-26 2005-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with photo diod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70744B1 (en) * 2009-08-25 2013-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module
KR102172977B1 (en) * 2013-08-16 2020-11-02 주식회사 포벨 Optical receiver device with wavelength selective filter of wavelength tunable typ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733B1 (en) 2013-06-26 2019-02-21 주식회사 포벨 Optical receiver with wavelength tunable filter
KR20160063749A (en)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포벨 Optical modulator package for bi-directional data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3149A (en) * 2002-10-31 2004-05-27 Sumitomo Electric Ind Ltd Light emitting module
KR100476319B1 (en) 2002-11-26 2005-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nternal wavelength locker module with photo diode arr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70744B1 (en) * 2009-08-25 2013-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module
KR102172977B1 (en) * 2013-08-16 2020-11-02 주식회사 포벨 Optical receiver device with wavelength selective filter of wavelength tunabl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966A (en) 202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874B2 (en) Adaptive optical transceiver for fiber access communications
US745085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ignals
US9455782B2 (en) Monitoring a multiplexed laser array in a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995484B2 (en) Temperature controlled multi-channel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transceiver module including same
US9964720B2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temperature across a laser array in a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TOSA) package
US9432122B2 (en) Optical networking unit (ONU) packaging
US7212555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onitoring the wavelength and power of a laser
US9768586B2 (en) Compact WDM optical modules
US9236945B2 (en) Thermally shielded multi-channel transmitter optical subassembly and optical transceiver module including same
US9991969B2 (en) Tunable receiver including microelectromechanical (MEMS) mirrors, a transceiver or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22508145A (en) Multi-channel bidirectional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US20050169586A1 (en) Bidirectional optical transceiver
EP3271977B1 (en) Tunable laser including parallel lasing cavities with a common output
KR20140144131A (en) Laser Device with wavelength stabilizer
US6999663B2 (en) Fiber optic tap
JP4084006B2 (en) Semiconductor laser control module and its application equipment
US20090162073A1 (en) Optical module
WO2015016468A1 (en) External-cavity type laser with built-in wavemeter
GB2486715A (en) Wavelength locker
KR102546248B1 (en) Wavelength tunable optical sub-assembly for bi-directional fiber optic telecommunication
US6542659B2 (en) Optical spectrum analyzer with beam switch array
WO2016160898A1 (en) Improved coupling of photodetector array to optical demultiplexer outputs with index matched material
US9368941B1 (en) Temperature compensation in an optical transmitter
KR100860548B1 (en) Wavelength tracking system using self-injection locking, wdm-pon system comprising it and wavelength tracking method
US20170195079A1 (en) Optical transceiver assembly including thermal dual arrayed waveguide g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