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680B1 -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680B1
KR102545680B1 KR1020180155986A KR20180155986A KR102545680B1 KR 102545680 B1 KR102545680 B1 KR 102545680B1 KR 1020180155986 A KR1020180155986 A KR 1020180155986A KR 20180155986 A KR20180155986 A KR 20180155986A KR 102545680 B1 KR102545680 B1 KR 102545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server
addres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5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971A (ko
Inventor
이세희
김경열
김우태
이치영
이호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155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6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8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04L61/5014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using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 or bootstrap protocol [BOO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1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 H04L61/00
    • H04L2101/60Type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18Details of network addresses
    • H04L2101/622Layer-2 addresses, e.g. medium access control [MAC]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의 시스템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로 고정 IP 설정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단말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정보와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단말이 DHCP 서버에 DHCP를 이용해 상기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가 상기 MAC 정보와 매칭된 상기 고정 IP 주소를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IP 할당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tatic IP service}
본 발명은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nternet Service Provider; 이하, “ISP”라 지칭함)의 특정 가입자 단말로 DHCP를 활용하여 고정 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SP 시스템은 그 가입자 단말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때, 인터넷 접속을 위해, 가입자 단말에는 유동 IP 주소 방식 또는 고정 IP 주소 방식으로 IP 주소가 설정된다.
유동 IP 주소 방식은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이하, “DHCP”라 지칭함)을 활용하여 IP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으로서, DHCP 서버가 그에 접속된 가입자 단말로 사용 가능한 임시적인 IP 주소를 전달한다. 즉, 유동 IP 주소 방식은 가입자 단말이 접속될 때마다 변경된 IP 주소를 가질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고정 IP 주소 방식은 가입자 단말에 변경되지 않는 일정한 공인 IP 주소가 설정되는 방식이다. 하지만, 종래의 고정 IP 주소 방식은 ISP의 관리자 또는 가입자가 가입자 단말에 고정 IP 주소를 수동으로 입력 설정해야 하는 방식이므로, 설정이 불편하고 부정확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ISP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단말로부터의 DHCP 패킷(packet)이 발생하는 경우에 한하여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이하, “BNG”라 지칭함)가 해당 가입자 단말의 세션 관리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사용량 관리 및 정책제어도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의 고정 IP 주소 설정 방식은 DHCP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고정 IP를 설정하는 방식이므로, ISP 시스템에서의 가입자 단말 별 세션 관리가 불가하며, 이에 따라 사용량 관리 및 정책제어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SP의 특정 가입자 단말로 DHCP를 활용한 고정 IP 주소 설정 및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ISP의 시스템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로 고정 IP 설정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단말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이하, “MAC”이라 지칭함) 정보와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설정 단계; 및 단말이 DHCP 서버에 DHCP를 이용해 상기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가 상기 MAC 정보와 매칭된 상기 고정 IP 주소를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IP 할당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설정 단계는, (a) 상기 가입자의 단말이 인증된 경우, ISP에 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를 상기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단계; (b)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기 신청 고정 IP 주소 개수 중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DHC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를 인증된 단말이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공인 IP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고정 IP 주소가 할당된 단말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단계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의 사용량 관리 또는 정책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로 고정 IP 설정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의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단말의 MAC 주소와 특정의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며, 단말이 DHCP 서버에 DHCP를 이용해 상기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가 상기 MAC 정보와 매칭된 상기 고정 IP 주소를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는 BNG; BNG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 서버; BNG 및 제어 서버를 거쳐 전달되는 상기 단말의 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및 그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상기 가입자의 단말이 인증된 경우, ISP에 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를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설정 서버; 및 인증된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웹포털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웹포털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기 신청 고정 IP 주소 개수 중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DHCP 서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웹포털 서버는, 인증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웹 페이지를 인증된 단말에 제공하며, 해당 웹 페이지에서 인증된 단말에 의해 선택된 공인 IP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BNG는, 고정 IP 주소가 할당된 단말로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BNG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의 사용량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생성된 사용량 정보를 전달 받아 인증 서버에 제공하되, 단말에 대한 정책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서버는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된 사용량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ISP의 특정 가입자 단말로 DHCP를 활용한 고정 IP 주소 설정 및 그에 따른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해당 특정 가입자 단말에 대한 고정 IP 주소 설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주소 설정 시 해당 특정 가입자 단말로부터 DHCP 패킷이 발생하므로, ISP 시스템에서 해당 가입자 단말에 대한 세션 관리 가능에 따른 사용량 관리 및 정책제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이에 접속된 단말(2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치에 사용 가능 IP 주소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DHCP 서버(17)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말(20)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세션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IP 주소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말(20)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세션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또는 B”“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과 이에 접속된 단말(20)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ISP의 시스템으로서,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20)로 고정 IP 설정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즉, “고정 IP 서비스”란 ISP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특정 단말에 DHCP를 활용하여 고정된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며, 이와 같이 할당된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특정 단말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한다. 이들 네트워크 장치 및 서버는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시스템(10) 및 인터넷의 접속을 위해 각종 네트워킹 기술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단말(20)의 네트워크 어댑터와 직접 접속하는 가입자 단말 측의 액세스 모뎀, 액세스 모뎀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L2 스위치, L3 스위치, 백본 라우터(backbone router), BNG(11) 등을 포함한다.
이때, BNG(11)는 가입자 단말 측의 액세스 모뎀과 연결되어 단말(20)의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는 장치로서, Broadband Remote Access Server라고도 지칭될 수 있으며, 단말(20)으로의 다양한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NG(11)는 단말(20)에 대하여 회선 속도, QoS(Quality of Service) 등의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말(20)에서 전송한 정보는 BNG(11)를 거쳐 시스템(10) 내의 다양한 서버에 전달될 수 있으며, 시스템(10) 내의 다양한 서버에서 생성된 정보도 BNG(11)를 거쳐 단말(20)에 전달될 수 있다.
제어 서버(12)는 BNG(11)을 제어하는 서버로서, 다양한 정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 서버(12)는 단말(20)에 적용되기 위한 정책을 결정하여 BNG(11)에 전달할 수 있으며, BNG(11)는 수신된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서버(13)는 가입자 및 그의 단말(2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이다. 즉, 인증 서버(13)는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증 서버(13)는 BNG(11) 및 제어 서버(12)를 거쳐 전달되는 단말(20)의 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및 그의 단말(20)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서버(14)는 고정 IP 주소의 현황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즉, 관리 서버(14)는 ISP에 할당된 전체 공인 IP 주소(이하, “전용 IP”이라 지칭함), 전용 IP 중에서 단말에 할당되어 사용중인 공인 IP 주소, 전용 IP 중에서 단말에 할당되지 않아 남아 있는 공인 IP 주소, 사용중인 공인 IP 주소가 고정용인지 또는 유동용인지에 대한 현황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4)는 공인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는 가입자 및 그 단말에 대한 정보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서버(14)는 제어 서버(12) 및 웹포털 서버(16)로부터 전달되는 단말(20)의 정보로부터 해당 단말(20)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고정 IP 주소를 미사용 중인 경우, 관리 서버(14)는 남아 있는 공인 IP 주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이하, “사용 가능 IP 주소”라 지칭함)에 대한 정보를 웹포털 서버(16)로 전달할 수 있다.
설정 서버(15)는 네트워크 장치가 네트워킹을 원활히 수행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설정하는 서버이다. 즉, 설정 서버(15)는 인증 서버(13)에 의해 가입자의 단말(20)로 인증된 경우, 관리 서버(14)로부터 전달된 사용 가능 IP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한다.
웹포털 서버(16)는 인증 서버(13)에 의해 인증된 단말(2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이때, 웹포털 서버(16)는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설정 서버(15)에 의해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웹 페이지를 인증된 단말(20)에 제공하며, 해당 웹 페이지에서 인증된 단말(20)이 선택한 공인 IP와 인증된 단말(20)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17)를 설정할 수 있다.
DHCP 서버(17)는 공인 IP 주소를 할당하는 서버이다. 즉, DHCP 서버(17)는 단말(20)과 DHCP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 가능 IP 주소를 단말(20)에 할당할 수 있다. 이때, DHCP 서버(17)는 관리 서버(14)로부터 사용 가능 IP 주소 현황을 전달받을 수 있다.
단말(20)은 고정 IP 서비스를 제공 받는 전자 장치로서, 고정 IP 서비스를 신청한 ISP 가입자가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은 스마트 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휴대 전화기(mobile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시스템(10)의 각 서버(11~17)와 단말(20)은 다양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 따라 동작하는 통신부 및 저장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 타 장치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통신 방식의 유/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은 유선 통신 모듈은 LANs(Local Area Networks) 모듈, WANs(Wide Area Networks) 모듈,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모듈,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모듈, BAN(Body Area Network)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사물 인터넷 통신 모듈(LoRaWAN, SigFox, W-MBUS, Wi-SUN 등), 기타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이동 통신 모듈(LET-M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부는 통신부에 의해 송수신되거나 제어부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정장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는 그 유형에 따라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마그네틱 매체 타입(Sagnetic media type),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광기록 매체 타입(Optical Media type), 자기-광 매체 타입(Sagneto-optical media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Sultimedia card micro type),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롬 타입(read only memory type), 램 타입(random access memory type)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저장부는 그 용도/위치에 따라 캐시(cache), 버퍼, 주기억장치, 또는 보조기억장치이거나 별도로 마련된 저장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 의해 수행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00 내지 S300을 포함한다.
S100은 설정 단계로서,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비들에 사용 가능 IP 주소를 설정하는 단계와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단말(20)의 MAC 정보와 고정 IP 주소를 매칭하여 등록 및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S100은 시스템(10)에 접속한 가입자의 단말(20)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된 단말(20)의 MAC 정보와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킨다. S100는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치에 사용 가능 IP 주소를 설정한 후,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가입자의 단말(20)에 대해서 MAC 정보와 고정 IP주소를 매칭하여 DHCP 서버(17)에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치에 사용 가능 IP 주소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시스템(10)의 네트워크 장치에 사용 가능 IP 주소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20)에서 BNG(11)에 접속 정보를 전송한다(S101). 이때, 단말(2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DHCP 서버(17)에 접속하여 DHCP에 따른 유동 IP를 이미 할당 받은 단말일 수 있다. BNG(11)에 수신된 접속 정보는 단말(20)의 MAC 정보와 단말(2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단말(20)이 연결된 스위치 정보 등의 설비 정보로서, 이를 이용하면 단말(20)가 어느 설비에 위치하는지 파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어떤 사용자의 단말인지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후, BNG(11)는 제어 서버(12)에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102). 이때, 제어 서버(12)는, 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증 서버(13)에 접속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단말(20)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20)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경우에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가입자 정보 및 그 상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서버(12)는 인증 서버(13)로부터 수신한 가입자 정보 및 그 상품 정보를 이용해 가입된 고정 IP 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생성하여 BNG(11)에 전달하며, BNG(11)에서는 제어 서버(12)로부터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한다(S103). 예를 들어, 이때 적용되는 정책은 회선 속도에 정책일 수 있다.
이후, 단말(20)에서는 웹포털 서버(16)로 접속한다(S104). 다만, 시스템(10) 내의 서버에 전달되는 단말(20) 측의 정보는 BNG(11)를 거치게 되므로, 이 단계에서 단말(20)이 타 웹서버에 접속하려 시도하는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BNG(11)는 웹포털 서버(16)에 강제로 접속하게 하는 정보를 단말(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제어 서버(12)로부터 단말(20)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한다(S105). 이때, 제어 서버(12)는 이미 S102를 통해 인증 서버(13)로부터 수신한 단말(20)의 가입자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가입자 정보를 웹포털 서버(16)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제어 서버(12)로부터 전달 받은 가입자 정보를 관리 서버(14)에 전달하면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IP 설정을 확인한다(S106). 해당 가입자가 대한 고정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장비들에 IP 설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가입자가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가 설정되어 있지는 않는 경우, 관리 서버(14)는 IP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웹포털 서버(16)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웹포털 서버(16)는 관리 서버(14)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단말(20)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단말(20)이 아직 고정 IP 주소를 미사용 중인 경우, 관리 서버(14)는 사용 가능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웹포털 서버(16)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단말(20)로 IP 설정이 가능한 제1웹페이지를 제공한다(S107). 이때, 제1웹페이지에는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가 네트워크 장비들에 설정되지 않았으며, 또한 단말(20)이 아직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고정 IP 주소 할당, 즉 고정 IP 서비스의 시작을 원하는지에 대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제1웹페이지에 따라 단말(20)로부터 고정 IP 주소 할당을 원하는 IP 설정이 요청되는 경우(S108), 웹포털 서버(16)는 설정 서버(15)로 해당 요청 사항을 전달한다(S109). 이때, 웹포털 서버(16)는 해당 요청 사항과 함께 S106에서 관리 서버(14)로부터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설정 서버(16)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설정 서버(15)는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한다. 이때부터 사용 가능 IP 주소가 네트워크 장치들에 설정이 완료된 상태가 되는 것이며,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등록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S108에서 요청 내용에 대한 접수 완료를 알리는 제2웹페이지를 단말(20)에 제공한다(S110).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의 DHCP 서버(17)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시스템(10)의 DHCP 서버(17)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20)에서 BNG(11)에 접속 정보를 전송하며(S111), 이에 대한 내용은 S101과 동일할 수 있다.
이후, BNG(11)는 제어 서버(12)에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한다(S112).
이후, 제어 서버(12)는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단말(20)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20)인지를 인증 서버(13)에 인증 요청한다(S113).
이후, 인증 서버(13)는 인증 결과를 제어 서버(12)에 전송한다(S114). 이때, 인증된 경우, 인증 서버(13)는 인증 완료 정보와 함께 가입자 정보 및 그 상품 정보를 제어 서버(12)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는 해당 가입자가 가입한 고정 IP 서비스의 총 고정 IP 주소 개수 및 그 중 미사용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 IP 서비스의 가입 시, 가입자는 최대 사용할 수 있는 총 고정 IP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 제어 서버(12)는 이를 알리는 정책을 생성하여 BNG(11)에 전달하며, BNG(11)에서는 제어 서버(12)로부터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한다(S115). 이때의 해당 정책은 사용자의 단말이 웹포털 서버(16)로 강제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단말(20)에서는 웹포털 서버(16)로 강제 접속한다(S116). 즉, 단말(20)이 타 웹서버에 접속하려 시도하는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S115에 따른 정책이 적용된 BNG(11)는 웹포털 서버(16)에 강제로 접속하게 하는 정보를 단말(20)에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제어 서버(12)로부터 단말(20)의 가입자 정보를 확인한다(S117). 이때, 제어 서버(12)는 이미 S114를 통해 인증 서버(13)로부터 수신한 단말(20)의 가입자 정보, 총 고정 IP 주소 개수 및 그 중 미사용 개수에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당 정보를 웹포털 서버(16)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제어 서버(12)로부터 전달 받은 가입자 정보를 관리 서버(14)에 전달하면서 해당 가입자에 대한 IP 설정을 다시 확인한다(S118). 즉, 웹포털 서버(16)는 관리 서버(14)로부터 해당 가입자의 단말(20)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하고 있는지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관리 서버(14)는 가입자가 사용 중인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웹포털 서버(16)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단말(20)로 가입자가 사용 및 미사용 중인 고정 IP 개수 및 그 사용 중인 고정 IP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3웹페이지를 단말(20)에 제공한다(S119).
이후, 제어 서버(12)는 S115에 따른 사용자의 단말이 웹포털 서버(16)로 강제 접속하게 되는 정책을 해제되도록 BNG(11)에 전달하며, BNG(11)에서는 제어 서버(12)로부터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한다(S120).
이후, 단말(20)는 가입자에 대한 본인확인 정보를 가입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 받으며, 입력 받은 해당 정보를 웹포털 서버(16)로 전송한다(S121). 예를 들어, 본인확인 정보는 가입자명, 생년월일, 성별 등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웹포털 서버(16)는 인증 서버(13)에 접속하여 본원확인 정보가 인증 서버(13)에 기 저장된 인터넷 회선의 가입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인증한다(S122).
이후, S122에서 인증되는 경우, 웹포털 서버(16)는 단말(20)의 MAC 정보 및 사용 가능 IP에서 선택된 할당할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4웹페이지를 단말(20)에 제공한다(S123).
이후, 단말(20)에서 제4웹페이지에 따른 사용 가능 IP를 자신의 고정 IP 주소로 사용하도록 할당 요청하는 경우(S124), 웹포털 서버(16)는 단말(20)의 MAC 정보 및 해당 사용 가능 IP에 대한 예약 정보를 DHCP 서버(17)에 전달한다(S125). 이에 따라, DHCP 서버(17)는 예약된 사용 가능 IP가 유동 IP 주소나 다른 단말의 고정 IP 주소로 사용되지 않도록 조치할 수 있다.
이후, DHCP 서버(17)에서 예약이 완료되는 경우, 웹포털 서버(16)는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제5웹페이지를 단말(20)로 제공한다(S126).
이후, 단말(20)이 예약 완료된 사용 가능 IP를 자신의 고정 IP 주소 사용할 것을 최종 확정하는 경우, 웹포털 서버(16)는 예약 완료된 사용 가능 IP를 단말(20)의 고정 IP 주소로 사용할 것에 대한 할당 확정 정보를 DHCP 서버(17)에 전달한다(S128).
이후, DHCP 서버(17)는 단말(20)의 MAC 정보 및 해당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켜 저장 관리하며, 해당 정보를 제어 서버(12)로 전달한다(S129). 또한, 웹포털 서버(16)는 고정 IP 확정 결과, 즉 할당 받은 단말(20)에 대한 정보 및 그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14) 및 제어 서버(S131)로 전달한다(S130, S131). 이에 따라, 관리 서버(14)는 고정 IP 주소의 현황을 업데이트하여 관리할 수 있다.
S200은 IP 할당 단계로서, 단말(20)이 DHCP 서버(17)에 DHCP를 이용해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의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17)가 DHCP를 이용해 MAC 정보와 매칭된 고정 IP 주소를 단말(20)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단계이다.
S300은 고정 IP 주소가 할당된 단말(20)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20)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단계이다. 이에 따라, S300에서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20)의 사용량 관리 또는 정책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하는 단말(20)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세션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S100이 수행된 후, 단말(20)은 재부팅 되면서 DHCP 서버(17)에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다(S201). 이때, 단말(20)은 DHCP Discover 패킷을 전송하면서 IP 주소의 할당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DHCP 패킷에는 단말(20)의 MAC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DHCP 서버(17)는 수신된 MAC 정보와 매칭되는 고정 IP 주소를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고정 IP 주소를 단말(20)로 할당한다(S202). 이때, 필요 할 경우, DHCP 서버(17)는 고정 IP 할당 이력을 관리 서버(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BNG(11)는 단말(20)에 할당된 고정 IP 주소가 맞는지에 대한 인증을 제어 서버(12)에 요청하고, 인증 완료되는 경우에 제어 서버(12)는 해당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20)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정책을 BNG(11)에 전달한다(S301).
이후, BNG(11)은 해당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20)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해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에 대한 세션을 관리한다. 이에 따라, BNG(11)는 해당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20)의 인터넷 접속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 서버(12)로 전달하며(S302), 제어 서버(12)는 사용량 정보를 인증 서버(13)에 전달한다(S303). 즉, 인증 서버(13)는 단말(20)의 사용량을 최종적으로 관리하며,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된 사용량 정보에 따른 누적 사용량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 제어 서버(12)를 통해 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정책을 BNG(11)에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IP 주소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말(20)에 고정 IP 주소를 할당하는 과정 및 그에 따른 세션을 관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S100이 수행된 후, 단말(20)은 재부팅 되지 않고 DHCP 서버(17)에 IP 주소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S211). 이때, 단말(20)은 DHCP Request 패킷을 전송하면서 IP 주소의 갱신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DHCP 서버(17)는 단말(20)에 현재 할당된 유동 IP 주소를 회수한다(S212). 이때, DHCP 서버(17)는 Nak의 DHCP 패킷을 단말(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단말(20)은 DHCP 서버(17)에 IP 주소의 재할당을 요청한다(S213). 이때, 단말(20)은 GIADDR의 DHCP 패킷을 전송하면서 IP 할당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해당 DHCP 패킷에는 단말(20)의 MAC 정보가 포함된다.
이후, DHCP 서버(17)는 수신된 MAC 정보와 매칭되는 고정 IP 주소를 단말(20)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고정 IP 주소를 단말(20)로 할당한다(S214). 이때, 필요 할 경우, DHCP 서버(17)는 고정 IP 할당 이력을 관리 서버(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술한 S301 내지 S303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BNG
12: 제어 서버 13: 인증 서버
14: 관리 서버 15: 설정 서버
16: 웹포털 서버 17: DHCP 서버
20: 단말

Claims (12)

  1.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 및 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의 시스템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의 단말로 고정 IP 주소 설정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DHCP 서버에 접속하여 DHCP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기 할당 받은 상기 가입자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ISP에 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인 고정 IP 주소를 상기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제1 설정 단계;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 중 하나의 고정 IP 주소와 인증된 단말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제2 설정 단계; 및
    단말이 DHCP 서버에 DHCP를 이용해 상기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가 상기 MAC 정보와 매칭된 상기 고정 IP 주소를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IP 할당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단계는,
    상기 단말 측의 액세스 모뎀과 연결되어 상기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는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BNG)가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BNG가 제어 서버에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경우에 인증 완료 정보,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수신된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회선 속도를 포함한 가입자의 가입된 고정 IP 서비스의 정책을 생성하여 상기 BNG에 전달하고, 상기 BNG가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BNG가 상기 단말을 웹포털 서버에 강제 접속시키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전달 받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확인한 상기 가입자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면서 상기 단말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고정 IP 주소를 미사용 중인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고정 IP 주소 설정의 시작을 원하는지에 대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1웹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웹페이지에 따라 고정 IP 주소 할당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해당 요청 사항 및 상기 관리 서버부터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설정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설정 서버가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요청 사항에 대한 접수 완료를 알리는 제2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어댑터와 접속하는 상기 액세스 모뎀, 상기 액세스 모뎀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백본 라우터(backbone rou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단계는,
    상기 BNG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BNG가 상기 제어 서버에 수신된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단말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경우에 인증 완료 정보,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되, 상품 정보의 경우에 가입자가 가입한 고정 IP 서비스에 따른 총 고정 IP 주소 개수 및 미사용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서버가 해당 사실을 알리는 정책을 생성하여 상기 BNG에 전달하고, 상기 BNG가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하는 단계;
    상기 BNG가 상기 단말을 웹포털 서버로 강제로 접속시키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전달 받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확인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고, 가입자가 사용 중인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현재 사용 및 미사용 중인 고정 IP 개수와, 사용 중인 고정 IP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3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가입자에 대한 본인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본인확인 정보가 인증 서버에 기 저장된 인터넷 회선의 가입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인증하며,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4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할당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해당 사용 가능한 고정 IP에 대한 예약 정보를 상기 DHCP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DHCP 서버가 예약된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가 유동 IP 주소나 다른 단말의 고정 IP 주소로 비 사용되게 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제5웹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예약 완료된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를 자신의 고정 IP 주소 사용할 것에 대한 최종 확정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해당 최종 확정 정보를 상기 DHCP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DHCP 서버가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최종 확정된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켜 저장 관리하며, 해당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웹포털 서버가 최종 확정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고정 IP 주소의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단계는,
    상기 가입자의 기 신청 고정 IP 주소 개수 중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DHC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단계는,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를 인증된 단말이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공인 IP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 IP 주소가 할당된 단말로 해당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서비스 제공 단계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의 사용량 관리 또는 정책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7. DHCP 서버에 접속하여 DHCP에 따른 유동 IP 주소를 기 할당 받은 가입자의 단말에 대해 인증을 수행한 후 ISP에 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인 고정 IP 주소를 시스템의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제1 설정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에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 중 하나의 고정 IP 주소와 인증된 단말의 미디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정보와 특정의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제2 설정 과정을 수행하며, 단말이 DHCP 서버에 DHCP를 이용해 상기 MAC 정보를 전송하면서 IP 주소 할당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경우, DHCP 서버가 상기 MAC 정보와 매칭된 상기 고정 IP 주소를 단말로 전송하여 할당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의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어댑터와 접속하는 액세스 모뎀, 상기 액세스 모뎀의 신호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백본 라우터(backbone router)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
    상기 액세스 모뎀과 연결되어 상기 단말의 인터넷 접속을 관리하는 브로드밴드 네트워크 게이트웨이(Broadband Network Gateway; BNG);
    상기 BNG를 제어 관리하는 제어 서버;
    상기 BNG 및 상기 제어 서버를 거쳐 전달되는 상기 단말의 정보에 대해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입자 및 그의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서버;
    상기 가입자의 단말이 인증된 경우, ISP에 기 할당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를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는 설정 서버;
    인증된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가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주소 중 하나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웹포털 서버; 및
    고정 IP 주소의 현황을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정 과정의 수행 시,
    상기 BNG가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BNG가 제어 서버에 상기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제어 서버가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상기 단말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경우에 인증 완료 정보,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서버가 수신된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회선 속도를 포함한 가입자의 가입된 고정 IP 서비스의 정책을 생성하여 상기 BNG에 전달하고, 상기 BNG가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하며, 상기 BNG가 상기 단말을 웹포털 서버에 강제 접속시키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전달 받아 확인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확인한 상기 가입자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달하면서 상기 단말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고정 IP 주소를 미사용 중인 경우에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웹포털 서버가 고정 IP 주소 설정의 시작을 원하는지에 대한 의사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는 제1웹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제1웹페이지에 따라 고정 IP 주소 할당이 요청되는 경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해당 요청 사항 및 상기 관리 서버부터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설정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설정 서버가 전달 받은 사용 가능 IP 주소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요청 사항에 대한 접수 완료를 알리는 제2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정 과정의 수행 시,
    상기 BNG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BNG가 상기 제어 서버에 수신된 접속 정보를 전달하면서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제어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접속 정보에 따른 단말이 고정 IP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자의 단말인지를 인증한 후, 인증된 경우에 인증 완료 정보, 가입자 정보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로부터 수신하되, 상품 정보의 경우에 가입자가 가입한 고정 IP 서비스에 따른 총 고정 IP 주소 개수 및 미사용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 상기 제어 서버가 해당 사실을 알리는 정책을 생성하여 상기 BNG에 전달하고, 상기 BNG가 수신된 해당 정책을 적용하여 수행하며,
    상기 BNG가 상기 단말을 웹포털 서버로 강제로 접속시키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전달 받아 확인하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확인한 상기 가입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달하면서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이 현재 고정 IP 주소를 할당 받아 사용 중인지를 확인하고, 가입자가 사용 중인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현재 사용 및 미사용 중인 고정 IP 개수와, 사용 중인 고정 IP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3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가입자에 대한 본인확인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웹포털 서버가 상기 인증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본인확인 정보가 인증 서버에 기 저장된 인터넷 회선의 가입자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인증하며, 인증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4웹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에 대한 할당 요청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해당 사용 가능한 고정 IP에 대한 예약 정보를 상기 DHCP 서버에 전달하며,
    상기 DHCP 서버가 예약된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가 유동 IP 주소나 다른 단말의 고정 IP 주소로 비 사용되게 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예약 완료를 나타내는 제5웹페이지를 상기 단말로 제공하며,
    예약 완료된 사용 가능한 고정 IP 주소를 자신의 고정 IP 주소 사용할 것에 대한 최종 확정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웹포털 서버가 해당 최종 확정 정보를 상기 DHCP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DHCP 서버가 상기 단말의 MAC 정보 및 최종 확정된 고정 IP 주소를 매칭시켜 저장 관리하며, 해당 정보를 상기 제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웹포털 서버가 최종 확정한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고정 IP 주소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관리 서버가 고정 IP 주소의 현황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웹포털 서버는,
    상기 가입자의 기 신청 고정 IP 주소 개수 중 미사용 개수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DHCP 서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웹포털 서버는,
    인증된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에 설정된 하나 이상의 공인 IP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한 웹 페이지를 인증된 단말에 제공하며, 해당 웹 페이지에서 인증된 단말에 의해 선택된 공인 IP와 인증된 단말의 MAC 정보를 매칭시키도록 DHCP 서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NG는,
    고정 IP 주소가 할당된 단말로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여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해당 단말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 대한 세션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NG는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단말의 사용량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 서버는 생성된 사용량 정보를 전달 받아 인증 서버에 제공하되, 단말에 대한 정책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인증 서버는 기 저장된 가입자 정보 및 가입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전달된 사용량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IP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80155986A 2018-12-06 2018-12-06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545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86A KR102545680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5986A KR102545680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971A KR20200068971A (ko) 2020-06-16
KR102545680B1 true KR102545680B1 (ko) 2023-06-19

Family

ID=7114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5986A KR102545680B1 (ko) 2018-12-06 2018-12-06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56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7057A (ja) * 2016-07-04 2018-01-11 エイチ・シー・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サーバ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0181A (ko) * 2016-11-04 2018-05-14 주식회사 케이티 모뎀 장치 및 고정 ip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7057A (ja) * 2016-07-04 2018-01-11 エイチ・シー・ネットワークス株式会社 サーバ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971A (ko) 202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5621B (zh) 接入网关的方法及装置
KR100766067B1 (ko) 인터넷 서비스망에서의 게스트 액세스 허용을 통한 사용자이동성 지원 방법 및 장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과금 방법
JP6526248B2 (ja) 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CN101527655B (zh) 用于资源访问控制的动态简档系统
CN108881232A (zh) 业务系统的登录访问方法、装置、存储介质和处理器
CN109462831B (zh) 一种用于移动终端中应用程序访问网络的方法、分发服务器以及系统
WO2015180364A1 (zh) 一种网络接入点托管的方法及系统
KR100953595B1 (ko) 홈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관리 시스템
CN103997479B (zh) 一种非对称服务ip代理方法和设备
CN102215486B (zh) 接入网络的方法及系统、网络认证方法及设备、终端
KR20080069610A (ko) 선불 사용자를 위한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US8797898B2 (en) Open wireless access network apparatus and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0958651B2 (en) Method of providing nomadic service through virtual residential gateway
US20150230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ip address of machine-typ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545680B1 (ko) 고정 ip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14625A (ko) 사설 네트워크를 갖는 네트워크에서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9525991B (zh) 一种进行网络登录的方法、分发服务器及系统
CN116996908A (zh) 主从网关和无线ap的融合管理方法、装置、设备和介质
CN110855596B (zh) 一种通信连接方法、装置、通信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198540A (zh) 认证方法及装置
JP2013105250A (ja) アクセス回線特定・認証システム
US20130054810A1 (en) Media service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service interworking in convergence media service devlivery system
KR20140086227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이를 구비한 시스템
JP2000259537A (ja) 接続管理システム、方法及び記録媒体
KR20120091706A (ko) 인터넷 회선정보를 이용한 단말 접속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