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449B1 -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449B1
KR102545449B1 KR1020220119938A KR20220119938A KR102545449B1 KR 102545449 B1 KR102545449 B1 KR 102545449B1 KR 1020220119938 A KR1020220119938 A KR 1020220119938A KR 20220119938 A KR20220119938 A KR 20220119938A KR 102545449 B1 KR102545449 B1 KR 10254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mount
power generation
generation
micro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경석
오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220119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5449B1/ko
Priority to PCT/KR2022/016250 priority patent/WO202406319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4Generation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energy gen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6Energy services, e.g. dispersed generation or demand or load or energy savings aggreg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은,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며, 상호 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설정부; 보조 발전 장치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판단부; 및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deeming greenhouse gas reduction performance for stand-alone microgrid}
본 발명은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최대한으로 빠른 시간 안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micro grid)는 도서지역이나 비전화지역의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소규모 전력공급시스템이다. 이러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는 과거 디젤 발전을 이용하여 운영되었으나, 탄소 배출 절감 등과 같은 이슈로 인해 디젤 발전을 대신하여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에너지저장시스템(ESS; electric power storage system)을 도입하여 운영되고 있다. 여기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디젤 발전에 비하여 설비 구축 비용이 상당한 높아,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는 탄소 배출 절감을 고려하여 디젤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되고 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 발전에서 태양광 발전 및 풍력 발전은 날씨의 영향을 상당히 받아 에너지 생산량 변동을 초래하고 있다. 여기서,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서는 수용가에서 필요로 하는 소비 전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대 발전량이 예측되는 데,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발전량은 날씨의 영향으로 기대한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 기대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발전량은 디젤 발전에 의한 전력으로 대체된다. 즉,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따른 발전량이 기대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디젤 발전에 따른 발전량의 증가가 초래된다. 이로 인해, 온실가스 절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온실가스 절감 실적이 확인되는 데에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고, 온실가스 절감 실적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온실가스 감축 상태를 바탕으로 하여 신속하게 계획대로 온실 가스 감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은,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 및 관리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며, 상호 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설정부; 보조 발전 장치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판단부; 및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행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및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포함하고, 전력 소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을 포함하며, 발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 및 시간대별 날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전 방식은 디젤발전 및 신재생에너지발전을 포함하고, 정보 설정부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하고,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하며,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때, 정보 설정부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발전 장치는 청정 수소를 저장한 수소 탱크 및 수소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보조 정보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하며, 설정 판단부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하며,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을 비교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실행 안내부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가능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으로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하고, 실행 안내부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은, (a) 정보 설정부가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정보 설정부가 상호 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설정 판단부가 보조 발전 장치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실행 안내부가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발전 방식은 디젤발전 및 신재생에너지발전을 포함하고, 정보 설정부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하고,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하며, (b) 단계에서,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때, 정보 설정부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발전 장치는 청정 수소를 저장한 수소 탱크 및 수소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보조 정보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하며, (c)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하며,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을 비교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d)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실행 안내부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c)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가능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으로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하고, (d) 단계에서, 실행 안내부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온실 가스 감축이 마이크로그리드의 온실가스 감축 상태를 바탕으로 하여 신속하게 계획대로 달성되도록 한다.
(2)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탄소배출권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은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 관리자 단말기(20) 및 보조 발전 장치(30)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 설정부(101), 설정 판단부(102) 및 제어 안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그리드(미도시 됨)는 디젤 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발전(예를 들어,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에 의한 발전 장치(미도시 됨) 및 복수 개의 수용가(미도시 됨)들에 연결되고, 발전 장치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복수 개의 수용가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는 마이크로그리드에 연결되어 발전 장치의 상태 및 수용가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따른 마이크로그리드를 관리하고,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연결된 보조 발전 장치(30)를 관리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발전 장치(30)는 청정 수소를 저장한 수소 탱크 및 수소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고, 청정 수소는 수소 제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거나 현저하게 적게 배출하는 수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 설정 판단부(102) 및 제어 안내부(103)는 프로세서, 메모리, 데이터 송수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과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기(20)에서 구동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웹 페이지에서 로그인을 한 후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접속하도록 하거나, 관리자 단말기(20)에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구동될 수도 있다.
관리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1)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탑(Desktop), 랩탑(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는 네트워크(1)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정보 설정부(101)는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및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예측되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기대 발전량은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탄소배출권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 기준 이내로 디젤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은 수용가의 전력으로 작동하는 물품(예를 들어, 전기제품, 전등 등)의 사용 시간 및 소비 전력을 바탕으로 하여 예측되어 시간 단위로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은 디젤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발전 장치별로 생성될 수 있는 전력을 바탕으로 예측되어 시간 단위로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태양광 또는 태양열인 경우에는, 일몰 시각 이후와 일출 시각 이전 사이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0일 수 있고, 일출 시각 이후와 일몰 시각 이전 사이에는 시간대별로 상이한 조사량을 가져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의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은 수용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발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 및 시간대별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은 디젤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은 발전 장치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을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는 시간대의 발전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작동, 불량, 고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날씨 정보는 시간대의 풍량, 일조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적 정보는 판단 발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디젤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발전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발전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로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디젤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는 상호 간에 동일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설정부(101)는 디젤 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과 디젤 발전에 대응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디젤 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 발전에 대응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디젤 발전으로 인해 예상 및 기대보다 많은 전력이 생산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과도한 디젤 발전으로 인해 온실가스의 감축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설정부(101)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충 발전량은 디젤 발전의 발전 장치를 이용하는 대신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발전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발전량을 의미할 수 있다.
설정 판단부(102)는 보조 발전 장치(30)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정보는 보조 발전 장치(30)의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설정 판단부(102)는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개월일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는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과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판단부(102)는 기준 기간 내에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에서 발전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이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반면에,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이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가능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을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실행 안내부(103)는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정보는 판단 정보를 바탕으로 한 보조 발전 장치(30)의 조작에 따른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실행 안내부(103)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한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실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를 통해 발전하여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고 해당 마이크로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실행 안내부(103)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소 보충량은 현재 보조 발전 장치(30)에서 보충 발전량만큼 전력을 발전하는 데에 있어서 부족한 수소양을 의미할 수 있다.
실행 안내부(103)는 생성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한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실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수소 보충량에 대응되는 양만큼의 청정 수소가 보조 발전 장치(30)의 수소 탱크에 공급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청정 수소가 수소 보충량만큼 보조 발전 장치(30)에 공급된 상태에서, 관리자는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를 통해 발전하여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고 해당 마이크로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서 정보 설정부(101)는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적 정보와 계획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완 정보는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 대한 보충 발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는 보조 발전 장치(30)를 이용하여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실행 안내부(103)는 판단 정보에 따라 보조 발전 장치(30)에 대한 조치를 관리자로 하여금 취할 수 있도록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은 관리자로 하여금 마이크로그리드의 온실가스 감축 상태에 맞게 계획대로 온실 가스 감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조 발전 장치(30)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온실 가스 감축을 통해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은 관리자 단말기(20)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상태에 맞게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보조 발전 장치(30)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은 앞서 언급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정보 설정부(101)가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및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예측되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기대 발전량은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탄소배출권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 기준 이내로 디젤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은 수용가의 전력으로 작동하는 물품(예를 들어, 전기제품, 전등 등)의 사용 시간 및 소비 전력을 바탕으로 하여 예측되어 시간 단위로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은 디젤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발전 장치별로 생성될 수 있는 전력을 바탕으로 예측되어 시간 단위로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이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태양광 또는 태양열인 경우에는, 일몰 시각 이후와 일출 시각 이전 사이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0일 수 있고, 일출 시각 이후와 일몰 시각 이전 사이에는 시간대별로 상이한 조사량을 가져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소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가의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은 수용가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을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또한, 발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10)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 및 시간대별 날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은 디젤 발전, 신재생에너지 발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은 발전 장치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을 시간 단위로 측정하여 산출될 수 있고, 시간 단위는 1시간 단위, 30분 단위, 10분 단위 등일 수 있다.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는 시간대의 발전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작동, 불량, 고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시간대별 날씨 정보는 시간대의 풍량, 일조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적 정보는 판단 발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디젤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발전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되는 판단 발전량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로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디젤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설정부(101)는 2022년 6월 1일 0시부터 2022년 6월 30일 24시까지의 설정 기간 동안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의 발전 방식을 포함하는 발전 장치들의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정보 설정부(101)가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는 상호 간에 동일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정보 설정부(101)는 디젤 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과 디젤 발전에 대응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디젤 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 발전에 대응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수 있다. 이는 디젤 발전으로 인해 예상 및 기대보다 많은 전력이 생산된 것을 의미할 수 있고, 과도한 디젤 발전으로 인해 온실가스의 감축을 달성하지 못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설정부(101)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충 발전량은 디젤 발전의 발전 장치를 이용하는 대신에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발전 장치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발전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어서, 설정 판단부(102)가 보조 발전 장치(30)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정보는 보조 발전 장치(30)의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할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특히, 설정 판단부(102)는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기간은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간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1개월일 수 있다.
또한, S103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102)는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과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을 비교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판단부(102)는 기준 기간 내에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에서 발전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이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반면에,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이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102)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을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실행 안내부(103)가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하는 단계(S104)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실행 정보는 판단 정보를 바탕으로 한 보조 발전 장치(30)의 조작을 위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103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S104 단계에서, 실행 안내부(103)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한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실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를 통해 발전하여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고 해당 마이크로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S103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102)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S104 단계에서, 실행 안내부(103)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소 보충량은 현재 보조 발전 장치(30)에서 보충 발전량만큼 전력을 발전하는 데에 있어서 부족한 수소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행 안내부(103)는 생성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한 실행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20)를 통해 실행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수소 보충량에 대응되는 양만큼의 청정 수소가 보조 발전 장치(30)의 수소 탱크에 공급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청정 수소가 수소 보충량만큼 보조 발전 장치(30)에 공급된 상태에서, 관리자는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보조 발전 장치(30)를 통해 발전하여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에 저장하고 해당 마이크로그리드에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에서 정보 설정부(101)는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실적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실적 정보와 계획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완 정보는 온실가스 감축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력에 대한 보충 발전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판단부(102)는 보조 발전 장치(30)를 이용하여 보충 발전량만큼의 전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실행 안내부(103)는 판단 정보에 따라 보조 발전 장치(30)에 대한 조치를 관리자로 하여금 취할 수 있도록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온실 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은 관리자로 하여금 마이크로그리드의 온실가스 감축 상태에 맞게 계획대로 온실 가스 감축을 달성할 수 있도록 보조 발전 장치(30)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온실 가스 감축을 통해 마이크로그리드에 대한 탄소배출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 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혹은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힌다.
100: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101: 정보 설정부
102: 설정 판단부
103: 실행 안내부

Claims (12)

  1.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 관리자 단말기 및 보조 발전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며, 상호 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설정부;
    보조 발전 장치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설정 판단부; 및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행 안내부를 포함하되,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및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포함하고,
    전력 소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을 포함하며,
    발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 및 시간대별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발전 방식은 디젤발전 및 신재생에너지발전을 포함하고,
    정보 설정부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하고,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하며,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때, 정보 설정부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하고,
    보조 발전 장치는 청정 수소를 저장한 수소 탱크 및 수소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보조 정보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하며,
    설정 판단부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하며,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을 비교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설정 판단부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실행 안내부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하고,
    설정 판단부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가능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으로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하고,
    실행 안내부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 정보 설정부가 마이크로그리드의 계획 정보를 저장하고,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로부터 전력 소비 정보 및 발전 정보를 전송받아 설정 기간에 따른 실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정보 설정부가 상호 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와 실적 정보를 비교하여 보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설정 판단부가 보조 발전 장치로부터 보조 정보를 전송받아 발전 가능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발전 가능 정보와 보완 정보를 비교하여 판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실행 안내부가 판단 정보에 따른 실행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계획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의 시간대별 예측 전력 소비량,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및 발전 장치의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포함하고,
    전력 소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수용가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전력 소비량을 포함하며,
    발전 정보는 마이크로그리드 관리 서버에 연결된 마이크로그리드에 대응되는, 발전 장치의 발전 방식, 발전 장치에서 측정된 시간대별 발전량, 시간대별 발전 상태 정보 및 시간대별 날씨 정보를 포함하고,
    발전 방식은 디젤발전 및 신재생에너지발전을 포함하고,
    정보 설정부는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기대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기대 발전량을 생성하여 계획 정보에 포함하고, 설정 기간에 대응하도록, 발전 방식별로 시간대별 발전량을 합산하여 판단 발전량을 생성하여 실적 정보에 포함하며,
    (b) 단계에서,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실적 정보의 판단 발전량이 디젤발전에 대응되는 계획 정보의 판단 기대 발전량보다 클 때, 정보 설정부는 판단 발전량과 판단 기대 발전량의 차이값을 보충 발전량으로 산출하여 보완 정보에 포함하고,
    보조 발전 장치는 청정 수소를 저장한 수소 탱크 및 수소 연료 전지를 포함하고, 보조 정보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포함하며,
    (c)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는 수소 탱크의 청정 수소 저장량을 바탕으로 하여 기준 기간 동안 공급 가능 발전량을 산출하여 발전 가능 정보에 포함하며, 보완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발전 가능 정보의 공급 가능 발전량을 비교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 이하일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고,
    보충 발전량이 공급 가능 발전량보다 클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하며,
    (c)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가 공급 가능으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d) 단계에서, 실행 안내부는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하고,
    (c) 단계에서, 설정 판단부가 공급 불가로 판단 정보를 생성할 때, 설정 판단부는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의 보충 발전량과 공급 가능 발전량의 차이값을 산출하여 추가 보충 발전량으로 생성하고 공급 불가에 따른 판단 정보에 포함하고,
    (d) 단계에서, 실행 안내부는 추가 보충 발전량에 대응하는 수소 보충량을 산출하여, 산출된 수소 보충량과 함께 보충 발전량 및 판단 정보에 대응되는 마이크로그리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행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119938A 2022-09-22 2022-09-2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KR10254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38A KR102545449B1 (ko) 2022-09-22 2022-09-2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PCT/KR2022/016250 WO2024063193A1 (ko) 2022-09-22 2022-10-24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938A KR102545449B1 (ko) 2022-09-22 2022-09-2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5449B1 true KR102545449B1 (ko) 2023-06-20

Family

ID=8699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938A KR102545449B1 (ko) 2022-09-22 2022-09-22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45449B1 (ko)
WO (1) WO202406319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901A (ja) * 2002-03-27 200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発電システム
JP2016093016A (ja) * 2014-11-06 2016-05-23 富士電機株式会社 運転計画生成装置、運転計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28481A (ko) * 2016-04-05 2018-12-03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풍력 발전 시스템
KR20200037550A (ko) * 2018-10-01 2020-04-09 한국전력공사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52B1 (ko) * 2015-09-03 2017-02-07 한국전력공사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장치 및 방법
JP7438029B2 (ja) * 2020-06-08 2024-02-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6901A (ja) * 2002-03-27 2003-10-10 Mitsubishi Heavy Ind Ltd 発電システム
JP2016093016A (ja) * 2014-11-06 2016-05-23 富士電機株式会社 運転計画生成装置、運転計画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28481A (ko) * 2016-04-05 2018-12-03 보벤 프로퍼티즈 게엠베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 및 풍력 발전 시스템
KR20200037550A (ko) * 2018-10-01 2020-04-09 한국전력공사 독립형 마이크로 그리드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193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15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timizing microgrid power generation and management with predictive modeling
Nikmehr et al. Optimal operation of distributed generations in micro‐grids under uncertainties in load and renewable power generation using heuristic algorithm
KR102488289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99791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crogrid power generation and management
Wang et al. Optimal expansion planning of isolated microgrid with renewable energy resources and controllable loads
KR101678857B1 (ko)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전력 수급, 전력 수급 예측 및 전력 공유 제어 장치
Quijano et al. Stochastic assessment of distributed generation hosting capacity and energy efficiency in active distribution networks
Ghasemi et al. Integrated energy scheduling under uncertainty in a micro energy grid
Norouzi et al. Bi-level fuzzy stochastic-robust model for flexibility valorizing of renewable networked microgrids
Sadeghian et al. Generation maintenance scheduling in virtual power plants
Liu et al. Bi-level dispatch and control strategy based on model predictive control for community integrated energy system considering dynamic response performance
Skarvelis-Kazakos et al. Implementing agent-based emissions trading for controlling Virtual Power Plant emissions
Ameli et al. Coordinated operation strategies for natural gas and power systems in presence of gas‐related flexibilities
Veldman et al. Smart grids put into practice: Technological and regulatory aspects
Stefanov et al. Decision support for restoration of interconnected power systems using tie lines
KR102173207B1 (ko) 분산 전원의 스케쥴링 및 실시간 제어를 통한 빌딩 에너지 관리 장치
Manzano et al. Economic predictive control for isolated microgrids based on real world demand/renewable energy data and forecast errors
Ullah et al. Modelling and analysis of virtual power plants interactiv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in distribution systems
Taherkhani et al. Wind farm optimal connection to transmission systems considering network reinforcement using cost‐reliability analysis
Asgharian et al. Multi‐stage bi‐level linear model for low carbon expansion planning of multi‐area power systems
Farzin et al. A hierarchical scheme for outage management in multi‐microgrids
Ghavidel et al. Hybrid power plant bidding strategy for voltage stability improvement, electricity market profit maximization, and congestion management
Muthubalaji et al. IoT based energy management in smart energy system: A hybrid SO2SA technique
KR102545449B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실적 보완 시스템 및 방법
Zhao et al. Collaborative control of thermostatically controlled appliances for balancing renewable generation in smart gr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