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511B1 -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 Google Patents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511B1
KR102544511B1 KR1020200142858A KR20200142858A KR102544511B1 KR 102544511 B1 KR102544511 B1 KR 102544511B1 KR 1020200142858 A KR1020200142858 A KR 1020200142858A KR 20200142858 A KR20200142858 A KR 20200142858A KR 102544511 B1 KR102544511 B1 KR 102544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unit
sound
fish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28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57811A (en
Inventor
강준구
여홍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4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511B1/en
Publication of KR20220057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78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5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44Special adaptations for subaqueous use, e.g. for hyd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구, 수중에서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수중으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생성출력장치,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 및 상기 부구와 상기 구동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음향생성출력장치는, 케이스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중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에 결합 설치되어 수중의 탐지 범위 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이벤트감시부를 포함하며;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수집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태양광수집부를 통해서 수상에서 수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발전시켜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하면서 설치 대상 지역에서 부유하면서 수중의 이벤트 상황에 따라 어류가 혐오하는 어류 회피 음향을 수중에 발생시켜 전파하는 태양광 발전형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 a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that recognizes an event occurrence situation in water and outputs a fish avoidance sound underwater, a drive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d driv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and the float and the drive control device. Includes a case to be installed;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underwater in a state of being located underwater by a wire connected to a case, and an event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audio output unit and detecting motion within a detection range underwater in real time. contains; It is equipped with a solar collector that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operates as a power supply that converts solar energy collected on the water surface through the solar collector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it while floating in the installation target are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powered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d propagates a fish avoidance sound that fish hate in water according to an event situation.

Description

태양광 발전형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Solar Powered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or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형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수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발전시켜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하면서 이벤트 상황에 따라 음향신호를 수중으로 출력 전파하며 유실 방지에 효과적인 구성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형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powered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ource that converts solar energy collected from the water into electrical energy and outputs a sound signal into the water according to the event situation. It relates to a solar-powered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effective for propagating and preventing loss.

일반적으로 발전소·공장 등의 시설물에서는 필요한 용수를 바다나 하천에서 취수하게 되는데, 용수를 취수하는 취수부에 어류가 접근하게 되면 취수부가 막혀서 취수가 어렵게 되거나 또는 용수와 함께 어류가 시설물로 유입되어 시설물에서의 용수 흐름을 저해하고 그에 따라 시설물에 손상을 가져오고 어류가 폐사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facilities such as power plants and factories take necessary water from the sea or river. When fish approach the water intake, the water intake is blocked, making it difficult to take in water, or fish and water flow into the facility, causing damage to the facilit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low of water in the water is hindered, resulting in damage to facilities and the death of fish.

따라서 발전소·공장시설 주변 수상 내지 수중에서 어류를 퇴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437호에는 어종 및 어군 규모를 자동적으로 감지하여 어류가 혐오하는 어류 회피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어류가 시설물의 취수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hat can eliminate fish in the water or in the water around power plants and factory facilities. A prior art for preventing fish from entering a water intake of a facility by generating a fish-avoiding sound that is abhorrent to fish is disclosed.

이러한 해양생물 퇴치 기술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수중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발생시키는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필요하고,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필요한 수중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는 해수면에 뜨는 부상체가 사용될 필요가 있다.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구현함에 있어서 전원 공급원으로 배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배터리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유지 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implementing such marine life extermination technology,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 fish avoidance sound underwater is required, and a floating object floating on the sea surface capable of maintaining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t a required underwater position needs to be used. When a battery is used as a power supply source in implementing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since a battery replacement operation must be performed on a regular basis, a very cumbersome problem in maintenance may occur.

일반적으로 부상체의 재료로서 발포 스티로폼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해양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어류가 설치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차단망을 이용할 수도 있는데, 차단망을 이용할 경우, 수상 내지 수중에서 물의 흐름에 따라 떠내려 오는 이물질이 걸려서 그 무게로 인해 차단망이 훼손되거나 물의 흐름을 막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차단망에 걸린 이물질이 적체될 경우 물의 흐름과 유속 및 무게로 인해 부상체가 고정된 장소를 이탈하여 떠내려가 유실되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foamed styrofoam can be used as a material for floating bodies, bu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marine pollution. A barrier net can be used to prevent fish from entering the installation area. In the case of using a barrier ne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rrier net is damaged or the flow of water is blocked due to the weight of foreign substances floating along the flow of water from the water or underwate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foreign substances caught in the blocking net accumulate, the floating body leaves the fixed place due to the flow, velocity and weight of the water and is washed awa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6437호(2015. 01. 26.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86437 (2015. 01. 26. Not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수상에서 수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발전시켜 공급하는 전원으로 동작하면서 이벤트 상황에 따라 음향을 수중으로 출력 전파하는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operates as a power source that converts solar energy collected in the water into electrical energy and supplies it, and outputs and propagates sound into the water according to the event situ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은 접근하는 어류에 대해 최적의 방향으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어류 퇴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a fish repelling effect by outputting a fish avoidance sound in an optimal direction for an approaching fish.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치 대상 지역의 수상에서 단일 또는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그룹을 형성한 상태로 부유하면서 수집되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발전시킨 전원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와이어를 통해 수중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이벤트 상황에 따라 어류 회피 음향을 수중에 발생시켜 전파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제공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olar energy collected while floating singly or at intervals in a group form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arget area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operated as a power source, Provided is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d propagates a fish avoidance sound underwater according to an event situation in a state of being stretched underwater through a wire.

상기한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부피체로 이루어져서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구, 수중에 위치하여 수중의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수중으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생성출력장치,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 및 상기 부구와 상기 구동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케이스(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음향생성출력장치는, 케이스(170)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중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210)와, 상기 음향출력부(210)에 결합 설치되어 수중의 탐지 범위 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이벤트감시부(220)를 포함한다.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float made of a volume body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located in the water and detecting an underwater event occurrence situation and outputting a fish avoidance sound underwater, and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ing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d driv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case 170 in which the float and the driving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is coupled to the sound output unit 210 that outputs sound into the water in a state in which it is located underwater by a wire connected to the case 170, and is installed coupled to the sound output unit 210 to produce underwater sound. It includes an event monitoring unit 220 that detects motion within the detection range in real time.

본 발명에서 구동제어장치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수집부(120); 상기 태양광수집부(120)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적 동작 부위로 즉각적 또는 충전 후 공급하는 전원부(130); 원격관제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어신호, 동작데이터, 음향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0); 엠프회로를 포함하여 사전에 설정 저장된 음향을 제공하는 음향구동부(150); 상기 태양광수집부(120)와 전원부(130)가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범위 내에서 발전과 충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구동부(150)를 동작시켜 이벤트와 매칭되는 음향신호 발생을 제어하고,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관제장치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장치의 제어신호를 포함한 업로딩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solar light collecting unit 120 that collects sun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energy; A power supply unit 130 that converts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unlight collector 120 into operating power and supplies it immediately or after charging to an electrically operated part; A communication unit 1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including control signals, operation data, and sound data by connecting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 sound driver 150 including an amplifier circuit to provide pre-set and stored sound; The solar collector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control power generation, charging, and supply within a set level and a rated capacity range, and when an event generation signal is applied, the sound driving unit 150 is operated to match the event A control unit 160 that controls sound signal generation, transmits operating state data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receives, stores, and controls uploading data including control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에서, 부구(110)는 중앙에 중앙 관통경로가 관통 형성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부피체로서 속이 비어 있는 공간 부피체 또는 속이 채워져 있는 블록 부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70)는, 상부고정체(171)와 하부수용체(172)와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부고정체는 부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수용체는 부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부구를 관통하는 중앙 관통경로를 통해 연결체가 관통하여 연결체에 의해 상부고정체와 하부수용체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부구(11)는 케이스에서 상부고정체와 하부수용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고정체에는 태양광수집부가 놓여서 설치됨으로써 부구의 최상부에 태양광수집부(120)가 위치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전원부(130), 통신부(140), 음향구동부(150), 제어부(160)는 케이스(170)의 하부수용체(17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at 110 is a volume body having a central through-path formed therethrough, and may be formed of a hollow volume body or a block volume body filled with a hollow inside. The case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fixing body 171 and a lower receiving body 172 and a connecting body; The upper fixture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and the lower receptor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and the connector penetrat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pass through the float, and the upper fixture and the lower recep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float 11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fixture and the lower receiver in the case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body; The upper fixture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olar collector 120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art of the float by being installed by placing the solar collector.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30 , the communication unit 140 , the sound driving unit 150 , and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receptor 172 of the case 170 .

본 발명에서 부구(110)를 이루는 블록 부피체는 주성분인 EVA와 PE에 기능성 성분으로 CaCO3 및 TiO2를 첨가하고, 발포 유도 성분으로 JTR발포제를 설정 비율로 첨가한 혼합제가 발포 사출 성형된 부피체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volume body constituting the float 110 is the volume of a foamed injection-molded mixture in which CaCO 3 and TiO 2 are added as functional components to EVA and PE as main components, and JTR foaming agent is added at a set ratio as a foam-inducing component. can be chained

본 발명에서 제어부(160)는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및 유속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송출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60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and flow velocity detection signals into data and controlling storage and transmission operations.

본 발명에서 와이어(W)가 권취된 상태에서 모터(M)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권취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권취부(180)는 케이스(170)의 하부수용체(172)내에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nding unit 18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W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M while the wire W is wound may be further included. It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receptor 172 of.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로서 음향출력부(210)는 함체형 케이스(211); 상기 함체형 케이스(211) 내부 중앙면에 고정되는 외자형 요크(212)의 센터폴과 공극을 두고 적층되는 마그네트(213)와 탑플레이트(214)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자기회로; 상기 자기회로의 공극에 인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반응하여 직선운동(진동)하는 보이스코일(215)에 의해 떨리면서 공기의 진동을 일으켜 음향을 출력시키는 진동판(21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mponent located in the water, the sound output unit 210 includes an enclosed case 211; A magnetic circuit including a laminated body of a magnet 213 and a top plate 214 stacked with a center pole of the outer yoke 212 fixed to the inner central surface of the enclosed case 211 and a gap therebetween;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aphragm 216 that vibrates by the voice coil 215 that linearly moves (vibrates) in response to magnetic force while being drawn into the air gap of the magnetic circuit to generate air vibration and output sound.

또한 본 발명에서 이벤트감시부(220)는 단위 영역 내의 움직임을 전방위적(全方位的)으로 탐지하는 탐지기와, 상기 탐지기를 통해 움직임이 탐지되는 방향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이벤트감시부(220)는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및 유속을 검출하는 각각의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include a detector that detects motion within a unit area in all directions, and an image collector that collects images of directions in which motion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 Furthermore,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include each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and flow rate.

본 발명에서 고정부(230)는 닻으로서, 수중바닥면에 박혀 고정되는 돌기가 마련된 중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고정부(230)는 케이스(170)의 하부수용체(172) 내에 구비된 고정용권취부(190)에 권취된 와이어에 매달려 있어서, 고정용권취부(190)가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줌으로써 고정부(230)가 승하강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230 is an anchor, which may be made of a weight body provided with protrusions that are embedded and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It hangs on the wire wound around the mounting portion 190, so that the fixing portion 230 moves up and down as the fixing winding portion 190 winds or unwinds the wire.

본 발명에서 와이어는 전원부(130)와 음향출력부(210) 및 이벤트감시부(220)를 연결하는 전선 및 음향구동부(150)와 음향출력부(210) 및 제어부(160)와 이벤트감시부(220)를 연결하는 전선이 매설된 방수 전선케이블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s a wire connecting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sound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and the sound driving unit 150, the sound output unit 210, the control unit 16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 220) may be made of buried waterproof wire cables.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는, 수중에서 어류가 접근하면 어류가 혐오하는 음파를 가진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여 어류가 접근하지 않도록 하되, 수면에서 수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 전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수상에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유선으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자가발전을 통해 지속적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인력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 fish avoidance sound having a sound wave that fish hate when a fish approaches underwater to prevent fish from approaching, but operates by converting solar energy collected on the water surface into electrical energy By using it as a power source, continuous operation is performed through self-generation without using a battery on the water or supplying power from the outside by wire, and as a result, the manpower and cost required for maintenance can be greatly reduced. is exer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는 고정부를 구비함으로써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출력부가 유수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중에 위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sound output unit for generating sound can be stably positioned underwater without being lost due to running water by including the fixing uni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에서는 음향출력부가 고정부와 별도로 구비되어 개별적으로 수중에서 승하강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음향출력부가 어류의 접근 방향 및 위치에 맞춰서 용이하게 승강하면서 어류와 근접한 위치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어류 퇴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xing unit and can individually go up and down in the water. It is possible to output a fish avoidance sound at the position, and thu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fish extermination efficiency is exer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구성을 블록 단위로 표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에서 수상에 위치하는 구성부분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고정부가 더 구비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고정부가 별도로 구비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각각 음향출력부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저수지 수문 지역에 복수개로 그룹을 형성하면서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is operatin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shown in FIG. 2 in detail.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 units.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constituent parts located on the water in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ing a winding unit.
6 is a schematic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unit is installed and is operating.
FIG.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4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fixing part is separately provided.
FIG. 8 is a schematic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of FIG. 7 is installed and is operating.
9 and 10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specific embodiments of the sound output unit, respectively.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a group in a reservoir hydrological area.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편의상 청구범위를 포함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형 원격 수중 음향발생장치를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라고 약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and there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For convenience, in this specification including the claims, the photovoltaic remot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breviated as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수중에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블록 단위로 표현한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operated underwater.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shown in FIG. 2 in detail. A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block units.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설치 대상 지역의 수상에서 단일로 부유하거나 또는 복수개가 간격을 두고 그룹을 형성한 상태로 부유하면서 태양광 에너지를 수집하여 전기 에너지로 변환 발전시켜서 전원으로 이용하여 작동하며, 수중의 이벤트 상황에 따라 어류가 혐오하는 어류 회피 음향을 수중에 발생시켜 전파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부피를 가지는 부피체로 이루어진 부구(浮具)(110)와, 수중에 위치하여 수중의 이벤트(예를 들어, 어류의 접근, 기타 동체(動體)의 발견 내지 접근 등)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음향을 생성하여 수중으로 출력하는 음향생성출력장치와, 상기 음향생성출력장치를 포함한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고 구동시키는 구동제어장치와, 상기 부구 및 구동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solar energy while floating singly or in a group formed by a plurality of them at intervals on the water surface of the area to be installed, thereby collecting electrical energy. It is a device that generates and propagates the fish avoidance sound that fish hate according to the underwater event situation in the water.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at 110 made of a volume body having a volume to generate buoyancy, and an underwater event (eg, approach of fish,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that generates and outputs sound underwater by grasping the occurrence situation (discovery or approach of other bodies) and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including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control device for driving and driving, and a case in which the float and the drive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우선 수상에 위치하는 "수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부구(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3의 단면도에 예시된 것처럼 부구(110)는 중앙이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속이 비워져 있는 상태로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공간 부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속이 채워져 있는 상태로 소정의 부피를 가지는 "블록 부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First, looking at the floating sphere 110 corresponding to the "aquatic component"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as illustrated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the float 110 may have a shape through which the center is penetrated. It may be made of a "space volume body" having a volume of , or, on the contrary, it may be made of a "block volum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in a filled state.

부구(110)를 이루는 블록 부피체는, 주성분인 EVA와 PE에 기능성 성분으로 CaCO3 및 TiO2를 첨가하고, 발포 유도 성분으로 JTR발포제를 설정 비율로 첨가한 혼합제를 이용하여 발포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부구(110)의 제작시에 주성분으로서 EVA(ethylene-Vinyl Acetate ;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PE(polyethylene ; 폴리에틸렌)를 사용할 수 있는데, EVA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를 결합한 화학 신소재로 투명하고 접착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PE는 열가소성의 범용수지로서, 기계적 성능, 내습, 방습성, 내한성, 내약품성, 전기절연성에 뛰어나고 성형성도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PE는 제조의 가압조건에 따라 결정화도(結晶化度)가 낮은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결정화도가 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2종류가 적용될 수 있다. The block volume forming the float 110 is manufactured by foam injection molding using a mixture in which CaCO 3 and TiO 2 are added as functional components to EVA and PE as main components, and JTR foaming agent is added in a set ratio as a foam inducing component. may have been EVA (ethylene-Vinyl Acetate) and PE (polyethylene) can be used as main components in the manufacture of the float 110. EVA is a new chemical material combining ethylene and vinyl acetate, which is transparent, adhesive and flexible. PE is a general-purpose thermoplastic resin and has excellent mechanical performance, moisture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cold resistance, chemical resistance, electrical insulation, and excellent moldability. Two types of PE can be applied, depending on pressurization conditions for production: low-density polyethylene with low crystallinity and high-density polyethylene with high crystallinity.

부구(110)를 제작함에 있어서, ZnO 및 neoprene(네오프렌)를 첨가할 수도 있는데, 네오프렌은 탄력성이 좋고 분자량이 큰 합성 유기화합물(중합체) 고무와 비슷하며, 좀 더 간단한 화합물인 2 - 클로로 - 1, 3 - 부타디엔(클로로프렌)을 결합시켜 만든다. 네오프렌은 기름, 용매, 열, 풍화 등에 대하여 천연고무보다 더 잘 견딘다. 이와 같이 주성분이 EVA, PE를 포함한 EPE(expanded polyethylene)를 포함하는 재료로 부구(110)를 제작하게 되면, 내구성, 내습성, 방습성, 내한성 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manufacturing the float 110, ZnO and neoprene (neoprene) may be added. Neoprene is a synthetic organic compound (polymer) with good elasticity and high molecular weight, similar to rubber, and a simpler compound, 2-chloro-1. , 3 - It is made by combining butadiene (chloroprene). Neoprene resists oil, solvents, heat and weathering better than natural rubber. In this way, when the float 110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expanded polyethylene (EPE) including EVA and PE as a main component, durability, moisture resistance, moisture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the like can be greatly improved.

부구(110)를 제작할 때, 기능성 성분인 CaCO3(calcium carbonate ; 유리탄산칼슘)을 첨가하게 되면 상기한 기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게 되며, TiO2(titanium dioxide ; 이산화티타늄)를 강화성분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TiO2는 타이타늄 원자 하나와 산소 원자 2개가 결합된 분자로서 분자량은 79.866g/mol이며, 무미무취의 흰색 가루이다. 타이타늄을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쉽게 산소와 반응하여 이산화 타이타늄 피막을 형성한다. 자외선 차단제 3.0~3.2eV로 상대적으로 큰 편이기 때문에 자외선(u.v;ultraviolet wave)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광촉매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라디컬 반응력에 의해 유기물질을 산화시키며, 항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구(110)의 제작에 있어서 발포 유도 성분으로는 JTR발포제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는 발생 가스양이 많아 발포체를 제작하는데 경제적이다. 그 밖에도 부구(110)의 제작시에 ST-A, A-172, U/BLUE 및 무취가교제를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When manufacturing the float 110, adding CaCO 3 (calcium carbonate; free calcium carbonate), a functional component, can further enhance the above function, and TiO 2 (titanium dioxide; titanium dioxide) as a reinforcing component. may contain TiO 2 is a molecule in which one titanium atom and two oxygen atoms are bonded, and its molecular weight is 79.866 g/mol, and it is a tasteless and odorless white powder. When titanium is exposed to air, it readily reacts with oxygen to form a titanium dioxide film. Since the sunscreen is relatively large at 3.0 to 3.2eV, it absorbs light in the ultraviolet (uv; ultraviolet wave) range to act as a photocatalyst, oxidizing organic substances by radical reaction force, and removing antibacterial and odor. possible. In manufacturing the float 110, a JTR foaming agent may be used as a foaming inducing component, which is economical in producing a foamed body due to the large amount of generated gas.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add ST-A, A-172, U/BLUE, and an odorless crosslinking agen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float 110.

부구(110)를 발포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함에 있어서는, 1차로 불완전 형태로 발포 사출 성형한 후 2차로 완전한 형태로 성형 냉각시킴으로써 정확한 형태로 사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구(110)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블록 부피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온도, 시간 및 가압 조건을 조절하여 사출성형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갖지 않는 고밀도의 블록 부피체로 제조함으로써, 부구(110)의 내구성과 부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manufacturing the float 110 by foam injection mold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injection molding in an accurate shape by first foaming and injection molding in an incomplete shape and then molding and cooling in a second perfect shape. As mentioned above, the float 110 may be made of a block volume body. By injection molding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time, and pressurization conditions, the float 110 is manufactured as a high-density block volume body without a space therein,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and buoyancy of the float 110. can increase it.

케이스(170)는 상부고정체(171)와 하부수용체(172)와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고정체(171)는 부구(110)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수용체(172)는 부구(110)의 하부에 위치하는데, 부구(110)를 관통하는 중앙 관통경로를 통해 연결체가 관통하여 연결체에 의해 상부고정체(171)와 하부수용체(172)가 서로 연결되어 케이스(170)라는 하나의 부재를 이루게 된다. 즉, 위에는 상부고정체(171)가 위치하고 아래에는 하부수용체(172)가 위치하며 상부고정체(171)와 하부수용체(172)는 연직한 연결체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어서 케이스(170)를 형성하고 있고, 부구(110)는 케이스(170)에서 상부고정체(171)와 하부수용체(172)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The case 17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fixing body 171 and a lower receiving body 172 and a connecting body. The upper fixture 171 is located above the float 110 and the lower receptor 172 is located below the float 110. The upper fixture 171 and the lower receptor 17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one member called the case 170. That is, the upper fixture 171 is located above and the lower receptor 172 is located below, and the upper fixture 171 and the lower receptor 172 are connected by a vertical connection body to form an integral case 170. It is formed, and the float 110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fixture 171 and the lower receptor 172 in the case 170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body.

다음으로는 구동제어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동제어장치는 태양광수집부(120), 전원부(130), 통신부(140), 음향구동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Next, the driving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The driving control device includes a sunlight collecting unit 120, a power supply unit 130, a communication unit 140, a sound driving unit 150, and a control unit 160.

태양광수집부(120)는 태양광을 수집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구성으로서 부구(1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태양광수집부(120)가 케이스(170)의 상부고정체(171)에 놓여서 설치됨으로써 부구(110)의 최상부에 태양광수집부(120)가 위치하고 있다. 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않았지만, 상부고정체(171)에는 통신부(140)의 안테나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태양광수집부(120)는 복수개의 솔라 셀 모듈이 간격을 두고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태양광수집부(120)를 구성하는 솔라 셀(태양전지) 모듈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인데, PN 접합면을 가지는 반도체 접합 영역에 금지대폭보다 큰 에너지의 빛이 조사되면 전자와 양공이 발생하여 접합영역에 형성된 내부전기장이 전자는 N형 반도체로, 양공은 P형 반도체로 이동시켜 기전력이 발생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N형 반도체, P형 반도체 각각 부착된 전극이 부극과 정극이 되어 직류전류를 취하게 된다. 태양광수집부(120)는 상방에 투명한 보호 덮개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nlight collector 120 collects sunlight and converts sun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oat 11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olar collector 120 is placed on the upper fixture 171 of the case 170 and installed so that the solar collector 120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loat 110. Although not clearly shown in the drawings, the antenna of the communication unit 140 may be fixed to the upper fixture 171. The sunlight collector 120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cell module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t intervals. The solar cell (solar cell) module constituting the sunlight collector 120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When light of energy greater than the forbidden band is irradiated to a semiconductor junction region having a PN junction surface, electrons and holes The generated internal electric field formed in the junction reg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ectromotive force is generated by moving electrons to the N-type semiconductor and holes to the P-type semiconductor. The electrode attached to the N-type semiconductor and the P-type semiconductor becomes a negative electrode and a positive electrode to take direct current. The sunlight collecting unit 120 is preferably protected by a transparent protective cover on the upper side.

전원부(130)는 태양광수집부(120)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적 동작 부위로 즉각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충전 후 공급하는 구성요소로서, 구체적으로는 태양광수집부(120)에서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는 정전압회로를 포함한 전원변환회로, 및 전원을 충전하는 배터리를 포함한 충전회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unlight collector 120 into operating power and immediately supplies it to an electrically operated part or supplies it after charging. Specifically, the sunlight collector 120 applie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ower conversion circuit includ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for converting electrical energy to operating power, and a charging circuit including a battery for charging power.

통신부(140)는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원격 제어를 통해서 작동할 수 있도록 통신하게 만드는 구성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관제장치와 접속하여 제어신호, 동작데이터 및 음향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140)는, 로라망(LoRa),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 z wave 통신, 비컨 통신, 적외선 통신, 와이파이 통신, 및 이동 통신(예를 들어, 3G, 4G, 또는 5G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서비스를 통해 IoT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40)는 원격지의 원격관제장치와 정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것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복수개로 모여서 그룹을 이루어서 배치되었을 때 각각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들과 통신하여 정보 및 제어신호를 공유하면서 연동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a component that makes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 so that it can operate through remote control. It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including. The communication unit 140 is capable of performing LoR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ommunication, Bluetooth communication, z wave communication, beacon commun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Wi-Fi communication, and mobile communication (eg, 3G, 4G, or 5G communica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an IoT function through at least one communication service. The communication unit 140 not only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data and control signals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in a remote place, but also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data and control signals, and when a plurality of underwater sound generator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athered and arranged in a group, each underwater sound generator ( 100) to share information and control signals while interworking.

음향구동부(150)는 사전에 설정 저장된 어류 회피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동하는 구성요소로서, 저장된 음원을 증폭하는 앰프(AMP)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The sound driver 150 is a component that drives to generate fish avoidance sounds set and stored in advance, and includes an amplifier (AMP) circuit that amplifies the stored sound source.

제어부(16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태양광수집부(120)와 전원부(130)가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범위 내에서 발전과 충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이벤트 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구동부(150)를 동작시켜 이벤트와 매칭되는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제어하며,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관제장치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장치의 제어신호를 포함한 업로딩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olar collector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generate, charge, and supply within the set level and rated capacity range. This is controlled to be done, and when an event generation signal is applied, the sound driver 150 is operated to control the generation of a sound signal matching the event, and the operation state data is transmit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remotely. Uploading data including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stored and controlled.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ntrol circu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loaded with algorithms or programs that perform the above functions.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태양광수집부(120)와 전원부(130)가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범위 내에서 발전과 충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태양광수집부(120)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이상의 에너지가 감지되면 서지 상태를 포함한 이상 상태로 판단하여 전기에너지 유입을 차단하고, 전원부(130)로 제공되는 전기 에너지가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이상이 감지되면 전원회로로의 유입을 차단하여 전기적 회로 부분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solar collector 12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to generate power, charge, and supply within a set level and a rated capacity range. The control unit 160 determines that an abnormal state including a surge state is detected when energy greater than a set level and a rated capacity is detected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in the solar collector 120 and blocks the inflow of electrical energy, and the power supply unit When the electric energy provided to 130 is detected above the set level and rated capacity, it can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electric circuit by blocking the inflow into the power circuit.

제어부(160)는 이벤트 발생 신호가 인가되면 음향구동부(150)를 동작시켜서 이벤트와 매칭되는 음향이 발생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후술하는 이벤트감시부(220)에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자료, 예를 들면 수중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탐지하고 탐지된 물체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제공하면, 제공된 영상 데이터를 사전에 저장된 어류데이터와 비교하고, 수집된 영상 데이터가 어류인 경우에는 해당 어류에 대응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로딩하여 후술하는 음향출력부(210)를 통해 어류 회피 음향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When an event generation signal is applied, the control unit 160 operates the sound driver 150 to control sound matching with the event to be generated. When the controller 160 detects data according to event occurrence i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described later, for example, an object moving in the water, and collects and provides image data of the detected object, the provided image data is stored in fish in advance. data, and if the collected image data is a fish, the stored sound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fish is loaded, and a fish avoidance sound is output through an audio output unit 21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어부(160)는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관제장치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장치의 제어신호를 포함한 업로딩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제어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어부(160)는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유속 등에 대한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송출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60)는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알고리즘 내지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transmits operating state data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or receives, stores and controls uploading data including control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160 can perform a function of controlling storage and transmission operations by converting sensing signals for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flow rate, etc. into data.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6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ntrol circuit including a microprocessor loaded with algorithms or programs capable of performing the above functions.

이와 같이 제어부(160)는 태양광수집부(120)의 태양광 수집과 전기 에너지 변환 상태와, 전원부(130)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의 사용 상태 및 충전 상태와, 이벤트감시부(220)의 이벤트 감시 정보 및 상태와, 음향출력부(210)의 음원 저장 및 사용과 음향 출력 상태와, 후술하는 권취부(180)의 승강 상태를 포함한 장치 전반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원격관제장치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장치의 제어신호를 포함한 업로딩 데이터를 통신부(14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제어신호로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설치된 지역의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유속 등에 대한 감지신호가 이벤트감시부(220)의 해당 센서로부터 입력되어 오면, 이를 데이터화하여 저장 및 원격관제장치로 송출하는 동작을 제어한다.As such, the control unit 160 monitors the sunlight collection and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status of the solar collector 120, the use status and charging status of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nformation and status, sound source storage and use of the sound output unit 210, sound output status, operation status data of the entire device, including the elevation status of the retractor 180 to be described later, are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It transmits or receives uploading data including control signal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40 and stores and provides them as control signal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60 converts sensing signals for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flow rate, etc. of the installed area from the corresponding sensor of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nto data, stor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to control

상기한 구동제어장치는 수중에 위치하기 보다는 수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동제어장치는 "수상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이다. 구동제어장치의 각 구성부들은 하부수용체(17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케이스(170)에서 하부수용체(172)는 부구(11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하부수용체(172)의 내부에 전원부(130), 통신부(140), 음향구동부(150) 및 제어부(160)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drive control device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rather than located in the water. That is, the driving control device corresponds to the "aquatic component". Each component of the drive control device may be located in the lower receptor 172. That is, in the case 170, the lower receptor 172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float 11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communication unit 140, the sound driving unit 150 and the control unit ( 160) can be accommodated and provided.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서, 수상 구성요소로서 권취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에는 권취부(180)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서 수상에 위치하는 구성부분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권취부(180)에는 와이어(W)가 감겨져 있으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서 와이어(W)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를 원하는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정지시키게 되며, 승강을 통해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를 회수하도록 작동한다.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서 음향출력부(210)의 하부에 고정부(23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권취부(180)의 작동에 의해 고정부(230)가 수중 바닥면에 박힐 때까지 음향출력부(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ing unit 180 may be further included as an aquatic component.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ly component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ing a winding unit 180. A wire (W) is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180, and the sound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W) by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W)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fter the 220 is lowered to a desired position, it is stopped and operated to recover the sound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through the elevation.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230 may be provided under the sound output part 210. In this case, the fixing part 230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part 180. The sound output unit 210 may be lowered until it is embedded in the surface.

권취부(180)는 모터(M)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구성을 가지는데, 권취부(180)는 도 5에 예시된 것처럼 케이스(17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부수용체(172)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권취부(180)에서 와이어(W)는 권취롤러에 감겨 있다. 케이스(170)의 하부 내측에서 모터(M)는 방수구조로 보호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모터(M)는 방수베어링을 통해 권취롤러와 연결된다. 권취부(180)의 위와 같은 일련의 작동을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The winding unit 180 has a configuration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W) by the rotation of the motor (M), the winding unit 180 is a lower receptor located below the case 170 as illustrated in FIG.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accommodated inside of (172). At this time, the wire (W) in the winding unit 18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roller.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ase 170, the motor (M)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protected by a waterproof structure, and at this time, the motor (M) is connected to the winding roller through a waterproof bearing. The above series of operations of the take-up unit 18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60.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 구비된 음향생성출력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음향생성출력장치는 수중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즉, "수중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음향출력부(210) 및 이벤트감시부(220)가 포함된다. 음향생성출력장치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수중 구성요소로서 추가적으로 고정부(230)가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Next,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provided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corresponds to an underwater component, that is, an "underwater component", and includes a sound output unit 210 and an event monitoring unit 220. Although i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an additional fixing part 230 as an underwater component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는 고정부(230)가 음향출력부(210)에 직접 설치되어 구비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수중에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향생성출력장치를 이루는 음향출력부(210)는 케이스(170)와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W)의 아래쪽 단부에 결합되어서 수중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수중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부재 즉, 일종의 수증 스피커이다. 음향출력부(210)는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함체형 케이스(211), 상기 함체형 케이스(211) 내부의 중앙면에 고정되는 외자형 요크(212)의 센터폴과 공극을 두고 적층되는 마그네트(213)와 탑플레이트(214)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자기회로, 및 상기 자기회로의 공극에 인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반응하여 직선운동(진동)하는 보이스코일(215)에 의해 떨리면서 공기의 진동을 일으켜 음향을 출력시키는 진동판(216)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음향출력부(210)는 기타 수중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라면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화시켜서 구성할 수도 있다. 6 is a schematic view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xing unit 230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sound output unit 210, is operating underwater. is shown. The sound output unit 210 constituting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is a member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ire W connected to the case 170 and outputs sound underwater while hanging in the water, that is, a kind of water vapor speaker. As illustrated in FIG. 3, the sound output unit 210 is an enclosing case 211 and a magnet laminated with a gap between the center pole of the outer yoke 212 fixed to the inner central surface of the enclosing case 211. Vibration of air while vibrating by a magnetic circuit including a laminated body of 213 and top plate 214, and a voice coil 215 that linearly moves (vibrates) in response to magnetic force while being drawn into the air gap of the magnetic circuit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aphragm 216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sound. Of course, if the sound output unit 210 is a device capable of outputting sound in water,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음향생성출력장치에는 이벤트감시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벤트감시부(220)는 수중에 음향출력부(210)와 동일 위치 또는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이벤트감시부(220)는 음향출력부(210)의 외부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벤트감시부(220)는 탐지 범위 내에서의 물체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여 수중의 이벤트상황을 파악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벤트감시부(220)는 탐지된 동체(動體)의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벤트감시부(220)는 단위 영역 내의 움직임을 전방위적(全方位的)으로 탐지하는 탐지기와, 상기 탐지기를 통해 움직임이 탐지되는 방향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벤트감시부(220)에 구비되는 탐지기는, 음파의 송출과 반사 음파의 수신을 통해 탐지영역 내의 동체 즉, 움직임 물체를 감지하는 음파감지센서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탐지영역 내의 어군의 크기(규모)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어군탐지기(소나/sonar)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탐지기는 이와 같은 음파를 이용한 센서 이외에도, 기타 다른 방식을 움직임 물체를 인지하는 센서(예를 들면, 모션센서)일 수도 있다. 이벤트감시부(220)에 구비되는 영상수집기는 적외선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기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A/D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영상수집기를 통해서 주변 영상을 수집하게 된다.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event monitoring unit 22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s installed underwater at the same location as or adjacent to the audio output unit 210.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be provided in a fixed state outside the sound output unit 210 .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s a component that detects the movement of an object within a detection range in real time to determine an underwater event situatio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further perform a function of collecting images of the detected moving object. Specifically,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etector that detects movement within a unit area in all directions, and an image collector that collects images in a direction in which movement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 there is. The detector provided i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be a sound wave sensor that detects a moving object, that is, a moving object within the detection area through the transmission of sound waves and the reception of reflected sound waves. For example, the size of fish in the detection area ( It can also consist of a fish finder (sonar) that acquires data on size). The detector may be a sensor (for example, a motion sensor) that recognizes a moving object in other ways, in addition to a sensor using sound waves. The image collector provided i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be composed of an image capturing device such as an infrared camera, and may include an A/D converter that converts an analog image signal into digital image data, and may be configured through the image collector. You will collect images of your surroundings.

이벤트감시부(220)에는 추가적으로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유속 등을 검출하는 센서모듈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를 통해서 이벤트감시부(220)는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및 유속을 포함하는 설치 지역의 다양한 환경적 정보를 수집하여 원격관제장치로 제공하게 되며, 원격관제장치에서는 이를 환경 평가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일조량, 수온, 수위, 유량, 유속 등을 검출하는 센서모듈은 수중에 위치하는 이벤트감시부(22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수상 구성요소인 케이스(170)에 탑재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additionally include a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flow rate, etc., through which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ncludes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and flow rate.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area is collected and provided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device uses it as environmental evaluation data. The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sunlight,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flow rate, flow rate, etc. may be installed in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located in the water, but is also preferably mounted in the case 170, which is an aquatic component.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는 고정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고정부(230)는 음향출력부(210)의 외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의 와이어(W)와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수중바닥면에 고정됨으로써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요소이다. 고정부(230)가 수중바닥면에 고정되면,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물의 흐름에 의해 떠내려가거나 유동하지 않은 채 특정 영역에 고정되어 존재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230)는 음향출력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6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art 230 . The fixing part 230 is provided outside the sound output unit 210 or is connected to a separate wire W. It is provided as a component that exhibits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y being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When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remains fix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being washed away or floating by the flow of wat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6 , the fixing part 230 is provided under the sound output part 210 .

이와 달리 고정부(230)는 음향출력부(210)와는 별도로 와이어(W)에 매달린 형태로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Unlike this, the fixing part 23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ound output part 210 in a form hanging from the wire W.

도 7에는 고정부(230)가 별도로 구비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 4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설치되어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에 대응되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 고정부(230)는 와이어(W)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230)가 매달린 와이어(W)의 권취를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용권취부(1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용권취부(19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어지면서 고정부(230)가 승하강하게 된다. 고정용권취부(190)는 케이스(170)의 하부수용체(172) 내에 설치될 수 있다.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4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xing part 230 is separately provided, and FIG. A schematic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of 7 is installed and is operating. In the embodiment of FIGS. 7 and 8 , the fixing part 230 is provided separately to move up and down by the wire (W). A fixing winding unit 190 may be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7 for winding the wire W to which the fixing unit 230 is suspended. As the wire (W) is wound or un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unit 190 for fixing, the fixing unit 230 moves up and down. The winding unit 190 for fixing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receiver 172 of the case 170 .

한편, 고정부(230)가 수중바닥면에 박혀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30)의 구체적인 형태는 수중바닥면에 박혀 고정되는 돌기가 마련된 중량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고정부(230)는 닻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230)가 음향출력부(210) 및 이벤트감시부(220)와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는 고정부(230)와는 별개로 독립적으로 승하강하면서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pecific shape of the fixing part 230 may be made of a weight body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is embedd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o that the fixing part 230 can be firmly fixed by being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In particular, the fixing part 23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nchor. In this way, when the fixing unit 23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audio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the audio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are different from the fixing unit 230. They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independently.

음향출력부(2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음향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각각 음향출력부(210)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향출력부(210)를 구성함에 있어서, '┏┓' 형태 즉, 한글 자음 ㄷ자의 개방된 부분이 아래를 향하는 형태를 가지는 브래킷(240)을 구비하여 음향출력부(210)를 이루는 본체의 양단이 브래킷(24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음향출력부(2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브래킷(240)에는 이벤트감시부(22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241은 음향출력부(210)의 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241)이다. In configuring the sound output unit 210,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generating sound in a desired direction may be provided. 9 and 10 each show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ound output unit 210. In configuring the sound output unit 210, both ends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sound output unit 210 are provided with a bracket 240 having a '┏┓' shape, that is, a shape in which the open part of the Korean consonant U character faces downward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24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10 can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bracket 240 .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241 denotes a motor 241 for rotating the main body of the sound output unit 210 .

다음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구체적인 작동 형태에 대해 정리하여 설명한다. Next, a detailed ope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ummarized and described.

설치를 요하는 장소에서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를 부유시킨 상태로 배치하게 된다. 부구(110)는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데, 이 때 케이스(170)의 일부분은 수면에 노출된다. 와이어(W)에 연결된 수중 구성요소인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는 와이어(W)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중에서 어류가 접근하면 이벤트감시부(220)는 동체(動體)로서 어류의 접근을 감지하게 되고, 제어부(160)는 음향구동부(150)와 음향출력부(210)를 동작시켜서 어류 회피 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어류가 접근하지 않게 만든다.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a floating state at a place requiring installation. The float 110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nd at this time, a part of the case 170 is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The audio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which are underwater components connected to the wire (W), are located underwater while connected to the wire (W). In this state, when a fish approaches underwater,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detects the approach of the fish as a moving body, and the controller 160 operates the sound driving unit 150 and the sound output unit 210 to By generating a fish avoidance sound, it prevents fish from approaching.

이와 같은 형태의 작동이 이루어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경우, 태양광수집부(120)에서 수집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수상에서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유선으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자가발전을 통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작동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유지관리의 비용 및 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발휘된다. In this type of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ar energy collected by the solar collector 120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and used as an operating power source. Therefore, unlike the prior art,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inuously and repeatedly operated through self-generation without using a battery on the water or supplying external power by wire, and maintenance The advantages of reducing costs and manpower are demonstrated.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에 고정부(230)가 구비된 경우에는 고정부(230)가 수중 바닥면에 고정됨으로써,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물의 흐름에 의해 떠내려가거나 유동하지 않은 채 애초에 설치된 장소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권취부(180)를 제어하여 와이어(W)를 풀어서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를 하강시키게 되는데,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본 것처럼 고정부(230)가 음향출력부(2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음향출력부(210)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와이어(W)에 가해지는 연직하향의 하중을 제어부(160)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고정부(230)가 수중 바닥면에 도달하게 되면 와이어(W)에는 더 이상 연직하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게 된다. 제어부(160)는 위와 같이 음향출력부(210)를 하강시키는 동안에 와이어(W)에 가해지는 연직하향의 하중을 제어부(160)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와이어(W)에 더 이상 연직하향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것으로 인지되면 고정부(230)가 수중 바닥면에 도달한 것으로 간주하여 자동적으로 권취부(180)에 의한 와이어(W)의 하강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When the fixing part 230 is provided in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xing part 230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does not float or move due to the flow of water. It maintains a stable state in the place where it was installed in the first place.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take-up unit 180 to unwind the wire W to lower the audio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As review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fixing unit 230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provided below the audio output unit 210, the control unit 160 continuously monitors a vertically downward load applied to the wire W while the audio output unit 210 is lowered. When the fixing part 230 reaches the bottom of the water, a vertically downward load is no longer applied to the wire (W). The control unit 160 continuously monitors the vertically downward load applied to the wire W while the audio output unit 210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wire W is no longer subjected to a vertically downward load. If it is recognized that this is not applied, it is considered that the fixing part 230 has reached the bottom of the water, and the descending operation of the wire W by the winding part 180 is automatically stopp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권취부(190)에 의해 승하강되는 와이어(W)에 연결된 형태로 고정부(230)가 별도로 구비된 경우에는, 설치를 요하는 장소에 수중 음향발생장치(100)가 배치되어 부구(110)가 부유한 상태에서 제어부(160)가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고정용권취부(190)에 권취된 와이어(W)를 풀어서 고정부(230)를 수중으로 하강시켜 수중 바닥면에 박혀 고정되게 만든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권취부(180)를 제어하여 권취부(180)에 감겨진 와이어(W)의 감김과 풀림을 조절함으로써, 와이어(W)에 연결된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를 원하는 위치로 자유롭게 승하강시켜서 위치하게 만든다. 즉, 고정부(23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 실시예의 경우, 고정부(230)에 의해 수중 음향발생장치(100)의 유실이 방지된 상태에서 음향출력부(210)와 이벤트감시부(220)는 고정부(230)와는 별개로 독자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것처럼 어류가 접근하는 것이 확인되면, 권취부(180)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W)를 감거나 풀어서 음향출력부(210)를 어류의 접근 위치와 가까운 높이의 최적 위치로 이동시킨 후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어류가 접근하지 않게 만든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는, 고정부(230)을 구비함으로써 물살에 떠내려가 유실되는 것이 방지된 상태로 설치될 뿐만 아니라, 접근해오는 어류와 최대한 근접한 상태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어류 퇴치 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when the fixing part 230 is separately provided in the form connected to the wire W that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fixing winding part 190, underwater sound is generated in a place requiring installation. When the device 100 is arranged and the float 110 is floating, the control unit 160 outputs a control signal to unwind the wire W wound around the fixing winding unit 190 to lower the fixing unit 230 into the water. to make it anchor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And the control unit 160 controls the winding unit 180 to adjust the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wire W wound around the winding unit 180,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10 connected to the wire W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is freely raised and lowered to a desired position to make a position. That is, in the case of an embodiment in which the fixing unit 230 is provided separately, the sound output unit 210 and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are prevented from being lost by the fixing unit 230. Is that can be independently raised and lowered separately from the fixing part 230.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fish is approaching, the wire (W) is wound or un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unit 180 to move the sound output unit 210 to an optimal position at a height close to the approaching position of the fish. By outputting a fish avoidance sound, it prevents fish from approaching. In this way,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vented from being washed away by the current by providing the fixing part 230, and also produces fish avoidance sound in a stat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approaching fis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sh extermination.

앞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처럼 음향출력부(210)의 본체가 브래킷(24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가지는 경우, 이벤트감시부(220)가 접근하는 어류를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면, 제어부(160)는 이벤트감시부(220)를 기준으로 접근 어류의 위치 또는 어류가 접근하는 각도를 산출하여, 해당 각도만큼 모터(241)의 작동에 의해 음향출력부(210)의 본체를 브래킷(240)에 대해 회전시킨 상태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즉, 어류의 퇴치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방향으로 음향출력부(2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어류 퇴치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body of the sound output unit 2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240 as in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the event monitoring unit 220 detects an approaching fish.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60, the control unit 160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pproaching fish or the approaching angle of the fish based on the event monitor 220, and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41 by the corresponding angle. A fish avoidance sound is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output unit 21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40 . That is, by outputting fish avoidance sound in a state where the sound output unit 210 is positioned in the optimal direction most suitable for repelling fish, the effect of repelling fish is further maximized.

도 11에는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를 저수지 수문 지역에 복수개로 그룹을 형성하면서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를 복수개로 그룹을 형성하여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지역(예를 들어, 저수지 수문 지역, 발전소의 급수구 지역 등)에 대해 어류의 접근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수중 음향발생장치(100)를 복수개로 배치함에 있어서, "마스터(Master)"와 "종(Slave)"으로 구분하여 간격을 두고 선단 형태를 이루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어류의 접근을 더욱 완벽하게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rranging a plurality of underwater sound generator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a group in a reservoir sluice area. As shown in FIG. 11, by form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underwater sound generator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sh in a desired area (for example, a reservoir sluice area, a water supply area of a power plant, etc.) Access can be completely blocked. In particular, in arranging a plurality of underwater sound generators 100, it is possible to divide them into “Master” and “Slave” and form a tip shape at intervals, thereby making fish more accessible. It has a perfect blocking effect.

100 : 수중 음향발생장치 110 : 부구
120 : 태양광수집부 130 : 전원부
140 : 통신부 150 : 음향구동부
160 : 제어부 170 : 케이스
180,190 : 권취부 210 : 음향출력부
220 : 이벤트감시부 230 : 고정부
240 : 브래킷 241 : 모터
W : 와이어 M : 모터
100: underwater sound generator 110: float
120: solar light collection unit 130: power supply unit
140: communication unit 150: sound driving unit
160: control unit 170: case
180,190: winding unit 210: sound output unit
220: event monitoring unit 230: fixed unit
240: bracket 241: motor
W: wire M: motor

Claims (8)

설치 대상 지역에서 부유하면서 수중의 이벤트 상황에 따라 어류가 혐오하는 어류 회피 음향을 수중에 발생시켜 전파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로서,
부피체로 이루어져서 수면에 부유하게 되는 부구, 수중에 위치하여 수중의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파악하여 수중으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생성출력장치, 수중 음향발생장치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 구동하는 구동제어장치, 및 상기 부구와 상기 구동제어장치가 설치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음향생성출력장치는, 케이스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수중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중으로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와, 상기 음향출력부에 결합 설치되어 수중의 탐지 범위 내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탐지하는 이벤트감시부를 포함하며;
구동제어장치는, 태양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수집부와, 상기 태양광수집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동작 전원으로 변환하여 전기적 동작 부위로 즉각적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충전 후 공급하는 전원부와, 통신망을 통해서 원격관제장치와 접속하여 제어신호 및 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사전에 설정 저장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구동부와, 상기 태양광수집부 및 상기 전원부가 설정 레벨 및 정격용량 범위 내에서 발전과 충전 및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고 수중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음향구동부를 동작시켜 이벤트와 매칭되는 음향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며 동작상태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원격관제장치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장치의 제어신호를 포함한 업로딩 데이터를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 및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케이스는 상부고정체와 하부수용체와 연결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부고정체는 부구의 상부에 위치하고 하부수용체는 부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부구를 관통하는 중앙 관통경로를 통해 연결체가 관통하여 연결체에 의해 상부고정체와 하부수용체가 서로 연결되어 일체를 이루고; 부구는 케이스에서 상부고정체와 하부수용체의 사이에 위치하여 연결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부고정체에는 태양광수집부가 놓여서 설치됨으로써 부구의 최상부에 태양광수집부가 위치하며; 전원부, 통신부, 음향구동부 및 제어부는 하부수용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음향출력부는 한글 자음 ㄷ자의 개방된 부분이 아래를 향하는 형태를 가지는 브래킷을 구비하며;
음향출력부를 이루는 본체의 양단이 브래킷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서 음향출력부가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벤트감시부가 접근하는 어류를 감지한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면, 제어부는 이벤트감시부를 기준으로 접근 어류의 위치 또는 어류가 접근하는 각도를 산출하여, 해당 각도만큼 작동에 의해 음향출력부의 본체를 브래킷에 대해 회전시킨 상태에서, 어류 회피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that generates and propagates fish avoidance sounds that fish hate according to underwater event situations while floating in the installation target area,
A float made of a volumetric body and floating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that is located in the water and detects the underwater event occurrence situation and outputs fish avoidance sound underwater, a driving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nd driv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and a case in which the float and the driving control device are installed;
The sound generating output device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sound underwater in a state of being located underwater by a wire connected to a case, and an event monitoring unit coupled to the audio output unit and detecting motion within a detection range underwater in real time. contains;
The drive control device includes a solar collector that converts solar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 power source that converts the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solar collector into operating power and immediately supplies it to an electrical operating part or supplies it after charg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connects to a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including control signals and data, a sound drive unit that generates pre-set and stored sounds, and the solar collector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within the set level and rated capacity range. Controls power generation, charging, and supply, and when an underwater event occurs, operates the sound drive unit to control sound matching with the event, and transmits operation status data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or controls the remote control device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toring and controlling uploading data including;
The case is composed of an upper fixing body, a lower receiving body, and a connecting body;
The upper fixture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oat and the lower receptor is loca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 and the connector penetrat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pass through the float, and the upper fixture and the lower recep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nector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float is located between the upper fixture and the lower receiver in the case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nection body; The solar collector is placed on the upper fixture and installed so that the solar collecto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loat; The power suppl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acoustic drive unit and the control unit are accommodated inside the lower receptor;
The sound output unit includes a bracket having a shape in which the open part of the Korean consonant letter U faces downward;
Both ends of the main body constituting the audio output unit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so that the audio output unit can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When the event monitoring unit transmits a signal that detects an approaching fish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position of the approaching fish or the approaching angle of the fish based on the event monitoring unit, and operates the audio output unit body to the bracket by the corresponding angle.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 fish avoidance sound in a state of being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이벤트감시부는,
단위 영역 내의 움직임을 전방위적으로 탐지하는 탐지기와,
상기 탐지기를 통해서 움직임이 탐지되는 방향의 영상을 수집하는 영상수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event monitoring department
A detector for omnidirectionally detecting movement within a unit area;
An underwater sound generator comprising an image collector for collecting images of a direction in which motion is detected through the detector.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향출력부가 결합되어 있는 와이어를 모터 회전에 의해 감거나 푸는 권취부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권취부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가 감거나 풀려서 음향출력부가 승하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 winding unit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wire to which the audio output unit is coupled is further provided by rotation of the motor,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is wound or unwound by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unit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rises and fall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향출력부 자체에 구비되거나 또는 와이어와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수중바닥면에 고정됨으로써, 수중 음향발생장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art provided in the sound output part itself or connected to a wire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o prevent the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from being lost.
제5항에 있어서,
고정부는 와이어에 매달려 있고,
와이어를 감아서 풀어서 고정부를 승하강시키는 고정용권취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5,
The fixing part is suspended on a wire,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fixing winding portion for winding and unwinding the wire to raise and lower the fixing por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음향출력부는,
함체형 케이스;
상기 함체형 케이스 내부 중앙면에 고정되는 외자형 요크의 센터폴과 공극을 두고 적층되는 마그네트와 탑플레이트의 적층체를 포함하는 자기회로; 및
상기 자기회로의 공극에 인입된 상태에서 자력에 반응하여 직선운동하는 보이스코일에 의해 떨리면서 공기의 진동을 일으켜 음향을 출력시키는 진동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음향발생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2,
sound output unit,
enclosed case;
A magnetic circuit including a laminated body of a magnet and a top plate stacked with a center pole of the outer yoke fixed to the inner central surface of the enclosed case and a gap therebetween; and
An underwater sound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diaphragm that generates vibrations of air and outputs sound while being vibrated by a voice coil that moves linearly in response to magnetic force in a state drawn into the air gap of the magnetic circuit.
삭제delete
KR1020200142858A 2020-10-30 2020-10-30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KR1025445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58A KR102544511B1 (en) 2020-10-30 2020-10-30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2858A KR102544511B1 (en) 2020-10-30 2020-10-30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11A KR20220057811A (en) 2022-05-09
KR102544511B1 true KR102544511B1 (en) 2023-06-20

Family

ID=81582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2858A KR102544511B1 (en) 2020-10-30 2020-10-30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5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72B1 (en) 2013-11-06 2013-12-0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repelling aquatic creatures and array comprising the same
KR101953259B1 (en) 2018-11-29 2019-05-22 네이버시스템(주) Waterway data updat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4024A (en) * 1983-11-28 1985-01-15 Magnavox Government And Industrial Electronics Company One shot spring activated motor
KR20010001048A (en) * 1999-06-01 2001-01-05 이세엽 System for expelling marine organism
KR20110006925A (en) * 2009-07-15 2011-01-21 한만송 Safety indicate buoy
KR101486437B1 (en) 2014-05-08 2015-0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ring Fish from Approaching
KR101942068B1 (en) * 2017-04-26 2019-01-24 주식회사 자연과기술 Electro sound transducer for under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272B1 (en) 2013-11-06 2013-12-0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Device for repelling aquatic creatures and array comprising the same
KR101953259B1 (en) 2018-11-29 2019-05-22 네이버시스템(주) Waterway data updat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7811A (en)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780B1 (en) Wave power generator
US7538445B2 (en) Wave powered generation
ES2623090T3 (en) Autonomously powered buoys with power generation and power usage control
KR101913505B1 (en) Ocean observing buoy
JPWO2005040603A1 (en) Wave power generator
US8193655B2 (en) System for converting ocean wave energy to electric power
KR20100091860A (en) Self generation light buoy in parallel with wave power and solar cell
KR101338597B1 (en) Generater apparatus using film type of piezoelectric element and solarcell
US20180034408A1 (en) Edge protection for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197664B1 (en) Electronic buoy in using wave-force
KR201300296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ve power generation
KR20130098586A (en) Buoyant type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101387579B1 (en) Hybrid generator for the ocean
KR102544511B1 (en) Remote control underwater speaker of sunlight generating type
KR101566972B1 (en) Marine floating-type generator of double floating-body structure by using ion polymer metal composite
KR100902689B1 (en) Adjustable position buoy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for
CN216385777U (en) Over-and-under type ocean information acquisition flotation device
KR101640908B1 (en) Scrren-type floating wave energy convertor
CN207853886U (en) A kind of amphibious intelligent mobile terminal powered using solar wind-energy complementation
CN113623121B (en) Wave current coupling underwater power generation device for marine lamp buoy
KR102148841B1 (en) Portable auto hydro generator
JP5564472B2 (en) Water-mounted solar power generator
KR200186257Y1 (en) A generator using force of wave
KR20200103477A (en) Hybrid Energy Harvesting Device Using Perovskite Solar Cell
KR20120004055A (en) A small hydro generator using of a t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