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451B1 -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 Google Patents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451B1
KR102544451B1 KR1020220160027A KR20220160027A KR102544451B1 KR 102544451 B1 KR102544451 B1 KR 102544451B1 KR 1020220160027 A KR1020220160027 A KR 1020220160027A KR 20220160027 A KR20220160027 A KR 20220160027A KR 102544451 B1 KR102544451 B1 KR 10254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area
related information
monitoring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석
이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씨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씨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씨랩
Priority to KR1020220160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44Sulphides, e.g. H2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01N33/0054Ammon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02Instruments for indicating weather conditions by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e.g. humidity, pressure, temperature, cloud cover or wind spe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Abstract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스마트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위치된 지역 및 해당 지역의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악취가 확산되는 현상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및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하고,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통해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 A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are disclosed. The smart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each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located region and odor in the corresponding region, and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each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and reducing the spread of odor. Odo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odor reduction device and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is received, monitoring is performed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and odor sources, which are regions where odors occur, are detected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diffusion of the malodor to be reduced through the malodor reduction apparatus disposed at the mal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malodor reduction apparatuses.

Description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본 발명은 악취를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를 저감시키는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anaging od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s based on IoT, which monitors areas where odors occur and uses the monitored information to reduce odors. .

악취는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및 기타 자극성이 있는 기체상 물질로서,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라고 정의된다. 이러한 악취는 인간의 호흡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곧바로 감지하기 때문에 건강상 피해와 정신적, 심미적으로 심각한 악영향을 준다.Odor is hydrogen sulfide, mercaptans, amines, and other irritating gaseous substances, which are defined as unpleasant and disgusting odors by stimulating the human sense of smell. Since the odor contained in the air by human breathing is immediately sensed, it causes serious damage to health and mental and aesthetic effects.

최근에는 반도체기술을 적용한 냄새 센서들의 발전과 분석기술의 객관화로 냄새측정이 기계적 측정 장치로 대체되고 있다. 하지만 냄새 센서를 장착한 악취 측정장치들은 후각에 의한 관능측정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냄새 센서의 정확도 문제보다는 냄새 센서가 나타낸 수치를 해석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과 근거가 아직 정립되지 않은 데에 따른 문제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ㅏ.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odor sensors using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the objectification of analysis technology, odor measurement is being replaced by mechanical measurement devices. However, odor measuring devices equipped with odor sensor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sensory measurement by smell, but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method and basis for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values indicated by the odor sensor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rather than the accuracy problem of the odor sensor. It is reasonable to see it as a problem according to a.

따라서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악취측정 수단과 이러한 수단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ore objective and quantified odor measurement means and a system for stably monitoring odor using such a means.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22267호 (2011.03.08.)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022267 (2011.03.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역별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를 저감시키는 IoT 기반으로 악취를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by region, monitor odor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monitor odor based on IoT to reduce odor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To provide 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관리 시스템은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위치된 지역 및 해당 지역의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악취가 확산되는 현상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및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상기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통해 상기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smart management system is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and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located region and the odor in the region, each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and the odor Receives odo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and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performs monitoring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and uses the monitored information and a monitoring device that detects an odor generating source, which is an area where the odor is generated, and controls the diffusion of the odor to be reduced through an odor reducing device disposed at the 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ing devices.

또한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각각은, 상기 위치된 지역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VOCs),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기압, 날씨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may receive at least one of hydrogen sulfide, ammonia,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tmospheric pressure, weather,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formation of the location where the odor collection device is locat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또한 상기 악취 저감 장치 각각은, 스프레이 방식 및 기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분사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odor reduction device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usion of the odor is reduced by spraying a deodorant using at least one of a spray method and a vaporization method.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된 탐지모델에 적용하여 데이터에 포함된 오류를 탐지하고, 상기 탐지된 오류를 보정하거나,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may detect an error included in the data by applying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a detection model generated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and correct or remove the detected error.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악취 발생원의 악취를 복수의 단계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단계에 대응되도록 상기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dor of the odor generating source is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the diffusion of the odor is reduced by controlling the odor reduction device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stages.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악취의 확산을 예측하여 미래에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지역을 더 검출하고, 상기 미래에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지역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악취의 발생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ing device predicts the spread of the odor based o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to further detect an area where an odor may occur in the future, and an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in the area where an odor may occur in the fu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block the occurrence of the odor by controlling.

또한 악취와 관련된 민원 메시지를 상기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 발생 지역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중 상기 민원 발생 지역에 해당하는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악취 수집 장치로 악취 관련 정보에 대한 수집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at transmits a civil complaint message related to odor to the monitoring device, wherein the monitoring device checks a civil complaint occurrence area included in the civil complaint message, and identifies the civil complaint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n odor colle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an area of occurrence is detected, and collection of odor-related information is requested to the detected odor collection device.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민원 발생 지역에 악취 수집 장치가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중 상기 민원 발생 지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악취 관련 정보가 수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odor collection device is not disposed in the civil complaint area, the monitoring device uses a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civil complaint area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to obtai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so that is collected.

또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악취 발생원에 악취 저감 장치가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상기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odor reducing device is not disposed at the odor generating source, the monitoring device reduces the spread of the odor by using a mobile odor reducing device that is closest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ing devices.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as much as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관리 방법은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각각이 위치된 지역 및 해당 지역의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악취 발생원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되도록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상기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가 상기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구동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smar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area w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is located and the odor of the corresponding area, and receiving, by a monitoring device, odo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Detecting, by the monitoring device, an odor source that is a region where the odor is generated by performing monitoring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 device,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monitoring device to a mal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at the malodor generating source among a plurality of malodor reducing devices, and the malodor reducing device disposed at the malodor generating source and reducing the spread of the odor by driving based on a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지역별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 확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odor of each region based on odor-relate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reduce the spread of odor at the source of the odor by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또한 외부적인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미래에 악취가 발생될 여지가 있는 지역에 대해서도 대비를 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현상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lock the occurrence of odors in advance by preparing for areas where odors may occur in the future due to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또한 악취 관련 민원에 대해서 사실 여부를 검증하고, 민원이 사실로 판명되면 해당 민원에 대한 빠른 대처를 통해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complaints related to odor are verified, and if the complaints are found to be true, a pleasant environment can be provided to users through quick response to the complai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도면(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is specification'),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exist.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Also, in this specification, a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ing' are only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list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listed items. In this specification, 'A or B' may include 'A', 'B', or 'both A and B'.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mart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관리 시스템(500)은 지역별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를 저감시킨다. 즉 스마트 관리 시스템(500)은 악취가 발생되는 악취 발생원 주변에 적용될 수 있다. 악취 발생원은 하수관로, 맨홀, 쓰레기 매립장, 축산농가, 하수폐수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관리 시스템(500)은 모니터링 장치(100),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및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smart management system 500 collects odor-relate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monitors odor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nd reduces odor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That is, the smart management system 500 may be applied around a source of odor. Odor sources may include sewage pipes, manholes, landfills, livestock farms, sewage and wastewater facilities, and the like. The smart management system 500 includes a monitoring device 100 ,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 and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

모니터링 장치(100)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지역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여기서 악취는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를 의미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악취 발생원을 검출하고, 검출된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모니터링 장치(100)의 자세한 내용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monitoring device 10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and monitors odors generated in a preset area. do. Here, the odor refers to a smell that stimulates a person's olfactory sense and gives unpleasantness and disgust. The monitoring device 100 uses the monitored information to detect an odor generating source, and performs control to reduce the odor from the detected odor generating source. Details of the monitoring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악취 수집 장치(20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장치로써, 모니터링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수집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악취 수집 장치(200)는 실시간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기 설정된 주기마다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따라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악취 수집 장치(200)는 기 설정된 지역별로 위치된다. 즉 악취 수집 장치(200)는 복수개(200a, 200b, 200c, 200d)를 포함하고, 각 악취 수집 장치(200a, 200b, 200c, 200d)는 일정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마다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악취 수집 장치(200)는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최대 범위를 기준으로 각 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악취 수집 장치(200)는 고정형 악취 수집 장치와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로 구분된다. 고정형 악취 수집 장치는 한 번 설치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고,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는 하부에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동을 하면서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형 악취 수집 장치는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지역에 설치될 수 있고,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는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지만 임의의 시기마다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에 위치될 수 있다. 악취 수집 장치(200)는 위치된 지역의 황화수소(H2S), 암모니아(NH3),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VOCs),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기압, 날씨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악취 수집 장치(20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반의 다종 센서 모듈 및 환경 정보를 수집하는 다종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is a sensor device that collects odor-related informa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monitoring device 100 to transmit the collec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 In this case,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may collect odor information in real time, collect odor inform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or collect odor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0 .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is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That is,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a, 200b, 200c, and 200d, and each odor collection device 200a, 200b, 200c, and 200d is positioned at regular or random intervals. Preferably, each of the odor collection devices 200 may be positioned based on a maximum range capable of collecting odor information. Here,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is divided into a fixed odor collection device and a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The fixed odor coll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ontinuously collects odor information in an area once installed, and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includes a transportation means at the bottom and collects odor information while moving. Preferably, the stationary odor colle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odor is constantly generated, and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may be located in an area where odor is not continuously generated but odor is generated at any time.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detects hydrogen sulfide (H 2 S), ammonia (NH 3 ),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ir pressure, weather,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At least one piece of information is collected. To this end,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may include a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s (MEMS)-based multi-type sensor module that collects odor-related information and a multi-type sensor module that collects environmental information.

악취 저감 장치(300)는 탈취제를 통해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써, 모니터링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악취 저감 장치(300)는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악취 저감 장치(300)는 기 설정된 지역별로 위치된다. 즉 악취 저감 장치(300)는 복수개(300a, 300b, 300c, 300d)를 포함하고, 각 악취 저감 장치(300a, 300b, 300c, 300d)는 일정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마다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악취 저감 장치(300)는 악취 수집 장치(1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장치가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악취 저감 장치(300)는 고정형 악취 저감 장치와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로 구분된다. 고정형 악취 저감 장치는 한 번 설치된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장치이고,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하부에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동을 하면서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형 악취 저감 장치는 악취 수집 장치가 설치된 지역에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악취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지 않지만 임의의 시기마다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에 위치될 수 있다. 악취 저감 장치(300)는 스프레이 방식 및 기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킨다. 여기서 스프레이 방식은 탈취제를 액체 형태로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키는 방식이고, 기화 방식은 탈취제를 액체가 아닌 기체 형태로 분사하여 대기 중에 존재하는 악취 분자를 따라 편승 또는 편향함으로써 악취를 저감시키는 방식이다.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s a device that reduces the spread of odor through a deodorant and communicates with the monitoring device 100 .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may reduce the spread of odo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received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0 .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s located for each preset region. That is,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a, 300b, 300c, and 300d, and each odor reduction device 300a, 300b, 300c, and 300d is positioned at regular or random intervals. Preferably, each device of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dor collection device 100 . Here,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s divided into a fixed odor reduction device and a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The fixed odor redu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continuously reduces the diffusion of odor in an area once installed, and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is a device that reduces the spread of odor while moving by including a transport means at the bottom. Preferably, the stationary malodor reduction device may be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area in which the odor collection device is installed, and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may be located in an area where odor is not continuously generated but is generated at any time.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reduces odor by spraying a deodorant using at least one of a spray method and a vaporization method. Here, the spray method reduces odor by spraying the deodorant in a liquid form, and the vaporization method reduces odor by spraying the deodorant in a gaseous form rather than a liquid to bandwagon or deflect odor molecules present in the air.

사용자 단말(400)은 악취 관련 민원을 넣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로써, 모니터링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악취 관련 민원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민원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민원 메시지에 대한 피드백 메시지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가 민원 메시지를 전송 및 응답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민원 메시지는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 냄새 종류(고약한 냄새, 쉰 냄새, 하수구 냄새 등), 냄새 정도(상, 중, 하 등)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이고, 응답 메시지는 악취 저감 상태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40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submits an odor-related complaint, communicates with the monitoring device 100, and transmits a odor-related civil complaint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When th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civil complaint message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it may receive a response message, which is a feedback message for the civil complaint message, from the monitoring device 100. The user terminal 40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a user to transmit a civil complaint message and output a response message. Here, the complaint message is a message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where the odor is generated, the type of odor (nasty smell, sour smell, sewer smell, etc.), and the degree of odor (high, medium, low, etc.), and the response message is the status of odor reduction, etc. It may be a message containing the same information.

한편 스마트 관리 시스템(500)은 모니터링 장치(100),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 사이에 통신망(미도시)를 포함하여 서로 간의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수 있다. 통신망은 백본망과 가입자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본망은 X.25 망, Frame Relay 망, ATM망,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및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망 등 중에 하나 또는 복수의 통합된 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망은 FTTH(Fiber To The Home),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망,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Wireless LAN(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Wireless Hart(ISO/IEC62591-1), ISA100.11a(ISO/IEC 62734),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 3G,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4G, 5G 및 6G 등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로, 통신망은 인터넷망일 수 있고, 이동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은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mart management system 500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not shown) between the monitoring device 100,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the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It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each other. A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composed of a backbone network and a subscriber network. The backbone network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integrated networks such as an X.25 network, a Frame Relay network, an ATM network, a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network, and a 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GMPLS) network. Subscriber networks include FTTH (Fiber To The Home), ADSL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cable network, zigbee, Bluetooth, and wireless LAN (IEEE 802.11b, IEEE 802.11a, IEEE 802.11g, IEEE 802.11n ), Wireless Hart (ISO/IEC62591-1), ISA100.11a (ISO/IEC 62734), CoAP (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MQTT (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3G,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4G, 5G, and 6G. In some embodiments,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n Internet network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include all other widely known or future developed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100)는 통신부(10), 제어부(30), 출력부(50) 및 저장부(70)를 포함한다.1 to 3, the monitoring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0, a control unit 30, an output unit 50 and a storage unit 70.

통신부(10)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400)과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0)는 악취 수집 장치(200)로부터 악취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악취 관련 정보의 수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악취 수집 장치(200)로 전송한다. 통신부(1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악취 저감 장치(300)로 전송하고, 악취 저감 장치(300)로부터 구동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부(10)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악취 관련 민원 메시지를 수신하고, 민원 관련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 communicates with a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400 . The communication unit 10 receives odo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and transmits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collection of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 The communication unit 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o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and receives drive-related information from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 The communication unit 10 receives a civil complaint message related to odor from the user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civil complaint related respons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400 .

제어부(30)는 모니터링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30)는 악취 관련 정보의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고, 전처리된 악취 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모니터링한다. 제어부(30)는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신호를 악취가 발생되는 악취 발생원에 위치한 악취 저감 장치로 전송시켜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학습부(31), 전처리부(32) 및 모니터링부(33)를 포함한다.The controller 30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monitoring device 100 . The control unit 30 pre-processes the odor-related information, and analyzes and monitors the pre-processed odor-related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o an odor reduction device located at a source of odor, thereby reducing the spread of the odor. To this end,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learning unit 31, a pre-processing unit 32 and a monitoring unit 33.

학습부(31)는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된 탐지모델(75)의 학습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탐지모델(75)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및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과 같은 인공지능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탐지모델(75)은 악취 수집 장치(200)에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측정값이 급격하게 변화하거나,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측정값 등과 같은 데이터의 오류를 탐지한다.The learning unit 31 performs learning of the detection model 75 generated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Preferably, the detection model 75 may be generated using at least on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LSTM), and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The detection model 75 detects errors in data, such as a measurement value that suddenly changes or a measurement value that is out of a preset range, while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collects odor-related information.

즉 탐지모델(75)은 학습을 위한 학습용 입력벡터가 입력되면 학습용 입력벡터에 포함된 오류를 분류하거나, 유무를 판단하는 예측값을 출력한다. 이러한 탐지모델 구조를 기반으로 학습부(31)는 출력된 예측값이 학습용 입력벡터에 대응하는 정답값(미리 알고 있음)에 가까워지도록 학습을 시킨다. 이를 위해 학습부(51)는 예측값과 정답값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기 설정된 횟수만큼 해당 학습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횟수는 예측값이 사용자가 원하는 평가지표에 도달하는 최소한의 횟수를 의미한다.That is, when the learning input vector for learning is input, the detection model 75 classifies errors included in the learning input vector or outputs a prediction value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Based on this detection model structure, the learning unit 31 learns so that the output predicted value approaches the correct answer value (known in advance) corresponding to the input vector for learning. To this end, the learning unit 51 repeatedly performs the corresponding learning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correct answer value is minimized. Here,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means the minimum number of times that the predicted value reaches the evaluation index desired by the user.

전처리부(32)는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이전에 학습부(31)에서 학습이 완료된 탐지모델(75)을 이용하여 악취 관련 정보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처리부(32)는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된 탐지모델(75)에 적용하여 데이터에 포함된 오류를 탐지하고, 탐지된 오류를 보정하거나, 제거하는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전처리부(32)는 오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예측값의 신뢰도 저하 문제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The pre-processing unit 32 may perform a pre-processing process on odor-related information by using the detection model 75 that has been learned in the learning unit 31 prior to monitoring. That is, the pre-processing unit 32 applies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detection model 75 generated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to detect errors included in the data, and performs pre-processing to correct or remove the detected errors. do. Through this, the pre-processing unit 32 can block in advance the reliability degradation problem of the predicted value that may occur due to errors.

모니터링부(32)는 악취 관련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부(32)는 각 지역별로 악취의 발생 유무를 판단하고, 만약 발생되었다면 악취 정도를 산출하고, 악취 정도를 수치화한다. 모니터링부(32)는 [표 1]과 같이 악취를 수치화하여 복수의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다. Whe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onitoring unit 32 performs monitoring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32 determines whether or not odor has occurred for each region, and if it has occurred, calculates the level of odor and digitizes the level of odor. As shown in [Table 1], the monitoring unit 32 can quantify the odor and classify it into a plurality of stages.

공기질 항목air quality items 좋음good 보통commonly 나쁨bad 매우나쁨very bad PM10PM10 30 이하30 or less 80 이하below 80 150 이하below 150 150 초과over 150 PM2.5PM2.5 15 이하15 or less 35 이하35 or less 75 이하75 or less 75 초과greater than 75 오존(O3)Ozone (O 3 ) 0.03 이하0.03 or less 0.09 이하0.09 or less 0.15 이하0.15 or less 0.15 초과greater than 0.15 이산화질소(NO2)Nitrogen dioxide (NO 2 ) 0.03 이하0.03 or less 0.06 이하0.06 or less 0.2 이하0.2 or less 0.2 초과greater than 0.2 일산화탄소(CO)carbon monoxide (CO) 2 이하2 or less 9 이하below 9 15 이하15 or less 15 초과more than 15 아황산가스(SO2)Sulfur dioxide (SO 2 ) 0.02 이하0.02 or less 0.05 이하Less than 0.05 0.15 이하0.15 or less 0.15 초과greater than 0.15 이산화탄소(CO2)carbon dioxide (CO 2 ) 600 이하600 or less 1000 이하less than 1000 2000 이하2000 or less 2000 초과over 2000 악취 항목stinky items 좋음good 보통commonly 나쁨bad 매우나쁨very bad 복합악취(OU)Complex odor (OU) 500 이하less than 500 800 이하800 or less 1200 이하below 1200 1200 초과over 1200 황화수소(H2S)Hydrogen sulfide (H 2 S) 5 이하5 or less 10 이하below 10 20 이하less than 20 20 초과more than 20 암모니아(NH3)Ammonia (NH 3 ) 100 이하less than 100 200 이하less than 200 300 이하300 or less 300 초과over 300 벤젠(BENZ)Benzene (BENZ) 100 이하less than 100 200 이하less than 200 300 이하300 or less 300 초과over 300 톨루엔(TOLU)Toluene (TOLU) 100 이하less than 100 200 이하less than 200 300 이하300 or less 300 초과over 300 산불 항목wildfire items 낮음lowness 보통commonly 높음height 심각serious 산불위험지수Wildfire Danger Index 50 이하less than 50 65 이하65 or less 85 이하85 or less 85 초과greater than 85 방사능 항목radioactive item 정상normal 주의caution 경고warning 비상emergency 방사능radiation 0.2 이하0.2 or less 0.973 이하0.973 or less 973 이하973 or less 973 초과greater than 973

모니터링부(32)는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한다. 모니터링부(32)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중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통해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부(32)는 [표 1]과 같이 구분된 단계에 대응되도록 악취 저감 장치(300)를 제어하여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부(32)는 악취 정도가 심각해질 수 록 탈취제가 분사되는 범위가 넓어지고, 양이 많아지며, 시간이 길어지도록 악취 저감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또한 모니터링부(32)는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악취의 확산을 예측하여 현재에는 악취가 발생되지 않으나, 미래에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 지역을 더 검출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32)는 악취 관련 정보에 포함된 풍향, 풍속, 날씨 등의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되는 악취가 어느 지역으로 확산될지에 대한 예측을 수행한다. 모니터링부(32)는 예측된 지역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32 detects an odor generating source, which is an area where odor is generated, by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32 may control the diffusion of the malodor to be reduced through the malodor reduction apparatus disposed at the mal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malodor reduction apparatuses 300 . At this time, the monitoring unit 32 may reduce the spread of the odor by controlling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steps as shown in Table 1. For example, the monitoring unit 32 may control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so that the spraying range of the deodorant increases, the amount increases, and the duration increases as the level of odor increases. In addition, the monitoring unit ( 32) predicts the spread of the odor based o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to further detect an area where the odor does not currently occur but may occur in the future. That is, the monitoring unit 32 predicts to which area the currently generated odor will spread by us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such as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weather included i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unit 32 may control the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in the predicted area to block the occurrence of odor in advance.

여기서 모니터링부(32)는 사용자 단말(400)로부터 민원 메시지를 수신하면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 발생 지역을 확인하고,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중 민원 발생 지역에 해당하는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한다. 모니터링부(32)는 검출된 악취 수집 장치로 악취 관련 정보에 대한 수집을 요청함으로써,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이 사실인지 유무를 확인한다. 만약 민원 메시지의 민원이 사실이면 모니터링부(400)는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에 위치한 악취 저감 장치(300)를 제어하여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Here, when the monitoring unit 32 receives the civil complaint message from the user terminal 400, it checks the civil complaint occurrence area included in the complaint message, and detects an odor collec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civil complaint occurrence area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apparatuses 200. do. The monitoring unit 32 checks whether the complaint included in the civil complaint message is true by requesting collection of odo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odor collection device. If the civil complaint in the civil complaint message is true, the monitoring unit 400 may control th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 located in the malodor source,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area, to reduce the spread of the malodor.

한편 악취 수집 장치(200)가 민원 발생 지역에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부(32)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중 민원 발생 지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한다. 모니터링부(32)는 검출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를 해당 민원 발생 지역으로 이동시킨 후, 악취 관련 정보가 수집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when the odor collection device 200 is not located in the civil complaint area, the monitoring unit 32 detects a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civil complaint area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 The monitoring unit 32 controls odor-related information to be collected after moving the detected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to a corresponding civil complaint area.

또한 악취 저감 장치(300)가 악취 발생원에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모니터링부(32)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중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한다. 모니터링부(32)는 검출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해당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시킨 후,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s not disposed at the odor generating source, the monitoring unit 32 detects a mobile odor reducing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ing devices 300 . The monitoring unit 32 moves the detected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to the corresponding odor source, and then controls the diffusion of the odor to be reduced.

출력부(5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출력하고,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부(50)는 지도 기반으로 악취 관련 정보와 모니터링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부(50)는 악취 발생원이 표시되는 지도를 기반으로 악취 관련 정보와 모니터링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50 outputs odor-related information and outputs monitored information based o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output unit 50 may output odor-related information and monitored information based on a map. For example, the output unit 50 may output odor-related information and monitored information based on a map on which sources of odor are displayed.

저장부(70)는 모니터링 장치(100)가 구동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된다. 저장부(7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전처리하기 위한 탐지모델(75)이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70)는 악취 관련 정보와,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모니터링된 정보가 저장된다. 저장부(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0 stores a program or algorithm for driving the monitoring device 100 . The storage unit 70 stores a detection model 75 for pre-processing odor-relat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70 stores odor-related information and information monitored based o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The storage unit 70 is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gnetic memor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of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여기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장치로 표현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버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서버로도 표현될 수 있다.Here, the monitoring device 100 is expressed as a devi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expressed as a monitoring server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방법은 지역별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 확산을 저감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4 , the management method may perform odor monitoring in each region based on odor-relate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and reduce the spread of odor at the source of the odor by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S101 단계에서,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a)는 해당 장치가 위치한 각 지역에 대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악취 관련 정보는 해당 지역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기압, 날씨 및 GPS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01,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a may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where the corresponding device is located. Here, the odor-related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hydrogen sulfide, ammonia, volatile organic compounds,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tmospheric pressure, weather, and GPS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gion.

S103 단계에서,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a)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각각 전송한다.In step S103,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a respectively transmit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S105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00)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중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300a)를 검출할 수 있다. In step S105, the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odor monitoring based on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monitoring for each region and detects an odor source, which is a region where odor is generated,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monitoring device 100 may detect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a disposed at the 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

S107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 정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악취를 저감시키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In step S107, the monitoring devic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level of odor in the odor sourc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odor using the identified information.

S109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300a)로 전송한다.In step S109,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o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a disposed at the odor source.

S111 단계에서, 악취 저감 장치(300a)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을 수행한다. 이때 악취 저감 장치는 스프레이 방식 및 기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step S111,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a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odor reduction device may reduce odor by spraying a deodorant using at least one of a spray method and a vaporization method.

S113 단계에서, 악취 저감 장치(300a)는 구동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악취 저감 장치(300a)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구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0)가 악취 관련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step S113,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a transmits drive-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a helps the monitoring device 100 to perform odor-related monitoring in real time by providing the monitoring device 100 with feedback information about driving to reduce the odor.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mar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 관리 방법은 악취 발생원에 악취 저감 장치(300)가 미배치된 경우에도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이용하여 악취 발생원의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smart management method, even when the odor reduction device 300 is not disposed in the odor source, the odor of the odor source may be reduced by using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S201 단계에서,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는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a)는 해당 장치가 위치한 각 지역에 대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S201,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a may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for each region where the corresponding device is located.

S203 단계에서,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a)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각각 전송한다.In step S203,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200a respectively transmit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S205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00)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300) 중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를 검출한다.In step S205, the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odor monitoring based on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monitoring for each region and detects an odor source, which is a region where odor is generated,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onitoring device 100 may detect an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at an odor generating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300 . If the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at the odor source is not detected,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closest to the odor source.

S207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 정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악취를 저감시키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00)는 검출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가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이 포함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207, the monitoring devic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level of odor in the odor sourc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odor using the identifi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onitor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include a command to move the detected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S209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로 전송한다.In step S209,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o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located closest to the odor source.

S211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step S211,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moves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may move to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GPS information.

S213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탈취제를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step S213,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may reduce odor by spraying a deodorant.

S215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구동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구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0)가 악취 관련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step S215,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transmits drive-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helps the monitoring device 100 to perform odor-related monitoring in real time by providing the monitoring device 100 with feedback information about driving to reduce the odor.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관리 방법은 악취 관련 민원에 대해서 사실 여부를 검증하고, 민원이 사실로 판명되면 해당 민원에 대한 빠른 대처를 통해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management method verifies whether a civil complaint related to odor is true, and if the civil complaint is found to be tr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 with a comfortable environment through quick response to the civil complaint.

S30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400)은 악취 관련 민원 메시지를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400)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민원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민원 메시지는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 냄새 종류(고약한 냄새, 쉰 냄새, 하수구 냄새 등), 냄새 정도(상, 중, 하 등) 등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In step S301, th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a complaint message related to odor. The user terminal 400 transmits the civil complaint message input by the user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 Here, the civil complaint message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he area where the odor is generated, the type of odor (nasty smell, sour smell, sewer smell, etc.), and the degree of odor (high, medium, low, etc.).

S303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 내용을 확인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 발생 지역을 확인하고,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200) 중 민원 발생 지역에 해당하는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한다. 만약 민원 발생 지역에 배치된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를 검출한다.In step S303, the monitoring device 100 checks the complaint contents included in the complaint message. The monitoring device 100 checks the civil complaint generating region included in the civil complaint message, and detects an odor collecting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ivil complaint generating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ng devices 200 . If the odor collection device disposed in the civil complaint area is not detected,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located closest to the odor source,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area.

S305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관련 정보에 대한 수집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검출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로 전송한다. 여기서 요청 메시지는 악취 수집 관련 제어신호일 수 있으며,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가 민원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In step S305,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request message requesting collection of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detected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Here, the request message may be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collection, and may include a command for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to move to an area where civil complaints occur.

S307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는 요청 메시지에 따라 민원 발생 지역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step S307,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moves to an area where civil complaints occur according to the request message. At this time,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may move to a corresponding area based on GPS information.

S309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는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는 민원 발생 지역에 대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In step S309, the mobile malodor collection device 200a collects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may collect odor-related information about an area where civil complaints occur.

S311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200a)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In step S311, the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200a transmits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S313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악취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발생 지역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민원에 대한 사실 여부를 판단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이 사실이라고 판단하면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할 수 있다. 만약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를 검출한다.In step S313, the monitoring device 100 performs odor monitoring based on the collected odor-related informa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monitors an area where civil complaints occur and determines whether civil complaints are true. If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complaint is true, it may detect an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in an odor generating area, which is a civil complaint occurrence area. If the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at the odor source is not detected,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closest to the odor source.

S315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발생원에서의 악취 정도를 파악하고, 파악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악취를 저감시키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모니터링 장치(100)는 검출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가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이 포함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step S315, the monitoring device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he monitoring device 100 detects the level of odor in the odor source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for reducing the odor using the identified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monitoring device 10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to include a command to move the detected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S317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악취 저감 관련 제어신호를 악취 발생원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로 전송한다.In step S317,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control signal related to odor reduction to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located closest to the odor source.

S319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는 제어신호에 따라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는 GPS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In step S319,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moves to the odor generating sourc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may move to the corresponding area based on GPS information.

S321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을 수행한다. 이때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는 탈취제를 분사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다.In step S321,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is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t this time, the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300a may reduce odor by spraying a deodorant.

S323 단계에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는 구동 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300a)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구동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모니터링 장치(100)가 악취 관련 모니터링을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step S323,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transmits driving-related information to the monitoring device 100. The mobile malodor reduction device 300a helps the monitoring device 100 to perform odor-related monitoring in real time by providing the monitoring device 100 with feedback information about driving to reduce the odor.

S325 단계에서,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관련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400)로 전송한다. 모니터링 장치(100)는 민원 메시지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400)로 해당 민원의 대응 상태를 알려주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민원을 제기한 사용자는 민원에 대한 피드백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제기한 민원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step S325,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civil complaint-related response message to the user terminal 400. The monitoring device 100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informing the response status of the civil petition to the user terminal 400 that has transmitted the civil petition message. Through this, the user who filed the civil complaint can intuitively grasp the information about the civil complaint raised by himself by checking the feedback information on the civil complaint.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를 들면 모니터링 장치, 악취 수집 장치, 악취 저감 장치, 사용자 단말 등) 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be a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eg, a monitoring device, an odor collection device, an odor reduction device, a user terminal, etc.).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TN110, a transceiver TN120, and a memory TN130. In additio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device TN140, an input interface device TN150, and an output interface device TN160. Elements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TN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being connected by a bus TN170.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TN110 may execute program commands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The processor TN1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Processor TN11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procedures, functions, methods, and the like described in relation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or TN110 may control each component of the computing device TN100.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TN110. Each of the memory TN130 and the storage device TN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TN1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read only memory (ROM) and random access memory (RAM).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transmit or receive a wired signal or a wireless signal. The transmitting/receiving device TN120 may perform communication by being connected to a network.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so far, and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that realiz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implementa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10: 통신부
30: 제어부
31: 학습부
32: 전처리부
33: 모니터링부
50: 출력부
70: 저장부
100: 모니터링 장치
200: 악취 수집 장치
300: 악취 저감 장치
400: 사용자 단말
500: 스마트 관리 시스템
10: Ministry of Communications
30: control unit
31: learning unit
32: pre-processing unit
33: monitoring unit
50: output unit
70: storage unit
100: monitoring device
200: odor collection device
300: odor reduction device
400: user terminal
500: smart management system

Claims (10)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위치된 지역 및 해당 지역의 악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기 설정된 지역별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악취가 확산되는 현상을 저감시키는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악취와 관련된 민원 메시지를 모니터링 장치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악취 관련 정보를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생성된 탐지모델에 적용하여 데이터에 포함된 오류를 탐지하여 보정하거나, 제거하는 전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전처리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별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모니터링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취가 발생되는 지역인 악취 발생원을 검출하고, 상기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상기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통해 상기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악취 관련 정보에 포함된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발생되는 악취가 어느 지역으로 확산될지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예측된 지역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예측된 지역의 악취 발생을 차단하며,
상기 민원 메시지에 포함된 민원 발생 지역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중 상기 민원 발생 지역에 해당하는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악취 수집 장치로 악취 관련 정보에 대한 수집을 요청하고, 상기 악취 수집 장치로부터 수집된 악취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민원에 대한 사실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민원이 사실이라고 판단하면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에 배치된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악취 저감 장치로 악취를 저감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되,
상기 민원 발생 지역에 악취 수집 장치가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중 상기 민원 발생 지역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형 악취 수집 장치를 상기 민원 발생 지역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악취 관련 정보가 수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에 악취 저감 장치가 미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기 복수의 악취 저감 장치 중 상기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이동형 악취 저감 장치를 상기 민원 발생 지역인 악취 발생원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악취의 확산이 저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a plurality of odor collecting devices locat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located area and odor in the corresponding area;
a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respectively position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nd reducing the diffusion of the odor;
At least one user terminal for transmitting a complaint message related to odor to the monitoring device; and
Pre-processing of receiving odo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and applying the received odor-related information to a detection model generated based on deep learning technology to detect, correct, or remove errors included in the data. and performs monitoring for each region based on the preprocessed odor-related information, detects an odor source, which is a region where the odor is generated, using the monitored information, and detects the odor source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A monito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spread of the odor to be reduced through an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thereon;
The monitoring device,
Using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it is predicted to which area the currently generated odor will spread, and the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in the predicted area is controll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dor in the predicted area. block,
Identifying a civil complaint region included in the civil complaint message, detecting an odor collection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ivil complaint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and requesting collection of odor-related information from the detected odor collection device , Based on the odor-related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odor collection devic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mplaint is true,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ivil complaint is true, an odor reduction device disposed in the odor source, which is the area where the civil complaint occurred,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odor is detecte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to reduce the odor to the reduction device,
In the case where the odor collection device is not deployed in the civil complaint area,
Among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a mobile odor collec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civil complaint generating area is detected, and after moving the detected mobile odor collecting device to the civil complaint generating area, the odor-related information is collected. do,
In the case where an odor reduction device is not installed in the odor source,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area,
Among the plurality of odor reduction devices, a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located closest to the odor source,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area, is detected, and the detected mobile odor reduction device is moved to the odor source, which is the civil complaint area. A smar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reduce the spread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악취 수집 장치 각각은,
상기 위치된 지역의 황화수소, 암모니아, 휘발성 유기 화합물들(VOCs), 온도, 습도, 풍향, 풍속, 기압, 날씨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odor collection devices,
Smart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for collecting at least one of hydrogen sulfide, ammonia,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emperature, humidity, wind direction, wind speed, atmospheric pressure, weather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information of the located area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악취 저감 장치 각각은,
스프레이 방식 및 기화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탈취제를 분사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dor reduction devices,
A smar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ead of the odor is reduced by spraying the deodorant using at least one of a spray method and a vaporization metho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악취 발생원의 악취를 복수의 단계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단계에 대응되도록 상기 악취 저감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악취의 확산을 저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monitoring device,
The smart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ead of the odor is reduced by dividing the odor of the odor generating source into a plurality of stages and controlling the odor reduction device to correspond to the divided stag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60027A 2022-11-25 2022-11-25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KR102544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027A KR102544451B1 (en) 2022-11-25 2022-11-25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027A KR102544451B1 (en) 2022-11-25 2022-11-25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952A Division KR20240078297A (en) 2023-06-12 Intelligent monitoring apparatus for managing odor based on Io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451B1 true KR102544451B1 (en) 2023-06-20

Family

ID=86994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027A KR102544451B1 (en) 2022-11-25 2022-11-25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5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67B1 (en) 2008-03-27 2011-03-21 김동원 System for monitoring odor
KR20130059208A (en) * 2011-11-28 2013-06-05 (주) 에이스엔 Smell sens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58727A (en) * 2012-11-05 2014-05-15 안산시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R20160121286A (en)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Method for tracking odor emission using unmanned air vehicle in real-time
KR20180001393A (en) * 2016-06-27 2018-01-04 이용붕 Eco-friendly housing ventilation system
KR20180039783A (en) * 2016-10-10 2018-04-19 영진기술 주식회사 Odor Management Portal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267B1 (en) 2008-03-27 2011-03-21 김동원 System for monitoring odor
KR20130059208A (en) * 2011-11-28 2013-06-05 (주) 에이스엔 Smell sensing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20140058727A (en) * 2012-11-05 2014-05-15 안산시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KR20160121286A (en)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Method for tracking odor emission using unmanned air vehicle in real-time
KR20180001393A (en) * 2016-06-27 2018-01-04 이용붕 Eco-friendly housing ventilation system
KR20180039783A (en) * 2016-10-10 2018-04-19 영진기술 주식회사 Odor Management Porta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52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atus of vehicle occupant
US10883974B2 (en) Method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US20150066284A1 (en) Autonomous vehicle control for impaired driver
CN109388130A (en) The security control of the automotive vehicle of networking
KR1017110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vehicle service
US20210188051A1 (en) Identifying and mitigating vehicle odors
US11684039B2 (en) Automatic electric fence boundary adjustment
CA2641366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assessing and reducing air pollution by regulating airflow ventilation
CN112020411B (en) Mobile robot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o user
US20230314149A1 (en) Reactive Operations To Air Pollution
KR20160150364A (en) Indoor air quality and conditio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20371604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tect health of occupants of a vehicle
KR101517332B1 (en) System for providing Environment Information
US202103547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teraction of a plurality of autonomous vehicles with a driving environment including said vehicles
KR201900907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user behavior
KR102445068B1 (en) Fine dust concentration prediction system
KR102544451B1 (en) Smar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dor based on IoT
US20220188716A1 (en) Exposure risk assessment and countermeasure systems
KR102387630B1 (en) Qality Monitoring System
KR102395153B1 (en) Real-time odor control system and method based on IoT and ICT
KR20240078297A (en) Intelligent monitoring apparatus for managing odor based on IoT
KR20210041954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rmful environment notification service through collection and analysis of work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biometrics information of workers
KR20190009008A (en) Safety accident detection apparatus in vehicle an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230055691A (en) Electronic device for managing bedsor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415837B1 (en) System for pollution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