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433B1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4433B1
KR102544433B1 KR1020170111268A KR20170111268A KR102544433B1 KR 102544433 B1 KR102544433 B1 KR 102544433B1 KR 1020170111268 A KR1020170111268 A KR 1020170111268A KR 20170111268 A KR20170111268 A KR 20170111268A KR 102544433 B1 KR102544433 B1 KR 102544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oftener
softener
switching valv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4353A (ko
Inventor
박명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1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4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4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 F16K27/067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with spherical plug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연수기 본체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밸브는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수 입수구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연수기 연결구와,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연수기 연결구와, 상기 제2 연수기 연결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출수구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 중 어느 하나로 원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연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s}
본 발명은 연수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그에 따른 환경오염원의 발생이 많아져 대기중의 공기 오염은 물론, 토양 및 수질의 오염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 그리고, 환경 오염원에 의한 환경 오염 중, 사람들이 식수 및 생활용수로 사용하는 지하수의 오염이 심각함은 물론, 식수원의 오염으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정수장을 거쳐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물질을 철저하게 제거한 후, 각 가정으로 공급된다. 한편, 각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혼합되어 있으면 목욕을 하거나 샤워를 할 때 비눗물이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피부질환을 유발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연수기를 설치하여 보다 편안하게 수돗물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연수기를 설치할 때에는 원수배관으로부터 원수를 끌어다가 설치를 해야 한다. 이때, 원수배관에 전환밸브를 설치하여 연수기에 연결한다.
한편, 최근에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전신샤워기가 설치된 가정이 많아지고 있고, 전신샤워기 안쪽에 원수 배관이 있어 연수기의 설치를 위한 전환밸브를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전신샤워기가 설치된 가정은 연수기를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22563호
전신샤워기가 설치된 환경에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연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는 연수기 본체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밸브는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수 입수구와,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연수기 연결구와,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연수기 연결구와, 상기 제2 연수기 연결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출수구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 중 어느 하나로 원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수기 본체에는 상기 제1,2 연수기 연결구가 연결되는 온수 입수구, 온수 출수구, 냉수 입수구 및 냉수 출수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수 유입구 및 출수구는 전신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에 편조호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연수기 바디에 연결되는 냉수용 전환밸브와, 상기 냉수용 전환밸브와 이격 배치되는 온수용 전환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원수 유입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너트를 통해 조립되며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신샤워기가 설치된 환경에서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를 유동하는 원수의 유동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전환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00)는 일예로서, 연수기 본체(120) 및 전환밸브(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연수기 본체(120)는 연수기(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하단부에 냉수 입수구(122a), 냉수 출수구(122b), 온수 입수구(124a) 및 온수 출수구(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연수기 본체(120)는 냉수 입수구 및 출수구(122a,122b)와 온수 입수구 및 출수구(124a,124b)는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환밸브(140)는 연수기 본체(120)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일예로서, 전환밸브(140)는 상기한 냉수 입수구 및 출수구(122a,122b)에 연결되는 냉수용 전환밸브와, 상기한 온수 입수구 및 출수구(124a,124b)에 연결되는 온수용 전환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환밸브(140)는 바디(142), 원수 입수구(144), 제1 연수기 연결구(146), 제2 연수기 연결구(148), 출수구(150) 및 개폐부재(152)를 구비할 수 있다.
바디(142)는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예로서, 바디(142)에는 원수가 유동하는 유로(142a)가 형성될 수 있다.
원수 유입구(144)는 바디(142)의 일단에 결합된다. 일예로서, 원수 유입구(144)는 너트(N)를 통해 바디(142)의 일단에 결합되며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원수 유입구(144)에는 편조호스(10)가 연결된다. 즉, 원수 유입구(144)는 편조호스(10)를 통해 매립형 전신 샤워기(미도시)의 원수유입유로(미도시)의 입구측(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 연수기 연결구(146)는 바디(142)의 상면에 연수기 본체(120)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제1 연수기 연결구(146)는 연수기 본체(120)의 냉수 입수구(122a) 및 온수 입수구(124a)에 연결된다. 즉, 개폐부재(152)에 의해 원수 유입구(144)로 유입된 원수가 제1 연수기 연결구(146) 또는 바디(142)의 유로(142a)로 유동한다.
제2 연수기 연결구(148)는 제1 연수기 연결구(146)에 인접 배치되어 연수기 본체(120)에 연결된다. 일예로서, 제2 연수기 연결구(148)는 연수기 본체(120)의 온수 출수구(122b) 및 온수 출수구(124b)에 연결된다. 즉, 연수기 본체(120)로 유입된 원수로부터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제거된 연수가 제2 연수기 연결구(148)를 통해 유동된다.
출수구(150)는 제2 연수기 연결구(148)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바디(142)의 저면에 형성된다. 즉, 출수구(150)는 바디(142)에 형성된 유로(142a)에 연결되며, 원수 또는 연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한편, 출수구(150)에는 편조호스(10)가 연결되어 매립형 전신 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 출구측(미도시)에 연결된다.
개폐부재(152)는 바디(142)에 형성되는 유로(142a)와 제1 연수기 연결구(146) 중 어느 하나로 원수가 유동되도록 한다. 일예로서, 개폐부재(152)는 바디(14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유로(142a)와 제1 연수기 연결구(146)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원수 입수구(144)를 통해 유입된 원수가 유로(142a)를 따라 유동하여 출수구(150)로 유입되거나 제1 연수기 연결구(146)를 통해 연수기 본체(120)의 내부를 거쳐 출수구(150)로 유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원수의 유동 경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연수기(100)는 편조호스(10)를 통해 매립형 전신 샤워기에 연결된다. 즉, 매립형 전신 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편조호스(10)가 연결되어 용이하게 매립형 전신 샤워기에 연수기(10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원수유입유로에 연결된 편조호스(10)를 통해 원수가 원수 입수구(144)로 유입된다. 원수 입수구(144)로 유입된 원수는 개폐부재(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디(142)에 형성된 유로(142a) 또는 제1 연수기 연결구(146)로 유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52)에 의해 제1 연수기 연결구(146)가 폐쇄되고 바디(142)에 연결된 유로(142a)가 개방되는 경우 원수는 바디(142)의 유로(142a)를 따라 흘러 출수구(150)로 유동된다. 이후, 출수구(150)에 연결된 편조호스(10)를 통해 매립형 전신 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로 유동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152)에 의해 바디(142)에 연결된 유로(142a)가 폐쇄되고, 제1 연수기 연결구(146)가 개방되는 경우 원수는 제1 연수기 연결구(146)를 통해 연수기 본체(120) 내부로 제공된다. 이후, 원수로부터 칼슘이나 마그네슘, 염료 등이 제거된 연수가 제2 연수기 연결구(148)를 통해 전환밸브(140)로 유입된다. 이후, 출수구(150)를 통해 연수가 출수된다. 그리고, 출수구(150)에 연결된 편조호스(10)를 통해 매립형 전신 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의 출구측으로 유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환밸브(140)를 통해 단순히 편조호스(10)를 매개로 매립형 전신 샤워기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매립형 전신 샤워기가 설치된 환경에서도 연수기(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연수기
120 : 연수기 본체
140 : 전환밸브

Claims (5)

  1. 연수기 본체; 및
    상기 연수기 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2개의 전환밸브;
    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밸브는
    일자형 관 형상을 가지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단에 결합되는 원수 입수구;
    상기 바디의 상면에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 연수기 연결구;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에 인접 배치되어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2 연수기 연결구;
    상기 제2 연수기 연결구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바디에 구비되는 출수구;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는 유로와 상기 제1 연수기 연결구 중 어느 하나로 원수가 유동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원수 입수구 및 출수구는 전신샤워기의 원수유입유로에 편조호스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원수 입수구는 상기 바디의 일단에 너트를 통해 조립되며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바디의 하단부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 본체에는 상기 제1,2 연수기 연결구가 연결되는 온수 입수구, 온수 출수구, 냉수 입수구와 냉수 출수구가 구비되는 연수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연수기 본체에 연결되는 냉수용 전환밸브와, 상기 냉수용 전환밸브와 이격 배치되는 온수용 전환밸브로 이루어지는 연수기.
  5. 삭제
KR1020170111268A 2017-08-31 2017-08-31 연수기 KR10254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68A KR102544433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268A KR102544433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53A KR20190024353A (ko) 2019-03-08
KR102544433B1 true KR102544433B1 (ko) 2023-06-16

Family

ID=65801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268A KR102544433B1 (ko) 2017-08-31 2017-08-31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4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69Y1 (ko) * 2004-06-22 2004-09-22 김윤수 연수기용 밸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9240B1 (ko) * 1999-08-26 2002-01-05 송 재 식 염소 제거기능 및 역세척 기능과 원수압 차단기능을 가진 연수기
KR100455051B1 (ko) * 2002-01-18 2004-11-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
KR100522563B1 (ko) 2003-04-07 2005-10-20 주식회사 혜인교역 연수기
KR101813646B1 (ko) * 2015-10-19 2018-01-30 주식회사 교원 유로전환밸브모듈을 이용한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교반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569Y1 (ko) * 2004-06-22 2004-09-22 김윤수 연수기용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353A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893B2 (en) Faucet with built-in filter units
US9404241B1 (en) Waste water diverter apparatus
CN106269321A (zh) 一种智能花洒
ATE444411T1 (de) Überlaufgarnitur mit stufenloser niveaueinstellung für eine sanitärwanne
KR102544433B1 (ko) 연수기
KR100926211B1 (ko) 정수용 필터 조립체
KR200395202Y1 (ko) 하수관 연결장치
CN203821504U (zh) 一种实验室用带双出水嘴的清洗装置
CN104831806B (zh) 一种淋浴污水净水分离底座
CN203546841U (zh) 多功能防臭地漏
JP2008075291A5 (ko)
KR102391180B1 (ko) 정수 장치용 역류 방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수 장치
AU2014221216B2 (en) A valve
CN203953347U (zh) 水龙头及饮水机
TWM532008U (zh) 隱藏式過濾型水龍頭
KR200409452Y1 (ko) 3-way 수질 제어 밸브
KR200226694Y1 (ko) 배관용 밸브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KR100516211B1 (ko) 연수기용 배관연결 어댑터
KR200440774Y1 (ko)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90003605U (ko) 원통형과 원통형의 밸브를 구비하는 관로세척장치
KR200356288Y1 (ko) 역류방지용 배수전과 세면기의 연결구조
CN205245842U (zh) 一种热能回收耦合节能装置
KR950010473Y1 (ko) 수도관 동파방지용 배수 볼 밸브
AU2003235077B2 (en) Graywater diverter vessel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