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4430B1 - cup holder - Google Patents
cup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4430B1 KR102544430B1 KR1020200175621A KR20200175621A KR102544430B1 KR 102544430 B1 KR102544430 B1 KR 102544430B1 KR 1020200175621 A KR1020200175621 A KR 1020200175621A KR 20200175621 A KR20200175621 A KR 20200175621A KR 102544430 B1 KR102544430 B1 KR 102544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transverse
- cup holder
- finger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2—Siz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8—Stabilizing container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컵이 끼워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돌기는 컵의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횡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 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물방울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밀폐된 공간에 고이게되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comprising: a body into which a cup is fitted; It includes a close contact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close contact projection is made of a transverse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the transverse projection is form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 be characteriz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water droplets from falling to the ground because they do not flow down from the top and pool in the closed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컵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가운 음료를 담고 있는 컵의 내,외부 온도차에 따른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물방울이 컵에서 흘러내려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 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capable of preventing water droplets generated by condensation caused by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a cup containing a cold beverage from flowing down from the cup. will be.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아이스커피, 아이스티를 비롯한 다양한 차가운 음료를 테이크아웃(Take-out)하면 1회용 용기에 상기 음료를 담아 음용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1회용 음료 용기를 컵(cup)이라 지칭한다.In general, when various cold beverages, including iced coffee and iced tea, are taken out in the summer, the beverage is put in a disposable container and consumed. Hereinafter, the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is referred to as a cup.
이때, 차가운 음료의 온도로 인해 컵의 외면 온도는 주변공기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컵의 외면에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액화하여 이슬이 맺히게 된다. At this time, due to the temperature of the cold beverage, the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s formed lower than the dew point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air, and accordingly, the water vapor in the air is liquefied and dew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이 이슬은 컵을 파지하는 부분을 포함하여 컵의 외면에 고르게 맺히고 흐르게 되어 컵을 잡은 손이 미끄럽게 만들 뿐만 아니라, 컵을 놓은 장소에 물이 고이게 되기까지 한다.This dew forms and flows eve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including the part where the cup is held, and not only makes the hand holding the cup slippery, but also collects water in the place where the cup is placed.
최근에는 차가운 음료를 테이크아웃하여 음용 할 때에 컵의 외주면을 감싸며 끼워져 컵 내부에 수용되는 음료의 온도를 차단하고, 사용자의 그립(Grip)감을 향상시켜 주는 컵 홀더를 제공하고 있다.Recently, a cup holder has been provided that wraps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p to block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side the cup and improves the user's grip when taking out a cold beverag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컵 홀더는 단순히 컵에서 발생하는 물방울이 사용자의 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손에서 미끄럼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뿐, 여전히 컵에서 발생한 물방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mply prevents water droplets generated from the cup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hand to prevent slipping from occurring in the hand, but the water droplets generated from the cup still flow downward. there wa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컵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는 돌기를 형성하여 결로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물방울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컵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capable of preventing water droplets generated due to dew condensation from flowing from top to bottom by forming protrusion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이 끼워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돌기는 컵의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횡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 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into which a cup is fitted; It includes a close contact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close contact projection is made of a transverse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the transverse projection is form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to be characterized
상기 몸체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는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감싸는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손가락 걸림부를 제공하는 손가락 걸림 절취선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finger catching perforations are formed facing each other to provide a finger catching portion so that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can be spanned while wrapping.
상기 횡 돌기부는 선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뾰족한 선단부는 상기 컵과 접촉시 아래쪽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vers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end is formed extending in a pointed shape, and the sharp front end is bent downward when in contact with the cup.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wer part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ppo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is made of a curved shape protruding convexly downward.
상기 바닥 지지부는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측 단부의 테두리는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inside from the side of the body, and the rim of the inner e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circular hol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컵의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횡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물방울이 위에서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고 밀폐된 공간에 고이게되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transvers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up, water droplets do not flow down from above and accumulate in an enclosed space to prevent falling to the ground. there is
또한,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감싸는 상태로 걸쳐질 수 있도록 손가락 걸림부를 구성함으로써, 컵 홀더를 한층 안정적이고 편하게 파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컵의 뚜껑을 열어둔 상태로 음료수를 마시거나 보행할 경우 일부의 음료수가 유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가락에 떨어져 파지하는 손가락이 더렵혀지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finger hook so that it can be hung while wrapping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not only can the cup holder be gripped more stably and comfortably, but also it is possible to drink a beverage or walk with the lid of the cup open. 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n advance that a part of the beverage leaks and falls on the user's gripping fingers, soiling the gripping fingers or causing a safety accid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컵 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컵이 결합되어 물방울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횡 돌기부로 다른 실시예 및 작용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water droplets are generated by combining the cup of FIG. 1;
Figure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and operation of the transverse projection of Figure 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For reference, 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use the concept of terms appropriately to describe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as well as there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many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ttach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컵 홀더는 컵이 끼워지는 삽입부(110)를 형성하는 몸체(100) 및 상기 몸체(100)의 내면에 형성되는 밀착돌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먼저, 상기 몸체(100)는 아이스 커피나 아이스티 등과 같은 차가운 음료수를 담는 컵(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끼우는 것으로, 내부에는 상기 컵(10)이 끼워지는 삽입부(110)가 형성된다.First, the
이러한 상기 몸체(100)는 컵(10)이 위에서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상광하협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커피전문점에서 음료를 테이크아웃하는 주 사용계층인 여성이나 젊은 층이 가방 등에 휴대하고 다니면서 필요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으며, 지류(골판지)로 제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밀착돌기(200)가 형성된다.In addition,
상기 밀착돌기(2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컵(10)과 몸체(100)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확보된 공간은 결로현상으로 인해 생성되는 물방울(W)을 저장하는 것과 아울러 단열효과를 제공한다(도 3참조).By the configura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착돌기(200)는 컵(10)의 전체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결 돌출되는 횡 돌기부(2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 돌기부(210)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즉, 상기 컵(10)의 외주면에 생성된 물방울(W)이 아래쪽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상기 횡 돌기부(210)에 의해 더 이상 흘러내리지 못하고 앞서 설명한 확보된 공간에 고이게 됨으로써 물방울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ile the water droplet W gener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횡 돌기부(210)의 단면은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cross section of the
아울러, 상기 횡 돌기부(210)는 선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연장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뾰족한 선단부는 상기 컵(10)과 접촉시 아래쪽을 향하도록 급격한 절곡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컵(1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긴밀한 밀폐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횡 돌기부(210)의 길이를 길게 연장하게 되면 다양한 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컵(10)에 대해 범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아울러,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는 상기 컵(10)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12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여채기서, 상기 바닥 지지부(120)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the
이는 상기 컵(10) 하부의 측면과 바닥면에 생성되는 물방울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fficiently store water droplets generated on the lower side and bottom surface of the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 지지부(120)는 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측 단부의 테두리는 원형의 구멍(H)을 형성한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에는 손가락 걸림부(130)를 형성하되, 상기 손가락 걸림부(13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손가락 걸림 절취선(131) 사이의 몸체(100)가 바깥쪽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한다.In addition, a
즉, 상기 손가락 걸림 절취선(131)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으로, 상기 몸체(1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에 상기 몸체(100)가 걸쳐지는 상태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층 안정적이고 편하게 컵 홀더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finger hooking
그리고, 상기 손가락 걸림 절취선(131)에 의해 형성된 손가락 걸림부(130)는 사용자가 컵(10)의 뚜껑(11)을 열어둔 상태로 음료수를 마시거나 보행할 경우 일부의 음료수가 유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가락에 떨어지더라도 해당 손가락이 더렵혀지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rinks or walks with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will be clea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몸체 110 : 삽입부
120 : 바닥 지지부 130 : 손가락 걸림부
131 : 손가락 걸림 절취선 200 : 밀착돌기
210 : 횡 돌기부 100: body 110: insertion part
120: bottom support 130: finger hook
131: finger jamming perforation 200: close protrusion
210: transverse projection
Claims (5)
상기 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밀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밀착돌기는 컵의 전체 둘레를 따라 횡방향으로 연결 돌출되는 횡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횡 돌기부는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상단 테두리의 일측과 타측에는 손가락 걸림부를 형성하되, 상기 손가락 걸림부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한 쌍의 손가락 걸림 절취선 사이의 몸체가 바깥쪽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사용자의 엄지와 검지 손가락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A body into which the cup is fitted;
Including a contact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The contact protrusions are formed of transverse protrusions connecting and protru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cup, and the transverse protrusions are formed in plurality at intervals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 finger hook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upper edge of the body, but the finger hook is bent outward in an arc shape between a pair of finger hook perforations formed facing each other to wrap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A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in the state.
상기 횡 돌기부는 선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연장형성되며, 뾰족한 선단부는 상기 컵과 접촉시 아래쪽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hold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tip of the transverse protrusion extends in a pointed shape, and the pointed tip is bent downward when in contact with the cup.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상기 컵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바닥 지지부가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3,
The cup holder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bottom support portion supporting a bottom surface of the cup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onvexly protruding downwar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상기 바닥 지지부는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볼록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하되, 내측 단부의 테두리는 원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홀더.
According to claim 4,
The bottom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 convex curved shape toward the inside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the rim of the inner end portion forms a circular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45427 | 2020-11-03 | ||
KR20200145427 | 2020-11-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9876A KR20220059876A (en) | 2022-05-10 |
KR102544430B1 true KR102544430B1 (en) | 2023-06-20 |
Family
ID=8159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5621A KR102544430B1 (en) | 2020-11-03 | 2020-12-15 | cup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4430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25832A (en) * | 1984-07-16 | 1986-02-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Rubber hose for connection |
KR20120003443U (en) * | 2009-02-10 | 2012-05-17 | 주식회사 투고솔 | The insulating sleeve for cup |
KR101243076B1 (en) | 2011-06-03 | 2013-03-18 | 위도현 | Paper cup holder |
KR20160001241U (en) * | 2014-10-06 | 2016-04-15 | 최경수 | Cold drink cup holder |
-
2020
- 2020-12-15 KR KR1020200175621A patent/KR102544430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59876A (en) | 2022-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22139B2 (en) | Lid and brewing unit for beverage containers | |
US4036392A (en) |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cover element carrying folded drinking straw | |
US20060180593A1 (en) | Beverage container or container lid with drinking straw | |
US20070295738A1 (en) | Double rimmed beverage cup and holder | |
US20070125787A1 (en) | Thermally-insulating cup holding sleeve | |
AU2022252817A1 (en) | A container gripping aid | |
AU2016348910B2 (en) | Drip catcher for stemmed drinking vessel | |
US8141740B2 (en) | Portable container | |
KR102544430B1 (en) | cup holder | |
KR101243076B1 (en) | Paper cup holder | |
US7086556B1 (en) | Two-piece juice box holder | |
KR20110003713U (en) | Cup holder | |
JP3180939U (en) | Drink holder | |
JP3174135U (en) | Plastic bottle with cup | |
KR200446685Y1 (en) | Cup cover | |
JP3189452U (en) | Flower base | |
JP2006232367A (en) | Packaging bag for liquid | |
KR101368969B1 (en) | Safety can opener | |
US9603474B2 (en) | Cup holder with a handle | |
KR200474336Y1 (en) | Beverage container carrier | |
KR20110001644U (en) | Pouch | |
KR200395287Y1 (en) | structure of handle for teabag | |
KR20120006515U (en) | Cup Holder | |
KR200487386Y1 (en) | Easy-to-use deployment cup holder | |
KR20140002565U (en) | Without touching lip drinking cup availab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