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748B1 - 촬상 광학계 - Google Patents

촬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3748B1
KR102543748B1 KR1020220093393A KR20220093393A KR102543748B1 KR 102543748 B1 KR102543748 B1 KR 102543748B1 KR 1020220093393 A KR1020220093393 A KR 1020220093393A KR 20220093393 A KR20220093393 A KR 20220093393A KR 102543748 B1 KR102543748 B1 KR 10254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system
refractive power
convex
imagin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1228A (ko
Inventor
손주화
양동신
진영수
조용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3231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27819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374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228A/ko
Priority to KR1020230074450A priority patent/KR10266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광축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6 렌즈;를 포함하며, 화각(FOV)이 44° 미만일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광학계{Optical system}
본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화상 통화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도록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의 고해상도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런데 휴대용 단말기는 점차 소형화 또는 경량화되는 추세이므로, 고해상도 및 고성능의 카메라를 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망원 렌즈의 경우 상대적으로 초점거리가 길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전장길이(TTL)도 길어질 수 있어, 망원 렌즈를 소형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수차 보정이 용이하며,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을 가지는 촬상 광학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광축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6 렌즈;를 포함하며, 화각(FOV)이 44° 미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에 의하면, 수차 보정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화각을 갖는 촬상 광학계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촬상 광학계의 수차 특성을 나타낸 곡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렌즈 구성도에서 렌즈의 두께, 크기 및 형상은 설명을 위해 다소 과장되게 도시되었으며, 특히 렌즈 구성도에서 제시된 구면 또는 비구면의 형상은 일 예로 제시되었을 뿐 이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복수의 촬상 광학계를 포함하고, 복수의 촬상 광학계는 각각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광학계는 제1 촬상 광학계(400) 및 제2 촬상 광학계(500)를 포함한다.
제1 촬상 광학계(400)와 제2 촬상 광학계(500)는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은 제2 촬상 광학계(500)의 화각보다 좁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은 44°보다 작게 구성되고, 제2 촬상 광학계(500)의 화각은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보다 넓게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의 촬상 광학계의 화각을 서로 다르게 설계함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다양한 심도로 촬영할 수 있고, 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복수의 이미지를 이용(일 예로, 합성)하여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밝은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저조도 환경에서도 피사체의 이미지를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다.
복수의 촬상 광학계는 휴대용 전자기기(6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 촬상 광학계(4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6매로 구성된 실시예에서, 제1 렌즈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6 렌즈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렌즈에서 제1 면은 물체측에 가까운 면(또는, 물체측 면)을 의미하고, 제2 면은 상측에 가까운 면(또는, 상측 면)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렌즈의 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두께(Thickness), 거리(Distance) 등에 대한 수치는 모두 ㎜ 단위이고, 각도의 단위는 Degree 이다.
아울러, 각 렌즈의 형상에 대한 설명에서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볼록하다는 의미이고,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는 의미는 해당 면의 근축 영역 부분이 오목하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렌즈의 일면이 볼록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오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렌즈의 일면이 오목한 형상이라고 설명되어도, 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은 볼록할 수 있다.
근축 영역(Paraxial Region)이라 함은 광축 근처의 매우 좁은 영역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6매의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는 제1 렌즈, 제2 렌즈, 제3 렌즈, 제4 렌즈, 제5 렌즈 및 제6 렌즈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가 6매의 렌즈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입사된 피사체의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적외선 차단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일 예로, 제6 렌즈)와 이미지 센서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개는 제3 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를 구성하는 모든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각 렌즈는 인접한 렌즈와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의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는 비구면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의 비구면은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렌즈의 곡률(곡률 반지름의 역수)이고, K는 코닉 상수이고, Y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광축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아울러, 상수 A ~ G는 비구면 계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Z는 렌즈의 비구면 상의 임의의 점으로부터 해당 비구면의 정점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로 구성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물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정/부/부/정/부/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정/부/부/부/부/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아래의 조건식들을 만족할 수 있다.
[조건식 1] TTL/F ≤ 0.83
[조건식 2] 2.2 < D23/D34 < 5.4
[조건식 3] 10 < D23/D12 < 22
[조건식 4] 58 < D45/D56 < 65
[조건식 5] 0.3 < f1/F < 0.4
[조건식 6] FOV < 44°
조건식들에서 TTL은 제1 렌즈의 물체측 면으로부터 이미지 센서의 제1 촬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는 제1 촬상 광학계(400)의 전체 초점거리이고, D12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23은 제2 렌즈와 제3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34는 제3 렌즈와 제4 렌즈의 광축 상 거리이고, D45는 제4 렌즈와 제5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D56은 제5 렌즈와 제6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이고, f1은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OV는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이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를 구성하는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를 설명한다.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1 렌즈는 양면이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2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2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 렌즈의 제1 면은 볼록하고,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제2 렌즈는 양면이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 렌즈의 제1 면과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와 제2 렌즈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3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3 렌즈의 제1 면은 볼록하고,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3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제4 렌즈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4 렌즈는 물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4 렌즈의 제1 면은 볼록하고, 제2 면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제4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는 제1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4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3 렌즈와 제4 렌즈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3 렌즈와 제4 렌즈 사이에는 조리개가 배치된다.
제5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5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5 렌즈의 제1 면은 오목하고,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5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는 제1 면에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5 렌즈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진다. 아울러, 제6 렌즈는 상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6 렌즈의 제1 면은 오목하고, 제2 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렌즈의 양면은 모두 비구면일 수 있다.
또한, 제5 렌즈와 제6 렌즈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다수의 렌즈가 수차 보정 기능을 수행하므로 수차 개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3 렌즈와 제4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5 렌즈와 제6 렌즈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화각이 44° 미만으로 구성된 망원 렌즈의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제1 렌즈(110), 제2 렌즈(120), 제3 렌즈(130), 제4 렌즈(140), 제5 렌즈(150) 및 제6 렌즈(1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필터(170), 이미지 센서(180) 및 조리개(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 반경(Effective aperture radius))은 표 1과 같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2
한편, 제1 촬상 광학계(400)의 전체 초점거리(F)는 6.927 mm이고, 제1 렌즈(110)의 초점거리(f1)는 2.416 mm이고, 제2 렌즈(120)의 초점거리(f2)는 -5.09 mm이고, 제3 렌즈(130)의 초점거리(f3)는 -4.382 mm이고, 제4 렌즈(140)의 초점거리(f4)는 71.91 mm이고, 제5 렌즈(150)의 초점거리(f5)는 -5.153 mm이고, 제6 렌즈(160)의 초점거리(f6)는 7.756 mm이다.
또한,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FOV)은 43.43°이고,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의 유효 반경(ear1)은 1.22 mm이다.
한편, 유효 반경은 광이 실제로 통과하는 각 렌즈의 일면(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의 반지름을 의미한다. 일 예로, 도 1을 참조하면,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의 유효 반경(ear1)은 제1 렌즈(110)의 물체측 면에 빛이 입사되는 끝 부분과 광축 사이의 직선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1 렌즈(1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1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1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12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12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1 렌즈(110)와 제2 렌즈(1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3 렌즈(1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1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1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1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14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4 렌즈(1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130)와 제4 렌즈(140)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된다.
조리개(ST)에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면에 변곡점을 형성하여 비점수차와 코마수차의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5 렌즈(1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또한, 제5 렌즈(15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5 렌즈(1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16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렌즈(1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5 렌즈(150)와 제6 렌즈(1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110) 내지 제6 렌즈(160)의 각 면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110) 내지 제6 렌즈(16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3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도 3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제1 렌즈(210), 제2 렌즈(220), 제3 렌즈(230), 제4 렌즈(240), 제5 렌즈(250) 및 제6 렌즈(2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필터(270), 이미지 센서(280) 및 조리개(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 반경(Effective aperture radius))은 표 3과 같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4
한편, 제1 촬상 광학계(400)의 전체 초점거리(F)는 6.9262 mm이고, 제1 렌즈(210)의 초점거리(f1)는 2.458986 mm이고, 제2 렌즈(220)의 초점거리(f2)는 -4.98814 mm이고, 제3 렌즈(230)의 초점거리(f3)는 -6.26754 mm이고, 제4 렌즈(240)의 초점거리(f4)는 -34.5267 mm이고, 제5 렌즈(250)의 초점거리(f5)는 -5.20057 mm이고, 제6 렌즈(260)의 초점거리(f6)는 8.214169 mm이다.
또한,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FOV)은 43.7°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렌즈(2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2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2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22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1 렌즈(210)와 제2 렌즈(2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3 렌즈(2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2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2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24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24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4 렌즈(2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230)와 제4 렌즈(240)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된다.
조리개(ST)에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면에 변곡점을 형성하여 비점수차와 코마수차의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5 렌즈(2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2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또한, 제5 렌즈(25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5 렌즈(2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26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렌즈(2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5 렌즈(250)와 제6 렌즈(2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210) 내지 제6 렌즈(260)의 각 면은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 내지 제6 렌즈(26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5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도 5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촬상 광학계(400)는 제1 렌즈(310), 제2 렌즈(320), 제3 렌즈(330), 제4 렌즈(340), 제5 렌즈(350) 및 제6 렌즈(360)를 구비하는 광학계를 포함하고, 적외선 차단필터(370), 이미지 센서(380) 및 조리개(S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렌즈의 렌즈 특성(곡률 반지름(Radius of curvature), 렌즈의 두께(Thickness) 또는 렌즈들 간의 거리(Distance), 굴절률(Index), 아베수(Abbe수), 유효 반경(Effective aperture radius))은 표 5와 같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6
한편, 제1 촬상 광학계(400)의 전체 초점거리(F)는 6.927 mm이고, 제1 렌즈(310)의 초점거리(f1)는 2.616186 mm이고, 제2 렌즈(320)의 초점거리(f2)는 -5.39922 mm이고, 제3 렌즈(330)의 초점거리(f3)는 -7.62391 mm이고, 제4 렌즈(340)의 초점거리(f4)는 -43.1324 mm이고, 제5 렌즈(350)의 초점거리(f5)는 -5.16861 mm이고, 제6 렌즈(360)의 초점거리(f6)는 9.398628 mm이다.
또한, 제1 촬상 광학계(400)의 화각(FOV)은 43.77°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렌즈(31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1 렌즈(310)의 제1 면과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2 렌즈(32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2 렌즈(32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렌즈(32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1 렌즈(310)와 제2 렌즈(32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3 렌즈(33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3 렌즈(33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3 렌즈(330)의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4 렌즈(34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다.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4 렌즈(34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4 렌즈(34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렌즈(330)와 제4 렌즈(340)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된다.
조리개(ST)에 가깝게 배치된 렌즈의 면에 변곡점을 형성하여 비점수차와 코마수차의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제5 렌즈(350)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5 렌즈(3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또한, 제5 렌즈(350)의 제1 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변곡점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5 렌즈(35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하다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렌즈(360)는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제6 렌즈(360)의 제1 면은 근축 영역에서 오목한 형상이고, 제2 면은 근축 영역에서 볼록한 형상이다.
제5 렌즈(350)와 제6 렌즈(3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는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될 수 있다.
제5 렌즈(350)와 제6 렌즈(360)는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5 렌즈(350)와 제6 렌즈(360)의 아베수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5 렌즈(350)와 제6 렌즈(360) 사이의 광축 상 거리를 상대적으로 가깝게 구성하여 색 수차 보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310) 내지 제6 렌즈(360)의 각 면은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구면 계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렌즈(310) 내지 제6 렌즈(360)의 물체측 면 및 상측 면은 모두 비구면이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7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촬상 광학계(400)는 도 7에 도시된 수차 특성을 가질 수 있다.
Figure 112022078797860-pat00008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210, 310: 제1 렌즈
120, 220, 320: 제2 렌즈
130, 230, 330: 제3 렌즈
140, 240, 340: 제4 렌즈
150, 250, 350: 제5 렌즈
160, 260, 360: 제6 렌즈
170, 270, 370: 적외선 차단필터
180, 280, 380: 이미지 센서
400: 제1 촬상 광학계
500: 제2 촬상 광학계
600: 휴대용 전자기기

Claims (13)

  1.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광축을 따라 순차로 배치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과 상측 면이 볼록한 제1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 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제4 렌즈;
    부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 및
    정의 굴절력을 갖고, 상측 면이 볼록한 제6 렌즈;를 포함하며,
    화각(FOV)이 44° 미만인 촬상 광학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는 각각 인접한 렌즈와 서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촬상 광학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상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촬상 광학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물체측 면이 볼록한 촬상 광학계.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물체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면이 오목한 촬상 광학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촬상 광학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의 상기 광축 상 거리를 D12,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상 거리를 D23이라 할 때,
    10 < D23/D12 < 22 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와 상기 제3 렌즈 사이의 상기 광축 상 거리를 D23,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4 렌즈의 상기 광축 상 거리를 D34라 할 때,
    2.2 < D23/D34 < 5.4 을 만족하는 촬상 광학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 거리의 절대값 중에서,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의 절대값이 가장 작은 촬상 광학계.
KR1020220093393A 2018-10-31 2022-07-27 촬상 광학계 KR10254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393A KR102543748B1 (ko) 2018-10-31 2022-07-27 촬상 광학계
KR1020230074450A KR102662858B1 (ko) 2023-06-09 촬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2313A KR102427819B1 (ko) 2017-10-27 2018-10-31 촬상 광학계
KR1020220093393A KR102543748B1 (ko) 2018-10-31 2022-07-27 촬상 광학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13A Division KR102427819B1 (ko) 2017-10-27 2018-10-31 촬상 광학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50A Division KR102662858B1 (ko) 2023-06-09 촬상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228A KR20220111228A (ko) 2022-08-09
KR102543748B1 true KR102543748B1 (ko) 2023-06-15

Family

ID=665805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406A KR102430178B1 (ko) 2018-10-31 2021-08-04 촬상 광학계
KR1020220093393A KR102543748B1 (ko) 2018-10-31 2022-07-27 촬상 광학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2406A KR102430178B1 (ko) 2018-10-31 2021-08-04 촬상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0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7273A1 (ko) * 2022-03-18 2023-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936B1 (ko) * 2013-11-21 2020-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11570B1 (ko) * 2015-11-20 2017-12-22 주식회사 코렌 촬영 렌즈 광학계
TWI595261B (zh) * 2016-02-04 2017-08-1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攝像用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101901702B1 (ko) * 2016-03-11 2018-09-28 삼성전기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178B1 (ko) 2022-08-08
KR20210098911A (ko) 2021-08-11
KR20220111228A (ko) 2022-08-09
KR20230091079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4345B1 (ko) 촬상 광학계
KR101933422B1 (ko) 촬상 광학계
KR101946261B1 (ko) 촬상 광학계
KR101762006B1 (ko) 촬상 광학계 및 서로 다른 화각을 가진 복수의 촬상 광학계가 장착된 모바일 기기
KR101659165B1 (ko) 촬상 광학계
KR20180076742A (ko) 촬상 광학계
KR101709838B1 (ko) 렌즈 모듈
KR101740766B1 (ko) 촬상 광학계
KR20150135860A (ko) 촬상 광학계
KR101701003B1 (ko) 촬상 광학계
KR20160025867A (ko) 촬상 광학계
KR102483092B1 (ko) 촬상 광학계
KR101670136B1 (ko) 촬상 광학계
KR102543748B1 (ko) 촬상 광학계
KR102632359B1 (ko) 촬상 광학계
KR102427819B1 (ko) 촬상 광학계
KR102662858B1 (ko) 촬상 광학계
KR102052803B1 (ko) 촬상 광학계
KR102500891B1 (ko) 촬상 광학계
KR102574437B1 (ko) 촬상 광학계
KR20230006438A (ko)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