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581B1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3581B1 KR102543581B1 KR1020160039485A KR20160039485A KR102543581B1 KR 102543581 B1 KR102543581 B1 KR 102543581B1 KR 1020160039485 A KR1020160039485 A KR 1020160039485A KR 20160039485 A KR20160039485 A KR 20160039485A KR 102543581 B1 KR102543581 B1 KR 102543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tical plate
- medium
- optical
- optical device
- bas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by projecting aerial or floating imag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08—Systems specially adapted to form image relays or chained system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 이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tical device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ptical plate including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ptical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optical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ortion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ortion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 Accordingly, an image with improved visibility can be formed in the air.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는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device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n optical device capable of forming an image with improved visibility in the air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결상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결상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The imaging device is a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The imaging device has various methods, such as outputting an image through a display panel or projecting an image to the outside using visible light or the like.
한편, 영상출력의 일 방법으로 미러를 이용하여 공중에 영상이 결상되도록 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one method of outputting an image, a method of forming an image in the air using a mirror is being studied.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는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device capable of imaging an image with improved visibility in the air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n optical plate, a second optical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optical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art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art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It is provided, an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In addition,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optical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optical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art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art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An optical plate and a third optical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optical plate and having a light absorbing portion, where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cross each othe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상장치는, 영상 표시부와, 소정 영상을 출력하도록 영상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영상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공중에 결상하는 광학장치를 구비하고, 광학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In addition,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utput a predetermined image, and an optical device for imag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unit in the air. The optical device includes a first optical plate including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ptical plat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ortion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ortion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and comprising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optical plate. directions intersec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상장치는, 영상 표시부와, 소정 영상을 출력하도록 영상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영상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공중에 결상하는 광학장치를 구비하고, 광학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In addition,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display uni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utput a predetermined image, and an optical device for imaging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unit in the air. The optical device includes a first optical plate including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ptical plate disposed on an upper portion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ortion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ortion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and disposed below the first optical plate. and a third optical plate having a light absorb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 이에 의하면, 제1 광학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특히,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와 제2 패턴부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n optical device and an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plate comprising a first optical plate, a second base part of a third medium disposed on the first optical plate, and a second pattern part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An optical plate is provided, and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 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optical plate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optical plate. In particular, since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are formed in crossing directions, output efficiency is improved. Accordingly, an image with improved visibility can be formed in the air.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는, 제1 매질의 제1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의 제1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와,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된다. 이에 의하면, 제3 광학 플레이트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1 광학 플레이트와,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Meanwhile, an optical device and an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first optical plate disposed on the first optical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art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art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2 optical plates, and a third optical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optical plate and having a light absorbing portion, wherein a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cross each other. 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third optical plate is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tical plate and the second optical plate.
광흡수부를 통해, 입사광의 일부를 흡수하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와 제2 패턴부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 A portion of incident light is absorbed through the light absorbing portion,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re formed in crossing directions, thereby improving output efficiency. Accordingly, an image with improved visibility can be formed in the air.
한편, 광흡수부를 통해, 입사광의 일부를 흡수함으로써, 허상 발생을 미리 억제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by absorbing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through the light absorbing uni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virtual image in advance.
한편, 제2 광학 플레이트 상부에 보호층을 더 배치함으로서, 광학장치를 보호할 수 있으며, 대형의 광학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by further disposing a protective layer on the second optical plate, the optical device can be protected and a large-sized optical device can be manufactured.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상장치의 외관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결상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1의 광학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광학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광학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A to 1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n appearance of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ing device of FIG. 1A or 1B.
FIG. 3 is a view referenced 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optical device of FIG. 1 .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device of FIG. 4 .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to 11 are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device of FIG. 8 .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simply given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themselves give a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module” and “uni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광학 장치는, 출력 영상을 공중에서 결상할 수 있는 광학 장치이다. 이러한 광학장치는, 결상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The optical device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an optical device capable of imaging an output image in the air. Such an optical device can be applied to an imaging device.
한편,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결상장치는, 하나의 부품으로서 다른 기기 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며, 또는 에어컨, 냉장고, 조리기기, 로봇 청소기 등의 전자기기 내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자동차 등의 차량 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ing device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ncorporated into other equipment as a component.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be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or it is possible to be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ir conditioners, refrigerators, cooking appliances, and robot vacuum cleaners, or it is also possible to be mounted in vehicles such as cars.
이하에서는 이러한 결상장치에 대해 상세히 기술한다. Hereinafter, this imag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상장치의 외관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1A to 1B illustrate various examples of an appearance of an ima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결상장치(100a)는,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광학장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학 장치라는 용어와 광학부라는 용어를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A , an
결상장치(100a) 내에서, 출력 영상(50a)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광학장치(210)에 의해, 출력 영상에 대응하는 수직 방향의 결상(image formation)이 발생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수직 방향의 결상(60a)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눈(30)을 통해, 수직 방향의 결상(60a)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e
다음, 도 1b를 참조하면, 결상장치(100b)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광학장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1B , the
결상장치(100b) 내에서, 출력 영상(50b)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광학장치(210)에 의해, 출력 영상에 대응하는 사선 방향의 결상(image formation)이 발생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사선 방향의 결상(60b)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눈(30)을 통해, 사선 방향의 결상(60b)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In the
결국, 도 1a 내지 도 1b에 따르면, 결상장치(100a,100b)는, 일방향에서 출력되는 출력 영상을 교차되는 방향으로 결상할 수 있다. 특히, 공중(air)에 출력 영상을 결상(image formation)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상장치(100a,100b)는, 광학 장치(210)를 구비할 수 있다. As a result, according to FIGS. 1A and 1B , th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이에 의하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특히,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이에 의하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며, 광흡수부(512)를 통해, 입사광의 일부를 흡수하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thir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 상부에 보호층(510d)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층(510d)에 의해, 제1 내지 제3 광학 플레이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의 광학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이러한 광학 장치(210)에 대해서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This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의 결상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ing device of FIG. 1A or 1B.
도면을 참조하면, 결상장치(100)는, 메모리(120), 제어부(170), 통신 모듈(160), 영상 표시부(185), 광학부(21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광학부(210)는, 상술한 광학 장치(21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한편, 영상 표시부(185)는, LCD, OLED, PDP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광학부(210)는, 영상 표시부(185)에 표시되는 소정 영상을 공중(air)으로 결상되도록 할 수 있다.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구비할 수 있다. 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의하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2 광학 플레이트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특히,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이에 의하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며, 광흡수부(512)를 통해, 입사광의 일부를 흡수하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third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부(210)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 상부에 보호층(510d)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층(510d)에 의해, 제1 내지 제3 광학 플레이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의 광학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이러한 광학부(210)에 대해서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The
메모리(120)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통신 모듈(135)은, 결상장치(1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모든 외부 장치 또는 네트워크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135)은 이러한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 또는 영상을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결상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결상장치(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35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or networks connected to the
특히, 통신 모듈(135)은,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module 135 may receive a radio signal from an adjacent mobile terminal (not shown). Here, the radio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such as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text data, or video data.
이를 위해, 통신 모듈(135)은, 근거리 통신 모듈(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module 135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 the like may be used as short-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제어부(170)는, 결상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상장치(100)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제어부(170)는, 메모리(120)에 저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통신 모듈(135)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특히, 제어부(170)는, 소정 영상을 출력하도록 영상 표시부(185)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할 비디오 영상에 대응하는 R,G,B 신호를, 영상 표시부(185)fh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부(185)는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전원 공급부(190)는, 결상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영상 표시부(185),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referenced to explain the principle of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출력 영상(50)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광학 장치(210)가 사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s exemplified that the
출력 영상(50)으로부터 발해지는 광선은, 광학 장치(210)를 투과할 때에 입사광과 대칭한 경로로 진행하기 때문에, 광학 장치(210)를 사이에 두고, 출력 영상(50)과는 대칭한 위치에 결상(60)된다. 그 결과, 관찰자는 공중에 뜬 물리적 실체가 없는, 출력 영상(50)의 상(60)을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Since the light ray emitted from the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광학 장치(210)에서, 출력 영상이 공중에서 결상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is principle, the output image is formed in the air in the
한편, 영상을 광학적 기구 및 구조를 통하여 공중에 영상을 재 결상 시키는 기술은, 유사 홀로그램 기술 중 하나로, 디스플레의 영상에서 나오는 빛들을 공중에, 재 결상 시켜 공중에 부양된 영상을 만드는 기술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결상 장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 가능하며, 특히, ATM(automated teller machine)등에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of re-imaging the image in the air through an optical mechanism and structure is one of the similar hologram technologies, and can correspond to the technology of creating an image floating in the air by re-imaging the light from the image of the display in the air. there is. Such an imaging device can be used for various displays, and in particular, can be used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광학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 to 7 are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device of FIG. 4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a)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구비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Shma)과 골(Shva)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The first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는,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산(Shmb)과 골(Shvb)은 주기적으로 반복된다. The second
한편,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교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산(Shma)과 골(Shva)이 형성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산(Shmb)과 골(Shvb)이 형성된 제2 패턴부(510b2)에 의해, 도 5와 같이, 입사광(A1)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로 입사되어,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에서 출력광(A2)가 출력되게 된다. 특히, 출력 효율이 향상되며, 시인성이 향상되게 된다.Meanwhile,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may cross each other. As such, the first pattern portion 510a2 in which the peaks Shma and valleys Shva of the first
광 경로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입사광(A1)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베이스부(510a1)의 a2 지점에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패턴부(510a2)의 경계인 a3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베이스부(510b1)의 a4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패턴부(510b2)의 경계인 a5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a6 지점에서 굴절되어, 외부로 출력광(A2)로서 출력된다.Describing the light path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6 or 7 ,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a point a2 of the first base portion 510a1 of the first
광 경로를 다른 방식으로 기술하면, 도 6 또는 도 7과 같이, 입사광(A1)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매질(511a)의 a2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경계인 의 a3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3 매질(511b)의 a4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경계인 a5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a6 지점에서 굴절되어, 외부로 출력광(A2)로서 출력된다.If the light path is described in another way, as shown in FIG. 6 or 7 ,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a point a2 of the first medium 511a of the first
한편, 도 7은 도 4의 I-I'선을 기준으로 한 광학장치(210a)의 단면도를 예시한다.Meanwhile, FIG. 7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a first
즉,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에, 산(Shma)과 골(Shva)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제1 패턴부(510a2)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first pattern portion 510a2 in which peaks Shma and valleys Shva are periodically repeated may be formed on the first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조시, 산(Shma)과 골(Shva)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1 광학 플레이트(510a)를 롤링(rolling)하면서 산(Shma)과 골(Shva)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first
이때, 산(Shma)과 골(Shva)이 포함된 패턴은, 이상적으로, 골의 각도가,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골(Shva)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pattern including the peak (Shma) and the valley (Shva), ideally, the angle of the valley is preferably vertical, but due to difficulti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angle of the valley (Shva) is greater than 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10 degrees.
골(Shva)의 각도가 0˚인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상 양산이 어려우며, 골(Shva)의 각도가 10˚ 이상인 것은, 제1 패턴부(510a2)에서의 광의 반사시,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가 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angle of the valley Shva is 0°,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f the angle of the valley Shva is 10° or more, when light is reflected from the first pattern unit 510a2,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desired direction. so there is no reflection.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골(Shva)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of the valley Shva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and smaller than 10°.
한편,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높이(hao) 대비,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ha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height hao of the first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높이(hao) 대비,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ha1))의 비율이 0.7을 초과하면,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가 너무 커져, 광의 반사, 특히 전반사가 잘 수행되지 않게 된다.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ao of the first
한편,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높이(hao) 대비,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ha1))의 비율이 0.2을 미만인 경우,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가 너무 작아져, 산(Shma)과 골(Shva)의 패턴에 의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대형의 광학장치(210a) 구현시, 파손 가능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ao of the first
따라서,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높이(hao) 대비,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ha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height hao of the first
한편,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산(Shma)의 주기(Pa) 대비 골(Shva)의 깊이(ha)의 비율은 1 내지 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서 산(Shma)의 주기는, 산(Shva)의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period (Pa) of the peak (Shma) to the depth (ha) of the valley (Shva) of the first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산(Shma)의 주기(Pa) 대비 골(Shva)의 깊이(ha)의 비율이 1 미만인 경우, 산(Shma)의 주기(Pa)가 보다 넓어지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반사면이 줄어서 출력광(A2)이 어둡게 된다. 즉, 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When the ratio of the period (Pa) of the peaks (Shma) of the first
한편,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산(Shma)의 주기(Pa) 대비 골(Shva)의 깊이(ha)의 비율이 3 초과인 경우, 골(Shva)의 깊이(ha)가 보다 깊어지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골(Shva)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깊어진 골(Shva)로 인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외부로 출력되지 못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허상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period (Pa) of the peak (Shma) of the first
이에,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높이(hao) 대비, 제1 베이스부(510a1)의 높이(ha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height hao of the first
한편,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굴절율은 서로 다르며,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second medium 512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는,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즉,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에, 산(Shmb)과 골(Shvb)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second pattern portion 510b2 in which peaks Shmb and valleys Shvb are periodically repeated may be formed on the second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조시, 산(Shmb)과 골(Shvb)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롤링(rolling)하면서 산(Shmb)과 골(Shvb)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이때, 산(Shmb)과 골(Shvb)이 포함된 패턴은, 이상적으로, 골의 각도가,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나, 제조 공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골(Shvb)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pattern including the peak (Shmb) and the valley (Shvb), ideally, the angle of the valley is preferably vertical, but due to difficultie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angle of the valley (Shvb) is greater than 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less than 10 degrees.
골(Shvb)의 각도가 0˚인 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 공정상 양산이 어려우며, 골(Shvb)의 각도가 10˚ 이상인 것은, 제2 패턴부(510b2)에서의 광의 반사시, 원하는 방향으로 반사가 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angle of the valley Shvb is 0°, it is difficult to mass-produce due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f the angle of the valley Shvb is 10° or more, when light is reflected from the second pattern part 510b2, it is difficult to produce a desired direction. so there is no reflection.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골(Shvb)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angle of the valley Shvb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and smaller than 10°.
한편,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높이(hbo) 대비,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hb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height hbo of the second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높이(hbo) 대비,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hb1))의 비율이 0.7을 초과하면,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가 너무 커져, 광의 반사, 특히 전반사가 잘 수행되지 않게 된다.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bo of the second
한편,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높이(hbo) 대비,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hb1))의 비율이 0.2 미만인 경우,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가 너무 작아져, 산(Shmb)과 골(Shvb)의 패턴에 의해,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대형의 광학장치(210b) 구현시, 파손 가능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bo of the second
따라서,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높이(hbo) 대비,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hb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height hbo of the second
한편,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산(Shmb)의 주기(Pb) 대비 골(Shvb)의 깊이(hb)의 비율은 1 내지 3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서 산(Shmb)의 주기는, 산(Shvb)의의 주기와 동일할 수 있다.Meanwhile, the ratio of the period Pb of the peak Shmb of the second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산(Shmb)의 주기(Pb) 대비 골(Shvb)의 깊이(hb)의 비율이 1 미만인 경우, 산(Shmb)의 주기(Pb)가 보다 넓어지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반사면이 줄어서 출력광(A2)이 어둡게 된다. 즉, 광효율이 떨어지게 된다.When the ratio of the period (Pb) of the peaks (Shmb) of the second
한편,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산(Shmb)의 주기(Pb) 대비 골(Shvb)의 깊이(hb)의 비율이 3 초과인 경우, 골(Shvb)의 깊이(hb)가 보다 깊어지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골(Shvb)의 경계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이, 깊어진 골(Shvb)로 인해,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외부로 출력되지 못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그래서 허상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atio of the period Pb of the peak Shmb of the second
이에,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높이(hbo) 대비, 제2 베이스부(510b1)의 높이(hb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height hbo of the second
한편,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굴절율은 서로 다르며,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굴절율 차이에 의해,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수행될 수 있다. Meanwhile,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fourth medium 512b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nd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fourth medium 511b have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due to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한편,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은, 서로 다른 재질이며,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도 또한 서로 다른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second medium 512a ar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and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fourth medium 512b are also preferably made of different materials.
한편, 제1 매질(511a)과 제3 매질(511b)은, 서로 동일한 재질일 수 있으며, 제2 매질(512a)과 제4 매질(512b)은 서로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third medium 511b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econd medium 512a and the
예를 들어, 제2 매질(512a)과 제4 매질(512b)은, 공기층(air)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매질(512a)과 제4 매질(512b)을 공기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코팅이 필요 없게 되며,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대형으로 제조하기에 용이하게 된다.For example, the second medium 512a and the
한편, 제1 매질(511a)과 제3 매질(511b)은, 서로 다른 재질이거나, 제2 매질(512a)과 제4 매질(512b)은, 서로 다른 재질인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third medium 511b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r the second medium 512a and the
예를 들어, 제1 매질(511a)과 제3 매질(511b)은, 글래스(glass), 플래스틱(plastic), 레진(resin) 등, 공기층(air) 보다 높은 굴절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third medium 511b preferably have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air, such as glass, plastic, or resin.
즉, 제1 매질(511a)과 제3 매질(511b)의 굴절율은, 각각 제2 매질(512a)과 제4 매질(512b)의 굴절율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refractive indices of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third medium 511b are preferably greater than those of the second medium 512a and the
한편, 제1 매질(511a)이 광학용 Glass 또는 Plastic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매질(511a)의 굴절율(n1)과 제2 매질(512a) 사이의 굴절률(n2)의 차이는, 0.4~0.8의 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medium 511a is made of optical glass or plastic materi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1 of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refractive index n2 of the second medium 512a is 0.4 to 512a. It may be a value of 0.8.
한편, 제3 매질(511b)이 광학용 Glass 또는 Plastic 재질로 구현되는 경우, 제3 매질(511b)의 굴절율(n3)과 제4 매질(512b)의 굴절율(n4)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4~0.8의 값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rd medium 511b is made of optical glass or plastic,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n3 of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refractive index n4 of the
예를 들어, 제1 매질(511a)과 제3 매질(511b) 각각은, 굴절율 1.4의 플라스틱, 굴절율 1.5의 글래스 등일 수도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third medium 511b may be plastic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4 or glass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5.
한편,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굴절율의 차이가 클수록, 입사 각도의 마진이 커지며,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굴절율의 차이가 클수록, 입사 각도의 마진이 커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medium 511a and the second medium 512a increases, the margin of the incident angle increases, and as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third medium 511b and the
한편,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도 4의 x축 기준으로, 제1 방향(D1)의 각도는 35˚ 내지 55˚ 사이이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방향(D2)의 각도는, 도 4의 x축 기준으로, -55˚ 내지 -3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angle of the first
제1 방향(D1)의 각도가 35˚미만이면, 실상 구현이 안되고 허상 가능성이 높아지며, 55˚초과이면, 광효율이 낮아지게 된다.If the angle of the first direction D1 is less than 35 degrees, the real image cannot be implemented and the possibility of a virtual image increases, and if it exceeds 55 degrees, light efficiency decreases.
한편, 제2 방향(D2)의 각도가 -55˚미만인 경우 광효율이 낮아지며, -35˚ 초과이면, 실상 구현이 안되고 허상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of the second direction D2 is less than -55 degrees, the light efficiency is lowered, and when it exceeds -35 degrees, real images cannot be realized and the possibility of virtual images increases.
따라서,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도 4의 x축 기준으로, 제1 방향(D1)의 각도는 35˚ 내지 55˚ 사이이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방향(D2)의 각도는, 도 4의 x축 기준으로, -55˚ 내지 -3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angle of the firs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광학 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to 11 are views referred to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device of FIG. 8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b)는, 도 4의 광학 장치(210a)에 비해,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를 더 구비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즉,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b)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in the
한편, 제3 방향(D3)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교차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3 방향(D3)이 수직 방향인 것을 예시한다.Meanwhile, the third direction D3 may cross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7 illustrates that the third direction D3 is a vertical direction.
이에 의하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로 입사되는 입사광이,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며, 광흡수부(512)를 통해, 입사광의 일부를 흡수하며, 교차되는 방향으로 제1 패턴부(510a2)와 제2 패턴부(510b2)가 형성됨으로써, 출력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따라서, 시인성이 향상된 영상을 공중에 결상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the incident light incident on the third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에 대한 구조, 물성 특성은, 도 4 내지 도 7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를 참조하여 생략한다.Structure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는, 제5 매질(511c)의 제3 베이스부(510c1)와, 산(Shmc)과 골(Shvc)이 제3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 매질(512c)의 흡수부(512)를 포함하는 제3 패턴부(510c2)를 구비할 수 있다.The third
도 8의 광학 장치(210b)에 의하면, 입사광(A1)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베이스부(510a1)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패턴부(510a2)의 경계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베이스부(510b1)에서 굴절되고,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패턴부(510b2)의 경계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출력광(A2)로서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한편, 광 경로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입사광(A1)의 일부가,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제3 베이스부(510c1)의 12 지점에서 굴절되며, 다른 일부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흡수부(512)에 흡수된다.Meanwhile, describing the light path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10 or 11 ,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12 points of the third base part 510c1 of the third
그리고, 입사광(A1)의 일부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베이스부(510a1)의 a2 지점에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패턴부(510a2)의 경계인 a3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베이스부(510b1)의 a4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2 패턴부(510b2)의 경계인 a5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a6 지점에서 굴절되어, 외부로 출력광(A2)로서 출력된다.A portion of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a point a2 of the first base portion 510a1 of the first
광 경로를 다른 방식으로 기술하면, 도 10 또는 도 11과 같이, 입사광(A1)일부가,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제5 매질(511c)의 a1 지점에서 굴절되며, 다른 일부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제6 매질(512c)에 흡수된다.If the light path is described in another way, as shown in FIG. 10 or 11, a portion of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a point a1 of the fifth medium 511c of the third
그리고, 입사광(A1)의 일부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매질(511a)의 a2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제1 매질(511a)과 제2 매질(512a)의 경계인 의 a3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3 매질(511b)의 a4 지점에서 굴절되고,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제3 매질(511b)과 제4 매질(512b)의 경계인 a5 지점에서 반사되며,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의 a6 지점에서 굴절되어, 외부로 출력광(A2)로서 출력된다.Then, a part of the incident light A1 is refracted at a point a2 of the first medium 511a of the first
한편, 도 11은 도 7의 II-II'선을 기준으로 한 광학장치(210b)의 단면도를 예시한다.Meanwhile, FIG. 11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는, 제5 매질(511c)의 제3 베이스부(510c1)와, 산(Shmc)과 골(Shvc)이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 매질(512c)의 제3 패턴부(510c2)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third
즉,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에, 산(Shmc)과 골(Shvc)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제3 패턴부(510c2)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third pattern portion 510c2 in which peaks Shmc and valleys Shvc are periodically repeated may be formed on the third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제조시, 산(Shmc)과 골(Shvc)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3 광학 플레이트(510c)를 롤링(rolling)하면서 산(Shmc)과 골(Shvc)이 포함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third
그리고, 형성된 패턴에, 흡수부재를 주입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부재는 광을 흡수하기만 하면 되며, 다양한 소재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레진 등이 가능하다.Then, an absorbing member may be injected into the formed pattern. Here, the absorbing member only needs to absorb light, and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For example, plastic, resin, etc. are possible.
한편,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높이(hco) 대비,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hc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ratio of the height hco of the third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높이(hco) 대비,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hc1))의 비율이 0.7을 초과하면,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가 너무 커져, 광의 반사, 특히 전반사가 잘 수행되지 않게 된다.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co of the third
한편,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높이(hco) 대비,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hc1))의 비율이 0.2을 미만인 경우,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가 너무 작아져, 산(Shmc)과 골(Shvc)의 패턴에 의해,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특히, 대형의 광학장치(210c) 구현시, 파손 가능성은 더 높아지게 된다.Meanwhile, when the ratio of the height hco of the third
따라서,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의 높이(hco) 대비, 제3 베이스부(510c1)의 높이(hc1))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ratio of the height hco of the third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c)는, 도 11의 광학 장치(210c)와 유사하나, 제2 광학 플레이트(510b) 상에 보호층(510d)가 더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an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장치(210c)는, 제1 매질(511a)의 제1 베이스부(510a1)와, 산(Shma)과 골(Shva)이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2 매질(512a)의 제1 패턴부(510a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511b)의 제2 베이스부(510b1)와, 산(Shmb)과 골(Shvb)이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512b)의 제2 패턴부(510b2)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510b)와, 제1 광학 플레이트(510a)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512)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510c)와, 제2 광학 플레이트(510b) 상부에 보호층(510d)를 구비할 수 있다. 보호층(510d)에 의해, 제1 내지 제3 광학 플레이트(510a~510c)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형의 광학장치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In the
한편, 보호층(510d)은, 스크래치 방지, 방수 방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드 코팅층 또는 글래스 또는 플라스틱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결상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to the optical device and the imaging device including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abov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or part of these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3 매질의 제2 베이스부와, 산과 골이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4 매질의 제2 패턴부를 포함하는 구비하는 제2 광학 플레이트;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층;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광흡수부를 구비하는 제3 광학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 first optical plate having a first base portion of a first medium and a first pattern portion of a second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optical plate disposed above the first optical plate and including a second base portion of a third medium and a second pattern portion of a four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second direction;
a protective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optical plate;
a third optical plate disposed under the first optical plate and having a light absorbing portion;
The opt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intersect.
상기 광흡수부는,
제5 매질의 제3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며, 산과 골이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6 매질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light absorbing part,
It is formed on the third base of the fifth medium and includes a sixth medium formed by extending peaks and valleys in a third direction,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the third direction crosse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입사광이, 상기 제3 광학 플레이트에서 굴절되고,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베이스부에서 굴절되고,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1 패턴부의 경계에서 반사되며,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베이스부에서 굴절되고,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2 패턴부의 경계에서 반사되어, 외부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Incident light is refracted by the third optical plate, refracted by the first base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plate, reflected at a boundary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of the first optical plate, and The opt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tical device is refracted at the second base part, reflected at the boundary of the second pattern part of the second optical plate, and output to the outside.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의 각도는 35˚ 내지 55˚ 사이이며,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의 각도는 -55˚ 내지 -3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An angle of the first optical plate in the first direction is between 35° and 55°,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angle of the second optical plate in the second direction is between -55° and -35°.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골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골의 각도는 0˚보다 크고 10˚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angle of the valley of the first optical plate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0°;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n angle of the valley of the second optical plate is greater than 0° and smaller than 10°.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높이 대비, 상기 제1 베이스부의 높이의 비율은 0.3 내지 0.7이고,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높이 대비, 상기 제2 베이스부의 높이의 비율은 0.3 내지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first base part to the height of the first optical plate is 0.3 to 0.7,
The optic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height of the second base portion to the height of the second optical plate is 0.3 to 0.7.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산의 주기 대비 상기 골의 깊이는 1 내지 3 사이이며,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산의 주기 대비 상기 골의 깊이는 1 내지 3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In the first optical plate, the depth of the valley compared to the period of the peak is between 1 and 3,
The optical device of claim 1 , wherein a depth of the trough of the second optical plate is between 1 and 3 in relation to the period of the peak.
상기 제2 매질, 및 상기 제4 매질은 공기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medium and the fourth medium are air layers.
상기 제1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매질과 상기 제2 매질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 보다 크고 3 보다 작으며,
상기 제2 광학 플레이트의, 상기 제3 매질과 상기 제4 매질 사이의 굴절률 차이는, 0 보다 크고 3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장치.According to claim 10,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medium and the second medium of the first optical plate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3,
The 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wherein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medium and the fourth medium of the second optical plate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3.
소정 영상을 출력하도록 상기 영상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영상 표시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공중에 결상하며, 제10항 내지 제12항,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상장치.video display uni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unit to output a predetermined image;
An imaging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to 12 and 14 to 19, which forms an image in the air outputted from the image display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485A KR102543581B1 (en) | 2016-03-31 | 2016-03-31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9485A KR102543581B1 (en) | 2016-03-31 | 2016-03-31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443A KR20170112443A (en) | 2017-10-12 |
KR102543581B1 true KR102543581B1 (en) | 2023-06-13 |
Family
ID=60140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9485A KR102543581B1 (en) | 2016-03-31 | 2016-03-31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43581B1 (en)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0318B2 (en) | 1994-02-08 | 2004-10-20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Liquid crystal display |
JP2007115451A (en) | 2005-10-18 | 2007-05-10 | Omron Corp | Planar light source device |
KR100788524B1 (en) | 2003-03-25 | 2007-12-24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Diffusion sheet, transmission screen having the same, diffusion sheet mold making method and diffusion sheet producing method |
KR100849111B1 (en) | 2007-02-05 | 2008-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ilter for display panel |
KR100926334B1 (en) | 2009-04-30 | 2009-11-10 | (주)이즈소프트 | Optical functional film |
US20120320322A1 (en) | 2010-03-01 | 2012-12-20 | Sharp Kabushiki Kaisha | Reflective image forming element and optical system |
JP2013113902A (en) * | 2011-11-25 | 2013-06-10 | Dainippon Printing Co Ltd | Optical panel and display device |
KR101361722B1 (en) | 2012-06-05 | 2014-02-13 | 주식회사 엘엠에스 | Wave retardation film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20150212335A1 (en) | 2012-08-03 | 2015-07-30 | Sharp Kabushiki Kaisha | Reflective type imaging element and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lective type imaging element |
JP2017167224A (en) | 2016-03-14 | 2017-09-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Space floating video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0655A (en) * | 2008-04-18 | 2009-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display filter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2016
- 2016-03-31 KR KR1020160039485A patent/KR10254358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80318B2 (en) | 1994-02-08 | 2004-10-20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Liquid crystal display |
KR100788524B1 (en) | 2003-03-25 | 2007-12-24 |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 Diffusion sheet, transmission screen having the same, diffusion sheet mold making method and diffusion sheet producing method |
JP2007115451A (en) | 2005-10-18 | 2007-05-10 | Omron Corp | Planar light source device |
KR100849111B1 (en) | 2007-02-05 | 2008-07-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ilter for display panel |
KR100926334B1 (en) | 2009-04-30 | 2009-11-10 | (주)이즈소프트 | Optical functional film |
US20120320322A1 (en) | 2010-03-01 | 2012-12-20 | Sharp Kabushiki Kaisha | Reflective image forming element and optical system |
JP2013113902A (en) * | 2011-11-25 | 2013-06-10 | Dainippon Printing Co Ltd | Optical panel and display device |
KR101361722B1 (en) | 2012-06-05 | 2014-02-13 | 주식회사 엘엠에스 | Wave retardation film and 3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US20150212335A1 (en) | 2012-08-03 | 2015-07-30 | Sharp Kabushiki Kaisha | Reflective type imaging element and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lective type imaging element |
JP2017167224A (en) | 2016-03-14 | 2017-09-2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Space floating video display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2443A (en)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333891B2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 guide element that guides light from a display element and light from an outside | |
US10136524B2 (en) | Sliding display device | |
US9817266B2 (en) | Polarizer and transparent display | |
JP5046049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 |
CN104409020B (en) | A kind of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JP4293013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2491515B1 (en) | Glass member for display apparatus,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CN102985864A (en) | Super wide angle optical lens system | |
CN104062795A (en) | Spliced screen frame weakening structure and spliced screen | |
CN204496039U (en) | Optical lens and annular projection's display system thereof | |
KR20150083419A (en) | Wearable display apparatus | |
KR102009921B1 (en) | Prism sheet for glasses-free 3D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03292219A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CN203689856U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JP2023007106A (en) | Air flo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2543581B1 (en)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04297987A (en) |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 |
KR20140071111A (en) | The Security Film for Display Device | |
CN108139656B (en) | Reconfigurable mobile device | |
CN103780893B (en) | Stereo display module and the electronic installation of stereo-picture can be shown | |
JP6988069B2 (en) | Reflective screen, video display device | |
US10254455B2 (en) | Mirror display and mirror display unit | |
US9749610B2 (en) | Spatial image projection apparatus | |
KR102412249B1 (en) | Optical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210127210U (en) | Screen protection film with bore hole 3D fun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