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3034B1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Google Patents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43034B1 KR102543034B1 KR1020177015102A KR20177015102A KR102543034B1 KR 102543034 B1 KR102543034 B1 KR 102543034B1 KR 1020177015102 A KR1020177015102 A KR 1020177015102A KR 20177015102 A KR20177015102 A KR 20177015102A KR 102543034 B1 KR102543034 B1 KR 1025430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crystal display
- concave
- convex
- display el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10000002858 crystal cel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9
- NIXOWILDQLNWCW-UHFFFAOYSA-M Acrylate Chemical compound [O-]C(=O)C=C NIXOWILDQLNWC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5865 ionizing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1 monocyclic cycloolefi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3505 polymerization initi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2284 Cellulose tr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ZWEHNKRNPOVVGH-UHFFFAOYSA-N 2-Butanone Chemical compound CCC(C)=O ZWEHNKRNPOVVG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NNLVGZFZQQXQNW-ADJNRHBOSA-N [(2r,3r,4s,5r,6s)-4,5-diacetyloxy-3-[(2s,3r,4s,5r,6r)-3,4,5-triacetyloxy-6-(acetyloxymethyl)oxan-2-yl]oxy-6-[(2r,3r,4s,5r,6s)-4,5,6-triacetyloxy-2-(acetyloxymethyl)oxan-3-yl]oxyoxan-2-yl]m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O([C@@H]1O[C@@H]([C@H]([C@H](OC(C)=O)[C@H]1OC(C)=O)O[C@H]1[C@@H]([C@@H](OC(C)=O)[C@H](OC(C)=O)[C@@H](COC(C)=O)O1)OC(C)=O)COC(=O)C)[C@@H]1[C@@H](COC(C)=O)O[C@@H](OC(C)=O)[C@H](OC(C)=O)[C@H]1OC(C)=O NNLVGZFZQQXQNW-ADJNRHBO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125000000524 functiona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6
- ZFSLODLOARCGLH-UHFFFAOYSA-N isocyanuric acid Chemical compound OC1=NC(O)=NC(O)=N1 ZFSLODLOARCGL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346 layers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ODIGIKRIUKFKHP-UHFFFAOYSA-N (n-propan-2-yloxycarbonylanilino) acetate Chemical compound CC(C)OC(=O)N(OC(C)=O)C1=CC=CC=C1 ODIGIKRIUKFKH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PPBRXRYQALVLMV-UHFFFAOYSA-N Styrene Chemical compound C=CC1=CC=CC=C1 PPBRXRYQALVL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YMWUJEATGCHHMB-UHFFFAOYSA-N Dichloromethane Chemical compound ClCCl YMWUJEATGCHHM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LYCAIKOWRPUZTN-UHFFFAOYSA-N 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 LYCAIKOWRPUZT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YXFVVABEGXRONW-UHFFFAOYSA-N Tolu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 YXFVVABEGXRO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ZMANZCXQSJIPKH-UHFFFAOYSA-N Triethylamine Chemical compound CCN(CC)CC ZMANZCXQSJIPK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647 acryloyl group Chemical group O=C([*])C([H])=C([H])[H]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73 anti-fou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588 bifun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IISBACLAFKSPIT-UHFFFAOYSA-N bisphenol A Chemical compound C=1C=C(O)C=CC=1C(C)(C)C1=CC=C(O)C=C1 IISBACLAFKSP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MTHSVFCYNBDYFN-UHFFFAOYSA-N dieth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OCCO MTHSVFCYNBDYF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894 electron beam technolog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127 sapon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MYWOJODOMFBVCB-UHFFFAOYSA-N 1,2,6-trimethylphenanthrene Chemical compound CC1=CC=C2C3=CC(C)=CC=C3C=CC2=C1C MYWOJODOMFBVC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ARXJGSRGQADJSQ-UHFFFAOYSA-N 1-methoxypropan-2-ol Chemical compound COCC(C)O ARXJGSRGQADJS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MYINDVYGQKYMI-UHFFFAOYSA-N 2-[2,2-bis(hydroxymethyl)butoxymethyl]-2-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CCC(CO)(CO)COCC(CC)(CO)CO WMYINDVYGQKY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XBCBTDQIULDIA-UHFFFAOYSA-N 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CC(CO)(CO)CO TXBCBTDQIULD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DSUVTROAWLVJA-UHFFFAOYSA-N 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prop-2-e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C=C.OC(=O)C=C.OC(=O)C=C.OC(=O)C=C.OCC(CO)(CO)COCC(CO)(CO)CO FDSUVTROAWLVJ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CSCPPACGZOOCGX-UHFFFAOYSA-N Acetone Chemical compound CC(C)=O CSCPPACGZOOC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185605 Bisphen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FZMGEQAYNKOFK-UHFFFAOYSA-N Isopropanol Chemical compound CC(C)O KFZMGEQAYNKO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877 Melami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28419 Styrax benzoin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126 Styrax benzo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11 Sumatra benzointre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KGAVHZHDRPRBM-UHFFFAOYSA-N Tert-Butanol Chemical compound CC(C)(C)O DKGAVHZHDRPRB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JCCRDAZUWHFQH-UHFFFAOYSA-N Trimethylolpropane Chemical compound CCC(CO)(CO)CO ZJCCRDAZUWHF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HVVWZTWDBSEWIH-UHFFFAOYSA-N [2-(hydroxymethyl)-3-prop-2-enoyloxy-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O)C=C)COC(=O)C=C HVVWZTWDBSEWI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PIAGWXWVAHQBB-UHFFFAOYSA-N [3-prop-2-enoyloxy-2-[[3-prop-2-enoyloxy-2,2-bis(prop-2-enoyloxymethyl)propoxy]methyl]-2-(prop-2-enoyloxymethyl)propyl] 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C=CC(=O)OCC(COC(=O)C=C)(COC(=O)C=C)COCC(COC(=O)C=C)(COC(=O)C=C)COC(=O)C=C MPIAGWXWVAHQ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062 acetophen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SAOCJYIOMOJEB-UHFFFAOYSA-N benzoin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O)C1=CC=CC=C1 ISAOCJYIOMOJ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965 benzophen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366 benzophen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HIVVAPYMSGYDF-UHFFFAOYSA-N cyclohex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1 JHIVVAPYMSGY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SWXVUIWOUIDPGS-UHFFFAOYSA-N diacetone alcohol Chemical compound CC(=O)CC(C)(C)O SWXVUIWOUIDP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LZCLXQDLBQLTDK-UHFFFAOYSA-N ethyl 2-hydroxypropanoate Chemical compound CCOC(=O)C(C)O LZCLXQDLBQLTD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82 gum benzo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ZIHFWKZFHZASV-UHFFFAOYSA-N methyl formate Chemical compound COC=O TZIHFWKZFHZA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XZMFSXDPGVJKK-UHFFFAOYSA-N penta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 WXZMFSXDPGVJK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FDPIMTJIUBPUKL-UHFFFAOYSA-N pentan-3-one Chemical compound CCC(=O)CC FDPIMTJIUBPUK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25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307 polymer subst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SCYULBFZEHDVBN-UHFFFAOYSA-N 1,1-Dichloroethane Chemical compound CC(Cl)Cl SCYULBFZEHDVB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ZLWSRCQCPAUDP-UHFFFAOYSA-N 1,3,5-triazine-2,4,6-triamine;urea Chemical compound NC(N)=O.NC1=NC(N)=NC(N)=N1 JZLWSRCQCPAUD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ZXTWGWHSMCWGA-UHFFFAOYSA-N 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C(N)=N1 VZXTWGWHSMCWG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NXJIVFYUVYPPR-UHFFFAOYSA-N 1,3-dioxolane Chemical compound C1COCO1 WNXJIVFYUVYPP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HBNJHYFVUHQT-UHFFFAOYSA-N 1,4-Dioxane Chemical compound C1COCCO1 RYHBNJHYFVUH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NWFRZJHXBZDAG-UHFFFAOYSA-N 2-M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OCCO XNWFRZJHXB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CZVSXRMYJUNFX-UHFFFAOYSA-N 2-[2-(2-hydroxypropoxy)propoxy]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O)COC(C)COC(C)CO LCZVSXRMYJUNF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TJWCLYPVFJWMP-UHFFFAOYSA-N 2-[[3-hydroxy-2-[[3-hydroxy-2,2-bis(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oxy]methyl]-2-(hydroxymethyl)propane-1,3-diol Chemical compound OCC(CO)(CO)COCC(CO)(CO)COCC(CO)(CO)CO PTJWCLYPVFJW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OAOYUHQDCAZBD-UHFFFAOYSA-N 2-but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CCOCCO POAOYUHQDCAZB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NQVEEAIQZEUHB-UHFFFAOYSA-N 2-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CCOCCO ZNQVEEAIQZEUH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ZJOQXSCSZQPS-UHFFFAOYSA-N 2-methoxy-1,2-diphen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C)C(=O)C1=CC=CC=C1 BQZJOQXSCSZQ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1
- NCGICGYLBXGBGN-UHFFFAOYSA-N 3-morpholin-4-yl-1-oxa-3-azonia-2-azanidacyclopent-3-en-5-imine;hydr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N-]1OC(=N)C=[N+]1N1CCOCC1 NCGICGYLBXGB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PWNQTHUCYMVMZ-UHFFFAOYSA-N 4,4'-sulfonyldiphenol Chemical class C1=CC(O)=CC=C1S(=O)(=O)C1=CC=C(O)C=C1 VPWNQTHUCYMVM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CYVEMRRCGMTRW-UHFFFAOYSA-N 7553-56-2 Chemical compound [I] ZCYVEMRRCGMTR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KPFZGUDAPQIHT-UHFFFAOYSA-N But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COC(C)=O DKPFZGUDAPQIH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8347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47 Cellulose di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DTMQSROBMDMFD-UHFFFAOYSA-N Cyclohexa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XDTMQSROBMDM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41 Diallyl-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TIZESTWPVYFNL-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Chemical compound CC(C)CC(C)=O NTIZESTWPVYFN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IHCLUNTQKBZGK-UHFFFAOYSA-N Methyl isobutyl ketone Natural products CCC(C)C(C)=O UIHCLUNTQKBZG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CTQNGGLPUBDAKN-UHFFFAOYSA-N O-Xyl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1C CTQNGGLPUBDA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BDQKXXYIPTUBI-UHFFFAOYSA-M Propionate Chemical compound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87 Silane Coupl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07 Urea-formaldehy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TXRWKRVRITETP-UHFFFAOYSA-N Vin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OC=C XTXRWKRVRITE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YKIQEUNHZKYBP-UHFFFAOYSA-N Vin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QYKIQEUNHZKYB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HKHKXVYLBGOIT-UHFFFAOYSA-N acetaldehyde Diethyl Acetal Natural products CCOC(C)OCC DHKHKXVYLBGOI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1 ac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KXKVLQRXCPHEJC-UHFFFAOYSA-N acetic acid trimethyl ester Natural products COC(C)=O KXKVLQRXCPH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52 acryl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338 aliph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08 am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18 anti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945 aromatic hydrocarb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HIHQLCVLOXUJW-UHFFFAOYSA-N benzoic anhydride Chemical compound C=1C=CC=CC=1C(=O)OC(=O)C1=CC=CC=C1 CHIHQLCVLOXU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130 benzoin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797 benzyl group Chemical group [H]C1=C([H])C([H])=C(C([H])=C1[H])C([H])([H])*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UDWYFHPNIMBFC-UHFFFAOYSA-N bis(prop-2-enyl) benzene-1,2-dicarboxylate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C=C1C(=O)OCC=C QUDWYFHPNIMB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YFOAKAXGNMQAX-UHFFFAOYSA-N bis(prop-2-enyl) carbonate;2-(2-hydroxyethoxy)ethanol Chemical compound OCCOCCO.C=CCOC(=O)OCC=C SYFOAKAXGNMQ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88 bor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QABUPZFAYXKJW-UHFFFAOYSA-N butan-1-amine Chemical compound CCCCN HQABUPZFAYXK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TANRVKWQNVYAZ-UHFFFAOYSA-N butan-2-ol Chemical compound CCC(C)O BTANRVKWQNVYA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LIJPAHLBJIQHE-UHFFFAOYSA-N butylphosphane Chemical compound CCCCP DLIJPAHLBJIQH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17 cellulose acetate butyr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GZZMOTZOONQIA-UHFFFAOYSA-N cycloheptanone Chemical compound O=C1CCCCCC1 CGZZMOTZOONQ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4 diacet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05990 diglyce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GPLRAVKSCUXZTP-UHFFFAOYSA-N diglycerol Chemical compound OCC(O)COCC(O)CO GPLRAVKSCUXZ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13088 dimethylacet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SZXQTJUDPRGNJN-UHFFFAOYSA-N di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OCCCO SZXQTJUDPRGNJ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70 dispers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6333 ethyl lac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NEPOXFFQSENCJ-UHFFFAOYSA-N haloperidol Chemical compound C1CC(O)(C=2C=CC(Cl)=CC=2)CCN1CCCC(=O)C1=CC=C(F)C=C1 LNEPOXFFQSEN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UZZWVXGSFPDMH-UHFFFAOYSA-N 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FUZZWVXGSFPDM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DSHMPZPIAZGSV-UHFFFAOYSA-N mel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N)=N1 JDSHMPZPIAZGS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507 metal hal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309 metal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07 modif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YKYONYBAUNKHLG-UHFFFAOYSA-N n-Propyl acetate Natural products CCCOC(C)=O YKYONYBAUNKHL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SLCVBVWXLSEKPL-UHFFFAOYSA-N neopentyl glycol Chemical compound OCC(C)(C)CO SLCVBVWXLSEK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JFNLZVQOOSMTJK-KNVOCYPGSA-N norbornene Chemical compound C1[C@@H]2CC[C@H]1C=C2 JFNLZVQOOSMTJK-KNVOCYPG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1 pheno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VDDGKGOMKODPV-ZQBYOMGUSA-N phenyl(114C)methanol Chemical compound O[14CH2]C1=CC=CC=C1 WVDDGKGOMKODPV-ZQBYOMGU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04 photosensitiz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14 plastic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83 poly(ethyl methacry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9 polyme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862 poly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077 poly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BDERNNFJNOPAEC-UHFFFAOYSA-N propan-1-ol Chemical compound CCCO BDERNNFJNOPA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0181 propyl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47 radiation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6 radical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254 radic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2 resin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45 silicone oi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61 soda-lim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462 sulf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9 thermal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97 ultraviolet radiation absor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37 unsaturated polyester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96 x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8—Polarisers with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arisation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고, 또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과,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60)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30)이며, 제1 편광판(40)이 액정 표시 소자(30)의 표면(30A)을 이루는 제1 요철면(41A)을 갖는 제1 광학 필름(41)과, 제1 광학 필름(4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42)를 구비하고, 제2 편광판(50)이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을 이루는 제2 요철면(51A)을 갖는 제2 광학 필름(51)과, 제2 광학 필름(5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52)를 구비하고,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이 동일 형상이며, 제1 요철면(41A)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제2 요철면(51A)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제1 요철면(41A)과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하기 식 (1)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30)가 제공된다.
D≤S/(2×tan(θa-sin-1((sinθa)/N))) (1)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pable of improving scratch resistance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aking interference fringes invisible, and suppressing luminance unevennes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polarizing plate 40, a second polarizing plate 50, and a liquid crystal cell 60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40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 It i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0, and the 1st optical film 41 in which the 1st polarizing plate 40 has the 1st uneven surface 41A which forms the surface 30A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0, and the 1st optical film A second uneven surface 51A having a first polarizer 42 arranged on th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60 rather than (41),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50 forming the back surface 30B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0 2nd optical film 51 having , and the 2nd polarizer 52 arrange|positioned on the liquid crystal cell 60 side rather than the 2nd optical film 51, and the 1st uneven surface 41A and the 2nd uneven surface 51A has the same shape,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41A and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51A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and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51A is θa [ °], the average spacing of local mountain tops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51A is S [μ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irregularities constituting the second uneven surface 51A is N, and the first uneven surface ( 41A) and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51A, when D [μm] is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30 characterized in that the following formula (1) is satisfied.
D≤S/(2×tan(θa-sin -1 ((sinθa)/N))) (1)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소자,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 design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액정 표시 소자는, 주로, 관찰자측에 위치하는 편광판과, 면 광원 장치측에 위치하는 편광판과, 이들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비하고 있다.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inly includes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on the observer side,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o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ide, and a liquid crystal cell arranged between these polarizing plates.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관찰자측의 면)에는, 관찰자 및 관찰자의 배경 등의 투영을 억제할 목적이나 내찰상성을 높일 목적 등으로, 광학 필름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통상, 이 광학 필름은 관찰자측에 위치하는 편광판의 표면에 배치된다.An optical film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surface on the side of the observer) for the purpose of suppressing reflection of the observer and the observer's background or the like, or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scratch resistance (see Patent Document 1). Usually, this optical film is placed on the surface of a polarizing plate positioned on the viewer's side.
한편, 액정 표시 소자의 면 광원 장치측에 위치하는 편광판은, 면 광원 장치와 접촉하여, 스쳐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액정 표시 소자의 관찰자측의 표면 뿐만 아니라,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면 광원 장치측의 면)에도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larizing plate located o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here is a risk of being rubbed, in recent years, not only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n the viewer side but also the scratch resistance has been improved. Arrangement of an optical film also on the back surface (surface o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has been studied.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및 이면의 양쪽에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경우, 비용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동일한 광학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학 필름으로서, 요철면을 갖는 광학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는, 영상광을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면 광원 장치에 기인하는 간섭 줄무늬가 발생한 경우에도,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다.When arranging an optical film on bot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t is preferable to use the same optical film from a viewpoint of reducing cost. Here, when an optical film having a concavo-convex surface is used as the optical film, since video light can be diffused, even when interference fringes caused by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re generated, the interference fringes can be made invisible.
이 때문에,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및 이면의 양쪽에 요철면을 갖는 광학 필름을 배치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For this reason, arrange|positioning the optical film which has a concavo-convex surface on both the front surface and back surfac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examined.
그러나,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및 이면의 양쪽에 동일 형상의 요철면을 갖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경우, 액정 표시 소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요철면의 볼록부의 중심끼리가 일치하도록 요철의 위치 정렬을 하는 것은 곤란하다. 즉,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측의 광학 필름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중심에 대하여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 측의 광학 필름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볼록부의 중심 위치가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높다.However, when an optical film having concavo-convex surfaces of the same shape is dispos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the alignment of the concavo-convex portions is performed so that the centers of convex portions of the concavo-convex surfaces coincide with each o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t is difficult to do. That i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enter of the convex portion on the concave-convex surface of the optical film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convex portion on the concave-convex surface of the optical film on the surface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여기서,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및 이면의 양쪽에 동일 형상의 요철면을 갖는 광학 필름을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의 광의 확산 특성은,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 측의 광학 필름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과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 측의 광학 필름의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과의 위치 관계에 따라 변화한다. 이 때문에, 이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연속적인 확산 특성을 얻을 수 없어, 휘도 불균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Here,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light in the case where optical films having concavo-convex surfaces of the same shape are dispos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re It changes according to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unevenness in the uneven surface of the optical film on the rear sid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For this reason, depending on this positional relationship, continuous diffusion characteristics cannot be obtain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uminance non-uniformity may occur.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고, 또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소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액정 표시 소자를 얻을 수 있는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at is,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scratch resistance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making interference fringes invisible, and suppressing luminance non-uniformity. Moreover, it aims at providing the design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which can obtain such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과,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을 이루는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을 이루는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철면 및 상기 제2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상기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하기 식 (1)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olarizing plate,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first polarizing plate comprises the liquid crystal A first optical film having a first concavo-convex surface constituting a surface of a display element, and a first polarizer disposed closer to a liquid crystal cell than the first optical film, wherein the second polarizing plate constitutes a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 second optical film having a second convex-convex surface and a second polarizer arranged closer to a liquid crystal cell than the second optical film, wherein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concavo-convex surface is provided. The unevenness constituting the surface and the unevenness constituting the second uneven surface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θa [°], and the average spacing of local peaks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When S [μ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N, and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D [μm], the following formula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haracterized by satisfying (1) is provided.
D≤S/(2×tan(θa-sin-1((sinθa)/N))) (1)D≤S/(2×tan(θa-sin -1 ((sinθa)/N))) (1)
상기 액정 표시 소자는, 상기 제2 요철면의 최대 경사각을 θmax[°]라 했을 때, 하기 식 (2)를 또한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preferably furth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is θmax [°].
D≤S/(2×tan(θmax-sin-1((sinθmax)/N))) (2)D≤S/(2×tan(θmax-sin -1 ((sinθmax)/N))) (2)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면 광원 장치와, 상기 면 광원 장치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상기 액정 표시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상기 표면이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상기 이면이 면 광원 장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rranged on an observer side relative to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re provided,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located on the observer side,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surface is located on th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side.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1 편광판과, 제2 편광판과,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제2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이며, 상기 제1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을 이루는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을 이루는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면 및 상기 제2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상기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평균 이격 거리 D가 하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소자를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design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ncluding a first polarizing plate,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wherei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 first optical film having a first concavo-convex surface constituting the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first polarizer disposed closer to a liquid crystal cell than the first optical film,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s a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 second optical film having a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and a second polarizer arranged on a liquid crystal cell side of the seco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The irregularities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have the same shape,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θa [°], and the average of local peaks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When the interval is S [μm],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N, and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D [μm], A method for design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designed so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D≤S/(2×tan(θa-sin-1((sinθa)/N))) (1)D≤S/(2×tan(θa-sin -1 ((sinθa)/N))) (1)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은, 상기 제2 요철면의 최대 경사각을 θmax[°]라 했을 때, 평균 이격 거리 D가, 하기 식 (2)를 또한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esign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is θmax [°],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further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2).
D≤S/(2×tan(θmax-sin-1((sinθmax)/N))) (2)D≤S/(2×tan(θmax-sin -1 ((sinθmax)/N))) (2)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의 액정 표시 소자 및 다른 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액정 표시 소자가 상기 식 (1)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고, 또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에 의하면, 평균 이격 거리 D가 상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액정 표시 소자를 설계하므로,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고, 또한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소자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one aspect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scratch resistance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be improved, Interference fringes can be made invisible, and luminance unevennes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design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of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is designed so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satisfies the above formula (1), scratch resistance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n be improved. Thus,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capable of making invisible interference fringes and suppressing luminance non-uniformity can be obtained.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요철면에 있어서의 집광 거리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은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보다도 짧은 경우의 광선 추적도이다.
도 4는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보다도 긴 경우의 광선 추적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 내지 4에 관한 광학 필름의 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1 내지 3에 관한 광학 필름의 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condensing distance on a concave-convex surface.
3 is a ray tracing diagram w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concave-convex surfaces is shorter than the condensing distance.
4 is a ray tracing diagram in the case where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concave-convex surfaces is longer than the condensing distance.
5 is a graph showing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optical films according to Examples 1 to 4;
6 is a graph showing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optical films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이하,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소자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도 2는 요철면에 있어서의 집광 거리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3은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보다도 짧은 경우의 광선 추적도이며, 도 4는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보다도 긴 경우의 광선 추적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필름」, 「시트」, 「판」 등의 용어는, 호칭의 차이만을 기초로 하며, 서로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필름」은 시트나 판이라고도 불릴 수 있는 부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 구체예로서, 「광학 필름」에는, 「광학 시트」나 「광학판」 등이라고 불리는 부재도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등의 용매에 용해하고, 종래 공지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Hereinaft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design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alculating a convergence distance on an uneven surface, and FIG. It is a ray tracing diagram in the case of being short, and FIG. 4 is a ray tracing diagram in the case where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concave-convex surfaces is longer than the condensing distanc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lm", "sheet", and "plate" are based only on differences in names and are not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refore, for example, a "film" is a concept that includes a member that can also be called a sheet or a plate. As a specific example, the "optical film" also includes members called "optical sheets" and "optical plate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 value obtained by dissolving in a solvent, such as tetrahydrofuran (THF), and polystyrene conversion by the conventionally well-known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10)는 면 광원 장치(20)와, 면 광원 장치(20)보다도 관찰자측에 배치된 액정 표시 소자(30)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 the liquid
<<<면 광원 장치>>><<<Flat Light Device>>>
면 광원 장치(20)는 액정 표시 소자(30)를 배면 측으로부터 면상에 비추는 것이다. 면 광원 장치(20)는 예를 들어, 광원(21)과, 광원(21)의 측방에 배치된 도광판(22)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21)으로서는. 선상의 냉음극관 등의 형광등, 점상의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백열 전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surface
도광판(22)은 광원(21) 측에 위치하는 입광면(22A) 및 액정 표시 소자(30) 측에 위치하는 출광면(22B)을 구비하고 있다. 광원(21)으로부터 발해진 광은 도광판(22)의 입광면(22A)으로부터 입사되고, 도광판(22)의 출광면(22B)으로부터 출사된다. 면 광원 장치(20)는 광원(21) 및 도광판(22) 외에, 도광판(22)보다 관찰자측에 배치된 프리즘 렌즈 시트나 도광판(22)의 출광 측과는 반대 측에 배치된 반사판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The
<<<액정 표시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액정 표시 소자(30)는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과,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60)과, 제1 편광판(40)과 액정 셀(60)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층(71)과, 제2 편광판(50)과 액정 셀(60)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층(7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편광판(40)은 액정 셀(60)보다 관찰자측에 위치하고 있고, 제2 편광판(50)은 액정 셀(60)보다 면 광원 장치(20) 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접착제층(71, 72)을 구비하고 있지만, 접착제층(72, 73)은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As shown in FIG. 1 , the liquid
<<액정 셀>><<liquid crystal cell>>
액정 셀(60)은 공지된 액정 셀을 사용할 수 있다. 액정 셀(60)은 예를 들어, 2매의 유리 기재 사이에, 액정층, 배향막, 전극층, 컬러 필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극층에의 전압 인가의 유무에 따라 액정층 내의 액정 분자의 배향 방향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이 크로스니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2 편광판(50)을 투과한 특정 방향의 직선 편광 성분은, 전압 인가가 이루어진 액정 셀(60)을 통과할 때에 그 편광 방향을 90° 회전시키므로, 제1 편광판(40)을 투과시키지만, 전압 인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액정 셀(60)을 통과할 때에는 그 편광 방향을 유지하므로, 제1 편광판(40)을 투과시키지 않는다.As the
<<제1 편광판 및 제2 편광판>><<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편광판(40)은 제1 광학 필름(41)과, 제1 광학 필름(4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42)와, 제1 편광자(42)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1 편광자(42)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4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편광판(50)은 제2 광학 필름(51)과, 제2 광학 필름(5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52)와, 제2 편광자(52)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되고, 또한 제2 편광자(52)를 보호하는 보호 필름(53)을 구비하고 있다. 보호 필름(43, 53)은 위상차 필름이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편광판(40)은 보호 필름(43)을 구비하고 있고, 또한 제2 편광판(50)은 보호 필름(53)을 구비하고 있지만, 보호 필름(43, 53)은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제1 광학 필름 및 제2 광학 필름><First optical film and second optical film>
제1 광학 필름(41)은 액정 표시 소자(30)의 표면(30A)을 이루는 제1 요철면(41A)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광학 필름(51)은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을 이루는 제2 요철면(51A)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표시 소자(30)의 표면(30A)은 액정 표시 장치(10)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소자(30)의 관찰자측의 면이며,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은 액정 표시 장치(10)에 있어서는, 액정 표시 소자(30)의 면 광원 장치(20) 측의 면이다.The 1st
제1 광학 필름(41)에 있어서의 제1 요철면(41A)과 제2 광학 필름(51)에 있어서의 제2 요철면(51A)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제1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1 요철면과 제2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제2 요철면은 동일 형상임」이란, 적어도, 제1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1[°]이라 하고,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2[°]라 했을 때, |θa2-θa1|/θa2가 0 이상 0.1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또한 제1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1[㎛]이라 하고, 제2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2[㎛]라 했을 때, |S2-S1|/S2가 0 이상 0.1 이하의 범위 내에 있고, 제1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를 Ra1[㎛]이라 하고, 제2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를 Ra2[㎛]라 했을 때, |Ra2-Ra1|/Ra2가 0 이상 0.1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41 A of 1st uneven surfaces in the 1st
상기 평균 경사각 θa(θa1, θa2)의 정의는, 표면 조도 측정기: SE-3400/(주)고사까 겡뀨쇼제 취급 설명서(1995.07.20 개정)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θa는 하기 식으로 표현된다.The definition of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θa 1 , θa 2 ) is to be in accordance with the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SE-3400/Co., Ltd. Kosaka Kenkyosho product instruction manual (revised on July 20, 1995). Specifically, (theta)a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θa=tan- 1Δaθa=tan - 1 Δa
식 중, Δa는 경사를 종횡 비율로 나타낸 것이며, 각 요철의 극소부와 극대부의 차(각 볼록부의 높이에 상당)의 총합을 기준 길이로 나눈 값이다.In the formula, Δa represents the inclination as an aspect ratio, and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total su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mallest part and the largest part of each concavo-convex par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each convex part) by the reference length.
상기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 S(S1, S2) 및 상기 산술 평균 조도 Ra(Ra1, Ra2)의 정의는, JISB0601-1994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The definition of the average interval S (S 1 , S 2 ) 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Ra 1 , Ra 2 ) of the local peaks shall be in accordance with JISB0601-1994.
평균 경사각 θa,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 S 및 산술 평균 조도 Ra는, 20회 측정했을 때의 평균값으로 한다. 평균 경사각 θa,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 S 및 산술 평균 조도 Ra는, 예를 들어, 표면 조도 측정기(형식 번호: SE-3400/(주)고사까 겡뀨쇼제)를 사용하여, 하기의 측정 조건에 의해 측정을 행할 수 있다.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the average spacing S of local peaks, 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are taken as average values when measured 20 times.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the average spacing S of local peaks, and the arithmetic average roughness Ra are, for example, using a surface roughness measuring instrument (model number: SE-3400/manufactured by Kosaka Kensho Co., Ltd.) under the following measurement conditions. measurements can be made by
1) 표면 조도 검출부의 촉침((주)고사까 겡뀨쇼제의 상품명 SE2555N(2μ 표준))1) The stylus of the surface roughness detector (trade name SE2555N (2μ standard) manufactured by Kosaka Kenkyusho Co., Ltd.)
·선단 곡률 반경 2㎛, 꼭지각 90도, 재질 다이아몬드Tip curvature radius 2㎛, apex angle 90 degrees, material diamond
2) 표면 조도 측정기의 측정 조건2) Measurement conditions of the surface roughness meter
·기준 길이(조도 곡선의 컷오프값 λc): 0.8mm・Standard length (cutoff value λc of the roughness curve): 0.8 mm
·평가 길이(기준 길이(컷오프값 λc)×5): 4.0mm・Evaluation length (standard length (cutoff value λc) × 5): 4.0 mm
·촉침의 이송 속도: 0.5mm/s·Feeding speed of stylus: 0.5mm/s
·예비 길이: (컷오프값 λc)×2Spare length: (cutoff value λc) × 2
·세로 배율: 2000배・Vertical magnification: 2000 times
·가로 배율: 10배・Horizontal magnification: 10x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의 평균 경사각 θa는, 투영을 억제하면서 색 바램도 억제하는 관점에서, 0.1° 이상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 S는, 휘도 불균일을 보다 억제하는 관점에서, 10㎛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의 산술 평균 조도 Ra는, 간섭 줄무늬를 보다 불가시화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0.02㎛ 이상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of the first concave-
제1 요철면(41A)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가짐」이란,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과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이 0 이상 0.02 이하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irregularities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
제1 요철면(41A)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은, 후술하는 제1 요철면(41A)을 갖는 제1 요철층(45)이나 제2 요철면(51A)을 갖는 제2 요철층(55)을 형성한 후, 아베 굴절률계(아타고사제 NAR-4T)나 엘립소미터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은, 간섭 줄무늬를 보다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1.40 이상 1.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o-
제1 광학 필름(41)과 제2 광학 필름(51)은 액정 셀(60) 등을 통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2 요철면(51A)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제1 광학 필름(41)의 제1 요철면(41A)과 제2 광학 필름(51)의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액정 표시 소자(30)는 하기 식 (1)을 충족하고 있다.Since the 1st
D≤S/(2×tan(θa-sin-1((sinθa)/N))) (1)D≤S/(2×tan(θa-sin -1 ((sinθa)/N))) (1)
제2 요철면(51A)은 렌즈로서 작용하므로, 면 광원 장치(20)의 도광판(22)으로부터 출사되고, 제2 광학 필름(51)에 입사된 광은, 제2 요철면(51A)에 의해 굴절되고, 어떤 점에 있어서 집광되고, 그 후 확산된다. 상기 식 (1)은 제1 광학 필름(41)의 제1 요철면(41A)과 제2 광학 필름(51)의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제2 광학 필름(51)의 제2 요철면(51A)에 있어서의 집광 거리 이하임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1 광학 필름의 제1 요철면과 제2 광학 필름의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란, 액정 표시 소자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오목부 바닥으로부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오목부 바닥까지의 거리의 평균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Since the second concave-
상기 식 (1)은 이하와 같이 하여 유도된다.The formula (1) is derived as follows.
도 2는, 요철면에 있어서의 집광 거리의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요철 형상을 모식화한 모식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로 이격된 요철면(81A, 82A)을 갖는 요철부(81, 82)를 상정한다. 또한, 요철부(81, 82)는, 요철면(81A, 82A)이 서로 외측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입광 측에 위치하는 요철면(82A)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이 요철면(82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요철면(82A)에 광이 입사되어, 굴절된 때의 광의 굴절각을 ψ라 하고, 요철부(82)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집광 거리를 F라 하고,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한다. 요철면(82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 S는, 볼록부의 평균 폭이라 간주할 수 있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cavo-convex shape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convergence distance on the concavo-convex surface. First, concavo-
또한, 도 2에서는, 요철부(82)가 존재하지 않는 골부에 광 L이 입사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광 L의 집광의 거동을 도시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며, 실제의 광 L의 입사 위치는 골부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이다.In Fig. 2, it appears that the light L is incident on the valley where the concavo-
먼저, 스넬의 법칙으로부터, 하기 식 (3)이 성립한다. 그리고, 하기 식 (3)을 변형하면, 하기 식 (4)가 얻어진다.First, from Snell's law, the following formula (3) holds. And when following formula (3) is modified, following formula (4) is obtained.
sinθa/sinψ=N (3)sinθa/sinψ=N (3)
ψ=sin-1((sinθa)/N) (4)ψ=sin -1 ((sinθa)/N) (4)
한편, 도 2에 있어서는, 하기 식 (5)가 성립한다.On the other hand, in FIG. 2, the following formula (5) holds.
φ=θa-ψ (5)φ=θa-ψ (5)
따라서, 상기 식 (5)의 ψ에 상기 식 (4)를 대입하면, 하기 식 (6)이 얻어진다.Therefore, when the above formula (4) is substituted for ψ in the above formula (5), the following formula (6) is obtained.
φ=θa-sin-1((sinθa)/N) (6)φ=θa-sin -1 ((sinθa)/N) (6)
한편, 도 2로부터 집광 거리 F는, 하기 식 (7)로 표현된다.On the other hand, from Fig. 2, the condensing distance F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7).
F=S/(2×tanφ) (7)F=S/(2×tanφ) (7)
상기 (7)의 φ에, 상기 식 (6)을 대입하면, 하기 식 (8)이 얻어진다.When the expression (6) is substituted for φ in the expression (7), the following expression (8) is obtained.
F=S/(2×tan(θa-sin-1((sinθa)/N))) (8)F=S/(2×tan(θa-sin -1 ((sinθa)/N))) (8)
따라서, 요철면(81A, 82A) 간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집광 거리 F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식 (1)이 된다.Therefore, w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uneven surfaces 81A and 82A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condensing distance F, the above expression (1) is obtained.
제1 요철면(41A)과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 D는, 액정 표시 장치의 초경량화 및 제조 수율의 관점에서, 200㎛ 이상 1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first concave-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제1 요철면 및 제2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상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과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을 배치한 경우에는, 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과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이 어떤 위치 관계에 있더라도, 연속적인 확산 특성이 얻어짐을 알아냈다.Surprisingly,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uneven surface has the same refractive index as the uneven constituting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hen the first optical film hav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optical film hav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are disposed so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between the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satisfies Equation (1),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regardless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avo-convex and the concavo-convex on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구체적으로는, 2개의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또한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끼리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요철면 간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 이하인 경우와, 집광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사 측의 요철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확산 상태를 시뮬레이션한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면(91)과 요철면(92)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집광 거리 F를 초과하는 경우, 즉 상기 식 (1)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요철면(91)에 있어서의 요철과 요철면(92)에 있어서의 요철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요철면(91)으로부터 광이 나뉘어서 출사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나뉘어서 출사된 광이 원인으로, 연속적인 확산 특성이 얻어지지 않아, 휘도 불균일이 발생해버리는 것이라 생각된다. 이에 비해,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면(91)과 요철면(92)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집광 거리 F 이하인 경우에는, 요철면(91)에 있어서의 요철과 요철면(92)에 있어서의 요철이 어떤 위치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요철면(91)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나뉘지 않고 출사된다. 따라서,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가 집광 거리 이하인 경우, 즉 상기 식 (1)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과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이 어떤 위치 관계에 있더라도, 제1 광학 필름의 제1 요철면으로부터 광이 나뉘어서 출사되지 않으므로, 연속적인 확산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라 생각된다.Specifically, in the case where the two uneven surfaces have the same shape and the uneven surfaces constituting the uneven surfaces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w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uneven surfac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condensing distance, and in the case of exceeding the condensing distance ,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diffusion state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concave-convex surface on the emission side,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above expression (1) is not satisfied, light is divided and emitted from the
제2 요철면(51A)의 최대 경사각을 θmax[°]라 했을 때, 액정 표시 소자(30)는 하기 식 (2)를 또한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D≤S/(2×tan(θmax-sin-1((sinθmax)/N))) (2)D≤S/(2×tan(θmax-sin -1 ((sinθmax)/N))) (2)
평균 경사각 θa는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이므로, 요철면 중에는 θa보다도 작은 경사각을 갖는 요철이나 θa보다도 큰 경사각을 갖는 요철이 존재한다. θa보다도 큰 경사각을 갖는 요철에 있어서는, 집광 거리는 경사각이 θa인 때의 집광 거리보다도 짧아진다. 이 때문에, 평균 경사각 θa를 사용한 경우에는, 요철의 대부분은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 이상의 집광 거리를 갖지만, 요철 중에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보다도 짧은 집광 거리를 갖는 것이 있다는 것도 상정된다. 이에 비해, θmax는, 요철면의 최대 경사각이므로, 집광 거리가 가장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식 (2)를 충족함으로써, 제2 요철면(51A)에 있어서의 모든 요철의 집광 거리가, 제1 광학 필름(41)의 제1 요철면(41A)과 제2 광학 필름(51)의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 D보다도 짧아질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보다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Since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is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uneven surface, there are irregularitie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smaller than θa or irregularitie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greater than θa among the uneven surfaces. For irregularities having an inclination angle larger than θa, the converging distance becomes shorter than the condensing distance when the inclination angle is θa. For this reason, when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is used, most of the irregularities have a light-converging distanc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t is also assumed that there are those having a short condensing distance. On the other hand, since θmax is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concave-convex surface, the condensing distance is the shortest. Therefore, by satisfying the above expression (2), the convergence distance of all the concavo-convex surfaces in the second concave-
θmax는, 예를 들어, 요철면의 표면 형상을 측정하고, 거기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얻어진다. 표면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로서는, 접촉식 표면 조도계나 비접촉식의 표면 조도계(예를 들어, 간섭 현미경, 공초점 현미경, 원자간력 현미경 등)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측정의 간편성의 점에서 간섭 현미경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섭 현미경으로서는, Zygo사제의 「NewView」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θmax is obtained, for example, by measuring the surface shape of the uneven surface and analyzing the data obtained therefrom. As a device for measuring the surface shape, a contact type surface roughness meter or a non-contact type surface roughness meter (for example, an interference microscope, a confocal microscope, an atomic force microscope, etc.) is exemplified. Among these, an interference microscope is preferable from the point of simplicity of measurement. As such an interference microscope, the "NewView" series by Zygo, etc. are mentioned.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의 최대 경사각 θmax는, 투영을 억제하면서 색 바램도 억제하는 관점에서, 0.5° 이상 1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θmax of the first concave-
제1 광학 필름(41) 및 제2 광학 필름(51)의 전체 헤이즈값은 0% 이상 4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광학 필름(41) 및 제2 광학 필름(51)의 내부 헤이즈값은 0%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전체 헤이즈값 및 내부 헤이즈값은, 제1 광학 필름 전체 또는 제2 광학 필름 전체로서 측정했을 때의 값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철층(45, 55) 상에 저굴절률층 등의 기능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광학 필름(41)의 전체 헤이즈값 및 내부 헤이즈값은, 광투과성 기재(44) 및 요철층(45)을 포함하는 제1 광학 필름(41)을 사용하여 측정된 값이다. 또한, 예를 들어, 요철층 상에 저굴절률층 등의 기능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광학 필름의 전체 헤이즈값 및 내부 헤이즈값은, 광투과성 기재, 요철층, 및 기능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을 사용하여 측정된 값이다.As for all haze values of the 1st
전체 헤이즈값 및 내부 헤이즈값은, 헤이즈 미터(HM-150, 무라카미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를 사용하여 JISK7136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이즈 미터를 사용하여, JISK7136에 따라서 제1 광학 필름이나 제2 광학 필름의 전체 헤이즈값을 측정한다. 또한, 내부 헤이즈값은, 이하와 같이 구해진다. 제1 광학 필름의 요철층의 표면에, 요철면을 형성하는 수지와 굴절률이 동등하거나, 또는 이 수지와의 굴절률차가 0.02 이하인 수지를 와이어 바로 건조막 두께가 8㎛, 즉 완전히 요철면의 요철 형상이 없어지고, 표면이 평탄하게 되는 막 두께가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1분간 건조 후, 도포한 수지에 100m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킨다. 이에 의해, 제1 광학 필름의 표면에 존재하는 요철이 뭉개져서, 평탄한 표면이 된 필름이 얻어진다. 단, 이 요철 형상을 갖는 요철층을 형성하는 조성물 중에 레벨링제 등이 들어 있음으로써, 상기 요철층의 표면에 도포하는 수지가 튕겨지기 쉬워 젖기 어려운 경우에는, 미리 요철층의 표면을 비누화 처리(2mol/L의 NaOH(또는 KOH) 용액에서 55℃, 3분 침지한 후, 수세하고, 킴와이프(등록 상표) 등으로 물방울을 완전히 제거한 후, 50℃ 오븐에서 1분 건조)에 의해 친수 처리를 실시하면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헤이즈 미터(HM-150, 무라카미시키사이 기쥬츠 겐큐죠제)를 사용하여, JISK7136에 따라서 헤이즈값을 측정함으로써 내부 헤이즈값을 구한다. 이 내부 헤이즈는, 제1 광학 필름이나 방현 필름에 있어서의 표면의 요철 형상을 가미하지 않는 것이다.The total haze value and the internal haze value can be measured by a method based on JISK7136 using a haze meter (HM-150, manufactured by Murakami Shikisai Kijutsu Genkyujo). Specifically, using a haze meter, the total haze value of the 1st optical film and the 2nd optical film is measured according to JISK7136. In addition, internal haze value is calculated|required as follows. On the surface of the concavo-convex layer of the first optical film, a resin having a refractive index equivalent to that of the resin forming the concavo-convex surface or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0.02 or less with the resin is dried by wire to have a film thickness of 8 μm, that is, a completely concavo-convex shape of the concavo-convex surface. It is applied so that the film thickness disappears and the surface becomes flat, and after drying at 70° C. for 1 minute, the applied resin is irradiated with 100 mJ/cm 2 ultraviolet rays to cure the resin. As a result, irregularitie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film are crushed, and a film having a flat surface is obtained. However, when a leveling agent or the like is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concavo-convex layer having the concavo-convex shape, when the resi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ncavo-convex layer is easily repelled and difficult to wet, the surface of the concavo-convex layer is subjected to saponification treatment (2 mol) in advance. After immersing in /L NaOH (or KOH) solution at 55 ° C for 3 minutes, washing with water, completely removing water droplets with Kimwipe (registered trademark) or the like, and then drying in an oven at 50 ° C for 1 minute) to perform hydrophilic treatment You can do it. And in this state, internal haze value is calculated|required by measuring a haze value according to JISK7136 using a haze meter (HM-150, manufactured by Murakami Shikisai Kijutsu Genkyuso). This internal haze does not take account of the concavo-convex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irst optical film or the anti-glare film.
제1 광학 필름(41) 및 제2 광학 필름(51)의 표면 헤이즈값은 0%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표면 헤이즈값은, 제1 광학 필름이나 제2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표면의 요철 형상만에 기인하는 것이며, 전체 헤이즈값으로부터 내부 헤이즈값을 차감함으로써, 제1 광학 필름이나 제2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표면의 요철 형상만에 기인하는 표면 헤이즈값이 구해진다.As for the surface haze value of the 1st
제1 광학 필름(41)은 광투과성 기재(44)와, 광투과성 기재(44)의 관찰자측(액정 셀(60)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고, 또한 요철면을 갖는 요철층(45)을 구비하고 있다. 제2 광학 필름(51)은 광투과성 기재(54)와, 광투과성 기재(54)의 면 광원 장치(20) 측(액정 셀(60) 측과는 반대 측)에 설치되고, 또한 요철면을 갖는 요철층(55)을 구비하고 있다.The firs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요철층(45, 55) 상에 저굴절률층 등의 기능층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요철층(45)의 요철면이 제1 광학 필름(41)의 제1 요철면(41A)이 되어 있고, 요철층(55)의 요철면이 제2 광학 필름(51)의 제2 요철면(51A)이 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no functional layer such as a low refractive index layer is provided on the
「기능층」이란, 광학 필름에 있어서, 어떠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 의도된 층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반사 방지성, 대전 방지성, 또는 방오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층을 들 수 있다. 기능층은, 단층 뿐만 아니라, 2층 이상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A "functional layer" is a layer intended to exhibit a certain function in an optical film, specifically, a layer for exhibiting functions such as antireflection, antistatic, or antifouling properties is exemplified. can The functional layer may be a single layer or a laminate of two or more layers.
((광투과성 기재))((light transmissive substrate))
광투과성 기재(44, 54)로서는, 광투과성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기재,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기재, 폴리에스테르 기재, 또는 유리 기재를 들 수 있다.The light-transmitting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기재,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기재를 들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및 단환 시클로올레핀 모노머 등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기재를 들 수 있다.As a cellulose acylate base material, a cellulose triacetate base material and a cellulose diacetate base material are mentioned, for example. As a cycloolefin polymer base material, the base material containing polymers, such as a norbornene type monomer and a monocyclic cycloolefin monomer, is mentioned, for example.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비스페놀류(비스페놀 A 등)를 베이스로 하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등의 지방족 폴리카르보네이트 기재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carbonate substrate include aromatic polycarbonate substrates based on bisphenols (such as bisphenol A) and aliphatic polycarbonate substrates such as diethylene glycol bisallyl carbonate.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기재, 폴리(메트)아크릴산에틸 기재, (메트)아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부틸 공중합체 기재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rylate-based polymer substrate include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rates, polyethyl (meth)acrylate substrates, and methyl (meth)acrylate-butyl (meth)acrylate copolymer substrates.
폴리에스테르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중 적어도 1종을 구성 성분으로 하는 기재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ester base material include a bas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prop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s a constituent component.
유리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소다석회 실리카 유리, 붕규산염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의 유리 기재를 들 수 있다.As a glass base material, glass base materials, such as soda lime silica glass, borosilicate glass, and non-alkali glass, are mentioned, for example.
이들 중에서도, 리타데이션이 우수하고, 또한 편광자와의 접착이 용이한 점에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기재가 바람직하고, 또한 셀룰로오스 아실레이트 기재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TAC 기재)가 바람직하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는, 가시광 영역 380 내지 780nm에 있어서, 평균 광투과율을 5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광투과성 기재이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의 평균 광투과율은 70% 이상, 또한 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mong these, a cellulose acylate base material is preferable, and a triacetyl cellulose base material (TAC base material) is preferable also in a cellulose acylate base material in view of excellent retardation and easy adhesion to a polarizer. The triacetylcellulose substrate is a light-transmitting substrate capable of achieving an average light transmittance of 50% or mor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of 380 to 780 nm. The average light transmittance of the triacetyl cellulose substrate is 70% or more, and preferably 85% or more.
또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기재로서는, 순수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이외에,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와 같이 셀룰로오스와 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지방산으로서 아세트산 이외의 성분도 병용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에는, 필요에 따라,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다른 셀룰로오스 저급 지방산에스테르, 또는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이활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In addition to pure triacetyl cellulose, as the triacetyl cellulose base material, a component other than acetic acid may be used in combination as a fatty acid that forms an ester with cellulose, such as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or cellulose acetate butyrate. Further, other cellulose lower fatty acid esters such as diacetyl cellulose, or various additives such as plasticizers, ultraviolet absorbers, and lubricants may be added to these triacetyl celluloses as needed.
리타데이션 및 내열성이 우수한 면에서는 시클로올레핀 중합체 기재가 바람직하고, 또한 기계 특성 및 내열성의 면에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가 바람직하다.A cycloolefin polymer substrate is preferable in terms of excellent retardation and heat resistance, and a polyester substrate is preferable in terms of mechanical properties and heat resistance.
광투과성 기재(44, 54)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5㎛ 이상 1000㎛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투과성 기재(44, 54)의 두께의 하한은 핸들링성 등의 관점에서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투과성 기재(44, 54)의 두께의 상한은 박막화의 관점에서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light-transmitting
((요철층))((Convex-convex layer))
요철층(45, 55)은, 요철면을 갖는 층이다. 요철층(45)은 방현성 및 광 확산성을 발휘하는 층이며, 요철층(55)은 광 확산성을 발휘하는 층이지만, 요철층(45, 55)은, 이들 기능과 함께, 다른 기능을 발휘하는 층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요철층(45)은 방현성 및 광 확산 특성을 발휘함과 함께, 예를 들어, 하드 코팅성, 반사 방지성, 대전 방지성, 또는 방오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층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요철층(55)은 광 확산 특성을 발휘함과 함께, 예를 들어, 하드 코팅성, 반사 방지성, 대전 방지성, 또는 방오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층이어도 된다.The concavo-
요철층(45, 55)이, 방현성 외에, 하드 코팅성을 발휘하는 층인 경우, 요철층(45, 55)은, JISK5600-5-4(1999)로 규정되는 연필 경도 시험(4.9N 하중)에서 「H」 이상의 경도를 갖는다.When the
요철층(45)의 요철면(제1 요철면(41A)) 및 요철층(55)의 요철면(제2 요철면(51A))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A) 금형을 사용한 전사 방법에 의해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 (B) 경화 후 바인더 수지가 되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 및 미립자를 포함하는 요철층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 (C) 샌드블라스트에 의해 요철층의 표면을 거칠게 함으로써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D) 엠보싱 롤에 의해 요철층의 표면에 요철을 부여함으로써 요철면을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for forming the uneven surface (first
요철층(45, 55)은, 예를 들어,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물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A)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The uneven layers 45 and 55 contain, for example, a cured product of a curable resin precursor, and are formed by the method of (A) above.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물)(cured product of curable resin precursor)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경화성 수지 전구체」란, 수지 전구체가 전리 방사선 경화성이나 열경화성을 갖고, 전리 방사선 경화 또는 열경화에 의해 수지가 되는 수지 전구체를 의미한다. 수지는, 경화성 수지 전구체의 경화물 외에, 용제 건조형 수지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을 갖는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이다.The "curable resin precursor"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 resin precursor in which the resin precursor has ionizing radiation curability or thermosetting properties and becomes a resin by ionizing radiation curing or thermal curing. Resin may contain solvent drying type resin other than the hardened|cured material of curable resin precursor. An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recursor having ionizing radiation curability has at least on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전리 방사선 중합성 관능기」란, 전리 방사선 조사에 의해 중합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이다. 전리 방사선 중합성 관능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에틸렌성 이중 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란, 「아크릴로일기」 및 「메타크릴로일기」의 양쪽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경화시킬 때에 조사되는 전리 방사선으로서는, 전자파 또는 하전 입자선 중, 분자를 중합 또는 가교할 수 있는 에너지 양자를 갖는 것을 의미하고, 통상, 자외선(UV) 또는 전자선(EB)이 사용되지만, 기타, X선, γ선 등의 전자파, α선, 이온선 등의 하전 입자선도 사용 가능하다. 열경화성을 갖는 열경화성 수지 전구체는, 열중합성 관능기를 적어도 하나 갖는 것이다.The "functional group polymerizable by ionizing radi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undergo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irradi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As an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ethylenic double bonds, such as a (meth)acryloyl group, a vinyl group, and an allyl group, are mentioned, for example. In addition, the "(meth)acryloyl group"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meaning containing both a "acryloyl group" and a "methacryloyl group." In addition, as ionizing radiation irradiated when curing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recursor, it means having an energy quantum capable of polymerizing or crosslinking molecules among electromagnetic waves or charged particle beams, and usually, ultraviolet rays (UV) or electron beams (EB ) is used, but in addition, electromagnetic waves such as X-rays and γ-rays, and charged particle beams such as α-rays and ion beams can also be used. A thermosetting resin precursor having thermosetting properties has at least one thermo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모노머, 전리 방사선 중합성 올리고머, 또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프리폴리머를 들 수 있고, 이들을 적절히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리 방사선 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모노머와, 전리 방사선 중합성 올리고머 또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프리폴리머의 조합이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ionizing radiation-curable resin precursor include ionizing radiation-polymerizable monomers, ionizing radiation-polymerizable oligomers, and ionizing radiation-polymerizable prepolymers, and these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nd used. As the ionizing radiation curable resin precursor, a combination of an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monomer, an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oligomer or an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prepolymer is preferable.
·전리 방사선 중합성 모노머・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monomer
전리 방사선 중합성 모노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것이다. 전리 방사선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전리 방사선 중합성 관능기를 2개(즉, 2관능) 이상 갖는 다관능 모노머가 바람직하다.An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mon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As 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monomer, a polyfunctional monomer having two (ie, bifunctional) or mor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s is preferable.
2관능 이상의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트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트리톨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탄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나, 이들을 PO, EO 등으로 변성한 것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ifunctional or higher functional monomer include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tr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ri(meth)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hexa(meth)acrylate, 1,6-hexanedioldi(meth)acrylate, neopentyl glycol di(meth)acrylate ) Acrylates,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meth)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meth)acrylate, tripentaerythritol octa(meth)acrylate, tetrapentaeryth Litoldeca(meth)acrylate, isocyanuric acid tri(meth)acrylate, isocyanuric acid di(meth)acrylate, polyester tri(meth)acrylate, polyester di(meth)acrylate, bisphenol di( Meth)acrylate, diglycerin tetra(meth)acrylate, adamantyldi(meth)acrylate, isoboronyldi(meth)acrylate, dicyclopentanedi(meth)acrylate, tricyclodecanedi(meth) 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meth)acrylate, and what modified|denatured these with PO, EO, etc. are mentioned.
이들 중에서도 경도가 높은 요철층을 얻는 관점에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PETA),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DPHA),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TA),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DPPA) 등이 바람직하다.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uneven layer having high hardness, pentaerythritol triacrylate (PETA),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PETTA),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DPPA) and the like are preferred.
·전리 방사선 중합성 올리고머・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oligomer
전리 방사선 중합성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이상 10000 미만인 것이다.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oligo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less than 10000.
전리 방사선 중합성 올리고머로서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올리고머가 바람직하다. 다관능 올리고머로서는,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올(메트)아크릴레이트, 멜라민(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oligomer, a bifunctional or higher polyfunctional oligomer is preferable. As the polyfunctional oligomer, polyester (meth) acrylate, urethane (meth) acrylate, polyester-urethane (meth) acrylate, polyether (meth) acrylate, polyol (meth) acrylate, melamine (meth) acrylate rate, isocyanurate (meth)acrylate, epoxy (meth)acrylate, etc. are mentioned.
·전리 방사선 중합성 프리폴리머・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prepolymer
전리 방사선 중합성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인 것이며, 중량 평균 분자량으로서는 10000 이상 800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000 이상 400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높기 때문에 도포 시공 적성이 저하되어버려, 얻어지는 광학 적층체의 외관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상기 다관능 폴리머로서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레이트(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0 or more,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preferably 10000 or more and 80000 or less, more preferably 10000 or more and 40000 or less.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exceeds 80000, the viscosity is high, so the coating suitability is reduced,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optical laminate is deteriorated.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polymer include urethane (meth)acrylate, isocyanurate (meth)acrylate, polyester-urethane (meth)acrylate, and epoxy (meth)acrylate.
열경화성 수지 전구체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놀 수지, 요소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멜라민 수지, 구아나민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멜라민-요소 공축합 수지, 규소 수지, 폴리실록산 수지 등의 각각의 전구체를 들 수 있다.The thermosetting resin precurs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henol resins, urea resins, diallylphthalate resins, melamine resins, guanamin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 resins, epoxy resins, aminoalkyd resins, and melamine-urea. Respective precursors, such as a cocondensation resin, a silicon resin, and a polysiloxane resin, are mentioned.
용제 건조형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등, 도포 시공 시에 고형분을 조정하기 위하여 첨가한 용제를 건조시키는 것만으로, 피막이 되는 수지이다. 용제 건조형 수지를 첨가한 경우, 방현층(12)을 형성할 때에, 도액의 도포면의 피막 결함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용제 건조형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Solvent drying type resin is resin that becomes a film only by drying the solvent added to adjust the solid content at the time of coating,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When the solvent-drying type resin is added, when forming the anti-glare layer 12,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coating defects on the surface coated with the coating liquid. The solvent drying typ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generally a thermoplastic resin can be used.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비닐계 수지, 비닐에테르계 수지, 할로겐 함유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 실리콘계 수지 및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styrene-based resins, (meth)acrylic-based resins, vinyl acetate-based resins, vinyl ether-based resins, halogen-containing resins, alicyclic olefin-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polyamide-based resins, cellulose derivatives, silicone-based resins, and rubbers or elastomers; and the like.
열가소성 수지는, 비결정성이고, 또한 유기 용매(특히 복수의 폴리머나 경화성 화합물을 용해 가능한 공통 용매)에 가용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명성이나 내후성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지환식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 유도체(셀룰로오스에스테르류 등) 등이 바람직하다.The thermoplastic resin is preferably amorphous and soluble in an organic solvent (especially a common solvent capable of dissolving a plurality of polymers and curable compounds). In particular,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nd weather resistance, styrene-based resins, (meth)acrylic-based resins, alicyclic olefin-based resins, polyester-based resins,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cellulose esters), and the like are preferable.
요철층(45, 55)은,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먼저, 광투과성 기재(44)의 표면과, 제1 요철면(41A)에 대응한 형상의 홈을 갖는 금형 사이에, 이하의 요철층용 조성물을 도포한다. 마찬가지로, 광투과성 기재(54)의 표면과, 제2 요철면(51A)에 대응한 형상의 홈을 갖는 금형 사이에, 이하의 요철층용 조성물을 도포한다.The uneven layers 45 and 55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o-convex layer described below is appli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light-transmitting
요철층용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기타, 필요에 따라, 요철층용 조성물에, 용제, 중합 개시제를 첨가해도 된다. 또한, 요철층용 조성물에는, 요철층의 경도를 높게 하거나, 경화 수축을 억제하거나, 굴절률을 제어하는 등의 목적에 따라, 종래 공지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실란 커플링제, 증점제, 착색 방지제, 착색제(안료, 염료), 소포제, 레벨링제, 난연제, 자외선 흡수제, 접착 부여제, 중합 금지제, 산화 방지제, 표면 개질제, 이활제 등을 첨가하고 있어도 된다.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contains at least the curable resin precursor. In addition, you may add a solvent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to the composition for uneven layers as needed. In addition, in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concavo-convex layer, suppressing curing shrinkage, or controlling the refractive index, conventionally known dispersant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silane coupling agents, thickeners, anti-coloring agents , a colorant (pigment, dye), an antifoaming agent, a leveling agent, a flame retardant, an ultraviolet absorber, an adhesion imparting agent,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 antioxidant, a surface modifier, a lubricant, and the like may be added.
(용제)(solvent)
용제는, 상기 요철층용 조성물을 도포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점도를 조정할 목적이나, 증발 속도나 미립자에 대한 분산성을 조정하고, 요철층 형성 시에 있어서의 미립자의 응집 정도를 조정하여 소정의 요철면을 형성시키기 쉽게 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s-부탄올, t-부탄올, 벤질 알코올, PGME, 에틸렌글리콜),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MEK), 시클로헥사논,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아세톤 알코올, 시클로헵타논, 디에틸케톤 등), 에테르류(1,4-디옥산, 디옥솔란,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지방족 탄화수소류(헥산 등), 지환식 탄화수소류(시클로헥산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톨루엔, 크실렌 등), 할로겐화 탄소류(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등), 에스테르류(포름산메틸,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락트산에틸 등), 셀로솔브류(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등), 셀로솔브아세테이트류, 술폭시드류(디메틸술폭시드 등), 아미드류(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The purpose of the solvent is to adjus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so as to facilitate application of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to adjust the evaporation rate or dispersibility to fine particles, and to adjust the degree of aggregation of the concave-convex layer during formation of the concave-convex layer to form a predetermined concave-convex surface.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making it easy to form. As the solvent, for example, alcohol (eg,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s-butanol, t-butanol, benzyl alcohol, PGME, ethylene glycol), ketone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K) , cyclohexanone, methyl isobutyl ketone, diacetone alcohol, cycloheptanone, diethyl ketone, etc.), ethers (1,4-dioxane, dioxolane, tetrahydrofuran, etc.), aliphatic hydrocarbons (hexane, etc.) , alicyclic hydrocarbons (cyclohexane, etc.), aromatic hydrocarbons (toluene, xylene, etc.), halogenated carbons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etc.), esters (methyl format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butyl acetate) , ethyl lactate, etc.), cellosolves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etc.), cellosolve acetates, sulfoxides (dimethyl sulfoxide, etc.), amides (dimethylformamide, dimethyl acetamide etc.), etc. can be exemplified, and mixtures thereof may be used.
(중합 개시제)(Polymerization initiator)
중합 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분해되어서, 라디칼을 발생하여 전리 방사선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가교)을 개시 또는 진행시키는 성분이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component that is decomposed by light irradiation to generate radicals to initiate or advance polymerization (crosslinking) of 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compound.
중합 개시제는,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 중합을 개시시키는 물질을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예에는, 예를 들어,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미힐러벤조일벤조에이트, α-아밀옥심에스테르, 티오크산톤류, 프로피오페논류, 벤질류, 벤조인류, 아실포스핀옥시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증감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폴리-n-부틸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lease a substance that initiates radical polymerization upon light irradiation.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known ones can be used,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acetophenones, benzophenones, Michler's benzoyl benzoate, α-amyloxime esters, thioxanthones, and propiope. Rice paddies, benzyls, benzoins, and acylphosphine oxides are exemplifi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o mix and use a photosensitizer,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n-butylamine, triethylamine, poly-n-butylphosphine and the like.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는, 상기 바인더 수지가 라디칼 중합성 불포화기를 갖는 수지계인 경우에는, 아세토페논류, 벤조페논류, 티오크산톤류,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when the binder resin is a resin having a radically polymerizable unsaturated group, it is preferable to use acetophenones, benzophenones, thioxanthones, benzoin, benzoin methyl ether, etc. alone or in combination. do.
요철층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전리 방사선 중합성 화합물 100질량부에 대하여 0.5질량부 이상 1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을 이 범위 내로 함으로써, 경화 저해를 억제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mposition for uneven layers is 0.5 parts by mass or more and 10.0 parts by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ionizing radiation polymerizable compound. Curing inhibition can be suppressed by making content of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to this range.
요철층용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원료의 함유 비율(고형분)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5질량% 이상 7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 6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ratio (solid content) of the raw material in the composition for the uneve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and 70% by mass or less, and more preferably 25% by mass or more and 60% by mass or less.
(레벨링제)(leveling agent)
레벨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불소계 계면 활성제 등이, 요철층이 버나드 셀 구조로 되는 것을 회피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용제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키는 경우, 도막 내에서 도막 표면과 내면에 표면 장력차 등을 발생하고, 그것에 의하여 도막 내에 다수의 대류가 야기된다. 이 대류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는 버나드 셀 구조라고 불리고, 형성되는 요철층에 오렌지 필이나 도포 시공 결함과 같은 문제의 원인이 된다.As the leveling agent, for example, silicone oil, fluorine-based surfactant, etc.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voiding the concavo-convex layer from becoming a Barnard cell structure. When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solvent is applied and dried, a difference in surface tension or the like occurs between the surface and inner surface of the coating film, thereby causing a large number of convection currents in the coating film. The structure generated by this convection is called a Bernard cell structure, and causes problems such as orange peel and coating defects in the concave-convex layer formed.
요철층용 조성물의 조제 방법으로서는, 각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페인트 셰이커, 비즈 밀, 니더, 믹서 등의 공지된 장치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each component can be uniformly mixed, and can be prepared using a known apparatus such as a paint shaker, bead mill, kneader, or mixer.
광투과성 기재(44, 54)와 금형 사이에 요철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도막 상의 요철층용 조성물에 자외선 등의 광을 조사하여, 경화성 수지 전구체를 중합(가교)시킴으로써 요철층용 조성물을 경화시킨다. 그리고, 요철층용 조성물의 경화물을 이형함으로써 요철층(45, 55)이 형성된다.After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o-convex layer is applied between the light-transmitting
요철층용 조성물을 경화시킬 때의 광으로서,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초고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카본 아크, 크세논 아크,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으로부터 발해지는 자외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의 파장으로서는, 190 내지 380nm의 파장 영역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선원의 구체예로서는, 코크로프트 월턴형, 밴 더 그래프형, 공진 변압기형, 절연 코어 변압기형, 또는 직선형, 다이나미트론형, 고주파형 등의 각종 전자선 가속기를 들 수 있다.As the light for curing the composition for the concave-convex layer, when ultraviolet rays are used, ultraviolet rays emitted from an ultra-high pressure mercury lamp, a high-pressure mercury lamp, a low-pressure mercury lamp, a carbon arc, a xenon arc, a metal halide lamp, or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as the wavelength of ultraviolet rays, a wavelength range of 190 to 380 nm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the electron beam source include various electron beam accelerators such as Cockcroft Walton type, van der Graf type, resonance transformer type, insulating core transformer type, linear type, dynamite type, and high frequency type.
<제1 편광자 및 제2 편광자><First polarizer and second polarizer>
제1 편광자(42) 및 제2 편광자(52)는 특정한 직선 편광 성분만을 투과시키는 것이다. 제1 편광자 및 제2 편광자로서는, 예를 들어, 요오드 등에 의해 염색하고, 연신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비닐포르말 필름,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비누화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제1 광학 필름(41)과 제1 편광자(42)를 적층할 때 또는 제2 광학 필름(51)과 제2 편광자(52)를 적층할 때에는 미리 광투과성 기재(44, 54)에 비누화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누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접착성이 양호해진다.The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Design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소자(30)의 설계 방법은,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과, 제1 편광판(40)과 제2 편광판(50) 사이에 배치된 액정 셀(60)을 구비하고, 제1 편광판(40)이 액정 표시 소자(30)의 표면(30A)을 이루는 제1 요철면(41A)을 갖는 제1 광학 필름(41)과, 제1 광학 필름(4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42)를 구비하고, 제2 편광판(50)이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을 이루는 제2 요철면(51A)을 갖는 제2 광학 필름(51)과, 제2 광학 필름(51)보다 액정 셀(60) 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52)를 구비하는 액정 표시 소자(30)에 있어서, 제1 요철면(41A)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이 동일 형상이며, 제2 요철면(51A)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제1 요철면(41A)과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평균 이격 거리 D가 하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액정 표시 소자(30)를 설계하는 방법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sign method of the liquid
D≤S/(2×tan(θa-sin-1((sinθa)/N))) (1)D≤S/(2×tan(θa-sin -1 ((sinθa)/N))) (1)
제2 요철면(51A)의 최대 경사각을 θmax[°]라 했을 때, 평균 이격 거리 D가 하기 식 (2)를 충족하도록 액정 표시 소자(30)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D≤S/(2×tan(θmax-sin-1((sinθmax)/N))) (2)D≤S/(2×tan(θmax-sin -1 ((sinθmax)/N))) (2)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요철면(41A) 및 제2 요철면(51A)이 동일 형상이며, 제1 요철면(41A)을 구성하는 요철 및 제2 요철면(51A)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경우에 있어서, 제1 요철면(41A)과 제2 요철면(51A)의 평균 이격 거리 D가 상기 식 (1)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이유로부터, 제1 요철면(41A)에 있어서의 요철과 제2 요철면(51A)에 있어서의 요철이 어떤 위치 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연속적인 확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에 의해,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1st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에 제2 광학 필름(51)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2nd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액정 표시 소자(30)의 이면(30B)에 제2 요철면(51A)을 갖는 제2 광학 필름(51)을 배치하고 있으므로, 면 광원 장치(20)에 기인하는 간섭 줄무늬가 발생한 경우에도,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에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을 배치하고, 또한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에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을 배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요철면에서 영상광을 확산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간섭 줄무늬를 약화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1 광학 필름 외에, 제2 광학 필름을 배치한 쪽이, 제1 광학 필름만의 경우에 비하여, 영상광을 보다 확산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간섭 줄무늬를 불가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second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rder to explain this invention in detail, it demonstrates by giving an Example below, bu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description.
<실시예 1><Example 1>
먼저,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소자를 간략화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해서, 표면이 제1 요철면으로 결정되고, 또한 이면이 제2 요철면이 된 광학 필름을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제1 요철면 및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 θa를 각각 3°로 하고, 제1 요철면 및 제2 요철면의 국부의 평균 간격 S를 각각 50㎛로 하고, 제1 요철면 및 제2 요철면의 산술 평균 조도 Ra를 각각 0.3㎛로 하고, 제1 요철면 및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굴절률을 각각 1.515로 하였다. 그리고,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제2 요철면에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집광 거리의 0.29배로 설정하고, 제1 요철면에 대한 제2 요철면의 위치를 바꾸면서, 제1 요철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의 「0%」란, 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에 대한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위치가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완전히 일치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20%」, 「40%」, 「60%」, 「80%」란, 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에 대한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위치가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20%, 40%, 60%, 80% 어긋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100%」란, 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에 대한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위치가 광학 필름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완전히 어긋나 있는 경우(제1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볼록부 중심 위치와, 제2 요철면에 있어서의 요철의 산골짜기 위치가 일치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식 (8)로부터 제2 요철면에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집광 거리를 구하면, 1.404㎛였다.First, in order to simplify and simulate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an optical film in which the surface was determined as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became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designed. Specifically,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θa of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each set to 3°, the local average interval S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each set to 50 μm, and the first uneven surface is set to and the arithmetic mean roughness Ra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were each set to 0.3 μm, and the refractive indexes of the irregularities constituting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ere each set to 1.515. T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set to 0.29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uneven surface relative to the first uneven surface. ,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first uneven surface were simulated. Here, “0%” in FIGS. 5 and 6 indicates the case where the position of the concavo-convex on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with respect to the concavo-convex on the first concavo-convex surface completely coincides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film. As shown, "20%", "40%", "60%", and "80%"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unevenness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relative to the unevenness on the first uneven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optical film. 20%, 40%, 60%, and 80% are shown, and "100%" indicates the position of the unevenness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relative to the unevenness on the first uneven surface of the optical film. The case where there is a complete shif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case where the center position of the convex-convex portion of the first uneven surface coincides with the position of the valley of the uneven surface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shown. In addition, when the condensing distance at the time of making light incident on the 2nd concave-convex surface was calculated|required from said Formula (8), it was 1.404 micrometer.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0.43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Example 2,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0.43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0.71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Example 3,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0.71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3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1.00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Example 3,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1.00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1.29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1,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1.29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 2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1.57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2,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1.57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 3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집광 거리의 2.14배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확산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In Comparative Example 3, diffusion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was set to 2.14 times the condensing distance.
이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 내지 (d)는 실시예 1 내지 4에 관한 광학 필름의 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6의 (a) 내지 (c)는 비교예 1 내지 3에 관한 광학 필름의 확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가 제2 요철면에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집광 거리를 초과하고 있으므로, 즉 상기 (1)을 충족하고 있지 않으므로,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과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는, 불연속적인 확산 특성이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도 4 중의 비교예 1에 있어서의 80%, 100%일 때의 확산 특성, 비교예 2에 있어서의 60%, 80%, 100%일 때의 확산 특성, 비교예 3에 있어서의 모든 확산 특성 참조). 이에 비해, 도 5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 있어서는, 제1 요철면과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가 제2 요철면에 광을 입사시켰을 때의 집광 거리 이하가 되어 있는, 즉 상기 식 (1)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과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어떤 위치 관계일지라도, 연속적인 확산 특성이 얻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The results are described below. Figures 5 (a) to (d) are graphs showing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films of Examples 1 to 4, and Figures 6 (a) to (c) ar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film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3. It is a graph representing a characteristic. As shown in (a) to (c) of FIG. 6 ,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3,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light condensing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Since the distance was exceeded, that is, since the above (1) was not satisfied, it was confirmed that a discontinuous diffusion characteristic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Diffusion characteristics at 80% and 100% in Comparative Example 1 in FIG. 4, diffusion characteristics at 60%, 80% and 100%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all diffusion characteristics in Comparative Example 3 reference). In contrast, as shown in (a) to (d) of FIG. 5 , in Examples 1 to 4,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second uneven surface. Since the convergence dist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light condensing distance at the time, that is, since the above expression (1) is satisfied, no matter what positional relationship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concavo-convex concavity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o-convex surface are, continuous diffusion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Confirmed.
10: 액정 표시 장치
20: 면 광원 장치
30: 액정 표시 소자
30A: 표면
30B: 이면
40: 제1 편광판
41: 제1 광학 필름
41A: 제1 요철면
42: 제1 편광자
50: 제2 편광판
51: 제2 광학 필름
51A: 제2 요철면
52: 제2 편광자
60: 액정 셀10: liquid crystal display
20: surface light source device
30: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30A: surface
30B: back side
40: first polarizer
41: first optical film
41A: first uneven surface
42: first polarizer
50: second polarizing plate
51: second optical film
51A: second uneven surface
52 second polarizer
60: liquid crystal cell
Claims (6)
상기 제1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을 이루는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을 이루는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철면 및 상기 제2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상기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하기 식 (1)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
D≤S/(2×tan(θa-sin-1((sinθa)/N))) (1)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polarizing plate,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The first polarizing plate includes a first optical film having a first uneven surface constituting a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first polarizer disposed on a liquid crystal cell side from the first optical film,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cludes a second optical film having a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forming a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second polarizer disposed on a liquid crystal cell side from the second optical film,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have the same shape,
The irregularities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θa [°], the average spacing of local peaks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S [μm],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N And, w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D [μm], the following formula (1) is satisfied.
D≤S/(2×tan(θa-sin -1 ((sinθa)/N))) (1)
D≤S/(2×tan(θmax-sin-1((sinθmax)/N))) (2)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llowing formula (2) is further satisfied 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θmax[°].
D≤S/(2×tan(θmax-sin -1 ((sinθmax)/N))) (2)
상기 제1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표면을 이루는 제1 요철면을 갖는 제1 광학 필름과, 상기 제1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1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편광판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의 이면을 이루는 제2 요철면을 갖는 제2 광학 필름과, 상기 제2 광학 필름보다 액정 셀측에 배치된 제2 편광자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 및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요철이 동일한 굴절률을 갖고,
상기 제1 요철면 및 상기 제2 요철면이 동일 형상이며,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경사각을 θa[°]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의 국부 산 정상의 평균 간격을 S[㎛]라 하고, 상기 제2 요철면을 구성하는 상기 요철의 굴절률을 N이라 하고, 상기 제1 요철면과 상기 제2 요철면의 평균 이격 거리를 D[㎛]라 했을 때, 평균 이격 거리 D가 하기 식 (1)을 충족하도록 상기 액정 표시 소자를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소자의 설계 방법.
D≤S/(2×tan(θa-sin-1((sinθa)/N))) (1)A method for design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polarizing plate, a second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ce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plate and the second polarizing plate,
The first polarizing plate includes a first optical film having a first uneven surface constituting a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first polarizer disposed on a liquid crystal cell side from the first optical film,
The second polarizing plate includes a second optical film having a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forming a back surfa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and a second polarizer disposed on a liquid crystal cell side from the second optical film,
The irregularities constituting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have the same refractive index,
The first concave-convex surface and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have the same shape,
The average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θa [°], the average spacing of local peaks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S [μm], and the refractive index of the concavo-convex constituting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N And, when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uneven surface and the second uneven surface is D [μm],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signed A method for designing a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D≤S/(2×tan(θa-sin -1 ((sinθa)/N))) (1)
D≤S/(2×tan(θmax-sin-1((sinθmax)/N))) (2)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designed so that the average separation distance D also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when the maximum inclination angle of the second concave-convex surface is θmax[°], A design method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S/(2×tan(θmax-sin -1 ((sinθmax)/N))) (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249223 | 2014-12-09 | ||
JPJP-P-2014-249223 | 2014-12-09 | ||
PCT/JP2015/084509 WO2016093272A1 (en) | 2014-12-09 | 2015-12-09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93818A KR20170093818A (en) | 2017-08-16 |
KR102543034B1 true KR102543034B1 (en) | 2023-06-14 |
Family
ID=5610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15102A Active KR102543034B1 (en) | 2014-12-09 | 2015-12-09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724790B2 (en) |
KR (1) | KR102543034B1 (en) |
CN (1) | CN107003556B (en) |
WO (1) | WO201609327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484882B2 (en) * | 2019-03-01 | 2024-05-16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Resin layer,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
CN111999948A (en) * | 2020-09-02 | 2020-11-27 |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CN111999949B (en) * | 2020-09-09 | 2023-12-12 |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 Display panel,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920634A (en) * | 2005-08-25 | 2007-02-28 | 建美电子股份有限公司 | monitor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46701B2 (en) * | 1993-12-24 | 2000-05-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
JP3363415B2 (en) * | 1999-12-17 | 2003-01-08 |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 Reflec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reflective unit array |
EP1369711A4 (en) * | 2001-03-16 | 2006-05-03 | Toray Industries | Optical functional sheet |
CN101506692B (en) * | 2006-08-18 | 2011-08-17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Optical laminate, polarizer and image display unit |
KR20080057652A (en) * | 2006-12-20 | 2008-06-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Viewing angle contro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JP5494144B2 (en) | 2010-04-02 | 2014-05-14 | 日油株式会社 | Anti-glare film |
KR20130049202A (en) * | 2010-09-14 | 2013-05-13 | 코니카 미놀타 어드밴스드 레이어즈 인코포레이티드 | Antiglare film,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JP6275934B2 (en) * | 2010-09-17 | 2018-02-07 | 日東電工株式会社 | Light diffusing element, polarizing plate with light diffusing element, polarizing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
CN103245981B (en) * | 2012-02-14 | 2017-03-0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Optical laminate, polaroid and image display device |
JP6078938B2 (en) * | 2012-03-15 | 2017-02-15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
2015
- 2015-12-09 KR KR1020177015102A patent/KR102543034B1/en active Active
- 2015-12-09 JP JP2016563712A patent/JP6724790B2/en active Active
- 2015-12-09 WO PCT/JP2015/084509 patent/WO201609327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5-12-09 CN CN201580066168.5A patent/CN107003556B/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920634A (en) * | 2005-08-25 | 2007-02-28 | 建美电子股份有限公司 | moni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724790B2 (en) | 2020-07-15 |
CN107003556B (en) | 2020-09-11 |
WO2016093272A1 (en) | 2016-06-16 |
JPWO2016093272A1 (en) | 2017-09-21 |
CN107003556A (en) | 2017-08-01 |
KR20170093818A (en) | 2017-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94424B1 (en) | Optical sheet, polarizer, optical sheet sorting method and optical sheet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 |
JP5880762B2 (en) | Optical film and touch panel | |
JP6588398B2 (en) | Protective film for polarizing plate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 |
KR101660435B1 (en) |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
TWI617827B (en) |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
CN100582818C (en) | Hard-coated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rd-coated antiglare film | |
CN100560353C (en) | Hard-coated film, method for producing hard-coated film, optical element,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6213804B2 (en) | Optical film substrate,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09150998A (en) | Anti-glare film, anti-glar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US20150049389A1 (en) | Display device | |
CN101726768A (en) | Anti-dazzle film, anti-dazzle polariz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 |
KR101822701B1 (en) |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 |
KR101224241B1 (en) | Optical layered product | |
CN100476455C (en) | Anti-glare hard-coat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TWI567411B (en) | An optical film substrate, an optical film, a optical film, a liquid crystal panel, and an image display device | |
CN106030353A (en) | Polarizing plate, optical component set, and touch input type image display device | |
KR102543034B1 (en) |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sign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 | |
US20090141211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50009531A (en) | Edge light-type backlight device and light diffusion member | |
JP2012103712A (en) | Antidazzle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antidazzle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 |
JP2012118327A (en) |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12092794B2 (en) | Anti-glare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 |
CN116057422A (en) | Antireflection member, polarizing plate using the above antireflection member, image display device and antireflection article, and selection method of antireflection member | |
JP2009086329A (en) | Optical lamin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04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