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869B1 -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869B1
KR102542869B1 KR1020200164240A KR20200164240A KR102542869B1 KR 102542869 B1 KR102542869 B1 KR 102542869B1 KR 1020200164240 A KR1020200164240 A KR 1020200164240A KR 20200164240 A KR20200164240 A KR 20200164240A KR 102542869 B1 KR102542869 B1 KR 10254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ata
image
location
analysi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5779A (en
Inventor
김제욱
이승조
박정현
이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카이시스
Priority to KR102020016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869B1/en
Publication of KR20220075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7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8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5Vehicle, aircraft or watercraft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18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us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효율적으로 블록의 적치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은,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로부터 상기 블록의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여 3D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 상기 3D 데이터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는 설계 데이터 분석부, 상기 설계 데이터 분석부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상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 데이터 생성부,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블록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분석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불록 적치 현황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that efficiently grasps and manages the placement status of blocks. The block placement statu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captured from an aircraft, recognizing a block using the image data, and obtaining a 3D image of the block from the recognized block image. An image data analysis unit that performs modeling processing and converts it into 3D data, a design data analysis unit that matches the 3D data and 3D design data of the block stored in advance, and details of the block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of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A block data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data, a location data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block location data using the location data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block, and based on the outputs of the block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location data analysis unit A block stacking status output unit for outputting block stacking status data may be included.

Description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과 그 방법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its method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선에 필요한 블록을 적치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 효율적으로 블록의 적치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identifying and managing the stacking status of blocks in a system for stacking and managing blocks necessary for shipbuilding.

최근 조선 산업에 있어서는 3차원(3D) 설계를 바탕으로 블록식이라는 조선 기술을 도입하여 배를 제작한다. 블록식이란 배를 몇 개의 덩어리인 블록으로 나누어서 공정을 수행한 후 모아 잇는 방식이다. Recently,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ships are manufactured by introducing a shipbuilding technology called block type based on 3D design. The block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ship is divided into several blocks, which are blocks, and then assembled after the process is performed.

3D 설계도에 따라 원재료를 가공하여 다루기 쉽고 조립하기에 적합한 크기로 블록을 생성한다. 블록의 크기는 배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은 100톤에서 200톤 정도이며, 수 백여개의 블록을 정확한 배 모양대로 짜맞추려면 정밀한 계측 장치를 사용해서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The raw materials are processed according to the 3D design drawing to create a block that is easy to handle and has a size suitable for assembly. The size of the blocks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and size of the ship, but usually ranges from 100 to 200 tons, and to assemble hundreds of blocks into the exact shape of the ship, precise measurement equipment must be used to determine their location.

이러한 블록은 조선 작업을 수행하는 야드에 지정된 위치인 지번에 적치된 상태로 제작되고 공정 프로세스에 따라 다른 지번으로 이동되어 제작되기도 한다.These blocks are manufactured in a state of being piled up in a designated location in the yard where shipbuilding is performed, and are also manufactured by being moved to another lot according to the process.

따라서, 넓은 조선소 야드에서 적치된 블록의 위치와 제작 상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ERP) 등을 이용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을 관리하게 된다. Therefore, a system for managing the location and manufacturing status of blocks stacked in a large shipyard yard is required, and the stacking status of blocks is managed using a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ERP).

종래 기술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의 위치는 블록에 태그를 부착하고, 운반체가 태그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운반체가 이동시에 장착된 GPS를 통해 현재의 좌표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었다. In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there is a method in which a tag is attached to the block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block, and the vehicle recognizes the movement of the tag and recognizes the current coordinates through a GPS installed when the vehicle moves.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적치 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a block placement status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에는 야드(10)에 지번(11)을 사전에 부여하여 블록을 적치 및 관리하고 있었다. 일 예로, 작업자가 A블록의 위치를 타 위치로 옮기는 경우 A블록에 태그를 부착하고, 운반체는 해당하는 지번(11)에 A블록의 존재를 확인하면 해당 블록을 탑재한다. Referring to FIG. 1, in the prior art, a lot number 11 was given to a yard 10 in advance to stack and manage blocks. For example, when a worker moves the location of block A to another location, a tag is attached to block A, and when the carrier confirms the existence of block A in the corresponding lot 11, the corresponding block is loaded.

A블록이 운반체에 놓이면 태그 내의 가속도 센서가 인식하여 움직임이 포착될 수 있다. 운반체가 이동시 운반체에 장착된 GPS를 통해 현재의 좌표를 인식하여 관제 서버로 인식된 자료를 전송한다. When the A block is placed on the carrier, the motion can be captured by the acceleration sensor in the tag. When the carrier moves, the current coordinates are recognized through the GPS mounted on the carrier and the recogniz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또한, 담당자는 블록들을 관리하기 위해서 시스템에 기초 데이터를 입력 후, 작업 지시서를 발급하게 된다(21, 22). In addition, the person in charge inputs basic data into the system to manage the blocks and then issues a work order (21, 22).

지시서가 발급된 후, 작업자는 A블록을 타 위치로 이동시킨다(23). 담당자는 운반체로부터 전송된 GPS를 통해 이동된 A블록의 위치를 확인한다. 확인된 A 블록의 이동 데이터는 관리 시스템에 입력되고, 입력된 A 블록의 데이터는 블록 DB에 저장된다(24, 25). After the instruction is issued, the operator moves block A to another location (23). The person in charge checks the location of the moved block A through the GPS transmitted from the carrier. The confirmed movement data of block A is input to the management system, and the input data of block A is stored in the block DB (24, 25).

종래 기술에 따른 관리 시스템은 블록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모든 블록에 태그를 부착해야 한다. 태그가 부착된 블록은 환경적인 요소로 인해 태그가 파손, 분실될 수 있다. 또한, 모든 블록에 태그를 부착하는 것은 많은 비용을 초래하고, 분실되는 경우 데이터의 누락이 발생할 수 있다.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must attach a tag to every block in order to locate the block. Blocks with tags may be damaged or lost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attaching tags to all blocks incurs a lot of cost, and if lost, data may be omitted.

그리고, 블록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운반체에 탑재된 GPS가 블록을 인식하고 형상 정보를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을 이동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블록의 현황을 파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GPS mounted on the carrier can recognize the block and inquire the shape information only when the block is move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block when the block is not moved.

즉, 운반체가 제공하는 GPS가 정확한 블록의 위치 정보인 것이 보장될 수 없다. 따라서 담당자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블록의 지번(11)을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현황 파악 작업은 과도한 시수가 투입되고, 비효율적으로 관리된다. That is, it cannot be guaranteed that the GPS provided by the carrier is accurate block location information. Therefore, the person in charge must go around and check the number 11 of the block. This current status assessment task requires excessive hours and is inefficiently managed.

담당자가 블록의 위치 데이터와 적치 현황 데이터를 직접 관리 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는 경우, 데이터의 입력 지연과 누락이 발생될 수 있다. If the person in charge needs to directly input block location data and stacking status data into the management system, data input delay and omission may occur.

또한, 100~200톤에 달하는 블록의 공정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여 정확한 공정 상태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the processing state of the block weighing 100 to 200 ton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firm the exact state of the process.

이러한 전산상의 데이터 누락은 블록 적치 공정의 지연을 초래하고, 나아가 전체 선박의 공정 진척도를 늦추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블록 적치 현황의 조회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Omission of such data in the computer may result in a delay in the block placement process and, furthermore, a slowdown in the process progress of the entire ship. This had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of the inquiry result of the block placement status was lowered.

(특허 문헌 001) 선행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0-0074411호-중량물공정 야드관리시스템(Patent Document 001) Prior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74411-Heavy Material Process Yard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사람이 직접 블록 적치 현황을 확인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블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that can efficiently check the location of blocks without directly checking the block placement status, which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블록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선박의 공정 진척도를 단축시킬 수 있는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process progress of a ship by automatically recognizing blocks and collecting data.

또한, 블록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및 관리하기 때문에 데이터 누락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킨 블록 현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block information is integrated and managed in real time, the problem of data omission is solved and reliability is improved to provide a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은,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로부터 상기 블록의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여 3D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 상기 3D 데이터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는 설계 데이터 분석부, 상기 설계 데이터 분석부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상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 데이터 생성부,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블록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분석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불록 적치 현황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block placement statu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block using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photographed from an aircraft, the image data, and the An image data analysis unit that performs 3D modeling processing of the block from the recognized block image and converts it into 3D data, a design data analysis unit that matches the 3D data and previously stored 3D design data of the block, and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A block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detailed data of the block based on a matching result, a location data analysis unit generating block location data using the location data and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block, and the block data generation unit; and A block placement status output unit for outputting block placement status data based on the output of the location data analysis unit may be included.

여기서,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블록과 블록 주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블록 이미지를 인식하는 블록 영상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를 3D 모델링 처리를 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Here, the image data analysis unit identifies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 by analyzing a block of the collected image data and image data around the block, and a block image recognition unit recognizing a block image and 3D modeling the recognized block image and a block image processor generating the 3D data by processing.

상기 블록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설계 데이터 분석부에 저장된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block image processing unit may perform 3D modeling processing by referring to 3D design data of blocks stored in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여기서, 상기 블록 데이터는 블록의 식별 정보, 공정의 진척 정보,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lock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and ship information using the block.

또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위치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타임 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야드 상의 지번을 식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oca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of the image data, and the location data analyzer identifies the lot number on the yard of the block by using the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방법은,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로부터 상기 블록의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여 3D 데이터로 처리하는 단계, 상기 3D 데이터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상세 데이터인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지번 데이터와 매칭하여 블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 데이터와 상기 판단된 블록 위치를 기초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ck placement status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photographed from an aircraft, recognizing a block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and the block from the recognized block image. Performing 3D modeling processing of and processing it into 3D data, matching the 3D data with previously stored 3D design data of the block, and generating block data, which is detailed data of the block,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Analyzing the location data to generate block location data, matching the lot number data to determine the block location, and outputting block placement status data based on the block data and the determined block location. can include

여기서, 상기 블록 데이터는 블록의 식별 정보, 공정의 진척 정보,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block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and ship information using the block.

또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타임 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야드 상의 지번 데이터와 매칭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of the image data, and can be matched with land number data on the yard of the block using the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수신부는 비행체로 수집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담당자가 직접 야드 전체를 돌아다니지 않고 블록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eiving unit of the management system can receive the data collected by the vehicle, so that the person in charge can check the location of the block without directly walking around the entire yard.

또한, 블록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블록의 위치와 블록의 적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는 선박 공정 진척도를 확인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a block is not moved, the position of the block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block placement can be grasped. This can effectively shorten the time for checking the ship process progress.

또한, 영상 데이터 분석부를 이용하여 수집된 평면 데이터를 3D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고, 사전에 저장된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여 블록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plane data collected using the image data analyzer may be converted into 3D data, and a function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blocks by matching with previously stored design data may be provided.

또한, 3D데이터와 설계 데이터를 매칭하여 인식된 블록의 상세 정보 및 공정 진척도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된 블록의 위치 데이터와 블록의 상세 정보를 결합하여 블록 적치 현황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담당자가 직접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지 않고, 시스템에서 데이터가 출력되기 때문에 데이터 누락이 발생하지 않아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lso, by matching 3D data and design data,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block and information on process progress may be genera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lock placement status data may be output by combining the location data of the created block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block. Reliability can be improved because data omission does not occur because the person in charge does not directly input data into the system, and data is output from the system.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록 적치 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를 이용하여 블록 적치 현황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분석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의 블록 적치 위치와 현황을 파악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block placement st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btaining block piling status information using an ai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ata ana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rmining a block placement location and current status of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mbined)" with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의 촬영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tate of photographing an air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비행체(D)는 자동으로 이륙을 하며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고도까지 이동한다. 또한, 비행체(D)는 사용자가 사전에 지정한 경로 정보를 기초로 비행하고, 설정된 경로를 비행하면서 블록과 블록 주변의 정보를 획득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aircraft D automatically takes off and moves to an altitude designated by the user in advance. In addition, the vehicle D flies based on route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user in advance, and acquires block and information around the block while flying along the set route.

비행체(D)는 설정된 경로의 비행을 완료하면 사전에 지정된 위치로 돌아와 착륙한다. 비행체는 야드(10)의 면적에 따라 복수로 사용될 수 있다. 비행체는 단일 이착륙 시스템을 통해서 통합적으로 관리 및 모니터링 될 수 있다. 여기서 비행체(D)는 무인 비행체로서, 드론(drone), 헬리카이트(HeliKite)와 같은 비행체로 구현될 수 있다. After completing the flight of the set path, the aircraft D returns to a pre-specified location and lands. A plurality of air vehicles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area of the yard 10 . Vehicles can be managed and monitored integrally through a single take-off and landing system. Here, the air vehicle D is an unmanned air vehicle,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air vehicle such as a drone or a HeliKite.

비행체(D)는 고해상도 카메라 및 GPS를 장착하여 블록에 대한 고해상도 영상 데이터와 해당 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GPS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The aircraft D may be equipped with a high-resolution camera and GPS to match and store high-resolution image data of a block and GPS information on a timeline of the corresponding image data.

비행체(D)는 저장 매체에 상기 영상 데이터와 GPS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비행 경로에서 실시간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방식, 예를 들어, LTE, 5G, NB-IoT, LoRA 등을 이용하여 실시간적으로 영상 데이터와 GPS 정보를 관리 시스템 또는 클라이언트 기기에 송신할 수 있다. The vehicle (D) may store the image data and GPS in a storage medium,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at provides coverage for real-time data communication on the flight path, for example, LTE, 5G, NB-IoT, Video data and GPS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management system or a client device in real time using LoRA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신부(110), 영상 데이터 분석부(120), 설계 데이터 분석부(130), 블록 데이터 생성부(140), 위치 데이터 분석부(150) 및 블록 적치 현황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management system 10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10, an image data analyzing unit 120, a design data analyzing unit 130, a block data generating unit 140, a location data analyzing unit 150, and It includes a block placement status output unit 160 .

먼저, 데이터 수신부(110)는 영상 데이터 수신부(111)와 위치 데이터 수신부(112)를 포함한다. First, the data receiver 110 includes an image data receiver 111 and a location data receiver 112 .

영상 데이터 수신부(111)는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블록과 블록 주변의 영상을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는 비행체에 장착된 저장 매체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 때 수신된 영상 데이터는 촬영된 영상의 RAW 데이터일 수도 있으며, 특정 시간이나 공간에 의해 필터링되어 선별될 데이터가 될 수 있다. The image data receiving unit 111 receives a block photographed from an air vehicle and an image around the block. As described above, image data may be received from a storage medium mounted on an air vehicle, and may be received in real tim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t this time, the received image data may be RAW data of a photographed image, or may be data to be filtered and select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or space.

또한, 위치 데이터 수신부(112)는 비행체로부터 GPS 정보, 지자기 정보와 같은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GPS 정보는 비행체가 촬영중인 절대 위치 좌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자기 정보는 GPS 정보로부터 정확한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data receiving unit 112 receives location data such as GPS information and geomagnetic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The GPS information can provide absolute positional coordinates of the aircraft being photographed, and the geomagnetic information can be used to correct accurate positional information from the GPS information.

영상 데이터 분석부(120)는 블록 영상 인식부(121)와 블록 영상 처리부(122)를 포함한다. The image data analysis unit 120 includes a block image recognition unit 121 and a block image processing unit 122 .

블록 영상 인식부(121)는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블록과 블록 주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을 인식한다. 예를 들어 촬영된 영상의 프레임 이미지로부터 외곽선이나 색상 등을 분석하여 프레임 이미지에서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인식된 블록의 이미지는 크롭(CROP) 처리되어 촬영 시간 또는 위치 정보를 태그를 부여하여 별도 저장될 수 있다. The block image recognition unit 121 recognizes a block by analyzing a block photographed from an aircraft and image data around the block. For example, an area corresponding to a block in a frame image may be identified by analyzing an outline or color of a frame image of a captured video. The image of the recognized block may be cropped and stored separately by attaching a tag with capturing time or location information.

블록 영상 처리부(122)는 인식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 3D 모델링 처리할 수 있다. 블록 영상 인식부(121)에 의해 인식된 2차원 이미지의 배경 제공 외곽선 인식과 저역 통과 필터링 처리 등을 통해 3D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 때 3D 데이터로 변환 처리는 해당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비교 가능한 3D 모델링 포맷으로 변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 image processing unit 122 may process 3D modeling of image data of a recognized block. The 2D image recognized by the block image recognizing unit 121 may be reconstructed into 3D data through background providing outline recognition and low-pass filtering.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rsion process into 3D data is transformed into a 3D modeling format comparable to the 3D design data of the corresponding block.

후술하겠지만 블록으로 인식된 이미지는 3D 설계 데이터의 3D 블록도의 하나의 시점에 촬영된 사시도 또는 상면도와 같은 2차원 이미지이다. 따라서, 촬영된 블록 2차원 이미지를3D 데이터로 재구성할 때 3차원 설계 데이터를 참조하는 경우에는 적은 연산량을 통해 용이하고 정확하게 3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image recognized as a block is a two-dimensional image such as a perspective view or a top view taken at one viewpoint of a 3D block diagram of 3D design data. Therefore, when reconstructing a captured block 2D image into 3D data, when referring to 3D design data, 3D modeling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with a small amount of calculation.

설계 데이터 분석부(130)는 설계 데이터 DB(131)와 설계 데이터 매칭부(132)를 포함한다.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130 includes a design data DB 131 and a design data matching unit 132 .

설계 데이터 DB(131)는 사전에 제작 중인 선박의 블록의 설계 데이터가 저장된다. 설계 데이터는 각각의 블록에 대한 3D 모델링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고 관리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해당 3D 모델링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The design data DB 131 stores design data of a block of a ship being manufactured in advance. The design data is stored in the form of 3D modeling data for each block, and the corresponding 3D modeling data may be provided upon request from the management system.

설계 데이터 매칭부(132)는 블록 영상 처리부(122)에서 3D 모델링 처리된 데이터와 설계 데이터 DB(131)에 저장된 3D설계 데이터를 매칭한다. 촬영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3D 모델링 데이터와 매치되는 블록의3D설계 데이터를 매칭함으로써 어떤 블록이 얼마나 적치되었는지와 공정 진척도를 파악할 수 있다. The design data matching unit 132 matches the 3D modeling data processed by the block image processing unit 122 with the 3D design data stored in the design data DB 131 . By matching the 3D modeling data obtained from the captured image data with the 3D design data of the matching block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ich blocks have been stacked and how much they have been stacked and the progress of the process.

블록 데이터 생성부(140)는 설계 데이터 매칭부(132)의 데이터를 기초로 인식된 블록의 적치 현황과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블록 데이터는 블록의 식별정보, 3D 설계 데이터와 관련 정보 및 공정 진척도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lock data generation unit 140 generates block data capable of checking the placement status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recognized blocks based on the data of the design data matching unit 132 . The generated block data may include data such as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3D design data and related information, and process progress.

위치 데이터 분석부(150)는 지번 매칭부(151)와 블록 위치 판단부(152)를 포함한다. The location data analysis unit 150 includes a lot number matching unit 151 and a block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52.

지번 매칭부(151)는 위치 데이터 수신부(112)로부터 수신된 위치 데이터와 사전에 지정된 지번 데이터를 매칭한다. 예를 들어, 지번 데이터는 좌표 정보를 포함하며, 해당 좌표 정보는 촬영 시점의 GPS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The lot matching unit 151 matches the location data received from the location data receiving unit 112 with the previously designated lot number data. For example, lot number data includes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matched with GPS information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블록 위치 판단부(152)는 지번 매칭부(151)에서 매칭된 데이터를 기초로 블록의 현재 지번과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이 인식된 영상의 타임라인에 대응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지번과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block location determination unit 152 may determine the current lot number and location of the block based on data matched by the lot number matching unit 151 . For example, a lot number and location may be confirmed using GP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timeline of an image in which a block is recognized.

블록 적치 현황 출력부(160)는 블록 데이터 생성부(140)의 블록 데이터와 블록 위치 판단부(152)의 위치 데이터를 결합하여 블록 적치 현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결합된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는 블록의 실시간 적치 현황, 공정 진척도, 이동 경로 등을 출력할 수 있다. The block placement status output unit 160 may generate block placement status data by combining the block data of the block data generation unit 140 and the location data of the block position determining unit 152 . The stacking status data of the combined blocks may output the real-time stacking status of the block, process progress, movement route,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특정 위치에 배치된 블록의 위치와 블록의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에 태그를 부착하지 않아 태그의 분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시스템에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에서 블록의 위치와 블록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 블록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기 때문에 전산상 데이터 누락이 발생하지 않는다. Therefore,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nd manage the location of a block arranged in a specific loc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block in real time. In addition, tags are not attached to blocks, so there is no loss of tags, and data is omitted computationally because the system outputs block status data including block location and detailed information, rather than the user directly inputting data into the system. this doesn't happe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 분석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data analy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블록 영상 인식부(121)는 평면 데이터(B1)로 블록을 인식한다. 비행체로부터 수집된 영상은 블록과 블록 주변의 영상이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lock image recognizing unit 121 recognizes a block as plane data B1. Images collected from the vehicle may include blocks and images around the blocks.

따라서, 특정한 블록의 위치 데이터와 상세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예로, 블록 영상 인식부(121)는 수집된 영상의 외곽선이나 색상 등을 분석하여 특정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grasp location data and detailed information of a specific block,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block. For example, the block image recognizing unit 121 may identify an are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block by analyzing the outline or color of the collected image.

이 때, 블록으로 식별된 이미지 영역은 크롭되거나 확대되어 이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된다. At this time, the image area identified as a block is cropped or enlarged and processed into a usable form.

인식된 블록은 블록 영상 처리부(122)에서 3D 모델링 데이터 처리를 통해 3D 데이터(B2)로 변환된다. 예를 들어, 촬영된 블록 영상의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형상의 주요 특징으로 2차원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기초로 3D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다. The recognized block is converted into 3D data B2 through 3D modeling data processing in the block image processing unit 122 . For example, a 2D image may be formed with main features of a shape through a low-pass filter of a captured block image and reconstructed into 3D data based on the 2D image.

또한, 복수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와 비행체의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3D 데이터의 변환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vert more accurate 3D data by using a plurality of image frame data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한편, 촬영된 블록 영상 평면 데이터(B1)는 2차원 이미지이지만, 설계 데이터 중 3D 블록 설계 데이터의 하나의 시점에 촬영된 평면 이미지 일 수 있다. 따라서, 숫자가 한정된 3D 블록 설계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를 참조 및 이용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3D 변환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captured block image plane data B1 is a two-dimensional image, but may be a planar image captured at one viewpoint of 3D block design data among design data. Therefore, when referring to and using a database of 3D block design data with a limited number, 3D conversion is more easily possible.

즉, 수집된 영상의 해상도와 같은 기술적 요인과 새, 비행물 등 외부적 요인에 따라 3D모델링 처리가 어려운 경우, 설계 데이터로부터 평면 데이터(B1)를 재구성하여 3D 데이터(B2)로 변환할 수 있다. That is, when it is difficult to process 3D modeling due to technical factors such as resolution of collected images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birds and flying objects, plane data B1 can be reconstructed from design data and converted into 3D data B2. .

변환된 3D 데이터(B2)는 설계 데이터와 매칭을 통해 해당 블록의 적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각 선박에 필요한 블록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변환된 3D 데이터(B2)를 이용하여 어떤 선박의 블록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얼마만큼 블록의 적치 공정이 진행되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The converted 3D data (B2) can grasp the stacking status of the block through matching with the design data. Furthermore, since the blocks required for each ship may be different,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ship's block is used by using the converted 3D data (B2). You can also check how much the block stacking process has progres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적치 위치와 현황을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aging a block placement location and current st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관리 시스템은 비행체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한다(S100). Referring to Figure 5, the management system collects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from the vehicle (S100).

수집된 영상 데이터는 블록과 블록의 주변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블록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주변 환경과 식별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Collected image data may include a block and its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cognize a specific block,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block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may be performed.

블록의 인식은 수집된 영상의 외곽선, 색상 등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은 수집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으로 블록을 인식할 수 있다(S110).Recognition of blocks may be performed by analyzing outlines, colors, and the like of collected images. Therefore, the system can automatically recognize a block by analyzing the collected image data (S110).

단계(S120)에서는, 인식된 블록의 이미지 데이터를 3D 모델링 처리를 하여 3D데이터로 변환한다. In step S120, the image data of the recognized block is converted into 3D data by 3D modeling.

블록의 영상은 설계 데이터의 3D블록도의 하나의 시점에 촬영된 2차원 이미지 일 수 있다. 따라서 평면 데이터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촬영된 블록 이미지와의 매칭을 하기 위하여 3D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3D 데이터는 사전에 저장된 블록의 설계 데이터와 매칭되어 블록 데이터가 생성된다(S130). 생성된 블록 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특정 블록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선박, 공정 진척도등을 파악할 수 있다. The image of the block may be a two-dimensional image taken at one viewpoint of the 3D block diagram of the design data. Accordingly, the planar data is converted into 3D data in order to match the block image taken from the design data. The converted 3D data is matched with previously stored design data of blocks to generate block data (S130). When using the generated block data, a specific block can be recognized, and the corresponding ship and process progress can be grasped.

또한, 관리 시스템은 수집된 위치 데이터를 분석한다(S140). 위치데이터는 비행체가 촬영한 시점의 GPS 및 지자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ystem analyzes the collected location data (S140). The location data may include GPS and geomagnetic data at the time the aircraft is photographed.

분석된 위치 데이터는 지번 데이터와 매칭되어 블록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S150). 지번 데이터는 사전에 지정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해당하는 촬영 시점의 GPS 정보와 매칭되어 블록의 위치가 확인될 수 있다. The analyzed location data may be matched with lot number data to confirm the location of the block (S150). Since the lot number data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designated in advance, the location of the block may be confirmed by matching with GPS information at a corresponding shooting time point.

단계(S160)에서는 생성된 블록 데이터와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결합하여 블록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In step S160, a management system is provided by combining generated block data and block location data to output block placement status data.

따라서, 관리 시스템은 사람의 직접 확인 작업 없이 자동으로 블록을 인식하여, 블록의 상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악된 현황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블록의 적치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ment system can automatically recognize the block without a person's direct confirmation, and grasp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block.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stacking status of blocks in real time using the identified statu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관리 시스템
110. 데이터 수신부
120. 영상 데이터 분석부
130. 설계 데이터 분석부
140. 블록 데이터 생성부
100. Management system
110. Data receiver
120. Image data analysis unit
130. Design data analysis unit
140. Block data generation unit

Claims (8)

조선에 필요한 블록을 관리하는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로부터 상기 블록의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여 3D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데이터 분석부;
상기 3D 데이터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는 설계 데이터 분석부;
상기 설계 데이터 분석부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상세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 데이터 생성부;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블록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위치 데이터 분석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불록 적치 현황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상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블록과 블록 주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블록 이미지를 인식하는 블록 영상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를 3D 모델링 처리를 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 영상 처리부는 상기 설계 데이터 분석부에 저장된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3D 모델링 처리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3D 설계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촬영된 평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
In the block stacking status management system for managing blocks necessary for shipbuilding,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captured from the aircraft;
an image data analyzer for recognizing a block using the image data, performing 3D modeling of the block from the recognized block image, and converting the block into 3D data;
a design data analysis unit matching the 3D data with the previously stored 3D design data of the block;
a block data generation unit generating detailed data of the block based on a matching result of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a location data analysis unit generating location data of a block using the location data and determining a location of the block; and
A block placement status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block placement status data based on outputs of the block data generation unit and the location data analysis unit,
The video data analysis unit,
A block image recognizing unit that identifies a region corresponding to a block by analyzing a block of the collected image data and image data around the block, and recognizes a block image; and
A block image processing unit generating the 3D data by performing 3D modeling on the recognized block image;
The block image processing unit performs 3D modeling processing by referring to the 3D design data of the block stored in the design data analysis unit,
The 3D modeling process is performed using a plurality of frame data of the image data,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craft, and a plane image taken at at least one viewpoint of the 3D design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는 블록의 식별 정보, 공정의 진척 정보,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block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and ship information using the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위치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타임 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야드 상의 지번을 식별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loca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of the image data,
Wherein the location data analysis unit identifies the number on the yard of the block using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 line.
조선에 필요한 블록을 관리하는 블록 적치 현황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비행체로부터 촬영된 영상 데이터 및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블록을 인식하는 단계;
c)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로부터 상기 블록의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여 3D 데이터로 처리하는 단계;
d) 상기 3D 데이터와 사전에 저장된 상기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와 매칭하는 단계;
e) 상기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의 상세 데이터인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f) 상기 위치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지번 데이터와 매칭하여 블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및
g) 상기 블록 데이터와 상기 판단된 블록 위치를 기초하여 블록의 적치 현황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수집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블록과 블록 주변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블록에 해당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블록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블록 이미지를 3D 모델링 처리를 하여 상기 3D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저장된 블록의 3D 설계 데이터를 참조하여 3D 모델링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3D 모델링 처리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복수의 프레임 데이터와 상기 비행체의 이동 방향과, 상기 3D 설계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촬영된 평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방법.
In the block stacking status management method for managing blocks necessary for shipbuilding,
a) receiving image data and location data captured from the aircraft;
b) recognizing a block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c) performing 3D modeling processing of the block from the recognized block image and processing it into 3D data;
d) matching the 3D data with previously stored 3D design data of the block;
e) generating block data that is detailed data of the block based on the matching result;
f) analyzing the location data to generate block location data, and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block by matching with lot number data; and
g) outputting block placement status data based on the block data and the determined block location;
The step b) may include: analyzing a block of the collected image data and image data around the block to identify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block and recognizing a block image; and
Generating the 3D data by subjecting the recognized block image to 3D modeling,
3D modeling process is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e 3D design data of the stored block, and the 3D modeling process is performed by taking a plurality of frame data of the image data, a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viewpoint of the 3D design data Block stacking status management method performed using a flat ima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는 블록의 식별 정보, 공정의 진척 정보, 블록이 사용되는 선박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block data includes at least one of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ocess progress information, and ship information using the block.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타임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타임 라인에 매칭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야드 상의 지번 데이터와 매칭되는 것인 블록 적치 현황 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6,
The location data is provided in the form of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of the image data,
Block placement status management method that is matched with lot number data on the yard of the block using GPS information matched to the timeline.

KR1020200164240A 2020-11-30 2020-11-30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KR1025428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40A KR102542869B1 (en) 2020-11-30 2020-11-30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240A KR102542869B1 (en) 2020-11-30 2020-11-30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79A KR20220075779A (en) 2022-06-08
KR102542869B1 true KR102542869B1 (en) 2023-06-15

Family

ID=8198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240A KR102542869B1 (en) 2020-11-30 2020-11-30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286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678A (en) 2022-10-05 2024-04-12 에이치디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lock mount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973B1 (en) * 2013-05-30 2014-10-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Block Production Progress using Image Process
KR101845796B1 (en) 2017-11-16 2018-04-05 사단법인 한국선급 A virtual reality-based management method combining drone inspection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411A (en) 2008-12-24 2010-07-02 (주)포스텍 A yard management system of heavy weight process
KR20140099406A (en) * 2013-02-01 2014-08-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Block monitoring system using camera image
KR20160032735A (en) * 2014-09-16 2016-03-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Method for manageing block using dr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973B1 (en) * 2013-05-30 2014-10-02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Recognition Method and System for Block Production Progress using Image Process
KR101845796B1 (en) 2017-11-16 2018-04-05 사단법인 한국선급 A virtual reality-based management method combining drone inspectio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779A (en) 202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itzel et al. Mobile 3D mapping with a low-cost UAV system
JP45336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map image by laser measurement
EP1998139B1 (en) Building shape change detecting method, and building shape change detecting system
US20180190014A1 (en) Collaborative multi sensor system for site exploitation
US9299150B2 (en) Recording the location of a point of interest on an object
CN111339347A (en)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on photos
US20200174503A1 (en) Database of drone flight plans for aircraft inspection using relative mapping
Rady et al. A hybrid localization approach for UAV in GPS denied areas
KR102542869B1 (en) Block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the same
US9816786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reference model as terrain information for an imaging device
JP2019196980A (en) Inspection system
WO2018235219A1 (en) Self-location estimation method, self-location estimation device, and self-location estimation program
KR20230082497A (en) Method for real-time inspection of structures using 3d point cloud
Shah et al. Condition assessment of ship structure using robot assisted 3D-reconstruction
Gaspar et al. Model-based filters for 3-D positioning of marine mammals using AHRS-and GPS-equipped UAVs
KR102575000B1 (en) System for ai drone platform using a crack diagnosis of plant
US20220415193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20077951A (en) Collaborative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system and method
Jantos et al. AI-Based Multi-Object Relative State Estimation with Self-Calibration Capabilities
JP2021155179A (en) Photographing system and program for crane
Shao et al. Visual Feedback Control Through Real-Time Movie Frames for Quadcopter with Object Count Function and Pick-and-Place Robot With Orientation Estimator
KR20210057964A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 with photography apparatus
JP2963419B2 (en) Attitude change measuring device for aircraft-mounted photography equipment
JP2021014241A (en) Unmanned aircraft, image photographing system and program
KR102571740B1 (en) Method for work management of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