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877B1 -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 Google Patents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877B1
KR102541877B1 KR1020210157013A KR20210157013A KR102541877B1 KR 102541877 B1 KR102541877 B1 KR 102541877B1 KR 1020210157013 A KR1020210157013 A KR 1020210157013A KR 20210157013 A KR20210157013 A KR 20210157013A KR 102541877 B1 KR102541877 B1 KR 102541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data
unit
ta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71856A (en
Inventor
김지훈
천영수
Original Assignee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filed Critical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Priority to KR1020210157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877B1/en
Publication of KR2023007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8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 유통 및 관리 현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생산관리 서버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업체의 공장 및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에 부착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서버와 상기 생산업체의 창고에서 상기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에 부착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박스의 표면에 상기 RFID 태그를 고속으로 자동 부착하는 태그 부착기와 상기 태그 부착기를 통해 부착된 RFID 태그에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이력 정보를 입력하는 태그 정보 입력기와 상기 태그 정보 입력기를 통해 입력된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입력된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에 따라 불량 여부를 지시하는 마크를 표시하는 불량 태그 선별기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박스를 이송받아 RFID 태그를 각각 리딩하는 박스 리더기 및 상기 박스 리더기로부터 박스태그의 정보와 박스 내에 적재된 종량제 봉투의 태그 정보를 각각 전달받아 트리 구조로 연결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생산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RFID tag data attached to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bag is packaged, installed in a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that manages the overall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volume-rate bag, and a factory and warehouse of a manufacturer of the volume-rate bag. A data collection server that transmits data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a mobile terminal that collects RFID tag data attached to a box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is pack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and conducts an inventory survey, and a surface of the box of the volume-rate envelope A tag attacher that automatically attaches the RFID tag at high speed, a tag information inputter that inputs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into the RFID tag attached through the tag attacher, and reading the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ag information inputter A defective tag sorter that displays a mark indicating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fte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rror in the input information, a box reader that receives the box of the volume-based envelope and reads the RFID tag, and a box from the box reader.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production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tag information and tag information of volume-based envelopes loaded in boxes, connects them in a tree structure, and stores and manages them in a database.

Figure R1020210157013
Figure R1020210157013

Description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 관리시스템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Garbage envelope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m encryption system}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암호 체계화를 통하여 보안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operating and managing a volume-based envelope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that can improve security through systematization of encryption.

쓰레기 배출량 증대로 인해 환경 오염 및 자원 낭비가 심화됨에 따라, 1995년부터 전국적으로 쓰레기를 버리는 양에 따라, 처리 비용을 차등적으로 부과하는 쓰레기 종량제 사업이 실시되었다.As enviro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waste intensified due to increased waste emissions, a volume-based waste rate system was implemented nationwide starting in 1995, which differentiated treatment costs according to the amount of garbage thrown away.

일반적으로, 종량제 봉투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는 구입업체의 발주량 및 생산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재고량에 따라 생산계획을 수립하고, 종량제 봉투를 생산하고 있다.In general, companies that produce volume-rate bags establish a production plan according to the purchaser's order quantity and the manufacturer's inventory, and produce volume-rate bags.

그러나, 종래의 종량제 봉투의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생산량, 재고량 및 출하량의 집계가 담당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생산량, 재고량 및 출하량이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정확한 생산계획을 수립하는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of conventional volume-based bags, as the production volume, inventory volume, and shipment volume are aggregated manually, the production volume, inventory volume, and shipment volume are not properly counted, and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 accurate production plan. there was.

또한, 일반적으로 종량제 봉투의 생산 업체에서는 담당자의 수작업으로 재고 실사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론 재고와 실제 재고가 불일치하여, 재고량을 확실하게 파악할 수 없어 불필요한 생산을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general,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inventory counting is performed manually by a person in charge in volume-based bag manufacturers, and theoretical inventory and actual inventory are inconsistent, so that the inventory amount cannot be accurately identified, resulting in unnecessary production.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RFID는 무선 주파수(RF, Radio Frequency)를 이용하여 물건이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을 식별(ID, IDentification)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술을 말한다.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ethod is used. The RFID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identification (ID, IDentification) of objects such as objects or people using radio frequency (RF). says

상기 RFID는 안테나와 칩으로 구성된 RFID 태그에 정보를 저장하여 적용 대상에 부착한 후, RFID 리더를 통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활용된다.The RFID is used a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through an RFID reader after storing information in an RFID tag composed of an antenna and a chip and attaching it to an application target.

이러한, RFID는 인건비 절감과 관리비용 절감 등을 위해, 유통/물류/운송 분야에서 제품의 이동, 반입, 반출 등의 정보 확인 및 제품의 재고 파악 등을 위해 이용되기도 하며, 직원들의 근태관리 및 출입통제 등의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어, 끝없이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In order to reduce labor costs and management costs, RFID is also used to check information such as movement, import, and export of products in the distribution/logistics/transportation field and to identify product inventory, and to manage time and attendance and access of employees. It is also used as a means of control, etc., and its application range is endlessly expanding.

따라서, 상기와 같은 RFID 기술을 응용하여 종량제 봉투 등과 같은 제품의 제조 및 생산관리에 대한 시스템의 개발이 중용하게 부각되어 오고 있었다.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system for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management of products such as volume-based bags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RFID technology has been highlighted.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8-001587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8-0015879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6-003624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6-0036249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06348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6-0063487

따라서, 본 발명은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와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종량제 봉투의 생산량, 재고량 및 출하량을 정확히 집계하여 생산 및 유통 공정을 매우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의 운영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wo-dimensional barcode attached to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bag is packed and an RFID tag to accurately count the production volume, inventory, and shipment of the volume-rate bag, so th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 can be managed very efficiently. And it aims to be able to provide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volume-based bags through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또한, 종량제 봉투의 제조과정에서부터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종량제 봉투의 생산부터 출고 과정까지의 전 공정을 관리하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의 운영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of volume-rate bags through a 2-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that manages the entire process from the production of volume-rate bags to the shipping process by collecting each data using 2-dimensional barcodes and RFI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volume-rate bags. It aims to be able to provide a system.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 유통 및 관리 현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생산관리 서버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업체의 공장 및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에 부착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서버와 상기 생산업체의 창고에서 상기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에 부착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고 조사를 수행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박스의 표면에 상기 RFID 태그를 고속으로 자동 부착하는 태그 부착기와 상기 태그 부착기를 통해 부착된 RFID 태그에 상기 종량제 봉투의 생산이력 정보를 입력하는 태그 정보 입력기와 상기 태그 정보 입력기를 통해 입력된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입력된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에 따라 불량 여부를 지시하는 마크를 표시하는 불량 태그 선별기와 상기 종량제 봉투의 박스를 이송받아 RFID 태그를 각각 리딩하는 박스 리더기 및 상기 박스 리더기로부터 박스태그의 정보와 박스 내에 적재된 종량제 봉투의 태그 정보를 각각 전달받아 트리 구조로 연결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생산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rate bag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and a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for overall management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volume-rate bag and the above A data collection server that is installed in the factory and warehouse of the produc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collects RFID tag data attached to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is packed,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and the volume-rate envelope in the warehouse of the producer A mobile terminal that collects RFID tag data attached to the packaged box and performs inventory research, a tag attacher that automatically attaches the RFID tag to the surface of the box of the volume-based bag at high speed, and an RFID tag attached through the tag attacher The tag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inputting the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pay-as-you-go bag and the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ag information input device are rea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in the input information, and then a mark indicating whether or not a defect is presen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s created. A box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 by receiving the boxes of the volume-rate envelope, and the box reader for reading the RFID tags respectively, and the box tag information and the tag information of the volume-rate envelope loaded in the box are respectively received from the box reader and connected in a tree structure. The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duction management unit for storing and managing in the database.

또한, 상기 생산관리 서버는 상기 생산업체의 공장에 있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를 통하여 전송받은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생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에서 전송받은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입고 데이터, 출고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의 재고조사부로부터 전송받은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재고 데이터를 비교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고, 관리하는 재고관리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로부터 전송받은 RFID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산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생산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재고관리부로부터 전송받은 입고 데이터, 출고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generates production data from the RFID ta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rver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and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the production data and the RFID ta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RFID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and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that generates inventory data, outgoing data, and inventory data from the terminal, compares inventory data and inventory data received from the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of the terminal, corrects, and manages inventory data and a database unit for storing tag data, storing produc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and storing warehousing data, delivery data, and inven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또한, 상기 RFID 태그는 일련번호, 제작업체, 상기 종량제 봉투의 품번 및 품명, 수량, 단가 및 포장된 상기 종량제 봉투의 총 가격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박스의 고유번호와 제조일자, 제조시간, 제조책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FID tag includes serial number, manufacturer, item number and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quantity, unit price, and total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packed, and includes the box's unique number, manufacturing date, manufacturing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manufacturing.

또한, 상기 생산관리 서버에는 상기 재고관리부에서 생성되는 출고 데이터로부터 유통업체 별로 유통현황을 관리하고 확인하기 위한 유통관리부가 더 구비되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tribution management unit for managing and confirming the distribution status for each distributor from the release data generat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is further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 태그 등을 통해서 각각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종량제 봉투의 제조부터 생산, 출고 과정까지의 공정을 관리하며, 이력 추적을 할수 있어 신뢰성있는 종량제 봉투를 구매할수 있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의 운영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each data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tag, manages the process from manufacturing to production and shipping of the volume-based bag, and traces the history, so that a reliable volume-rate bag can be purchased. It is effective to provide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for volume-based bags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도 1은 종량제 봉투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
도 4는 생산관리 서버의 블록도.
도 5는 인증키를 이용한 데이타 암호화 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데이터 암호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생산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입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출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현황을 실제로 조사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 관리 및 조회 시스템의 구성도.
도 12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 관리 및 조회 방법의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과 진단장치와 모니터링장치와의 관계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진단장치의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1 is a view of a volume-based envelope.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lume-based bag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4 is a block diagram of a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encryption device using an authentication key;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ata encryption proces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aggregating production records of volume-based ba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torage history of volume-based envelo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aggregating shipment history of volume-based envelop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ep of actually examining inventory status and correcting inventor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history tracking management and inquiry system for volume-rate envelopes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1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tracking, managing and querying the history of volume-rate envelopes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 diagnosis device, and a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of a diagnosis device of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device for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도 의미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두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clear in advance that a singular expression also means a plurality of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want to leave

도 1은 종량제 봉투의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생산관리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5는 인증키를 이용한 데이타 암호화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데이터 암호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생산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입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의 출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고 현황을 실제로 조사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 관리 및 조회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2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 관리 및 조회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과 진단장치와 모니터링장치와의 관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진단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Figure 1 is a diagram of a volume-rate system bag,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volume-rate system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igure 4 is a production management Figure 5 is a block diagram of a server, Figure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encryption device using an authentication key, Figure 6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showing a data encryption process, Figure 7 is a volume-based enve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explain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production history, Figure 8 is a view explain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torage history of the volume-based envelo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is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hipment history of volume-based envelopes, and FIG. 10 is a diagram explaining the step of actually examining the stock status and correcting the stock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ystem for tracking and tracking the history of a volume-rate system using a 2-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nd FIG. 12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tracking and managing and querying the history of a volume-rate system using a 2-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nd FIG. 14 is a block diagram of a diagnosis device of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device of an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

도 1은 종량제 봉투(100)인데,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정보(200)가 인쇄된 종량제 봉투(100)를 도시한 것으로, 위조방지역할도 하는 상기 식별정보(200)는 종량제 봉투(100)에 각각 인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식별정보(200)는 2차원 바코드로서 QR코드인 것이다. 1 is a volume-rate envelope 100, which, as shown, shows a volume-rate envelope 100 on which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is print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which also serves as an anti-counterfeiting area, is will be printed on each. 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is a QR code as a two-dimensional barcode.

또한, 상기 식별정보(200)는 쓰레기 회수업체가 종량제 봉투(100)를 회수할 때, 용이하게 식별될수 있도록 종량제 봉투(10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is preferably print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volume-rate bag 100 so that it can be easily identified when the garbage collection company collects the volume-rate bag 100.

도 2를 참조하면,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 유통 및 관리 현황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생산관리 서버(80)와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업체의 공장 및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식별정보(200)인 2차원 바코드가 각각 형성된 종량제 봉투(100)와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생산관리 서버(80)로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서버(10)가 형성된다. 또한, 2차원 바코드는 이와 별도로, 상기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되어 있는 박스(5)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300: 도11 참조)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for overall management of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and the factory and warehouse of the produc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are installed,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 200),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on which the two-dimensional barcode is formed, and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that collects and transmits RFID tag data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are formed. In addition, apart from the two-dimensional barcode, there is also a two-dimensional barcode (300: see FIG. 11) attached to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system bag 100 is packed.

상기 RFID(Radio Frequemcy IDentification)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The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상기 RFID는 기존의 바코드(Barcode)를 읽는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바코드와는 달리 물체에 직접 접촉을 하거나 어떤 조준선을 사용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으며, 태그와 리더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RFID는 바코드에 비해 많은 양의 데이터를 허용한다. The RFID is used in a similar way to reading an existing barcode. However, unlike a barcode, data can be recognized without direct contact with an object or without using any aiming line. Also, multiple pieces of information can be simultaneously recognized or modified, and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even if there is an obstacle between the tag and the reader. RFID allows for large amounts of data compared to barcodes.

그럼에도, 데이터를 읽는 속도 또한 매우 빠르며 데이터의 신뢰도 또한 높으며, RFID 태그의 종류에 따라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며, 물리적인 손상이 없는 한 반영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Nevertheless, the speed of reading data is very fast, the reliability of data is also high,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record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RFID tag, and there are advantages in that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s long as there is no physical damage.

또한, 식별정보(200)인 2차원 바코드는 대표적인 것으로 QR코드를 들수 있으며, QR코드는 기존의 바코드보다 좀 더 많은 정보를 담기 위해 만든 평면 바코드이다. 따라서, 기존의 바코드를 1차원 바코드라 부르고, QR코드는 2차원 바코드라고 하는데, 1차원 바코드가 막대선의 굵기와 수를 이용하여 가로 방향으로만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데 반해 2차원 바코드는 가로와 세로 모두에 정보를 담을 수 있으로,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수용할 수 있다. 박스(5)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300)도 역시 동일한 것이다.In addition, the two-dimensional barcode,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may include a QR code as a representative example, and the QR code is a flat barcode made to contain more information than conventional barcodes. Therefore, existing barcodes are called one-dimensional barcodes, and QR codes are called two-dimensional barcodes. Whereas one-dimensional barcodes can only express inform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using the thickness and number of bar lines, two-dimensional barcodes are By being able to fit information into both columns, it can accommodate much more information. The two-dimensional barcode 300 attached to the box 5 is also the same.

태그 발행기(20)는 상기 생산업체의 공장에 비치되어 종량제 봉투(100)의 박스(5)에 부착할 RFID 태그를 발행하는 것이다. 생산이 완료된 종량제 봉투(100)는 용도 및 용량별로 분리가 되어 미리 설정된 단위의 수량씩 박스(5)의 내부에 수용되어 포장되는 것이다. The tag issuing machine 20 is install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and issues an RFID tag to be attached to the box 5 of the pay-as-you-go bag 100. The production-completed volume-based envelope 100 is separated by use and capacity, and is accommodated and packaged inside the box 5 by a preset unit quantity.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박스(5)의 표면으로 상기 RFID 태그를 고속으로 자동 부착하는 태그 부착기(30)가 형성된다. A tag attacher 30 for automatically attaching the RFID tag at high speed to the surface of the box 5 of the pay-as-you-go bag 100 is formed.

태그 부착기(30)는 컨베이어(미도시) 등을 통해 이송된 박스(5)에 롤 형식으로 공급된 RFID 태그를 고속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태그 부착기(30)는 롤 형식으로 공급된 RFID 태그를 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The tag attaching machine 30 is configured to attach the RFID tag supplied in the form of a roll to the box 5 transported through a conveyor (not shown) at high speed. The tag attacher 30 may attach the RFID tag supplied in the form of a roll using a roller (not shown).

RFID 태그는 일련번호, 제작업체,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품번 및 품명, 수량, 단가 및 포장된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총 가격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박스의 고유번호와 제조일자, 제조시간, 제조책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한다.The RFID tag includes serial number, manufacturer, item number and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quantity, unit price, and data of the total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packed, and the box's unique number and manufacturing date, It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manager.

단말기(40)는 생산업체의 창고에서 상기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에 부착된 2차원 바코드와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고 조사를 수행한다. The terminal 40 collects data of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tag attached to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100 is pack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and performs inventory investigation.

상기 단말기(40)는 스마트폰, 태블 릿 PC, 노트북 등과 같이 2차원바코드와 RFID 태그를 이용한 종량제 봉투의 생산 및 유통의 제(諸)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The terminal 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volume-based envelopes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tag,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laptop, etc. form is preferred.

도 3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40)는 재고조사부(41) 및 재고현황조회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block diagram of FIG. 3 , the terminal 40 includes an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41 and an inventory status inquiry unit 42 .

상기 재고조사부(41)는 생산업체의 창고에 보관 중인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재고 실사 데이터를 생성하고, 후술(後述)할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로부터 재고 실사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inventory check unit 41 generates inventory due diligence data from the RFID tag data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100 is packed, stor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and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to be described later. Inventory inspectio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unit.

재고현황조회부(42)에서는 상기 생산관리 서버(80)의 데이터베이스부(85)로 부터 전송받은 재고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다. The inventory status inquiry unit 42 may inquire inven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base unit 85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in real time.

태그 정보 입력기(50)는 상기 태그 부착기(30)를 통해 부착된 RFID 태그에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이력 정보를 입력하는 것이다. The tag information input unit 50 inputs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bag 100 into the RFID tag attached through the tag attacher 30.

즉, 종량제 봉투(100)가 수용된 박스(5)가 이송되면, 상기 태그 부착기(30)를 통해 부착된 RFID 태그에 고유번호, 수량, 제조일자, 제조시간 및 제조책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산이력 정보를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box 5 containing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is transported, the RFID tag attached through the tag attacher 30 includes at least one of a unique number, quantity, manufacturing dat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manager It is configured to input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불량 태그선별기(60)는 RFID 태그 정보가 입력된 박스(5)가 이송되면, 상기 태그 정보 입력기(50)를 통해 입력된 RFID 태그의 정보를 리딩(reading)하여 입력된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에 따라 불량 여부를 지시하는 마크를 표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만일, RFID 태그가 불량일 경우 상기 불량 태그선별기(60)는 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박스(5)에 소정의 형태로 마킹하게 된다.When the box 5 in which the RFID tag information is input is transferred, the defective tag selector 60 reads the RFID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ag information input unit 50 to check whether there is any abnormality in the input information. It is formed to display a mark indicating whether or not it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iscrimination result after discrimination. If the RFID tag is defective, the defective tag selector 60 marks the box 5 in a predetermined shape so that the defective tag can be visually checked.

이처럼, RFID 태그의 부착과 불량 태그의 선별을 자동화함에 따라 작업의 고속화와 생산성을 향상 및 불량품의 조기 발견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2차원 바코드도 이용하여 이력 추적도 가능한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後述)하기로 한다. In this way, by automating the attachment of RFID tags and sorting of defective tags, it is possible to speed up work, improve productivity, and promote early detection of defective product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ck history by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박스 리더기(70)는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박스(5)를 이송받아 RFID 태그를 각각 리딩한다. 박스(5)를 이송받아 상기 박스(5)에 형성된 2차원 바코드와 RFID 태그를 각각 리딩하고, 리딩된 태그 정보들을 생산관리 서버(80)로 전송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box reader 70 receives the box 5 of the pay-as-you-go envelope 100 and reads each RFID tag. It is configured to receive the box 5, read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tag formed on the box 5, and transmit the read tag information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즉, 생산관리 서버(80)는 상기 박스 리더기(70)로부터 박스(5)의 2차원바코드와 RFID 태그의 정보와 박스(5) 내에 적재된 종량제 봉투(100)의 식별정보(200)를 각각 전달받아 저장, 관리한다. That is,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transmits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tag information of the box 5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200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loaded in the box 5 from the box reader 70, respectively. Receive, store, and manage.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생산관리 서버(80)에 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4,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will be described.

상기 생산관리 서버(80)는 생산업체의 공장에 있는 데이터 수집서버(10)를 통하여 전송받은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생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81)가 형성된다.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generates production data from RFID ta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and a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that manages the production data is formed.

재고관리부(82)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에서 전송받은 2차원바코드 및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입고 데이터, 출고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산업체 창고의 단말기(40)의 재고조사부(41)로부터 전송받은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재고 데이터를 비교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generates warehousing data, shipping data, and inventory data from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and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41 of the terminal 40 of the manufacturer's warehouse. Inventory data is compared with the inventory data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data, and the inventory data is modified and managed.

데이터베이스부(83)에서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RFID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산관리부(81)로부터 전송받은 생산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재고관리부(82)로부터 전송받은 입고 데이터, 출고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The database unit 83 stores RFID tag data receiv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stores production data received from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and stores warehousing data receiv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It is to store issue data and inventory data.

더 나아가, 상기 생산관리 서버(80)에는 상기 재고관리부(82)에서 생성되는 출고 데이터로부터 유통업체 별로 유통현황을 관리하고 확인하기 위한 유통관리부(84)가 구비되어 있다. Furthermore,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is provided with a distribution management unit 84 for managing and checking the distribution status for each distributor from the release data generat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

이외에도, 상기 생산관리 서버(80)는 박스 리더기(70)로부터 박스(5)의 2차원 바코드 정보 및 RFID 태그의 정보를 각각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부(85)에 저장 관리함과 아울러 출고 내역을 관리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receives the two-dimensional barcode information of the box 5 and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from the box reader 70, respectively, stores and manages it in the database unit 85, and manages shipment details do.

부가적으로, 상기 생산관리 서버(80)는 네트워크를 통해 유통업체 등과 연결되고, 상기 유통업체에서 전송된 재고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저장하는 재고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may further include an inventory database (not shown) that is connected to a distributor through a network, receives stock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distributor, and stores it.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2차원 바코드와 RFID를 통한 알고리즘을 구현하여 암호 체계화를 통한 운영관리방식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management method through encryption systemization by implementing an algorith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will be described with accompanying drawings.

전체적인 데이터는 3개의 암호 체계화를 기반으로 이루어져 종량제 봉투(100)의 운영 관리시스템이 실현되는 것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3개의 코드 형태의 암호 체계화(암호화 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The overall data is based on three encryption systemizations to realize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ay-as-you-go envelope 100. Hereinafter, the encryption systemization (encryption key) in the form of the three codes will be described.

첫번째로, 13자리로 이루어진 넘버 키로서, 실제 상기 종량제 봉투(100)에서 나타내는 숫자 키이다. 상기 넘버 키는 발주할 때 만들어진 암호화 키를 난수로 만든 키이고, 나머지는 박스 또는 팩의 포장단위 표시와 넘버링 수치이다. First, as a number key consisting of 13 digits, it is actually a number key indicated in the volume-based system envelope 100. The number key is a key generated by random numbers from an encryption key created at the time of placing an order, and the rest are packaging unit marks and numbering values of boxes or packs.

두번째로, 22자리로 이루어진 알파벳 형태로 이루어진 암호화 키로서, 난수 키로서 랜덤 형태의 알파벳이며, 종량제 봉투의 생산작업시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 키 역할도 하는 것이다. Second, it is an encryption key in the form of an alphabet of 22 digits. It is a random alphabet as a random number key, and also serves as an authentication key to perform authentica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volume-based envelopes.

세번째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입력키로서, 12자리 또는 시, 군, 구에서 운영되는 운영 키가 포함되어 6자리가 더 합쳐진 18자리의 범위로 이루어진 Data키인 구분자 키이다. Thirdly, as an input key entered into the database, it is a delimiter key that is a data key consisting of a range of 18 digits including 12 digits or an operation key operated by a city, county, or district, and an additional 6 digits.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한번 생성된 암호 체계화는 중복될 수 없으므로 한 번의 구분자 키만 유일하게 설계된다. Since encryption systemization once created in the above manner cannot be duplicated, only one delimiter key is uniquely designed.

이러한 상기 3가지의 암호 체계화를 통하여 종량제 봉투(100)의 정품인증, 도용, 복제, 불법 생산을 막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물류와 제한적 운용에 대한 운영 관리를 효율적으로 관리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rough these three kinds of encryption systemization, it is possible to see the effect of preventing genuine authentication, theft, duplication, and illegal production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fficiently manage operational management for logistics and limited operation. .

예를 들어, 첫번째인 상기 숫자 키의 경우, 복제를 하더라도 RFID 암호키는 일정 부분만 복제가 가능하며 전체 물량을 복제할 수 없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number key, even if it is copied, only a certain part of the RFID encryption key can be copied and the entire quantity cannot be copied.

또한, 두번째인 암호화키가 상기 알파벳 키인 경우, 숫자키와 마찬가지로 일정 부분만 복제가 가능하며, 구분자 키는 알아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second encryption key is the alphabet key, only a certain portion can be duplicated like the numeric key, and the separator key cannot be found.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종량제 봉투(100)를 운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숫자키, 상기 알파벳키, 상기 입력키의 유출 가능성을 막기 위해 별도 인증키를 일시적 부여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Furthermore, in order to prevent the possibility of leakage of the number keys, the alphabet keys, and the input keys,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emporarily assigned and manag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두번째 암호화키인 알파벳 키를 통하여 종량제봉투의 생산작업시, 인증키를 부여하는 방식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assigning an authentication key during the production of volume-based envelopes through an alphabetic key, which is a second encryption key,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단말기(40)와, 상기 단말기(40)에서 암호화에 사용하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수신장치(S)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it is composed of a terminal 40 that encrypts and transmits data, and a receiver S that provides an authentication key used for encryption in the terminal 40.

상기 단말기(40)에 암호화에 사용하는 인증키를 제공하는 상기 수신장치(S)가 상기 단말기(40)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접속을 요청할 때, 상기 수신장치(S)는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40)로 제공하는 것이다.When the receiving device (S), which provides the terminal 40 with an authentication key used for encryption, requests access to the terminal 40 to transmit data, the receiving device (S) generates a new authentication key.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4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수신장치(S)는 단말기(40)로부터 접속을 요청받으면(S10), 단말기(40)가 등록되어 인증된 장치인지 여부에 대한 장치 인증을 처리한다(S20). 상기 단말기(40)는 특정 구역내 LAN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 주소인 MAC주소, 장치 일련번호와 같은 고유한 장치 식별정보를 상기 수신장치(S)로 제공함으로써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수신장치(S)는 미리 저장된 가용 단말장치(미도시)에 대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40)를 인증 처리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6 , when the receiving device S receives a connection request from the terminal 40 (S10), the terminal 40 processes device authentication as to whether or not it is a registered and authenticated device (S20). The terminal 40 can request authentication by providing uniqu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MAC address, which is a physical address of Ethernet, which is a network model used in a LAN in a specific area, and a device serial number to the receiving device S, The receiving device (S) authenticates the terminal 40 based on pre-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available terminal devices (not shown).

상기 수신장치(S)는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 인증키를 생성 및 저장하고(S30), 이를 단말기(40)로 제공한다(S40). When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receiving device (S) generates and stores an authentication key (S30) and provides it to the terminal 40 (S40).

일례에 따르면, 수신장치(S)는 단말기(40)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접속을 요청할 때마다, 새로운 인증키를 생성하여 단말기(40)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xample, the receiving device S may generate a new authentication key and provide it to the terminal 40 whenever the terminal 40 requests access to transmit data.

따라서, 매번 인증키가 달라짐으로 인해 새로운 암호키를 이용하게 됨으로써, 더욱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단말기(40)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암호키를 생성하고 마찬가지로, 수신장치(S)도 인증키를 이용하여 복호키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Therefore, since the authentication key is different every time, a new encryption key is used, so that secur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is is because the terminal 40 generates an encryption key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and similarly, the receiving device S also generates a decryption key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40)는 수신된 인증키를 이용하여 수신장치(S)와 미리 약속된 규칙에 따라 암호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암호키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이하, 전송 데이터라 칭함)를 암호화하여(S50) 상기 수신장치(S)로 제공한다(S60).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40 generates an encryption key according to a pre-agreed rule with the receiver S using the received authentication key, and uses the generated encryption key to transmit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ransmission). Data) is encrypted (S50) and provided to the receiving device (S) (S60).

수신장치 수신된 전송 데이터를 복호화하는데, 복호화에 필요한 복호키는 단말기(40)로 전송했던 인증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40)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한다(S70). 즉, 인증키를 이용하여 단말기(40)와 미리 약속된 규칙에 따라 복호키를 생성하는 것이다.To decrypt the transmitted data received by the receiver, a decryption key necessary for decryption is genera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terminal 40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transmitted to the terminal 40 (S70). That is, a decryption key is generated according to a pre-agreed rule with the terminal 40 using the authentication ke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이력을 집계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step of aggregating the production history of the pay-as-you-go bag 100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 이력을 집 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production history of the pay-as-you-go ba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대로, 생산업체(도면부호는 생략)의 공장 내부에 데이터 수집서버(10), 고정형 RFID 리더기(7) 및 안테나(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a data collection server 10, a fixed RFID reader 7, and an antenna (not shown) are installed inside a factory of a manufacturer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종량제 봉투(100)의 포장이 완료된 후, 상기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에 생산업체의 공장에 설치된 고정형 RFID 리더기(7)를 스캔하면,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 데이터는 안테나를 통해 생산업체의 공장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 전송된다.(S101, S102) Referring again to FIG. 7 , after packaging of the volume-rate bag 100 is completed, the fixed RFID reader 7 install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scans the RFID tag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rate bag 100 is packed. Then, the RFID tag data of the box 5 in which the pay-as-you-go bag 100 is packed is transmitted to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through the antenna. (S101, S102)

생산업체의 공장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에 수집된 RFID 태그 데이터는 생산관리 서버(80)의 생산관리부(81)로 전송된다.(S103) The RFID tag data collected in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is transmitted to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S103)

생산관리 서버(80)의 생산관리부(81)에서는 생산업체의 공장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부터 전송된 복수개의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생산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한다.(S104)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generates and manages production data by receiving a plurality of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S104).

상기 S105에서 생성된 생산 데이터는 생산관리부(81)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105)The production data generated in S105 is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to the database unit 85 and stored. (S105)

여기서, 생산관리부(81)에서 생성되는 생산 데이터에는 일련번호, 종량제 봉투의 생산 일자, 종량제 봉투의 품번, 종량제 봉투의 품명, 종량제 봉투의 생산 수량, 종량제 봉투의 단가,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의 RFID 태그 데이터 수신 위치등이 포함되는 것이다. Here, the production data generated by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includes the serial number, the production date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item numb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quantity of volume-rate envelope produced, the unit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and the number of boxes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is packed. It includes the RFID tag data reception location and the like.

종량제 봉투(100)의 재고 현황을 관리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The steps of managing the stock status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are as follow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업체 창고의 입구에 고정형 RFID 리더기(7) 및 안테나가 설치 되어 있고, 생산업체 창고의 출구에도 역시 별개의 고정형 RFID 리더기(7) 및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생산업체의 창고 내부에 데이터 수집서버(10)가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a fixed RFID reader 7 and an antenna ar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manufacturer's warehouse, and a separate fixed RFID reader 7 and antenna are also installed at the exit of the manufacturer's warehouse. In addition, a data collection server 10 is installed inside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종량제 봉투(100)의 입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The step of aggregating the storage history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is as follows.

도 8을 보면, 종량제 봉투(100)의 입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생산업체의 공장에서 생산업체의 창고 입구로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이송이 완료된다.Referring to Figure 8, it is a view explain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torage history of the pay-as-you-go bag 100. The transfer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is packed from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to the entrance of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is completed.

도시된 대로, 생산업체의 창고 입구에 설치된 고정형 RFID 리더기(7)를 이용하여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에 스캔하면,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의 RFID 태그 데이터는 안테나를 통해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 전송된다.(S201, S202) As shown, when scanning the RFID tag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is packed using the fixed RFID reader 7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the RFID tag data of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bag 100 is packed is It is transmitted to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through the antenna (S201, S202).

다음,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에 수집된 RFID 태그 데이터는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로 전송된다.(S203) Next, the RFID tag data collected in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is transmitt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S203).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에서는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부터 전송된 복수개의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입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한다.(S204)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receives a plurality of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generates and manages warehousing data (S204).

생성된 입고 데이터는 재고관리부(82)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205)The generated warehousing data is transmitted and stor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o the database unit 85 (S205).

여기서, 생성되는 입고 데이터에는 일련번호, 종량제 봉투의 입고 일자, 종량제 봉투의 품번, 종량제 봉투의 품명, 종량제 봉투의 입고 수량, 종량제 봉투의 단가 및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의 RFID 태그 데이터 수신 위치 등이 포 함된다.Here, the generated warehousing data includes the serial number, storage date of the volume-rate envelope, item numb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storage quantity of the volume-rate envelope, unit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RFID tag data reception location of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is packed, etc. this is included

이하, 종량제 봉투(100)의 출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hipment history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will be describ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량제 봉투(100)의 출고 이력을 집계하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ep of aggregating the shipment history of the pay-as-you-go bag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를 유통업체로 보내기 위하여, 생산업체의 창고 내부에서 생산업체의 창고 출구로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이송이 완료된다.In order to send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100 is packed to the distributor, the transport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100 is wrapped is completed from the inside of the manufacturer's warehouse to the warehouse exit of the manufacturer.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생산업체의 창고 출구에 설치된 고정형 RFID 리더기(7)를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에 스캔하면,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 데이터는 안테나를 통해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 전송된다.(S301, S302) Referring to FIG. 9, when the fixed RFID reader 7 installed at the warehouse exit of the manufacturer is scanned with the RFID tag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100 is packed, the volume-rate envelope 100 is packed in the box ( The RFID tag data of 5) is transmitted to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through the antenna. (S301, S302)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에서 수집된 RFID 태그 데이터는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로 전송된다.(S303) The RFID tag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is transmitt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S303).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에서는 생산업체의 창고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서버(10)로부터 전송된 복수개의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리한다.(S304)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receives a plurality of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generates and manages shipment data (S304).

상기 S304에서 생성된 출고데이터는 재고관리부(82)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305)The release data generated in S304 is transmitted and stor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o the database unit 85. (S305)

여기서, 생성되는 상기 출고 데이터는 일련번호, 종량제 봉투의 출고일자, 종량제 봉투의 품번, 종량제 봉투의 품명, 종량제 봉투의 출고 수량, 종량제 봉투의 단가 및 출고된 종량제 봉투의 총 금액, 종량제 봉투의 발주처 및 종량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의 RFID 태그 데이터 수신 위치 등이 포함된다.Here, the generated shipping data includes the serial number, the delivery date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item numb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the quantity of volume-rate envelopes shipped, the unit price of volume-rate envelopes and the total amount of volume-rate bags shipped, and the ordering pla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and the RFID tag data receiving position of the box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is packed.

다음으로, 생산업체 창고의 재고를 집계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Next, the step of counting inventory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is as follows.

먼저,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에 저장된 입고 데이터 및 출고 데이터로부터 재고 데이터를 생성한다. First,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generates inventory data from storage data and shipment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85 .

여기서, 생성되는 재고 데이터에는 일련번호, 종량제 봉투의 품번, 종량제 봉투의 품명, 종량제 봉투의 재고 수량, 종량제 봉투의 단가 등이 포함된다.Here, the generated inventory data includes a serial number, a volume-rate envelope item number, a product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a stock quantity of the volume-rate envelope, and a unit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그 이후, 생성된 재고 데이터는 재고관리부(82)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Thereafter, the generated inventory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o the database unit 85 and stored.

생산업체 창고의 재고 현황을 실제로 조사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The steps of actually examining the inventory status of the manufacturer's warehouse and modifying the inventory data are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산업체 창고의 재고 현황을 실제로 조사하여, 재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과정을 단계를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actually examining inventory status of a manufacturer's warehouse and correcting inventory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생산업체의 창고에 보관 중인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에 휴대형 RFID 리더기(7)를 스캔하면,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의 RFID 태그 데이터는 단말기(40)의 재고조사부(41)로 전송된다(S401, S402)Referring to FIG. 10, first, when the portable RFID reader 7 scans the RFID tag of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based bag 100 is packed, which is stored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bag 100 is packed The RFID tag data of (5) is transmitted to the stock investigation unit 41 of the terminal 40 (S401, S402)

재고조사부(41)에서는 휴대형 RFID 리더기(7)로부터 전송된 복수 개의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재고 실사 데이터를 생성한다(S403).The inventory check unit 41 generates inventory counting data from the plurality of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RFID reader 7 (S403).

여기서, 생성되는 재고 실사 데이터에는 일련번호, 종량제 봉투의 품번, 종량제 봉투의 품명, 종량제 봉투의 재고 수량, 종량제 봉투의 단가 및 종량 제 봉투가 포장된 박스의 RFID 태그 데이터 수신 위치 등이 포함된다.Here, the inventory counting data generated includes the serial number, the item number of the volume-based bag, the item name of the volume-rate bag, the inventory quantity of the volume-rate bag, the unit price of the volume-rate bag, and the RFID tag data reception location of the box in which the volume-rate bag is packed.

재고조사부(41)에서 생성된 재고 실사 데이터는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로 전송된다(S405). Inventory due diligence data generated by the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41 is transmitted to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S405).

생산관리 서버(80)의 재고관리부(82)에서는 전송된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입고 데이터 및 출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성된 재고 데이터를 비교한다.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재고 데이터의 재고 수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일치 데이터에 대한 종량제 봉투를 손망실 처리함으로써,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재고 데이터를 일치시켜 수정된 재고 데이터를 생성한다.(S406)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compares the transmitted inventory counting data with inventory data generated based on warehousing data and warehousing data. If the inventory counting data and inventory data do not match, the volume-based envelope for the inconsistent data is treated as a loss, and the inventory counting data and inventory data are matched to create corrected inventory data (S406).

재고관리부(82)에서 수정된 재고 데이터는 다시 상기 재고관리부(82)에서 데이터베이스부(85)로 전송되어 저장된다.(S407)Inventory data correct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is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o the database unit 85 and stored therein (S407).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종량제 봉투의 운영관리시스템의 종량제 봉투 이력 추적관리 및 조회시스템을 이용한 상태 데이터 전송, 획득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atus data transmission and acquisition process using the volume-rate envelope history tracking management and inquiry system of the volume-rate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관리 및 조회시스템은 종량제 봉투들이 수용된 박스(5)에 부착되어 물류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자신의 고유 정보와 상기 데이터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는 코드의 고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RFID 태그와 상기 박스(5)의 물류에 따른 시간의 이력정보를 표시하는 센서 태그(미도시), 상기 센서 태그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저장하는 서버(400) 및 2차원 바코드(300)를 스캔하여 박스(5)의 물류 과정에서 기획득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500)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500)은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가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11, the history tracking management and inquiry system for volume-rate envelopes is attached to a box 5 containing volume-rate envelopes, stores data according to logistics, and provides its own information and a link to the data. An RFID tag that maps and stores unique information, a sensor tag (not shown) that displays time histo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gistics of the box 5, a server 400 that receives and stores data from the sensor tag, and a two-dimensional It includes a user terminal 500 that scans the barcode 300 and receives data specially obtain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box 5 . The user terminal 500 is preferably a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이 때, 2차원 바코드(300)는 QR 코드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500)은 QR 코드 스캔에 따라 RFID 태그가 기획득한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At this time, the 2D barcode 300 is a QR code, and the user terminal 500 receives data obtained by the RFID tag according to the QR code scan.

생산공장(110)에서 포장된 종량제 봉투의 박스(5)에는 상기 센서 태그가 부착되며, 센서 태그는 RFID 태그, 사용자 단말(500)의 스캔에 따라 박스(5)의 물류과정에서 이미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링크를 제공하는 바코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 태그는 생산공장(110)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하고, RFID 태그와 QR 코드인 2차원 바코드(300)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The sensor tag is attached to the box 5 of the volume-based bag packaged in the production plant 110, and the sensor tag is an RFID tag, and data already obtained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the box 5 according to the scan of the user terminal 5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rcode 300 that provides a link to. This sensor tag receiv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plant 110, and maps and stores the RFID tag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300, which is a QR code.

다른 실시예로서, QR 코드인 상기 2차원 바코드(300)는 물류 창고(120)에 종량제 봉투 박스(10)를 보관하는 시점에서 부여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two-dimensional barcode 300, which is a QR code, can also be assigned at the time of storing the volume-based envelope box 10 in the distribution warehouse 120.

QR 코드는 RFID 태그의 고유 정보와 매핑되므로, 부착 시점과 무관하게 매핑된 RFID 태그로 링크하여 RFID 태그에 기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함으로써, 유통정보를 역추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Since the QR code is mapped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t is possible to trace back the distribution information by linking to the mapped RFID tag and calling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RFID tag regardless of the attachment point.

생산공장(110)으로부터 유통된 박스(10)가 물류 창고(120)에 입고 및 출고되는 경우, RFID 태그는 물류 창고(120)에 배치된 RFID 리더기(7)와 통신하고, 서버(400)는 이러한 통신 결과, 상기 RFID 태그로부터 기 저장된 생산공장의 정보, 유통 정보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When the box 10 distributed from the production plant 110 is stored in and out of the warehouse 120, the RFID tag communicates with the RFID reader 7 disposed in the warehouse 120, and the server 400 As a result of this communication, the pre-stored production plant information and distribu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and stored from the RFID tag.

물류창고(120)로부터 소매점(130)으로 상품이 입고된 경우, 사용자 단말(500)은 박스(10)에 부착된 센서 태그의 QR 코드를 스캔하여, RFID 태그 및 서버(400)에 저장된 물류인 종량제 봉투(100)가 수용된 박스(10)의 온도, 입고 및 출고에 관한 유통 정보에 관한 이력 데이터를 전송 받는다.When a product is received from the warehouse 120 to the retail store 130, the user terminal 500 scans the QR code of the sensor tag attached to the box 10, and the RFID tag and the logistics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400 The temperature of the box 10 in which the pay-as-you-go bag 100 is accommodated, and history data related to distribution information related to warehousing and shipping are transmitted.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2차원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종량제봉투의 이력 추적 관리 및 조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for tracking, managing and querying the history of pay-as-you-go envelopes using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태그와 2차원 바코드(300)의 정보를 연계한 종량제 봉투의 이력추적 관리 및 조회 방법은 종량제 봉투가 수용된 박스(5)의 물류에 따른 유통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S100)와,As shown, the method of managing and querying the history of the volume-rate envelope by linking th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nd the two-dimensional barcode 300 includes the steps of acquiring data on the distribution history according to the logistics of the box 5 containing the volume-rate envelope ( S100) and,

RFID 고유 정보 및 획득한 데이터를 저장하되, RFID 고유 정보와 2차원 바코드(300)의 코드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S200) 및 사용자 단말(500)에 의하여 2차원 바코드(300)의 코드 정보가 스캔되는 경우, 획득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Storing the RFID-specific information and acquired data, but mapping and storing the RFID-specific information and the code information of the 2D barcode 300 (S200) and the code information of the 2D barcode 300 by the user terminal 500 When is scanned, providing the acquired data to the user terminal 500 (S300).

S100 단계는 상품의 물류에 따른 온도, 습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으로서, 추가적으로 생산공장(110)의 정보(예: 박스(5)의 출고 시점) 또는 제조정보를 획득한다.Step S100 is to acquire data including temperature, humidity, etc. according to product distribution, and additionally obtains information of the production plant 110 (eg, the time of delivery of the box 5) or manufacturing information.

S200 단계는 2차원 바코드(300)인 QR 코드인 코드 정보와 RFID 태그의 고유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상기 QR 코드는 사용자 단말(500)로 스캔 가능한 2차원 격자무늬 패턴으로서, RFID 태그의 고유 정보와 매핑되어,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하는 링크로서 포함된다. In step S200, code information, which is a 2D barcode 300, which is a QR code, and unique information of an RFID tag are mapped and stored. At this time, the QR code is a two-dimensional plaid pattern scannable by the user terminal 500, and is included as a link that calls data stored in the RFID tag by being mapped with unique information of the RFID tag.

S300 단계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링크 요청 신호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500)을 통하여 QR 코드인 바코드(300)가 스캔되는 경우, 상기 QR 코드는 이와 매핑된 RFID 태그를 호출하여, RFID 태그가 기획득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500)로 제공하는 링크의 역할을 한다. Step S300 provides data using the user terminal 500 that recognizes the QR code and transmits the link request signal. When the barcode 300, which is a QR code, is scanned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the QR code calls an RFID tag mapped thereto, and provides a link for providing data obtained by the RFID tag to the user terminal 500. play a role

즉, 사용자 단말(500)을 이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하고, 스캔한 QR 코드와 매핑된 RFID 태그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QR code is scanned using the user terminal 500 and checked through data stored in the RFID tag mapped with the scanned QR code.

따라서, 2차원 바코드(300)인 QR 코드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자는 RFID 판독기가 없이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500)로 QR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각 유통단계에서 축적된 이력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여, 최종 구매자에게 신뢰성 있는 종량제 봉투의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using the QR code, which is a two-dimensional barcode 300, the final purchaser can check the history information accumulated in each distribution stage by recognizing the QR code with the user terminal 500 in possession without an RFID reader. However, it has an excellent advantage of providing reliable, volume-based bag history information to the final purchas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운영관리시스템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는 진단 및 모니터링을 히는 시스템에 대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system for diagnos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accompanying drawings.

도 13을 보면, 진단 장치(600)는 상술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성능 및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에 대한 감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700)로 송신한다. Referring to FIG. 13 , the diagnosis device 600 monitors the performance and state of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real time, and transmits monitoring information for this to the monitoring device 700 .

즉,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은 상기 진단 장치(600)를 통해 원거리에서 본 발명의 운영관리시스템을 감시 및 진단할 수 있다. That is,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can remotely monitor and diagnose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diagnosis device 600 .

구체적으로,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에 포함된 진단 장치(600)는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의 진단 및 감시를 위해 각종 데이터를 측정하고,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에 대한 이상 여부를 판단하도록 감시정보를 모니터링장치(700)로 전송한다. Specifically, the diagnosis device 600 includ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measures various data for diagnosis and monitoring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s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 is sent to

이때, 예를 들어 인터넷 망, 무선 네트워크, 이더넷(ethernet) 등을 통해 본 운영관리시스템에 대한 감시 정보를 모니터링 장치(700)로 송신할 수 있다.At this time, monitoring information on the present management system may be transmitted to the monitoring device 700 through, for example, an Internet network, a wireless network, Ethernet, and the like.

또한, 운영관리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하면 관리자 알림 장치(800)를 통해 관리자에게 이를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알림 장치(800)는 예를 들어,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구성, SMS 또는 MMS와 같은 메시지 방식, 그리고 스마트폰 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e manager may be notified of this through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 Here,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may provide a notification to the manager in various ways, such a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such as a speaker or a display, a message method such as SMS or MMS, and a smartphone app.

도 14는 진단 장치(600)이다. 상기 진단장치(600)는 시스템에 접지된 접지라인(미도시)의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 센싱부(611), 대지의 접지저항, 대지저항율을 계측하는 저항 센싱부(612), 상용전원의 전압값을 확인하는 전압 센싱부(613), 및 측정된 접지전류, 접지저항, 대지저항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정상값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4 is a diagnostic device 600 . The diagnosis device 600 includes a current sensing unit 611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a ground line (not shown) grounded in the system, a resistance sensing unit 612 for measuring ground resistance and ground resistivity of the ground, and voltage of commercial power. It may include a voltage sensing unit 613 that checks the value, and a monitoring unit M that compares the measured ground current, ground resistance, and ground resistance with reference values to check whether or not they are abnormal.

전류 센싱부(611)는 접지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접지라인으로 흐르는 전류를 계측한다. 상기 전류 센싱부(611)는 상기 접지라인에 연결된 연결단자를 감싸도록 형성된 CT(전류계)를 통해서 mA단위의 미세한 전류인 누설전류와 kA단위의 대전류인 서지전류를 선별하여 계측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 센싱부(611)에 의해서 접지 라인으로 흐르는 전류를 계측하여 접속된 단자함 등의 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current sensing unit 611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and measure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ground line. The current sensing unit 611 selects and measures leakage current, which is a minute current in mA units, and surge current, which is a large current in units of kA, through an ammeter (CT) formed to cover the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By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to the ground line by the current sensing unit 611,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ere is a leakage in the connected terminal box or the like.

저항 센싱부(612)는 대지의 저항을 확인한다. 저항 센싱부(612)는 대지에 설치된 접지전극(미도시)에 측정용 전류를 흘려 보내서, 상기 접지전극 사이의 저항을 계측하는 접지저항 센싱부(615)와, 대지의 대지저항율을 계측하는 대지저항율 센싱부(616)로 이루어진다. 대지저항율은 전극 간격과 측정된 저항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resistance sensing unit 612 checks the resistance of the ground. The resistance sensing unit 612 sends a current for measurement to a grounding electrode (not shown) installed on the ground, the grounding resistance sensing unit 615 measur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grounding electrodes, and the ground measuring the earth resistivity of the ground It consists of a resistivity sensing unit 616. The earth resistivity can be confirmed by the electrode spacing and the measured resistance value.

이러한 저항 센싱부(612)에 의해서 측정된 저항값과 대지저항율의 변화값을 확인하여 대지 특성의 정성적인 값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대지전압 이상 상승 현상에 의한 감전, 누전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sistance value measured by the resistance sensing unit 612 and the change value of the earth resistivity as qualitative values of the earth characteristics, and to prevent electric shock, earth leakage fire, etc. due to abnormal rise in earth voltage. do.

전압 센싱부(613)는 모니터링 장치(700)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상용전원의 전압을 측정한다. 접지라인(미도시)과 전원의 중성선(N:도시는 생략) 간의 전위차를 측정한다. 이러한 전압 센싱부(613)에 의해서 전압의 변동이나 설비의 전위차 상승시 발생할 수 있는 접속된 시스템의 오동작이나 작동정지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voltage sensing unit 613 measures the voltage of commercial power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monitoring device 700 . Measure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nd line (not shown) and the neutral line (N: not shown) of the power supply. This voltage sensing unit 613 can prevent malfunction or shutdown of the connected system, which may occur when voltage fluctuates or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facilities rises.

모니터링부(M)는 측정전원 인가부(621), 센싱값 관리부(622), 센싱값 비교부(623), 경보부(624), 센싱값 표시부(625), 센싱값 통지부(6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monitoring unit (M) includes a measuring power application unit 621, a sensing value management unit 622, a sensing value comparison unit 623, an alarm unit 624, a sensing value display unit 625, and a sensing value notification unit 626. can be configured.

측정전원 인가부(621)는 저항값, 대지저항율을 측정하도록 접지전극(미도시)에 측정용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측정전원 인가부(621)는 모니터링 장치(700)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asurement power supply unit 621 applies power for measurement to a ground electrode (not shown) to measure resistance and earth resistivity.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asuring power applying unit 621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 device 700 .

센싱값 관리부(622)는 전류 센싱부(611) 및 전압 센싱부(613)로부터 측정된 전류, 저항, 대지 저항율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때, 센싱값 관리부(622)는 제공받은 센싱값을 모니터링 장치(700)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nsed value management unit 622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measured current, resistance, and ground resistivity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611 and the voltage sensing unit 613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nsed value manager 622 provides the received sensed value to the monitoring device 700 .

센싱값 비교부(623)는 센싱값 수신부에서 제공받은 센싱값을 기 등록된 전류값, 저항값, 대지저항율의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이상의 비정상값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전류는 미세전류와, 대전류가 각각 기준값을 갖게 된다.The sensing value comparator 623 compares the sensing value provided from the sensing value receiving unit with previously registered reference values of current value, resistance value, and earth resistivity, and checks whether the value is an abnormal valu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At this time, as for the current, a microcurrent and a large current each have a reference value.

경보부(624)는 센싱값 비교부(623)에 의해서 전류, 접지저항, 대지저항율의 측정값이 비정상 값인 것으로 판단되면 비정상 항목과 비정상값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 알림장치(800)로 제공한다.The alarm unit 624 provides information on abnormal items and abnormal values to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values of the current, ground resistance, and earth resistivity are abnormal values by the sensing value comparison unit 623.

센싱값 표시부(625)는 모니터링 장치(700)의 외측면에 위치하며, 센싱값 관리부(622)에서 제공받은 센싱값과 센싱값 비교부(623)에서 확인된 비정상 항목과 비정상값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The sensing value display unit 625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onitoring device 700, and the sensing value provided by the sensing value management unit 622 and the abnormal item and abnormal value confirmed by the sensing value comparison unit 623 can be checked from the outside. indicate so that

센싱값 통지부(626)는 센싱값 관리부(622)에서 수신된 각각의 정보를 관리자 알림장치(800)로 제공한다.The sensing value notification unit 626 provides each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ing value management unit 622 to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

이러한 모니터링부(M)에 의해서 상기 관리자 알림장치(800)는 측정된 전류가 기준치 이상의 전류라고 판단되면 접속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누전 등이 발생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When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current is more than a reference value by the monitoring unit M, it can recognize that a short circuit or the like has occurred in the connected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모니터링 장치(700)의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ing device 700.

도 1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 장치(700)는 인공지능 연산부(710)를 포함한다. 시스템 모니터링 장치(700)는 앞서 서술한 진단장치(6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공지능 연산부(71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이것을 자가 학습하여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을 미리 예측하도록 동작한다. Referring to FIG. 15 , the monitoring device 700 includes an artificial intelligence calculation unit 710 . The system monitoring device 700 receives various data from the diagnosis device 600 described above, generates an abnormal occurrence prediction model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and self-learns this to perform the operation It operates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the management system in advance.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기술은 인간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처리 기술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사용할수록 인식률이 향상되고 사용자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 기술은 기계학습(딥 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 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 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a computer processing technology that realizes human-level intelligence. The more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used, the higher the recognition rate and the more accurate understanding of user preferenc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an be composed of machine learning (deep learning) and element technologies using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n algorithm technology that classifies/learns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by itself, and element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use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ep learning to mimic the functions of the human brain, such as cognition and judgment. It can be composed of technical fields such as understanding, reasoning/prediction, knowledge expression, and motion control.

인공지능 연산부(71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이 내장되어 있어, 전극 판단 값을 누적하여 분석하며, 상기 전극 판단 값에 대한 누적 값을 분석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 예측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 누적값은 전극 판단 값에 대하여 일정한 주기(예를 들어, 1주일 또는 1개월) 단위로 각 파라미터(저항, 전류, 전압값 등)별 측정 데이터를 누적한 값에 대해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이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운영관리시스템 이상발생을 예측하는데 이용되는 값이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has a built-in machine learning algorithm, accumulates and analyzes the electrode judgment values, an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accumulated values for the electrode judgment values, abnormal occurrence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 a predictive model. The accumulated value is compared with the existing data for the accumulated value of measurement data for each parameter (resistance, current, voltage value, etc.) in units of a certain period (eg, 1 week or 1 month) with respect to the electrode determination value. It is a value use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by checking abnormal data outside the normal range.

또한, 인공지능 연산부(710)는 상기 누적 값을 일정한 주기별로 리셋하여 특정 기간에서의 누적 값을 분석하며, 이때, 시스템의 이상 발생 예측 모델은 순환망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누적 값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구조로 생성된다. 인공지능 연산부(710)는 자가 생성된 학습 모델을 학습하여 수집된 전극 판단 값에 대한 데이터 기반으로 본 발명의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을 예측한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resets the accumulated value at regular intervals to analyze the accumulated value in a specific period. It is created as a structure for analysi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learns the self-generated learning model and predicts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data for the collected electrode determination values.

그리고, 인공지능 연산부(710)의 학습 결과, 본 발명의 운영관리시스템에 이상 발생이 예측되는 경우, 시스템 모니터링 장치(700)는 관리자 알림장치(800)로 신호를 전송하여 관리자에게 본 발명의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 가능성을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And, as a result of the learning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when an abnormal occurrence is predicted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monitoring device 700 transmits a signal to the manager notification device 800 to inform the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trolled to notify the possibility of abnormal occurrence of the management system.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술한 실시 예는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5 : 박스 7 : RFID 리더기
10 : 데이터 수집서버 20 : 태그발행기
30 : 태그 부착기 40 : 단말기
41 : 재고조사부 42 : 재고현황조회부
50 : 태그 정보 입력기 60 : 불량 태그 선별기
70 : 박스 리더기 80 : 생산관리 서버
81 : 생산관리부 82 : 재고관리부
83 : 유통관리부 85 : 데이터베이스부
100 : 종량제 봉투 110 : 생산공장
120 : 물류창고 130 : 소매점
200 : 식별정보 300 : 2차원 바코드
400 : 서버 500 : 사용자 단말
600 : 진단장치 700 : 모니터링 장치
800 : 관리자 알림장치 S : 수신장치
5: Box 7: RFID reader
10: data collection server 20: tag issuer
30: tag attacher 40: terminal
41: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42: inventory status inquiry unit
50: tag information input device 60: bad tag selector
70: box reader 80: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1: production management department 82: inventory management department
83: distribution management unit 85: database unit
100: pay-as-you-go bag 110: production plant
120: warehouse 130: retail store
200: identification information 300: two-dimensional barcode
400: server 500: user terminal
600: diagnosis device 700: monitoring device
800: manager notification device S: receiving device

Claims (5)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100)의 운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업체의 공장 및 창고에 설치되어, 상기 종량제 봉투(100)가 포장된 박스(5)에 부착된 RFID 태그 데이터를 수집, 전송하는 데이터 수집서버(10);
상기 생산업체의 공장에 비치되어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박스(5)에 부착할 태그를 발행하는 태그 발행기(20);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박스(5)의 표면에 상기 RFID 태그를 자동 부착시키는 태그 부착기(30);
상기 생산업체의 창고에서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상기 박스(5)에 부착된 상기 RFID 태그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재고 조사를 실행하는 단말기(40);
상기 태그 부착기(30)를 통해 부착된 상기 RFID 태그에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생산 이력 정보를 입력하는 태그 정보 입력기(50);
상기 태그 정보 입력기(50)를 통해 입력된 태그의 정보를 리딩하여 입력된 정보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에 따라 불량 여부를 지시하는 마크를 표시하는 불량 태그 선별기(60);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상기 박스(5)를 이송받아 RFID 태그를 각각 리딩하는 박스 리더기(70); 및
상기 박스 리더기(70)로부터 박스 태그의 정보와 상기 박스(5) 내에 적재된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태그 정보를 각각 전달받아 저장, 관리하는 생산 관리 서버(80)를 포함하며,
상기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는 3개의 코드로 구성되며,
첫번째로, 13자리로 이루어진 넘버 키로서, 실제 상기 종량제 봉투(100)에서 나타내는 숫자 키이이며, 상기 넘버 키는 발주할 때 만들어진 암호화 키를 난수로 만든 키이고, 나머지는 박스 또는 팩의 포장단위 표시와 넘버링 수치이며,
두번째로, 22자리로 이루어진 알파벳 형태로 이루어진 암호화 키로서, 난수 키로서 랜덤 형태의 알파벳이며, 종량제 봉투의 생산작업시 인증을 실행하는 인증키이며,
세번째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는 입력키로서, 12자리 또는 시, 군, 구에서 운영되는 운영 키가 포함되어 6자리가 더 합쳐진 18자리로 이루어진 구분자 키를 포함하고,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운영관리시스템은 진단장치(600)를 구비하고, 상기 진단장치(600)는 시스템에 접지된 접지라인의 전류를 계측하는 전류 센싱부(611), 대지의 접지저항, 대지저항율을 계측하는 저항 센싱부(612), 상용전원의 전압값을 확인하는 전압 센싱부(613) 및 측정된 접지전류, 접지저항, 대지저항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비정상값 여부를 확인하는 모니터링부(M)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M)는 측정전원 인가부(621), 센싱값 관리부(622), 센싱값 비교부(623), 경보부(624), 센싱값 표시부(625), 센싱값 통지부(626)를 포함하며,
측정전원 인가부(621)는 저항값, 대지저항율을 측정하도록 접지전극에 측정용 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측정전원 인가부(621)는 모니터링 장치(700)에 의해서 제어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700)는 상기 진단장치(6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전송받아 인공지능 연산부(710)에서 본 발명에 의한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 예측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이상 발생 예측 모델을 자가 학습하여 상기 운영관리시스템의 이상 발생을 미리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through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A data collection server 10 installed in a factory and warehouse of a manufacturer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to collect and transmit RFID tag data attached to the box 5 in which the volume-rate envelope 100 is packed;
A tag issuing machine (20) that is provided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and issues a tag to be attached to the box (5) of the pay-as-you-go envelope (100);
a tag attacher (30) for automatically attaching the RFID tag to the surface of the box (5) of the pay-as-you-go bag (100);
a terminal 40 that collects data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box 5 of the pay-as-you-go bag 100 in the warehouse of the manufacturer and performs inventory investigation;
a tag information input unit 50 for inputting production history information of the volume-based system envelope 100 into the RFID tag attached through the tag attacher 30;
a defective tag selector 60 that reads the ta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tag information input unit 5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n error in the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a mark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tag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 box reader 70 that receives the box 5 of the pay-as-you-go envelope 100 and reads each RFID tag; and
And a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box tag information and tag information of the pay-as-you-go envelope 100 loaded in the box 5 from the box reader 70, respectively.
The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consists of three codes,
First, it is a number key consisting of 13 digits, which is actually a number key indicated in the volume-based envelope 100, and the number key is a key generated by random numbers from an encryption key created at the time of ordering, and the rest indicate the packaging unit of the box or pack. and is the numbering value,
Second, an encryption key in the form of an alphabet of 22 digits, a random number key and an alphabet in a random form, and an authentication key that performs authentica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volume-based envelopes,
Thirdly, as an input key input to the database, it includes an 18-digit separator key consisting of 12 digits or an operating key operated in a city, county, or district, and an additional 6 digits combined,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pay-as-you-go bag 100 includes a diagnosis device 600, and the diagnosis device 600 includes a current sensing unit 611 for measuring the current of a ground line grounded in the system, ground resistance of the ground, A resistance sensing unit 612 that measures earth resistivity, a voltage sensing unit 613 that checks the voltage value of commercial power, and a monitoring unit that compares the measured ground current, earth resistance, and earth resistance with reference values to check whether or not they are abnormal. (M),
The monitoring unit (M) includes a measuring power application unit 621, a sensing value management unit 622, a sensing value comparison unit 623, an alarm unit 624, a sensing value display unit 625, and a sensing value notification unit 626. contains,
The measuring power applying unit 621 applies power for measurement to the ground electrode to measure the resistance value and earth resistivity, and the measuring power applying unit 621 is controlled by the monitoring device 700,
The monitoring device 700 receives various data from the diagnosis device 600, generates an abnormal occurrence prediction model of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operation unit 710, and self-learns the abnormal occurrence prediction model. A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abnormalities in th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in adv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 서버(80)는
상기 생산업체의 공장에 있는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를 통하여 전송받은 상기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생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생산 데이터를 관리하는 생산관리부(81);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에서 전송받은 상기 RFID 태그 데이터로부터 입고 데이터, 출고 데이터 및 재고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40)의 재고조사부(41)로부터 전송받은 재고 실사 데이터와 재고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재고 데이터를 수정, 관리하는 재고관리부(82);
상기 데이터 수집서버(10)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RFID 태그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생산관리부(81)로부터 전송받은 생산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재고관리부(82)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입고 데이터, 상기 출고 데이터 및 상기 재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바코드 및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a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generating production data from the RFID tag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n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and managing the generated production data;
Inventory data, delivery data, and inventory data are generated from the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and inventory data is compared with inventory data received from the inventory investigation unit 41 of the terminal 40. ,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for modifying and managing the inventory data;
The RFID tag data transmitted from the data collection server 10 is stored, the production data transmitted from the production management unit 81 is stored, and the warehous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he delivery data and A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base unit (83) for storing the inventory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일련번호, 제작업체,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품번 및 품명, 수량, 단가 및 포장된 상기 종량제 봉투(100)의 총 가격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박스의 고유번호와 제조일자, 제조시간, 제조책임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RFID tag includes serial number, manufacturer, item number and item name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quantity, unit price, and data of the total price of the volume-rate envelope 100 packed, and the unique number and manufacturing date of the box , manufacturing time, manufacturing manager, a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업체의 공장 내부에는 고정형 RFID 리더기(7) 및 안테나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pay-as-you-go bag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 two-dimensional bar code and an RFID algorithm encryp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fixed RFID reader (7) and an antenna are further included inside the factory of the manufactur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관리 서버(80)에는 상기 재고관리부(82)에서 생성되는 출고 데이터로부터 유통업체 별로 유통현황을 관리하고 확인하기 위한 유통관리부(84)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원 바코드 및 RFID 알고리즘 암호화 체계를 통한 종량제 봉투 운영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2,
The production management server 80 further includes a distribution management unit 84 for managing and checking the distribution status for each distributor from the release data generat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unit 82. Two-dimensional barcode and RFID, characterized in that Volume-based envelope oper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algorithm encryption system.
KR1020210157013A 2021-11-15 2021-11-15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KR1025418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13A KR102541877B1 (en) 2021-11-15 2021-11-15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013A KR102541877B1 (en) 2021-11-15 2021-11-15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56A KR20230071856A (en) 2023-05-24
KR102541877B1 true KR102541877B1 (en) 2023-06-14

Family

ID=8654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013A KR102541877B1 (en) 2021-11-15 2021-11-15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87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698B1 (en) * 2016-11-08 2017-08-03 임성민 Method for protecting a fake standard garbage bag and system for selling a standard garbage bag
KR102151395B1 (en) * 2020-02-04 2020-09-03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The method system f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yment of a garbage envelop using RFID ta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645B1 (en) 2004-12-07 2008-02-29 민병훈 System and its method for managing farming procedure of clean agricultural products to guarantee its safety
KR20090044862A (en) * 2007-11-01 2009-05-07 박태준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input and output of items using barcode and rfid tag
KR101175188B1 (en) * 2008-12-22 2012-08-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of Authenticating RFID Tag for Reducing Load of Server and RFID Reader using the same
KR101276495B1 (en) * 2009-03-02 2013-06-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managing medicine by using rfid
KR101104783B1 (en) * 2009-09-01 2012-01-12 용인송담대학 산학협력단 System for issuing RFID tag
KR101192233B1 (en) * 2010-03-23 2012-10-17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Integrated system of rfid-barcode and method therefor
KR101629376B1 (en) 2014-09-25 2016-06-13 실리콘 디스플레이 (주) Plane type image sensor
KR101852507B1 (en) 2016-08-04 2018-04-26 (주)오성프라스틱 Managing method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goods using the rf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698B1 (en) * 2016-11-08 2017-08-03 임성민 Method for protecting a fake standard garbage bag and system for selling a standard garbage bag
KR102151395B1 (en) * 2020-02-04 2020-09-03 사단법인 한국장애인자립협회 The method system for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yment of a garbage envelop using RFID t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56A (en) 202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704B2 (en) Multiple-factor verification for vision-based systems
US9035766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gas detector information and status via RFID tags
CA2852480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primary and secondary data associated with shipping containers
US72876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based automated product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US8121909B2 (en) Activity inference and reactive feedback
CN107636702A (en) Integrated form Asset Integrity Management System
CN106030630B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items
KR20170038879A (en) System for detecting a stock of objects to be monitored in an installation
CN103258359A (en) Systems for transporting product using environmental sensor
CN104361434A (en) Consumable materi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cigarette rolling machines
JP2009545796A (en) Brand protection management system
Haroon et al. Internet of things platform for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of food supply chain
CN110324306A (en) Vessel safety system
CN112862125A (en) Coal preparation plant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230019729A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Physically Authenticated Digital Tracking and Association for Objects and Products
CN103971221A (en) RFID intelligent warehousing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mplex event processing
KR102541877B1 (en) Garbage envelop run management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lgorithem encryption system
US78139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uplicate shipment detection
CN115208053A (en) Abnormity warning method, abnormity warning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495346B1 (en) Garbage envelop logistic management system using two -dimens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2403185B1 (en) Garbage envelop take away and verification system using 2-dimentional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N115719236A (en) Electric power system industry internet trade mark analytic system
KR102495349B1 (en) Garbage envelop payment management system using cryptocurrency based block-chain
KR102473843B1 (en) Garbage envelop application system using 2-dimentiona barcode an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ncryption system
Sharma et al. Internet of Things: the new Rx for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