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616B1 -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616B1
KR102541616B1 KR1020220175452A KR20220175452A KR102541616B1 KR 102541616 B1 KR102541616 B1 KR 102541616B1 KR 1020220175452 A KR1020220175452 A KR 1020220175452A KR 20220175452 A KR20220175452 A KR 20220175452A KR 102541616 B1 KR102541616 B1 KR 102541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handle
wheel
wheel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4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철
Original Assignee
김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철 filed Critical 김광철
Priority to KR1020220175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6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6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rectangular shape, involving sidewalls or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62B5/0036Arrangements of motors
    • B62B5/0043One motor drives on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1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dead man's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10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wheel axles to increase s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이 구비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하단 배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메인바퀴; 상기 지지부의 하단 정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보조바퀴; 한 쌍의 메인바퀴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보조바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 조향을 위한 핸들; 및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 메인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rovided with a top plate on which cargo is loaded; Main wheels consisting of a pair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 pair of auxiliary wheels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main whee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handle for steering;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ain wheel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echnical feature.

Description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본 발명은 고랑과 두둑이 형성되는 텃밭에서 이동이 용이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that can be easily moved in a vegetable garden where furrows and ridges are formed.

더욱 상세하게는,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맞추어 바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서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하고, 모터가 바퀴축에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garden, it is easy to move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in any place, and the motor is provided separately on the wheel axis, so that the steering rotates in 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work machine in which the turning radius is as narrow as possible and easily performed.

일반적으로 대차 운반차는 상업용, 농업용, 공업용 등 농지나 공사 현장에서 다양한 화물을 쉽고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농자재 등 화물을 적재할 수 있으며, 밭을 갈 수 있는 고리 등 다양한 농기구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bogie carriers enable easy and convenient transportation of various cargoes in farmland or construction sites such as commercial, agricultural, and industrial use. is configured so that

이중에서도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운반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개발되고 있다.Among them,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for moving a transport vehicle by using the power of a motor is being developed.

상기와 같은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바퀴를 구동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운반차의 운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무거운 농자재와 같은 화물의 운반이 용이하며, 갈고리와 같은 농기구를 연결하여 농사에도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s described above drives the wheels using the power of the motor, so that the operato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truck, and furthermore, it is easy to transport cargo such as heavy agricultural materials, and farming tools such as hooks It is configured to provide a lot of help to farming by connecting

한편, 텃밭과 같은 장소는 밭을 갈아 골을 내면서 흙을 쌓아 만든 두둑을 형성하고, 두둑과 두둑 사이에 길고 좁게 들어간 형태의 고랑을 형성하되, 두둑과 고랑으로 이루어진 이랑을 여러 개 형성하여 농사가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places such as kitchen gardens, plowing the field and plowing the soil to form a ridge, forming a long and narrow furrow between the ridges, forming several ridges consisting of the ridges and furrows, farming is done. .

그러나 종래의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운반차의 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지만, 텃밭마다 두둑의 크기, 고랑과 고랑 사이의 간격이 서로 달라 어떠한 장소에서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한 반면, 다른 어떠한 장소, 즉, 상대적으로 두둑의 크기가 조금만 커지더라도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uses the power of the motor to make the truck run smoothly, but the size of the ridg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urrows are different for each garden, so in some places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s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machine in any other place, that is, even if the size of the ridge is relatively large.

이에, 종래의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공간 활용에 제약이 있어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the conventional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has a problem in that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limitations in space utilizati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1918호(2010.03.25.)Publication No. 10-2010-0031918 (2010.03.25.)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맞추어 바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두둑의 크기나 고랑과 고랑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어떠한 장소에서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width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garden, so that the size of the ridg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urrows is differ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capable of operating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n any place even if it is lost.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모터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축에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n which motors are separately provided on a pair of wheel shafts provided on both sides, so that the turning radius is narrow enough to allow steering to rotate in place and is easily performed. i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상판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판 이외에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농자재나 농기구 또는 배터리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op plate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so that cargo can be easily load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p plate, so that various agricultural materials, agricultural tools, or batteries can be easily accommodated. It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that allows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이 구비된 지지부; 지지부의 하단 배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메인바퀴; 지지부의 하단 정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보조바퀴; 한 쌍의 메인바퀴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보조바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 조향을 위한 핸들; 및 핸들의 조작에 의해 메인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provided with a top plate on which cargo is loaded; Main wheels consisting of a pair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 pair of auxiliary wheels on the lower front side of the support;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main wheel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handle for steering; And a control unit for driving the main wheel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to solve the technical problem by providing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은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맞추어 바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두둑의 크기나 고랑과 고랑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어떠한 장소에서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width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garden,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ridg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urrows changes, the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has a remarkable effect of being able to operate at any place. .

또한, 본 발명은 모터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축에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turning radius is narrow enough to allow the steering to rotate in place and to be made easily by being separately provided on a pair of wheel axl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otor.

또한, 본 발명은 상판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판 이외에 다수의 수납부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농자재나 농기구 또는 배터리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top plate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so that cargoes can be easily load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p plate, so that various agricultural materials, agricultural tools, or batteries can be easily accommodated. are do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 및 보조바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에 구비된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에 구비된 구동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핸들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수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수납부가 탈부착 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커넥터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main wheel and the auxiliary wheel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e unit provided on a main wheel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ive unit provided on the main wheel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in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handle in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orage unit is attached or detached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or is provided in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person who has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mmon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us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n order to explai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concept of the term can be properly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and example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Hereinafter, prior to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matters that are not necessary to reveal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known configurations that can be added obvious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not shown or described in detail. make it clear that it is not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First, before describ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rientation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shown in the drawings (eg, "front", "back", "left") , "right", "top", "bottom", "top", "bottom", "transverse", "longitudinal", "front", "rear", "one side", "the other side", "inside" and " Terms such as "outside") do not simply indicate or mean that they must have a specific direc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is direction is made clear to facilitate description between compon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맞추어 바퀴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서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이동이 수월하도록 하고, 모터가 바퀴축에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width of the whe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garden, so that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er can be easily moved in any place, and the motor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wheel axis, thereby stee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having a narrow turning radius and easily capable of rotating in place.

여기에서, 두둑은 밭을 갈아 골을 내면서 흙을 쌓아 만든 장소를 의미하며, 고랑은 두둑과 두둑 사이에 길고 좁게 들어간 곳을 의미하고, 이랑은 고랑 1개와 두둑 1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ridge means a place made by plowing the field and piling up the soil, and the furrow means a long and narrow place between the ridges, and the ridge means that it includes one furrow and one furrow.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work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고랑과 두둑으로 이루어진 이랑이 형성된 텃밭에서의 운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부(100), 메인바퀴(200), 보조바퀴(300), 구동부(400), 핸들(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operation in a vegetable garden in which furrows formed of furrows and ridges are formed. 500 and a control unit 600.

지지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기초 구조물로, 상측에는 다양한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110)이 구비되며, 하단에는 운행을 위한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로 구성된다.The support part 100 is a basic structure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pper side is provided with a top plate 110 on which various cargoes are loaded, and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main wheels 200 for operation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It consists of an auxiliary wheel (300).

이러한 지지부(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각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upport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fram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ollow square tubes or pipes.

나아가, 지지부(100)는 목재, 금속, 비철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기초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10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such as wood, metal, nonferrous metal, or plastic, but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strength as a structure for forming a basic structure of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이때, 내부가 비어있는 각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지부(10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더라도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the frame is formed of a combination of hollow square tubes or pipes, the weight of the support part 100 can be minimized even if it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상판(110)은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진 지지부(100) 상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화물이 적재되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op plate 110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in the form of a frame to load various cargoes. there is.

이때, 상판(110)은 소정의 강도를 가지며, 무게가 가벼운 폴리머나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110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and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such as a light polymer or plastic.

설계조건에 따라, 상판(110)은 상단면 일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e top plate 11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top surface is dug downward.

바람직하게는, 상판(110)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이 하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판(110) 상측에 적재된 화물이 걸림턱에 의해 이탈 및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a locking jaw protruding upwar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top plate 110 is formed, and the middle part is formed in a form dug downward, so that the cargo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op plate 110 is held by the locking jaw. By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and falling.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 및 보조바퀴를 나타낸 저면도이다.Figure 2 is a front view of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main wheel and auxiliary wheels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메인바퀴(200)와 보조바퀴(300)는 지지부(100)의 하단에 배면측과 정면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main wheel 200 and the auxiliary wheel 300 are provided on the back side and the front side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100, respectively, and each constitutes a pair.

즉 한 쌍의 메인바퀴(200)과 한 쌍의 보조바퀴(300)에 의해 총 4개의 바퀴(450)가 지지부(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a total of four wheels 45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part 100 by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텃반에서 형성되는 언덕 형태의 두둑을 지나 용이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에 바퀴(45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이 단절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wheels 450 between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so that it can be easily driven past the hill-shaped ridge formed in the kitchen ta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axis for the rotation of the disconnected form.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는 독립된 별도의 바퀴축(440);이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에는 각각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If this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have independent separate wheel axles 440; by being provided, a pair of main wheels 200 Spa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orme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이에,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두둑과 같은 장애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an obstacle such as a ridge can pass through a space formed between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space formed between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

즉 상측으로 솟은 언덕 형태의 두둑을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각각은 두둑 양측에 형성된 고랑에 지지되고, 한 쌍의 베인바퀴(200) 사이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로는 두둑이 지나갈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두둑이 형성된 텃반에서도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in the course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er passing through the hill-shaped ridge rising upward, each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is supported in the furrow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idge, and a pair of vane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wheels 200 an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so that the ribs can pass, so that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can be easily operated even on the kitchen table with the ridges.

이때,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각각은 후술되는 구동부(400)에 의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distance between them is adjusted by a driv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이는,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따라 바퀴(45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두둑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This has the feature of enab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even if the size of the ridge increases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wheels 4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garden.

이러한 구성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에 구비된 구동부를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메인바퀴에 구비된 구동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정면측 단면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unit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rive unit provided on a main wheel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main wheel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동부(400)는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이드부(410), 슬라이드바(420), 연장부(430), 바퀴축(440) 및 바퀴(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e unit 400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the guide unit 410, the slide bar 420, the extension It is composed of a part 430, a wheel axle 440 and a wheel 450.

이때, 메인바퀴(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60)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40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460 as shown in FIG.

즉 구동부(400)는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로 구성되어 총 4개의 바퀴(450)가 지지부(100) 하단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바퀴(450)를 포함하여 4개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drive unit 400 is composed of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and includes each wheel 450 so that a total of four wheels 450 ar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unit 100. It can be composed of four.

가이드부(410)는 지지부(100) 하단의 정면측과 배면측에 각각 양측으로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guide part 41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and is formed to have a long axis length on the left and right sides.

이러한 가이드부(410)는 내측 공간이 비어있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후술되는 슬라이드바(420)가 상기 내측 공간으로 끼워지도록 구성된다.The guide part 4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pe with an empty inner space so that a slide bar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이때, 도 5 및 도 6에서는 지지부(100)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10)를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도시하였으나, 양측이 개구되어 지지부(100)의 좌,우측단에 각각 개구된 공간이 노출되도록 일체형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FIGS. 5 and 6, the guide parts 4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part 100 are shown as a pai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both sides are open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upport part 100 are each opened in space.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n integral pipe so as to be exposed.

슬라이드바(420)는 가이드부(410)의 내측 공간으로 끼워져,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The slide bar 4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part 410 and is configured to slide along the guide part 410 .

이때, 가이드부(410)의 내측 공간에 끼워진 슬라이드바(420)를 고정사키기 위한 고정부재(412)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ing member 412 for fixing the slide bar 420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part 410 may be provided.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부(410)는 슬라이드바(420)가 끼워지는 내측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411)에 체결되어 가이드부(410)에 끼워진 슬라이드바(4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고정부재(412)가 구비될 수 있다.5 and 6, the guide part 410 has a through hole 41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the inner space into which the slide bar 420 is inserted, and the through hole 411 A fixing member 412 may be provided to pres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 bar 420 that is fastened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410 .

바람직하게는, 관통공(411)과 고정부재(412)는 나사산 결합에 의해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관통공(411)에 고정부재(412)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부(410)에 끼워진 슬라이드바(420)의 외주면을 고정부재(412)의 끝단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가이드부(410)로부터 슬라이드바(420)가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Preferably, the through-hole 411 and the fixing member 412 may be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threaded coupling. Accordingly, when the through-hole 411 rotates the fixing member 412, the guide part 410 By press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ed slide bar 420 with the end of the fixing member 412, the slide bar 42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from the guide part 410.

설계조건에 따라, 가이드부(410) 및 슬라이드바(420)는 삼각, 사각, 오각 또는 육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e guide part 410 and the slide bar 420 may be formed to have triangular, square, pentagonal or hexagonal cross sections.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410) 및 슬라이드바(420)의 단면 각각은 육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 cross sections of the guide part 410 and the slide bar 420 may each have a hexagonal shape.

이에, 가이드부(410)의 내측 공간으로 슬라이드바(420)가 끼워지면, 가이드부(410)로부터 슬라이드바(420)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나아가, 고정부재(412)가 슬라이드바(420)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육각 단면을 갖는 슬라이드바(420)의 면에 고정부재(412)가 수직인 형태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가압하는 힘이 고르게 전달되어 슬라이드바(420) 일부분이 구부러지거나 휨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slide bar 4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guide part 410, the flow of the slide bar 420 from the guide part 410 is minimized, and furthermore, the fixing member 412 moves the slide bar 420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fixing member 412 presses the surface of the slide bar 420 having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a vertical form,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evenly transmitted, so that a part of the slide bar 420 is bent or bent. deform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가이드부(410) 및 슬라이드바(420)는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unit 410 and the slide bar 42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술되는 하나의 연장부(430)에 격자 형태로 연결된 슬라이드바(42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바(420) 각각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부(41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If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slide bars 420 connected in a lattice form to one extension part 430 to be described later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as a pair, and each of the pair of slide bars 420 is fitted The guide parts 410 may be configur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slidably moved.

이는, 한 쌍의 가이드부(410) 각각에 한 쌍의 슬라이드바(420)가 좌,우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끼워짐에 따라, 가이드부(410)로부터 슬라이드바(420)가 편심되어 회동되거나 또는 결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is is because, as the pair of slide bars 420 are fitted to each of the pair of guide parts 410 so as to slide left and right, the slide bar 420 is eccentrically rotated from the guide part 410, or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which the bonding force is lowered.

이때, 가이드부(410)로부터 슬라이드바(4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관통공(411) 및 고정부재(412)는 한 쌍의 가이드부(410) 중 선택된 하나의 가이드부(410)에 구비되거나 또는 한 쌍의 가이드부(410)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hrough hole 411 and the fixing member 412 for fixing the slide bar 420 from the guide part 410 are provided in one guide part 410 selected from a pair of guide parts 410, or It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guide parts 410 .

연장부(43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이드바(420)의 끝단에 격자 형태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4, the extension part 43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lide bar 420 in a lattice form.

상세하게는, 지지부(100) 하측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바(420)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연장부(430) 하측에는 바퀴축(44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바퀴(450)가 구비된다.In detail, it is formed in a form extending downward from the slide bar 420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extension part 430 is provided with a wheel 450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440 and rotated. do.

이에, 좌,우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바(420) 및 상기 슬라이드바(420)가 끼워지는 가이드부(410)로부터 바퀴(450)가 연결된 바퀴축(440)은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나아가, 양측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는 각각 독립된 바퀴축(440)을 가지기 때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로 두둑과 같은 장애물 등이 통과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다.Accordingly, the slide bar 420 that slides left and right and the wheel shaft 440 to which the wheel 450 is connected from the guide part 410 into which the slide bar 420 is inserted are formed at a position spaced downward, Furthermore, since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provided on both si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ave independent wheel shafts 440,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main wheels A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200 an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so that an obstacle such as a ridge can pass through.

이때, 연장부(430)는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바퀴(450)가 가이드부(410) 또는 슬라이드바(420)에 간섭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part 430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so that it is formed long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wheel 45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guide part 410 or the slide bar 420.

한편, 첨부된 도면에는 연장부(430)가 하나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슬라이드바(420)로부터 격자 형태로 연결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가이드부(410)와 슬라이드바(420)의 구성과 동일하게,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extension part 4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onnected in a grid form from the slide bar 420,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 the guide part 410 and the slide bar 420 Of course, it can be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up and down, in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figuration of.

이에, 두둑의 높이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지지부(100)의 바닥면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두둑의 높이가 높더라도 지지부(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0 can be adjusted from the grou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idg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support part 100 even if the height of the ridge is high.

나아가, 연장부(430)가 상,하측 높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경우, 한 쌍의 메인바퀴(200) 및 한 쌍의 보조바퀴(300) 각각에 구비된 연장부(430)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기 위해서 높이를 체크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extension part 430 is configur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heights, the height of the extension part 430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In order to adjust the same, a separate means for checking the height may be provided.

예를 들어, 연장부(430)가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 조절된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수치 또는 서로 다른 색 등이 프린트되어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extension part 430 has a structure that slides upward and downward, it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by printing numbers or different colors to display the adjusted height.

바퀴축(440)은 연장부(430)에 구비되어 바퀴(4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다.The wheel shaft 440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part 430 so that the wheel 450 is rotatably connected.

바퀴(450)는 바퀴축(440)에 연결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것으로,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각각에 구비되어 지지부(100) 하단에 총 4개의 바퀴(450)가 구비되도록 한다.The wheel 450 is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440 to perform a rolling motion, and is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so that a total of four wheels ar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part 100. 450 is provided.

이때, 한 쌍의 메인바퀴(2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450)는 바퀴축(440)에 모터(460)가 각각 연결되어 모터(460) 동작에 따라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보조바퀴(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바퀴(450)는 자유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pair of wheels 450 provided o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re configured so that the motor 460 is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440 and driv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tor 460, A pair of wheels 450 provided o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are configured in a state capable of free rotation.

설계조건에 따라, 한 쌍의 메인바퀴(2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모터(46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 battery for transmitting power to each motor 460 provided o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배터리가 구비될 수 있다.Preferably, a rechargeable portable battery may be provided.

다른 실시예로는, 유류에 의해 모터(46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엔진이 구비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separate engin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460 by oil may be provid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핸들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le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ndle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control unit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the configuration diagram shown.

핸들(500)은 지지부(100)의 배면측에 연결되어 메인바퀴(200)에 구비된 모터(460)를 동작시켜 메인바퀴(200)의 바퀴(450)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조향을 위한 좌측조작핸들(500) 및 우측조작핸들(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andle 500 is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100 to operate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main wheel 200 so that the wheel 450 of the main wheel 200 is driven, and the left side for steer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anipulation handle 500 and a right manipulation handle 500.

이러한 핸들(500)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프레임이 지지부(100) 배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배면측으로 갈수록 좌측조작핸들(500)이 구비된 프레임과 우측조작핸들(500)이 구비된 프레임의 간격이 점점 멀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지지부(100)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서 있는 상태에서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handle 5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air of frames extending towar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frame provided with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side toward the rear side. The interval between the frames provided with the manipulation handle 500 is gradually increased, and the support part 10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top, and the left manipul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manipulation handle 500 are formed while the user is standing. ) can be configured to be easily gripped.

이때, 핸들(500)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한 쌍의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구성되되, 지지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handle 5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a pair of frames may be formed integrally, bu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from the support part 100 .

이는, 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조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지지부(100)의 조향, 즉 방향 전환이 먼저 이루어지고, 핸들(500)이 뒤 이어 따라 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핸들(500)의 배면측에 위치한 사용자가 지지부(100)의 방향 전환이 얼마만큼 이루어졌는지 직관적으로 확인이 가능함으로써, 지지부(100)의 방향 전환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is is because the steering of the support 100, that is, the change of direction, is performed first in the process of steering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by the manipulation of the handle 500, and the handle 500 follows the handle ( 500), the user located on the rear side can intuitively check how much the direction change of the support part 100 has been made, so that the degree of direction change of the support part 100 can be easily adjusted.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평행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핸들(500)을 구성하는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되, 선단부는 메인바퀴(200)의 구동을 위한 한 쌍의 모터(460) 각각에 연결되어 바퀴(450)에 동력 전달을 위한 와이어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re preferably provided parallel to each other at corresponding positions, and are hingedly coupled to a pair of frames constituting the handle 500 to be rotatable, respectively, but the front end is the main 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a pair of motors 460 for driving the wheels 200 and composed of wire cables for power transmission to the wheels 450.

이러한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은 한 쌍의 메인바퀴(200) 각각에 구비된 모터(46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된다.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re configured to drive a motor 460 provided on each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

이에,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은 각각 조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에 의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우측에 구비된 모터(460)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좌측에 구비된 모터(46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re each operable, so that the user selects to operate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or It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나아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은 사용자가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 각각을 회동 시켜 모터(46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이 회동되는 정도에 따라 모터(460)의 구동력이 결정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allow the user to rotate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respectively, so that the motor 460 operates. At this tim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6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egree of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handles 500 and 500 .

즉 좌측조작핸들(500)이나 우측조작핸들(500)의 회동 정도가 좁은 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모터(460)의 구동력이 약하게 이루어져 바퀴(450)는 적은 속도로 구동되고, 다른 예로, 좌측조작핸들(500)이나 우측조작핸들(500)의 회동 정도가 큰 각을 이루도록 회동되면, 모터(460)의 구동력이 강하게 이루어져 바퀴(450)는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or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is rotated to form a narrow angl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60 is made weak so that the wheel 450 is driven at a small speed. When the rotation degree of the handle 500 or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is rotated to form a large angle,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460 is strong so that the wheel 450 can be configured to be driven at a relatively high speed.

이는,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의 회동 정도에 따라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방향이 전환되는 속도 또는 운행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direc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is changed or the speed at which it ru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manipulation handles 500 and 500 .

제어부(600)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 즉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향모듈(610) 및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unit 600 perform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at is,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steering module 610 and an electronic brake module 620. It consists of

이러한 제어부(600)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별도의 제어함(도면에 미표시)이 구비되고, 그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함은 후술되는 수납부(700)에 구비되거나 또는 지지부(100)나 핸들(500)에 부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6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ntrol box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rol box, and the control box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part 700 to be described later or the support part 100 ) or attached to the handle 500.

즉 제어부(600)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디에든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control unit 600 refers to a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be configured anywhere, of course.

조향모듈(610)은 핸들(500)에 구비된 좌측조작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우측에 구비된 메인바퀴(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460)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우측조작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좌측에 구비된 메인바퀴(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460)를 동작시키거나 또는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이 동식에 조작되는 경우, 한 쌍의 모터(460)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teering module 610 operates a motor 46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by manipulation of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provided on the handle 500. By operating or operating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the motor 46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is operated or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is operated. )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re operated in the same way, a function of simultaneously operating a pair of motors 460 is performed.

즉 조향모듈(610)은 좌측조작핸들(500)을 조작하면, 우측에 구비된 모터(460)를 동작시켜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우측에 구비된 바퀴(45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100)는 우측 바퀴(450)의 구동에 의해 좌회전을 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steering module 610 operates the left steering wheel 500,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right side is operated so that the wheel 45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is driven. The support part 100 rotates left by driving the right wheel 450 .

반대로, 우측조작핸들(500)을 조작하면, 좌측에 구비된 모터(460)를 동작시켜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좌측에 구비된 바퀴(45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100)는 좌측 바퀴(450)의 구동에 의해 우회전을 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right handle 500 is operated,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left is operated so that the wheel 45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is driven, so that the support 100 Right turn is made by driving the left wheel 450.

또한,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을 동시에 조작하면, 한 쌍의 모터(460)가 동시에 동작함으로써,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직진 운행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re simultaneously operated, the pair of motors 460 operate simultaneously, thereby enabling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to run straight.

이에, 조향모듈(610)은 좌측조작핸들(500) 또는 우측조작핸들(500)의 선택적 조작에 따라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조향이 이루어지되, 메인바퀴(200)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450)에 구동을 위한 모터(460)가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Accordingly, in the steering module 610, steering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ing machine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elective operation of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or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and a pair of wheels 450 provided on the main wheel 200. ) is provided with separate motors 460 for driving, so that the turning radius is narrow enough to allow steering to rotate in place and is easily performed.

즉 다수 개의 이랑이 형성되는 텃밭 뿐만 아니라 좁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방향 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direction not only in a kitchen garden where a plurality of furrows are formed but also in a narrow and confined space.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은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 미조작시 한 쌍의 메인바퀴(200)에 구비된 모터(460)의 동작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lectronic brake module 620 performs a function of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motor 460 provided o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when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are not operated.

즉 사용자는 좌측조작핸들(500)이나 우측조작핸들(500)을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좌측조작핸들(500)이나 우측조작핸들(500)의 조작을 멈추면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이 동작되어 모터(460)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이에,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정지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user stops the operation of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or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or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the electronic brake module 620 is operated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motor 460 is cut off, and thus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s stopped.

설계조건에 따라, 제어부(600)는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의 회동 정도에 따라 바퀴(450)가 구동되는 속도를 알림하여 주는 알림부가 구비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e control unit 600 may include a notification unit that notifies the driving speed of the wheel 450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eft and right operation handles 500 and 500 .

이러한 알림부는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의 회동 정도에 따른 정보를 각각 알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리 알림 또는 별도의 인디케이터가 구비되어 수치로 알림하여 주거나 색표시, 색의 농도 등을 통해 현재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속도나 방향 전환 속도 등의 정보를 알림하여 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otification unit is configured to notif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respectively. It may be configured to notify information such as the speed or direction change speed of the current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이에, 사용자는 알림부를 통해 현재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 속도나 방향 전환 속도를 알 수 있어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user can know the current operating speed or direction change speed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through the notification unit,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and safely operate the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또한, 제어부(600)는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의 동작이 무시동 상태에서도 동작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무시동브레이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n-moving brake module that can selec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brake module 620 to be operated even in a non-moving state.

무시동브레이크모듈은 동작 여부에 따라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구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을 동작시켜 메인바퀴(200)에 구비되는 바퀴(450)가 회전되지 않고 정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on-moving brake module operates the electronic brake module 620 in a state in which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ing machine is not driven depending on whether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is operating, so that the wheel 450 provided on the main wheel 200 does not rotate and is in a stopped state. Do it.

예를 들어, 무시동브레이크모듈의 미동작시 메인바퀴(200)의 모터(460)를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모터(460)의 동력을 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For example, when the non-moving brake module is inoperative, the motor 460 of the main wheel 200 can be rotated, so that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can be operated even when the user does not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460. make it possible.

반대로, 무시동브레이크모듈을 동작시키면, 메인바퀴(200)에 구비된 바퀴(45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안도록 정지시킴으로써,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다.Conversely, when the non-moving brake module is operated, the rotation of the wheel 450 provided on the main wheel 200 is stopp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is stopped.

이때, 무시동브레이크모듈은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구동하는 과정에서도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non-moving brake modul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even in the process of driving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이에, 무시동브레이크모듈 동작시, 메인바퀴(200)에 구비된 바퀴(45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시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내릭막길과 같이 언덕에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밀리거나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반대로, 무시동브레이크모듈 미동작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구동중이거나 또는 미구동 중에도 좌측조작핸들(500)이나 우측조작핸들(500)의 조작없이도 메인바퀴(200)의 바퀴(450)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when the non-moving brake module operates, the stationary st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wheel 450 provided on the main wheel 200 does not occur, so that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s pushed or moved on a hill like a downhill road Conversely, when the non-moving brake module is not in operatio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is in operation or the wheels of the main wheel 200 ( 450) By making it possible to rotate, it is possible to freely move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수납부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10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orage unit is provided i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계조건에 따라,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700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0 in the form of a frame may be provided.

이러한 수납부(700)은 농자재나 농기구, 배터리 등 다양한 물품이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ccommodating unit 700 is to accommodate various items such as agricultural materials, agricultural implements, batteries, and the like, an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ox with an open upper side.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바닥면이나 측면이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질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e bottom or side surfaces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mesh.

이는, 주로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가 흙을 다루는 텃밭에서 사용되는 만큼 그물망 형태의 공간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흙이나 먼지 등이 수납부(700)의 내측 공간에 적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soil or dust from being load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torage unit 700 by allowing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er to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sh-shaped space as it is mainly used in gardens handling soil.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수납부가 탈부착 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torage unit is attached or detached in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계조건에 따라,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수납부(700)는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the housing unit 70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0 in the form of a frame may be detachable from the support unit 100 .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 형태의 지지부(100) 외주면에 걸림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700)의 측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 형태의 걸림부재(710)가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710)가 지지부(100)에 형성된 걸림홈(120)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100)에 수납부(7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a locking groove 120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shaped support 100, and as shown in FIG. 11 on the side of the housing 700, "a" A locking member 710 of the form is provided so that the locking member 71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in the support part 100, so that the receiving part 700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100. .

이때, 지지부(10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걸림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부(700)의 걸림부재(710)가 다수 개의 걸림홈(120) 중 선택된 걸림홈(120)에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수납부(70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지지부(100)에 결합되는 수납부(700)의 개수 또한 조절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catching grooves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00, and the catching member 710 of the storage part 700 is caught in a selected catching groove 120 among the plurality of catching grooves 120. By doing so, the position of the housing unit 70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and furthermore, the number of housing units 700 coupled to the support unit 100 can also be adjusted and combined.

예를 들어, 사각 단면 형태의 지지부(100) 전,후,좌,우측에 각각 2개의 걸림홈(120)이 형성된 경우, 총 8개의 걸림홈(120)에 수납부(700)를 결합하거나 또는 도 1에서와 같이, 전,후측에 형성된 걸림홈(120)에만 수납부(700)을 결합하여 총 4개의 수납부(700)가 지지부(100) 정면측과 배면측에 각각 2개씩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catching grooves 120 are form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100 having a square cross section, the accommodating part 700 is coupled to a total of 8 catching grooves 120, or As shown in FIG. 1, the storage unit 700 is coupled only to the locking groove 120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so that a total of four storage units 700 are coupled to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unit 100, two each. It can be.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서 커넥터가 구비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2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nnector is provided in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계조건에 따라, 지지부(100)의 정면 또는 배면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지지부(100)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의 커넥터(800)각 구비될 수 있다.Depending on design conditions,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upport 100 may be provided with connectors 800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pport 100 .

이러한 커넥터(800)는 지지부(100)의 정면측 또는 배면측에 갈고리나 두둑에 비닐을 포장하기 위한 농기구 또는 별도의 적재 공간을 갖는 운반용 대차 등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is connector 800 performs a function of connecting agricultural tools for wrapping vinyl to hooks or crests on the front side or rea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or a transport cart having a separate loading space.

이때, 커넥터(800)의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농기구나 운반용 대차 등을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8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it can be made of any configuration as long as i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connect various agricultural tools or transport carts.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커넥터(800)가 구비됨에 따라, 모터(460)의 동작에 의해 전동으로 운행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에 다양한 농기구나 운반용 대차 등을 추가로 연결하여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 것에 특징을 갖는다.That is, as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nector 800, it is utilized in various ways by additionally connecting various agricultural tools or transport carts to the multi-purpose electric conveyor work machine that is electric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460. It is characterized by this possibility.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는 텃밭에 형성되는 두둑의 크기에 맞추어 바퀴(450)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두둑의 크기나 고랑과 고랑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더라도 어떠한 장소에서든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의 운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width of the wheel 45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idge formed in the vegetable garden, so that even if the size of the ridge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urrows changes, it can be used at any place.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operate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또한, 모터(460)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바퀴축(440)에 각각 따로 구비됨으로써, 조향이 제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할만큼 회전 반경이 좁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motors 460 are separately provided on a pair of wheel shafts 440 provided on both sides, the turning radius is narrow enough to allow steering to rotate in place and is easily performed.

또한, 상판(110)이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져 화물의 적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판(110) 이외에 다수의 수납부(700)가 구비됨으로써, 다양한 농자재나 농기구 또는 배터리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p plate 110 is made in the form of a flat plate so that cargo can be easily load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units 700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p plate 110, so that various agricultural materials, agricultural tools, or batteries can be easily accommodated. can make it possible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presen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It can be seen that branch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are possible.

100 : 지지부 110 : 상판
120 : 걸림홈
200 : 메인바퀴
300 : 보조바퀴
400 : 구동부 410 : 가이드부
411 : 관통공 412 : 고정부재
420 : 슬라이드바 430 : 연장부
440 : 바퀴축 450 : 바퀴
460 : 모터
500 : 핸들 510 : 좌측조작핸들
520 : 우측조작핸들
600 : 제어부 610 : 조향모듈
620 : 전자브레이크모듈
700 : 수납부 710 : 걸림부재
800 : 커넥터
100: support 110: top plate
120: locking groove
200: main wheel
300: auxiliary wheel
400: driving unit 410: guide unit
411: through hole 412: fixing member
420: slide bar 430: extension
440: wheel axle 450: wheel
460: motor
500: handle 510: left operation handle
520: right operation handle
600: control unit 610: steering module
620: electronic brake module
700: storage unit 710: holding member
800: connector

Claims (10)

화물이 적재되는 상판(110)이 구비된 지지부(100);
상기 지지부(100)의 하단 배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메인바퀴(200);
상기 지지부(100)의 하단 정면측에 한 쌍으로 구성된 보조바퀴(300);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의 간격과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부(400);
조향을 위한 핸들(500); 및
상기 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메인바퀴(20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지지부(100) 하단의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양측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되며, 좌,우측으로 장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가이드부(410);
상기 가이드부(4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끼워지는 슬라이드바(420);
상기 슬라이드바(420)의 끝단에 격자 형태로 연결된 연장부(430);
상기 연장부(430)에 구비되는 바퀴축(440);
상기 바퀴축(44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바퀴(450); 및
한 쌍의 메인바퀴(200) 구동을 위한 바퀴축(440) 각각에 연결되는 모터(4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핸들(500)은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조작핸들(500); 및
상기 좌측조작핸들(500)에 대응되도록 우측에 구비되는 우측조작핸들(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좌측조작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우측에 구비된 메인바퀴(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460)를 동작시키고, 상기 우측조작핸들(500)의 조작에 의해 한 쌍의 메인바퀴(200) 중 좌측에 구비된 메인바퀴(200)의 구동을 위한 모터(460)를 동작시키는 조향모듈(6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A support unit 100 equipped with a top plate 110 on which cargo is loaded;
Main wheels 200 configured as a pair at the bottom rear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at the lower front side of the support part 100;
A driving unit 400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handle 500 for steering;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60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by manipulation of the handle 500;
The drive unit 400 is
Guide parts 410 provided in the form of openings on both sides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100, respectively, and formed to have long axis length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A slide bar 420 fitted to slide along the guide part 410;
an extension part 43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lide bar 420 in a lattice form;
A wheel shaft 440 provided on the extension part 430;
A wheel 450 driven by being connected to the wheel shaft 44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motor 460 connected to each of the wheel shafts 440 for driving a pair of main wheels 200;
The handle 500 is
A left operation handle 500 provided on the left side;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right operating handle 500 provided on the right side to correspond to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The controller 600 is
By operating the left operating handle 500, the motor 46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is operated, and the right operating handle 500 is operated. A steering module 610 for operating the motor 460 for driving the main wheel 200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air of main wheels 200 by .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메인바퀴(200)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는 독립된 별도의 바퀴축(440);이 구비됨으로써,
한 쌍의 메인바퀴(200) 사이와 한 쌍의 보조바퀴(300) 사이로 장애물이 지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main wheels 200 and a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have independent separate wheel axles 440; by being provided,
A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that obstacles can pass between the pair of main wheels (200) and between the pair of auxiliary wheels (30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의 연장부(430)에 격자 형태로 연결된 슬라이드바(42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바(420) 각각이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부(410)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lide bars 420 connected to one extension part 430 in a lattice form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as a pair, and the guide parts 4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each of the pair of slide bars 420 is inserted and slides.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청구항 4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부(41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슬라이드바(420)가 끼워지는 내측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관통공(411); 및
상기 관통공(411)에 체결되어 가이드부(410)에 끼워진 슬라이드바(42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고정부재(4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4,
a through hole 411 communicating an inner space where the slide bar 420 is inserted into one or more selected ones of the pair of guide parts 410 and the outside; and
A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member 412 fastened to the through hole 411 and pressuriz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e bar 420 inserted into the guide part 4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핸들(500)은
상기 지지부(100)로부터 회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500 is
A multipurpose electric conveying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e from the support part (10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좌측조작핸들(500)과 우측조작핸들(500)의 미조작시 모터(460)의 동작을 제한하는 전자브레이크모듈(6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600 is multipurpos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nic brake module 620 that limits the operation of the motor 460 when the left operation handle 500 and the right operation handle 500 are not operated. electric conveyor machi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가관이나 파이프의 조합으로 구성된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전동 운반 작업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art 100 is
It is made in the form of a fram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hollow tubes or pipes,
One or more accommodating parts 700 coupled to the frame; multi-purpose electric transport work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KR1020220175452A 2022-12-15 2022-12-15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KR1025416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452A KR102541616B1 (en) 2022-12-15 2022-12-15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452A KR102541616B1 (en) 2022-12-15 2022-12-15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616B1 true KR102541616B1 (en) 2023-06-07

Family

ID=86760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452A KR102541616B1 (en) 2022-12-15 2022-12-15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61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912A (en) * 1999-03-04 2000-09-22 Honda Motor Co Ltd Motor-operated lorry
KR20100031918A (en) 2008-09-16 2010-03-25 주식회사 케이보배 Cart for work
KR20110012195A (en) * 2009-07-30 2011-02-09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Carrier for moving the ridge and furrow
KR102239092B1 (en) * 2019-11-27 2021-04-12 이원식 Four-wheel Independent Driving Electric Cart
JP2022117875A (en) * 2021-02-01 2022-08-12 株式会社大同機械 Travel control system and doll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912A (en) * 1999-03-04 2000-09-22 Honda Motor Co Ltd Motor-operated lorry
KR20100031918A (en) 2008-09-16 2010-03-25 주식회사 케이보배 Cart for work
KR20110012195A (en) * 2009-07-30 2011-02-09 하나로테크 주식회사 Carrier for moving the ridge and furrow
KR102239092B1 (en) * 2019-11-27 2021-04-12 이원식 Four-wheel Independent Driving Electric Cart
JP2022117875A (en) * 2021-02-01 2022-08-12 株式会社大同機械 Travel control system and dol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6605A1 (en) Multiple Configuration Implement Carrier Kit
US10377403B2 (en) Powered utility cart and compliant drive wheel therefor
US7775306B1 (en) Motorized wheelbarrow and associated method
US10834871B2 (en) Walk power mower with transmission providing both forward and reverse propulsion
KR101736355B1 (en) Multi-purpose agriculture electronic vehicle body platform
KR101327367B1 (en) Four-wheel drive cart for agriculture with device lift and dump
CN105905196A (en) Transport cart
CN205854338U (en) Transport vehicle
US9623924B2 (en) Cart
US11147209B1 (en) Riding lawn mower
KR200438679Y1 (en) Four-wheel drive cart that driving stability is kept
KR200435299Y1 (en) A cart of multipurpose
US20070261905A1 (en) Electrically operated three-wheeled pushcart
US3760770A (en) Battery powered feed cart
KR102541616B1 (en) Multipurpose electric carrying machine
US9205752B1 (en) Electric drive cart
US6659565B2 (en) Motorized hand truck for driving and steering a wheeled accessory
KR101883704B1 (en) Independent driving and trailer type electric transporter
CN210502731U (en) Multifunctional electric cart
US20240083504A1 (en) Modular, cost-effective, field repairable chassis and mechanical components for heavy duty autonomous robot
US7210590B2 (en) Transportation cart primarily for use in an animal barn
KR101387989B1 (en) One-wheel electric Cart of agriculture for shifting the center of gravity
US6263990B1 (en) Auto-carriage
JP3090386U (en) Rail-based transport cart
CN101811513A (en) Transpor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