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90B1 - 손 소독제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손 소독제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90B1
KR102540390B1 KR1020200169174A KR20200169174A KR102540390B1 KR 102540390 B1 KR102540390 B1 KR 102540390B1 KR 1020200169174 A KR1020200169174 A KR 1020200169174A KR 20200169174 A KR20200169174 A KR 20200169174A KR 102540390 B1 KR102540390 B1 KR 10254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sanitizer
wire
unit
sanitizer dispens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9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0259A (ko
Inventor
최승정
Original Assignee
최승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정 filed Critical 최승정
Priority to KR1020200169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9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he weight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r volum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reservoir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발이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과, 상부에 손 소독제가 배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1본체; 상기 제1수용홈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는 발판; 상기 발판과 연동하여 손 소독제가 저장된 용기로부터 손 소독제를 펌핑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 소독제 디스펜서{A dispenser of hand sanitizers}
본 발명은 손 소독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출입구 등에 배치되어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전 세계적으로 감염병(Infection, Infectious Disease)이 발생되고 있으며, 감염병은 병원체인 미생물이 생물체에 옮아 증식하여 일으키는 병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다른 사람과의 접촉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발생된다.
이러한 감염병으로는 1900년대 초에 미국 시카고에서 시작되어 전세계적으로 5천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스페인 독감과 1968년에 홍콩에서 시작되어 아시아, 호주, 아프리카, 유럽 및 남미를 등으로 확산되면서 100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홍콩 독감, 및 2009년 멕시코에서 시작되어 214개국에서 1만 8천 50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신종플루가 있으며, 신종플루 발생 당시 대한민국에서도 75만명이 감염되어 이 중 25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되었다.
한편, 2019년에 중국 우한에서 감염병인 코로나 19(COVID-19)가 처음 발생된 이후, 중국 전역과 전세계로 확산되어 최근까지 많은 확진자와 사상자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코로나 19를 감염병의 최고 경고등급인 펜데믹(Pendemic)으로 지정하였으며, 즉 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하였다.
여기서, 코로나 19는 호흡기 감염질환으로서, 병원체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이고, 주로 감염자의 비말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하여 전파된다. 즉, 기침이나, 재채기 등으로 인해 전파되거나, 바이러스로 오염된 물질을 만진 뒤 손으로 눈, 코 및 입을 만짐으로써 전파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에어로졸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코로나 19에 감염 시 약 2일 내지 14일 정도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 및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과 폐렴이 주 증상으로 나타나며, 드물게 무증상을 보이는 감염 사례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코로나 19는 고령자,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 기저질환을 갖는 환자의 경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등 치명적이고 위험한 감염병으로써, 현재까지 마땅한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감염자의 증상에 따라 수액 보충, 해열제 투여 등의 대증 치료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백신이나 치료제가 개발될 때까지는 코로나 19의 예방수칙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코로나 19의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예방수칙을 준수해야 하며, 이러한 예방수칙으로는 흐르는 물에 손을 30초 이상 꼼꼼히 씻고,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하며, 외출 및 다중 이용시설의 방문 및 이용 시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고, 기침 예절을 준수하며, 눈, 코, 입 등을 만지지 않는 등의 수칙이 있다.
또한,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코로나19 전파는 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이루어지므로 사람 간 거리두기, 마스크 착용이 코로나19 감염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물체 표면 접촉으로 인한 감염 사례는 많지 않으나, 바이러스가 물체 표면에 수일 간 생존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손 위생 관리를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출입하는 사람이 많은 관계로 예방수칙을 치키는데 한계가 있고, 체온 측정 및 손 소독제의 사용을 하지 않는 일부 출입자로 인한 전파 감염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22571호(2005.10.12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이용시설에서 출입자 개개인의 안면 체온을 측정하고(손목 체온 측정 가능), 손 소독제를 제공할 수 있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발이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과, 상부에 손 소독제가 배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1본체; 상기 제1수용홈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는 발판; 상기 발판과 연동하여 손 소독제가 저장된 용기로부터 손 소독제를 펌핑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판에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밟는 경우 견인력이 전달되는 제1와이어와, 일 측면에 중심에 상기 제1와이어의 타 단부가 결합되고, 타 측면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제2와이어의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견인력의 전달 경로를 변경시키는 변환부와, 상기 제2와이어의 각 타 단부와 결합되고,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된 펌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도록 중심 영역에 상기 펌프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가압부와 고정부 사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가해지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복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가 중심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된 설치홀과, 상기 설치홀 내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 상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오목하게 파인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상기 제1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는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촬영부 및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온도센서, 디스플레이부 및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발판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제3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근접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3와이어를 견인시켜 상기 가압부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상기 제1본체 내부에서 상기 용기의 무게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용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 감지부는 상기 용기가 올려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높이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량 감지부는 상기 높이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경우, 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 온도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는 상기 제2본체 내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에 의하면,
첫째,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 대형 손 소독제 용기를 설치하여 끊김 없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어 기존에 작은 용량을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둘째, 수동형의 경우, 발로 펌핑 작동이 이루어져 손으로 직접적인 터치 없이도 손 소독제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셋째, 자동형의 경우, 손이 근접한 상태를 감지(또는 손목 열감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손 소독제를 제공 받을 수 있고,
넷째, 체온 측정과 함께 이를 알려주기 때문에 체온이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를 알 수 있어 이상 발열자를 검출 및 사전 출입 제한을 취할 수 있으며,
다섯째, 체온 측정과 더불어 출입자 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시설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할 수 있고,
여섯째, 여건에 따라서 수동형, 자동형 및 반 자동형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일곱째, 손 소독제가 떨어진 것을 알람부에서 알려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배면부를 개방하여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A영역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B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b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B영역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펌프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펌프를 조립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는 제1본체(110)와 제2본체(210)를 포함한다. 물론, 수요에 따라서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는 제1본체(110)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본체(110)만을 사용하는 경우 수동으로 손 소독제를 공급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1본체(110)와 제2본체(210)가 결합된 구조의 경우 자동과 수동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본체(110)는 기본적인 손 소독제를 공급하는 구조를 내장하고 있고, 제2본체(210)는 촬영 및 체온 감지의 주요기능과 함께, 제2본체(210)의 기능을 제어하거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는 제1본체(110)를 이용한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와, 제1본체(110)와 제2본체(210)가 결합되되 제2본체(210)에 체온 측정 기능만을 제공하는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와, 제1본체(110)와 제2본체(210)가 결합되되 제2본체(210)에서 영상 촬영, 안면 또는 손목 체온측정, 촬영 및 측정 온도를 디스플레이 하는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에 대해서 설명하며, 각 구성의 조합에 따른 수동형, 반 자동형 및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본체(110)는 전방에 제1수용홈(111)이 형성되고, 제1수용홈(111) 내부에는 사용자가 발로 밟을 수 있는 발판(112)이 구비된다.
제1본체(110) 상부에는 손 소독제가 분사되는 노즐(113)이 구비된다. 제1본체(110) 상부에는 제2본체(210)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즐(113)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본체(210)가 결합되면서 노즐(113) 주변에 제2수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홈(211)에는 근접센서(도 2 참조, 212)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유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수용홈(211) 내부에는 노즐(113)의 하부에 손 소독제가 떨어지는 것을 받치는 트레이(113a)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본체(210)에는 전면에 촬영부(220), 온도 센서(230), 디스플레이부(240), 근접센서(212) 및 각종 버튼부(260)가 구비된다.
촬영부(220)는 적외선 카메라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단순히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가 구비될 수도 있다.
온도 센서(230)는 촬영 중인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사람들의 온도를 측정한다. 물론, 설정된 위치에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에만 단일 온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촬영부(220), 온도 센서(230) 및 디스플레이부(240)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개는 전방을 향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신장 차이에 대한 체온 측정 위치의 높이 보상을 위함이다.
예컨대, 불특정 다수가 유동하는 다중 이용시설에서는 출입자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촬영 및 측정하여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 PC나 개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2본체(210) 내부에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는 출입자는 발판(112)을 밟거나 손이 근접한 것을 감지하여 손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다수가 유동하는 사무실이나 학교 등의 시설에서 출입자가 설정된 위치에 서서 체온 측정과 함께 안면 인식, 홍채 인식 등을 통해 출입 인가자를 확인할 수도 있다. 물론, 출입자의 인가 여부는 별도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서 출입 인가자의 데이터를 근거로 판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체온이 정상 범위에 있는 출입 인가자는 발판(112)을 밟거나 손이 근접한 것을 근접센서(212)가 감지하여 손 소독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240)는 체온이 정상이 경우와 체온이 비정상 경우로 나누어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정상 체온인 경우 체온 측정값과 “PASS”를 표시하고, 비정상 체온인 경우 체온 측정값과 “STOP”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경고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PASS” 문구는 녹색 바탕을, “STOP” 문구는 적색 바탕을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정상 및 비정상 체온 모두 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미도시)로 발송할 수 있다. 스피커는 제2본체(210) 상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판(112)의 상면에는 발과 발판(112) 사이에 상호 간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논슬립 패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의 배면부를 개방하여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3a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b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A영역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본체(110)의 수용공간(114)에는 발판(112)과 연동하여 손 소독제가 저장된 용기(115)로부터 손 소독제를 펌핑하여 노즐(113)로 공급하는 구동부(120)가 구비된다.
구동부(120)는 제1와이어(121), 변환부(도 4b 참조, 122), 가압부(123), 고정부(124), 제1탄성부(125), 롤러부(126)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21)는 일 단부가 발판(112)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변환부(도 4b 참조, 122)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112)을 사용자가 밟으면 제1와이어(121)가 견인되면서 변환부(122)가 이동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판(112)으로부터 제1와이어(121)는 롤러부(126)를 통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용공간(114)에는 용량 감지부(130)가 구비되며, 상세하게는 발판(112)의 상부에 용량 감지부(1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 감지부(130)는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2)와 제2탄성부(133) 및 높이 감지센서(134)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131) 상면에는 손 소독제가 저장된 용기(115)가 배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2)는 수용공간(114)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 거리를 갖고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에는 제2탄성부(133)가 배치되는데, 하부 플레이트(132)로부터 상부 플레이트(131)가 탄력적으로 높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제2탄성부(133)는 하부 플레이트(132) 상에서 상부 플레이트(131)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제2탄성부(133)는 상부 플레이트(131)와 하부 플레이트(132)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각 모서리 영역에 하나씩 네 개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용기(115) 내부에 저장된 손 소독제는 사용함에 따라서 무게가 감소하게 되는데, 상부 플레이트(131)는 용기(115) 내부의 무게가 감소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된다.
이때, 높이 감지센서(134)는 상부 플레이트(131)가 설정된 높이 범위를 벗어나 상승하게 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높이 감지센서(134)는 상부 플레이트(131)가 설정 높이 이상 상승한 것을 감지하면, 용기(115) 내부에 남은 손 소독제가 전체 용량의 5% 이하라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높이 감지센서(134)가 상부 플레이트(131)의 설정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 범위 및 잔여 용량 범위는 선택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높이 감지센서(134)가 상부 플레이트(131)의 설정 범위를 벗어난 높이를 감지하는 경우, 제1본체(110) 또는 제2본체(210)에 구비된 알람부(270)를 통하여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높이 감지센서(134)는 상부 플레이트(131)와 접촉하면서 스위치가 on/off 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는, 높이 감지센서(134)가 상부 플레이트(131)의 측면에 구비된 자성체(미도시)를 인식하는 홀 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또는, 높이 감지센서(134)는 상부 플레이트(131)가 설정된 높이에서 근접한 것을 감지하는 근접센서(미도시)일 수 있다. 또는, 높이 감지센서(134)는 상부 플레이트(131)의 상면과 접촉하여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하면 이를 감지하는 압력센서일 수도 있다.
도 3b를 살펴보면, 발판(112)의 안쪽에는 액추에이터(140)가 마련된다.
액추에이터(140)는 작동 신호에 따라서 상부에 연결된 제3와이어(141)를 선택적으로 견인시킬 수 있다. 예컨대, 노즐(113) 앞에 사용자의 손이 유입되는 것을 근접센서(212)가 감지하면, 액추에이터(14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여 제3와이어(141)를 견인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발판(112)을 밟지 않고도 손 소독제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3와이어(141)는 일 단부가 액추에이터(140)에 결합되고, 타 단부가 제1와이어(121)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할 때, 발판(112)이 발로 밟은 것과 같은 작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에서 수용공간(114)의 배면에는 백플레이트(116)가 구비된다. 백플레이트(116)는 수용공간(114)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구동부(120) 또는 용량 감지부(130)의 유지 보수나, 용기의 교체 등이 필요할 때 개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본체(210)의 배면에도 백플레이트(116)와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백플레이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B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B영역을 측면에서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에 나타낸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펌프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펌프를 조립한 상태에서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살펴보면, 변환부(122)에는 제2와이어(127)가 연결되는데, 제1와이어(121)의 타 단부는 변환부(122)의 일 측면 중심 영역에 결합되고, 제2와이어(127)의 일 단부는 변환부(122)의 타 측면 양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발판(112)을 밟으면 제1와이어(121)가 견인되면서 변환부(122)가 제1와이어(12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2와이어(127)가 각각 동시에 견인된다. 이때, 변환부(122)는 제1와이어(121)와 제2와이어(127) 사이를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28)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변환부(122)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가압부(123)는 제2와이어(127)의 타 단부가 각각 양 단부에 결합된다. 가압부(123)의 하부에는 고정부(124)가 배치되고, 고정부(124) 내부에는 펌프(150)가 설치된다. 따라서, 가압부(123)가 제2와이어(127)의 견인과 동시에 하강하면서 펌프(150)를 가압하여 펌핑 동작이 이루어진다. 펌프(150)에 펌핑이 이루어지면, 용기 내부의 손 소독제가 노즐을 통해 일정량 배출된다. 펌프(150)의 전후단은 각각 노즐(113) 또는 용기(115)를 연결하도록 호스(129)가 구비될 수 있다.
롤러부(126)는 제1와이어(121) 및 제2와이어(127)의 견인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방향이 변환되는 위치마다 각각 구비된다.
펌프(150)는 원통 형상의 몸체(151)와, 플랜지부재(152)와, 몸체(151) 측면에 형성된 통공(153)을 포함한다.
플랜지부재(152)는 고정부(124)에 설치되기 위한 구성이고, 통공(153)은 펌프(150)의 작동에 수반되는 압력을 보상하는 하나의 유로이다.
펌프를(150) 가압하면 용기(115) 내부의 압력이 올라가고, 이에 따라 용기(115) 내부의 손 소독제가 노즐(113) 방향으로 분출되는데, 펌프(150)의 가압력을 해제하면 용기(11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지 않고 통공(153)을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을 보상하는 원리이다.
고정부(124)는 대략 사각형의 플레이트로, 펌프(150)가 중심영역을 관통하도록 삽입될 수 있는 설치홀(124a)이 형성된다. 설치홀(124a) 내부에는 플랜지부재(152)에 대응하도록 안착부(124b)가 마련되고, 안착부(124b) 하부에는 몸체(151)와 마주하도록 내측면(124c)이 구비되며, 설치홀(124a)의 하측 단부에는 내측면(124c)에서 펌프(150)의 몸체(151)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124d)이 구비된다.
따라서, 펌프(150)가 고정부(124)에 삽입되면, 플랜지부재(152)가 안착부(124b)에 안착되고, 몸체(151)와 내측면(124c)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내측면(124c)과 몸체(151) 사이에 서로 이격된 공간(124e)이 형성되는데, 이를 통하여 통공(153)의 공기가 출입하게 된다.
또한, 단턱(124d)에는 이격된 공간(124e)과 연통하는 요홈(124f)이 형성된다. 따라서, 요홈(124f)과 이격된 공간(124e)이 하나의 유로를 만들어 통공(153)으로 출입하는 공기가 드나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부(124)의 상부에는 펌프(150)의 플랜지부재(152)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커버 플레이트(170)가 구비된다.
커버 플레이트(170)는 고정부(124)와 결합되어 펌프(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커버 플레이트(170) 없이 고정부(124) 상에 플랜지부재(152)를 고정하면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손 소독제 디스펜서(100)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먼저,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제1본체(110)만을 이용하여 전기의 공급 없이 기계식으로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제1본체(110)와 발판(112) 및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즉, 제2본체(210)의 구성이 없기 때문에 촬영부(220), 온도 센서(230), 디스플레이부(240) 및 버튼부(260)의 구성이 삭제된다.
물론, 전기의 공급이 없는 구조이지만,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기능은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1본체(110)의 전방에 배치된 발판(112)을 사용자가 밟으면 제1와이어(121)가 변환부(122)를 견인하면서 제2와이어(127)를 연동하여 견인하게 되고, 제2와이어(127)는 가압부(123)를 고정부(124) 방향으로 잡아 당겨 펌프(150)의 작동을 유도한다.
이때, 펌프(150)는 가압부(123)와 고정부(123) 사이에서 중심 영역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2와이어(127)는 가압부(123)의 양 단부를 견인하도록 결합이 이루어진다.
가압부(123)가 고정부(124) 방향으로 견인되면 펌프(150)가 작동하면서 손 소독제가 노즐(113)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발판(112)을 발로 밟았던 압력이 제거되면, 제1탄성부(1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가압부(123)가 원위치 하면서 발판(112)도 원위치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제2본체(210)의 구성 없이 발판(112)을 밟는 압력만을 이용하여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전기의 사용 없이 기계적인 구성만으로 구동이 가능하므로, 전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이나, 또는 다수의 출입자에게 손 소독제의 일률적인 공급을 위한 곳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경우, 대략적인 출입 인원을 파악하여 손 소독제 용기(115)를 적시에 교체해 주면, 별도의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전기한 제1실시예의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제1본체(110) 상부에 제2본체(210)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제2본체(210)에 온도 센서(230) 및 버튼부(260)가 구비된다. 또한,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선택적으로 촬영부(220) 및 근접 센서(212)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기본적으로 손 소독제를 수동으로 디스펜싱(제1실시예의 기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와 덧붙여 출입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220)가 구비되는 경우 촬영부(220)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때, 온도 센서(230) 및 촬영부(220)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본체(210) 상에서 출입자에 대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온도 센서(230)나 촬영부(220)는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져 제2본체(210) 내부에서 힌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대응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온도 센서(230)와 촬영부(220)를 통해서 획득한 데이터를 출입자가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음성 출력을 지원할 수도 있다.
그리고, 버튼부(260)는 온도 센서(230), 촬영부(220) 및 근접센서(212)의 on/off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온도 센서(230)와 촬영부(220)를 통해서 획득한 데이터는 관리자에게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고, 별도 데이터 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와 동일한 손 소독제 수동 공급 기능과 더불어 근접 센서를 통한 자동 손 소독제 공급과 체온 측정 등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전기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반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고, 제2본체(210) 상에 디스플레이부(240)가 더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온도 센서(230) 및 촬영부(220)에서 획득한 데이터를 실시간 영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체온 및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게다가, 디스플레이부(240)는 촬영부(220)와 데이터 베이스를 연동하여 출입 인가자 등의 신원 확인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동형 손 소독제 디스펜서는 전기 공급의 여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수동과 자동으로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특정 다수의 출입자가 상주하는 사무실이나 공공기관에 설치하여 출입자 관리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제 디스펜서에 의하면,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는 다중이용시설에서 대형 손 소독제 용기를 설치하여 끊김 없이 다수의 사람들에게 손 소독제를 공급할 수 있고, 수동형의 경우, 발로 펌핑 작동이 이루어져 손으로 직접적인 터치 없이도 손 소독제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자동형의 경우, 손이 근접한 상태를 감지할 수 있어 자동으로 손 소독제를 제공 받을 수 있고, 체온 측정과 함께 이를 알려주기 때문에 체온이 정상 또는 비정상 상태인지를 알 수 있으며, 체온 측정과 더불어 출입자 인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다양한 시설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할 수 있고, 여건에 따라서 수동형, 자동형 및 반 자동형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어 경제성이 있으며, 손 소독제가 떨어진 것을 알람부에서 알려주기 때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 손 소독제 디스펜서
110 : 제1본체
120 : 구동부
130 : 용량 감지부
140 : 액추에이터
150 : 펌프
170 : 커버 플레이트
210 : 제2본체
220 : 촬영부
230 : 온도센서
240 : 디스플레이부
260 : 버튼부
270 : 알람부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면 하부에 발이 진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수용홈과, 상부에 손 소독제가 배출되는 노즐이 구비되는 제1본체;
    상기 제1수용홈 내부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가 발로 밟으면 설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는 발판;
    상기 발판과 연동하여 손 소독제가 저장된 용기로부터 손 소독제를 펌핑하여 상기 노즐로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발판에 일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밟는 경우 견인력을 전달하는 제1와이어와,
    일 측면의 중심에 상기 제1와이어의 타 단부가 결합되고, 타 측면의 양 단부에 인접하여 제2와이어의 일 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견인력의 전달 경로를 변경시키는 변환부와,
    상기 제2와이어의 각 타 단부와 결합되고, 탄력적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와 연결된 펌프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와 대향하도록 중심 영역에 상기 펌프가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가압부와 고정부 사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 및
    상기 제1와이어와 제2와이어에 가해지는 견인력의 방향을 전환하는 복수개의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원통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재와,
    상기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플랜지부재에 인접한 영역에 형성된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가 중심 영역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형성된 설치홀과,
    상기 설치홀 내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재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의 단부에서 상기 몸체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턱 및
    상기 단턱 상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이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오목하게 파인 요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제2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본체는,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와,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촬영부 및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촬영부, 온도센서, 디스플레이부 및 액추에이터의 작동을 스위칭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사용자가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발판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와이어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제3와이어와 결합되며, 상기 근접센서가 사용자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3와이어를 견인시켜 상기 가압부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 내부에서 상기 용기의 무게가 설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용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용량 감지부는,
    상기 용기가 올려지는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2탄성부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올라오는 것을 감지하는 높이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용량 감지부는,
    상기 높이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경우, 이를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 온도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는 상기 제2본체 내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소독제 디스펜서.
KR1020200169174A 2020-12-07 2020-12-07 손 소독제 디스펜서 KR10254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74A KR102540390B1 (ko) 2020-12-07 2020-12-07 손 소독제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9174A KR102540390B1 (ko) 2020-12-07 2020-12-07 손 소독제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59A KR20220080259A (ko) 2022-06-14
KR102540390B1 true KR102540390B1 (ko) 2023-06-02

Family

ID=8198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9174A KR102540390B1 (ko) 2020-12-07 2020-12-07 손 소독제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88B1 (ko) 2009-10-07 2010-07-16 주식회사 유니나 손 소독기
KR102186276B1 (ko) 2020-04-03 2020-12-03 서영숙 손 소독액 자동 분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571B1 (ko) 2003-06-24 2005-10-18 박성수 자동 손 살균 소독 장치
KR20110004385U (ko) * 2009-10-28 2011-05-04 양희숙 페달식 손 소독기
KR101125980B1 (ko) * 2010-06-21 2012-03-20 (주)예사싱크 술 잔량 안내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888B1 (ko) 2009-10-07 2010-07-16 주식회사 유니나 손 소독기
KR102186276B1 (ko) 2020-04-03 2020-12-03 서영숙 손 소독액 자동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0259A (ko)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95365A (zh) 一种智能测温、消毒和自动分流通道装置
US9311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hand hygiene
CN106659336B (zh) 浴室安全装置
US10660482B2 (en) Intelligent dispenser of disinfectant gel for connection to disinfection habits monitoring system
EP3336817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hand disinfection qualtity control
KR20210002245A (ko) 타겟 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스마트 클리닝 부스 및 출입자 청결관리방법
AU2010294972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motivating and/or prompting persons to wash hands
KR102540390B1 (ko) 손 소독제 디스펜서
KR102168808B1 (ko) 손 소독 기능이 구비된 키오스크 및 이의 운용방법
US117049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accuracy in hand-hygiene compliance
KR102292937B1 (ko)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균일하게 분사하는 출입 게이트형 소독장치
KR102260407B1 (ko) 게이트형 방역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7115100A (zh) 一种用于医疗健康检测的智能镜面装置及其检测方法
EP1167931A3 (en) Patient weight monitoring system
KR102116906B1 (ko) 심폐소생술 실습 장치
CN114246561A (zh) 健康感测镜和马桶座圈
KR102301415B1 (ko)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소독장치
KR102379175B1 (ko) 감염 예방 기능을 갖는 자동 주문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2614499B1 (ko) 측정자의 키에 맞춰 높이가 자동으로 가변되는 체온측정기
KR102425860B1 (ko) 다기능 게이트장치
RU20312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зинфекции
KR200495059Y1 (ko) 손소독기의 세척용 트레이
CN216433248U (zh) 一种具有标识功能的测温消毒仪
CN218446772U (zh) 一种智能人脸识别测温通道
KR102526296B1 (ko) 공간 방역 및 타겟 방역 겸용 살균액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