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40B1 - One-piece bra top - Google Patents

One-piece bra t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40B1
KR102540240B1 KR1020220168813A KR20220168813A KR102540240B1 KR 102540240 B1 KR102540240 B1 KR 102540240B1 KR 1020220168813 A KR1020220168813 A KR 1020220168813A KR 20220168813 A KR20220168813 A KR 20220168813A KR 102540240 B1 KR102540240 B1 KR 102540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ans
bra pad
sub
pad
b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8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염장열
염보경
Original Assignee
염장열
염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장열, 염보경 filed Critical 염장열
Priority to KR102022016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4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22Clothing specially adapted for wome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22Sta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 A41C3/14Stiffening or bust-forming inserts
    • A41C3/144P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41D27/04Removable 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2Shields or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Hooks or loops provided with means to reinforce the attachment, e.g. by adhesive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속옷 일체형 상의에 있어서,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안감부재에 브라패드를 결합시켜 착용함으로써 브래지어 등과 같은 별도의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안감부재에 결합된 브래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고, 유두 등과 같은 가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확보하면서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derwear-integrated top, a bra pad is form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a bra pad is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as necessary to wear the bra. Even when a separate underwear such as a back is not worn and only a top is worn, the bra pad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can protect the wearer's chest, and prevents certain parts of the chest, such as nipples, from protruding and being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top.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other people's eyes while securing a comfortable fit.

Description

속옷 일체형 상의{ONE-PIECE BRA TOP}Underwear integrated top {ONE-PIECE BRA TOP}

본 발명은 속옷 일체형 상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안감부재에 브라패드를 결합시켜 착용함으로써 브래지어 등과 같은 별도의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안감부재에 결합된 브래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고, 유두 등과 같은 가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속옷 일체형 상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ear-integrated top,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lining member capable of engaging or releasing a bra pa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combining the bra pad with the lining member as necessary to wear the bra and the like. Even when wearing only a top without wearing the same separate underwear, the bra pad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can protect the wearer's chest and prevents certain parts of the chest, such as nipples, from being displayed on the top of the top. It's about a one-piece top.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을 보호하고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여 균형있는 체형을 유지하기 위한 속옷의 일종으로 여성의 가슴과 밀착되게 착용된다.In general, a bra is a type of underwear for protecting a woman's breasts and preventing sagging of the breasts to maintain a balanced body shape, and i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woman's breasts.

이러한 브래지어는 여성의 가슴이 밀착되어 여성의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브라 컵과 브라 컵이 형성의 가슴에 착용되도록 착용자의 등에 결합되는 착용 밴드 및 브라 컵에 연결되어 착용자의 가슴을 당기며 브래지어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어깨끈으로 이루어진다.Such a bra is to prevent sagging of a woman's breast by adhering to a woman's breast, and is generally connected to a bra cup and a wearing band coupled to the wearer's back so that the bra cup is worn on the breast of the formation and the bra cup to keep the wearer's breast. It consists of a shoulder strap that pulls and prevents the bra from coming off.

이와 같이 이루어진 브래지어는 착용자의 가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가슴을 지속적으로 압박한다. 이에 장시간 브래지어를 착용할 때에는 여성의 가슴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rassie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tinuously presses the wearer's chest to prevent the wearer's chest from sagging. Therefore, when wearing a bra for a long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cause pain in a woman's chest.

또한, 상기와 같은 브래지어는 접촉 밴드에 접촉되는 등에서 땀이 발생하며, 접촉 밴드가 접촉된 부위에는 피부 발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brassiere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weat is generated when the contact ba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band, and skin trouble such as skin rash may occur in a region where the contact band is in contact.

따라서, 브래지어를 별도로 착용하지 않아도 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for an underwear-integrated top tha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bra to be worn.

한국등록특허 제10-1847157(2018.04.03.)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847157 (2018.04.03.)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안감부재에 브라패드를 결합시켜 착용함으로써 브래지어 등과 같은 별도의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안감부재에 결합된 브래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고, 유두 등과 같은 가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속옷 일체형 상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by forming a lining member capable of coupling or releasing a bra pa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upper garment, and combining the bra pad with the lining member as necessary to wear the bra and the like. Even when wearing only a top without wearing the same separate underwear, the bra pad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can protect the wearer's chest and prevents certain parts of the chest, such as nipples, from being displayed on the top of the top. It is to provide a one-piece t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속옷 일체형 상의로서, 상의의 내측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전체 가슴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안감부재와, 상기 안감부재를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상기 안감부재상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에 설치되는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에 설치되는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좌측 가슴 을 감싸는 제1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우측 가슴 을 감싸는 제2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영역상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영역상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wear-integrated top, a lining member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chest area of the wearer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a first line on the lining member vertically bisecting the lining member.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nstalled in the first area of the lining member based on the center lin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of the lining member, and fasten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includes a first bra pad that surrounds the left chest of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and a second bra pad that is fasten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to surround the right chest of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wherei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comprises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may be formed as one area or in plural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in one area or in plural number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econd area.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직선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직선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s formed on all or part of a first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long a first vertical line that vertically bisects the first region of the lining member, and the second The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second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long a second vertical line that vertically halves the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서브 영역내 상기 제1 수직선의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서브 영역내 상기 제2 수직선의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ncludes a first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of the first vertical line in the first sub area, and the other lower part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cludes a third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of the second vertical line in the second sub area, and It may include a four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1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2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3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4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includes a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upper side based on the pad center point of the first bra pad and coupled to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and a lower one side based on the pad center point. and a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and coupled to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second bra pad and connects to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It may include a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to be coupled, and a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pa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의 제1 세로 길이는,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의 제2 세로 길이는,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의 제3 세로 길이는,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제4 세로 길이는,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ub-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second sub-fastening means of the second sub-fastening means The vertical length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third vertical length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is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t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and the fourth vertical length of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is 1 of the second vertical line It can be formed smaller than /2 length.

또한,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의 제1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의 제2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의 제3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제4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sub-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0 and the second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0. It is forme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the third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and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The fourth lateral length of the means may be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lateral length of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상기 제1 수직선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상기 제2 수직선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lining member,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vertically along the first vertical line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of the first sub area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top is coupl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The previous combination position of the first bra pad can be recognized, and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vertically along the second vertical line in the area adjacent to the left or the area adjacent to the right of the second sub area on the lining member,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can recognize the previous coupling position of the second bra pad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recognizes the previous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bra pad coupl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n addition, a vertical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body is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location can be recognized.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와 상의과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와 안감부재 사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lining member and the upper garment, so that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garment and the lining member. can be coupled to.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가 신체와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 착용자의 가슴과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where the lining memb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so that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attached to the wearer's chest. can be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평선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평선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4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s formed on all or part of a third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along a first horizontal line that horizontally halves the first region of the lining member, and the 2 The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fourth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width along a second horizontal line that horizontally halves the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3 서브 영역내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5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6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서브 영역내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7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8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ncludes a fif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ral point in the third sub area, and a fif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part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6 sub-fastening means, wherein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cludes a seventh sub-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point in the second sub area, and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er point It may include an eigh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5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5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6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6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7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7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8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8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includes a fif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first bra pad and coupled to the fifth sub fastening means, and one side of the right side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a six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and coupled to the sixth sub-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ra pa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the seventh sub-fastening means It may include a seven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coupled with, and an eigh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with the eighth sub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may be integrally formed.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as hooks of Velcro tape, and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as loops of Velcro tape. there i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속옷 일체형 상의에 있어서,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안감부재에 브라패드를 결합시켜 착용함으로써 브래지어 등과 같은 별도의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안감부재에 결합된 브래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고, 유두 등과 같은 가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확보하면서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derwear-integrated top, a bra pad is form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a bra pad is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as necessary to wear the bra. Even when a separate underwear such as a back is not worn and only a top is worn, the bra pad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can protect the wearer's chest, and prevents certain parts of the chest, such as nipples, from protruding and being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top. It has the effect of not having to worry about the eyes of others while securing a comfortable fit.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In addition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여성복 상의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라패드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여성복 상의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브라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상 눈금 표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의 다양한 형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브라패드의 예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women's wear top in which a bra pad is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bra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bra pa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women's wear top in which a bra pad is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 pad fastening means and a br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ales o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grated br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is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It is advis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shown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illustrative only and not limiting.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in the same structural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two or mor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present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diagram are expected. Therefore,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illustrated area, and includes, for example, modification of the shape by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여성복 상의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women's wear top in which a bra pad is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를 도시한 것이다.2 shows a bra 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라패드의 좌우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djusting th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bra pa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여성복 상의의 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inside of a women's wear top in which a bra pad is integrally form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브라패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bra pad fastening means and a br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상 눈금 표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scales on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의 다양한 형태 예시도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브라패드의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of an integrated br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속옷 일체형 상의(100)는 어깨부와 몸통부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가슴 영역을 커버하는 안감부재(110)와 안감부재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합되는 브라패드(116)를 포함하여 착용자가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브라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감싸게 되어 가슴을 보호하고 유두 등과 같은 신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to 5, the underwear integrated top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ning member 110 installed on the shoulder and torso to cover the chest area of the wearer and a bra coupled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lining member. Including the pad 116, even when the wearer wears only a top without wearing a separate bra, the bra pad covers the wearer's chest to protect the chest, and certain parts of the body, such as nipples, protrude and are displayed on the surface of the top that can be prevented

또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여성복의 상의를 반팔 원피스로 도시하였으나, 여성복의 상의는 티셔츠, 원피스, 블라우스 등과 같은 다양한 여성복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top of women's wear is shown as a short-sleeved dress in FIGS. 1 to 5, the top of women's wear may be any one of various women's clothes such as a T-shirt, a dress, and a blouse.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tegrated underwear type 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

먼저,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속옷 일체형 상의에서는 상의의 내측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전체 가슴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어 브라패드(116)를 결합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110)가 형성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in the underwear integrated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ing member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chest area of the wearer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coupled to the bra pad 116 ( 110) can be formed.

이러한 안감부재에는 상의 착용자가 상의를 착용하는 경우 상의 착용자의 좌우측 가슴이 접촉되는 위치에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는 각각 제1 브라패드(112)와 제2 브라패드(114)가 결합될 수 있다.When the wearer wears the top,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may be formed on the lining member at positions where the left and right breasts of the top wear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bra The first bra pad 112 and the second bra pad 114 may be coupled to the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이러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이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되고,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는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as loops of the Velcro tape, and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may be formed as hooks of the Velcro tap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또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은 예를 들어 상기 안감부재를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상기 안감부재상 제1 중앙선(140)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상기 안감부재상 제1 영역(142)에 설치될 수 있고,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은 상기 안감부재를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상기 안감부재상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한 상기 안감부재상 제2 영역(144)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is located on the first area 142 on the lining member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140 on the lining member vertically bisecting the lining member, for example.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area 144 on the lining member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er line on the lining member vertically bisecting the lining member. there is.

또한, 도 1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142)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직선(150)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서브 영역(152)상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제1 서브 영역(152)상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FIG. 1,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is formed to have a certain left and right width along the first vertical line 150 that vertically halves the first region 142 of the lining member. 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one bra pad fastening means is install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ub area 152,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as long as one on the first sub area 152.

또한,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도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마찬가지로,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144)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직선(154)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서브 영역(156)상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러한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제2 서브 영역(154)상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like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is also formed to have a certain left and right width along the second vertical line 154 that vertically halves the second area 144 of the lining member. Although it is exemplified that one is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ub-region 156, such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as one long one on the second sub-region 154.

또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예를 들어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되어 접착제를 이용하여 압착방식으로 안감부재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안감부재에 봉제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loops of Velcro tape and attached to the lining member by a compression method using an adhesive, or may be attached to the lining member through sewing. there is.

또한, 위와 같이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이 제1 수직선과 제2 수직선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은 제1 서브 체결수단(120)과 제2 서브 체결수단(12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브라패스 체결수단(134)은 제3 서브 체결수단(130)과 제4 서브 체결수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based on the first vertical line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is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It may include a sub-fastening means 120 and a second sub-fastening means 122, and the second bra pass fastening means 134 includes a third sub-fastening means 130 and a fourth sub-fastening means 132. can do.

이때, 제1 서브 체결수단(120)은 상기 제1 서브 영역(142)내 상기 제1 수직선(150)의 제1 중심점(160)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서브 체결수단(122)은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12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first center point 160 of the first vertical line 150 in the first sub area 142, and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122 may be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based on the first center point.

또한, 제3 서브 체결수단(130)은 상기 제2 서브 영역(144)내 상기 제2 수직선(154)의 제2 중심점(162)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4 서브 체결수단(132)은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second center point 162 of the second vertical line 154 in the second sub area 144, and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132 may be formed on the other lower side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즉, 위와 같이 제1 서브 영역과 제2 서브 영역에 형성되는 각 서브 체결수단에 도 1에서와 같이 각 브라패드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대응 체결수단이 결합되어 브라패드(116)가 안감부재(110)에 부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브래지어를 착용하지 않아도 브래지어를 착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each bra pad as shown in FIG. 1 are coupled to each sub fastening means formed in the first sub region and the second sub reg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ra pad 116 is a lining member ( 110), the same effect as wearing a brassiere can be obtained without wearing a separate brassiere.

또한, 브라패드(116)는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좌측 가슴을 감싸는 제1 브라패드(112)와,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우측 가슴을 감싸는 제2 브라패드(114)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ra pad 116 is fastened to the first bra pad 112, which is fasten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and covers the left chest of the wearer,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bra pad 114 that covers the right chest of the wearer of the top.

이러한 제1 브라패드에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120)과 결합되는 제1 대응 체결수단(170)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122)과 결합되는 제2 대응 체결수단(172)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first bra pad, as shown in FIG. 2, a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0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first bra pad and coupled with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120, and , A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2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122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2 브라패드(114)에도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130)과 결합되는 제3 대응 체결수단(174)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132)과 결합되는 제4 대응 체결수단(176)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bra pad 11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second bra pad and is coupled with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130 to correspond to a third fastening. The means 174 and a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6 formed on one lower side of the pad based on the central point and coupled to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132 may be formed.

이에 따라, 각 서브 체결수단과 각 대응 체결수단을 벨크로 방식 등으로 서로 결합시키거나 해제시켜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각각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브래지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respectively, by coupling or disengaging each sub fastening means and eac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to each other in a Velcro method or the like. By allowing it to be attached, it can easily perform the role of a bra.

이때,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120)의 제1 세로 길이(180)는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170)의 단위 세로 길이(190)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122)의 제2 세로 길이(180)는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190)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vertical length 180 of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120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190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0 and small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The second vertical length 180 of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122 is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190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can

또한,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130)의 제3 세로 길이(180)는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190)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제4 세로 길이(180)는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190)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vertical length 180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130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190 of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 The fourth vertical length 180 of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190 of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half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또한,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170)의 제1 가로길이(192)는 0보다 길고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18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172)의 제2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rizontal length 192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0 may be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182 of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 The second horizontal length of 172) may be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또한,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174)의 제3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제4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4 may be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and the fourth horizontal length of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0 It may be longer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위와 같이 각 대응 체결수단의 제1 가로길이(192) 내지 제4 가로길이를 각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 길이(182)보다 길게 설정함에 따라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브라패드(112)와 제2 브라패드(114)를 제1 수직선(150)과 제2 수직선(154)을 기준으로 좌우로 일정 정도 위치 변경하여(P1, P2)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가슴의 위치가 상이한 다양한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에 맞게 브라패드의 위치를 변경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first horizontal length 192 to the fourth horizontal length of eac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long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182 of each sub-fastening means, as shown in FIG. 3, the first bra pad 112 and the second bra pad 114 can be combin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vertical line 150 and the second vertical line 154 to the left and right to a certain extent (P1, P2), so that various wearers with different chest positions can You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bra pad to match your chest position and combine it.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은 안감부재(110)상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안감부재와 상의과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와 안감부재 사이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are located on the lining member 110, and are in contact with the lining member and the upper garment as shown in FIG. 1. It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a pad so that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coupled between the top and the lining member.

또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안감부재가 신체와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 착용자의 가슴과 직접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브라패드가 안감부재에 의해 눌리는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의 착용자의 가슴을 감싸도록 되어 착용감을 좀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dy, so that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It is also possible to have the pads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breasts of the wearer of the top. In this case, the bra pad covers the chest of the wearer of the top without being affected by being pressed by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ing comfor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수직선(150)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220) 또는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scale 220 for position measurement or a groove is formed vertically along the first vertical line 150 in an area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of the first sub-region on the lining member. It can be.

이러한 위치 측정용 눈금(220)은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상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음번 브라패드 결합시 눈금을 기억하는 것을 통해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에 맞게 신속하게 제1 브라패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scale 220 for measuring the position allows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to recognize the previous combined position of the first bra pad coupled o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memorizes the scale when the next bra pad is coupled, so that the wearer can It is possible to quickly combine the first bra pad according to the chest position of the woman.

또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2 수직선(154)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222) 또는 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 a scale 222 for position measurement or a groove is formed vertically along the second vertical line 154 in the area adjacent to the left or the right of the second sub-region on the lining member. It can be.

이러한 위치 측정용 눈금은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음번 브라패드 결합시 눈금을 기억하는 것을 통해 착용자가 자신의 가슴 위치에 맞게 신속하게 제2 브라패드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is scale for measuring the position enables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to recognize the previous combined position of the second bra pad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so that the wearer can store his/her chest position by memorizing the scale when the next bra pad is coupled so that the second bra pad can be quickly combined according to the

또한, 위와 같은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 등은 안감부재외에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으로 사용되는 벨크로 등의 부재 자체에도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cale or groove for measuring the posi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 a member itself such as Velcro used as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 addition to the lining member.

즉,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는 도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6, on one side of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a vertical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is coupl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previous binding position of the pad.

또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도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recognizes the previous coupled position of the second bra pad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can make it possible

한편,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24)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142)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평선(300)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 서브 영역(302)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고, 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5,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24 has a certain upper and lower width along the first horizontal line 300 that horizontally halves the first region 142 of the lining member. It may be formed on all or part of the third sub-region 302 formed to have,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평선(310)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4 서브 영역(312)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is entirely or partially on the fourth sub-region 312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along the second horizontal line 310 that halves the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horizontally. can be formed in

또한, 위와 같이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이 제1 수평선과 제2 수평선을 기준으로 좌측부와 우측부에도 추가로 각각 설치되는 경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116)은 제5 서브 체결수단(400)과 제6 서브 체결수단(40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134)은 제7 서브 체결수단(410)과 제8 서브 체결수단(412)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first horizontal line and the second horizontal line,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116 It may include a fifth sub-fastening means 400 and a sixth sub-fastening means 402,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134 includes the seventh sub-fastening means 410 and the eighth sub-fastening means 412. may further include.

이때, 제5 서브 체결수단(400)은 상기 제3 서브 영역(302)내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6 서브 체결수단(402)은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fth sub-fastening means 40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of the third sub-region 302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and the sixth sub-fastening means 402 is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It can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또한, 제7 서브 체결수단(410)은 상기 제4 서브 영역(312)내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8 서브 체결수단(412)은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venth sub-fastening means 41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of the fourth sub-region 312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and the eighth sub-fastening means 412 is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It can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또한, 위와 같이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제5 서브 체결수단 내지 제8 서브 체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도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implemented to additionally include the fifth sub fastening means to the eighth sub fastening means,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lso correspond thereto. It can be implemented as a structure that becomes.

즉, 상기 제1 브라패드에는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5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5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6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6 대응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first bra pad, as shown in FIG. 5 , a fif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first bra pad and coupled to the fifth sub fastening means, and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 six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based on and coupled to the sixth sub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제2 브라패드에도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7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7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8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8 대응 체결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econd bra pad, a seven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second bra pad and coupled to the seventh sub fastening means, and a seven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part based on the central point of the pad An eigh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and coupled to the eighth sub fastening means may be formed.

위와 같이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이 안감부재상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서브 체결수단외에 안감부재상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4 내지 제8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고,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에도 각 서브 체결수단에 대응되는 제1 내지 제8 대응 체결수단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를 안감부재상 “+” 형태로 부착시킬 수 있어 브라패드를 안감부재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clude fourth to eigh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horizontally on the lining member in addition to the first to four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vertically on the lining member, , As the first to eigh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sub fastening means are formed in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attached in a “+” shape on the lining member. Therefore, the bra pad can be more stably attached to the lining member.

또한,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안감부재상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하나의 부재로 형성시키거나, 서로 이격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시키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바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는 안감부재상 가로 방향으로도 서로 이격된 복수의 부재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을 설명한바 있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s shown in FIGS. 3 and 5, they are formed as a single member formed lengthwise on the lining member, or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mation of the membe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as another embodiment, form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ining member has been described.

그러나,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형태는 앞서 설명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도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브라패드(116)를 안감부재상 적절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the shapes of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as shown in FIG. 7, the bra pad 116 can be properly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as needed. It can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that can be.

또한, 브라패드의 형태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서로 분리된 형태를 설명한 바 있으나, 이러한 브라패드 또한 도 8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hape of the bra pad,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second bra pad may be integrally 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속옷 일체형 상의에 있어서, 상의의 내부 전방측에 브라패드를 결합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안감부재를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안감부재에 브라패드를 결합시켜 착용함으로써 브래지어 등과 같은 별도의 속옷을 착용하지 않고 상의만 입은 경우에도 안감부재에 결합된 브래패드가 착용자의 가슴을 보호할 수 있고, 유두 등과 같은 가슴의 특정 부위가 돌출되어 상의의 표면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시켜 편안한 착용감을 확보하면서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nderwear-integrated top, a lining member capable of engaging or releasing the bra pad is form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top, and the bra pad is attached to the lining member if necessary. By combining and wearing it, even when wearing only a top without wearing separate underwear such as a bra, the bra pad coupled to the lining member can protect the wearer's chest, and certain parts of the chest, such as nipples, protrude to the surface of the top.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other people's eyes while securing a comfortable fit by preventing it from being display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not been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s predictable by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10 : 안감부재 112 : 제1 브라패드
114 : 제2 브라패드 120 : 제1 서브 체결수단
122 : 제2 서브 체결수단 130 : 제3 서브 체결수단
132 : 제4 서브 체결수단 142 : 제1 영역
142 : 제2 영역 152 : 제1 서브 영역
156 : 제2 서브 영역 170 : 제1 대응 체결수단
172 : 제2 대응 체결수단 174 : 제3 대응 체결수단
176 : 제4 대응 체결수단
110: lining member 112: first bra pad
114: second bra pad 120: first sub fastening means
122: second sub fastening means 130: third sub fastening means
132: fourth sub fastening means 142: first area
142: second area 152: first sub area
156: second sub area 170: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2: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4: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176: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Claims (15)

속옷 일체형 상의로서,
상의의 내측 전방측상 상의 착용자의 전체 가슴 영역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안감부재와,
상기 안감부재를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상기 안감부재상 제1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에 설치되는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에 설치되는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좌측 가슴 을 감싸는 제1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체결되어 상의 착용자의 우측 가슴 을 감싸는 제2 브라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영역상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영역상 하나로 형성되거나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직선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1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을 수직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직선을 따라 일정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서브 영역내 상기 제1 수직선의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서브 영역내 상기 제2 수직선의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3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4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s an underwear-integrated top,
A lining member installed to cover the entire chest area of the wearer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upper garment;
A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nstalled in a first region of the lining member based on a first center line on the lining member vertically bisecting the lining member;
A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nstalled in a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a first bra pad fasten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covering the left chest of the wearer;
A second bra pad fasten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d covering the right chest of the wearer of the top,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as one on the first region or formed in plural at regular intervals,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as one on the second region or formed in plural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on all or part of a first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long a first vertical line that vertically halves the first region of the lining member,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on all or part of a second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 along a second vertical line that vertically bisects the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 first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part based on a first center point of the first vertical line in the first sub region;
And a second sub-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 third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part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of the second vertical line in the second sub area;
An integrated underwear top comprising a four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1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2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3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4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 pad,
A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first bra pad and coupled to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A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The second bra pad,
A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of the second bra pad and coupled to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including a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part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의 제1 세로 길이는,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의 제2 세로 길이는,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1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의 제3 세로 길이는,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제4 세로 길이는,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단위 세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제2 수직선의 1/2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The second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first vertical line,
The third vertical length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The fourth vertical length of the fourth sub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unit vertical length of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smaller than 1/2 the length of the second vertical lin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의 제1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1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의 제2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2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대응 체결수단의 제3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3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4 대응 체결수단의 제4 가로길이는,
0보다 길고 상기 제4 서브 체결수단의 단위 가로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It is formed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first sub fastening means,
The second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It is formed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second sub fastening means,
The third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It is formed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third sub fastening means,
The fourth horizontal length of the four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is,
An underwear-integrated top that is longer than 0 and shorter than the unit horizontal length of the fourth sub-fasten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상기 제1 수직선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서브 영역의 좌측 인접 영역 또는 우측 인접 영역에는 상기 제2 수직선을 따라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On the lining member,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vertically along the first vertical line is form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left or right of the first sub area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top is coupl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enables recognition of the previous binding position of the bra pad,
On the lining member,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vertically along the second vertical line is formed in a left or right adjacent area of the second sub area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top is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that allows the recognition of the previous combination position of the bra 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안감부재상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의 일측에는 수직으로 위치 측정용 눈금 또는 홈이 형성되어 상의 착용자가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에 결합되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이전 결합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can recognize the previous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bra pad coupled to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let it be,
A scale or groove for position measurement is formed vertically on one side of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on the lining member, so that the wearer of the upper garment can recognize the previous coupled position of the second bra pad coupled to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 all-in-one underwear to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와 상의과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바깥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와 안감부재 사이에 결합되도록 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lining member and the top so that a first bra pad and a second bra pad are coupled between the top and the li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가 신체와 접촉되는 안감부재의 안쪽면에 형성되어 제1 브라패드와 제2 브라패드가 상의 착용자의 가슴과 직접 접촉되도록 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in which the lining memb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in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body so that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hest of the wear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1 영역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1 수평선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3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안감부재의 제2 영역을 수평으로 이등분하는 제2 수평선을 따라 일정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4 서브 영역상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on all or part of a third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width along a first horizontal line that horizontally halves the first region of the lining member,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formed in whole or in part on a fourth sub-reg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width along a second horizontal line that horizontally halves the second region of the lining memb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3 서브 영역내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5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1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6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상기 제2 서브 영역내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는 제7 서브 체결수단과,
상기 제2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타측에 형성되는 제8 서브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1,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 fifth sub-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a left part with respect to the first central point in the third sub-region;
And a six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based on the first central point,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A seventh sub-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part with respect to the second central point in the second sub-region;
An integrated underwear top comprising an eighth sub fastening mea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right side based on the second central point.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는,
상기 제1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5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5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6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6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상기 제2 브라패드의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7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7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패드 중심점을 기준으로 우측부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8 서브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제8 대응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2,
The first bra pad,
A fif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first bra pa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fifth sub fastening means;
A six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sixth sub fastening means,
The second bra pad,
A seven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ra pad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seventh sub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comprising an eighth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formed on one side of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of the pad and coupled to the eighth sub fastening mea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와 상기 제2 브라패드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ra pad and the second bra pad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nderwea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패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브라패드 체결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의 후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대응 체결수단과 상기 제2 대응 체결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의 루프로 형성되는 속옷 일체형 상의.
According to claim 4,
The first bra pad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bra pad fastening means,
It is formed as a hook of Velcro tape,
The first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d the second corresponding fastening means,
An underwear-integrated top formed by loops of Velcro tape.
KR1020220168813A 2022-12-06 2022-12-06 One-piece bra top KR1025402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13A KR102540240B1 (en) 2022-12-06 2022-12-06 One-piece bra t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8813A KR102540240B1 (en) 2022-12-06 2022-12-06 One-piece bra t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40B1 true KR102540240B1 (en) 2023-06-07

Family

ID=86760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8813A KR102540240B1 (en) 2022-12-06 2022-12-06 One-piece bra t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4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157B1 (en) 2016-11-30 2018-04-09 강인주 Clothes combine under wear
KR200489468Y1 (en) * 2019-03-20 2019-06-21 김혜미 Clothes preventing breast exposure
US20210007418A1 (en) * 2019-07-11 2021-01-14 Kwang Su Kim Volume-adjustable compensation brassie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157B1 (en) 2016-11-30 2018-04-09 강인주 Clothes combine under wear
KR200489468Y1 (en) * 2019-03-20 2019-06-21 김혜미 Clothes preventing breast exposure
US20210007418A1 (en) * 2019-07-11 2021-01-14 Kwang Su Kim Volume-adjustable compensation brassie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57B1 (en) Clothes combine under wear
US4564015A (en) Garment with built-in interior support structure
US7780502B2 (en) Partial undergarment and method for covering a woman's exposed cleavage
US5478278A (en) Inner breast cup insert for women's garment
US6336840B2 (en) Article of clothing with built-in bra
KR200489468Y1 (en) Clothes preventing breast exposure
CZ282715B6 (en) Brassiere
KR101578401B1 (en) Women's Clothes combine Under Wear
CA2396211A1 (en) Maternity nursing nightgown
KR20160124106A (en) Garment provided with cup sections
JP2000008204A (en) Brassiere
US2284382A (en) Garment
US20120144552A1 (en) Faux camisole
KR102540240B1 (en) One-piece bra top
KR200474328Y1 (en) Brassiere for a female
US2418009A (en) Back-protective surgical suspender vest
WO2023043102A1 (en) Brassiere
KR102449726B1 (en) Bra-attached clothing and detachable bra
JP2020056146A (en) Strapless brassiere
KR20120003776U (en) Functional brassiere
KR200496362Y1 (en) Women's top with detachable pad
JP2002038308A (en) Clothing easy exchangable breast cup and wearable with front side back
KR102066586B1 (en) Adjustable bustier vest for breast correction and no brassiere
JP3455087B2 (en) Women's clothing
KR200252448Y1 (en) Brassiere combine under shi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