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07B1 -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07B1
KR102540207B1 KR1020220106572A KR20220106572A KR102540207B1 KR 102540207 B1 KR102540207 B1 KR 102540207B1 KR 1020220106572 A KR1020220106572 A KR 1020220106572A KR 20220106572 A KR20220106572 A KR 20220106572A KR 102540207 B1 KR102540207 B1 KR 10254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rotating body
fixed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5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지성
주광웅
서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유에이텍
Priority to KR1020220106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B60N2002/0236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바디와, 고정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시트부에 연결되는 회전바디와, 고정바디에 대해 회전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바디를 고정바디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swivel device for a vehicle, and relates to a fixed body, a rotating body disposed facing the fixed body and connected to a seat portion, a rotating support portion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generating a driving for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ing unit for relativ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Vehicle seat swivel device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capable of adjusting a rotational angle of a vehicle seat.

일반적으로, 3열 이상의 시트 열을 구비한 승합 차량은 후방 탑승자의 대화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쿠션과 시트레일 사이에 일명 스위블(swivel)이라는 시트 회전장치가 장착된다. 이러한 스위블 장치는 탑승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또한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야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In general, a passenger vehicle having three or more seat rows provides rotatable seats to provide convenience for a rear occupant during a conversation. In this way, in order to rotate the seat, a seat rotating device called a swivel is mounted between the seat cushion and the seat rail. Such a swivel device must have sufficient rigidity to support the occupant's weight and must be able to perform smooth rotational motion in order to properly function.

그러나 종래의 스위블 장치는 특정 고정위치에서만 상하 이탈방지구조가 배치되어 부품의 이탈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케이블 등의 꼬임을 고려하여 회전각도가 최대 180°를 넘지 않도록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wivel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vertical separation prevention structure is disposed only at a specific fixed position, so that the separation of parts occurs frequently, and the rotation angle is limited to not exceed a maximum of 180 ° in consideration of twisting of the cable.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826513호(2018.02.01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에 개시되어 있다.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Publication No. 10-1826513 (registered on February 1, 2018, title of the invention: electric seat rotation device for vehicles).

본 발명은 360도 회전이 가능하고, 부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and preventing separation of par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는: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시트부에 연결되는 회전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ody; a rotating body disposed to face the fixed body and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 rotation support unit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elatively rotate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고정바디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 상기 회전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otation support unit, a first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fixing body; a second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또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양면이 각각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베어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bearings, both surfaces of which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2지지브라켓은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ody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rotation support unit includes a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xing body. contains more

또한,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지지브라켓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회전지지바디; 및 상기 제2회전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구름 접촉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one side coupled to the fixing body,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disposed to face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a second bear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bracket.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감속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rive unit may include a drive motor fixed to the fixing body and rece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a deceleration module fixed to the rotation body and interlocked with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ing motor to rotate the rotation body.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바디와 동축상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gap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In addition, the space maintaining unit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바디; 상기 간격유지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는 제1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간격유지바디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2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tance maintaining unit,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disposed outside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a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a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and a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and rotatably contacting the fixing body.

또한, 상기 제2간격유지부재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디의 단부에 걸림 결합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engaged with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body.

또한,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at unit; further includes.

또한,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상기 시트부로 전달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is connected to the drive unit, a transmission module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drive unit; and a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ransmitt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to the seat portion.

또한,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회전바디와 고정되어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 시 서로 상대 회전된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module is fixed to the fixed body, and the receiving module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and rotates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는 제1베어링과 제2베어링이 제2지지브라켓의 서로 다른 면을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에 따라, 회전바디의 회전 동작 시 회전지지부가 유격 등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first bearing and the second bearing individually rotatably support different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dur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the rotational support moves up and down due to play. can prevent it from happe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는 간격유지부에 의해 고정바디와 회전바디가 유격등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fix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from moving up and down due to a gap or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gap maintain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는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송신모듈과 수신모듈에 의해 시트부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의 회전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damage, twisting, etc. of cables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at by a transmission module and a reception module that wirelessly transmit power in a spaced apart state, and the seat The rotation range can be exten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on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ce kee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will have to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but also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It also includes cases where it is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In this specification,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does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but "includes (or includes)" other components. It means you can.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lso, like reference numerals may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Even i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not mentioned or described in a particular drawing, the numerals may be described based on another drawing. In addition, even if there are parts not marked with reference numerals in specific drawings, the parts can be described based on other drawings. In addition, the number, shape, size, and relative difference of the detailed components included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set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ithout limiting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1)는 고정바디(100), 회전바디(200), 회전지지부(300), 구동부(400), 간격유지부(500), 전력공급부(600)를 포함한다.1 to 4,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ed body 100, a rotating body 200, a rotation support unit 300, a driving unit 400, and a gap maintenance It includes a unit 500 and a power supply unit 600.

고정바디(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1)의 하측 외관을 형성하고, 시트부(2)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는 비회전요소로서 기능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디(100)가 차량의 플로워 패널 상에 설치된 시트 레일(10)을 따라 이동되며 시트부(2)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시트이송유닛(20)에 고정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고정바디(100)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차량의 플로워 패널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fixing body 100 forms the lower exterior of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nctions as a non-rotating element supporting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eat part 2 . Hereinafter, as shown in FIG. 1, the fixing body 100 moves along the seat rail 10 installed on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and is fixed to the seat transfer unit 20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eat portion 2. Let me explain with an example. However, the fixing body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floor panel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바디(100)는 상하 방향으로 납작한 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디(100)는 하측면이 시트이송유닛(20)의 상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고정바디(100)는 볼팅, 용접 등에 의해 시트이송유닛(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fixing bod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plat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ody 100 is disposed to face the upper side of the sheet transfer unit 20 . The fixing body 100 may be fixed to the sheet transfer unit 20 by bolting, welding, or the like.

고정바디(100)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구동부(400)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1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수용부(110)는 고정바디(100)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110)는 중심축이 고정바디(1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수용부(110)의 직경, 높이 등은 구동부(400)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A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ccommodating a driving part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xing body 100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f a groove concavely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ody 100 .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is disposed so that its central axis is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fixing body 100 . The diameter, height, etc.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can be variously desig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riving part 400 .

고정바디(100)의 단부에는 후술하는 간격유지부(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부(12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120)는 고정바디(100)의 단부 상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만곡지게 연장되는 후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0)는 링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바디(100)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An end portion of the fixing body 100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120 for rotatably supporting a space keeping portion 500 to be described later. The hooking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hook shape extending curvedly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end of the fixing body 100 . The hang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fixing body 100 to form a ring shape.

회전바디(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1)의 상측 외관을 형성하고, 고정바디(1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회전바디(200)는 후술하는 회전지지부(300)를 매개로 고정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바디(200)는 시트부(2)와 연결되어 시트부(2)의 회전 동작 시 시트부(2)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요소로서 기능한다.The rotating body 200 forms the upper exterior of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isposed to face the fixed body 100. The rotating body 200 is installed to be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0 via the rotation support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rotating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2 and functions as a rotating element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seat portion 2 during rotation of the seat portion 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바디(200)는 상하 방향으로 납작한 판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바디(200)는 하측면이 고정바디(100)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 회전바디(200)는 중심축이 고정바디(10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회전바디(200)는 상측면이 시트부(2)의 쿠션프레임의 하측면에 접촉된다. 회전바디(200)는 후술하는 구동부(400)를 매개로 쿠션프레임의 하측면에 간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회전바디(200)는 쿠션프레임의 하측면에 볼팅, 용접 등에 의해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Rotating body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flat plate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0 is disposed facing the upper side of the fixed body 1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rotating body 200 is arranged such that its central axis is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fixed body 100 .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unit 2 . The rotating body 200 may be indirec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via a driving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Alternatively, the rotating body 200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ushion frame by bolting, welding, or the like.

회전바디(200)에는 후술하는 전력공급부(600)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21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수용부(210)는 회전바디(200)의 하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210)는 대략 링 형태를 이루도록 회전바디(2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 경우, 제2수용부(210)는 직경이 제1수용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심축이 제1수용부(11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200 is formed with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0 accommodating a power supply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of a groove concavely formed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0 .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to form a substantially ring shape. In this cas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may have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may be arranged so that its central axis is coaxial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

회전지지부(300)는 고정바디(100)와 회전바디(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바디(100)에 대해 회전바디(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The rotation support part 30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and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body 20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5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otation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지지부(300)는 제1지지브라켓(310), 제2지지브라켓(320), 제1회전지지부재(330), 제2회전지지부재(340)를 포함한다.1 to 5, the rotation support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pport bracket 310, a second support bracket 320,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30, and a second support bracket 310. It includes a rotation support member 340.

제1지지브라켓(310)은 회전지지부(3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고정바디(10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브라켓(310)은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브라켓(310)은 고정바디(100)의 상측면과 회전바디(200)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1지지브라켓(310)은 반경 방향 외측의 높이가 반경 방향 내측의 높이보다 낮은 계단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브라켓(310)은 반경 방향 내측의 하측면이 제1수용부(110)의 외측에 배치된 고정바디(100)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팅 결합에 의해 고정바디(10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브라켓(310)은 구동부(400)와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내경이 제1수용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브라켓(310)의 반경 방향 외측의 하측면은 고정바디(100)의 상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지지브라켓(310)의 반경 방향 외측의 상측면은 제2수용부(21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forms the exterior of one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300 and is coupled to the fixed body 100.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hollow ring shape.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0 .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may be formed to have a stair-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is attached to the fixing body 100 by bolting in a state where the inner lower surface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00 disposed out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It can be fixed integrally.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part 400 . The outer low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in the radial direc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body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aces each other.

제2지지브라켓(320)은 회전지지부(3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회전바디(200)에 결합된다. 제2지지브라켓(320)은 제1지지브라켓(310)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회전바디(200)의 회전 시 제1지지브라켓(310)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지지브라켓(320)은 호 형상을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브라켓(320)은 고정바디(100)의 상측면과 회전바디(200)의 하측면 사이에 배치된다. 제2지지브라켓(320)은 반경 방향 외측의 높이가 반경 방향 내측의 높이보다 낮은 계단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브라켓(320)은 반경 방향 외측의 상측면이 제2수용부(210)의 외측에 배치된 회전바디(200)의 하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팅 결합에 의해 회전바디(20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제2지지브라켓(320)은 반경 방향 내측은 고정바디(100)와 제1지지브라켓(3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즉, 제2지지브라켓(320)의 반경 방향 내측의 하측면과 상측면은 각각 고정바디(100)의 상측면과 제1지지브라켓(310)의 반경 방향 외측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게 배치된다.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support 300 and is coupled to the rotation body 200 .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rotates relative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when the rotating body 200 rotate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n arc shape.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200 .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may be formed to have a stair-shaped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the height of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body 200 by bolting in a state where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rotation body 200 disposed out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It can be fixed integrally.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ody 100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of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face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ody 100 and the lower side of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placed to see

제2지지브라켓(320)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회전바디(2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3에서는 제2지지브라켓(320)이 4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2지지브라켓(3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개, 5개 등 다양한 개수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The second support brackets 320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body 200 . In FIG. 3, the number of second support brackets 32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of four, but the number of second support brackets 3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design changes can be made to various numbers such as three or five. possible.

제1회전지지부재(330)는 제1지지브라켓(310)과 제2지지브라켓(320)의 사이에 구비되고, 제1지지브라켓(310)에 대해 제2지지브라켓(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3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and rotate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회전지지부재(330)는 제1베어링(331)을 포함한다.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earing 331.

제1베어링(331)은 대략 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지지브라켓(310)과 제2지지브라켓(320)의 사이에 배치된다. 제1베어링(331)은 양면이 각각 제1지지브라켓(310)의 하측면과 제2지지브라켓(320)의 상측면에 구름 접촉된다. 제1베어링(33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1베어링(331)은 제1지지브라켓(310)과 제2지지브라켓(3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first bearing 331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Both sides of the first bearing 331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respectively. The first bearing 33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first bearings 3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제2회전지지부재(340)는 고정바디(100)와 제2지지브라켓(320)의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바디(100)에 대해 제2지지브라켓(3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회전지지부재(34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제2회전지지부재(340)는 제1지지브라켓(310)과 제2지지브라켓(3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 상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4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ody 10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and rotatably support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0 .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4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s 34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 circumference center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회전지지부재(340)는 제2회전지지바디(341), 제2베어링(342)을 포함한다.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and a second bearing 342 .

제2회전지지바디(341)는 대략 볼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바디(341)는 하측이 고정바디(100)를 상하로 관통하고, 너트 등과 체결되어 고정바디(100)에 일체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지지바디(341)는 후술하는 제2회전지지부재(340)가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회전지지바디(341)는 상측이 제2지지브라켓(320)의 하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bolt shape.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ing body 341 vertically penetrates the fixed body 100 and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ed body 100 by being fastened with a nut or the like. Accordingly,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40 from being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제2베어링(342)은 대략 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회전지지바디(341)의 상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베어링(342)은 상단부가 제2회전지지바디(34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제2지지브라켓(320)의 하측면에 구름 접촉된다. 제1베어링(331)과 제2베어링(342)은 각각 제2지지브라켓(320)을 사이에 두고 제2지지브라켓(320)의 서로 다른 면을 개별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제2지지브라켓(320)이 유격 등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The second bearing 342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and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 The upper end of the second bearing 342 protrudes upward from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1 and comes into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As the first bearing 331 and the second bearing 342 individually support different surfaces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with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therebetween,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 can be restricted from flowing up and down by play or the like.

구동부(40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회전바디(200)를 고정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시킨다.The driving unit 400 generates a driving force to relatively rotate the rotating body 200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0)는 구동모터(410), 감속모듈(420), 체결부재(430)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410, a deceleration module 420, and a fastening member 430.

구동모터(410)는 고정바디(100)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모터(4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와, 스테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전자기력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로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모터로 예시될 수 있다. 구동모터(410)는 제1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면이 제1수용부(110)의 상측면에 안착된다. 구동모터(410)는 제1수용부(11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팅 등에 의해 고정바디(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바디(100)와 일체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모터(410)는 회전바디(200)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The driving motor 410 is fixed to the fixed body 10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The drive motor 4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emplified by various types of electric motors including a stato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s electromagnetic force, and a rotor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o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stator. It can be. The drive motor 410 is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 and its lower surface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 The drive motor 41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fixed body 100 by bolting or the like in a state disposed inside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0, and integrally coupled to the fixed body 100 by welding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The driving motor 410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body 200 .

감속모듈(420)은 구동모터(410)와 연결되고, 회전바디(200)에 고정된다. 감속모듈(420)은 구동모터(4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회전바디(200)를 회전시킨다. 즉, 감속모듈(420)은 구동모터(410)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하여 회전바디(20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모듈(420)은 유성기어, 웜기어, 사이클로이드기어 등과 같이 구동모터(410)의 로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속모듈(420)은 중심축이 구동모터(41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구동모터(410)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deceleration module 42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410 a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200 . The deceleration module 420 rotates the rotating body 200 by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410 . That is, the deceleration module 420 functions as a component that decelerate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410 and transmits it to the rotation body 200 . The deceleration module 4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gears connected to the rotor of the drive motor 410 and rotatable, such as a planetary gear, a worm gear, and a cycloid gear. The deceleration module 420 may be disposed so that its central axis is positioned coaxially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drive motor 410 and may be formed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drive motor 410 .

체결부재(430)는 감속모듈(420)로부터 연장되고, 감속모듈(420), 회전바디(200) 및 시트부(2)를 상호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430)는 감속모듈(42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볼트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30)는 회전바디(200)를 상하로 관통하고, 시트부(2)의 내부로 삽입된다. 체결부재(430)는 단부가 시트부(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 등과 체결됨에 따라 감속모듈(420), 회전바디(200) 및 시트부(2)를 일체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430)는 감속모듈(420)의 회전 시 회전바디(200) 및 시트부(2)가 감속모듈(42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재(43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감속모듈(4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430 extends from the deceleration module 420 and interconnects the deceleration module 420, the rotating body 200 and the seat portion 2. The fastening member 4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to have a bolt shap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deceleration module 420 . The fastening member 430 vertically penetrates the rotating body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seat portion 2 . The fastening member 430 integrally fixes the deceleration module 420, the rotary body 200, and the seat part 2 as it is fastened to a nut or the like in a state where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seat part 2.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 430 may allow the rotation body 200 and the seat portion 2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eduction module 420 when the reduction module 420 rotates. The fastening member 4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eceleration module 420 .

간격유지부(500)는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와 연결되어 고정바디(100)와 회전바디(2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간격유지부(500)는 고정바디(100)와 회전바디(200)가 유격 등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거나, 정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회전바디(200)의 원활한 회전 동작을 유도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5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개의 간격유지부(500)는 등간격으로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간격유지부(500)는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가 둘레 전체에 걸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gap maintaining unit 500 is connected to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 Accordingly, the gap maintaining unit 500 prevents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from moving up and down due to play 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hereby inducing a smooth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there is. The spacing maintaining unit 50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space keeping units 50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pace keeping units 500 may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pace kee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부(500)는 간격유지바디(510), 제1간격유지부재(520), 제2간격유지부재(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space maintaining unit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ace maintaining body 510, a first space maintaining member 520, and a second space maintaining member 530.

간격유지바디(510)는 간격유지부(500)의 중앙부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제1간격유지부재(520), 제2간격유지부재(530)를 전체적으로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유지바디(510)는 대략 평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바디(510)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 즉,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중심축의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간격유지바디(510)는 내측면이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단부면과 마주보게 배치된다.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tance maintaining unit 500, and supports 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20 and 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30 as a whol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flat plate shape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f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maintaining body 510 is disposed to face the end surfaces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

제1간격유지부재(520)는 간격유지바디(5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회전바디(200)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간격유지부재(520)는 간격유지바디(510)의 상단부로부터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반경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간격유지부재(520)는 하측면이 회전바디(200)의 상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지지브라켓(320)과 회전바디(200)를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 등에 의해 회전바디(200)에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간격유지바디(510)와 제1간격유지부재(520)는 회전바디(200)의 회전 시, 회전바디(200)의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바디(200)와 함께 회전된다.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2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and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200 . 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ape of a plate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from the upper end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can be formed to have 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20 is rotated by a bolt or the like that simultaneously penetrates the second support bracket 320 and the rotation body 200 while the low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body 200. can be integrally fixed to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and the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2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body 200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on body 200 when the rotation body 200 rotates.

제2간격유지부재(530)는 간격유지바디(5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고정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간격유지부재(530)는 간격유지바디(510)의 하단부로부터 고정바디(100) 및 회전바디(200)의 반경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간격유지부재(530)는 후크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고정바디(10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20)에 걸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간격유지부재(530)는 간격유지바디(510)의 회전 시 고정바디(100)와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며 고정바디(100)에 대해 상대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30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and is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fixing body 100 . 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510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The second gap maintaining member 530 is formed to have a hook shape and is engaged with the hooking portion 120 formed at the end of the fixing body 100 . Accordingly, 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530 maintains a fastened state with the fixing body 100 when the spacing maintaining body 510 rotates, and can be relatively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body 100 .

전력공급부(600)는 고정바디(100)와 회전바디(200)의 사이에 구비되고, 시트부(2)로 전력을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공급부(600)는 구동부(400)와 연결되어 구동부(400)로 공급되는 전력을 일부 전달받고, 전달받은 전력을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결합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을 통하여 시트부(2)에 무선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기능한다.The power supply unit 600 is provided between the fixed body 100 and the rotating body 200, and supplies power to the seat unit 2. More 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0 to receive some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power to the seat unit through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electromagnetic induction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It functions as a structure that wirelessly supplies to (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확대도이다.7 is an enlarged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600)는 송신모듈(610), 수신모듈(6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 a power supply unit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ssion module 610 and a reception module 620.

송신모듈(610)은 구동부(400)와 연결되고, 구동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모듈(610)은 대략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바디(200)와 제1지지브라켓(310)의 사이에 배치된다. 송신모듈(610)은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제1지지브라켓(310)에 결합되어 고정바디(100)에 간접적으로 고정된다. 송신모듈(610)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복수개의 평판형 코일이 송신모듈(6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송신모듈(610)은 구동부(400),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모터(410)와 케이블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410)로 공급되는 전력의 일부를 전달받는다.The transmission module 610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400 and wirelessly transmits power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400 . The transmission module 6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hollow ring shape and is disposed between the rotating body 200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The transmission module 610 is indirectly fixed to the fixing body 100 by being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310 by bolting or welding. Inside the transmission module 610, a plurality of flat coils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certain length is wound multiple tim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ransmission module 610. The transmission module 6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ive unit 400, more specifically, the drive motor 410 by a cable, etc., and receives a portion o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motor 410.

수신모듈(620)은 송신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송신모듈(610)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되는 전력을 시트부(2)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모듈(620)은 대략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수용부(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수신모듈(620)은 볼팅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제2수용부(210)의 하측면에 결합되어 회전바디(200)에 고정된다. 수신모듈(620)은 하측면이 송신모듈(610)의 상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수신모듈(620)은 회전바디(200)의 회전 시 송신모듈(610)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수신모듈(620)은 시트부(2)의 회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2)의 회전 가능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다. 수신모듈(620)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도전성부재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복수 회 권선되는 복수개의 평판형 코일이 수신모듈(6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수신모듈(620)은 송신모듈(610)과의 전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결합 방식 또는 자기공진 방식을 통하여 송신모듈(610)로 전달된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받는다. 수신모듈(620)은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각종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시트부(2)의 기울기, 높이 등을 조절하는 시트부(2)의 제어회로(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시트부(2)의 제어회로로 송신모듈(610)로부터 전송받은 전력을 공급한다.The receiving module 6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ransmits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610 to the seat portion 2 . The receiving module 6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hollow ring shape and is dispos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 The receiving module 62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0 by bolting or welding a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200 .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module 62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transmitting module 610 . The receiving module 620 rotates relative to the transmitting module 610 when the rotating body 200 rotates. Accordingly, the receiving module 620 can prevent damage or twisting of cables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at part 2 and can expand the rotatable range of the seat part 2 . Inside the receiving module 620, a plurality of flat coils in which a conductive member having a certain length is wound a plurality of times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module 620. The receiving module 620 wirelessly receives the power transmitted to the transmitting module 610 through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or a magnetic resonance method based on electromagnetic induction with the transmitting module 610 . The receiving module 6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circuit (not shown) of the seat part 2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various motors by a user's switch operation to adjust the inclination, height, etc. of the seat part 2, Power received from the transmission module 610 is suppli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seat part 2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below.

1 :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2 : 시트부
100 : 고정바디
110 : 제1수용부 120 : 걸림부
200 : 회전바디 210 : 제2수용부
300 : 회전지지부 310 : 제1지지브라켓
320 : 제2지지브라켓 330 : 제1회전지지부재
331 : 제1베어링 340 : 제2회전지지부재
341 : 제2회전지지바디 342 : 제2베어링
400 : 구동부 410 : 구동모터
420 : 감속모듈 430 : 체결부재
500 : 간격유지부 510 : 간격유지바디
520 : 제1간격유지부재 530 : 제2간격유지부재
600 : 전력공급부 610 : 송신모듈
620 : 수신모듈
Reference Numerals 1: vehicle seat swivel device 2: seat portion
100: fixed body
110: first accommodating part 120: hanging part
200: rotation body 210: second receiving unit
300: rotation support 310: first support bracket
320: second support bracket 330: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331: first bearing 340: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341: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342: second bearing
400: driving unit 410: driving motor
420: deceleration module 430: fastening member
500: spacing maintenance unit 510: spacing maintenance body
520: first spacing member 530: second spacing member
600: power supply unit 610: transmission module
620: receiving module

Claims (14)

고정바디;
상기 고정바디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시트부에 연결되는 회전바디;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 및
구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회전바디를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시트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고정바디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
상기 회전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제1지지브라켓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지지브라켓;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대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전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바디에 대해 상기 제2지지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지지부재는,
일측이 상기 고정바디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지지브라켓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회전지지바디; 및
상기 제2회전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구름 접촉되는 제2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지지바디는 볼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하측이 상기 고정바디를 상하로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고,
상기 제2베어링은 상단부가 상기 제2회전지지바디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지지브라켓의 하측면에 구름 접촉되고,
상기 고정바디에는 상기 고정바디의 상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제1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바디에는 상기 회전바디의 하측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제2수용부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전력공급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송신모듈; 및
상기 송신모듈과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을 상기 시트부로 전달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모듈은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지지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수신모듈은 중공형의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회전바디의 회전 시 서로 상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fixed body;
a rotating body disposed to face the fixed body and connected to the seat portion;
a rotation support unit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on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a driving unit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relatively rotate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between the fixing body and the rotating body and supplying power to the seat unit; including;
The rotational support,
a first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fixing body;
a second support bracket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disposed between the fixing body and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pport bracket;
a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A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rotatably supporting the second support bracket with respect to the fixing body; and
The second rotation support member,
a second rotational support body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fixing body and the other side facing the second support bracket; and
A second bearing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and in rolling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bracket;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is formed to have a bolt shape, and the lower side penetrates the fixing body vertically and is fastened with a nut,
The second bearing has an upper e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cond rotation support body and rolling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bracket,
The fixing body is formed with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concavely formed downward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ody,
The rotating body is formed with a second receiving portion concavely formed concave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rotating body,
The power supply unit i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accommodating unit,
The power supply unit,
a transmission module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and
A receiving modul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ransmitt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module to the seat portion;
The transmission module is formed to have a hollow ring shape and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bracket,
The receiving module is formed to have a hollow ring shape and is fixed to the rotating body,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ing module and the receiving module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지지부재는 양면이 각각 상기 제1지지브라켓과 상기 제2지지브라켓에 구름 접촉되는 복수개의 제1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bearings, both sides of the first rotation support member ar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first support bracket and the second support bracket, respectively.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에 연동되어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키는 감속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a driving motor fixed to the fixing body and receiv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and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comprising a; deceleration module fixed to the rotation body and interlocked with rotational force generated from the drive motor to rotate the rotation bod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회전바디와 동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6,
The drive motor is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ispos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bod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회전바디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t swive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gap maintaining unit for maintaining a distance between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maintaining portion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s of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고정바디 및 상기 회전바디의 외측에 배치되는 간격유지바디;
상기 간격유지바디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회전바디에 고정되는 제1간격유지부재; 및
상기 간격유지바디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고정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제2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8,
The spacing maintaining unit,
a space maintaining body disposed outside the fixed body and the rotating body;
a first distance maintaining memb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and fixed to the rotating body; and
A vehicle seat swivel device comprising a;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distance maintaining body and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fixing body.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유지부재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디의 단부에 걸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ccording to claim 10,
The vehicle seat swive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distance maintaining member is formed in a hook shape and engaged with the end of the fix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06572A 2022-08-25 2022-08-25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KR1025402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72A KR102540207B1 (en) 2022-08-25 2022-08-25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572A KR102540207B1 (en) 2022-08-25 2022-08-25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207B1 true KR102540207B1 (en) 2023-06-07

Family

ID=8676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572A KR102540207B1 (en) 2022-08-25 2022-08-25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0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A (en) * 1996-06-14 1998-01-06 Ikeda Bussan Co Ltd Rotation adjusting mechanism of seat for vehicle
KR101997869B1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Wireless swivel device for seat
KR102190069B1 (en) * 2019-06-12 2020-12-1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Swivel device
KR20220069492A (en)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Power driving device for swivel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1A (en) * 1996-06-14 1998-01-06 Ikeda Bussan Co Ltd Rotation adjusting mechanism of seat for vehicle
KR101997869B1 (en) * 2017-12-28 2019-07-08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Wireless swivel device for seat
KR102190069B1 (en) * 2019-06-12 2020-12-1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Swivel device
KR20220069492A (en)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다스 Power driving device for swivel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6344B2 (en) Transmission device for seat adjusters
GB2347344A (en) Rotatable vehicle seat
CN108883903A (en) Driving unit for elevator device
US20100102611A1 (en) Seat swivel with brake for infinite rotational position adjustment
EP1473192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US8631896B2 (en) Steering wheel for a motor vehicle having superimposed steering
US20190078673A1 (en) Vehicle drive apparatus
US20140167475A1 (en) Drive device with electric motor and reduction gear
KR102540207B1 (en) Seat swivel apparatus for vehicle
JP2009527362A (en) Spinning device and shaping device
US20180361885A1 (en) Motion conversion device for vehicle
JP2019115135A (en) Vehicle drive device
JP2014519301A (en) Planetary gear device for seat adjustment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planetary gear device
JP2008212272A (en) Electric component arranging structure of vehicle with differential casters
KR101718602B1 (en) 360 degree rotation type electric fan
KR102475848B1 (en) Power swivel system of seat for vehicle and its differential hollow cycloidal speed reducer
KR20020072621A (en) Seat slide mechanism for an automobile
EP3753672B1 (en) Inclining and rotating table apparatus
US11458793B2 (en)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JP2015003573A (en) Vehicular seat
KR102527143B1 (en) Power swivel system of seat for vehicle and its Strain wave Gear type transmission
KR20200132418A (en) Seat Lever and Actuator Combined Folding Device for Automobile
KR20230163947A (en) Interior customizing apparatus
US20230139845A1 (en) Power swivel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2446466B1 (en) Seat swivel mechanism for vehic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