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960B1 -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960B1
KR102539960B1 KR1020220178914A KR20220178914A KR102539960B1 KR 102539960 B1 KR102539960 B1 KR 102539960B1 KR 1020220178914 A KR1020220178914 A KR 1020220178914A KR 20220178914 A KR20220178914 A KR 20220178914A KR 102539960 B1 KR102539960 B1 KR 102539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ing unit
angle
height
dist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공대화학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공대화학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공대화학건설
Priority to KR1020220178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9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35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 B08B7/0042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radiant energy, e.g. UV, laser, light beam or the like by 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69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76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 B23K26/0884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hea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in at least two axial directions in at least in three axial directions, e.g. manipulators,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작업 대상물 표면의 녹이나 도장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는, 레이저 발진기가 내장된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부;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다관절 구조에 의해 타단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인입출되어 길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거리조절부; 상기 거리조절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의 높이, 각도 및 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레이저헤드의 높이, 각도 및 거리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Rust and Paint Removal Device using Laser}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나 금속 제품 등의 표면에 발생된 녹과 노후된 도장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제거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로 이루어진 금속 제품의 표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산화 작용으로 인해 녹이 발생되고, 또한, 햇빛이나 오염물로 인한 제품의 도장면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렇게 제품에 녹이 발생하거나 도장면이 변색되게 되면, 샌드, 비드 및 연마액(이하 '연마재'로 통칭 한다) 등을 이용한 다양한 블라스트 공법을 통해 제품 표면의 녹이나 도장을 제거한 다음, 필요시 제품을 재도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블라스트 공법의 경우 고압 분사되는 연마재가 작업장 주변으로 비산되기 때문에 야외에서 작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블라스트 공법 대신에 레이저를 이용하여 제품 표면의 녹이나 도장 등을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351234호의 수작업 레이저 세정 장치(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레이저 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레이저 발생기가 발진한 레이저빔을 광섬유를 통해 전송받아 작업물의 표면에 조사하는 레이저 세정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세정 헤드는, 제1 헤드 하우징 파트 및 상기 제1 헤드 하우징 파트와 교차하는 제2 헤드 하우징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헤드 하우징 파트는 작업자가 상기 레이저 세정 헤드를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역할을 하는 헤드 하우징과, 상기 제1 헤드 하우징 파트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광섬유의 끝단에서 분산되는 레이저빔을 평행광으로 조준시키는 조준기와, 상기 제1 헤드 하우징 파트와 상기 제2 헤드 하우징 파트의 연결 부위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조준기를 거쳐 전송된 레이저빔을 스캔 모터에 장착된 미러로 고속 스캐닝하는 고속 갈바노 스캐너와, 상기 고속 갈바노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레이저빔을 초점거리에 포커싱하여 작업물의 표면에 조사하며, 상기 제2 헤드 하우징 파트의 내측에 위치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초점렌즈의 하부에서 레이저빔을 가이드하도록 제2 헤드 하우징 파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헤드 하우징 파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고정 파트와, 상기 고정 파트에 대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이동 파트를 포함하여, 상기 초점렌즈에 따라 길이가 조절 가능한 레이저빔 가이드 바와, 작업물의 표면이 금속이 아닌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레이저 발생기의 레이저빔 발진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의 말단부 부근에 설치되어 작업물의 표면이 금속인지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금속 감지 센서와, 작업물의 금속 표면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상기 이동 파트의 말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초점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레이저 세정 헤드를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보장하는 베어링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작업자가 작업 대상의 표면에 대고 레이저 세정 헤드를 파지한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장시간 작업이 어렵고, 또한, 가로등 지주와 같이 높이가 있는 구조물의 작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로등의 지주와 같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제품 표면의 녹이나 도장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351234 B1 (2022. 01. 11.) KR 10-2280373 B1 (2021. 07. 16.) KR 10-2272649 B1 (2021. 06. 29.) KR 10-2337207 B1 (2021. 12. 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녹 및 도장 제거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작업 대상물 표면의 녹이나 도장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는, 레이저 발진기가 내장된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부;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다관절 구조에 의해 타단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부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인입출되어 길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거리조절부; 상기 거리조절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의 높이, 각도 및 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레이저헤드의 높이, 각도 및 거리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 및 상기 거리조절부에 각각 설치되면서 다단 실린더의 인입출 길이를 조절하는 인입출조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조절부는, 상기 본체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은, 상기 본체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이 제어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의 내부에 상기 본체에서 상기 레이저헤드로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가 상기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의 높이, 각도 및 거리를 조절하고, 레이저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거리조절부 및 레이저헤드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를 포함하여 가로등 지주 등과 같이 소정 높이를 가지는 작업 대상의 높이와 거리에 맞추어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한 레이저헤드가 거리조절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에 의해 조절된 높이 및 거리에 맞추어 위치 고정되므로 작업자가 레이저헤드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작업 대상 표면의 녹과 도장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리조절부의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가 사용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소정 높이를 가지는 작업 대상물 표면의 녹이나 도장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거리조절부(40), 레이저헤드(50), 인입출조절부(60) 및 각도조절유닛(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거나 또는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레이저를 발생하는 레이저발진기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사각 박스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레이저발진기(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되며, 저면에는 본체(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의 바퀴(도면부호 없음)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일측에는 후술되는 레이저헤드(50)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출력 등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11)와, 컨트롤러(11)의 제어를 통해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가 설치된다.
또한, 위에서는 컨트롤러(11)가 레이저헤드(5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후술되는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거리조절부(40)가 인입출조절부(60)와 각도조절유닛(70)의 구성을 통해 원격으로 레이저헤드(50)의 높이, 각도 및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컨트롤러(11)를 통해 인입출조절부(60)와 각도조절유닛(70)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레이저발진기에서 발생한 레이저빔이 레이저헤드(50)를 통해 조사될 수 있도록 광섬유로 이루어진 케이블(C)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케이블(C)의 일단은 레이저발진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레이저헤드(50)와 연결되며, 양단 사이는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및 거리조절부(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케이블(C)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높이조절부(20)는 내부에 케이블(C)이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후술되는 각도조절부(30)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을 가지면서 하단이 본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고정대(21)와, 일단이 상기 고정대(2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1 높이조절대(22) 및 일단이 상기 제1 높이조절대(22)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2 높이조절대(23)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및 제2 높이조절대(23)는 다단으로 인입출 동작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인입출 동작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및 제2 높이조절대(23)의 내부에는 관통구멍(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케이블(C)이 관통 설치되게 된다.
또한, 고정대(21)의 하단에는 본체(10)에 고정되기 위한 소정 지름의 플랜지(21A)가 형성되고, 제2 높이조절대(23)의 상단에는 후술되는 각도조절부(30)의 제1 회전연결대(31A)와 조립되는 회전연결대(23A)가 설치된다.
이때 회전연결대(23A)는 제2 높이조절대(23)를 기준으로 360°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회전연결대(23A)의 일측에는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연결관(도면부호 없음)이 돌출 형성되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ㄱ"자 또는 역 "ㄱ"자 모양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회전연결대(23A)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후술되는 각도조절유닛(70)의 구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및 제2 높이조절대(23)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인입출 정도를 조절하여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인출된 제1, 2 높이조절대(22, 23)의 길이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버튼식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인입출조절부(6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인입출조절부(60)를 통해 원격 제어에 의해 제1, 2 높이조절대(22, 23)가 자동으로 인입출 동작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사용시 레이저헤드(50)가 안착되도록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헤드안착대(24)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헤드안착대(24)의 상단에는 레이저헤드(50)의 저면이 지지되는 안착판(24A)이 설치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는 일단이 높이조절부(20)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다관절 구조에 의해 타단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거리조절부(40)의 선단에 설치되는 레이저헤드(50)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각도조절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원형 관체로 이루어지는 제1 각도조절대(31)와, 상기 제2 각도조절대(31)에 대응되는 원형 관체로 이루어지는 제2 각도조절대(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제1, 2 각도조절대(31, 32)와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케이블(C)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각도조절대(31, 32)의 양단에는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각도조절대(31)의 제1 회전연결대(31A)는 높이조절부(20)의 회전연결대(23A)와 연결되고, 제1 각도조절대(31)의 제2 회전연결대(31B)는 제2 각도조절대(32)의 제1 회전연결대(32A)와 연결되며, 제2 회전연결대(32)의 제2 각도조절대(32B)는 후술되는 거리조절부(40)의 설치대(41)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는 높이조절부(20)의 회전연결대(23A)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후술되는 각도조절유닛(70)의 구성에 의해 원격으로 제어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리조절부(40)는 일단이 각도조절부(30)의 타단(제2 각도조절대(32)의 제2 회전연결대(32B))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인입출되어 길이 조절되는 것에 의해 레이저헤드(50)의 작업 대상간의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거리조절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설치대(41)와, 일단이 상기 설치대(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1 거리조절대(42) 및 일단이 상기 제1 거리조절대(42)의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2 거리조절대(43)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거리조절부(40)가 높이조절부(20)와 같이 다단으로 인입출 동작되는 실린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2 거리조절대(42, 43)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인입출 동작되어 작업 대상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거나, 또는 높이조절부(20)와 같이 인입출제어부(60)의 구성이 설치되어 원격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인입출 동작되면서 작업 대상과의 이격된 거리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대(41)의 일단에는 회전연결대(41A)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각도조절부(30)의 제2 각도조절대(32)에 구비되는 제2 회전연결대(32B)와 연결되며, 제2 거리조절대(43)의 자유단에는 레이저헤드(50)가 장착되는 헤드장착대(43A)가 설치된다.
레이저헤드(50)는 거리조절부(40)의 제2 거리조절대(43)에 구비되는 헤드장착대(43A)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레이저발진기에서 발생하는 레이저빔이 케이블(C)을 통해 레이저헤드(50)로 전달되어 작업 대상에게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레이저헤드(50)는 공지된 다양한 사양의 레이저헤드(50) 중에서 선택되어 설치되고, 또한 헤드장착대(43A)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레이저헤드(50)를 따로 분리하여 교체 및 점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입출조절부(60)는 높이조절부(20)의 제1, 2 높이조절대(22, 23)와 거리조절부(40)의 제1, 2 거리조절대(42, 43)의 인입출 길이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인입출조절부(6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대(21)와 제1 높이조절대(22) 및 설치대(41)와 제1 거리조절대(4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설치대(61)와, 상기 설치대(6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피니언기어(62)와, 상기 설치대(61)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니언기어(62)를 회전 동작시키는 구동모터(63) 및 제1, 2 높이조절대(22, 23)와 제1, 2 거리조절대(42, 43)의 외측면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랙기어(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피니언기어(62)는 랙기어(64)와 맞물리도록 설치되고,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설치대(41) 및 제1 거리조절대(42)에는 랙기어(64)가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소정 크기의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조절대(2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64)와 제2 높이조절대(23)에 설치되는 랙기어(64) 및 제1 거리조절대(42)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64)와 제2 거리조절대(53)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랙기어(64)는 서로 소정 각도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고,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설치대(41) 및 제1 거리조절대(42)의 외측면에는 길이를 따라 랙기어(64)가 삽입되도록 소정 폭으로 절개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자가 본체(10)의 컨트롤러(11)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3)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피니언기어(62)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면서 랙기어(64)가 설치된 제1, 2 높이조절대(22, 23) 및 제1, 2 거리조절대(42, 43)의 인입출 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각도조절유닛(70)은 높이조절부(20)의 회전연결대(23A)와 각도조절부(30)의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에 각각 설치되어 제1, 2 각도조절대(31, 32)의 각도를 원격으로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각도조절유닛(7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연결대(23A) 및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피동기어(71)와, 제2 높이조절대(23), 제1, 2 각도조절대(31, 32)에 설치 고정되는 구동모터(72) 및 상기 구동모터(72)에 설치되어 피동기어(71)와 맞물려 회전되는 소정 지름의 구동기어(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체(10)의 컨트롤러(11)를 조작하여 구동모터(72)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구동기어(73)가 회전 동작되고, 이를 통해 구동기어(73)와 맞물리는 피동기어(71)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연결대(23A) 및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가 회전 동작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 및 도장 제거장치(1)가 가로등 지주(2)의 일측에 위치된 다음, 작업 대상의 높이와 거리에 맞추어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가 적절하게 조절되고, 레이저헤드가 높이조절부, 각도조절부 및 거리조절부를 통해 지지되므로 작업자가 레이저헤드를 직접 파지하지 않고도 작업 대상 표면의 녹과 도장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녹 및 도장 제거장치 2: 지주
10: 본체 11: 컨트롤러
12: 디스플레이 20: 높이조절부
21: 고정대 21A: 플랜지
22: 제1 높이조절대 23: 제2 높이조절대
23A: 회전연결대 24: 헤드안착대
24A: 안착판 30: 각도조절부
31: 제1 각도조절대 31A: 제1 회전연결대
31B: 제2 회전연결대 32: 제2 각도조절대
32A: 제1 회전연결대 32B: 제2 회전연결대
40: 거리조절부 41: 설치대
41A: 회전연결대 42: 제1 거리조절대
43: 제2 거리조절대 43A: 헤드장착대
50: 레이저헤드 60: 인입출조절부
61: 설치대 62: 피니언기어
63: 구동모터 64: 랙기어
70: 각도조절유닛 71: 피동기어
72: 구동모터 73: 구동기어
C: 케이블

Claims (5)

  1. 레이저 발진기가 내장된 본체(10);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높이조절부(20);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20)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다관절 구조에 의해 타단의 각도가 조절되는 각도조절부(30);
    일단이 상기 각도조절부(30)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인입출되어 길이 조절되도록 다단 실린더 구조를 가지는 거리조절부(40);
    상기 거리조절부(40)의 타단에 설치되어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레이저헤드(50);
    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및 거리조절부(40)의 높이, 각도 및 거리 조절을 통해 상기 레이저헤드(50)의 높이, 각도 및 거리가 조절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20) 및 상기 거리조절부(40)에 각각 설치되면서 다단 실린더의 인입출 길이를 조절하는 인입출조절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인입출조절부(60)는,
    상기 본체(10)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높이조절부(20)와 상기 각도조절부(30)에 설치되어 상기 각도조절부(3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유닛(70)이 구비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70)은,
    상기 본체(10)를 통해 원격으로 동작이 제어되며,
    상기 높이조절부(20)는,
    소정 지름을 가지면서 하단이 본체(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고정대(21);
    일단이 상기 고정대(21)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1 높이조절대(22); 및
    일단이 상기 제1 높이조절대(22)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원통형 실린더 모양의 제2 높이조절대(23);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대(21), 제1 높이조절대(22) 및 제2 높이조절대(23)는 다단으로 인입출 동작되는 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인입출 동작되어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높이조절대(23)에는,
    회전연결대(23A)가 설치되고,
    상기 각도조절부(30)는,
    소정 길이를 원형 관체로 이루어지는 제1 각도조절대(31);
    상기 제1 각도조절대(31)에 대응되는 원형 관체로 이루어지는 제2 각도조절대(32);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각도조절대(31, 32)의 양단에는,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 각도조절대(31)의 상기 제1 회전연결대(31A)는,
    상기 높이조절부(20)의 상기 회전연결대(23A)와 연결되고,
    상기 제1 각도조절대(31)의 상기 제2 회전연결대(31B)는,
    상기 제2 각도조절대(32)의 상기 제1 회전연결대(32A)와 연결되며,
    상기 제2 각도연결대(32)의 상기 제2 회전조절대(32B)는,
    상기 거리조절부(40)와 연결되고,
    상기 각도조절유닛(70)은,
    상기 회전연결대(23A) 및 제1, 2 회전연결대(31A, 32A, 31B, 32B)의 외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소정 지름의 피동기어(71);
    상기 제2 높이조절대(23), 제1, 2 각도조절대(31, 32)에 설치 고정되는 구동모터(72); 및
    상기 구동모터(72)에 설치되어 피동기어(71)와 맞물려 회전되는 소정 지름의 구동기어(7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및 거리조절부(4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0)에서 상기 레이저헤드(50)로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케이블(C)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기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및 거리조절부(40)의 높이, 각도 및 거리를 조절하고, 레이저빔의 출력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 및
    상기 높이조절부(20), 각도조절부(30), 거리조절부(40) 및 레이저헤드(50)의 동작 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KR1020220178914A 2022-12-20 2022-12-20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KR102539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14A KR102539960B1 (ko) 2022-12-20 2022-12-20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914A KR102539960B1 (ko) 2022-12-20 2022-12-20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960B1 true KR102539960B1 (ko) 2023-06-05

Family

ID=86764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914A KR102539960B1 (ko) 2022-12-20 2022-12-20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96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72U (ko) * 2014-12-29 2016-07-07 (주)비슬로 이동식 레이저 마킹기
KR20190011041A (ko) * 2017-07-24 2019-02-01 최진흥 입체 표면 스캔 기술과 레이저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층 제거 자동화 시스템
KR102272649B1 (ko) 2017-07-17 2021-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 품질 검사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KR102280373B1 (ko) 2020-12-30 2021-07-22 주식회사 마이크로이미징 3중 구조의 레이저출사안전장치를 갖는 클린 레이저 시스템
KR102337207B1 (ko) 2017-09-19 2021-12-09 주식회사 스톰테크 안전기능이 구비된 포터블 레이저 장치
KR102351234B1 (ko) 2020-02-27 2022-01-14 주식회사 아이엠티 수작업 레이저 세정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372U (ko) * 2014-12-29 2016-07-07 (주)비슬로 이동식 레이저 마킹기
KR102272649B1 (ko) 2017-07-17 2021-07-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 품질 검사 기능을 구비한 레이저 클리닝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11041A (ko) * 2017-07-24 2019-02-01 최진흥 입체 표면 스캔 기술과 레이저를 이용한 친환경 도장층 제거 자동화 시스템
KR102337207B1 (ko) 2017-09-19 2021-12-09 주식회사 스톰테크 안전기능이 구비된 포터블 레이저 장치
KR102351234B1 (ko) 2020-02-27 2022-01-14 주식회사 아이엠티 수작업 레이저 세정 장치
KR102280373B1 (ko) 2020-12-30 2021-07-22 주식회사 마이크로이미징 3중 구조의 레이저출사안전장치를 갖는 클린 레이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2442A (ko) 레이저 가공 장치
JP2005224864A (ja) レーザ光線を用いて工作物を加工する工作機械
KR102539960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녹 및 도장 제거장치
KR20210017633A (ko) 자동 초점조절이 가능한 레이저 절단장치
EP1337886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djusting optical component, and optical unit
CN110976432A (zh) 激光清洗装置及激光清洗方法
CN104267496A (zh) 扫描振镜系统
DE10150436A1 (de) Laser-Meßsystem
KR100740982B1 (ko) 광모듈 조립체의 광축 조절장치
CN108247706B (zh) 一种机械式切割环保方法
CN115178859A (zh) 一种带有视觉定位机构的激光打标机
US3221577A (en) Optical system for machines
JP2016105178A (ja) レーザビームによるガラス基板加工装置
CN201500852U (zh) 激光切割机等光程光路控制装置
JP7078560B2 (ja) 精密工作機械
JPH05269584A (ja) レーザー加工方法及び装置
JP2000266638A (ja) 基板検査装置
CN112355495A (zh) 一种全齿条恒光路激光切割台
CN109794688B (zh) 一种可调节激光方向的激光打标装置
CN113714221A (zh) 一种用于多尺寸内径管道内壁清洗的装置
JP6333667B2 (ja) 門型観察装置
JP3076117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H0719672Y2 (ja) レーザー加工装置
JPH0648980U (ja) レーザー加工装置
US20130108023A1 (en) Development of a double crystal monochrom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