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560B1 -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 Google Patents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560B1
KR102539560B1 KR1020220175528A KR20220175528A KR102539560B1 KR 102539560 B1 KR102539560 B1 KR 102539560B1 KR 1020220175528 A KR1020220175528 A KR 1020220175528A KR 20220175528 A KR20220175528 A KR 20220175528A KR 102539560 B1 KR102539560 B1 KR 102539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local
local terminals
party application
lice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5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Priority to KR1020220175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60B1/ko
Priority to US18/205,622 priority patent/US20240202288A1/en
Priority to PCT/KR2023/018868 priority patent/WO20241286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5Arrangements for software licens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e.g. for managing licenses at corporate lev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7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by registering files or documents with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5Third par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METHOD FOR MANAGING LICENSE OF THIRD-PARTY APPLICATION AND CLOUD SERVER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라이선스를 관리하는 기술과 관련된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예컨대, 데스크탑, 노트북, 휴대용 기기 등)에 저장되던 데이터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사용자는 필요할 때마다 자신의 계정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 공유 및 동기화를 통해 수정된 파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서 여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일 예시로서,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상태에서 Office 365, OnlyOffice 등과 같은 웹 오피스(web office), 소프트웨어 개발 툴, 이미지 편집 툴 등과 같이 다양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들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거나 편집할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스토리지 상에서 이러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사업자가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라이선스를 미리 대량으로 구매하여야 한다. 그러나, 클라우드 사업자 입장에서는 상기 라이선스의 구매개수를 결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한정된 개수의 라이선스를 구매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효율적이고 유동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52225호(2022.01.1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접속현황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선스의 분배,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은,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을 수행한 시점 또는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화면을 새로고침(refresh)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속시간일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로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설정된 개수의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들에 무료로 배포하고,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들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클라우드 서버는,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하는 라이선스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 관리부는, 상기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으로서, 모니터링부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은,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을 수행한 시점 또는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화면을 새로고침(refresh)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속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로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의 미입력 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은,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설정된 개수의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들에 무료로 배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들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은,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후, 패턴 학습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라이선스 관리부에서,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선스 관리부에서,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재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되어 있지만 실제로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없어 현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로컬 단말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라이선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제1 동작모드에서의 로컬 단말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로컬 단말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등을 고려하여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 필요성이 시급한 로컬 단말부터 순차적으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및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과 추개구매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시간흐름의 변화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사용자 수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과 추가구매 개수를 사전에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선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를 나타낸 예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 간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의 예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선스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100)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100)은 로컬 단말(102), 클라우드 서버(104),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 및 네트워크(108)를 포함한다. 로컬 단말(102), 클라우드 서버(104) 및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는 네트워크(108)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108)는 예를 들어, 인터넷, 와이파이 네트워크(wifi network), 3G 네트워크, LTE 네트워크 등과 같은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 단말(102)은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폰, PDA,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컬 단말(102)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104)에서 제공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미도시)에 접근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 공유 및 동기화를 통해 수정된 파일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파일은 예를 들어, 문서(document), 사진(picture), 이미지(image), 동영상(video) 파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파일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된 상태에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에서 제공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104)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각종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파일이 저장되는 저장소이다. 사용자는 로컬 단말(102)을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하여 파일 액세스(access), 파일 수정, 파일 생성, 파일 업로드, 파일 다운로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104)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와 연동하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사업자의 서버, 즉 클라우드 서버(104)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Office 365, OnlyOffice 등과 같은 웹 오피스(web office), 소프트웨어 개발 툴, 이미지 편집 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복수 개의 동작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며, 각 동작모드에 따라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는 편집모드(Editing Mode)일 수 있으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2 동작모드는 읽기모드(Reading Mode)일 수 있다. 제2 동작모드는 제1 동작모드에 비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상태의 모드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동작모드에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사용자는 제2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제2 동작모드에 대해서는 소정 금액을 지불하여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에 있어 차이가 나게 되게 되며, 클라우드 서버(104)는 로컬 단말(102)들의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을 위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업자로부터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license)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제1 동작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사용권을 의미한다. 한편,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 2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은 사용권한 범위가 상이한 동작모드를 3개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의 서버이다.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는 클라우드 서버(104)와 연동하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로컬 단말(102)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된 상태에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에서 제공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클라우드 서버(104)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전체 사용자(또는 가입자) 수를 고려하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전체 사용자(또는 가입자) 수가 1,000명인 경우, 클라우드 서버(104)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약 800개만큼 구매할 수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사용자(가입자)들은 소속 회사/팀 또는 개인별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이 상이하므로, 클라우드 사업자 입장에서는 상기 라이선스의 구매개수를 결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한정된 개수의 라이선스를 구매한 상태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효율적이고 유동적으로 관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서버(102)가 써트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 후 이를 기반으로 상기 라이선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러한 라이선스의 관리 구성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04)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04)는 모니터링부(202), 모드 전환부(204), 패턴 학습부(206), 정보 수집부(208) 및 라이선스 관리부(210)를 포함한다.
모니터링부(202)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제1 동작모드는 후술할 제2 동작모드에 비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더 넓은 동작모드로서, 예를 들어 웹 오피스의 편집모드가 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2)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로컬 단말(102)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2)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웹 오피스의 편집모드로 상기 웹 오피스에 로그인되어 있는 로컬 단말(102)의 식별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의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시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소속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속한 회사, 팀 또는 부서 등과 같은 소속, 직무, 직급 등이 될 수 있다.
모드 전환부(204)는 모니터링부(202)에서의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되어 있는 로컬 단말(102)들 중 하나 이상의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여기서, 제2 동작모드는 제1 동작모드에 비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동작모드로서, 예를 들어 웹 오피스의 읽기모드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102)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102)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102)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일 예시로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102)을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로컬 단말(102)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예를 들어, 30분)를 초과한 로컬 단말(102)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은 로컬 단말(102)에서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을 수행한 시점 또는 로컬 단말(102)에서 제1 동작모드의 화면을 새로고침(refresh)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속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102) #1, #4, #5, #7을 선별하고, 상기 로컬 단말(102) #1, #4, #5, #7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인 30분을 초과한 로컬 단말(102) #1, #4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전환부(204)는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전 해당 로컬 단말(102)에서 마지막으로 입력된 상태의 파일을 자동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전환부(204)는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전 로컬 단말(102)로 동작모드의 전환예정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현재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되어 있지만 실제로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없어 현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자동 전환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라이선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배,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102)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102)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102)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102)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중 설정된 소속정보(예를 들어, A회사의 회계팀)를 갖는 로컬 단말(102)의 우선순위를 타 로컬 단말(102)에 비해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전환부(204)는 설정된 소속정보(예를 들어, A회사의 회계팀)를 갖는 로컬 단말(102)에 대해 우선적으로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중 제1 동작모드에서의 미입력 지속시간이 길수록 로컬 단말(102)의 우선순위를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전환부(204)는 미입력 지속시간이 가장 긴 로컬 단말(102)에 대해 우선적으로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한 사용패턴 분석 결과 현재 시간대와 대응되는 시간대에서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이력이 설정된 횟수 이상이거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접속횟수가 설정된 횟수 미만이거나, 소속된 회사 내 타 로컬 단말(102)들이 설정된 개수 이상으로 이미 제1 동작모드에 접속하여 사용하고 있는 경우 상기 회사 내 로컬 단말(102)의 우선순위를 타 로컬 단말(102)에 비해 더 높게 부여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204)는 이와 같이 우선순위가 높게 부여된 로컬 단말(102)에 대해 우선적으로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102)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102)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한 후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제1 동작모드에서의 로컬 단말(102)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로컬 단말(102)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등을 고려하여 로컬 단말(102)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 필요성이 시급한 로컬 단말(102)부터 순차적으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은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로부터 구매한 라이선스의 총 개수, 라이선스의 요금,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시스템 부하 등 다양한 이유에서 그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현재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102)이 복수 개인 경우 우선순위에 따라 각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의 개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설정된 개수의 상기 라이선스를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102)들에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의 개수가 100개 이하인 경우, 모드 전환부(204)는 기 구매한 라이선스 중 100개의 라이선스를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102)들에 무료로 배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의 개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102)들에 대해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의 개수가 250개를 초과하는 경우,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102)들에 대해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매한 라이선스의 개수 대비 실제 제1 동작모드로의 사용량이 적은 경우 상기 라이선스를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102)들에 무료로 배포하되, 제1 동작모드로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라이선스의 사용을 제한할 필요성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102)들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함으로써 서비스 프로모션(promotion)과 라이선스 관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패턴 학습부(206)는 모니터링부(202)에서의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202)는 예를 들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웹 오피스의 편집모드로 상기 웹 오피스에 로그인되어 있는 로컬 단말(102)의 식별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의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시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패턴 학습부(206)는 최근 5달 동안 제1 동작모드를 통해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의 식별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들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로컬 단말(102)들의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접속시간 등을 분석하여 로컬 단말(102)들에 대한 접속패턴을 학습할 수 있다. 이때, 패턴 학습부(206)는 각 로컬 단말(102)들에 대한 접속패턴을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접속 시간대별로 학습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08)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한다. 정보 수집부(208)는 마지막으로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구매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현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정보 수집부(208)는 마지막으로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구매한 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예를 들어, 10명)와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예를 들어, Company #1/개발팀 5명, Company #1/인사팀 5명)를 수집할 수 있다.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패턴 학습부(206)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가 Company #1/개발팀 5명, Company #1/인사팀 5명라 가정하는 경우,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패턴 학습부(206)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Company #1/개발팀 및 Company #1/인사팀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는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102)들의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횟수, 접속 시간대 및 접속 유지시간, 모드 전환부(204)에서의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횟수 및 전환 시간대 등이 될 수 있다.
이후,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선별된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앞선 예시의 Company #1/개발팀 및 Company #1/인사팀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 및 신규 가입자 현황정보(예를 들어, Company #1/개발팀 5명, Company #1/인사팀 5)로부터 향후 3개월 동안 최대 동시접속 수와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제3 기준치인 300명을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예를 들어, 현재로부터 2개월 후)을 예측할 수 있다.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신규 가입자 현황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102)들의 과거 학습 데이터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를 계산하여 매 기간별(예를 들어, 일주일 단위)로 예측하고,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의 증감추이를 기초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한다. 일 예시로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을 현재로부터 50일 후로 결정하고, 추개구매 개수를 50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및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과 추개구매 개수를 계산함으로써, 시간흐름의 변화에 따라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사용자 수에 변화가 생기더라도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과 추가구매 개수를 사전에 정확히 예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이선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만약, 라이선스 관리부(210)에서의 예측 결과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가 제3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현재의 라이선스 개수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감소시키는 등의 라이선스 관리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이와 같은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유지, 감소 등의 라이선스 관리전략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를 나타낸 예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동작모드는 편집모드를 나타내며, 제2 동작모드는 읽기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작모드의 사용을 위해서는 라이선스가 필요한 반면, 제2 동작모드의 사용을 위해서는 라이선스가 불필요할 수 있다. 한편, 제1 동작모드 및 제2 동작모드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사용자들의 사용권한 범위가 차이나도록 설정되면 족하며, 제1 동작모드 및 제2 동작모드의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 간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제1 동작모드는 예를 들어, 편집모드를 나타내며, 제2 동작모드는 읽기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토글 스위치를 이용하여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거나, 제2 동작모드에서 제1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토글 스위치를 통해 제2 동작모드에서 제1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전환시점이 상술한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이 수행한 시점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드 전환부(204)는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102)들 중 현재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102)을 판단하고,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102) 중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102)에 대해 제1 동작모드를 제2 동작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의 예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링부(202)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106)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의 라이선스를 통한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니터링부(202)는 제1 동작모드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의 식별정보, 로컬 단말(102)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ex. 사용자의 소속/직급/직무 등), 로컬 단말(102)의 제1 동작모드를 통한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시간대(ex. 월요일/화요일 등의 접근요일, 1월/2월 등의 접근월 등) 등과 같은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접속현황은 모드 전환부(204)에서 로컬 단말(102)의 동작모드를 제1 동작모드에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기준정보로 활용되거나, 또는 라이선스 관리부(210)에서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S102 단계 및 S104 단계에서, 모니터링부(202)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가 N개 구매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102)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S106 단계에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102)을 판단한다.
S108 단계 및 S110 단계에서, 모드 전환부(204)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102)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예를 들어, 30분)를 초과한 로컬 단말(102)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선스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예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패턴 학스ㅂ부(206)는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한다.
S204 단계에서, 정보 수집부(208)는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한다.
S206 단계에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102)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한다.
S208 단계에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한다.
S210 단계에서, 라이선스 관리부(210)는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포함하는 관리전략에 관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지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100), 또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시스템
102 : 로컬 단말
104 : 클라우드 서버
106 :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
108 : 네트워크
202 : 모니터링부
204 : 모드 전환부
206 : 패턴 학습부
208 : 정보 수집부
210 : 라이선스 관리부

Claims (12)

  1.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상태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및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을 판단하고,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설정된 개수의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들에 무료로 배포하고,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들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하는, 클라우드 서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은,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을 수행한 시점 또는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화면을 새로고침(refresh)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속시간인, 클라우드 서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로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의 미입력 지속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클라우드 서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하는 패턴 학습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하는 라이선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클라우드 서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라이선스 관리부는, 상기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클라우드 서버.
  7.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Third-Party Application)의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라이선스를 설정된 개수만큼 구매한 클라우드 서버에서 수행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으로서,
    모니터링부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한 로컬 단말들의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에 접속된 로컬 단말들 중 현재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로컬 단말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1 동작모드보다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권한 범위가 축소된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후,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1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설정된 개수의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제1 동작모드의 사용권한이 없는 로컬 단말들에 무료로 배포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전환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해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접속된 로컬 단말들의 개수가 제2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라이선스가 무료로 배포된 로컬 단말들에 대해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우선적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은,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로그인을 수행한 시점 또는 상기 로컬 단말에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화면을 새로고침(refresh)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의 입력 또는 파일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속시간인,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로컬 단말 중 상기 제1 동작모드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시간이 임계치를 초과한 로컬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로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의 소속정보,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의 상기 로컬 단말의 미입력 시간 및 과거의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로컬 단말의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사용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로컬 단말 각각에 대해 상기 제2 동작모드로의 전환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 이후,
    패턴 학습부에서, 상기 라이선스를 통한 상기 제1 동작모드로의 접속현황으로부터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을 학습하는 단계;
    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신규 가입자 수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라이선스 관리부에서, 상기 접속패턴의 분석결과, 상기 신규 가입자 수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를 기초로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라이선스 관리부에서, 예측된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기초로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상기 라이선스의 추가구매 시점 및 추가구매 개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단계는, 상기 패턴 학습부에서 학습된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들 중 상기 신규 가입자의 소속정보에 대응되는 로컬 단말들의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상기 접속패턴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신규 가입자의 수를 이용하여 미래의 설정된 기간동안 상기 제1 동작모드에 대한 로컬 단말들의 최대 동시접속 수 및 상기 최대 동시접속 수가 설정된 제3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준치 초과시점을 예측하는,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KR1020220175528A 2022-12-15 2022-12-15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KR102539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28A KR102539560B1 (ko) 2022-12-15 2022-12-15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US18/205,622 US20240202288A1 (en) 2022-12-15 2023-06-05 Method for managing license of third-party application and cloud server for executing the same
PCT/KR2023/018868 WO2024128603A1 (ko) 2022-12-15 2023-11-22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5528A KR102539560B1 (ko) 2022-12-15 2022-12-15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560B1 true KR102539560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5528A KR102539560B1 (ko) 2022-12-15 2022-12-15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202288A1 (ko)
KR (1) KR102539560B1 (ko)
WO (1) WO20241286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603A1 (ko) * 2022-12-15 2024-06-20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8632A (ja) * 2003-06-27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センス管理装置
JP2012185536A (ja) * 2011-03-03 2012-09-27 Sharp Corp ライセンス本数管理システム
KR20140099647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시큐아이 가상 실행 환경에서의 라이선스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6179A (ko) * 2015-08-31 2017-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클라이언트 장치 및 라이센스 관리 방법
KR101842925B1 (ko) * 2017-09-29 2018-03-28 (주)닥터소프트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사용량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
KR102352225B1 (ko) 2021-05-27 2022-01-18 정주현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저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560B1 (ko) * 2022-12-15 2023-06-02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8632A (ja) * 2003-06-27 200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ライセンス管理装置
JP2012185536A (ja) * 2011-03-03 2012-09-27 Sharp Corp ライセンス本数管理システム
KR20140099647A (ko) * 2013-02-04 2014-08-13 주식회사 시큐아이 가상 실행 환경에서의 라이선스 관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6179A (ko) * 2015-08-31 2017-03-0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클라이언트 장치 및 라이센스 관리 방법
KR101842925B1 (ko) * 2017-09-29 2018-03-28 (주)닥터소프트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사용량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라이선스 관리 서버
KR102352225B1 (ko) 2021-05-27 2022-01-18 정주현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 저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8603A1 (ko) * 2022-12-15 2024-06-20 주식회사 클라우다이크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28603A1 (ko) 2024-06-20
US20240202288A1 (en) 202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72344B2 (en) Automated adjustment of subscriber policies
US10257064B2 (en) Network resource management with prediction
US10499214B2 (en) Data usage analytics application for dynamic control of data usage on a client device
US20110047125A1 (en) Configuration item management device and configuration item management method
KR102539560B1 (ko) 써드파티 애플리케이션의 라이선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클라우드 서버
Adhikary et al. Quality of service aware cloud resource provisioning for social multimedia services and applications
JP2020087007A (ja) クラウドサービスの設定装置、システムおよび設定方法
CN104035939A (zh) 特有独立规则引擎的灵活监测框架
KR102154053B1 (ko) 지능형 부하분산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N114175602A (zh) 云资源的权限管理
US20130132590A1 (en) Managing Session Data of a Composite Service Sess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24082770A1 (zh) 视频转码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视频点播系统
Marques et al. Proactive resource management for cloud of services environments
KR102418961B1 (ko) 인공지능 기반의 보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eng et al. Joint operator scaling and placement for distributed stream processing applications in edge computing
CN109657485A (zh) 权限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Luh et al. A hierarchical deployment of distributed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system in collaborative product development
CN11106281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资源转移方法、装置及系统
Shahidi et al. Selection algorithm for multimedia adaptation mechanisms in ubiquitous service environments
Polyakov et al. Network slice degradation probability as a metric for defining slice performance isolation
KR102398085B1 (ko) 인공지능 기반 기업 정보 자동 처리 및 생성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3988769B (zh) 一种智能匹配分布式资源的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Tolosana‐Calasanz et al. Computational resource management for data‐driven applications with deadline constraints
JP2014147003A (ja) Ict資源管理装置
Maric et al. Online charging based on machine context for M2M communication in L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