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480B1 -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 Google Patents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80B1
KR102539480B1 KR1020210081419A KR20210081419A KR102539480B1 KR 102539480 B1 KR102539480 B1 KR 102539480B1 KR 1020210081419 A KR1020210081419 A KR 1020210081419A KR 20210081419 A KR20210081419 A KR 20210081419A KR 102539480 B1 KR102539480 B1 KR 102539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eation
revenue
division
information
r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70504A (ko
Inventor
장명준
Original Assignee
장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준 filed Critical 장명준
Priority to KR102021008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80B1/ko
Priority to PCT/KR2021/008700 priority patent/WO2022211187A1/ko
Priority to KR1020210120710A priority patent/KR1025394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7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7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는, 창작물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수신하는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 및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Valuation server that performs valuation of creative rights}
본 발명은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셜미디어나 인터넷 등의 매체를 활용해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투자 방식인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이 확산되고 있다.
초기의 크라우드 펀딩은 자금이 없는 예술가나 사회활동가 등이 자신의 창작
프로젝트나 사회공익 프로젝트를 온라인에 공개하여, 익명의 다수로부터 투자를 받는 방식이었다.
최근, 이러한 크라우드 펀딩을 이용하여 앨범, 영화와 같은 창작 프로젝트나 사회 공익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한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간 직거래 방식으로 이루어지던 금융 서비스에 벗어나 전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크라우드 펀딩 중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한편, 크라우드 펀딩과 연계하여 펀딩 대상인 해당 창작물에 대한 가치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에 대한 니즈가 있다.
즉, 종래에는, 창작물에 대한 평가가 특정 전문가의 견해에만 의존해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치 평가가 불투명하고 신뢰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 창작물 및/또는 창작물에 대한 권리에 대하여 투명한 가치 평가 방식을 통해 신뢰도와 정밀도가 향상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복제 불가능한 대체 불가 토큰을 이용한 디지털 증명을 통해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블록 체인의 암호화 기술에 기반하여 보호하도록 함으로써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는, 창작물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수신하는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 및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저작권 및 소유권 중 어느 권리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저작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전송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소유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배당 수익, 판매 수익, 및 위탁 보관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전송 요청할 수 있다.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에 대해 발생될 미래 수익 예측 정보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실제 수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의 소정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변동 추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가 분할 소유권에 대한 배당 수익인 경우, 상기 배당 수익에 기초해 상기 분할 소유권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는,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가치 평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창작물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는 저작권 및 소유권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창작물 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익 정보 전송 요청에 기초해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배당 수익, 판매 수익, 및 위탁 보관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분할 권리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권리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의 속성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상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체 불가 토큰을 이용한 디지털 증명을 통해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블록 체인의 암호화 기술에 기반하여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체 불가 토큰에 기반한 디지털 증명을 이용하여 창작물에 대한 렌탈이나 라이선스 이용료를 부과함으로써 실물 자산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수익률에 기반하여 실물 자산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가상 자산으로써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분할 권리나 창작물 정보 등에 대한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관리나 거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물의 속성 및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상이하게 적용함으로써, 각 창작물의 속성이나 각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적합한 암호화 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중앙화된 디지털 증명서로서 기능하는 대체 불가 토큰을 이용하여 창작물의 분할 소유 및 이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을 통해 거래 시장에서 투명하게 가치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 수행 및 거래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서버(4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시스템을 통한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 수행 및 거래를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해당 시스템은 창작자 단말기(10), 투자자 단말기(20), 창작물 관리 서버(30), 가치 평가 서버(40), 및/또는 거래소 서버(5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각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일부 구성이 다른 구성의 역할을 수행하는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창작자 단말기(10)를 소유하는 창작자는 창작물에 대한 원시 권리를 가질 수 있다.
창작자는 자신의 창작물에 대해 향후 발생할 권리를 대상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대상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함에 있어서,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분할하여 지분 권리 형태로 소유하는 방식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수행할 수 있다.
창작자 단말기(10)는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분할 소유 방식으로 크라우드 펀딩을 모집하는 분할 소유 공모 요청을 창작물 관리 서버(30)로 전송하여 자금 모집을 신청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소유 공모 요청은 분할 소유권의 전체 또는 일부만을 요청하는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유권과 저작권을 분리하여 공모를 요청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투자자 단말기(2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창작물에 대한 권리의 분할 소유 펀딩 공모 정보를 조회하고,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창작물에 대한 권리의 분할 소유 신청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투자자 단말기(2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분할 소유 신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창작물에 대한 권리의 분할 소유 지분에 대한 권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들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 자체 정보(작품 정보) 또는 작가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펀딩 대상인 창작물의 원권리에 대한 분할 소유 크라우드 펀딩을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자 단말기(10)로부터 창작물의 원권리에 대한 분할 소유 공모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공모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분할 소유 펀딩 공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의 유통과 수익 관리를 담당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 유통에 따른 수익의 정산/산출을 통해 추후 분할 지분 권리자에게 수익 배당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의 원권리에 대한 분할 소유 지분 권리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창작물의 원권리에 대한 분할 소유 지분 권리에 대응하는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 지분 권리를 거래할 수 있도록 한다.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거래 수행 결과 지급해야 할 금액과 관련하여 뱅킹 시스템에 의뢰화여 투자자의 계좌를 통한 지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가치 평가 서버(4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 수행을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가치 평가 서버(40)는 창작에 대한 수익 정보 전송을 창작물 관리 서버(30)에 요청하고, 수신한 수익 정보를 기초로 가치 평가 수행한 결과를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소 서버(5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 및/또는 투자자 단말기(20)와의 통신을 통해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수행 요청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른 거래 수행을 처리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서는, 가치 평가 서버(40)와 창작물 관리 서버(30)가 별개인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작물 관리 서버(30)가 가치 평가 서버(40)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서버(4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치 평가 서버(40)는 통신부(410), 프로세서(420), 및 메모리(4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가치 평가 서버(40)와 투자자 단말기(20), 창작물 관리 서버(30)사이의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의 유/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LAN, WAN, WIFI, IrDA, LTE, 5G 등의 다양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가치 평가 서버(40)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420)는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 및 가치 평가 관리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통신부(410)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 수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제1 가액을 확인할 수 있다.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는 창작물 관리 서버(30)로 수익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수익 정보를 메모리(430)에 저장할 수 있다.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가치 평가 수행 결과 및/또는 변경된 가액 정보를 메모리(430)에 저장할 수 있다.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가치 평가 수행 결과 및/또는 변경된 가액 정보를 통신부(410)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가치 평가 서버(40)의 제어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420)는 메모리(43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가치 평가 서버(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블록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통신부(310), 프로세서(320), 및 메모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와 투자자 단말기(20), 가치 평가 서버(40)사이의 근거리 및/또는 원거리의 유/무선 통신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LAN, WAN, WIFI, IrDA, LTE, 5G 등의 다양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프로세서(320)는 분할 권리 관리부(321),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 및 거래 관리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발행/등록/관리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암호 화폐를 발행할 수 있다.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발행 관련 정보 및/또는 대응하는 암호 화폐 발행 정보를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의 분할 권리의 발행 요청을 수신하여 발행된 분할 권리 및/또는 암호 화폐 관련 정보를 메모리(330)로부터 독출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에 대한 각종 수익 정보를 실물 경제상에서 수집하여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가치 평가 서버(40)로부터의 수익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여, 대응하는 수익 정보를 메모리(330)로부터 독출하여 통신부(310)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323)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를 전반적으로 관리한다.
거래 관리부(323)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분할 권리에 대한 거래 요청을 수신하면, 메모리(330)에 저장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암호 화폐 정보 및/또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분할 권리에 대한 거래 요청 정보에 포함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암호 화폐 정보를 참조하여 분할 권리에 대한 매도/매입 등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관리부(323)는 별도의 거래소 서버(50)와 연동되어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수행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암호 화폐의 거래 처리의 전부/일부를 별도의 거래소 서버(50)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관련 정보, 수익 정보, 분할 권리에 대응하여 발행된 암호 화폐 정보 등의 정보를 거래소 서버(미도시)에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에서는 거래소 서버(50)가 언급되지 않았으나, 1)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관리부(323)의 동작의 전부/일부를 거래소 서버(50)에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자자 단말기(20)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요청을 거래소 서버(50)에서 수신하여 거래소 서버(50)에서 거래 수행을 처리한 후, 거래 수행 완료 정보를 투자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도 있다.
2)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관리부(323)는 거래소 서버(50)와 연동되어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수행을 관리할 수 있다. 즉, 암호 화폐의 거래 처리의 전부/일부를 별도의 거래소 서버(50)와 연동하여 관리할 수 있다.
1)/2)에 있어서, 창작물 관리 서버(3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관련 정보, 수익 정보, 분할 권리에 대응하여 발행된 암호 화폐 정보 등의 정보를 거래소 서버(50)에 미리 전송하여 공유할 수 있다.
메모리(33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제어와 관련된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창작물 관리 서버(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가치 평가 시스템을 통한 가치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는 창작물 관리 서버(30)에 접속하여 창작물에 대한 권리의 분할 소유 펀딩 공모 정보를 조회하고,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한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소유, 등록 및/또는 발행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상기 투자자 단말기(20)의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투자자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된 사용자인 것으로 판단하면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소유 정보를 등록 및/또는 발행하여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s2).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는 소유권 및 저작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이며 투자자가 창작물에 대해서 행사할 수 있는 저작인격권 등 모든 종류의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저작권에 의해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창작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회화 등의 미술품, 조각품 등의 작품, 음악, 뮤직비디오, 동영상, 영화, 연극, 공연, 드라마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블록 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체 불가 토큰을 이용한 디지털 증명을 통해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블록 체인의 암호화 기술에 기반하여 보호할 수 있다.
이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가상 자산으로써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적용하여 분할 권리나 창작물 정보 등에 대한 위변조가 불가능하고 관리나 거래를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유자는 소유권을 온라인상에서 디지털로 증명하기 때문에 온라인상에서 라이선스, 저작권료를 과금할 수 있고 그 디지털자산의 이동, 사용경로를 확인할 수 있어 도용을 방지하고 권리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디지털 자산으로 실물 자산의 가치를 유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하나의 특정 권리가 창작물에 대한 권리로 형성되어 거래되는 것이 아니라, 소유권/저작권/저작인격권 등 다양한 종류의 권리가 창작물에 대한 권리로 형성되어 거래 시장에서 거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자자가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제대로 보호받은 상태에서 거래 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 대상의 속성에 기초해 상이하게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이 실물인 것으로 판단하면,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 토큰을 디지털 증서의 형태로 발행할 수 있다. 즉, 창작물 실물 자산과 별개의 대체 불가 토큰을 발행하여 거래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창작물이 대체 불가 토큰에 기반해 생성된 디지털 파일인 것으로 판단하면, 대체 불가 토큰을 상기 디지털 파일 관련 정보(예> 디지털 작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분할 권리 관련 정보(예> 권리의 발생이나 권리 거래로 인한 이동, 변경, 소멸 등을 포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대체 불가 토큰 자체를 일종의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창작물 대상의 속성 및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속성을 함께 고려하여 상이하게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창작물 실물 자체에 대한 소유권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 토큰을 디지털 증서의 형태로 발행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대체 불가 토큰에 기반해 생성된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저작권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상기 디지털 파일 관련 정보(예> 디지털 작품의 고유 식별 정보) 및 상기 분할 권리 관련 정보(예>저작권 발생이나 권리 거래로 인한 이동, 변경, 소멸 등을 포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할 수 있다. 즉, 대체 불가 토큰 자체를 일종의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다.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창작물 실물 자체에 대한 저작권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대체 불가 토큰을 디지털 증서의 형태로 발행할 수 있다.
그리고,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대체 불가 토큰에 기반해 생성된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대체 불가 토큰을 상기 디지털 파일 관련 정보(예> 디지털 작품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분할 권리 관련 정보(예> 소유권 발생이나 소유권 거래로 인한 이동, 변경, 소멸 등을 포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자산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창작물의 속성 및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상이하게 적용함으로써, 각 창작물의 속성이나 각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적합한 암호화 기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 관련 정보 및 대체 불가 토큰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즉,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상기 각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들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특정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특정 투자자 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정보들을 블록 원장에 저장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s3), 블록 체인에 연결된 다른 연관된 투자자 단말기(20)에 합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블록을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나머지 투자자 단말기(20)가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복수의 투자자 단말기(20) 모두는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투자자 단말기(20)는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분할 소유 신청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창작물의 원수익권에 대한 분할 소유 수익권 지분 권리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대체 불가 토큰을 적용한 분할 권리 및/또는 대체 불가 토큰에 기반해 거래될 수 있는 암호 화폐를 발행할 수 있으며, 이들을 거래 관리부(323)와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암호 화폐는 코인 등 모든 종류의 가상 화폐를 포함한다.
그리고, 거래 관리부(323)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암호 화폐를 이용해 발행된 분할 권리에 대한 거래(매도/매수)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관리부(321)는 발행한 분할 권리 및/또는 암호 화폐를 메모리(330)에 저장하여 등록하고, 거래 관리부(323)에서 이를 독출하여 거래에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권리, 암호 화폐의 등록, 및/또는 창작물에 대한 가치 평가 수행 결과 결정된 창작물의 가격은 사용자 평가(예> 좋아요), 소장자 의견, 전문가 의견 등을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s4).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 유통을 통해 획득한 모든 종류의 수익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작물의 매매, 양도, 대여 등의 모든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관리할 수 있다.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 유통을 통해 획득한 수익금을 산출할 수 있다.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과 관련된 라이선스 수익 정보, 배당 수익 정보, 판매 수익 정보, 위탁 보관(렌탈) 수익 정보 등을 실물 경제 상에서 수집하여 메모리(330)에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익 정보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메모리(330)에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투자자 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 수행 요청 정보를 가치 평가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s5). 그러면, 가치 평가 서버(40)의 프로세서(42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제1 가액을 확인할 수 있다(s6).
참고로, 도 4에서는, 가치 평가 수행 요청 정보가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면 가치 평가 서버(40)에서 가치 평가 수행을 하기 위한 각 단계(s6이하)를 수행하는 것을 기술하였으나, 상기 요청 정보가 수신되지 않아도 가치 평가 서버(40)는 실시간 s6 이하 단계를 자동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참고로, 투자자 단말기(20)는 해당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거래하는 데 이용되는 계좌를 보유할 수 있고, 추후 거래시, 창작물 관리 서버(30)에 해당 계좌 정보와 거래 요청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액 관련 정보(예> 창작물 별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의 종류, 해당 권리의 지분율, 창작물 별 현재 가액 등)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가액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제1 가액이란,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통해 가치 평가가 이루어지기 전에 거래 시장에서 실시간 거래되는 각 분할 지분에 대응하는 가액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액 관련 정보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전송되는 가치 평가 수행 요청 정보에 포함되거나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전송되는 분할 권리 거래 정보에 포함되어 확인될 수 있다.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저작권 및 소유권 중 어느 권리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30)로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는 상기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저작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7),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30)로 전송 요청하고(s7-1),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소유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s7),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배당 수익, 판매 수익, 및 위탁 보관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전송 요청할 수 있다(s7-2).
참고로, 상기 각 수익 이외에도 각 권리에 대응하여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수익 정보는 본 발명에 동일/유사하게 이용될 수 있다.
그러면,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창작물 정보 관리부(322)는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의 전송 요청에 따라, 저작권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메모리(330)로부터 독출하여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로 전송하거나(s8-1), 소유권에 대응하는 배당 수익, 판매 수익, 및 위탁 보관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메모리(330)로부터 독출하여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421)로 전송할 수 있다(s8-2).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작권의 경우만 라이선스 수익을 발생시킬 수 있고, 소유권의 경우는 라이선스 수익이 아닌 기타 수익(배당 수익, 판매 수익, 위탁 보관 수익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가치 평가 서버(40)에서 해당 권리의 속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권리의 속성 정보에 기초해 대응되는 상이한 수익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도록 함으로써, 가치 평가 수행에 해당 수익 정보를 용이하게 이용하고 보다 더 정확한 가치 평가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9).
그리고, 가치 평가 수행 결과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액을 변경해야 할지 여부를 더 판단하여, 변경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1 가액과 다른 제2 가액으로 변경하고, 변경해야할 필요가 없을 경우 제1 가액으로 결정한 가치 평가 결과를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10 내지 s12)
참고로, 본 발명에서 제2 가액이란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를 평가한 결과 변경된 가치를 반영하여 산출되는 가액으로, 향후 해당 창작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 예상 수익이 반영된 가액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창작물 관리 서버(30)로부터 수신한 창작물에 대한 제1 수익 정보(라이선스 수익 정보) 또는 창작물에 대한 제2 수익 정보(배당 수익 정보, 판매 수익 정보, 위탁 보관 수익 정보(렌탈 수익)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상기 제1 수익 정보 또는 상기 제2 수익 정보 각각을 기초로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상기 창작물에 대해 발생될 미래 수익 예측 정보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실제 수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해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우선 미래 수익 예측 정보를 현재 가치로 환산하여 1차적으로 분할 권리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에 대해 실제 발생한 수익 정보에 기초해 2차적으로 다시 분할 권리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창작물에 대한 매수/매도 정보를 참조하여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격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창작물에 대해 실제 발생한 수익이 최초에 수행한 미래 수익 예측 정보와 비교하여 더 상승한 경우, 1차적으로 결정한 분할 권리의 가격에 비해 더 상승된 가격으로 분할 권리의 가격을 2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창작물의 제1 수익 정보/제2 수익 정보를 기초로 창작물에 대한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미래의 예측 수익이 15억인 경우, 이를 반영한 현재 가치를 최초 가격으로 하여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격을 10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에 대해 실제 발생한 수익이 20억인 경우, 이를 반영하여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격을 다시 16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실제 수익이 최초 예측 수익보다 높게 발생된 경우,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수요 상승으로 판단하여, 가격을 다시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제 발생한 위탁 보관 수익이 보다 증가함에 따라 분할 소유권의 수요 상승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가격을 16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소유권을 소유한 투자자 단말기(20)는 최초 가액보다 높은 가액으로 해당 분할 소유권을 매도하여 이익을 실현시키고, 수요자는 최초 가액보다 높은 가액으로 매수할 수 있다.
반면, 창작물에 대해 실제 발생한 수익이 최초에 수행한 미래 수익 예측 정보와 비교하여 더 하강한 경우, 1차적으로 결정한 분할 권리의 가격에 비해 더 하강한 가격으로 분할 권리의 가격을 2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창작물의 제1 수익 정보/제2 수익 정보를 기초로 창작물에 대한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미래의 예측 수익이 15억인 경우, 이를 반영한 현재 가치를 최초 가격으로 하여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격을 10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창작물에 대해 실제 발생한 수익이 12억인 경우, 이를 반영하여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가격을 다시 8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실제 수익이 최초 예측 수익보다 낮게 발생된 경우, 분할 저작권/분할 소유권의 수요 하강으로 판단하여, 가격을 다시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제 발생한 위탁 보관 수익이 보다 감소하여 이를 분할 소유권의 수요 하강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가격을 80만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 소유권을 소유한 투자자 단말기(20)는 최초 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해당 분할 소유권을 매도하여 손실을 발생시키고, 수요자는 최초 가액보다 낮은 가액으로 매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최초 가격 설정 이후, 창작물의 실제 수익 정보를 소정의 주기에 기초하여(예> 일, 주, 월 등) 참조함으로써 가치 평가 수행 결과(가격 변화)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의 소정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변동 추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일 단위로 변화되는 위탁 보관 수익의 변동 추이 정보가 분할 소유권의 가치 등락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초 예측 수익 정보, 실제 수익 정보, 가치 평가 수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하여 투자자 단말기(2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이 분할 소유권에 대한 배당 수익인 경우, 상기 배당 수익금에 기초해 분할 소유권의 가치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 소유권에 대한 배당 수익금 지급 금액을 반영해 분할 소유권의 가치의 등락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분할 소유권을 가지는 투자자들은 매년 연말에 창작물의 연간 수익을 기초로 분할 소유권 지분에 대응하는 만큼 배당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
참고로, 배당금은 분할 소유권 1장 당(또는 1개 당)을 기준으로 한 소정의 금액만큼 지급될 수 있으며, 분할 소유권의 개당 지급 배당금은 하기 수식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수식: 분할 소유권의 개당 지급되는 연간 배당금 =
(창작물의 총 연간 누적 수익금 - 관련 비용 - 세금) / 분할 소유권 발행 수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배당 기준일에 배당금을 지급 한 이후에 다음 년도의 시작 지점에는 해당 연간 수익금이 0으로 리셋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배당 기준일이 경과하면, 지급된 배당금에 해당하는 만큼 해당 창작물에 대한 분할 소유권의 가치가 하락하는 배당락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12월 29일에 분할 소유권의 가격이 100만원이고, 배당금으로 10만원을 지급했다고 한다면, 다음날인 12월 30일은 10만원의 배당락이 분할 소유권의 가치에 반영되어 90만원으로 분할 소유권의 시작 가격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 수행 결과를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즉, 가치 평가 관리부(422)는 상기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들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특정 투자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특정 투자자 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 정보를 블록 원장에 저장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s13), 블록 체인에 연결된 다른 연관된 투자자 단말기(20)에 합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블록을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나머지 투자자 단말기(20)가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복수의 투자자 단말기(20) 모두는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투자자 단말기(20)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요청 정보를 창작물 관리 서버(30)로 전송하고, 창작물 관리 서버(30)의 거래 관리부(323)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수행을 관리할 수 있다. (s14, s15)
구체적으로, 거래 관리부(323)는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거래 주문의 체결 여부를 감시하고, 해당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제1 가액 또는 제2 가액으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323)는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의 가액으로의 거래 주문과 다른 주문이 서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거래 주문은 매도뿐 아니라 매수인 경우에도 본 발명이 동일/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분할 권리 관리부(321)에서 분할 권리에 대응하여 발행한 암호 화폐를 투자자 단말기(20)가 충전하여 지급받고, 거래 관리부(323)는 이러한 투자자 단말기(20)의 요청에 따라 거래를 수행을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래 관리부(323)는 투자자 단말기(20)로부터 분할 소유권/분할 저작권에 대응하는 거래 요청 신호가 전송되면, 분할 소유권/분할 저작권을 판매할 투자자 단말기(20)의 개인 정보와 판매 희망 암호 화폐량 및 분할 소유권/분할 저작권을 구매할 투자자 단말기(20)의 개인 정보와 구매 희망 암호 화폐량을 각각 요청하여 전송받고, 판매 희망 암호 화폐량과 구매 희망 암호 화폐량이 동일하면 분할 소유권/분할 저작권을 양도하고, 해당 결과 정보를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323)는 상기 체결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323)는 투자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한 거래 수행 결과를 블록체인 플랫폼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즉, 거래 관리부(323)는 상기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투자자 단말기(20)들 사이에서 공유되도록 특정 투자자 단말기(2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특정 투자자 단말기(20)의 제어부(미도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정보를 블록 원장에 저장하여 하나의 블록으로 생성하고(s17), 블록 체인에 연결된 다른 연관된 투자자 단말기(20)에 합의를 통해 상기 생성된 블록을 전송함으로써, 복수의 나머지 투자자 단말기(20)가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복수의 투자자 단말기(20) 모두는 동일한 블록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거래 관리부(323)는 거래 수행 완료 시, 결정된 가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입금하기 위해 투자자의 계좌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금액을 투자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가치 평가 서버 및 창작물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가치 평가 서버는,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수신하는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 및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저작권 및 소유권 중 어느 권리에 해당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이한 종류의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요청하고,
    상기 창작물 관련 정보 요청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저작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전송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상기 소유권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배당 수익, 판매 수익, 및 위탁 보관 수익을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로 전송 요청하며,
    상기 창작물 관리 서버는,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를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하는 창작물 정보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대체 불가 토큰(NFT, Non-Fungible Token)에 기반하여 관리하는 분할 권리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창작물 정보 관리부는,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수익 정보 전송 요청에 기초해 상기 저작권에 대응하는 상기 라이선스 수익 정보를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소유권에 대응하는 상기 배당 수익, 상기 판매 수익, 및 상기 위탁 보관 수익을 상기 가치 평가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분할 권리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의 속성 및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상이하게 적용하며,
    상기 분할 권리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가 디지털 파일에 대한 저작권에 해당하는지, 상기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인지, 창작물 실물에 대한 저작권에 해당하는지, 상기 창작물 실물에 대한 소유권인지에 따라 상기 대체 불가 토큰 기술을 상이하게 적용하는,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에 대해 발생될 미래 수익 예측 정보 및 상기 창작물에 대한 실제 수익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의 소정의 주기를 기준으로 한 변동 추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치 평가 관리부는,
    상기 창작물과 관련된 수익 정보가 분할 소유권에 대한 배당 수익인 경우, 상기 배당 수익에 기초해 상기 분할 소유권에 대응하는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81419A 2021-03-31 2021-06-23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KR102539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19A KR102539480B1 (ko) 2021-06-23 2021-06-23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PCT/KR2021/008700 WO2022211187A1 (ko) 2021-03-31 2021-07-08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KR1020210120710A KR102539481B1 (ko) 2021-06-23 2021-09-10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19A KR102539480B1 (ko) 2021-06-23 2021-06-23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710A Division KR102539481B1 (ko) 2021-06-23 2021-09-10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504A KR20220170504A (ko) 2022-12-30
KR102539480B1 true KR102539480B1 (ko) 2023-06-01

Family

ID=84538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419A KR102539480B1 (ko) 2021-03-31 2021-06-23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KR1020210120710A KR102539481B1 (ko) 2021-06-23 2021-09-10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0710A KR102539481B1 (ko) 2021-06-23 2021-09-10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94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0023A1 (en) * 2018-07-01 2020-01-09 Madhu Vijaya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content engagement platforms utilizing media walle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1167A (ko) * 2009-12-01 2011-06-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지적재산정보 분석을 통한 기업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11853A (ko) * 2018-07-25 2020-02-04 임성우 블록체인 기반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시스템과 이를 사용한 창작물 크라우드 펀딩 및 유통 방법
KR102321900B1 (ko) * 2018-12-04 2021-11-03 박종필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0023A1 (en) * 2018-07-01 2020-01-09 Madhu Vijaya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blockchain-based content engagement platforms utilizing media wall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70723A (ko) 2022-12-30
KR102539481B1 (ko) 2023-06-01
KR20220170504A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bramanian Decentralized blockchain-based electronic marketplaces
US20190392511A1 (en) Bid matching for blockchain-based goods/assets systems and methods
US20190354945A1 (en) Real-time buying, selling, and/or trading blockchain-based goods using traditional currency
KR100717590B1 (ko) 인터넷상에서의 가상자산 거래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30232023A2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online monetary payments dependenton conditional triggers involving future events for online auctions and online trading exchanges involving stock exchange, commodity exchange, foreign exchange, sporting exchange, gaming exchange, file sharing exchange, andother types of online peer-to-peer exchange.
KR10225295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지식재산권거래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WO2000026745A9 (en) Computer-implemented securities trading system with virtual currency and virtual specialist
KR102216908B1 (ko)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KR10248123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TW200929050A (en) Real estate transaction system using real estate securities and method thereof
CN110675261A (zh) 基于区块链的债券交易数据处理方法及装置
CN112862576A (zh) 基于区块链的投标拍卖方法及系统、设备、存储介质
US20100217702A1 (en) Electronic System for Coordinating Contracts Relating to Property
Schuh et al. Bitshares 2.0: Financial smart contract platform
JP2019507399A (ja) 封印入札競売の方法とシステム
KR20230042884A (ko) 대체 불가 토큰 기반 분할 증권을 관리하기 위한 창작물 권리 관리 서버
CN111369234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同质化权益交易方法、设备及介质
KR101575927B1 (ko) 반복 판매가 가능한 상품 재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21900B1 (ko) 저작물 수익권에 대한 중개 서비스 방법
KR102539480B1 (ko) 창작물 권리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가치 평가 서버
US20230186301A1 (en) Tokenization of the appreciation of assets
KR20130098667A (ko) 부동산 거래정보에 관한 정보이용가치를 이용하는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582867B1 (ko) 대체 불가 토큰 기반 기부용 창작물에 대한 분할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창작물 권리 서버 및 가치 평가 서버
KR20210117109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펀드 자산 유동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Bala Tokenization of Ass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