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276B1 -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276B1
KR102539276B1 KR1020210016762A KR20210016762A KR102539276B1 KR 102539276 B1 KR102539276 B1 KR 102539276B1 KR 1020210016762 A KR1020210016762 A KR 1020210016762A KR 20210016762 A KR20210016762 A KR 20210016762A KR 102539276 B1 KR102539276 B1 KR 102539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name
user
symptom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052A (ko
Inventor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용 filed Critical 이재용
Priority to KR102021001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2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 G06T7/0014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 G06T7/0016Biomedical image inspection using an image reference approach involving temporal comparis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processing medical images, e.g. edi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이 개시된다.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고,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획득한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카테고리에 분류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ELF-DENTAL-DIAGNOSIS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S FOR SELF-DENTAL-DIAGNOSIS}
본 발명은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을 판별하고,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기 위한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9년 진료비 주요 통계'의 다발성 질병 순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외래 진료를 가장 많이 받은 질병은 구강 질환이다. 종래에는 환자가 자신의 치아가 아프거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 경우, 치과를 찾아가 치과의사가 환자의 구강 또는 치아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하여 환자에게 보고하는 방식으로 진단이 이루어졌다.
최근 환자 스스로가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고, 이에 따라 환자 역시 자신의 구강상태를 스스로 확인하고 싶어하는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구강질환 진단 시스템의 경우, 치과병원에서 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였기 때문에 실제로 환자가 자신의 구강을 진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자가 바쁜 일상속에서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하여 진단을 받아본 후 치과병원을 방문하고 싶어도, 현재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할 수 없고 기초 진단결과조차 직접 방문하여 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에는 많은 자가 구강 진단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으나, 기존의 자가 구강 진단 어플리케이션은 치료 비용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거나, 사진을 올린 뒤 치과 의사가 수동으로 답변을 달아주는 형식의 어플리케이션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직접 치과에 내원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제공하는 구강 이미지를 기초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자동으로 산출하여 제공하는 통합적인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53446호는 구강진단시스템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을 판별하고,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 표시하는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제공하고,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한, 구강 자가진단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고,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획득된 구강 이미지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감각적 증상 정보,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증상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치료방법에 대응되는 비용을 기 설정된 지역별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비용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여 비용 범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획득하는 의료용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증상명 및 시술명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치아, 치료 및 진단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는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한 구강 이미지에 기초하여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자동적으로 카테고리에 분류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중 치아 이미지를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중 점막 이미지를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칭된 구강 이미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판별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치료 전후 이미지와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를 포함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의료용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색인 목록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 목록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사용자가 목록 중에서 직접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가 목록 중에서 직접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에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의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서버(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구강 이미지는 입 안의 점막 상피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구강 내부 및 외부에 보여지는 구조물인 입술과 치아 및 잇몸과 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획득한 구강 이미지와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서버(200)에 전송하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실시 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화면을 가진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며,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고,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획득된 구강 이미지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는 후술할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하여 시술명 및 진단명에 따라 분류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같은 위치의 구강 내부 구성물의 배열 상태와 모양 및 구강 질환의 위치를 기준으로 이미지 간의 매칭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수신된 구강 이미지와 구강 내부 구성물의 배열 상태 및 모양이 같은 치료 전후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고, 또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수신된 구강 이미지와 구강 질환의 모양 및 위치가 같은 이미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될 수 있는 정보로는, '시림', '통증', '욱신거림','흔들림', '피남' 등의 감각적인 증상 정보와, 증상의 통증을 1에서 10 사이의 숫자로 표현한 통증 정도이며, '위 왼쪽 어금니', '위 왼쪽 송곳니', '위 대문니' 등 증상이 있는 치아의 종류 및 위치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매칭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매칭된 이미지와 획득한 감각적 증상 정보,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증상과 가장 유사한 질환명을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판별한 질환명을 기초로 하여 질환명과 가장 동일한 증상명을 판별할 수 있으며, 판별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증상명은 '치아 깨짐', '검게 썩음' 등 구강 질환이 있는 환자가 느끼는 느낌이나 표현을 의미하고, 질환명은 '충치', '치주질환', '치아 겉면 깨짐' 등 의사가 판단하는 구강 질환의 명확한 이름을 의미하며, 시술명은 '레진치료', '스케일링', '잇몸치료' 등 구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치과병의원에서 실시하는 치료 방법을 의미한다. 증상 별로 다양한 시술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증상명 별로 다양한 시술명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증상명은 질환명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기로 하며, 이에 따라 서버(200)는 매칭된 이미지를 기초로 하거나 또는 매칭된 이미지와 획득한 감각적 증상 정보,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질환명을 포함하는 증상명을 판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매칭된 이미지가 저장된 카테고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매칭된 이미지 및 감각적 증상 정보,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카테고리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는 시술명 별로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를 의미한다. 즉, 산출된 카테고리는 시술명 별로 포함되는 복수의 시술 사례 목록 중 하나의 시술 사례에 대응된다. 그리고, 서버(200)는 산출된 카테고리가 포함된 시술명을 판별하고, 또한 판별된 시술명이 포함된 증상명을 판별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증상명, 시술명 및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된 복수의 시술 사례 목록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시술 사례 목록 각각은 치료 전후 이미지, 치아 종류, 진단 명칭, 치료 방법 및 치료 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서버(200)에서 수신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목록에서 원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선택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시술 사례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시술 사례에서 검색 결과의 개수, 치아 종류, 치료 전후 이미지,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선택된 카테고리에 치료 전후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치료방법에 해당하는 치료비용을 특정 지역에서 운영되는 복수의 치과병의원 데이터에서 수집하여, 최소비용과 최대 비용을 산출한 뒤, 범위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중 치아 이미지를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이미지 중 점막 이미지를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와 비교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에 따르면, 서버는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된 구강 이미지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는, 치아의 변색, 손상, 벌어짐 및 얼룩, 부은 잇몸 및 잇몸의 변색, 구강 내 점막의 염증, 궤양, 패임 및 변색 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이미지 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서버(2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 매칭 알고리즘은 영상 내의 픽셀들에 대한 명암 값의 분포를 비교하는 히스토그램 매칭 알고리즘, 원본 이미지에서 템플릿 이미지와 일치하는 영역을 찾는 템플릿 매칭 알고리즘 및 이미지로부터 피처(feature)를 추출하여, 다른 이미지의 피처셋과 비교하며 유사성을 판단하는 피처 매칭 알고리즘 등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처 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이미지 간의 유사도를 구한다면, 서버(200)는 획득한 구강 이미지에서 피처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구강 이미지에서 피처가 추출되는 부분은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 내부에 있는 구강 질환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추출된 피처셋을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의 피처셋과 비교하여,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수치 이상이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구강 이미지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에서 구강 내부 영역을 추출할 수 있고, 상술한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 포함되는 치아의 변색, 손상, 벌어짐 및 얼룩, 부은 잇몸 및 잇몸의 변색, 구강 내 점막의 염증, 궤양, 패임 및 변색 등과 같은 구강 질환 영역의 외곽에서 피처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이미지의 피처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서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80% 이상일 시 매칭된다고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충치가 포함된 구강 이미지(201)를 업로드하면, 서버(200)는 구강 이미지(201)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에서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등 구강 내부 구성물의 배열 상태 및 모양 및 구강 질환에서 피처를 검출하고, 구강 이미지(201)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의 피처셋을 비교할 수 있으며, 유사도가 80% 이상으로 산출된, 구강 이미지(201)와 같은 위치의 치아에 충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 저장된 이미지(202-2)를 구강 이미지(201)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구강 내부 점막에 구강 질환이 포함된 구강 이미지(201`)를 업로드하면,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에서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등 구강 내부 구성물의 배열 상태 및 모양 및 구강 질환에서 피처를 검출하고, 구강 이미지(201`)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의 피처셋을 비교할 수 있으며, 유사도가 80% 이상으로 산출된, 구강 이미지(201`)와 비슷한 위치의 구강 내부 점막에 같은 구강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 저장된 이미지(202-5)를 구강 이미지(201`)와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선택한 증상의 종류와, 통증 정도 및 증상이 있는 치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포함된 카테고리가 있다면, 카테고리에 포함된 이미지와 수신된 구강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기 설정된 수치보다 낮더라도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 및 이미지 간의 유사도에 대해 가중치를 다르게 적용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이미지 간의 유사도보다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가중치를 더 높게 두어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80%이상인 경우 한하여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한 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는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80%보다 낮아도, 카테고리에 포함된 이미지 중 구강 이미지와의 유사도가 50% 이상인 이미지가 있다면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칭된 구강 이미지 및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기초하여 증상명(315)을 판별하고, 판별된 증상명(315)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313)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선택된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313,314) 및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315)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증상명(315)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될 수 있는 선택적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로는, '시림', '통증', '욱신거림', '흔들림', '피남' 등이 포함되는 증상의 종류(311)와 증상의 통증을 1에서 10 사이의 숫자로 표현해, 사용자가 통증의 정도를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증상의 통증 정도(312)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디스플레이된 치아 구조 화면에서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를 선택하면, 증상이 있는 치아의 위치 정보(313)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디스플레이된 부위의 위치 목록에서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를 선택하면, 증상이 있는 치아의 위치 정보(314)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구강 이미지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를 비교하여, 매칭된 이미지가 포함된 증상명을 판별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선택한 증상의 종류(311)와, 통증 정도(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314)를 수신하여, 수신한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와 서버(20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수신한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와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시술명(316)을 판별한 뒤, 판별된 시술명(316)이 포함된 증상명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이미지를 매칭하여 판별한 증상명과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를 매칭하여 판별한 증상명을 비교하고, 결과가 동일할 경우 판별한 증상명(315)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한다.
한편, 서버(200)는 판별된 증상명(315)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하여, 판별된 시술명(316)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시술명을 선택하면,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시술 사례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대문니에 통증이 있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구강 이미지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증상의 종류(311)로 '통증'과, 통증 정도(312)로 '3'을 입력한 뒤,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313,314)인 '위 대문니'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에서 수신된 구강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찾은 뒤, 복수의 증상명 리스트 중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된 이미지, 입력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증상명(315)인 '충치'를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별된 증상명(315)인 '충치'와 관련되어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던 시술명(316)인 '레진치료', '브릿지' 및 '인레이치료' 등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레진치료'를 선택하면, 선택된 시술명인 '레진치료'에 포함되는 시술 사례 목록(420)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사용자가 잇몸이 붓고 피가 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통해 구강 이미지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증상의 종류(311)로 '부음'과, 통증 정도(312)로 '5'를 입력한 뒤,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313,314)인 '아래 잇몸'을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202)에서 수신된 구강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를 찾은 뒤, 복수의 증상명 리스트 중에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된 이미지, 입력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증상명(315)인 '잇몸 질환'을 하이라이트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판별된 증상명(315)인 '잇몸 질환'과 관련되어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던 시술명(316)인 '스케일링' 및 '라미네이트' 등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스케일링'을 선택하면, 선택된 시술명인 '스케일링'에 포함되는 시술 사례 목록(420)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서버(200)는 수신된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314)에 기초하여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판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 이외에,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314)에 따라 변경되는 치료 방법 및 치료 비용을 제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증상명 및 시술명 내에서도 감각적 증상 정보(311,312)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 정보(313,314)에 따라 치료 방법 및 치료 비용을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통증의 정도를 입력하는 구성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각적 증상 정보에 포함되는 '시림', '통증', '욱신거림', '흔들림', '피남' 등과 같은 다양한 증상에 대한 정도를 입력하는 구성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고, 치료 전후 이미지와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서버(200)는, 판별된 시술명(316)을 하나 이상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시술명 목록(316) 중 하나의 시술명(410)을 선택하면, 선택된 시술명(410)과 대응되는 시술 사례 목록(420)과 치료 전후 이미지(430)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술 사례(430)에서 증상이 있는 부위, 치료 전후 이미지, 진단명칭(431), 치료방법(432) 및 치료비용(433)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선택된 시술명(410)에 대응되는 치료 전후 이미지의 개수를 검색 결과의 개수로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버(200)는 카테고리(430)에 치료 전후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치아 종류를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버(200)는 카테고리(430)에 치료 전후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진단명칭(431), 치료방법(432), 치료 비용(433)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버(200)는, 산출된 치료방법(432)에 대응되는 비용(433)을 기 설정된 지역별로 수집하고, 수집된 비용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여 비용 범위를 제공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치료방법(432)에 해당하는 치료비용(433)을 특정 지역에서 운영되는 복수의 치과병의원 데이터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 저장된 치과병의원에서의 결제 정보, 건강보험공단 정보 및 병원 진단 기록 데이터에서 수집하여, 최소비용과 최대 비용을 산출한 뒤, 범위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내장된 GPS 모듈이 추출한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준 지역으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서 선택한 지역을 기준 지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사용자의 GPS 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지역을 기준 지역으로 설정하고, 기준 지역을 중심으로 500m, 1km, 2km의 동심원을 그릴 수 있으며, 범위 안의 지역에서 운영하는 복수의 치과병의원 목록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치과병의원 목록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단말 장치(100) 각각에 저장된 결제 기록 및 건강보험공단 기록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사용자가 이용한 치과병의원에서의 결제 기록 및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특정 지역 내의 치과병의원 목록과, 공공의료기관에서 진행한 치료 기록인 진단명칭, 치료일, 치료부위, 치료방법 및 소요시간 목록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200)는 획득한 치과병의원 목록에 포함된 치과병의원의 치료 기록 정보 중 진단 기록 문서에서, 진단명칭(431) 및 치료방법(432)을 획득할 수 있고, 진단명칭(431) 및 치료방법(432)에 따른 치료비용(433)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서버(200)는 획득한 치료비용(433) 목록에서 최대비용 및 최소비용을 산출한 뒤,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프로그램은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치료 전후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러한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실시 예에 따라서 구강촬영 전용 카메라, 구강 접사 촬영을 위한 DSLR 카메라, 구강촬영용 모듈을 부착한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포함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은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치료 전후 이미지를 획득한다.
여기서, 치료 전후 이미지란, 치과병의원에서 획득할 수 있는 환자의 치료 전 구강 이미지 및 치료 후 구강 이미지를 뜻한다.
도 6은 의료용 촬영 장치(5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따르면,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구강촬영용 모듈(510)을 부착할 수 있으며,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자유롭게 조작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강촬영용 모듈(510)은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 부착되어, 플래시 기능을 포함하고, 근접촬영에 최적화된 환경을 구현해 동일한 조건에서 착시나 왜곡 없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수 필터를 활용해 치아 색상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어 선명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Wi-fi, 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치과병의원의 의사가 소지한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 부분에 구강촬영용 모듈(510)을 부착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치과병의원에서 의사는 진료를 진행하기 위해, 의료용 치과 의자인 유니트체어에 앉은 환자의 구강 내부를 의료용 조명 장치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증상명 및 시술명과 치료 방법을 진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사는 구강 촬영용 모듈(510)을 부착한 의료용 촬영 장치(500)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치료가 필요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치료가 완료된 후, 의사는 의료용 촬영 장치(500)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치료가 완료된 영역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서버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730)과 비교하고,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따르면, 서버(200)는,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730)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에서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80% 이상일 시 매칭된다고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이용해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획득한 뒤,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의료용 촬영 장치(500)가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업로드하면,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이미지(730)에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와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등 구강 내부의 배열 상태 및 모양 및 구강 질환의 모양과 위치를 이미지 매칭을 통해 비교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매칭된다고 판단된 기 저장된 이미지가 포함된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에 포함된 카테고리(732)를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자동으로 판별한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분류할 수 있고,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산출한 카테고리(732)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료용 촬영 장치(500)를 통해 치아 마모 치료의 전후 이미지(710,720)를 업로드하면, 서버(200)는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와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에서,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등 구강 내부 구성물의 배열 상태 및 모양 및 구강 질환에서 피처를 검출하고,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730)의 피처셋을 비교할 수 있으며, 유사도가 80% 이상으로 산출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와 같은 위치의 구강 내부 구조물에, 같은 구강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가 포함된 카테고리(732)인 '치아 마모 - 라미네이트'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산출한 카테고리(732)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8a와 도8b에 따르면,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의료용 촬영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치료 전후 이미지를 치아, 치료 및 진단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서버(200)에 새 사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생성된 새 사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제목으로 저장한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저장하면, 생성된 카테고리 내부에 입력된 정보를 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색인 목록을 이용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색인 목록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 목록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에 대응되는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는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색인 목록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 목록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에 대응되는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 목록을 자동으로 산출하고, 사용자가 목록 중에서 직접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복수의 이미지를 산출하고, 해당하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목록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 목록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에 대응되는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가장 유사도가 높은 복수의 이미지를 산출하고, 해당하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저장된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목록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된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 목록에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에 대응되는 진단명칭, 치료방법, 치료 비용, 치아 번호 및 동반치료명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가 목록 중에서 직접 선택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따르면, 서버(200)는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 중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 산출된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10)에 해당되는 복수의 증상명을 목록 형식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의료용 촬영 장치(500)으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에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는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미지를 포함한 일반적인 데이터 프레임은 header 및 dataload로 구성되며, header에는 영상의 크기, 컬러의 수, 가로 및 세로 크기 내용이 들어갈 수 있고, dataload에는 실제로 이미지 데이터의 내용이 들어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용 촬영 장치(500)는 촬영한 치료 전후 이미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header(810`)에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811)를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는 치료 전/후 이미지의 header(810') 및 dataload(800')을 수신하고, header(810`)에 삽입된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811)를 인식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구강 이미지를 서버(200)로 전송하면, 서버(200)는 구강 이미지의 header(810) 및 dataload(800)를 수신하고,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인식하지 못한다.
따라서, 서버(200)는 획득한 이미지의 데이터 프레임의 header(810,810`)의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811)를 인식하여, 인디케이터(810')가 인식되지 않는 이미지 데이터 프레임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한 구강 이미지로, 인디케이터(810')가 인식될 수 있는 이미지는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로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의 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의 서버(200)는 프로세서(210), 통신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복수의 이미지(202)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315)을 판별할 수 있고, 판별된 증상명(315)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하며, 판별된 시술명(316)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중 선택된 카테고리(410)에 대한 진단명칭(431), 치료방법(432) 및 치료비용(433)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프로세서(210)는,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증상명 및 시술명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카테고리에 치아, 치료 및 진단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고,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해당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치아, 치료 및 진단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10)는 RAM(211), ROM(212), 메인 CPU(213), 그래픽 처리부(13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15-1 ~ 215-n), 버스(216)를 포함한다.
RAM(211), ROM(212), 메인 CPU(213), 그래픽 처리부(21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15-1 ~ 215-n) 등은 버스(13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15-1 내지 21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메인 CPU(213)는 저장부(2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메인 CPU(213)는 획득한 구강 이미지를 기초로 하여 기 저장된 이미지(202)와 매칭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ROM(21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13)는 ROM(21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O/S를 RAM(21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13)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11)에 복사하고, RAM(21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1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미도시)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미도시)는 연산부(미도시)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특히, 그래픽 처리부(214)는 메인 CPU(213)에 의해 생성된 오브젝트를 GUI(Graphic User Interface), 아이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20)는 프로세서(210)에서 진단명칭(431), 치료방법(432), 치료 비용(433)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210)의 동작은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부(230)는 복수의 이미지(202)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315)을 판별할 수 있고, 판별된 증상명(315)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하며 , 판별된 시술명(316)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중 선택된 카테고리(410)에 대한 진단명칭(431), 치료방법(432) 및 치료비용(433)을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하고, 의료용 촬영 장치(500)로부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기 저장된 복수의 치료 전후 이미지(730)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새 사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치아, 치료 및 진단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고,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해당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치아, 치료 및 진단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는 프로세서(21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230)는 획득한 구강 이미지의 상태를 인식하고, 기 저장된 이미지(202)와 매칭여부를 판단하고,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를 판별하여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치료비용을 수집하고 산출하며,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기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730)와 비교하여 카테고리를 분류하고 산출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한 구강 이미지와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구별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저장부(230)는 상태 인식 모듈(231), 이미지 매칭 판단 모듈(232), 증상명 및 시술명 판별 모듈(233), 카테고리 제공 모듈(234), 치료비용 수집 및 산출 모듈(235), 카테고리 분류 및 산출 모듈(236), 이미지 구별 모듈(237)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프로세서(210)의 동작은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프로세서(210)의 세부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인식 모듈(231)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의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매칭 판단 모듈(232)은 복수의 이미지(202)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증상명 및 시술명 판별 모듈(233)은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315)을 판별하고, 판별한 증상명(315)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316)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제공 모듈(234)은 시술명(316)에 속하는 복수의 치료 사례에 대응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치료비용 수집 및 산출 모듈(235)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한 GPS 정보 및 사용자가 직접 선택한 지역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지역에서 운영되는 치과병의원의 치료비용을 수집하고, 최대 비용과 최소 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카테고리 분류 및 산출 모듈(236)은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한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730)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증상명(315) 및 시술명(316)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후 이미지(710,720)를 저장하며, 수신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새 사례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치아, 치료 및 진단과 관련된 정보와 함께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구별 모듈(237)은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가 포함된 이미지를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의료용 촬영 장치(500)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구별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과정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단계(S200) 및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의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단계(S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선택된 감각적 증상 정보,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 및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 중 적어도 하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제공하는 단계(S300)는 증상명 및 시술명 각각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와,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 프로그램은 의료용 촬영장치에서 업로드 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매칭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저장할 수 있고, 매칭되는 카테고리가 없을 경우 사용자가 새로운 카테고리를 생성할 수 있으며, 매칭되는 카테고리가 다수일 경우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자가진단을 위해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획득된 구강 이미지 및 치료 전후 이미지와 기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을 판별하는 서버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획득된 구강 이미지 및 치료 전후 이미지와 기 저장된 이미지를 매칭하여 증상명 및 시술명을 판별하는 서버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장치 200: 서버
500: 촬영장치

Claims (9)

  1.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수치 이상인 경우 매칭으로 판단하고,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상기 이미지 간의 유사도 수치보다 가중치를 더 높게 두고 상기 이미지 간의 매칭을 통해 증상명을 판별하되,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 수치보다 상기 이미지 간의 유사도 수치가 낮더라도 서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감각적 증상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시술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시술명이 포함된 증상명을 판별하며,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판별된 증상명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판별된 증상명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며, 선택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카테고리 중 하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에 저장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산출된 치료방법에 대응되는 비용을 기 설정된 지역별로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비용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산출하여 비용 범위를 제공하는 것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획득하는 의료용 촬영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증상명 및 시술명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 별로 자동적으로 분류하여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 중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와 매칭되는 이미지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카테고리에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를 치아, 치료 및 진단에 관한 정보와 함께 저장하는 것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획득된 구강 이미지와 상기 의료용 촬영 장치에서 획득된 치료 전후 이미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상기 치료 전후 이미지는 식별 가능한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인,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9.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와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비교하여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된 시술명에 포함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선택된 카테고리에 대한 진단명칭, 치료방법 및 치료비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매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치아, 잇몸, 구강 내 점막 및 구강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구강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구강 이미지 및 기 저장된 복수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기 설정된 유사도 수치 이상인 경우 매칭으로 판단하고,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증상명 관련 적어도 하나의 시술명을 판별하는 단계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에 대해 상기 이미지 간의 유사도 수치보다 가중치를 더 높게 두고 상기 이미지 간의 매칭을 통해 증상명을 판별하되, 상기 기 설정된 유사도 수치보다 상기 이미지 간의 유사도 수치가 낮더라도 서로 매칭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증상명을 판별하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치아 종류 및 위치에 관한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수신된 감각적 증상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와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시술명을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시술명이 포함된 증상명을 판별하며, 상기 매칭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판별된 증상명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감각적 증상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와 상기 기 저장된 복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복수의 감각적 증상 정보 및 증상이 있는 부위의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판별된 증상명을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016762A 2021-02-05 2021-02-05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539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62A KR102539276B1 (ko) 2021-02-05 2021-02-05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762A KR102539276B1 (ko) 2021-02-05 2021-02-05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52A KR20220113052A (ko) 2022-08-12
KR102539276B1 true KR102539276B1 (ko) 2023-06-01

Family

ID=82803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762A KR102539276B1 (ko) 2021-02-05 2021-02-05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2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480B1 (ko) * 2018-12-10 2020-01-22 이치중 디지털 치과 진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46A (ko) * 2017-11-10 2019-05-20 서울대학교치과병원 구강 진단 시스템
KR102218752B1 (ko) * 2018-10-16 2021-02-23 주식회사 큐티티 딥러닝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주질환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480B1 (ko) * 2018-12-10 2020-01-22 이치중 디지털 치과 진료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52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4463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using descriptors to identify when a subject is likely to have a dysmorphic feature
US9445763B2 (en) Physiologic audio fingerprinting
CN114514585A (zh) 疾病预测系统、保险费计算系统以及疾病预测方法
KR102469720B1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눈의 충혈도 판단 방법
WO2014172671A1 (en) Physiologic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KR20160092013A (ko) 상처의 평가 및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06244A (ko) 디지털 치아 영상에 치아 진료 데이터를 기록 및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036986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により取得される歯科用写真の管理
US20160337622A1 (en) Medical support system
WO2004032737A1 (en) Method for diagnosing and interpreting dental conditions
US102903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4867148A (zh) 预定种类物体图像的获取方法、装置及口腔远程诊断系统
US8843382B2 (en) System for providing clin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method for providing clinica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storage medium on which a program performing same is recorded
US20230225832A1 (en) Photo-based dental attachment detection
WO2023155488A1 (zh) 基于多源多尺度特征融合的眼底图像质量评价方法和装置
JP2012143528A (ja) 口腔内撮影表示システム
KR102539276B1 (ko) 구강 자가진단 시스템 및 구강 자가진단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6318251A (ja) 画像データ管理方法、画像データ管理装置、画像データ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3379697A (zh) 基于深度学习的彩色图像龋病识别方法
US2016005532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oth charting
Schaaf et al. evolution of photography in maxillofacial surgery: from analog to 3D photography–an overview
US20230144621A1 (en) Capturing diagnosable video content using a client device
TWI682763B (zh) 肌膚狀態測定分析系統及肌膚狀態測定分析方法
KR102333726B1 (ko) 치과 방사선 영상 판독 소견 작성 보조 시스템
Friesen et al. An mHealth technology for chronic wound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