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17B1 -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817B1
KR102538817B1 KR1020220147809A KR20220147809A KR102538817B1 KR 102538817 B1 KR102538817 B1 KR 102538817B1 KR 1020220147809 A KR1020220147809 A KR 1020220147809A KR 20220147809 A KR20220147809 A KR 20220147809A KR 102538817 B1 KR102538817 B1 KR 10253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ve
base material
manufacturing
hea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호
박정효
김규식
김동훈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2014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06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by means of high energy impulses, e.g. magnetic energy
    • B23K20/08Explosive welding
    • B23K20/085Explosive welding for tubes, e.g. plug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23Q3/064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for holding elongated workpieces, e.g. pipes, bars or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refractory metal lining tube using explosive welding}
본 발명은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탈륨(Ta), 텅스텐(W), 나이오븀(Nb), 몰리브데늄(Mo) 등과 같은 내열금속(Refractory metal)은 우수한 고온물성과 내환경성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고융점으로 인한 접합의 어려움 및 높은 공정 비용으로 라이닝 소재로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폭발압접은 폭약의 폭발로 발생되는 높은 충격에너지를 이용하여 부재를 순간적으로 가속시켜 모재에 충돌시킴으로써 두 소재를 접합시키는 방법으로, 종래의 용융접합으로는 불가능한 이종금속에 대하여 적용이 가능하고, 접합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폭발압접을 이용하여 모재 튜브 내부에 금속을 라이닝하는 방법은 내경이 큰 모재 튜브 내부에 직경이 작은 라이닝 튜브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라이닝 튜브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확관과 동시에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판재를 제조하기 위한 폭발압접과 달리 라이닝 튜브의 확관을 수반하기 때문에 건전한 접합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라이닝 튜브의 균일한 변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튜브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폭약의 균일 충진이 필수적이며, 폭발압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폭발열로 인해 라이닝 튜브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KR 10-2021-0136098 A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우수한 고온강도와 내마모성을 지닌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 제조를 할 수 있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부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이 균일하게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재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가 체결된다.
상기 지그는, 상기 부재가 상기 모재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모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상기 지그는, 상기 부재의 내부의 폭약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지그가 체결된 상기 모재는 소정 형태의 치구(fixture)에 거치되어 변형이 방지된다.
상기 폭약은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의 직경, 두께, 중량을 고려하여 사양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의 두께로 조절된다.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의 중량 대비 0.1 내지 0.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는 지관(cardboard paper tube, 紙管)과 내열성을 가지는 필름을 단독 혹은 상기 지관 내부에 필름이 삽입된 형태의 두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폭약은 상기 버퍼가 삽입된 상기 부재의 한쪽 끝을 엔드 캡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을 부어서 충진한다.
상기 부재에서 상기 엔드 캡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 전폭약을 매립한 후 적절한 뇌관을 이용하여 기폭을 실시한다.
본 발명은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저폭속을 가지는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폭약을 버퍼가 삽입된 원통형 튜브 형태의 부재 내부에 충진하고, 모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치구(fixture)에 원통형 튜브 형태의 모재를 수평으로 거치하며, 캡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모재 내부에 상기 부재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기폭하여,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부재는 탄탈륨(Ta), 텅스텐(W), 나이오븀(Nb), 몰리브데늄(Mo) 및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저폭속을 가지는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폭약을 버퍼가 삽입된 원통형 튜브 형태의 부재 내부에 충진하고, 모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치구(fixture)에 원통형 튜브 형태의 모재를 수평으로 거치하며, 캡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모재 내부에 상기 부재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기폭하여,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폭약의 충진은 공압충진 또는 균일한 속도로 진동과 함께 충진하여 충진 균일도를 획득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되 상기 간격은 상기 부재의 두께 대비 0.5 내지 1.0 이 되도록 하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를 제조할 경우 기존의 접합방법으로는 접합하기 어려운 고융점 내열금속을 용이하게 라이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폭발압접 과정 동안 발생하는 라이닝 튜브의 확관 및 접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폭발압접 과정 동안 발생하는 라이닝 튜브의 확관 및 접합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M) 내부에 모재(M)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L)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부재(L)의 내부에 폭약(T)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부재(L)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모재(M)에 접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이닝(lining)은 일반적으로 금속표면에 녹이 스는 것을 방지하거나 방식(防蝕)을 목적으로 다른 물질을 비교적 두껍게 피복하는 것을 말한다.
피복재로는 금속(아연·알루미늄·니켈·납·구리·주석)·무기질재(법랑·유리·세라믹)도 흔히 사용되지만, 폴리에틸렌·폴리아마이드·염화비닐수지·염화비닐리덴수지·에폭시수지·플루오로수지·페놀수지 등의 유기질재가 많이 사용되며, 태워붙이기·침지(浸漬)·칠하기·접착 등의 방법으로 피복한다.
폭발압접은 화약의 폭발 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을 접합시키는 방법이다.
폭약의 폭발 압력으로 가속된 소재의 접합면을 고속도로 상호 일정한 각도로 충돌시키면 접합면은 파상으로 변형되어 접합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는 에너지를 직접 재료에 전달하는 「직접법」과 폭약과 소재 간에 물을 개재시키는 「간접법」이 있다.
이러한 폭발압접의 장점은 단시간의 압접이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 활성 금속의 접합이 가능하고, 열 영향부가 생기지 않으므로 열처리재에 적합하며, 종류가 다른 금속의 접합이 가능하고, 작업이 간단하고 경제적이다.
한편, 부재(L)의 전체 길이를 따라 부재(L)의 내부에 폭약(T)이 균일하게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모재(M)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G)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지그(G)는, 부재(L)가 모재(M)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모재(M)와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또한, 지그(G)는 부재(L)의 내부의 폭약(T)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된다.
한편, 지그(G)가 체결된 모재(M)는 소정 형태의 치구(fixture)(C)에 거치되어 변형이 방지된다.
폭약(T)은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폭약(T)의 폭약량은 부재(L)의 직경, 두께, 중량을 고려하여 사양에 따라 달리 사용된다.
또한, 폭약(T)의 폭약량은 부재(L)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B)의 두께로 조절된다.
아울러, 폭약(T)의 폭약량은 부재(L)의 중량 대비 0.1 내지 0.3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버퍼(B)는 지관(cardboard paper tube, 紙管)과 내열성을 가지는 필름을 단독 혹은 상기 지관 내부에 필름이 삽입된 형태의 두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폭약(T)은 버퍼(B)가 삽입된 부재(L)의 한쪽 끝을 엔드 캡(E)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T)을 부어서 충진한다. 이는 높은 충진밀도 및 충진 균일성을 얻기 위해서는 공압충진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부재(L)에서 엔드 캡(E)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 전폭약(TA)을 매립한 후 적절한 뇌관을 이용하여 기폭을 실시한다.
전폭약(TA)은 폭발하기 어려운 폭약을 완전히 폭발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폭약이다.
예를 들면, 주조한 트리니트로톨루엔과 같은 매우 둔감한 폭약은 뇌관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완전히 폭발시킬 수 없다.
이 경우에 뇌관만으로 확실하게 폭발하는 테트릴, 트리메틸렌트리니트라민 또는 분말 상태의 것을 압축한 피크르산이나 트리니트로톨루엔과 같은 폭발하기 쉬운 폭약을 중간에 두고, 먼저 뇌관으로 이것을 폭발시키고 그 폭발 위력에 의해 본체의 둔감한 폭약을 폭발시키는 방법이 취해진다.
이와 같이 폭발하기 쉬운 것에서부터 폭발하기 어려운 것으로 점차로 폭발을 전달시켜 나가는 것을 전폭이라 한다. 공업 뇌관인 경우의 첨장약도 일종의 전폭약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은, 저폭속을 가지는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폭약(T)을 버퍼(B)가 삽입된 원통형 튜브 형태의 부재(L) 내부에 충진하고, 모재(M)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의 치구(fixture)(C)에 원통형 튜브 형태의 모재(M)를 수평으로 거치하며, 캡 형태의 지그(G)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재(M) 내부에 부재(L)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기폭하여, 부재(L)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모재(M)에 접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M) 내부에 모재(M)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L)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부재(L)의 내부에 폭약(T)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부재(L)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모재(M)에 접합되도록 하되, 부재(L)는 탄탈륨(Ta), 텅스텐(W), 나이오븀(Nb), 몰리브데늄(Mo) 및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은, 저폭속을 가지는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폭약(T)을 버퍼(B)가 삽입된 원통형 튜브 형태의 부재(L) 내부에 충진하고, 모재(M)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치구(fixture)(C)에 원통형 튜브 형태의 모재(M)를 수평으로 거치하며, 캡 형태의 지그(G)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모재(M) 내부에 부재(L)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기폭하여, 부재(L)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모재(M)에 접합되도록 하되, 폭약(T)의 충진은 공압충진 또는 균일한 속도로 진동과 함께 충진하여 충진 균일도를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M) 내부에 모재(M)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L)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되 상기 간격은 부재(L)의 두께 대비 0.5 내지 1.0 이 되도록 하고, 부재(L)의 내부에 폭약(T)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부재(L)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모재(M)에 접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를 제조할 경우 기존의 접합방법으로는 접합하기 어려운 고융점 내열금속을 용이하게 라이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C : 치구
M : 모재
L : 부재
B : 버퍼
G : 지그
E : 엔드캡
T : 폭약
TA : 전폭약

Claims (17)

  1.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모재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가 체결되고, 상기 부재의 내부의 폭약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의 두께로 조절되고,
    상기 폭약은 상기 버퍼가 삽입된 상기 부재의 한쪽 끝을 엔드 캡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을 부어서 충진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재의 전체 길이를 따라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이 균일하게 충진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부재가 상기 모재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모재와 일정한 간격으로 동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그가 체결된 상기 모재는 소정 형태의 치구(fixture)에 거치되어 변형이 방지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약은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분말 형태로 이루어진,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의 직경, 두께, 중량을 고려하여 사양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의 중량 대비 0.1 내지 0.3 정도인,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지관(cardboard paper tube, 紙管)과 내열성을 가지는 필름을 단독 혹은 상기 지관 내부에 필름이 삽입된 형태의 두 층으로 구성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재에서 상기 엔드 캡 반대쪽에 위치한 단부에 전폭약을 매립한 후 적절한 뇌관을 이용하여 기폭을 실시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14.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저폭속을 가지는 초안(Ammonium Nitrate) 기반의 폭약을 버퍼가 삽입된 원통형 튜브 형태의 부재 내부에 충진하고,
    모재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치구(fixture)에 원통형 튜브 형태의 모재를 수평으로 거치하며,
    캡 형태의 지그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모재 내부에 상기 부재를 동심으로 고정하고,
    기폭하여,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모재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가 체결되고, 상기 부재의 내부의 폭약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의 두께로 조절되고,
    상기 폭약은 상기 버퍼가 삽입된 상기 부재의 한쪽 끝을 엔드 캡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을 부어서 충진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15.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부재는 탄탈륨(Ta), 텅스텐(W), 나이오븀(Nb), 몰리브데늄(Mo) 및 그 합금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하되,
    상기 모재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가 체결되고, 상기 부재의 내부의 폭약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의 두께로 조절되고,
    상기 폭약은 상기 버퍼가 삽입된 상기 부재의 한쪽 끝을 엔드 캡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을 부어서 충진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16. 삭제
  17.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모재 내부에 상기 모재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튜브 형태로 된 부재를 동심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시키되 상기 간격은 상기 부재의 두께 대비 0.5 내지 1.0 이 되도록 하고,
    상기 부재의 내부에 폭약을 충진하여 기폭시킴으로써, 상기 부재를 확관시킴과 동시에 상기 모재에 접합되도록 하되,
    상기 모재의 양단에는 캡 형태의 지그가 체결되고, 상기 부재의 내부의 폭약이 기폭하는 경우 폭발압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폭약의 폭약량은 상기 부재 내부에 삽입되는 버퍼의 두께로 조절되고,
    상기 폭약은 상기 버퍼가 삽입된 상기 부재의 한쪽 끝을 엔드 캡으로 막은 후 공기의 압력을 이용한 공압충진(pneumatic loading) 또는 진동을 가하면서 균일한 속도로 폭약을 부어서 충진하는,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0220147809A 2022-11-08 2022-11-08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KR10253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809A KR102538817B1 (ko) 2022-11-08 2022-11-08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809A KR102538817B1 (ko) 2022-11-08 2022-11-08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817B1 true KR102538817B1 (ko) 2023-05-31

Family

ID=8654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809A KR102538817B1 (ko) 2022-11-08 2022-11-08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81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80A (ko) * 1994-07-27 1996-02-23 김영욱 폭발접합법에 의한 원통형 클래드 튜브의 제조방법
KR970008159A (ko) * 1995-07-06 1997-02-24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구동전압 공급방법
KR20050089931A (ko) * 2004-03-06 2005-09-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접합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내환경성 클래드 판재 및 그제조방법
KR20080102524A (ko) * 2007-05-21 2008-11-26 한국전기연구원 폭발 확관에 의한 복합 부스바 제조방법
JP2016201386A (ja) * 2015-04-07 2016-12-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36098A (ko) 2019-04-11 2021-11-16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라이닝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80A (ko) * 1994-07-27 1996-02-23 김영욱 폭발접합법에 의한 원통형 클래드 튜브의 제조방법
KR970008159A (ko) * 1995-07-06 1997-02-24 김광호 반도체 메모리장치 및 구동전압 공급방법
KR20050089931A (ko) * 2004-03-06 2005-09-0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접합강도와 내식성이 우수한 내환경성 클래드 판재 및 그제조방법
KR20080102524A (ko) * 2007-05-21 2008-11-26 한국전기연구원 폭발 확관에 의한 복합 부스바 제조방법
JP2016201386A (ja) * 2015-04-07 2016-12-0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136098A (ko) 2019-04-11 2021-11-16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관라이닝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0485B1 (en) Method for explosive bonding of tubular metal liners
AU635436B2 (en) Electric initiator for blasting caps
US3736875A (en) Explosive charge with annular ignition gap
RU242573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изделий с внутренними полостями сваркой взрывом
JP2011519012A (ja) 高インパルスのヒューズブースタ用方法及び装置
US3024526A (en) Explosive welding
US4494392A (en) Apparatus for forming an explosively expanded tube-tube sheet joint including a low energy transfer cord and booster
US4449280A (en) Explosive tube expansion
KR102538817B1 (ko) 폭발압접을 이용한 내열금속 라이닝 튜브의 제조 방법
CN108917500B (zh) 一种铅芯式燃爆元件及由该燃爆元件组成的基础雷管
US4231506A (en) Method of welding metal pipe sections with explosives
US9423228B2 (en) Advanced fragmentation hand grenade
US4117966A (en) Explosive welding of a tube into a tube sheet
GB1387293A (en) Device and method for sealing heat-exchanger tubes
RU2537671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труб сваркой взрывом
EP2416105B1 (en) Blast treatment method and blast treatment device
US5221810A (en) Embedded can booster
US3761004A (en) Assembly for explosively bonding together metal layers and tubes
US3605777A (en) Closure mechanism
US99829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ed fragmentation by means of temperature-activatable notch charges
EP0020074B1 (en) Method of welding metal pipe sections with explosives
US20160216085A1 (en) Structure for Shaping and Applying a Propagating Shock Wave to an Area of an Explosive Load to Increase an Energetic Shock Impact Effect on a Target
US3744119A (en) Method for explosively bonding together metal layers and tubes
EP3118568B1 (en) Kit for the fabrication of practice ammunition and related fabrication method
US9964385B1 (en) Shock mitigation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