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595B1 - 반려동물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595B1
KR102538595B1 KR1020210046130A KR20210046130A KR102538595B1 KR 102538595 B1 KR102538595 B1 KR 102538595B1 KR 1020210046130 A KR1020210046130 A KR 1020210046130A KR 20210046130 A KR20210046130 A KR 20210046130A KR 102538595 B1 KR102538595 B1 KR 102538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protector
protective cover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749A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록시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4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595B1/ko
Priority to PCT/KR2021/019079 priority patent/WO2022215828A1/ko
Priority to CN202180096577.5A priority patent/CN117136089A/zh
Priority to JP2023561392A priority patent/JP2024514566A/ja
Publication of KR20220139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595B1/ko
Priority to US18/377,295 priority patent/US202400410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01K27/009Leads or collars, e.g. for dogs with electric-shock, sound, magnetic- or radio-waves emit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7/00Leads or collars, e.g. for do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보호 커버; 상기 보호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보호대{PROTECTOR FOR PET}
본 발명은 미세전류 특수 전자기파를 활용한 반려동물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개 또는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들은 유전적 요인, 후천적 생활환경 또는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척추, 슬개골 등과 같은 신체 부위에 이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이상 증세를 완화시키고자 최근에는 해당 신체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장비(예를 들어, 척추 보호대, 슬개골 보호대 등)가 사용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반려동물용 보호대의 경우 통증 완화 등 별도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착용 시 피부 노폐물로 인한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신체 이상 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전자기파를 제공하여 해당 신체 부위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를 활용함으로써 보호대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는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로서,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보호 커버, 상기 보호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보호 커버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과 각각 결합하는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극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커버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상기 보호 커버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신호는, AC 신호와 DC 신호를 혼합하여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장치는, 배터리,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AC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AC 신호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된 AC 신호에 상기 DC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DC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반려동물용 보호대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신체 이상 부위를 보호함과 동시에 전자기파를 제공하여 해당 신체 부위의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를 활용함으로써 보호대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 커버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 커버의 내측면 및 전극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6b는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의 바이오 필름 제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결", "결합" 또는 "접속"의 경우, 물리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유닛)", "~기", "~자",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 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 커버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호 커버의 내측면 및 전극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1)는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에 착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신체 부위의 보호 및 통증 완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용 보호대(1)는 보호 커버(10), 전극부(40), 및 전원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커버(10)는 일정 면적의 크기를 가지며 반려동물용 보호대(1) 착용 시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부분으로,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커버(10)는 직물, 섬유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반려동물이 반려동물용 보호대(1)를 착용한 경우, 보호 커버(10)의 내측면(11)은 착용 부위에 접촉되는 일면이고, 보호 커버(10)의 외측면(12)은 상기 내측면(11)에 반대되는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커버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밴드(30)가 보호 커버(1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 밴드(30)는 보호 커버(10)의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를 감싸며 보호 커버(10)의 타측에 부착되거나, 보호 커버(10)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된 별도의 보호 밴드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밴드(30)의 개수, 길이, 형성 위치 등은 반려동물용 보호대(1)의 용도(척추 보호용, 슬개골 보호용 등) 및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전극부(40)는 보호 커버(10)의 내측면(11)에 배치되며, 전원 장치(20)로부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전극부(40)는 구동 신호의 전기 에너지를 기초로 전자기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기파는 반려동물용 보호대(1)를 착용한 신체 부위에 전기적 영향을 주어 통증 완화, 염증 감소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장치(20)는 보호 커버(10)의 외측면(12)에 배치되며, 출력 단자를 통해 구동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20)는 보호 커버(10)에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장치(20)의 충전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기파의 제공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전원 장치(20)를 제거한 상태로 반려동물용 보호대(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극부(40)는 제1 전극 단자(41), 제2 전극 단자(42), 제1 전극(51), 및 제2 전극(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단자(41)와 제2 전극 단자(42)는 상호간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며, 각각 보호 커버(10)를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 단자(41)의 일측 및 제2 전극 단자(42)의 일측은 보호 커버(10)의 내측면(11)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 및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은 보호 커버(10)의 외측면(1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극(51)은 제1 전극 단자(41)의 일측과 연결되며, 제2 전극(52)은 제2 전극 단자(42)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반려동물용 보호대(1)의 구동 시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각각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구리(copper), 황동(brass), 알루미늄(Aluminum), 전도성 고분자(Conducting polymer), 전도성 실리콘(Conducting Silicon),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해당 전극 재료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의 상하측 또는 일측에는 별도의 절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은 전기장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특정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가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51)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다수의 제1 서브 전극(51a), 및 상기 제1 서브 전극(51a)과 제1 전극 단자(41)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연결 전극(5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전극(51a)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1 연결 전극(51b)은 제1 서브 전극(51a)의 각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52)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1 서브 전극(51a) 사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 서브 전극(52a), 및 제2 서브 전극(52a)과 제2 전극 단자(42)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전극(5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서브 전극(52a)은 제1 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를 들어,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제2 연결 전극(52b)은 제2 서브 전극(52a)의 각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제1 전극(51)과 제2 전극(52)의 설계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반려동물용 보호대(1)는 전극부(4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전극 커버(1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극 커버(15)는 전극부(40)가 제공하는 전자기파의 간섭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개구부(16)를 포함하는 메쉬 타입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전극 커버(15)는 전극부(4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하여 전극 커버(15)는 전극부(40)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고 가장자리가 보호 커버(10)의 내측면(11)과 고정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극부(40)가 위치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20)는 제1 표시부(21), 제2 표시부(22), 스위치(23), 및 충전 단자(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부(21)는 전원 장치(20)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부(21)는 LED(Light-Emitting Diode)를 구비하여 다수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충전 상태(예를 들어, 적색) 및 완충 상태(예를 들어, 파란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2)는 반려동물용 보호대(1)의 동작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표시부(22)는 LED를 구비하여 다수의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15분 동작(예를 들어, 초록색) 및 30분 동작(예를 들어, 노란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스위치(23)는 반려동물용 보호대(1)의 전원 온(on)/오프(off)를 제어하고, 동작 시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충전 단자(25)는 전원 장치(20)의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장치(20)는 구동 신호의 공급 및 보호 커버(10)와의 결합을 위한 출력 단자(26, 2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출력 단자(26)는 보호 커버(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과 결합하고, 제2 출력 단자(27)는 보호 커버(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 및 제1 출력 단자(26)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 및 제1 출력 단자(26)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 및 제2 출력 단자(27)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 및 제2 출력 단자(27)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과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에는 각각 제1 돌출부(41a) 및 제2 돌출부(42a)가 형성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출력 단자(26)와 제2 출력 단자(27)에는 각각 제1 돌출부(41a)와 끼움 결합하는 제1 결합홈(26a) 및 제2 돌출부(42a)와 끼움 결합하는 제2 결합홈(27a)이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와 반대로 제1 전극 단자(41)의 타측과 제2 전극 단자(42)의 타측에는 각각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이 형성되고, 제1 출력 단자(26)와 제2 출력 단자(27)에는 각각 제1 결합홈 및 제2 결합홈과 끼움 결합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AC 신호와 DC 신호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의 바이오 필름 제거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원 장치(20)는 내부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배터리 전압을 이용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구동 신호를 출력 단자(26, 27)로 출력하여 전극 단자(41, 42)를 통해 전극(51, 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20)는 AC(Alternating Current) 신호와 DC(Direct Current) 신호를 혼합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신호에는 AC 성분과 DC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AC 성분과 DC 성분의 동시 적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 및 공진이 발생하여 모공 오염물의 제거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대표적인 모공 오염물로는 박테리아에 의한 바이오필름(biofilm)이 있으며, 도 6a를 참조하면 구동 신호의 D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은 국소적인 전하량 분포의 불균형을 유도하여 바이오필름의 구조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구동 신호의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은 특이적인 진동 발생을 통해 외부 보호체의 투과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AC 성분과 DC 성분의 시너지 효과는 도 6b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DC 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각각 단독으로 제공하였을 때의 바이오필름 제거 효과에 비해,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DC 전압에 의한 전기장을 중첩하여 동시에 제공하는 경우 바이오필름의 제거 효과가 월등히 우세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20)가 공급하는 구동 신호에 의해 DC 성분에 의한 전기장과 AC 성분에 의한 전기장이 전극부(40)으로부터 동시 제공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피부 내 노폐물(바이오필름)과 관련한 증폭된 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용 보호대(1) 착용 시 발생할 수 있는 피부 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8a에서는 필터링된 AC 신호(Sac')를 도시하였고, 도 8b에서는 DC 신호(Sdc)를 도시하였으며, 도 8c에서는 필터링된 AC 신호(Sac')와 DC 신호(Sdc)가 혼합되어 생성된 구동 신호(Vd)를 도시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원 장치(20)는 배터리(60) 및 신호 공급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60)는 전원 장치(20)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신호 공급부(70)로 배터리 전압(Vb)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60)는 1차 전지(Primary Battery) 또는 2차 전지(Secondary Battery)로 설정될 수 있다.
배터리(60)가 1차 전지인 경우 사용자는 배터리(60)를 주기적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배터리(60)가 2차 전지인 경우 앞서 살펴본 충전 단자(25)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 공급부(70)는 DC-DC 컨버터(71), 신호 발생부(72), 필터(73), 및 캘리브레이션부(7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전압 분배부(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71)는 배터리(60)로부터 배터리 전압(Vb)을 공급받고, 배터리 전압(Vb)을 소정 레벨의 출력 전압(Vo)으로 변환시켜 출력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72)는 DC-DC 컨버터(71)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동작하며, DC-DC 컨버터(71)의 출력 전압(Vo)을 이용하여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AC 신호(Sac)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72)는 오실레이터(Oscillator), 함수 발생기(Function Generator) 등과 같은 AC 신호를 생성 가능한 기 공지된 구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 신호(Sac)는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AC 신호(Sac)가 1KHz 미만의 저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모공 오염물(바이오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며, AC 신호(Sac)가 1000MHz를 넘는 초고주파로 설정되는 경우에도 모공 오염물(바이오필름)의 제거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한편, AC 신호(Sac)의 주파수는 모공 오염물(바이오필름)의 제거에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AC 신호(Sac)의 진폭은 0.1mv ~ 3V로 설정될 수 있다. AC 신호(Sac)의 진폭이 0.1mV 미만인 경우 모공 오염물(바이오필름)의 제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AC 신호(Sac)의 진폭이 3V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체액의 전기분해로 인한 독소물질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필터(73)는 신호 발생부(72)에 의해 생성된 AC 신호(Sac)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필터(73)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포함하여, 톱니파(Sawtooth Wave) 형태의 AC 신호(Sac)을 사인파(Sine Wave) 형태의 AC 신호(Sac')로 변환할 수 있다. 다만, 필터(73)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계 구조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채용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부(74)는 필터(73)를 통해 공급된 AC 신호(Sac')에 DC 신호(Sdc)를 혼합하여 구동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캘리브레이션부(74)는 AC 신호(Sac')와 DC 신호(Sdc)의 합산(또는 중첩)이 가능한 연산 증폭기(operating amplifie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AC 신호(Sac')에는 DC 신호(Sdc)에 해당하는 오프셋(offset)이 발생되며, AC 성분과 DC 성분이 모두 보유한 구동 신호(Vd)가 생성될 수 있다.
구동 신호(Vd)는 AC 신호(Sac)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구동 신호(Vd)는 1KHz ~ 1000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모공 내 노폐물의 제거에 보다 적합한 5MHz ~ 15MHz의 주파수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신호(Vd)의 진폭은 0.1mv ~ 3V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캘리브레이션부(440)는 A 볼트(V)의 진폭을 갖는 AC 신호(Sac')를 필터(73)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해당 AC 신호(Sac')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볼트(V)의 DC 신호(Sdc)을 중첩함으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구동 신호(Vd)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DC 신호(Sdc)의 전압값은 AC 신호(Sac')의 진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신호(Vd)의 전압값은 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결국,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은 구동 신호(Vd)의 진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이 구동 신호(Vd)의 진폭 값 미만인 경우, 구동 신호(Vd)의 전압이 음의 값을 갖게 되는 구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구간에서 전압이 음의 값을 갖게 됨에 따라 전기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구동 신호(Vd)의 DC 오프셋 값을 구동 신호(Vd)의 진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하게 되면, 구동 신호(Vd)의 전압이 항상 ‘0’ 이상이므로 전기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DC 신호(Sdc)는 전압 분배부(7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분배부(75)는 DC-DC 컨버터(71)의 출력 전압(Vo)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출력 전압(Vo)에 대한 전압 분배를 수행하여 DC 신호(Sdc)를 생성할 수 있다.
전압 분배부(75)는 출력 전압(Vo)을 분배하기 위한 저항 스트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DC-DC 컨버터(71)의 출력 전압(Vo)이 구동 신호(Vd) 생성에 바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경우, 해당 출력 전압(Vo)이 DC 신호(Sdc)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분배부(75)는 생략될 수 있으며, DC-DC 컨버터(71)의 출력 전압(Vo)이 캘리브레이션부(74)로 입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원 장치(20)에서는 신호 공급부(70)가 사용자의 제어에 대응하여 구동 신호(Vd)의 특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장치(20)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신호 공급부(7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신호(Vd)의 특성은 구동 신호(Vd)의 진폭 및 DC 오프셋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구동 신호(Vd)의 진폭 및 DC 오프셋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함으로써,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최적의 구동 신호(Vd)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통해, 반려 동물의 특성을 고려한 피부 관리가 가능해진다.
이때, 구동 신호(Vd)의 특성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입력 방식은 전원 장치(20)에 설치된 스위치(23) 또는 별도 버튼(미도시)에 의한 것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전원 장치(20)에 설치된 스위치(23) 등을 조작함으로써, 구동 신호(Vd)의 특성을 조절 또는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버튼 또는 스위치 조작으로 구동 신호(Vd)의 설정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80)는 구동 신호(Vd)가 입력된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진폭 값 및 DC 오프셋 값을 갖도록 신호 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신호 발생부(72)를 제어함으로써 AC 신호(Sac)의 진폭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0)는 DC-DC 컨버터(71) 및/또는 전압 분배부(75)를 제어함으로써 DC 신호(Sdc)의 전압 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구동 신호(Vd)의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80)는 DC 신호(Sdc)의 전압 값이 AC 신호(Sac')의 진폭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전압 분배부(75)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 신호(Vd)의 전압 값은 0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반려동물용 보호대
10: 보호 커버
20: 전원 장치
40: 전극부

Claims (10)

  1.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에 착용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의 신체 부위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는 보호 커버;
    상기 보호 커버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구동 신호를 공급받아 상기 구동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제공하는 전극부; 및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출력 단자를 통해 상기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전원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는, AC(Alternating Current) 신호와 DC(Direct Current) 신호를 혼합하여 생성된 것이며,
    상기 구동 신호가 0 이상의 값을 갖도록 상기 구동 신호의 DC 오프셋 값은 상기 구동 신호의 진폭 이상으로 설정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보호 커버를 관통하며 설치되는 제1 전극 단자 및 제2 전극 단자;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2 전극; 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자는,
    상기 보호 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과 각각 결합하는 제1 출력 단자 및 제2 출력 단자;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1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 중 어느 하나에는 제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전극 단자의 타측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2 돌출부와 끼움 결합되는 제2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다수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전극 커버; 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커버의 고정 설치를 위하여 상기 보호 커버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밴드; 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배터리;
    배터리 전압을 공급받아 출력 전압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AC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신호 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AC 신호에 대한 필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해 공급된 AC 신호에 상기 DC 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구동 신호를 생성하는 캘리브레이션부; 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을 분배하여 상기 DC 신호를 생성하는 전압 분배부; 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반려동물용 보호대의 동작 시간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호대.
KR1020210046130A 2021-04-08 2021-04-08 반려동물용 보호대 KR102538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30A KR102538595B1 (ko) 2021-04-08 2021-04-08 반려동물용 보호대
PCT/KR2021/019079 WO2022215828A1 (ko) 2021-04-08 2021-12-15 반려동물용 보호대
CN202180096577.5A CN117136089A (zh) 2021-04-08 2021-12-15 宠物用保护带
JP2023561392A JP2024514566A (ja) 2021-04-08 2021-12-15 ペット用保護具
US18/377,295 US20240041007A1 (en) 2021-04-08 2023-10-05 Brace for p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6130A KR102538595B1 (ko) 2021-04-08 2021-04-08 반려동물용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749A KR20220139749A (ko) 2022-10-17
KR102538595B1 true KR102538595B1 (ko) 2023-05-31

Family

ID=8354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130A KR102538595B1 (ko) 2021-04-08 2021-04-08 반려동물용 보호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41007A1 (ko)
JP (1) JP2024514566A (ko)
KR (1) KR102538595B1 (ko)
CN (1) CN117136089A (ko)
WO (1) WO20222158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13B1 (ko) * 2023-09-14 2024-03-15 주식회사 엠투웬티 반려 동물 ems 치료기 및 치료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972B1 (ko) * 2022-11-18 2023-06-29 김원경 반려동물용 근육 강화 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0847A1 (en) 2008-11-21 2010-05-27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de Garment
KR102140081B1 (ko) * 2018-05-09 2020-07-31 (주)광세의료기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642Y1 (ko) * 2002-10-04 2003-04-03 정우협 애완동물 질병예방 및 치료 의복
WO2004108209A1 (en) * 2003-06-06 2004-12-16 Prizm Medical, Inc. Electrical stimulator and garment electrode connection system
JP2011234833A (ja) * 2010-05-07 2011-11-24 Shinko Seiki:Kk 低周波治療器用電極パット及び低周波治療器
US8731657B1 (en) * 2011-07-05 2014-05-20 TAMA Research Corp.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PT2780073T (pt) * 2011-11-15 2017-12-18 Neurometrix Inc Aparelho para alívio da dor que utiliza estimulação nervosa elétrica transcutâne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0847A1 (en) 2008-11-21 2010-05-27 Tyco Healthcare Group Lp Electrode Garment
KR102140081B1 (ko) * 2018-05-09 2020-07-31 (주)광세의료기 반려동물용 저주파 치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ffect of electrical energy on the efficacy of biofilm treatment using the bioelectric effect. Young Wook Kim 외 9명, npj Biofilms and Microbiomes 15016(20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913B1 (ko) * 2023-09-14 2024-03-15 주식회사 엠투웬티 반려 동물 ems 치료기 및 치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4566A (ja) 2024-04-02
KR20220139749A (ko) 2022-10-17
CN117136089A (zh) 2023-11-28
WO2022215828A1 (ko) 2022-10-13
US20240041007A1 (en)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595B1 (ko) 반려동물용 보호대
US9031664B2 (en) Current steering neurostimulator device with unidirectional current sources
DE69840306D1 (de) Implantierbare Einrichtung mit verbesserter Anordnung zur Ladung der Batterie und zur Energiezufuhr
CN107073261B (zh) 伤口护理绷带和伤口愈合方法
CN111344038B (zh) 电疗仪
MX2012009275A (es) Dispositivo transductor digital portatil programable con alta discriminacion en baja frecuencia y de baja intensidad.
US20240016593A1 (en) Electric toothbrush for pets
US20090039145A1 (en) Stock prodder
KR102581590B1 (ko) 피부 염증 치료 장치
KR102585811B1 (ko) 스마트 베개
EP2957318A1 (en) Battery-embedded portable high-frequency therapeutic apparatus
GB2602669A (en) Pulsed electromagnetic field system
CN114306931A (zh) 一种脉冲发生器及其控制方法
KR102466800B1 (ko) 세안 장치
KR100846093B1 (ko) 출력조절이 가능한 자기치료기용 코일 프로브
KR102674262B1 (ko) 전극이 구비된 비공 삽입 장치
CN111727070A (zh) 用于电和磁组织刺激的设备
KR101648362B1 (ko) 고주파 출력 변조 제어 시스템을 통한 지방분해 장비
CN111009822B (zh) 离子产生装置
SharafiMasouleh et al. Highly efficient power transmission-conversion chain for a wireless and battery-free EEG cap
CN217391405U (zh) 体外转接器的固定装置及临时起搏设备
CN117282021A (zh) 美容仪电路及美容仪
US4482856A (en) Battery charger
KR20230036827A (ko) 전기 칫솔
KR20230077376A (ko) 비염 치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