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255B1 -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 Google Patents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255B1
KR102538255B1 KR1020220154979A KR20220154979A KR102538255B1 KR 102538255 B1 KR102538255 B1 KR 102538255B1 KR 1020220154979 A KR1020220154979 A KR 1020220154979A KR 20220154979 A KR20220154979 A KR 20220154979A KR 102538255 B1 KR102538255 B1 KR 102538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ent
content
module
artwork
rea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선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버킷트래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버킷트래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버킷트래블
Priority to KR102022015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2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a non-face-to-face user and a method thereof. 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a non-face-to-face user comprises: a docent terminal uploading docent content by generating the docent service and uploading an explanation for a predetermined artwork in real time; a user terminal requesting, downloading, and executing the docent content; and a docent service server receiving and storing the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doc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a non-face-to-face user and the method thereof enable a user to see and listen to the explanation according to various viewpoints and understanding of various docents about various artworks in a non-face-to-face state by collecting the docent content of the voluntary docents through the docent service server and providing the collected docent content for the users even when the user does not go to an art gallery. Moreover, 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a non-face-to-face user and the method thereof directly connect the user to the desired docent through a docent QR code display prepared for each artwork by entering the art gallery for the user to listen to the explanation for the artwork one on one in real time, ask a question in real time, and listen to a replay. Therefore, 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a non-face-to-face user and the method thereof improves quality of the docent service and enables the user to listen to the explanation in real time by selecting the artwork and the docent.

Description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본 발명은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more specifically, to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가 퍼짐에 따라 미술관, 전시관 등을 방문하는 이용자의 수가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라 미술품 전시회도 줄어들게 되었다.As the corona virus spread, the number of users visiting art galleries and exhibition halls has drastically decreased, and accordingly, art exhibitions have also decreased.

연극이나 연주회는 온라인 연극이나 온라인 연주회로 오프라인을 대체하기도 하였다.Plays and concerts have replaced offline with online plays and online concerts.

이처럼 바이러스가 앞으로도 계속 출현하고, 일상 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예측이 늘어남에 따라 미술관이나 전시관에서도 보다 많은 이용자들이 미술 감상에 대한 기회를 잃지 않으면서 질 높은 관람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As the virus continues to appear in the future and predictions that it can interfere with daily life increase, museums and exhibition halls need a means to form a high-quality viewing culture without losing the opportunity for art appreciation by more users. The situation is.

기존에는 미술관에서 도슨트(docent)의 안내와 설명에 따라 많은 이용자들이 군집하여 설명을 듣고 이동하곤 했으나, 바이러스가 퍼지는 상황에서는 도슨트(docent)의 안내나 군집 이동 형태는 자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In the past, many users gathered in art museums to listen to explanations and move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and explanations of docents.

하지만, 미술관에서 미술품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와 감상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도슨트의 안내와 설명이 필수적이다.However, in order to be able to have a broade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artworks in a museum, docent guidance and explanations are essential.

비대면 문화가 정착되어 가는 현 상황에서 미술품 감상에 대한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고 감상의 질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on-face-to-face culture is being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means for art appreciation and to devis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and understanding of appreciation.

공개특허공보 10-2019-0072762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72762 공개특허공보 10-2019-0065118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5118

본 발명의 목적은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cent service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업로드하고, 소정의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실시간 업로드하는 도슨트 단말;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이용자 단말; 상기 도슨트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도슨트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도슨트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docent terminal generating and uploading docent content and uploading a description of a predetermined artwork in real time;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downloads, and executes docent cont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ocent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and transmits the doc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도슨트 단말은, 상기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로 생성하여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ocent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audio/video content description of the artwork and upload i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in real time.

그리고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도슨트 콘텐츠에 번역 자막을 부가하여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servic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add translated subtitles to the docent content and transmit the translated subtitles to the user terminal.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방법은,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가 상기 도슨트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용자 단말이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docent service method for a non-face-to-face user, generating docent content and uploading it to a docent service server; receiving and storing the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by the docent service server; The user terminal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requesting, downloading, and executing docent content from the docent service server.

여기서, 상기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업로드하는 단계는, 상기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로 생성하여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step of generating and uploading the docent conten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may include generating audio/video content for the description of the artwork and uploading i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in real time.

그리고 상기 이용자 단말이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로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단계는, 번역 자막이 부가된 도슨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tep of requesting, downloading and executing docent content by the user terminal from the docent service server may be configured to download and execute docent content with translation subtitles added thereto.

그리고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가 상기 도슨트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도슨트 콘텐츠를 미술품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by the docent service server, the docent content may be classified and stored according to artworks.

상술한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미술관에 가지 않더라도 도슨트 서비스 서버를 통해 자발적인 도슨트들의 도슨트 콘텐츠를 수집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비대면 상태에서도 다양한 미술품에 대해 다양한 도슨트의 다양한 시각과 이해에 따른 설명을 보고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and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it is configured to collect and provide docent contents of voluntary docents through the docent service server even if they do not go to an art museum, and provide them to users, so that they can learn about various art works even in a non-face-to-face state. There is an effect of seeing and hearing explanations according to various perspectives and understandings of various docents.

또한, 미술관에 입장하여 각 미술품마다 구비된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를 통해 원하는 도슨트와 직접 연결하여 1:1로 해당 미술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설명을 듣고, 아울러 실시간으로 질문하고 답변을 듣도록 구성됨으로써, 도슨트 서비스에 대한 질을 높이고, 미술품과 도슨트를 선별하여 실시간으로 설명을 들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entering the museum and directly connecting to the docent of your choice through the docent QR code display provided for each art piece, you can listen to the explanation of the art piece in real time on a 1:1 basis, as well as ask questions and listen to answers in real time, so that the docen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quality of service, selecting artworks and docents, and listening to explanations in real time.

아울러, 각 미술품별로 도슨트의 순위를 설정하여 게시하고, 순위에 따른 각 도슨트의 전문 분야를 인식하여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물론, 각 미술품에 대한 이용자의 도슨트 평가를 활용하여 미술품별로 도슨트를 제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이용자에게 최적의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미술 분야에 대한 각 도슨트의 질적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ocent rankings are set and posted for each art piece, each docent's area of expertise is recognized and provided to users according to the ranking, and docents are limited for each art piece by utilizing the user's docent evaluation of each art piece. By being configured,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optimal docent service to users and maintaining the quality level of each docent in various art field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docent service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specific contents for practicing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each figure.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a first element may be term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termed a first ele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and/or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reci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은 도슨트(docent) 단말(100),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 이용자 단말(300),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cent terminal 100, a docent QR code display 200, a user terminal 300, and a docent service server. (400).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슨트 단말(100)은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슨트 콘텐츠는 소정의 미술품에 관한 콘텐츠로서, 미술품은 미술관에 전시 중인 미술품일 수도 있고, 전시되어 있지 않은 미술품이어도 무방하다.The docent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d upload docent conten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 The docent content is content related to a predetermined artwork, and the artwork may be an artwork on display in an art museum or an artwork that is not on display.

또한, 도슨트 단말(100)은 소정의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의 중계를 통해 이용자 단말(300)로 실시간 송신하고, 이용자 단말(300)과 온라인 상에서 소통하고 질문에 답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술관을 찾은 이용자를 위한 비대면 1:1의 도슨트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다. 도슨트는 미술관이 아닌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에의 접속을 통해 미술관을 찾은 이용자에게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ent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description of a predetermined artwork online in real time. Specifically, 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data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al time through the relay of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300 online, and answer questions. A non-face-to-face 1:1 docent service for users visiting the museum can be implemented. A docent may be located anywhere other than an art museum, and may provide a docent service to a user visiting an art gallery at any time through access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는 미술관에 전시된 미술품 별로 미술품 옆 또는 앞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next to or in front of each artwork displayed in the art museum.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는 해당 미술품을 설명할 도슨트를 선택하기 위한 도슨트 QR 코드를 실시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슨트 마다 대응되는 고유의 도슨트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현재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에 접속되어 해당 미술품에 대해 실시간으로 1:1 안내를 할 수 있는 도슨트의 도슨트 QR 코드가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술관을 찾은 이용자는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된 도슨트 QR 코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1:1로 해당 미술품에 대한 비대면 안내/설명을 들을 수 있다.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in real time a docent QR code for selecting a docent to explain a corresponding artwork. That is, a unique docent QR code corresponding to each docent can be displayed, and the docent QR code of the docent who is connected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and can provide 1:1 guidance on the art work in real time is configured to be displayed. It can be. A user who visits the art museum can select one of the docent QR codes displayed on 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and listen to non-face-to-face guidance/explanation about the art work on a 1:1 basis.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는 도슨트 QR 코드와 함께 도슨트에 대한 설명이나 소개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슨트 순위, 도슨트 전문 분야, 도슨트 사용 언어, 도슨트 이미지 등을 표시할 수 있다.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description or introduction of the docent together with the docent QR code. For example, the docent rank, docent specialty area, docent language, docent image,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이용자 단말(300)은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미술관을 찾지 않은 이용자들도 또는 미술관에서는 볼 수 없는 개인 소유의 미술품에 대한 도슨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download, and execute docent content. Users who have not visited the museum can also receive a docent service for privately owned artworks that cannot be seen in the museum.

그리고 이용자 단말(300)은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에 실시간 표시된 도슨트 QR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도슨트 단말(1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도슨트 단말(100)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도슨트로부터 해당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행하고 도슨트와 양방향으로 소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300 recognizes the docent QR code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and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ocent terminal 100, an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docent terminal 100, information about the art work from the corresponding docent. It can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execute instructions in real time and to communicate interactively with the docent.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용자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도슨트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 콘텐츠에 번역 자막을 부가하여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nd store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100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doc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300 . In this case,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add translation subtitles to the docent content and transmit the translated subtitles to the user terminal 300 .

그리고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가 현재 설명 가능한 도슨트의 도슨트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당 도슨트 QR 코드를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docent QR code in real time so that the docent QR code display 200 may display the docent QR code of the currently explainable docent.

그리고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 단말(300)을 해당 도슨트 단말(100)과 연결하여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미술관을 찾은 이용자와 도슨트 간의 비대면 1:1 양방향 중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establish a session by connecting the user terminal 300 accessed through recognition of the docent QR code with the corresponding docent terminal 100 . That is, non-face-to-face 1:1 bi-directional relaying between users visiting the museum and docents can be performed.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402), 미술품별 분류 모듈(403), 미술관별 분류 모듈(404), 도슨트별 분류 모듈(405),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407),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408),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409), 광고 송출 모듈(410), 광고 수익 정산 모듈(411),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412),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413), 도슨트 AI 추천 모듈(414),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415),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416),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417),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418), 도슨트 QR 코드 표시 제어 모듈(419),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420),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업데이트 모듈(421),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422),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423)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includes a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401, a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2, a classification module by artwork 403, a classification module by museum 404, a classification module by docent 405,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407, automatic docent content search module 408,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409,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410, advertisement revenue calculation module 411,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412), docent specialty area AI recognition module (413),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414), docent database participating in interactive relay (415), docent access real-time confirmation module (416), real-time docent roster creation module for each artwork (417),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for each artwork (418), docent QR code display control module (419),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420), docent roster real-time update module for each artwork (421), receiving docent evaluation for each artwork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dule 422 and a docent limitation module 423 for each artwork.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는 도슨트 및 도슨트 콘텐츠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401 may be configured to store docents and docent contents.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402)은 도슨트 단말(100)로부터 도슨트 콘텐츠를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슨트는 자발적으로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업로드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2 may be configured to collect docent content from the docent terminal 100 . A docent may voluntarily create docent content and upload i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

미술품별 분류 모듈(403)은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402)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해당 미술품별로 분류하여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module 403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the docent contents collected in 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2 by corresponding artwork and store them in the docent/docent contents database 401 .

미술관별 분류 모듈(404)은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402)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해당 미술품이 전시된 미술관별로 분류하여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rt museum classification module 404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the docent content collected in 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2 by art museum where the corresponding artwork is displayed, and store the docent content i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401 .

도슨트별 분류 모듈(405)은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402)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도슨트별로 분류하여 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lassification module 405 for each docent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the docent contents collected in 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2 for each docent and store them in the docent/docent contents database 401 .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은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도슨트 콘텐츠를 자동으로 온라인 상에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은 앞서 분류된 분류 기준에 따라 게시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post docent content stored i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401 online.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may post according to the previously classified classification criteria.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407)은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에 게시된 도슨트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한 도슨트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407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docent content request for downloading docent content posted on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from the user terminal 300 .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408)은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407)에서 수신된 도슨트 콘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도슨트 콘텐츠를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100) 상에서 자동 검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automatic search module 408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arch the docent content o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100 according to the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ed by the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407 .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409)은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408)에 의해 검색된 도슨트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409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the docent content retrieved by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search module 408 to the user terminal 300 .

광고 송출 모듈(410)은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409)의 도슨트 콘텐츠 송신에 선행하여 광고 콘텐츠를 이용자 단말(300)로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41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300 prior to transmission of the docent contents by the docent contents transmission module 409 .

광고 수익 정산 모듈(411)은 광고 송출 모듈(410)의 광고 콘텐츠 송출에 따른 광고 수익의 소정 비율의 금액을 도슨트 콘텐츠의 도슨트 단말(100)로 자동 정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슨트는 비대면 상태에서 자신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advertisement revenue calculation module 411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tle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advertisement revenu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s transmission of the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410 to the docent terminal 100 of the docent contents. Docen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generate their own profits in a non-face-to-face state.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412)은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409)의 도슨트 콘텐츠 송신 횟수에 기반하여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를 실시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들에게 인기가 있는 도슨트 콘텐츠는 높은 순위를 기록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412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work in real time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409 transmits the docent content. Docent contents that are popular with users can rank high.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은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412)에서 실시간 설정된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를 온라인 상에 실시간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용자들은 미술품별로 인기가 높은 도슨트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auto-posting module 406 may be configured to post the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work set in real-time in the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412 online in real time. Users can check popular docent content for each art piece.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413)은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412)에서 실시간 설정된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에 기반하여 각 도슨트의 미술품 전문 분야를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도슨트의 도슨트 콘텐츠들 중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도슨트 콘텐츠의 미술품 전문 분야가 무엇인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특정 도슨트가 후기 인상주의 미술품들, 르네상스 시대 벽화, 고흐 등의 미술품에 관한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경우, 후기 인상주의 미술품에 대해서는 매우 높은 도슨트 콘텐츠 순위를 기록하지만, 나머지 르네상스 시대 벽화나 고흐에 관해서는 도슨트 콘텐츠 순위가 매우 낮은 경우라면, 해당 도슨트의 미술품 전문 분야는 후기 인상주의라고 볼 수 있다.The docent specialization AI recognition module 413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each docent's art specialty field using an AI algorithm based on the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 product set in real time in the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412 . Among the docent contents of a specific docent, it recognizes the art specialty field of the docent contents that are ranked high. For example, if a certain docent creates and provides docent content related to Post-Impressionist artworks, Renaissance period murals, and artworks such as Van Gogh, a very high docent content ranking is recorded for Post-Impressionist artworks, but the rest of the Renaissance period murals or As for Van Gogh, if the docent content ranking is very low, the docent's field of art can be regarded as Post-Impressionism.

도슨트 AI 추천 모듈(414)은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413)에서 인식된 각 도슨트의 도슨트 미술품 전문 분야에 기반하여 각 미술품의 도슨트를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414 may be configured to recommend a docent for each art work by using an AI algorithm based on the docent's art specialty field recognized by the docent specialty AI recognition module 413 .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은 도슨트 AI 추천 모듈(414)에 의해 추천된 각 미술품의 도슨트를 온라인 상에 실시간 게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may be configured to post the docent of each artwork recommended by the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414 online in real time.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415)에는 양방향 중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도슨트가 미리 등록될 수 있다.In the docent database 415 participating in interactive relay, docents who wish to participate in interactive relay may be registered in advance.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는 미술관을 찾은 이용자에게 온라인 상에서 소정 미술품에 대한 실시간 설명을 하고 그 이용자의 질문에 대해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 답변할 수 있다.Docents participating in two-way relaying can give real-time explanations about certain artworks online to users who have visited the museum, and answer questions of the users online in real time.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416)은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415)에 등록된 도슨트의 도슨트 단말(100)이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현재 접속 가능한 도슨트를 실시간 확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access real-time checking module 416 checks whether the docent terminal 100 of the docent registered in the interactive relay participating docent database 415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to check the currently accessible docent in real time. can be configured.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417)은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415)에 등록된 도슨트 중에서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416)에서 현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실시간 확인된 도슨트를 이용하여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roster)를 실시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양방향 중계에 참여하고자 하는 도슨트는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에 미술품별로 양방향 중계 참여 신청을 미리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도슨트는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417)에 의해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에 실시간 등록될 수 있다.The real-time creation module 417 of docent rosters for each art piece generates a docent roster for each art piece by using a docent identified in real time as being currently connected in the docent access real-time confirmation module 416 among docents registered in the docent database 415 participating in interactive relaying ( roster) in real time. Here, a docent who wishes to participate in interactive relaying may be configured to make a request to participate in interactive relaying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in advance for each artwork. The corresponding docent may be registered in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 piece in real time by the docent roster real-time generation module 417 for each art piece.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418)은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417)에 의해 실시간 생성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가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418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store the docent roaster for each artwork created in real time by the docent roaster real-time generating module 417 for each artwork.

도슨트 QR 코드 표시 제어 모듈(419)은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418)에 저장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의 각 도슨트 QR 코드를 해당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200)에 각각 표시하도록 원격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QR code display control module 419 may be configured to remotely control each docent QR code of the docent roaster for each art piece stored in the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418 for each docent QR code display 200 for each art piece. .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420)은 이용자 단말(300)의 도슨트 QR 코드 인식에 의한 접속에 따라 이용자 단말(300)과 해당 도슨트 단말(100) 간의 세션을 실시간 설정하고 양방향 중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420 is configured to establish a real-time ses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corresponding docent terminal 100 according to access by recognizing the docent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300 and perform two-way relay. can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업데이트 모듈(421)은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420)의 세션 설정 상태에 따라 현재 접속 가능한 도슨트 단말(100)을 실시간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실시간 파악 결과를 이용하여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418)에 저장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roster real-time update module 421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determine the currently accessible docent terminal 1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ssion setting state of the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420 . In addition,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work stored in the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418 for each artwork may be updated in real time by using the result of the real-time identification.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422)은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420)의 양방향 중계에 따른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를 해당 이용자 단말(100)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세션 상에서 설명을 듣는 것뿐만 아니라 질문도 하고 도슨트로부터 답변도 받을 수 있으며, 이용자 단말(100)은 이용자의 해당 도슨트에 대한 평가를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피드백할 수 있다.The docent evaluation receiving module 422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docent evaluation for each artwork according to the interactive relay of the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420 from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00 in real time. That is, the user can not only listen to explanations in the session, but also ask questions and receive answers from the docent, and the user terminal 100 can feed back the user's evaluation of the corresponding docen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423)은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422)에서 실시간 수신된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에 기반하여 미술품별로 도슨트의 양방향 중계의 참여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슨트의 설명이나 안내가 너무 부정확하고 형편없다는 평가가 많다면,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423)은 그러한 도슨트의 양방향 중계 참여를 제한하여 도슨트의 질적 수준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The docent restriction module 423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limit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relaying of docents for each artwork based on the docent evaluation for each artwork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docent evaluation receiving module 422 for each artwork. If there are many evaluations that the docent's explanation or guidance is too inaccurate or poor, the docent limitation module 423 for each artwork may limit the docent'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relay so that the docent's quality level can be maintained above a certain level.

그리고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423)은 그 제한 결과를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415)에 실시간 반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docent restriction module 423 for each artwork may be configured to reflect the restriction result to the docent database 415 participating in the interactive relay in real time.

한편,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의 도슨트 콘텐츠 모방 판단 모듈(미도시)은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401)에 저장된 도슨트 콘텐츠 중에서 서로 다른 도슨트의 도슨트 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내용이 거의 유사한지 여부, 일종의 저작권 침해나 모방, 베끼기, 표절의 위험이 있는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ocent content imitation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of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docent contents stored in the docent/docent contents database 401 are almost similar to each other despite the docent contents of different docen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risk of copyright infringement, imitation, copying, or plagiarism.

도슨트 콘텐츠 모방 판단 모듈(미도시)은 동일한 미술품에 대한 도슨트 콘텐츠를 서로 다른 도슨트의 도슨트 콘텐츠들 간에 대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주기마다 비디오 콘텐츠에서 화면 컷(cut)을 캡쳐하여 캡쳐 화면 간에 유사성을 대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ocent content imitation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may compare docent content for the same artwork between docent content of different docents. Specifically, it may be configured to capture screen cuts from video conten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compare similarities between captured screens.

그리고 오디오에서 문장들을 구별하고 문장 내 의미있는 키워드(명사, 형용사 어간)들을 추출하고, 문장 내 키워드 간에 어느 정도의 유사성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문장 자체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문장들이 양 콘텐츠에서 몇 퍼센트 이상 나타난다면, 양 콘텐츠는 거의 유사한 콘텐츠라고 판단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sentences from audio, extract meaningful keywords (nouns, adjective stems) in sentences, and determine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keywords in sentences. That is, if sentences that are judged to be similar to each other appear in more than a few percent of both contents, the two contents may be determined to be almost similar contents.

동일 미술품일 경우 유사 단어들이 자주 출현할 수 있지만, 문장 자체가 유사한 문장들이 매우 많이 나타난다면 유사한 콘텐츠라고 볼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ame artwork, similar words may appear frequently, but if sentences with similar sentences appear very often, it can be regarded as similar content.

한편, 도슨트들은 미술품에 대해 역사나 문화, 사회적 배경 등의 다양한 인문학적 요소들을 반영하여 미술품을 폭넓게 설명하고 다양한 시각에 따라 안내할 수 있다. 도슨트 콘텐츠는 미술품의 기법이나 미술가에 한정되어 설명하지 않고 나름대로의 독특한 시각이 녹아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위와 같은 도슨트 콘텐츠 모방 판단 모듈(미도시)의 대비 결과를 이용하여 도슨트 콘텐츠 이격도 판단 모듈(미도시)이 해당 도슨트 콘텐츠가 다른 일반적인 도슨트 콘텐츠의 군집과 다소 다른 내용과 시각을 갖는 이격도를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용자에 따라서는 이러한 좀 더 다른 시각과 내용의 도슨트 콘텐츠를 원할 수 있기 때문에 도슨트 콘텐츠 이격도 판단 모듈(미도시)의 이격도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도슨트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도슨트 콘텐츠 이격도 판단 모듈(미도시)의 이격도 판단 결과는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406)에 의해 게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ocents can broadly explain art works by reflecting various humanistic elements such as history, culture, and social background, and guide them according to various perspectives. Docent contents are not limited to art techniques or artists, but can incorporate their own unique perspectives. In this case, by using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ocent content imitation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as above, the docent content separation degree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determines the degree of separation in which the corresponding docent content has a slightly different content and perspective from other general docent content clusters. You can judge whether you have it or not. Since some users may want docent content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and content, the docent content may be selected using the distanc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ocent content distance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The distanc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ocent content distance determination module (not shown) may be posted by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6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of a docent service method for non-face-to-face us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슨트 단말(100)은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업로드한다(S101).Referring to FIG. 2 , the docent terminal 100 creates docent content and uploads i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S101).

여기서, 도스트 단말(100)은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로 생성하여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실시간 업로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ocent terminal 10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audio/video content description of a work of art and upload it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in real time.

다음으로,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가 도슨트 단말(100)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102).Next,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receives and stores the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100 (S102).

여기서,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는 도슨트 콘텐츠를 미술품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may be configured to classify and store docent content by artwork.

다음으로, 이용자 단말(300)이 도슨트 서비스 서버(400)로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한다(S103).Next,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s, downloads, and executes docent content from the docent service server 400 (S103).

이때, 이용자 단말(300)이 번역 자막이 부가된 도슨트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configured to download and execute the docent content with translated subtitles added thereto.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There will be.

100: 도슨트 단말
200: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
300: 이용자 단말
400: 도슨트 서비스 서버
401: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
402: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
403: 미술품별 분류 모듈
404: 미술관별 분류 모듈
405: 도슨트별 분류 모듈
406: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
407: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
408: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
409: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
410: 광고 송출 모듈
411: 광고 수익 정산 모듈
412: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
413: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
414: 도슨트 AI 추천 모듈
415: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
416: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
417: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
418: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
419: 도슨트 QR 코드 표시 제어 모듈
420: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
421: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업데이트 모듈
422: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
423: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
100: docent terminal
200: docent QR code display
300: user terminal
400: docent service server
401: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402: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403: classification module by artwork
404: Classification module by art gallery
405: classification module by docent
406: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407: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408: docent content automatic search module
409: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410: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411: Advertising revenue settlement module
412: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413: Docent Specialty AI Recognition Module
414: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415: Interactive relay participation docent database
416: Docent access real-time confirmation module
417: Real-time generation module for docent roster by artwork
418: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for each artwork
419: docent QR code display control module
420: docent-user two-way relay module
421: Real-time update module for docent roster by artwork
422: Docent evaluation receiving module for each artwork
423: Module for limiting docents by artwork

Claims (8)

도슨트 콘텐츠를 생성하여 업로드하고, 소정의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실시간 업로드하는 도슨트 단말;
도슨트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는 이용자 단말;
상기 도슨트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도슨트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도슨트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도슨트 서비스 서버;
미술관에 전시된 미술품 별로 설치되며, 해당 미술품을 설명할 도슨트를 선택하기 위한 도슨트 QR 코드를 실시간 표시하는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도슨트 단말은,
소정의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용자 단말은,
상기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에 실시간 표시된 도슨트 QR 코드를 인식하여 해당 도슨트 단말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슨트 단말과 연결된 상태에서 해당 도슨트로부터 해당 미술품에 대한 설명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실행하고 상기 도슨트와 양방향으로 소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는,
상기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가 현재 설명 가능한 도슨트의 도슨트 QR 코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해당 도슨트 QR 코드를 실시간 송신하고, 상기 도슨트 QR 코드의 인식을 통해 접속하는 이용자 단말을 해당 도슨트 단말과 연결하여 세션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는,
도슨트 및 도슨트 콘텐츠가 저장되는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기 도슨트 단말로부터 도슨트 콘텐츠를 수집하는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해당 미술품별로 분류하여 상기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미술품별 분류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해당 미술품이 전시된 미술관별로 분류하여 상기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미술관별 분류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수집 모듈에서 수집된 도슨트 콘텐츠를 도슨트별로 분류하여 상기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도슨트별 분류 모듈;
상기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도슨트 콘텐츠를 자동으로 온라인 상에 게시하는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에 게시된 도슨트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기 위한 도슨트 콘텐츠 요청을 수신하는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요청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도슨트 콘텐츠 요청에 따라 해당 도슨트 콘텐츠를 상기 도슨트/도슨트콘텐츠 데이터베이스 상에서 자동 검색하는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검색 모듈에 의해 검색된 도슨트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의 도슨트 콘텐츠 송신에 선행하여 광고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송출하는 광고 송출 모듈;
상기 광고 송출 모듈의 광고 콘텐츠 송출에 따른 광고 수익의 소정 비율의 금액을 상기 도슨트 콘텐츠의 도슨트 단말로 자동 정산하는 광고 수익 정산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송신 모듈의 도슨트 콘텐츠 송신 횟수에 기반하여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를 실시간 설정하는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
상기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에서 실시간 설정된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에 기반하여 각 도슨트의 미술품 전문 분야를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인식하는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
상기 도슨트 전문 분야 AI 인식 모듈에서 인식된 각 도슨트의 도슨트 미술품 전문 분야에 기반하여 각 미술품의 도슨트를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천하는 도슨트 AI 추천 모듈;
온라인 상에서 이용자에게 소정 미술품에 대한 실시간 설명을 하고, 상기 이용자의 질문에 대해 실시간 답변하는 도슨트가 미리 등록되는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
상기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도슨트의 도슨트 단말이 상기 도슨트 서비스 서버에 현재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통해 현재 접속 가능한 도슨트를 실시간 확인하는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
상기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도슨트 중에서 상기 도슨트 접속 실시간 확인 모듈에서 현재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실시간 확인된 도슨트를 이용하여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를 실시간 생성하는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
상기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생성 모듈에 의해 실시간 생성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가 저장되는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
상기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의 각 도슨트 QR 코드를 해당 도슨트 QR 코드 디스플레이에 각각 표시하도록 원격 제어하는 도슨트 QR 코드 표시 제어 모듈;
상기 이용자 단말의 도슨트 QR 코드 인식에 의한 접속에 따라 상기 이용자 단말과 해당 도슨트 단말 간의 세션을 실시간 설정하고 양방향 중계를 수행하는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
상기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의 세션 설정 상태에 따라 현재 접속 가능한 도슨트 단말을 실시간 파악하고, 실시간 파악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저장 모듈에 저장된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를 실시간 업데이트하는 미술품별 도슨트 로스터 실시간 업데이트 모듈;
상기 도슨트-이용자 양방향 중계 모듈의 양방향 중계에 따른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를 해당 이용자 단말로부터 실시간 수신하는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
상기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 수신 모듈에서 실시간 수신된 미술품별 도슨트 평가에 기반하여 미술품별로 도슨트의 양방향 중계의 참여를 제한하고, 제한 결과를 상기 양방향 중계 참여 도슨트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 반영하는 미술품별 도슨트 제한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은,
상기 도슨트 콘텐츠 순위 설정 모듈에서 실시간 설정된 미술품별 도슨트 콘텐츠 순위를 온라인 상에 실시간 게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슨트 콘텐츠 자동 게시 모듈은,
상기 도슨트 AI 추천 모듈에 의해 추천된 각 미술품의 도슨트를 온라인 상에 실시간 게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이용자를 위한 도슨트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a docent terminal that generates and uploads docent content and uploads a description of a predetermined artwork in real time;
a user terminal that requests, downloads, and executes docent content;
a docent service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docent content uploaded from the docent terminal and transmits the docent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user terminal;
It is installed for each artwork displayed in the museum, and includes a docent QR code display that displays a docent QR code in real time to select a docent to explain the artwork,
The docent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 description of a given artwork online in real time;
The user terminal,
The docent QR code displayed on the docent QR code display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docent terminal by recognizing the docent QR code, and while connected to the docent terminal, the docent receives and executes the description of the artwork in real time from the docent, and communicates with the docent in both directions. configured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The docent QR code display transmits the docent QR code in real time so that the docent QR code of the docent that can be explained is displayed in real time, and a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recognition of the docent QR code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docent terminal to establish a session. configured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a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in which docents and docent contents are stored;
a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docent content from the docent terminal;
a classification module for each art object that classifies the docent content collected by 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by corresponding art object and stores them i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a classification module for each art gallery that classifies the docent content collected by the docent content collection module for each art gallery where the corresponding artwork is displayed and stores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i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a classification module for each docent that classifies the docent contents collected by the docent contents collection module according to docents and stores them in the docent/docent contents database;
a docent content auto-posting module for automatically posting docent content stored i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online;
a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receiving a docent content request for downloading docent content posted on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from the user terminal;
an automatic docent content search module for automatically searching corresponding docent content on the docent/docent content database according to the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ed by the docent content request receiving module;
a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docent content searched by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search module to the user terminal;
an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for transmitting advertisement contents to the user terminal prior to transmission of docent contents by the docent contents transmission module;
an advertisement revenue calcul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a predetermined percentage of the advertisement revenue according to the advertisement contents transmission of the advertisement transmission module to the docent terminal of the docent content;
a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configured to set a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work in real time based on the number of transmissions of the docent content by the docent content transmission module;
a docent specialty AI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each docent's art specialty field using an AI algorithm based on the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 product set in real time in the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a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for recommending a docent of each art work using an AI algorithm based on the docent art specialty field of each docent recognized by the docent specialty AI recognition module;
a docent database participating in interactive relay, in which docents who give real-time explanations about certain works of art to users online and answer questions of the users in real-time are registered in advance;
a docent connection real-time confirmation module for checking in real time the currently accessible docents through whether a docent terminal of a docent registered in the docent database participating in the interactive relay is currently connected to the docent service server;
a docent roster real-time generation module for each art piece that generates a docent roster for each art piece in real time using the docents identified in real time as being currently connected in the docent access real-time confirmation module among the docents registered in the docent database participating in the interactive relay;
a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for each artwork that stores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work created in real time by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work;
a docent QR code display control module remotely controlling each docent QR code of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 object stored in the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for each art object to be displayed on a corresponding docent QR code display;
A docent-user bi-directional relay module that establishes a sess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and the corresponding docent terminal in real time and performs bi-directional relay according to access by recognizing the docent QR code of the user terminal;
A docent roster for each art object that identifies currently accessible docent terminals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session setting status of the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and updates the docent roster for each art object stored in the docent roster storage module for each art object in real time using the result of the real time identification real-time update module;
a docent evaluation receiving module for each artwork that receives docent evaluation for each artwork according to the bidirectional relaying of the docent-user interactive relay module in real time from a corresponding user terminal;
Includes a docent restriction module for each artwork that restricts docent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relay for each artwork based on the docent evaluation for each artwork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docent evaluation receiving module for each artwork, and reflects the restriction result in real time to the database of docents participating in the interactive relay configured to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It is configured to post the docent content ranking for each artwork set in real time in the docent content ranking module online in real time,
The docent content automatic posting module,
A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ost the docent of each artwork recommended by the docent AI recommendation module online in real tim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154979A 2022-11-18 2022-11-18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KR102538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979A KR102538255B1 (en) 2022-11-18 2022-11-18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979A KR102538255B1 (en) 2022-11-18 2022-11-18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255B1 true KR102538255B1 (en) 2023-05-31

Family

ID=8654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4979A KR102538255B1 (en) 2022-11-18 2022-11-18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25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614A (en) * 2001-07-30 2003-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Exhibit explanation system
KR20190065118A (en) 2017-12-01 201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docent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flatfor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72762A (en) 2017-12-18 2019-06-26 광주과학기술원 Opera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glass for providing docent service
KR20200063526A (en) * 2018-11-28 2020-06-05 함영국 On-line managing system for work of a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4614A (en) * 2001-07-30 2003-02-14 Dainippon Printing Co Ltd Exhibit explanation system
KR20190065118A (en) 2017-12-01 2019-06-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docent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service flatform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72762A (en) 2017-12-18 2019-06-26 광주과학기술원 Operating method of augmented reality glass for providing docent service
KR20200063526A (en) * 2018-11-28 2020-06-05 함영국 On-line managing system for work of a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85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using messaging service and method and system for relaying answ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10992609B2 (en) Text-messaging based concierge services
US11670055B1 (en) Facial expression tracking during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sessions
US8285654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a personalized performance
KR101698076B1 (en) Inception of live events
US20110196927A1 (en)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 Using Posts to Determine Compatibility
JP2017153078A (en)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metho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system, and answer relay method
CN107368965A (en) A kind of script data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apply its computer equipment
CN110475154A (en) Network television video playing method and device, Web TV and computer media
US2014007482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taloging consumer preferences in creative content
US20100299603A1 (en) User-Customized Subject-Categorized Website Entertainment Database
CN106776701B (en) Problem determination method and device for item recommendation
US10783192B1 (en) System,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 search engine based on multi-document summarization
US201402294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preference augmentation through social network inner-circle knowledge discovery
US1147533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ploring a personal interest space
KR20170108890A (en) Method for determining ranking of bulletin contents and service server for the same
CN114461853A (en) Training sample gener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video scene classification model
KR101972552B1 (en) Method, appartus and program for selecting loc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KR20200133976A (en) Contents Cura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CN114513687A (en) Server and media asset recommendation method
CN111954017B (en) Live broadcast room searching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KR102538255B1 (en) Docent service platform system for non-face-to-face users method thererof
CN112541847A (en) Big data technology-based online-offline combined intelligent life research system
WO20181408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online research
KR20200110836A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agent service for talent sale based on multi-channel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