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855B1 - Bracket for orthodontics - Google Patents

Bracket for orthodontic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855B1
KR102537855B1 KR1020220062032A KR20220062032A KR102537855B1 KR 102537855 B1 KR102537855 B1 KR 102537855B1 KR 1020220062032 A KR1020220062032 A KR 1020220062032A KR 20220062032 A KR20220062032 A KR 20220062032A KR 102537855 B1 KR102537855 B1 KR 10253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top
penetrating
contact area
orthodontic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20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월드바이오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8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7Sliding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4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using lock pins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은 일면이 치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0), 및 베이스부(110)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하고,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 사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140)이 형성된 몸체(100), 몸체(100)에 결합되어, 제2 연장부(130)와 마주보고 슬라이딩하면서, 슬롯(140)을 개폐하는 작동부(200), 몸체(10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부(500), 및 작동부(200)에 구비되어, 관통부(500)에 삽입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 체결부(600)를 포함하고, 관통부(500)에는 양단 사이에서 연결부(510)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and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110, one surface of which is fixed to teeth, and a direction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110 and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A body including a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30 extending to, and a slot 140 into which a wire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100), coupled to the body 100, fac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and sliding, the operating unit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ot 140, formed to penetrate the body 100, and 200 includes a penetrating part 500 extending in a sliding direction, and a fastening part 600 provided in the operation part 200 and extending in a ro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500, In 500, a connection portion 510 between both ends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500.

Description

치열교정 브라켓{Bracket for orthodontics}Orthodontic bracket {Bracket for orthodontics}

본 발명은 치열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bracket.

일반적으로, 치열교정이란 부정치열을 바르게 교정하는 시술로서, 브라켓, 와이어, 및 결속타이 등을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브라켓을 접착제로 치아표면에 견고히 접착고정되게 한 다음, 브라켓의 슬롯에 와이어를 끼우고, 와이어가 슬롯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오링과 같은 결속타이로 결속한다. 이때, 와이어는 치아를 교정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인장시켜, 틀어진 치아를 장기간에 걸쳐 교정할 수 있다.In general, orthodontic treatment is a procedure for correctly correcting malformed teeth, using brackets, wires, and binding ties. Specifically, the bracket is firmly bonded and fixed to the tooth surface with an adhesive, and then a wire is inserted into the slot of the bracket and bound with a binding tie such as an O-ring so that the wire does not escape from the slot. At this time, the wire is stretched in the direction to correct the teeth,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misaligned teeth over a long period of time.

하지만, 상술한 방법은 크기가 매우 작은 브라켓을 치아 표면에 부착한 다음, 슬롯에 와이어를 끼우고 오링과 같은 결속타이로 결속하는 작업과 주기적으로 브라켓으로부터 결속타이를 풀어낸 다음 다시 새로운 와이어를 슬롯에 끼우고 결속타이로 고정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작업의 난이도가 높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 involves attaching a very small bracket to the tooth surface, inserting a wire into the slot and binding it with a binding tie such as an O-ring, periodically releasing the binding tie from the bracket, and then inserting a new wire into the slot. It must be inserted and secured with a binding ti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fficulty of the work is high and a lot of time is requir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오링과 같은 결속타이를 이용하지 않고, 커버를 이용하여 브라켓에 와이어를 결속할 수 있는 자가결찰식 치열교정 브라켓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s of the prior art document below, a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capable of binding a wire to the bracket using a cover without using a binding tie such as an O-ring has been developed. .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은 커버가 회동하는 형태인데, 커버를 회동하여 브라켓의 슬롯을 개방하면, 부피가 너무 커져 실질적으로 시술을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re in the form of a rotating cover, and when the slot of the bracket is opened by rotating the cover, the volume becomes too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actually perform the procedure.

물론, 커버를 슬라이딩하는 방식도 존재하지만, 슬라이딩하는 커버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거나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Of course, there is also a method of sliding the cov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means for stably guiding the sliding cover or stopping it at an accurate position.

KRKR 10-076744310-0767443 B1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작동부에 구비된 체결부를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구에 관통시켜 작동부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는 동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킬 수 있는 치열교정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ly guide the operating unit by penetrating the fasten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unit through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stop it in an accurate position. It is about orthodontic brackets that are availab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은 일면이 치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연장부와 마주보고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몸체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부, 및 상기 작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에는 양단 사이에서 연결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art having one surface fixed to a tooth, and a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A body having a slot into which a wire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and the second extension, an operating unit coupled to the body and facing the second extension while sliding to open and close the slot, A penetrating part formed to penetrate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ctuating part slides,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actuating part and extending in a ro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wherein the penetrating part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both ends. It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중, 일단에는 제1 정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정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2 정지부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top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portion, and a second stop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a gap between the first stop portion and the second stop portion is formed. The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슬롯을 개방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슬롯을 폐쇄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정지부에 삽입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unit opens the slot, the fastening un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 and when the operation unit closes the slot, the fastening unit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2 정지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정지부로 이동될 때,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면서, 변형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stening part moves from the first stop to the second stop, or moves from the second stop to the first stop, the connecting part , and the fastening part is de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될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connection portion becomes narrower as i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2 정지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제1 접촉영역, 상기 제2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정지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제2 접촉영역, 및 상기 제1 접촉영역과 상기 제2 접촉영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3 접촉영역을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toward the second stop portion from the first stop portion, and the width narrows. A first contact area, a second contact are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and narrowing in width from the second stop part toward the first stop part, and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first contact area. and a third contact area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to connect the two contact area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영역은 폭이 일정하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ntact area has a constant width.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영역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만큼 돌출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contact area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관통부의 폭보다 작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만큼 상기 관통부의 하면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몰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is bent downward by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3 접촉영역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with a recessed groove to correspond to the third contact are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절개부가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and a plurality of cut parts ar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니켈-티타늄(Ni-Ti)계 합금, 구리-니켈-티타늄(Cu-Ni-Ti)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Co-Cr-Mo)계 합금, 또는 형상 기억 고분자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made of stainless steel, a nickel-titanium (Ni-Ti) based alloy, or a copper-nickel-titanium (Cu-Ni-Ti) based alloy. , a cobalt-chrome-molybdenum (Co-Cr-Mo)-based alloy, or a shape memory polym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작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함몰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d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toward the operating unit, and a recessed portion is formed to be depressed from the operating unit facing the body.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ar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수직인 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at the center of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관통부의 최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op part and the second stop part are spaced apart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penetrating part by the same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선재 또는 봉재로 형성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of a wire or ro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형상기억부재로 형성되어, 소정온도 이상에서 일직선으로 복원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of a shape memory member and is restored to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상기 함몰부 양측에 각각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홀은 관통되고, 상기 제2 체결홀은 말단이 폐쇄된다.In addition, i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fastening hole and a second fastening hol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of the operating part so that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is penetrated. ,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closed at the end.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부에 구비된 체결부를 몸체를 관통하는 관통구에 관통시켜 작동부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stably guiding the operating unit by penetrating the fastening unit provided in the operating unit through the through-hole penetrating the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부에 구비된 체결부가 몸체에 형성된 관통부를 관통하므로, 체결부가 관통부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작동부가 수없이 슬라이딩하더라도 작동부가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operating part passe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formed in the body, the fastening par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penetrating part, and accordingly, even if the operating part slides countless times, the separating part from the body can be completely prevented. There are possible effec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가 관통부 중 돌출된 연결부를 통과할 때, 접촉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체결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stening part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of the penetrat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부가 형상기억부재로 형성되어, 소정온도 이하에서 쉽게 변형되고, 소정온도 이상에서 본래 형상인 일직선으로 복원됨으로써, 시술시 소정온도 이하에서 작동부를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시술후 구강내 소정온도 이상에서 작동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of a shape memory member, is easily deforme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i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so that the operating part can be easily sli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less during operation, After the procedure,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fixing the operation uni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n the oral cavity and preventing random sliding.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도 1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2b는 도 1a의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2c는 도 2a의 C-C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a는 도 1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b는 도 1a의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3c는 도 3a의 C-C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a는 도 1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b는 도 1a의 B-B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4c는 도 4a의 C-C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체결부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및
도 10은 도 1a의 A-A라인에 따른 단면도이다.
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a;
Figure 2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a;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2a;
Figure 3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a;
Figure 3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a;
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3a;
Figure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a;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a;
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ure 4a;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stening part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A.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ber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은 일면이 치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110), 및 베이스부(110)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하고,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 사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140)이 형성된 몸체(100), 몸체(100)에 결합되어, 제2 연장부(130)와 마주보고 슬라이딩하면서, 슬롯(140)을 개폐하는 작동부(200), 몸체(100)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부(500), 및 작동부(200)에 구비되어, 관통부(500)에 삽입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 체결부(600)를 포함하고, 관통부(500)에는 양단 사이에서 연결부(510)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A to 1B ,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e part 110 whose one surface is fixed to the teeth,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part 110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It includes a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30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and a slot 140 into which a wire is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The formed body 100, coupled to the body 100, and fac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while sliding, the operation unit 20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lot 14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body 100, It includes a penetrating part 500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art 200 slides, and a fastening part 600 provided in the operating part 200 and extending in a ro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500, Between both ends of the penetrating part 500, a connecting part 51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상기 몸체(100)는 치아에 부착되고 와이어와 결속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10), 제1 연장부(120), 및 제2 연장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베이스부(110)는 일면이 치아에 고정되는데, 예를 들어 접착층 등을 이용하여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는 베이스부(110)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베이스부(110)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는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므로, 제1 연장부(120)와 제2 연장부(130) 사이에는 슬롯(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140)에는 와이어가 삽입되어 결속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120)는 제2 연장부(130)에 비해서 상측 방향으로 더 연장될 있다. 따라서, 제1 연장부(120)는 제2 연장부(130)에 결합되는 작동부(200)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도 1a 참조).The body 100 is attached to teeth and bound to a wire, and includes a base part 110, a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a second extension part 130. Here,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is fixed to the teeth, for example, it may be attached to the teeth using an adhesive lay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rom the base part 110 and extend in a direction (upward direction) away from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110 .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130 extend apart from each other, a slot 14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xtension 120 and the second extension 130. . Wires may be inserted into and bound to these slots 140 .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may further extend upward compar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part 120 may be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operating part 200 coupl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see FIG. 1A ).

상기 작동부(200)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140)을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작동부(200)는 몸체(100)에 결합되어, 제2 연장부(130)와 마주보고 슬라이딩한다. 작동부(200)는 제2 연장부(130)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면서, 슬롯(140)을 개폐한다. 이때, 작동부(200)는 함몰부(400)가 몸체(100)의 돌출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00)는 몸체(100)의 제2 연장부(130)로부터 작동부(200) 방향(상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함몰부(400)는 몸체(100)와 마주보는 작동부(200)의 일면(하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된다(도 1a 내지 도 1b 참조). 이때, 몸체(100)에 형성된 돌출부(300)는 작동부(200)에 형성된 함몰부(400)에 삽입된다. 또한, 돌출부(300)와 함몰부(400)는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슬롯(140)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함몰부(400)가 돌출부(30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면, 작동부(200)가 몸체(100)의 제2 연장부(130)에 대해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00)와 함몰부(400)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되어,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브테일의 각도는 2 내지 15도 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300)의 각도와 함몰부(400)의 각도는 예를 들어 약 2도 정도 차이를 둘수 있다. 이는 제작시 발생할 수 있는 후변형의 보상값으로서, 돌출부(300)와 함몰부(400)의 결합 구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돌출부(300)의 각도는 10도이고, 함몰부(400)의 각도는 12도일 수 있다. 이런 구성을 통해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결합 구간(베이스부(110)와 가까운 하측)이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결합 구간(베이스부(110)와 먼 상측)에 비해서 변형이 많은 것에 대응할 수 있다.The operating unit 200 serves to open and close the slot 140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Here, the operating unit 200 is coupled to the body 100 and faces the second extension unit 130 and slides. The operating unit 200 opens and closes the slot 140 while sliding with respect to the second extension unit 130 .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200 may slide in a state in which the depression 40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300 of the body 100 . Specifically, the protruding part 3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xtension part 130 of the body 100 in the direction (upward direction) of the operating part 200, and the recessed part 400 faces the body 100. It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one side (lower surface) of the operating unit 200 (see FIGS. 1A to 1B).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art 300 formed on the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400 formed on the operating part 200 . 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300 and the recessed portion 400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200 slid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t 140 extends). Accordingly, when the depression 400 slides relative to the protrusion 300 , the operation unit 200 may slide relative to the second extension 130 of the body 100 .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art 300 and the recessed part 400 may b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to control the sliding of the operating part 200 .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dovetail may be 2 to 15 degrees.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protruding portion 300 and the angle of the recessed portion 400 may differ by, for example, about 2 degrees. This is a compensation value for post-strain that may occur during manufacturing, and serve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in the coupling section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300 and the recessed portion 400. For example, the angle of the protrusion 300 may be 10 degrees and the angle of the depression 400 may be 12 degrees. Through this configuration, a relatively narrow coupling section (lower side close to the base portion 110) can correspond to a greater deformation than a relatively wide coupling section (upper side far from the base portion 110).

한편, 돌출부(300)가 몸체(100)에 형성되고, 함몰부(400)가 작동부(200)에 형성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돌출부(300)가 작동부(200)에 형성되고, 함몰부(400)가 몸체(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rotrusion 300 is formed on the body 100 and the depression 400 is formed on the operating unit 200, it has been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 ( 300 may be formed on the operating part 200, and the recessed part 400 may be formed on the body 100.

상기 관통부(500)는 체결부(600)과 함께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관통부(500)는 제2 연장부(130, 돌출부(300))에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수직 방향(슬롯(140)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부(500)에는 체결부(600)가 삽입된다. 이때, 관통부(500)는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슬롯(140)이 연장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즉, 관통부(500)는 전체적으로 장홀(long-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부(500)에 삽입된 체결부(600)는 관통부(500)의 연장 방향(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결국, 작동부(200)가 슬라이딩되면, 체결부(600)가 관통부(500)의 연장 방향 따라 이동되면서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관통부(500)의 상면은 평평하여 연장되고, 관통부(500)의 하면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몰될 수 있다. 즉, 관통부(500)는 측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면이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하면이 곡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500)의 양단은 체결부(6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ng part 500 serves to guide the sliding of the operating part 200 together with the fastening part 600 . Here, the penetrating portion 50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30 (the protruding portion 30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200 slides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t 140 extends). And,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is penetrating part 500. At this time,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be exten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200 slide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ot 140 extends). That is,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in a long-hole shape as a whole. Accordingly, the fastening part 600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500 may move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art 200 slides). As a result, when the operating unit 200 slides, the fastening unit 600 may guide the sliding of the operating unit 200 while mov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unit 500 .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may be flat and extended,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may be bent downward.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may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the lower surface may extend in a curved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in a curved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600 .

한편, 관통부(500)에는 양단 사이에 연결부(510)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510)는 체결부(600) 방향으로 돌출된다. Meanwhile, a connecting portion 510 between both ends of the penetrating portion 500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500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500 and is formed. Accordingly, the connecting portion 510 protrudes toward the fastening portion 600 .

또한, 관통부(500)의 양단에는 제1,2 정지부(520, 53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부(500)의 일단에는 제1 정지부(520)가 형성되고, 관통부(500)의 타단에는 제2 정지부(530)가 형성되며, 제1 정지부(520)와 제2 정지부(530) 사이에 연결부(51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부(510)는 제1 정지부(520)와 제2 정지부(530)에 비해서 체결부(600)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술한 연결부(510)와 제1,2 정지부(520, 530)는 체결부(600)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enetrating part 500 . That is, the first stopper 52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he second stopper 5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enetrating part 500, and the first stopper 520 and the second stopper 530 are formed. A connecting portion 510 may be formed between the stop portions 530 .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10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600 compared to the first stop part 520 and the second stop part 530 . The above-described connection part 5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serve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par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한편, 관통부(500)의 관통영역은 연결부(510)로 인하여 일정한 간격(상하방향 간격)을 유지하면서, 제1 정지부(520)로부터 연결부(510)까지 베이스부(110)에 가까워지는 방향(하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정지부(530)로부터 연결부(510)까지 베이스부재(110)에 가까워지는 방향(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도 2a 참조). 관통부(500)의 관통영역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부(510)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만큼 관통부(500)의 하면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enetration area of the penetrating part 500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vertical distance) due to the connection part 510, and moves from the first stop part 520 to the connection part 510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base part 110. It extends in a (downward direction), and may extend in a direction (downward direction) approaching the base member 110 from the second stop part 530 to the connecting part 510 (see FIG. 2A ).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is directed downward as much as the connection part 510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so that the penetrating area of the penetrating part 500 maintains a constant interval. It can be bent and caved in.

상기 체결부(600)는 관통부(500)와 함께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체결부(600)는 작동부(200)에 구비되어, 관통부(500)에 삽입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600)는 양단이 작동부(200)의 함몰부(400) 양쪽에 형성된 체결홀(210)에 결합되고,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수직 방향(슬롯(140)이 연장된 방향과 평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부(500)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면, 체결부(600)가 관통부(5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체결홀(210)은 작동부(600)의 함몰부(400)의 양쪽에 2개가 형성되는데, 2개의 체결홀(210) 모두가 관통된 형태이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체결홀(210)은 관통되고, 다른 하나의 체결홀(210)은 말단이 폐쇄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00)의 함몰부(400) 양측에 각각 제1 체결홀(210a)과 제2 체결홀(210b)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체결홀(210a)은 관통되고, 제2 체결홀(210b)은 말단이 폐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600 serves to guide the sliding of the operating part 200 together with the penetrating part 500 . Here, the fastening part 600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part 200 and extends in a ro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500 . Specifically, both ends of the fastening part 600 are coupled to fastening holes 21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400 of the operating part 200, a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art 200 slides (slot 140 )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ed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500 . Therefore, when the operating unit 200 slides, the fastening unit 600 may guide the sliding of the operating unit 200 while moving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unit 500 . On the other hand, two fastening holes 2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400 of the operating part 600, both of the two fastening holes 210 are through, or one of the fastening holes 210 is penetrated, and the other fastening hole 210 may have a closed en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B , a first fastening hole 210a and a second fastening hole 210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epression 400 of the operating part 200, respectively,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210a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210b may be formed. The hole 210a may pass through, and the end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210b may be closed.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부(500)에는 연결부(510)와 제1,2 정지부(520, 5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600)는 작동부(200)가 슬롯(140)을 개방할 때(도 2a 내지 도 2b 참조), 제1 정지부(520)에 삽입되고, 작동부(200)가 슬롯(140)을 폐쇄할 때(도 4a 내지 도 4b 참조), 제2 정지부(53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600)가 제1 정지부(520)에 삽입되거나 제2 정지부(530)에 삽입되면, 체결부(600)의 측면이 돌출된 연결부(510)에 지지되므로, 체결부(600)가 결합된 작동부(200)가 몸체(100)에 대해서 임의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작동부(200)가 슬롯(140)을 완전히 개방하거나 완전히 폐쇄할 때(도 2a 및 도 4a 참조), 체결부(600)의 측면이 연결부(510)에 지지됨으로써, 작동부(200)는 그 자리에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part 51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are formed in the through part 500 . Here,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 520 when the operation part 200 opens the slot 140 (see FIGS. 2A and 2B), and the operation part 200 is inserted into the slot ( 14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 530 (see FIGS. 4A-4B). In this way, when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per 520 or the second stopper 530, the side of the fastening part 600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510, so that the fastening par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ng unit 200 coupled with the 600 from sliding arbitrarily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 As a result, when the operation unit 200 completely opens or completely closes the slot 140 (see FIGS. 2A and 4A ), the side of the fastening unit 600 is supported by the connection unit 510, so that the operation unit 200 can be fixed in place.

다만, 필요에 따라 작동부(200)를 몸체(100)에 대해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 작동부(2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체결부(600)는 상대적으로 돌출된 연결부(510)를 통과할 수 있다. 즉, 작동부(200)에 외력이 인가되면, 체결부(600)는 제1 정지부(520)로부터 제2 정지부(530)로 이동되거나(슬롯(140)의 개방->폐쇄), 제2 정지부(530)로부터 제1 정지부(520)를 이동될 수 있다(슬롯(140)의 폐쇄->개방). 이와 같이, 체결부(600)가 제1 정지부(520)로부터 제2 정지부(530)로 이동되거나, 또는 제2 정지부(530)로부터 제1 정지부(520)로 이동될 때, 체결부(600)는 제1,2 정지부(520, 530)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510)를 통과한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이때, 연결부(510)은 제1,2 정지부(520, 530)보다 체결부(600)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체결부(600)는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변형되었다가(휘어졌다가, 도 3c 참조), 연결부(510)를 통과한 후 원복될 수 있다(도 2c, 및 도 4c 참조). 바람직하게는, 체결부(600)는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6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니켈-티타늄(Ni-Ti)계 합금, 구리-니켈-티타늄(Cu-Ni-Ti)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Co-Cr-Mo)계 합금, 또는 형상 기억 고분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Howev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200 to slide the operating unit 200 relative to the body 100 as needed, the fastening unit 600 may pass through the relatively protruding connection unit 510. .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200, the fastening unit 600 is moved from the first stop unit 520 to the second stop unit 530 (opening -> closing the slot 140), or The first stop 520 can be moved from the second stop 530 (closing of the slot 140 -> opening). In this way, when the fastening part 600 is moved from the first stop 520 to the second stop 530 or from the second stop 530 to the first stop 520, the fastening The part 60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see FIGS. 3A to 3C).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10 protrudes toward the fastening part 600 more than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 Accordingly,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deformed (bent, see FIG. 3c)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and then returned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see FIGS. 2c and 4c). Preferably,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as to be de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part 6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stainless steel, nickel-titanium (Ni-Ti)-based alloy, copper-nickel-titanium (Cu-Ni-Ti)-based alloy, It may be formed of a cobalt-chrome-molybdenum (Co-Cr-Mo)-based alloy or a shape memory polymer.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부(200)에 구비된 체결부(600)가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부(500)를 관통하므로(도 2 내지 도 4 참조), 체결부(600)가 관통부(500)로부터 분리될 수 없고, 그에 따라 작동부(200)가 수없이 슬라이딩하더라도 작동부(200)가 몸체(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astening part 600 provided in the operating part 200 passes through the penetrating part 500 formed in the body 100 (see FIGS. 2 to 4), the fastening part 600 is the penetrating part. It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body 100, and thus the operating unit 200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100 even if the operating unit 200 slides countless times.

한편, 작동부(200)가 슬라이딩될 때, 체결부(600)가 돌출된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체결부(600)에는 부하가 걸린다. 특히, 작동부(200)와 연결부(510)의 접촉면적이 넓으면 체결부(600)에는 큰 부하가 걸릴 수 있다. 체결부(600)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체결부(6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연결부(510)의 폭은 관통부(5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도 2b 참조). 예를 들어, 체결부(6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연결부(510)의 폭은 관통부(500)의 폭에 비해서 1/2 이하일 수 있다. 이때, 연결부(510)는 관통부(500)의 중앙에서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operation unit 200 slides, a load is applied to the fastening unit 600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connection unit 510 . In particular, if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perating unit 200 and the connection unit 510 is large, a large load may be applied to the fastening unit 600 . In order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rt 510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penetrating part 500 when view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600 (FIG. 2B). reference). For example,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600, the width of the connecting part 510 may be less than 1/2 of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art 50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part 510 may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art 200 slides from the center of the penetrating part 500 .

또한, 체결부(600)에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연결부(510)는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될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1b의 확대도 참조). 즉, 연결부(510)는 체결부(600)와 접촉되는 말단(하단)의 면적이 좁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체결부(600)가 연결부(510)를 통과할 때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체결부(6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3b 참조).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the area of the connection part 510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as i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500 ( see enlarged view of Fig. 1b). That is, the connection part 510 can be formed with a narrow area of the end (lower end) in contact with the fastening part 600 . Therefore, since the contact area is minimized when the fastening part 60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see FIG. 3B).

특히, 슬롯(140)을 개방하도록 작동부(200)를 슬라이딩시킬 때, 통상 별도의 기기를 회전시켜 작동부(200)에 외력을 인가한다. 이때, 작동부(200)에는 별도의 기기가 회전하면서 발생한 외력에 의해서 토크가 발생한다. 이러한 토크로 인하여 작동부(200)는 몸체(100)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고, 이때 체결부(600) 역시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어 연결부(510)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6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릴 우려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510)는 가장 많이 돌출된 말단(하단)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므로, 체결부(600)가 회동되더라도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체결부(6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sliding the operating unit 200 to open the slot 140,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operating unit 200 by rotating a separate device. At this time, torque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unit 200 by an external force generated while a separate device rotates. Due to this torque, the operating unit 200 can be rotated and slid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t this time, the fastening unit 600 is also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connection unit 510 can be widened. . Therefore, there is a concern that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ea of the most protruding end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rt 510 is formed narrowly, even if the fastening part 600 is rotated, the contact area This is minimiz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

더욱 구체적으로, 도 1b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510)는 제1 접촉영역(510a), 제2 접촉영역(510b), 및 제3 접촉영역(510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촉영역(510a)은 제1 정지부(520)로부터 제2 정지부(53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지고, 제2 접촉영역(510b)은 제2 정지부(530)로부터 제1 정지부(52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B , the connection part 510 may include a first contact area 510a, a second contact area 510b, and a third contact area 510c. Here, the first contact area 510a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lower direction) from the first stop part 520 toward the second stop part 530. The second contact area 510b mov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in the direction from the second stop part 530 to the first stop part 520 (lower side). direction), the width may become narrower.

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1,2 접촉영역(510a, 510b)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3 접촉영역(510c)은 제1 접촉영역(510a)과 제2 접촉영역(510b)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1 접촉영역(510a)과 제2 접촉영역(510b)을 연결하도록,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접촉영역(510c)은 가장 많이 돌출된 연결부(510)의 말단(하단)에 형성된다. 또한, 제3 접촉영역(510c)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부(500)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만큼 돌출될 수 있다. 즉, 제3 접촉영역(510c)은 관통부(5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하게 돌출될 수 있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제1,2 접촉영역(510a, 510b)은 작동부(20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제3 접촉영역(510c)은 작동부(20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접촉영역(510c)은 돌출될수록 폭이 좁아지는 제1,2 접촉영역(510a, 510b)과 달리 폭이 일정할 수 있다. When viewed from a plan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may have a tri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third contact area 510c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tact area 510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510b, and connects the first contact area 510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510b. ,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500 . Accordingly, the third contact area 510c is formed at the end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510 that protrudes the most. Also, the third contact area 510c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500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500 by a predetermined size. That is, the third contact area 510c may constantl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500 . Overall,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regions 510a and 510b may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200, and the third contact region 510c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unit 200. can be formed Meanwhile, the third contact area 510c may have a constant width, unlike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which become narrower as they protrude.

따라서,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면, 체결부(600)가 최초 제1,2 접촉영역(510a, 510b)과 접촉되어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었다가(도 2b 및 도 4b 참조), 점차 접촉면적이 좁아질 수 있다(제1,2 접촉영역(510a, 510b)은 돌출될수록 폭이 좁아지므로). 이후, 체결부(600)가 가장 많이 돌출된 제3 접촉영역(510c)과 접촉될 때(도 3b 참조), 접촉면적이 가장 좁을 수 있다. 결국, 체결부(600)는 연결부(510)가 돌출될수록, 연결부(510)와의 접촉면적이 감소하므로, 체결부(600)는 경사진 제1,2 접촉영역(510a, 510b)을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고, 가장 많이 돌출된 제3 접촉영역(510c)에서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체결부(6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operation unit 200 slides, the fastening unit 600 initially contacts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and the contact area is relatively wide (see FIGS. 2B and 4B), and then gradually contacts The area may be narrowed (because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becomes narrower as they protrude). Then, when the fastening part 6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ird contact area 510c that protrudes the most (see FIG. 3B ), the contact area may be the narrowest. As a result, since the contact area of the fastening part 600 with the connecting part 510 decreases as the connecting part 510 protrudes, the fastening part 600 can smoothly ride over the inclined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is minimized in the third contact area 510c that protrudes the m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

한편, 체결부(600)는 선재 또는 봉재로 형성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체결부(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a) 참조). 이때, 체결부(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체결부(600)의 부피가 변화되지 않고, 체결부(600)가 길이방향으로 기준으로 휘어졌다가, 연결부(510)를 통과한 후 일직선으로 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formed of a wire or bar. Basically,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no empty space formed therein (see (a) of FIG. 5). At this time, since no empty space is formed inside the fastening part 600, the volume of the fastening part 600 does not change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art 510, and the fastening part 600 is bent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10, it can be straightened.

대안적으로, 체결부(600)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중공형일 수 있다(도 5의 (b), (d) 참조). 다만, 체결부(600)는 반드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도 5의 (a), (c), (e) 참조). 한편, 체결부(600)는 예를 들어 직경이 0.05 내지 1.0mm일 수 있고, 길이가 1.0 내지 6.0mm일수 있다.Alternatively,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hollow in which an empty space is formed (see (b) and (d) of FIG. 5 ).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an empty space be formed inside the fastening part 600 (see (a), (c), and (e) of FIG. 5 ). Meanwhile, the fastening part 600 may have, for example, a diameter of 0.05 to 1.0 mm and a length of 1.0 to 6.0 mm.

또한, 체결부(600)는 제3 접촉영역(510c)에 대응하도록 평평하게 함몰된 홈부(610)가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 (c) 참조). 따라서, 체결부(600)가 제3 접촉영역(510c)을 통과할 때(도 3b 참조), 제3 접촉영역(510c)에는 함몰된 홈부(610)가 접촉되므로, 체결부(600)에 걸리는 부하를 더욱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접촉영역(510c)은 체결부(600)의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홈부(610) 역시 체결부(600)의 길이방향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기기에 의해서 작동부(200)에 토크가 발생하여 체결부(600)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되더라도, 체결부(600)가 제3 접촉영역(510c)을 통과할 때, 제3 접촉영역(510c)에는 체결부(600)의 다른 부분이 아닌 체결부(600)의 홈부(610)가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formed with a flat recessed groove 610 corresponding to the third contact area 510c (see FIGS. 5(b) and (c)). Therefore, when the fastening part 600 passes through the third contact area 510c (see FIG. 3B ), the recessed groove part 610 is in contact with the third contact area 510c, so that the fastening part 600 is caught. load can be further reduced. Specifically, the third contact area 510c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art 6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groove 610 may also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stening part 6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orque is generated in the operation unit 200 by a separate device and the fastening unit 600 rotates at a certain angle, when the fastening unit 600 passes through the third contact area 510c, the third contact The groove part 610 of the fastening part 600, not other parts of the fastening part 60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gion 510c.

그리고, 체결부(600)는 체결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체결부(600)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절개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d), (e) 참조). 이때, 다수개의 절개부(620)는 체결부(600)의 외면을 따라 일정한 각도마다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600)에 절개부(620)가 형성되면, 체결부(600)의 탄성력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절개부(620)는 예를 들어 1 내지 6개가 형성될 수 있고, 절개부(600)의 길이는 예를 들어 0.05 내지 5.0mm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600, and a plurality of cutout parts 620 may b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600 (FIG. 5(d)). , see (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cutouts 620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angle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600 . In this way, when the cutout 620 is formed in the fastening part 600, the elastic force of the fastening part 600 can be further increased. Meanwhile, 1 to 6 incisions 620 may be formed, and the length of the incision 600 may be, for example, 0.05 to 5.0 mm.

추가적으로, 체결부(600)가 제1,2 정지부(520, 530)에 삽입된 경우, 체결부(600)의 외주면에 대응하도록, 제1,2 접촉영역(510a, 510b)은 곡면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1b의 확대도 참조).Additionally, when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areas 510a and 510b are recessed into curved surface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600. (See the enlarged view of FIG. 1B).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치열교정 브라켓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6 to 9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se cross-sectional view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review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00)가 슬롯(140)을 개방한 상태인 치열교정 브라켓을 준비한다. 이때, 체결부(600)가 관통부(500)의 제1 정지부(520)에 삽입되어, 돌출된 연결부(510)에 지지되므로, 작동부(200)는 몸체(100)에 대해서 고정되고 임의로 슬라이딩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6 , an orthodontic bracket in which the operating unit 200 opens the slot 140 is prepared. At this time, since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 part 520 of the penetrating part 500 a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510, the operating part 200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and arbitrarily. don't slide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슬롯(140)에 와이어(W)를 삽입한다.Next, as shown in Figure 7, the wire (W) is inserted into the slot 140 of the body (100).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200)를 밀어주면, 체결부(600)가 제1 정지부(520)로부터 이동되어 돌출된 연결부(510)를 통과한다. 이때, 체결부(600)는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변형될 수 있다(휘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510)는 돌출될수록 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되므로, 체결부(600)가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접촉면적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체결부(6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8 , when the operation unit 200 is pushed, the fastening unit 600 is moved from the first stop unit 520 and passes through the protruding connection unit 510 .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600 may be deformed (bent)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on part 510 .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510 is formed to have a smaller area as it protrudes, the contact area of the connecting portion 600 is minimiz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10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to the fastening part 600 .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작동부(200)를 밀어주면, 체결부(600)가 연결부(510)로부터 제2 정지부(530)로 이동되어 삽입된다. 이때, 작동부(200)는 슬롯(140)을 완전히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600)가 제2 정지부(530)에 삽입되어, 돌출된 연결부(510)에 지지되므로, 작동부(200)는 몸체(100)에 대해서 고정되고 임의로 슬라이딩하지 않는다.Next, as shown in FIG. 9 , when the operation part 200 is pushed continuously, the fastening part 600 is moved from the connection part 510 to the second stop part 530 and insert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unit 200 may completely close the slot 140 . 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part 6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 part 530 and supported by the protruding connection part 510, the operation part 200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and does not slide arbitrarily.

한편, 상술한 과정은 몸체(100)의 슬롯(140)에 와이어(W)를 결속시키는 과정이므로, 반대 과정을 거쳐서 몸체(100)의 슬롯(140)으로부터 와이어(W)를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bove process is a process of binding the wire (W) to the slot 140 of the body 10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wire (W) from the slot 140 of the body 100 through the opposite process.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관통부(500)는 가상선(V)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상선(V)은 관통부(500)의 중앙(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에서 작동부(20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A)에 수직인(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선일 수 있다. 결국, 관통부(500)는 가상선(V)을 기준으로 제1 정지부(520)와 제2 정지부(530)가 크기와 모양이 서로 대응하는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0 ,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line V. Here, the imaginary line V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A in which the operating unit 200 slides at the center of the penetrating unit 500 (center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unit 200 slides) (up and down). extended) lines. As a result,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be formed symmetrically so that the first stop portion 520 and the second stop portion 530 correspond to each other in size and shape based on the imaginary line V.

또한, 관통부(500)의 제1 정지부(520)와 제2 정지부(530)는 관통부(500)의 최하단(관통부(500)의 중앙 하면)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D)가 이격될 수 있다. 즉, 관통부(500)의 제1 정지부(520)와 제2 정지부(530)는 높이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op part 520 and the second stop part 530 of the penetrating part 500 have the same distance (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penetrating part 500 (the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500). can be spaced apart. That is, the first stop portion 520 and the second stop portion 530 of the penetrating portion 500 may have the same height.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정지부(520, 530)가 대칭으로 형성되고, 높이가 동일하므로, 작동부(200)의 슬라이딩시 체결부(600)가 부하량 차이로 인하여 파손되거나 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and second stop parts 520 and 530 are formed symmetrically and have the same height, when the operating part 200 slides, the fastening part 600 is damaged due to a difference in load or malfunction occurs. occurrence can be prevented.

한편, 체결부(600)는 돌출된 연결부(510)를 통과하면서 체결부(6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변형되었다가(휘어졌다가, 도 3c 참조), 연결부(510)를 통과한 후 일직선으로 복원될 수 있다(도 2c, 및 도 4c 참조). 이때, 체결부(600)는 형상기억부재(형상기억합금 또는 형상기억고분자)로 형성되어, 소정온도 이하에서 쉽게 변형되고, 소정온도 이상에서 본래 형상인 일직선으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시 소정온도 이하에서 체결부(600)가 쉽게 변형되어, 작동부(200)를 쉽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고, 시술후 구강 내 소정온도 이상에서 체결부(600)가 본래 형상인 일직선으로 복원되어, 작동부(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임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온도는 예를 들어, 25℃ 내지 37℃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art 600 is deformed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600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truding connecting part 510 (bent, see FIG. It can be restored to (see Figs. 2c and 4c). At this time, the fastening part 600 is formed of a shape memory member (shape memory alloy or shape memory polymer), easily deform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in a straight line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refore, during the procedure, the fastening part 600 is easily deform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 that the operation part 200 can be easily slid, and after the treatment, the fastening part 60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in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n the oral cavity. Thus, the operation unit 200 is stably fixed and can be prevented from sliding randomly.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25 ° C to 37 ° 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몸체 110: 베이스부
120: 제1 연장부 130: 제2 연장부
140: 슬롯 200: 작동부
210: 체결홀 300: 돌출부
400: 함몰부 500: 관통부
510: 연결부 510a: 제1 접촉영역
510b: 제2 접촉영역 510c: 제3 접촉영역
520: 제1 정지부 530: 제2 정지부
600: 체결부 610: 홈부
620: 절개부 W: 와이어
V: 가상선
100: body 110: base
120: first extension 130: second extension
140: slot 200: operation unit
210: fastening hole 300: protrusion
400: depression 500: penetration
510: connection part 510a: first contact area
510b: second contact area 510c: third contact area
520: first stop 530: second stop
600: fastening part 610: groove part
620: cutout W: wire
V: imaginary line

Claims (20)

일면이 치아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서로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슬롯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연장부와 마주보고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슬롯을 개폐하는 작동부;
상기 몸체에 관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관통부; 및
상기 작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도록 막대형으로 연장된 체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에는 양단 사이에서 연결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 중, 일단에는 제1 정지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2 정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2 정지부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2 정지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제1 접촉영역;
상기 제2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정지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폭이 좁아지는 제2 접촉영역; 및
상기 제1 접촉영역과 상기 제2 접촉영역을 연결하도록,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3 접촉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3 접촉영역에 대응하도록 함몰된 홈부가 형성된 치열교정 브라켓.
A base part having one surface fixed to a tooth, and a first extension part and a second extension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wherein the first extension part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Between the body is formed a slot into which the wire is inserted;
an operating unit that is coupled to the body and faces and slides the second extension part to open and close the slot;
a penetrating portion formed to pass through the body and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portion slides;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in the operating part and extended in a rod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penetrating part;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through portion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ortion,
Among the penetrating portions, a first stop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and a second stop portion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by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stop portion and the second stop portion,
The connection part,
a first contact area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and narrowing in width from the first stop part toward the second stop part;
a second contact are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and narrowing in width from the second stop part toward the first stop part; and
a third contact area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toward a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to connect the first contact area and the second contact area;
Including,
The fastening portion is an orthodontic bracket in which a recessed groove port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contact area.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가 상기 슬롯을 개방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에 삽입되고,
상기 작동부가 상기 슬롯을 폐쇄할 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2 정지부에 삽입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operation part opens the slot, the fasten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p part,
When the operating part closes the slot, the fastening par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p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2 정지부로 이동되거나, 또는 상기 제2 정지부로부터 상기 제1 정지부로 이동될 때,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통과하면서, 변형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when moved from the first stop to the second stop, or when moved from the second stop to the first stop;
Orthodontic brackets that are deform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영역은 폭이 일정한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contact area is an orthodontic bracket having a constant wid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촉영역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만큼 돌출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contact area is an orthodontic bracket that protrudes by a predetermined siz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연결부의 폭은 상기 관통부의 폭보다 작은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When view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penetrating part orthodontic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상기 관통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관통부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만큼 상기 관통부의 하면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함몰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Orthodontic brackets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is curved and depressed in a downward direction as much as the connection par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hrough par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low orthodontic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고, 상기 체결부의 외면을 따라 다수개가 배치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art is cu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astening part, and an orthodontic bracket in which a plurality of incisions ar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 니켈-티타늄(Ni-Ti)계 합금, 구리-니켈-티타늄(Cu-Ni-Ti)계 합금, 코발트-크롬-몰리브덴(Co-Cr-Mo)계 합금, 또는 형상 기억 고분자로 형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art is stainless steel, a nickel-titanium (Ni-Ti) based alloy, a copper-nickel-titanium (Cu-Ni-Ti) based alloy, a cobalt-chrome-molybdenum (Co-Cr-Mo) based alloy , or orthodontic brackets formed from shape memory polym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작동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작동부로부터 함몰되도록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상기 함몰부는 도브테일(dovetail) 형태로 결합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A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extension toward the operating unit,
A recessed part is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operating part facing the body,
Orthodontic brackets in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are coupled in a dovetail shap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는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의 중앙에서 상기 작동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에 수직인 가상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orthodontic bracket of claim 1 , wherein the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line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unit slides at the center of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unit slid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지부와 상기 제2 정지부는 상기 관통부의 최하단으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동일한 거리가 이격된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top and the second stop are orthodontic brackets spaced the same distance from the lowermost end of the penetrating 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선재 또는 봉재로 형성된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art is an orthodontic bracket formed of a wire or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형상기억부재로 형성되어, 소정온도 이상에서 일직선으로 복원되는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art is formed of a shape memory member, and the orthodontic bracket is restored to a straight lin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결합되도록, 상기 작동부의 상기 함몰부 양측에 각각 제1 체결홀과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홀은 관통되고, 상기 제2 체결홀은 말단이 폐쇄된 치열교정 브라켓.
The method of claim 15
A first fastening hole and a second fastening hole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ssed part of the operating part so that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The first fastening hole passes through,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has an end closed end orthodontic bracket.
KR1020220062032A 2021-12-02 2022-05-20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53785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091 2021-12-02
KR20210171091 2021-12-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855B1 true KR102537855B1 (en) 2023-05-31

Family

ID=86542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2032A KR102537855B1 (en) 2021-12-02 2022-05-20 Bracket for orthodontic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855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43B1 (en) 2006-10-19 2007-10-17 최정수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JP2013172966A (en) * 2012-02-27 2013-09-05 Ormco Corp Metallic glass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6007646A1 (en) * 2014-07-09 2016-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ve rotation lock
KR20160075354A (en) * 2014-12-19 2016-06-29 오름코 코포레이션 Biased Pivoting Slide Orthodontic Bracket
US20170086949A1 (en) * 2013-03-15 2017-03-30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8175910A (en) * 2012-11-08 2018-11-15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Orthodontic bracket having biased slide member
US20210113306A1 (en) * 2018-06-29 2021-04-22 Bernhard Foerster Gmbh Self-ligat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20210114067A (en) * 2019-02-04 2021-09-17 야수히로 이츠키 orthodontic bracket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443B1 (en) 2006-10-19 2007-10-17 최정수 Self ligature bracket for orthodontics
JP2013172966A (en) * 2012-02-27 2013-09-05 Ormco Corp Metallic glass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175910A (en) * 2012-11-08 2018-11-15 オルムコ コーポレイション Orthodontic bracket having biased slide member
US20170086949A1 (en) * 2013-03-15 2017-03-30 Ormco Corporatio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16007646A1 (en) * 2014-07-09 2016-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positive rotation lock
KR20160075354A (en) * 2014-12-19 2016-06-29 오름코 코포레이션 Biased Pivoting Slide Orthodontic Bracket
US20210113306A1 (en) * 2018-06-29 2021-04-22 Bernhard Foerster Gmbh Self-ligating bracket for orthodontics
KR20210114067A (en) * 2019-02-04 2021-09-17 야수히로 이츠키 orthodontic brack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4790B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urged slide member
CA2769679C (en) Self-ligating bracket and wire arch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eeth
JP4787313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10959732B2 (en) Jaw for clip applier
US20160175072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with rotatable closure member
RU2708205C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displaced rotary valve
US8246348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CN104042349B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8029276B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U2004324528A1 (en) Self-ligating bracket comprising lateral runners
KR102537855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JP7303835B2 (en) Self-ligating brackets for orthodontics
KR102455441B1 (en) slide type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wire seating block
KR102349739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KR102249132B1 (en) Bracket for orthodontics
JP7213862B2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s
CN212547220U (en) Orthodontic appliance
CN113349962A (en) Orthodontic appliance
KR20220119852A (en) Self-ligation orthodontic bracket
KR102346314B1 (en) Assembly apparatus of orthodontic device
US20190209270A1 (en) Dental device
JP6935320B2 (en) Orthodontic bracket
CN113598989A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
JP2020054705A (en) Stainless tweezers for medical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