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322B1 -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322B1
KR102537322B1 KR1020200129445A KR20200129445A KR102537322B1 KR 102537322 B1 KR102537322 B1 KR 102537322B1 KR 1020200129445 A KR1020200129445 A KR 1020200129445A KR 20200129445 A KR20200129445 A KR 20200129445A KR 102537322 B1 KR102537322 B1 KR 10253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rty
user
customized
unit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6252A (ko
Inventor
송한영
Original Assignee
송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한영 filed Critical 송한영
Priority to KR1020200129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3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46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6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형 건강 관리법을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체크 항목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체크된 항목들을 전달받고, 이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를 입력한 후 입력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수집 정보 분석부,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맞춤형 처방법을 추천하고, 이를 표시하는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Personalized health care recommendation system}
본 발명은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유르베다 기반의 체질 및 증상을 분석하여 맞춤형 허브, 건강 보조 식품, 식품, 운동, 섭생법등을 가이드해주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개개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추구하는 소위 웰빙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개인의 건강을 지키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의 체질이나 증상에 따른 맞춤형 건강법에 대한 요구 및 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0691호는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질병의 명칭 또는 유전자가 입력되면, 이에 적합한 화학성분을 검색하고 검색된 화학성분에 대응하는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허브 추천 방법은 유전자 및 질병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화 학성분을 제2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화학성분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허브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허브를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허브와 화학성분 사이의 포함관계 및 화학성분과 유전자사이의 표적관계를 이용하여 유전자 또는 유전자에 대응하는 질병이 입력 되면 관련된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3850호는 적어도 하나의 검사 항목에 대한 유전자 검사 결과 및 문진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전자 검사 결과 및 상기 문진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검사 항목 각각과 관련하여 건강 상태 를 개선 또는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큐레이션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사 항목 별로 상기 검출된 큐레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20691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9385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의 최근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법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건강 유지 및 질병 예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법을 추천하고, 주기적인 알림과 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천된 건강관리법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형 건강 관리법을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체크 항목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체크된 항목들을 전달받고, 이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를 입력한 후 입력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수집 정보 분석부와, 상기 수집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맞춤형 처방법을 추천하고, 이를 표시하는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 수집부의 체질 검사표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하며, 체격, 피부색, 눈동자, 치아, 수면, 소화, 체중, 배변, 두통, 생김새, 유연성, 피부타입, 성향, 신체특징, 성격, 특징, 감정, 지식/ 습득력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는 호흡기, 소화기, 피부, 관절등과 같이 신체적 불편 사항을 다양한 증상으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질 검사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 및 추천 처방법에 포함된 다수의 항목들은 각각 대응되는 성질 태그가 있으며, 이 성질 태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질 태그는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수의 성질 태그는 서로 유사한 성질의 성질 태그 및 서로 상반된 성질 태그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체크된 항목에 대응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 태그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현재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집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체크된 항목에 대응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반대의 성질을 선택하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유사한 성질의 것은 피해야할 항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처방법은 음식, 생활 습관, 식습관, 허브, 생각, 운동 또는 맞춤형 티백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통해 추천된 처방법을 사용자가 실생활 속에서 계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알림 신호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은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의 최근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법을 추천하여 사용자의 건강 유지 및 질병 예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건강관리법을 추천하고, 주기적인 알림과 캘린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추천된 건강관리법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수집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정보 분석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형 건강 관리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110), 수집 정보 분석부(120), 데이터 저장부(130) 및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정부 수집부(110)는 다수의 체크 항목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한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받으며, 사용자가 맞춤형 건강 관리법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가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체크 항목은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를 포함한다. 예컨대, 체질 검사표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하며, 체격, 피부색, 눈동자, 치아, 수면, 소화, 체중, 배변, 두통, 생김새, 유연성, 피부타입, 성향, 신체특징, 성격, 특징, 감정 또는 지식/습득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는 호흡기, 소화기, 피부 또는 관절 등과 같이 신체적 불편 사항을 다양한 증상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평소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불편 사항 또는 매일 불편한 사항 등을 체크하도록 한다. 아유르베다 기판의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는 상술한 항목 이외에도 다양한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집 정보 분석부(120)는 정보 수집부(110)를 통해 체크된 항목들을 전달받는다. 수집 정보 분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항목들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를 매칭하고, 매칭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수집 정보 분석부(120)는 일정 주기 또는 월별로 사용자가 체크한 항목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130)는 체질 검사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 및 추천 처방법에 포함된 다수의 항목들에 각각 대응되는 성질 태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체질 검사표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140)는 수집 정보 분석부(120)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맞춤형 처방법을 추천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준다. 또한,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140)를 통해 추천된 맞춤형 처방법을 실생활 속에서 계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알림 신호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발생시키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정보 수집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수집부(200)는 체질 검사표(210)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220)를 포함한다.
체질 검사표(210)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하며, 체격, 피부색, 눈동자, 치아, 수면, 소화, 체중, 배변, 두통, 생김새, 유연성, 피부타입, 성향, 신체특징, 성격, 특징, 감정 또는 지식/습득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220)는 호흡기, 소화기, 피부 또는 관절 등과 같이 신체적 불편 사항을 다양한 증상에 대한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은 정보 수집부(200)를 통해 평소 사용자가 인지하고 있는 불편 사항 또는 매일 불편한 사항 등을 체크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는 상술한 항목 이외에도 다양한 항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00)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개인 정보를 입력한 후 시스템에 가입한다. 개인 정보에는 사용자의 나이 또는 신체 조건과 같은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후, 체질 검사표(210)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220)에서 해당되는 항목을 체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매일 일정 시간에 단말기를 통해 건강 상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최근 스트레스로 인해 변비 증상에 의한 불편함을 느꼈다면 이에 해당하는 항목에 체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데이터 저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저장부(300)는 다수의 성질 태그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성질 태그 매칭부(310) 및 성질 태그 분류부(320)를 포함한다. 성질 태그는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수의 성질 태그는 서로 유사한 성질의 성질 태그 및 서로 상반된 성질 태그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성질 태그 매칭부(310)는 정보 수집부(도 1의 '110')의 체질 검사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 및 추천 처방법에 포함된 다수의 항목들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다.
예컨대, '변비가 있다'라는 항목에는 '건조함'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고, '신경성 스트레스'라는 항목에는 '움직임'또는 '뜨거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평소 관절이 좋지 않아 무리하면 쉽게 관절이 아프다'라는 항목에는 '건조함'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항목에 대해 각각 대응되는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으며, 하나의 항목에는 하나 이상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 가능한 처방법의 항목에도 각각 관련된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다. 예컨대, 처방법 중 음식의 경우'매운 음식'은 '뜨거움'및 '가벼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고, 과일과 같은 '단맛의 음식'은 '무거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닭고기'를 포함한 음식은 '무거움' 및 '기름짐'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생활 습관의 경우 '늦잠을 잔다'는 생활 습관은 '무거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고, '음주를 즐긴다'는 생활 습관은 '뜨거움', '날카로움', '가벼움' 및 '건조함'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허브 및 티백의 경우, '클로브'는 '뜨거움'및 '날카로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고, '라벤더'에는 '무거움'및 '안정됨'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으며, '민트'는 '차가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마인드(Mind) 경우'명상'은 '안정됨', '화'는 '뜨거움', '불안'은 '가벼움'과 '움직임', '게으름'은 '무거움'과 '차가움'의 성질 태그가 매칭되어 있을 수 있다. 하나의 항목에 대해 하나 이상의 성질 태그가 매칭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300)에 저장된 항목은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추가,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하다.
성질 태그 분류부(320)는 성질 태그 매칭부(310)에 저장된 다수의 항목들 및 이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들을 서로 유사한 성질 태그 및 서로 상반되는 성질 태그들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가벼움' 과 '무거움'이 서로 상반되는 성질 태그로 분류되며, '움직임'과 '안정됨'이 서로 상반되는 성질 태그로 분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수집 정보 분석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집 정보 분석부(400)는 정보 수집부(도 1의 '110')를 통해 체크된 항목들을 전달받는다. 수집 정보 분석부(400)는 사용자에 의해 체크된 항목들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한다. 수집 정보 분석부(400)는 일정 주기 또는 월별로 사용자가 체크한 항목들을 분석하여 사용자 건강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수집 정보 분석부(400)는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410) 및 성질 태그 선택부(420)를 포함한다.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410)는 사용자가 입력한 항목들에 해당되는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성질 태그를 확인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기존 체질 검사표에서 바타(Vata) 체질이라는 결과를 얻었고, 평소 관절이 좋지 않아 쉽게 관절이 아프다는 항목에 체크를 했다면, 기존에 작성된 성질 태그 수에 오늘 체크한 증상에서 얻어진 성질 태그의 수를 더하여 현재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 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일정 기간동안 누적된 항목들에 대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기간동안 급격하고 증가하고 있는 성질 태그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최근 한달 사이에 '움직임'의 성질 태그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410)는 특정한 일자에 입력된 항목들에 대한 성질 태그의 비율만을 분석할 수도 있다.
성질 태그 선택부(420)는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410)를 통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 태그를 전달받고, 이에 상반되는 성질 태그를 선택한다. 성질 태그 선택부(420)에서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반대의 성질을 선택하여 추천하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유사한 성질의 것은 피해야할 항목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410)의 결과값으로 '움직임'과 '가벼움'의 성질 태그의 비율이 높다고 분석되면, '움직임'와 반대의 성질인 '안정됨', '가벼움'과 반대의 성질인 '무거움', 두 가지 성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두 성질 태그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성질 태그가 동시에 있는 처방법을 1차로 큐레이션한다. 예를 들어, 이 두 가지 성질이 높은 허브를 조합한 티백을 추천하고 판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500)는 수집 정보 분석부(도 1의 '120')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맞춤형 처방법을 추천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500)는 허브 추천부(510), 생활 습관 추천부(520), 마인드 추천부(530) 및 식습관 추천부(540)를 포함한다.
허브 추천부(510)는 사용자에게 좋은 허브나 약제, 보조 식품등을 추천하며, 추천된 허브, 약제 또는 보조 식품등의 섭생법 가이드 라인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추천된 허브, 약제 또는 보조 식품을 판매하는 판매 사이트로 연결될 수 있으며, 현 시스템 상에서 직접 구매할 수 있도록 결제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생활 습관 추천부(520), 마인드 추천부(530) 및 식습관 추천부(540)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권장하는 생각 방식, 음식 또는 식사법등을 추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게 걷기 운동, 명상 또는 단 맛의 과일둥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항목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에 따라 변경되며, 다수의 추천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부에서 맞춤형 건강관리법을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의 동작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체크 항목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10). 이때, 체질 검사표는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건강 상태 정보에 체크된 항목들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를 입력한 후 입력된 성질 태그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 태그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20).
그 다음,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와 반대 성질의 처방법 항목을 추천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30).
이어서, 일정 기간 간격으로 알림 신호를 발생하여 사용자가 추천받은 처방법을 실생활 속에서 계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지 확인하도록 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640). 이후, 처방법 항목 추천 단계 전 후의 사용자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더 진행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110, 200 : 정보 수집부
120, 400 : 수집 정보 분석부
130,300 : 데이터 저장부
140, 500 :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
210 : 체질 검사표 220 :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
310 : 성질 태그 매칭부 320 : 성질 태그 분류부
410 : 성질 태그 비율 분석부 420 : 성질 태그 선택부
510 : 허브 추천부 520 : 생활 습관 추천부
530 : 마인드 추천부 540 : 식습관 추천부

Claims (8)

  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아 맞춤형 건강 관리법을 제공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체질 검사표 및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를 포함하는 다수의 체크 항목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정보 수집부를 통해 체크된 항목들을 전달받고, 이에 대응되는 성질 태그를 입력한 후 입력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 태그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수집 정보 분석부;
    상기 수집 정보 분석부에서 분석된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에 대한 맞춤형 처방법을 추천하고, 이를 표시하는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 및
    상기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를 통해 추천된 처방법을 사용자가 실생활 속에서 계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알림 신호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발생시켜 상기 사용자가 추천된 처방법을 습관화하도록 도와주는 알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맞춤형 처방법 출력부는
    허브, 약제, 보조 식품 중 적어도 하나를 추천하며 섭생법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는 허브 추천부 및 일상생활에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을 추천하는 생활 습관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의 체질 검사표는 아유르베다(Ayurveda)를 기반으로 하며, 체격, 피부색, 눈동자, 치아, 수면, 소화, 체중, 배변, 두통, 생김새, 유연성, 피부타입, 성향, 신체특징, 성격, 특징, 감정, 지식/ 습득력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는 호흡기, 소화기, 피부, 관절등과 같이 신체적 불편 사항을 다양한 증상으로 분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질 검사표, 불편 증상 체크 리스트 및 추천 처방법에 포함된 다수의 항목들은 각각 대응되는 성질 태그가 있으며, 이 성질 태그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질 태그는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수의 성질 태그는 서로 유사한 성질의 성질 태그 및 서로 상반된 성질 태그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정보 수집부에서 체크된 항목에 대응된 성질 태그의 비율을 분석하여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반대의 성질을 선택하며,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성질과 유사한 성질의 것은 피해야할 항목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법은 음식, 생활 습관, 식습관, 허브, 생각, 운동 또는 맞춤형 티백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8. 삭제
KR1020200129445A 2020-10-07 2020-10-07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KR102537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45A KR102537322B1 (ko) 2020-10-07 2020-10-07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445A KR102537322B1 (ko) 2020-10-07 2020-10-07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52A KR20220046252A (ko) 2022-04-14
KR102537322B1 true KR102537322B1 (ko) 2023-05-26

Family

ID=8121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445A KR102537322B1 (ko) 2020-10-07 2020-10-07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3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9259A1 (en) * 2017-12-20 2019-06-20 Gary Wayne Clark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optimized patient treatment experien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84B1 (ko) * 2007-08-10 2009-09-17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온라인한방정보시스템
KR102323211B1 (ko) * 2014-11-04 2021-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헬스 케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80020691A (ko) 2016-08-19 2018-02-28 광주과학기술원 유전자 및 화학성분을 이용하여 질병치료용 허브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189232B1 (ko) * 2018-05-25 2020-12-09 재단법인차세대융합기술연구원 생활 습관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261132B1 (ko) 2019-01-29 2021-06-07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큐레이션 지원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89259A1 (en) * 2017-12-20 2019-06-20 Gary Wayne Clark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 optimized patient treatment experien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정미숙 외, 한국형 아유르베다(Ayurveda) 체질유형 검사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2.31., Vol.17, No.12, pp.62-7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6252A (ko)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ohnson III et al. Urban-rural difference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gilson et al. Quality of life of high-functioning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ing peers: Self-and proxy-reports
US11437134B2 (en) Recommending consumer products using product-ingredient efficacy and/or user-profile data
Keller et al. Designing effective health communications: a meta-analysis
Sharp et al. The Autism MEAL Plan: A parent-training curriculum to manage eating aversions and low intake among children with autism
Assaker Examining a hierarchical model of Australia’s destination image
Weenig et al. The impact of time constraint on information search strategies in complex choice tasks
Saukko et al. Negotiating the boundary between medicine and consumer culture: Online marketing of nutrigenetic tests
JP2008176434A (ja) 個別健康指導支援システム
Semenza Health behaviors and juvenile delinquency
Tranter et al. Can patient-written comments help explain patient satisfaction with food quality?
Jo et al. Market segmentation of health information use on the Internet in Korea
JP6705089B2 (ja) ヘルスチュ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
WO2018074996A1 (en) Mental health assessment method and kiosk-based system for implementation
Kulkarni et al. Depression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older Indians: a study based on Study of Global Aging and Adult Health (SAGE)–2007
WO201610982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online and on-demand medical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patient
Mask et al. Do portrayals of women in action convey another ideal that women with little self-determination feel obligated to live up to? Viewing effects on body image evaluations and eating behaviors
Zhao et al. Mining affective words to capture customer’s affective response to apparel products
Wai et al. The influence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 media usage and conspicuous consumption
JP2020506477A (ja) 個人遺伝子のプロフィールに基づいて購入勧告を決定して、提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Tran et al. Perception and beliefs regardi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lifestyle modifications among high-risk College students
KR102537322B1 (ko) 맞춤형 건강 관리법 추천 시스템
CN115136248A (zh) 提案系统、提案方法及程序
KR20190075648A (ko) 영양 및 건강관리 핀테크 서비스 시스템
Rummo et al. Menu Labeling and Calories Purchased in Restaurants in a US National Fast Food Ch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