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926B1 -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926B1
KR102536926B1 KR1020210193296A KR20210193296A KR102536926B1 KR 102536926 B1 KR102536926 B1 KR 102536926B1 KR 1020210193296 A KR1020210193296 A KR 1020210193296A KR 20210193296 A KR20210193296 A KR 20210193296A KR 102536926 B1 KR102536926 B1 KR 102536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pring
wall
exterior material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민교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주선에스앤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에스앤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선에스앤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9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situated at the corners of the covering elements, not extending through the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에 박혀 설치된 앵커볼트와 이 앵커볼트에 연결고정된 단열재고정부재에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와 연결된 외장재고정부재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게 하여서, 건축물의 벽체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와 이격설치된 외장재가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및 진동을 벽체 및 단열재에 고정설치된 단열재고정부재와, 연결부재와, 스프링연결부재와, 스프링부재로 구비된 외장재완충고정장치들로 흡수하여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가 떨어져나가거나,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및 단열재의 외부에서 외장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하여 벽체 및 단열부재에서 외장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도록한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는;
건축물의 벽체(a)와, 상기 벽체(a)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된 단열재(b)와, 상기 벽체(a)와 상기 단열재(b)에 각각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부재(10)와, 상기 앵커볼트부재(10)의 타측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에 고정하도록 구비된 단열재고정부재(20)와; 상기 단열재고정부재(20)의 타측면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4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고정부(41)의 타측에 타측스프링연결부(42)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40)와;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타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에 일측스프링연결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에 연결편부(5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상기 단열재(b)와 이격되어 설치된 외장재(c)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53)를 구비한 외장재고정부재(50)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타측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링부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DEVICE FIXING OF EXTERIOR BUILDING MATERIAL FOR INSTALLED BUILDING WALL OF EARTHQUAKE PROOF TYPE}
본 발명은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와 이격설치된 외장재가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및 진동에 의해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가 떨어져나가거나,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및 단열재의 외부에서 외장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하여 벽체 및 단열부재에서 외장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도록한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물의 벽체는 콘크리트로 형성되므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오랫동안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벽체에 외장재를 시공하고 있다. 외장재는 화강석, 문경석, 대리석, 라임스톤, 샌드스톤 등의 석재 또는 판넬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외장재의 시공은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이 있으며, 현재는 시멘트, 모래, 물 등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부식되지 않는 앵글을 이용하여 외장재를 시공하는 건식공법이 주로 사용된다. 건식공법은 외장재의 색상을 보존할 수 있고 지진이나 충격 방지에 좋으며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장재는 건물의 벽체와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건물의 벽체가 강우 및 외부 습기에 의해 보호되도록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외장재들은 건축물의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주로 석재 및 기타 외장용판넬류들이 이용되는데, 지진에 의한 충격으로 상기 외장재가 파손되는 경우 이의 낙하로 인해 자칫 사고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외장재와 단열재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장치들은 외장재와 단열재 사이의 열전달 통로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단열재와 외장재를 고정시키는 장치의 경우, 상기 단열재와 외장재 사이의 간격이 고정적으로 구성되고,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과 외장재의 사이 거리인 이격거리를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하지 못하고,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를 손쉽게 분리 및 결합하지 못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2230607호(2021년 3월 16일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에 박혀 설치된 앵커볼트와 이 앵커볼트에 연결고정된 단열재고정부재에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와 연결된 외장재고정부재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게 하여서, 건축물의 벽체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와 이격설치된 외장재가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및 진동을 벽체 및 단열재에 고정설치된 단열재고정부재와, 연결부재와, 스프링연결부재와, 스프링부재로 구비된 외장재완충고정장치들로 흡수하여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가 떨어져나가거나,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및 단열재의 외부에서 외장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하여 벽체 및 단열부재에서 외장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도록한 새로운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명은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들로 벽체 및 단열재와 외장재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단열재와 외측과 외장재의 내측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용이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서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의 이격거리를 최대의 완충작용효과를 볼수있는 거리를 확보하도록 한 새로운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a)와, 상기 벽체(a)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된 단열재(b)와, 상기 벽체(a)와 상기 단열재(b)에 각각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부재(10)와, 상기 앵커볼트부재(10)의 타측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에 고정하도록 구비된 단열재고정부재(20)와; 상기 단열재고정부재(20)의 타측면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4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고정부(41)의 타측에 타측스프링연결부(42)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40)와;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타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에 일측스프링연결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에 연결편부(5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상기 단열재(b)와 이격되어 설치된 외장재(c)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53)를 구비한 외장재고정부재(50)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타측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링부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일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과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을 용접수단으로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에 다수개의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41b)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구(31)와,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결합되도록 나사공(nh)을 갖는 너트부재(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에 박혀 설치된 앵커볼트와 이 앵커볼트에 연결고정된 단열재고정부재에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연결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와 연결된 외장재고정부재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를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게 하여서, 건축물의 벽체의 외측에 설치된 단열재와 이격설치된 외장재가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및 친동을 벽체 및 단열재에 고정설치된 단열재고정부재와, 연결부재와, 스프링연결부재와, 스프링부재로 구비된 외장재완충고정장치들로 흡수하여서 건축물의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가 떨어져나가거나, 파손 및 훼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벽체 및 단열재의 외부에서 외장재가 보다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고정설치하여 벽체 및 단열부재에서 외장재를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들로 벽체 및 단열재와 외장재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며, 단열재와 외측과 외장재의 내측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용이하고 자유롭게 조절하여서 벽체 및 단열재의 외측에서 외장재의 이격거리를 최대의 완충작용효과를 볼수있는 거리를 확보하는 새로운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예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의 다른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타측스프링연결부와 스프링부재의 용접결합고정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와 결합고정부의 용접결합고정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의 결합고정부와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와 연결부재의 결합구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1실시예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2실시에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3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4실시예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예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의 다른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타측스프링연결부와 스프링부재의 용접결합고정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와 결합고정부의 용접결합고정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연결부재의 결합고정부와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와 연결부재의 결합구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1실시예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2실시에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3실시예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제4실시예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는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는 앵커볼트부재(10)와, 단열재고정부재(20)와, 연결부재(30)와, 스프링연결부재(40)와, 외장재고정부재(50)와, 스프링부재(60)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볼트부재(10)는 일측으로 부터 캡너트(11)와 고정너트(12)가 수평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12)의 타측면에는 결합볼트부(13)가 수평으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앵커볼트부재(10)는 건축물의 벽체(a)와 상기 벽체(a)의 외측면과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 설치된 단열재(b)에 상기 캡너트(11)와 상기 고정너트(12)가 수평으로 박혀서 관통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띠라서 상기 고정너트(12)의 타측면에 구비된 상기 결합볼트부(13)에는 상기 단열고정부재(20)의 일면에 형성된 조립공(d)에 삽입되어 통과하고 난 다음에 상기 단열고정부재(20)의 타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부재(30)에 형성된 상기 조립공(d)을 통과한 후 이 상기 조립공(d)의 타측에 노출되어진 상기 결합볼트부(13)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에 너트(m)가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앵커볼트부재(10)로 인해 상기 단열고정부재(20)가 상기 벽체(a)의 외측면에 설치된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의 외측면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열고정부재(20)는 건축물의 벽체(a)와, 상기 벽체(a)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된 단열재(b)와, 상기 벽체(a)와 상기 단열재(b)에 각각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부재(10)와, 상기 앵커볼트부재(10)의 타측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단열재고정부재(20)는 타측면에 조립공(d)을 갖는 고정편(21)이 형성되어 구성되고, 이 상기 고정편(21)의 일측에 다수개의 지지레그(22)가 수평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레그(23)들은 상기 단열재(b)를 관통하여 상기 벽체(a)의 외측면에 맞닿아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21)의 상기 조립공(d)에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0)의 상기 결합볼트부(13)가 삽입되어 통과하고 난 다음에 다시 상기 연결부재(30)에 형성된 상기 조립공(d)에 통과한 다음에 이 상기 조립공(d)의 타측에 노출되어진 상기 결합볼트부(13)에 상기 너트(m)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고정부재(20)는 상기 앵커볼트부재(10)로 인해 상기 벽체(a)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의 외측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단열재고정부재(20)의 타측면에 연결고정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재(30)는 수직판(32)과, 상기 수직판(32)의 하부타측면에 수평판(33)으로 구비되어 "ㄴ"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32)에는 조립공(d)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33)에는 장공(e)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립공(d)에는 상기 단열고정부재(20)의 상기 고정편(21)에 형성된 상기 조립공(d)을 통과한 상기 결합볼트부(13)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장공(e)의 상부에는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결합고정부(41)의 일측에 수평연결된 수평연결부(41c)에 형성되어진 조립공(d)의 하부가 일치한 다음에, 상기 장공(e)과 상기 조립공(d)이 일치된후에 상기 장공(e) 및 상기 조립공(d)에 수직으로 고정볼트(f)가 수직으로 조립되어진 후에 상기 고정볼트(f)의 하부에 너트(m)가 결합되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하부면에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수평판(33)에 형성된 상기 장공(e)에는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조립공(d)의 수직으로 조립된 상기 고정볼트(f)의 하부가 삽입되어서 이러하게 삽입되어진 상기 고정볼트(f)의 하부가 상기 장공(e)의 내부에서 일, 타측으로 왕복이동거리를 확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장공(e)의 내부에서 상기 고정볼트(f)의 하부가 일,타측으로 왕복이동되어 고정되도록하여서, 외장재(c)를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연결부(40)로 연계되어진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 및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가 상기 연결부재(30)에서 일,타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단열재(b)의 외측에서 상기 외장재(c)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상기 단열재(b)의 외측과 상기 외장재(c)의 내측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는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41)가 일측에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고정부(41)의 타측에 타측스프링연결부(4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면에는 수평으로 설치된 수평연결부(41c)가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연결부(41c)에는 조립공(d)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립공(d)은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수평판(33)에 형성된 상기 장공(e)과 일치한후에 상기 조립공(d)과 상기 장공(e)에 상기 고정볼트(f)가 수직으로 조립되어 상기 수평연결부(41c)를 상기 수평판(33)의 하부에서 일,타측으로 왕복이동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단열재(b)의 외측에서 상기 외장재(c)의 이격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하고 상기 단열재(b)의 외측과 상기 외장재(c)의 내측 이동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이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내측둘레면에 상기 나사산(n)들의 외측둘레면이 기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내측둘레면과 상기 나사산(n)들의 외측둘레면에서 마찰효과를 발생시키서 상기 스프링부재(50)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서 안정적으로 압축 및 팽창을 하도록 하여서 상기 스프링부재(60)로 인한 완충작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는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타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타측면과 이격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의 일측에 일측스프링연결부(51)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0)의 외측둘레에 상기 스프링연결부재(60)의 타측이 삽입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에 연결편부(5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결편부(52)의 가외둘레에는 다수개의 볼트공(g)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g)들에 고정볼트(m)가 삽입된후 상기 외장재(c)에 관통고정되어서, 상기 연결편부(52)를 갖는 상기 외장재고정부(50)가 상기 외장재(c)의 내측면에 보다 안정적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상기 단열재(b)와 이격되어 설치된 외장재(c)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5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이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삽입되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내측둘레면에 상기 나사산(n)들의 외측둘레면이 기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내측둘레면과 상기 나사산(n)들의 외측둘레면에서 마찰효과를 발생시키서 상기 스프링부재(50)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서 안정적으로 압축 및 팽창을 하도록 하여서 상기 스프링부재(60)로 인한 완충작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3)는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된 수평판재(53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판재(53a)의 타측말단면중앙에 고정핀(53b)이 수평으로 관통설치되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핀(53b)는 상기 수평판재(53a)에 형성된 조립공(d)에 삽입되어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고정핀(53b)의 상부는 상기 외장재(c)의 하부에 관통고정되어 상기 외장재(c)의 하부를 상기 수평판재(53a)의 상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고정핀(53b)의 하부는 상기 외장재(c)의 상부에 관통고정되어 상기 외장재(c)의 상부를 상기 수평판재(53a)의 하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 상기 수평판재(53a)의 상,하부면에 상기 상기 외장재(c)의 상,하부면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3)는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수평판재(53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재(53a)의 타측 말단 전방상부에서 상부로 수직절곡된 상부수직분할고정부(53c)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재(53a)의 타측 말단 후방상부에서 하부로 수직절곡된 하부수직분할고정부(53d)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수직분할고정부(53c)의 내측상부는 상기 외장재(c)의 하부를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상기 하부수직분할고정부(53d)의 내측하부는 상기 외장재(c)의 상부를 안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하여서,상기 수평판재(53a)의 상,하부면에 상기 상기 외장재(c)의 상,하부면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3)는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 설치된 수평판재(53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판재(53a)의 타측말단이 수평고정판부(53e)의 일측중앙면에 수평으로 고정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고정판부(53e)의 상부와 이격되어 상기 수평판재(53a)의 일측상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부수직고정부(53f)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고정판부(53e)의 하부와 이격되어 상기 수평판재(53a)의 일측하부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하부수직고정부(53g)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고정판부(53e)의 일측과 상기 상부수직고정부(53f)의 타측사이에 상기 외장재(c)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평고정판부(53e)의 일측과 상기 하부수직고정부(53g)의 타측사이에 상기 외장재(c)의 상부가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서, 상기 수평판재(53a)의 상,하부면에 상기 상기 외장재(c)의 상,하부면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3)는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수평으로 연결설치된 수평판재(53a)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판재(53a)의 상,하부가외둘레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하부가외둘레수직고정부(53h,53i)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가외둘레수직고정부(53h)의 내부상부면에 종방향으로 수직기립설치된 상부기립고정부(53j)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외둘레수직고정부(53i)의 내부하부면에 종방향으로 수직기립설치된 하부기립고정부(53h)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가외둘레수직고정부(53h)의 내부와 상기 상부기립고정부(53j)의 일측에 상기 외장재(c)의 하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판재(53a)의 상부면에 상기 외장재(c)의 하부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부가외둘레수직고정부(53i)의 내부와 상기 하부기립고정부(53h)의 일측에 상기 외장재(c)의 상부가 삽입되어 상기 수평판재(53a)의 하부면에 상기 외장재(c)의 상부면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0)는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타측에 삽입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스프링부재(60)는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를 갖는 상기 외장재연결부재(50)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를 갖는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사이에서 완충적인 역할을 하여서,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진동을 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팽창 및 수축작용으로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벽체(a) 및 상기 단열재(b)에 고정설치된 상기 단열고정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30)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와, 상기 외장재(c)를 고정한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의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완충작용으로서,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진동에 의해서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에 고정된 상기 외장재(c)가 떨어지거나, 훼손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일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일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을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에 안정적으로 유동없이 용접고정하고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을 상기 타측을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에 안정적으로 유동없이 용접고정하셔, 이러하게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타측이 상기 일,타측스프링연결부(51)의 사이에서 팽창 및 수축으로 인한 완충작용을 안정적으로 하여서,
지진과 같은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진동을 이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팽창 및 수축작용으로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벽체(a) 및 상기 단열재(b)에 고정설치된 상기 단열고정부재(20) 및 상기 연결부재(30)에 설치된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와, 상기 외장재(c)를 고정한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의 사이에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완충작용으로서, 강한 외력 또는 강한 진동에 의해서 상기 외장재고정부재(50)에 고정된 상기 외장재(c)가 떨어지거나, 훼손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과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을 용접수단으로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과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을 용접수단으로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과 상기 결합고정부(41)를 나사결합과정되는 번거룸을 극복하여 용접수단으로 손쉽게 한번에 안정적으로 용접고정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에 다수개의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41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구(3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결합되도록 나사공(nh)을 갖는 너트부재(m)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결합구(31)와,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상기 결합고정부(41)에 형성된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로 구성되는 것은,
상기 연결부재(30)의 상기 결합구(31)를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상기 결합고정부(41)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앵커볼트부재 20: 단열재고정부재
30: 연결부재 31: 결합구
40: 스프링부재 41: 결합고정부
42: 타측스프링연결부 50: 외장재고정부재
51: 일측스프링연결부 52: 연결편부
53:: 고정부재 60: 스프링부재
a: 벽체 b: 단열재
c: 외장재 n: 나사산
nh: 나사공 m: 너트

Claims (5)

  1. 건축물의 벽체(a)와, 상기 벽체(a)의 타측면에 고정설치된 단열재(b)와, 상기 벽체(a)와 상기 단열재(b)에 각각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부재(10)와, 상기 앵커볼트부재(10)의 타측에 연결고정되어 상기 단열재(b)를 상기 벽체(a)에 고정하도록 구비된 단열재고정부재(20)와;
    상기 단열재고정부재(20)의 타측면에 연결고정되는 연결부재(30)와;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에 결합고정되는 결합고정부(41)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고정부(41)의 타측에 타측스프링연결부(42)를 구비한 스프링연결부재(40)와;
    상기 스프링연결부재(40)의 타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고, 일측에 일측스프링연결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에 연결편부(52)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부(52)의 타측에 상기 단열재(b)와 이격되어 설치된 외장재(c)를 고정하도록 설치된 고정부재(53)를 구비한 외장재고정부재(50)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에 일측이 삽입되며,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타측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링부재(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외측둘레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외측둘레에 나사산(n)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60)의 일측은 상기 일측스프링연결부(51)의 타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부재(60)의 타측은 상기 타측스프링연결부(42)의 일측면에 용접수단으로 용접되어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과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을 용접수단으로 용접하여 서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고정부(41)의 일측에 다수개의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내측에 형성된 결합공(41b)과,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부재(3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구(31)와, 상기 확장 및 가압분할결합부(41a)들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나사산(n)과 결합되도록 나사공(nh)을 갖는 너트부재(m)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KR1020210193296A 2021-12-30 2021-12-30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KR102536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96A KR102536926B1 (ko) 2021-12-30 2021-12-30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3296A KR102536926B1 (ko) 2021-12-30 2021-12-30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926B1 true KR102536926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3296A KR102536926B1 (ko) 2021-12-30 2021-12-30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9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148A (ko) * 2008-05-15 2009-11-19 (주)우광테크 전신주용 발판
KR20140055564A (ko) * 2012-10-31 2014-05-09 명문석재주식회사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1911038B1 (ko) * 2016-11-11 2018-10-24 주식회사 대명금속앙카 내진용 석재패널 고정 구조체
KR102230607B1 (ko) 2020-09-10 2021-03-24 주식회사 두리파워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9148A (ko) * 2008-05-15 2009-11-19 (주)우광테크 전신주용 발판
KR20140055564A (ko) * 2012-10-31 2014-05-09 명문석재주식회사 건물 외장재 및 외부 단열재 설치 브라켓
KR101911038B1 (ko) * 2016-11-11 2018-10-24 주식회사 대명금속앙카 내진용 석재패널 고정 구조체
KR102230607B1 (ko) 2020-09-10 2021-03-24 주식회사 두리파워 내진형 석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8671B1 (ko) 프리스트레스 긴장재가 도입된 데크로드 구조물
KR101735044B1 (ko)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50072142A (ko) 내,여진 성능이 향상된 건축용 무용접 트러스 구조물
KR102200978B1 (ko) 건식 조적용 벽돌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건식 조적 구조
KR102142230B1 (ko)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KR101706307B1 (ko) 석재 연결용 벽체 고정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36926B1 (ko) 내진용 건축물벽체에 설치되는 외장재 완충고정장치
CN110145643B (zh) 一种抗震支吊架及其施工方法
KR101847827B1 (ko) 건축용 외장 패널 고정장치와, 단열재와 결합된 거푸집을 이용한 건축물의 외벽 및 건축용 외장 패널 시공방법
KR101752279B1 (ko) 철근 기계식 이음장치
KR102158610B1 (ko) 지진파를 흡수하는 가로등
KR20200107156A (ko) 내진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253733B1 (ko) 내진 성능이 우수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패널 결합구조체
KR20200039251A (ko)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2237909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중목구조 모듈유닛
CN113123454A (zh) 一种连柱式双耗能-装配式混凝土框架体系及施工方法
KR10245487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KR102393461B1 (ko) 건축용 석재마감판 고정장치
KR101726190B1 (ko) 스프링클러 이동설치가 가능한 건축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 박스
KR101789663B1 (ko) 원통 지지대가 결합된 앵커 볼트 세트
KR200487420Y1 (ko) 멀티데크의 접합부재
KR101796207B1 (ko) 내진성능을 구비한 철골기둥 연결부 시공방법
KR101904289B1 (ko) 조립이 용이한 작업공간이 구비된 볼트러스 및 이를 이용한 트러스 체결구조
KR101554093B1 (ko) 힌지형 대각부재를 이용한 건축물 개구부 보강 구조물
KR102043168B1 (ko) 방진 또는 완충 기능을 구비한 외벽패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