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99B1 -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99B1
KR102536399B1 KR1020210024464A KR20210024464A KR102536399B1 KR 102536399 B1 KR102536399 B1 KR 102536399B1 KR 1020210024464 A KR1020210024464 A KR 1020210024464A KR 20210024464 A KR20210024464 A KR 20210024464A KR 102536399 B1 KR102536399 B1 KR 10253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othes
clothing
foreign substances
manage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20818A (en
Inventor
조한민
안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딧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딧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딧
Priority to KR102021002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99B1/en
Publication of KR2022012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9/00Washing machines using vibrations for washing purpo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의류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 거치부와 결합되어 거치부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거치부를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의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 상의 이물질이 제거된다.A garment management device is provided.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holding part for holding clothes, a rotating part coupled to the holding part to rotate the holding part by a first angle in a first direction, and rotating the holding part by a second ang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is included, and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are removed through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Description

의류 관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 관리 장치 및 의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 관리 장치 및 의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nd a clothes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nd a clothes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 상의 이물질을 제거와 동시에 탈취 및 향균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refers to a devic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es and simultaneously performs deodorization and antibacterial functions.

일반적으로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 형태로 구성된다. 캐비닛의 상부에는 의류를 수납하는 수납실이 형성되고, 스팀발생장치 또는 열풍공급장치 등이 포함되는 전장실은 그 하부에 위치한다. 수납실과 전장실은 격벽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In general,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abinet in which a storage room for storing clothes is formed. A storage room for storing clothes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and an electrical equipment room including a steam generator or a hot air supply device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binet. The storage room and the battlefield may be separated by a partition wall.

즉, 의류 관리 장치는 수납실 및 전장실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고정된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의 의류 관리 장치는 휴대가 불가능하여, 출장지나 여행지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That i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has both a storage room and a dressing room, and is relatively bulky and heavy, so that it can be used only in a fixed place. Conventional clothing management devices are not portable, and thu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y are difficult to use on business trips or travel destinat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의류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management device that is easily portable and can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휴대가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의류 관리 장치를 이용한 의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management system us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that is easily portable and can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 거치부와 결합되어 거치부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거치부를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회전부의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 상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with a holding part for holding clothes, rotates the holding part by a first angle in a first direction, and rotates the holding part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angle. It includes a rotation unit that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by a second angle,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 operation of the rotation unit, and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are removed through rotation of the rotation unit.

몇몇 실시예에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흡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온을 생성하고, 생성된 이온을 의류가 거치된 방향으로 제공하는 이온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상기 의류상의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한다.In some embodiments, it may further include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in external air, and an ion generator that generates ions using the inhaled air and provides the generated ion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thes are placed, wherein the ions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It reacts to form free radicals to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matter on the clothing.

몇몇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의류의 종류를 입력받고, 입력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회전부, 공기 흡입부 및 이온 생성부를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제어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receives a type of clothing and controls the rotation unit, the air intake unit, and the 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based on the input type of clothing.

몇몇 실시예에서, 회전부의 왕복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이 형성된다.In some embodiments, a first area in which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clothes are collected is formed through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몇몇 실시예에서, 의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류 커버를 더 포함하고, 의류 커버는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집진부를 포함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lothing cov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lothing, and the clothing cover includes a dust collector dispos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의류 관리 장치로서, 의류 관리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의류를 거치하는 거치부, 고정부와 거치부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및 거치부와 연결되고, 거치부를 제1 방향 및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portable clothes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holding part for holding clothes, and a holding part between the fixing part and the holding part. It includes a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a rota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holding portion and reciprocally rotating the holding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바디부와 연결되고,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이용하여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회전부의 왕복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 상의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한다.In some embodiments, an air intak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and sucking in external air, and an ion generating unit connected to the body and generating ions using air sucked from the air intake, Through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a first area in which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are collected is formed, and ions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to form free radicals to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은 의류를 왕복 회전 운동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의류 관리 장치, 및 의류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기기를 포함하고, 의류 관리 장치는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왕복 회전 운동의 조건을 변경한다.A clothe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clothes management device that reciprocates and rotates cloth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and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The management device changes the condition of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d from an external device.

몇몇 실시예에서, 의류 관리 장치는 외부 기기에서 외부 미세먼지 수치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외부 미세먼지 수치에 따라 왕복 회전 운동의 조건을 변경한다. In some embodiment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receives an external level of fine dust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hanges conditions for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external level of fine dust.

몇몇 실시예에서, 의류 관리 장치는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따라 왕복 회전 운동의 조건을 변경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from an external device, and changes conditions of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according to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provid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온 생성부가 양이온, 음이온 및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의류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회전부를 이용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이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ations, anions and free radicals in the 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otation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by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using a rotating part.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ver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performs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ocess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progra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loth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lothe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items.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elements or components and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encompass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elem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elements shown in the figures, elements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ther elements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directions of both below and above. Elem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elements or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elem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not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는 고정부(110), 바디부(120), 공기 흡입부(130), 이온 생성부(140), 회전부(150), 거치부(155) 및 디스플레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part 110, a body part 120, an air intake part 130, an ion generating part 140, and a rotating part 150. ), the mounting unit 155 and the display unit 160 may be included.

고정부(110)는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행거 및 빨래건조대 등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하여, 회전부(150), 공기 흡입부(130) 및 이온 생성부(140)가 동작할 때 발생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0)는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하여, 의류 관리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의류 관리 장치(10)가 옷장 등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unit 110 may be used to fix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to a closet, a hanger, or a clothes dryer. The fixing unit 110 may fix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to a closet or the like, thereby minimizing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rotation unit 150, the air suction unit 130, and the ion generator 140 operate. In addition, the fixing unit 110 fixe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to a wardrobe to prevent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from being removed from the wardrobe due to vibration or external shock generated by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can do.

예를 들어, 고정부(110)는 내부에 포함된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의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고정부(110)는 볼트 또는 핀 체결을 통해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고정부(110)는 자성을 이용하여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xing unit 110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such as a coil spring or a plate spring included therein, and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be fixed to a closet or the lik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For another example, the fixing unit 110 may fix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to a closet or the like by fastening bolts or pins. For another example, the fixing unit 110 may fix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to a closet or the like using magnetism.

이와 같이, 고정부(11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고정부(110)가 의류 관리 장치(10)를 옷장 등에 고정하는 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부(110)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As such, the fixing unit 11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a method in which the fixing unit 110 fixe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to a closet or the lik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fixing unit 110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고정부(110)는 옷장 등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에서 의류 관리 장치(10)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 관리 장치(10)를 테라스 등의 외부 공간에서 사용하거나, 이를 휴대하여 여행지, 출장지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fixing unit 110 is implemented to be attachable or detachable to a closet or the like, the user can us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t a desired loc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us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n an external space such as a terrace or carry it and use it at a travel destination or business trip.

바디부(120)는 고정부(110), 공기 흡입부(130), 이온 생성부(140), 회전부(150), 거치부(155) 및 디스플레이부(160)의 위치를 특정하고, 이들 구성요소들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20)는 의류 관리 장치(10)에 포함된 다양한 전자 장치 및 회로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바디부(120)는 의류 관리 장치(10)에 포함된 다양한 전자 장치 및 회로 등을 둘러싸는 형태일 수 있다. 바디부(120)는 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body part 120 specifies the positions of the fixing part 110, the air intake part 130, the ion generating part 140, the rotating part 150, the holding part 155 and the display part 160, and these configurations It can serve as a skeleton that structurally connects elements.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20 may protect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s included 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The body part 120 may have a shape surround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circuits included 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The body part 1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rical column and a polygonal column.

공기 흡입부(130)는 의류 관리 장치(10)의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 장치(10)의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이온 생성부(140)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에서 흡입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이온 생성부(140)에서 생성한 이온과 함께 이온 생성부(1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기 흡입부(130)는 공기 흡입을 위한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intake unit 130 may suck outside air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nto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take unit 130 may be provided to the ion generating unit 140 .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ucked in by the air intake unit 13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ion generator 140 together with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140 .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the air intake unit 130 may include a fan for intake of air.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흡입부(130)에서 제공한 공기를 이용하여, 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온'은 양이온, 음이온 및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The ion generating unit 140 may generate ions us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ion' may be used as a meaning including all of cations, anions, and free radicals.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중의 기체의 적어도 일부를 이온화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생성할 수 있다. 이온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양이온 및 음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흡입부(130)에서 제공받은 공기를 이용하여, 양이온, 음이온 및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고한다.The ion generator 140 may ionize at least a portion of gas in the air to generate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generated by the ion generator 140 may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to generate free radicals. In other words, the ion generating unit 140 may generate positive ions, negative ions, and free radicals us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 For a detailed explanation, refer to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온 생성부가 양이온, 음이온 및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generating cations, anions and free radicals in the 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고하면, 이온 생성부(140)는 양극판(141) 및 음극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양극판(141)과 음극판(142)에는 각각 양전압 및 음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의 전위차는 플라즈마 방전을 야기할 수 있을 만큼 높을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에서 이온 생성부(140)에 제공된 공기는 양극판(141) 및 음극판(142) 사이를 통과하여 이온 생성부(140)의 외부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ion generator 140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late 141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142 . A positive voltage and a negative voltage may be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42, respectively.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may be high enough to cause a plasma discharge. Air provided to the ion generating unit 140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may pass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42 and be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ion generating unit 140 .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의 전위차로 인해,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의 공간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를 통과하는 기체의 적어도 일부는 고전압으로 인해 이온화된 기체 상태, 즉 플라즈마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에서 생성된 이온화된 기체는 이온 생성부(14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할 수 있다. Plasma discharge may be generated in a space between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due to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 In other words, at least a portion of the gas passing between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may be changed into an ionized gas state, that is, a plasma state due to the high voltage. Ionized gas generat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42 may react with each other to form free radicals whil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ion generator 140 .

예를 들어, 공기 흡입부(130)에서 이온 생성부(140)에 제공된 공기는 수증기(H2O)를 포함할 수 있다. 수증기(H2O)는 양극판(141)과 음극판(142) 사이에서 활성 수소 이온(H+)과 산소 이온(O2 -)으로 이온화될 수 있다. 활성 수소 이온(H+)과 산소 이온(O2 -)의 적어도 일부는 이온 생성부(140) 외부로 제공되는 과정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예를 들어, OH-, HOO-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온 생성부(140)는 수증기(H2O), 활성 수소 이온(H+), 산소 이온(O2 -) 및 자유 라디칼(OH-, HOO- 등)을 포함한 공기를 외부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air provided to the ion generating unit 140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may include water vapor (H 2 O). Water vapor (H 2 O) may be ionized into active hydrogen ions (H + ) and oxygen ions (O 2 - ) between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 At least some of the active hydrogen ions (H + ) and oxygen ions (O 2 - )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being supplied to the outside of the ion generating unit 140 to generate free radicals (eg, OH - , HOO - , etc.) can form In other words, the ion generator 140 provides air containing water vapor (H 2 O), active hydrogen ions (H + ), oxygen ions (O 2 - ), and free radicals (OH - , HOO - , etc.) to the outside. can do.

이온 생성부(140)는 의류 관리 장치(10)에 거치된 의류를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온 생성부(140)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자유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유 라디칼은 높은 반응성으로 유기물 및 무기물을 분해하고,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 박테리아 등의 세포막과 결합하여 강력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온 생성부(140)는 자유 라디칼을 포함하는 공기를 의류를 향해 제공함으로써, 의류 상의 이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할 수 있다.The ion generator 140 may discharge air toward the clothes mounted o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As described above, air discharged from the ion generator 140 may include free radicals. At this time, free radicals can decompose organic and inorganic substances with high reactivity and combine with cell membranes of viruses, bacteria, fungi, and bacteria to perform strong sterilization. Therefore, the ion generating unit 140 can effectively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eg, fine dust, germs, bacteria, viruses, etc.) on the clothes by providing air containing free radicals toward the clothes. .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거치부(155)는 의류를 거치하는 공간 또는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15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거치부(155)는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1 , the holding portion 155 may be a space or structure for holding cloth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the holding unit 155 may be a space in which a hanger for hanging clothes can be mounted. For another example, the holding unit 15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nger for holding clothes.

거치부(155)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 1에 도시된 거치부(155)의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거치부(155)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mounting unit 155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hape of the mounting unit 155 shown in FIG. 1 .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implement various types of holding parts 155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회전부(150)는 거치부(155)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50)는 거치부(155)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150)는 특정 각도로 왕복 회전 운동하여, 거치부(155)가 왕복 회전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거치부(155)에 의류가 거치되면, 결국 회전부(150)는 거치부(155)에 거치된 의류가 왕복 회전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추가적인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고한다. The rotating par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155 . The rotation unit 150 may rotate the holding unit 155 . Specifically, the rotation unit 150 may be reciprocated and rotated at a specific angle, and the holding unit 155 may be controlled to reciprocate and rotate. When clothes are placed on the holding portion 155, the rotation unit 150 may control the clothes placed on the holding portion 155 to reciprocate and rotate. See Figure 3 for further explanation.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rotation unit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하면, 회전부(150)는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왕복 회전 운동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가,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5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과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rotation unit 150 may perform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Here,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is defined as rotating counterclockwise and then rotating again clockwise repeatedly. In other words, the rotating unit 150 may repeatedly perform a rotational movemen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 rotational movement in a clockwise direction.

회전부(150)는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최대 제1 각도(θ1)만큼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150)는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방향과 반대인 제2 방향(D2)으로 최대 제2 각도(θ2)만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방향은 각각 시계 반대 방향 및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150)는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다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에 도달하면 제1 방향(D1)으로의 회전을 중단하고 제2 방향(D2)으로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The rotating unit 150 may rotate by a maximum first angle θ1 in the first direction D1 based on the first axis X. In addition, the rotation unit 150 may rotate by a maximum second angle θ2 in a second direction D2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may be counterclockwise and clockwise,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rotating unit 150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stops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when reaching the firs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It can start rotating in two directions (D2).

마찬가지로, 회전부(150)는 제2 방향(D2)으로 회전하다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2 각도(θ2)에 도달하면 제2 방향(D2)으로의 회전을 중단하고 제1 방향(D1)으로의 회전을 시작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50)는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합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Similarly, the rotation unit 150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D2 and stops rotating in the second direction D2 when reaching the second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and then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The rotation to (D1) can be started. In other words, the rotation unit 150 may reciprocate and rotate within a range of the sum of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예를 들어,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합은 10 내지 40도일 수 있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합이 40도보다 큰 경우 의류가 수납되는 공간이 너무 많이 필요할 수 있고,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의 합이 10도 미만인 경우 이물질의 제거 효과가 낮을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sum of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may be 10 to 40 degrees. If the sum of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is greater than 40 degrees, too much space for storing clothes may be required, and the sum of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is 10 degrees. If it is less than a degree, the effect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may be low.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회전부(150)는 거치부(155)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전부(150)가 왕복 회전 운동하는 경우, 거치부(155)도 함께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때, 거치부(155)에 의류가 거치되어 있다면, 회전부(150)가 왕복 회전 운동하는 경우 의류도 함께 왕복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50)의 회전 운동 에너지는 거치부(155)를 통해 거치부(155)에 거치된 의류에 제공될 수 있다. 회전부(150)는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에 도달하면 제1 방향(D1)으로의 회전을 중단한다. 즉, 거치부(155)에 거치된 의류는 회전부(150)와 함께 제1 방향(D1)으로 회전하다가, 회전부(150)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에 도달하면 제1 방향(D1)으로의 회전이 중단될 수 있다. Since the rotating part 150 is connected to the holding part 155, when the rotating part 150 performs 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the holding part 155 may also perform 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At this time, if clothes are placed on the holder 155, when the rotation unit 150 reciprocates, the clothes may also reciprocate and rotate together. In other words, the rotational kinetic energy of the rotating unit 150 may be provided to the clothes held on the holding unit 155 through the holding unit 155 . The rotating part 150 stops rotating in the first direction D1 when the first angle θ1 is reached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That is, the clothing placed on the holder 155 rotates along with the rotation unit 15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n the rotation unit 150 reaches the firs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If so, rotation in the first direction D1 may be stopped.

이때, 의류 상의 이물질은 관성으로 인해,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으로 운동을 지속할 수 있다. 즉, 거치부(155)에 거치된 의류는 회전부(150)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에 도달하면 회전을 중단하지만, 의류 상의 이물질은 관성으로 인해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으로 계속하여 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50)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에 도달하면, 의류 상의 이물질은 의류로부터 분리(탈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부(150)가 제1 축(X)을 기준으로 제2 각도(θ2)에 도달하면, 의류 상의 이물질은 의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는 회전부(150)를 왕복 회전 운동하여, 거치부(155)에 거치된 의류에서 이물질을 분리 또는 탈락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due to inertia, the foreign matter on the clothes may continue to mov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That is, the clothes placed on the holding part 155 stop rotating when the rotating part 150 reaches the firs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but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do not rotate due to inertia. It can continue to mov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rotation unit 150 reaches the first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the foreign matter on the clothes may be separated (detached) from the clothes. Similarly, when the rotation unit 150 reaches the second angle θ2 with respect to the first axis X,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may be separated from the clothes. In other word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may separat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es held on the holding portion 155 by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portion 150 .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는 간단한 램프형 인디케이터 형식으로,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여부, 남은 동작 시간, 동작 세기 등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는 원형의 외곽에 인디케이터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남은 시간을 확인하게 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an operating stat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operating states such as whether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s operating, the remaining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intensity in the form of a simple lamp-type indicator.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60 has an indicato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ircle so that the user can intuitively check the remaining time.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6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0)는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여부, 남은 동작 시간, 동작 세기 등의 동작 상태를 텍스트 및/또는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For another example, the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60 may display operating states such as whether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s operating, the remaining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strength in text and/or figures.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120)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110)는 바디부(12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부(150)는 바디부(12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고정부(110) 및 회전부(150)는 제4 방향(D4)으로 이격되고, 바디부(120)는 고정부(110)와 회전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부(110) 및 회전부(15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바디부(120)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흡입부(13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서, 바디부(120)의 하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흡입부(130)와 상대적으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공기 흡입부(130)로부터 외부 공기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전술한 이온 생성부(140)의 양극판(141) 및 음극판(142)은 바디부(1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가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바디부(120)의 정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body portion 120 may extend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fixing part 1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and the rotating part 15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120. In other words, the fixing part 110 and the rotating part 150 are spaced apart in the fourth direction D4, and the body part 120 is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art 110 and the rotating part 150 to prevent the fixing part 110 and 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ng parts 150 . The air intake unit 130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unit 120 . The ion generator 14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120 at a position relatively adjacent to the air intake 130 . Since the ion generating unit 140 is disposed relatively adjacent to the air intake unit 130 , external air may be stably supplied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of the ion generator 140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within the body 120 . The display unit 16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body unit 120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의류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by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or similar content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4를 참고하면, 공기 흡입부(130)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온 생성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온 생성부(140)는 공기 흡입부(130)로부터 제공받은 공기를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 이온 생성부(140)는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의류(C)를 향해 방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의류 관리 장치(10)는 공기 흡입부(130) 및 이온 생성부(140)를 이용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고, 이를 의류(C)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유 라디칼은 의류(C) 상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air intake unit 130 may suck in external air and provide the air to the ion generating unit 140 . The ion generating unit 140 may generate free radicals using air supplied from the air intake unit 130 . The ion generating unit 140 may emit the generated free radicals toward the clothing C. In other word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generate free radicals using the air suction unit 130 and the ion generating unit 140 and provide the free radicals to the clothes C. As described above, free radicals can effectively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C.

회전부(150)는 거치된 의류(C)를 왕복 회전 운동하여, 의류(C) 상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회전부(150)의 회전 방향이 변경될 때(회전부(150)가 제1 각도(θ1) 또는 제2 각도(θ2)에 도달했을 때), 의류(C) 상의 이물질은 관성으로 인해 의류(C)로부터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으로 멀어질 수 있다. 회전부(15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고하여 후술한다. The rotating unit 150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C by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clothes C placed thereon. When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part 150 is changed (when the rotating part 150 reaches the first angle θ1 or the second angle θ2), the foreign matter on the clothes C is removed from the clothes C due to inertia. may move away from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turning radius. A detailed description of how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by the rotating unit 15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4는 의류 관리 장치(10)가 자유 라디칼을 이용한 이물질의 살균 및 제거 과정과, 관성을 이용한 이물질의 분리 과정이 동시에 발생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의류 관리 장치(10)는 자유 라디칼만 이용하여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할 수도 있고, 관성만 이용하여(왕복 회전 운동) 이물질을 제거할 수도 있다. Although FIG. 4 shows that the process of steriliz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using free radicals and separating the foreign substances using inertia i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occur simultaneous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circumstances,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may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using only free radicals, or may remove foreign substances using only inerti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가 회전부를 이용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이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FIG. 5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clothes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foreign substances on clothes using a rotating part.

도 5는 고정부(110)의 상면에서 의류 관리 장치(10)를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5의 지면을 향하는 방향이 회전부(150)의 회전축이 되는 방향이며, 회전부(150)는 도 5의 지면을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s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art 110 . That is, the direction toward the ground in FIG. 5 is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on unit 150, and the rotation unit 150 may rotate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toward the ground in FIG.

도 5를 참고하면, 회전부(150)는 왕복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C)와 이물질(PTC)을 분리할 수 있다. 회전부(15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단할 때, 의류(C) 상의 이물질(PTC)은 관성으로 인해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 즉 제5 방향(D5)으로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부(15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단할 때, 의류(C) 상의 이물질(PTC)은 의류(C)와 분리되어, 제5 방향(D5)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회전부(150)가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단할 때, 의류(C) 상의 이물질(PTC)은 관성으로 인해 회전 반경의 접선 방향, 즉 제6 방향(D6)으로 운동을 계속할 수 있다. 즉, 회전부(150)가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중단할 때, 의류(C) 상의 이물질(PTC)은 의류(C)와 분리되어 제6 방향(D6)으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rotation unit 150 may separate the clothes C and foreign substances PTC through 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When the rotation unit 150 stops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oreign material PTC on the clothing C may continue to mov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that is, in the fifth direction D5 due to inertia. In other words, when the rotating part 150 stops rotating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oreign matter PTC on the clothes C may be separated from the clothes C and provided in the fifth direction D5. Similarly, when the rotation part 150 stops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oreign matter PTC on the clothing C may continue to mov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radius, that is, in the sixth direction D6 due to inertia. there is. That is, when the rotating part 150 stops rotating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foreign matter PTC on the clothes C may be separated from the clothes C and provided in the sixth direction D6.

이때, 제5 방향(D5)과 제6 방향(D6)은 서로 평행하지 않으며, 의류(C)에서 분리된 이물질(PTC)은 제1 영역(R1)에서 집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물질(PTC)은 의류(C)와 분리되어 제5 방향(D5) 및 제6 방향(D6)을 향해 제공되고, 제5 방향(D5) 및 제6 방향(D6)을 향해 제공된 이물질(PTC)은 제1 영역(R1)에서 집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fth direction D5 and the sixth direction D6 are not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foreign matter PTC separated from the clothing C may be collected in the first area R1. In other words, the foreign matter PTC is separated from the clothes C, is provided in the fifth and sixth directions D5 and D6, and is provided in the fifth and sixth directions D5 and D6. (PTC) may be collected in the first region R1.

제1 영역(R1)에서 이물질(PTC)이 집진되기 때문에, 제1 영역(R1) 내에서는 이물질(PTC) 간 충돌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이물질(PTC) 간 충돌이 발생되면, 이물질(PTC)은 군집화되어 부피 및 질량이 증가될 수 있다. 군집화된 이물질(PTC)은 질량의 증가로 인해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다. Since the foreign substances PTC are collected in the first region R1, collisions between the foreign substances PTC may frequently occur in the first region R1. When a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foreign substances PTC, the foreign substances PTC may be clustered and their volume and mass may increase. The clumped foreign matter (PTC) may fall to the floor due to the increase in mass.

다시 말해서, 의류 관리 장치(10)는 왕복 회전 운동을 통해 의류(C)로부터 분리된 이물질(PTC)들이 집진되는 제1 영역(R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PTC)을 최소화할 수 있다.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PTC)이 최소화되므로, 의류(C)로부터 분리된 이물질(PTC)이 다시 의류(C)에 부착되는 상황 역시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의류 관리 장치(10)는 제1 영역(R1)을 형성함으로써 공기 중의 이물질(PTC)이 의류(C)에 부착되는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inimizes the foreign substances PTC floating in the air by forming the first region R1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PTC separated from the clothes C are collected through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can Since the foreign matter (PTC) floating in the air is minimized, the situation in which the foreign matter (PTC) separated from the clothing (C) is attached to the clothing (C) can also be minimized. That is, by forming the first region R1,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can minimize the situation in which foreign substances PTC in the air are attached to the clothes C, and through this, an effective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can be performed. .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ver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을 참고하면, 의류 관리 장치(10)는 별도의 의류 커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커버(170)는 의류에서 제거된 이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의류 커버(170)가 장착된 이후에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한다면, 의류에서 제거된 이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lothes cover 170 . The clothing cover 170 may prevent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clothing from being exposed to the air. That is, if a clothes care operation is performed after the clothes cover 170 is mounted,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may be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air.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의류 커버(170)는 집진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부(175)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부(175)는 집진 필터, 정전 필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lothing cover 170 may include a dust collection unit 175 . The dust collecting unit 175 may collec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to minimize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air.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unit 175 may be implemented as a dust collecting filter, an electrostatic film, or the like.

집진부(175)는 전술한 제1 영역(R1)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R1) 상에 집진부(175)를 배치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The dust collection unit 175 may be dispos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aforementioned first region R1. That is, by disposing the dust collecting unit 175 on the first region R1 where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foreign substances floating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collected.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의 제어 동작에 대해 설명하고, 도 10 내지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9, and clothes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is explain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ame or similar content a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performs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도 7을 참조하면, 의류 관리 장치(10)는 공기 흡입부(130), 이온 생성부(140), 회전부(150) 및 디스플레이부(16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바디부(120) 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00 that controls operations of the air intake unit 130, the ion generator 140, the rotation unit 150, and the display unit 160. can The controll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body 120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제어부(200)는 공기 흡입부(130)가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 장치(10) 내부로 흡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공기 흡입부(130)를 제어하여 공기 흡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air suction unit 130 to suck external air into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 Also,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air intake unit 130 to adjust the air intake amount.

제어부(200)는 이온 생성부(140)가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하여 이온 및 자유 라디칼을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이온 생성부(140)의 양극판(141) 및 음극판(142)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플라즈마 방전을 조절하여 자유 라디컬의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ion generating unit 140 to generate ions and free radicals using plasma discharge. Also, 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plasma discharge by controlling voltages applied to the positive plate 141 and the negative plate 142 of the ion generator 140 .

제어부(200)는 회전부(150)가 왕복 회전 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회전부(150)의 최대 회전 각도인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에 따라,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R1)의 크기 및 제1 영역(R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00)는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를 조절함으로써, 제1 영역(R1)이 형성되는 위치 및 제1 영역(R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00 may control the rotating unit 150 to reciprocate and rotate. Also, the control unit 200 ma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unit 150 . Also,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which are maximum rotational angles of the rotation unit 150. Depending on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region R1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may be changed. In other words, the controller 200 may adjus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region R1 is formed and the size of the first region R1 by adjusting the first angle θ1 and the second angle θ2.

또한, 도 5에서는 제1 영역(R1)이 의류 관리 장치(10)의 일 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영역(R1)은 의류의 전면과 후면 방향으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의류를 사방으로 둘러싸는 영역에 전반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FIG. 5 , the first region R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one side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region R1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clothing. 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entirely in an area surrounding the clothing in all directions. Howev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부(160)가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여부, 남은 동작 시간, 동작 세기 등 의류 관리 장치(1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160 to display operating states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such as whether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is operating, remaining operating time, and operating strength.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ocess of a clothes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200)는 공기 흡입부(130), 이온 생성부(140) 및 회전부(150)를 제어하여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외부 공기를 의류 관리 장치(10) 내부로 흡입하여 이를 이온 생성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S800). Referring to FIG. 8 , the controller 200 may control the air suction unit 130, the ion generator 140, and the rotation unit 150 to perform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The air suction unit 130 may suck external air into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nd provide the air to the ion generating unit 140 (S800).

이온 생성부(140)는 내부의 양극판(141) 및 음극판(142)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을 생성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방전으로 인해 양이온 및 음이온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양이온 및 음이온은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생성할 수 있다(S810). The ion generator 140 may generate plasma discharge through a high voltage applied to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141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42 therein, and positive and negative ions may be generated due to the plasma discharge. The generated cations and anions may react with each other to generate free radicals (S810).

이온 생성부(140)는 생성된 자유 라디칼을 의류가 거치된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다(S820). 의류에 제공된 자유 라디칼은 이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 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효과적으로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할 수 있다.The ion generating unit 140 may provide the generated free radicals to the direction where the clothes are placed (S820). Free radicals provided to clothing can effectively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eg, fine dust, germs, bacteria, viruses, etc.).

회전부(150)는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으로 왕복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S830). 의류 상의 이물질은 왕복 회전 운동으로 인해, 제1 영역(R1)으로 집진될 수 있다(S840). The rotation unit 150 may perform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S830).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may be collected in the first region R1 due to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S840).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동작 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progra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관리가 필요한 의류의 종류(예를 들어, 외투, 니트, 셔츠 등)를 입력할 수 있다(S900). 사용자는 의류 관리 장치(10)의 조작부(미도시)를 통해 의류의 종류를 입력하거나, 후술할 외부 기기(도 10 참고)을 통해 의류의 종류를 입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the user may input the type of clothing (eg, coat, knit, shirt, etc.) that requires management (S900). The user may input the type of clothing through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of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or input the type of clothing through an external device (refer to FIG. 10 ) to be described later.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동작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0)는 제어부(200)가 결정한 조건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10).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 condition for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based on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perform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200 (S91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장치(10)의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가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는 종류인 경우,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 time for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based on the type of clothes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is a type 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easily attached, the controller 200 may set a relatively long time for the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공기 흡입부(130)의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거나, 이온 생성부(140)의 이온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가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는 종류인 경우, 제어부(200)는 이온 생성량을 늘려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ler 200 may adjust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air intake unit 130 or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or 140 based on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if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is a type 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easily adhered, the controller 200 may increase the amount of free radical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ons produced.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의류의 종류가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는 종류인 경우, 제어부(200)는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이물질에 작용하는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00 ma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unit 150 based on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type of clothing input by the user is a type to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easily adhered, the controller 200 may increase the inertia acting on the foreign substances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150 .

도 10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cloth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loth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clothe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의류 관리 시스템(1)은 의류 관리 장치(10) 및 외부 기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lothes management system 1 may include a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nd an external device 20 .

의류 관리 장치(10)는 외부 기기(20)와 통신하는 통신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5G NR(5G New Radio)등의 다양한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20)와 통신할 수 있다.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80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20 .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for example, use WiFi, Bluetooth,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5G NR (5G New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external device 20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s such as radio).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80)와 통신하는 외부 기기(20)는 기상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80)는 기상 서버로부터 외부 온도, 습도, 미세먼지 수치 등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external device 20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a weather serv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receive information such as external temperature, humidity, and fine dust levels from a meteorological server.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180)와 통신하는 외부 기기(20)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캠코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기어 등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된 단말일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external device 20 communicating with the communication unit 180 may be a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a terminal implemented with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laptop computer, a camcorder, a smart watch, and a smart gear.

도 11을 참고하면, 의류 관리 장치(10)는 통신부(180)를 통해 외부 기기(20)로부터 외부 미세먼지 수치를 제공받을 수 있다(S1100). Referring to FIG. 11 ,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receive external fine dust levels from the external device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S1100).

제어부(200)는 제공받은 미세먼지 수치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동작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0)는 제어부(200)가 결정한 조건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110).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 condition for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based on the received level of fine dust.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perform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200 (S111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미세먼지 수치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장치(10)의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수치가 '나쁨'인 경우,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 time for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based on the level of fine dust.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fine dust is 'bad', the controller 200 may set a relatively long time for the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미세먼지 수치에 기초하여, 공기 흡입부(130)의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거나, 이온 생성부(140)의 이온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수치가 '나쁨'인 경우, 제어부(200)는 이온 생성량을 늘려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00 may adjust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air intake unit 130 or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or 140 based on the level of fine dust.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fine dust is 'bad', the controller 200 may increase the amount of free radicals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ons produced.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미세먼지 수치에 기초하여,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 수치가 '나쁨'인 경우, 제어부(200)는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이물질에 작용하는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ler 200 ma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150 based on the level of fine dust.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fine dust is 'bad', the control unit 200 may increase the inertia acting on foreign substances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150.

도 12를 참고하면, 의류 관리 장치(10)는 통신부(180)를 통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을 제공받을 수 있다(S1200). 예를 들어, 외부 기기(20)는 내장된 GPS를 이용하여 GPS가 특정 반경을 벗어난 시간을 총합하여 이를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 기기(20)는 사용자가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총합하여, 이를 외부 활동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10 may receive a user's outdoor activity tim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0 (S1200).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20 may sum up the time when the GPS is out of a specific radius using the built-in GPS and determine it as the user's external activity time. In other words, the external device 20 may sum up the time required for the user to move and determine this as the external activity time.

제어부(200)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동작의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의류 관리 장치(10)는 제어부(200)가 결정한 조건에 따라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210). The control unit 200 may determine a condition for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based on the provided user's outdoor activity time.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perform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200 (S1210).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기초하여, 의류 관리 장치(10)의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이 미리 정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의류 관리 동작의 시간을 상대적으로 길게 설정할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controller 200 may determine a time for a clothes management operation of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based on a user's outdoor activity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200 may set a clothing management operation time to be relatively long.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기초하여, 공기 흡입부(130)의 공기 흡입량을 조절하거나, 이온 생성부(140)의 이온 생성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이 미리 정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이온 생성량을 늘려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00 may adjust the air intake amount of the air intake unit 130 or the ion generation amount of the ion generator 140 based on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200 may increase th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ions produced.

또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기초하여,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이 미리 정한 제1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00)는 회전부(150)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켜 이물질에 작용하는 관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200 may adjus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150 based on the user's external activity time. For example, when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exceeds a first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ler 200 may increase the inertia acting on the foreign material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unit 150 .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는 제1 영역(R1)을 형성하여 이물질의 군집화를 야기하고, 이를 통해 의류에서 탈락된 이물질들이 다시 의류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의류 관리 장치(10)는 의류 커버(170)를 이용하여 공기 중으로 이물질이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영역(R1)의 적어도 일부 상에 집진부(175)를 배치함으로써, 공기 중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the first region R1 to cause clustering of foreign substances, thereby minimizing foreign substances detached from clothes from adhering to the clothes again. Also,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may minimize exposure of foreign substances to the air by using the clothes cover 170 . In addition, by disposing the dust collector 175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region R1,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 be effectively removed.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류 관리 장치(10)는 의류의 종류, 외부 미세먼지 수치 및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따라, 다양한 조건의 의류 관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의류를 관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1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removes foreign substances by performing clothes management opera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clothes, the level of external fine dust, and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can manag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 person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1: 의류 관리 시스템 10: 의류 관리 장치
110: 고정부 120: 바디부
130: 공기 흡입부 140: 이온 생성부
141: 양극판 142: 음극판
150: 회전부 155: 거치부
160: 디스플레이부 170: 의류 커버
175: 집진부 180: 통신부
20: 외부 기기 200: 제어부
1: clothes management system 10: clothes management device
110: fixing part 120: body part
130: air intake unit 140: ion generating unit
141: positive plate 142: negative plate
150: rotating part 155: mounting part
160: display unit 170: clothing cover
175: dust collection unit 180: communication unit
20: external device 200: control unit

Claims (10)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와 결합되어 상기 거치부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합은 10 내지 40도이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합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의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류 커버;
상기 바디부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이온화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이온을 상기 의류가 거치된 방향으로 제공하는 이온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의류 상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의류 커버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최소화하고,
상기 집진부는 집진 필터 및 정전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생성부는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는 내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을 생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으로 인해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이온에 포함된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온 생성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플라즈마 방전을 조절하여 상기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의류 관리 장치.
a holding unit including a space to mount a hanger for holding clothes;
It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is coupled with the holder to rotate the holder in a first direction by a first angle, rotates the holder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by a second angle, and a rotation unit for reciproca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olding unit within the range of the sum of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which is 10 to 40 degre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a clothing cover encl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lothing;
an air intake unit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body unit to suck in external air; and
An ion generato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ionize at least a portion of the inhaled air to generate ions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ions, and providing the generated ion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othes are placed;
Throug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ing are removed,
A first area is formed in which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ing are collected,
The clothing cov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unit dispos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rea,
The dust collecting uni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to minimize the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floating in the air,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ing filter and an electrostatic film,
The ion generator generates a plasma discharge through a voltage applied to an inner positiv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in the body, and the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are generated due to the plasma discharge,
The cation and the an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ion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to form free radicals to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clothing,
The controller adjusts th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plasma discharge by controlling voltages a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ion generating unit,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of the rotation unit to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where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ing are collected.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종류를 입력받고, 상기 입력된 의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부, 상기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이온 생성부를 미리 정한 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의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type of clothing and controls the rotation unit, the air intake unit, and the ion generating unit according to predetermined conditions based on the input type of cloth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가 가능한 의류 관리 장치로서,
상기 의류 관리 장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거치부 사이에 연결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거치부를 제1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고,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의 합은 10 내지 40도이고, 상기 거치부를 상기 합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바디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류 커버;
상기 바디부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이온화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왕복 회전 운동으로 인해 상기 의류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집진 필터 및 정전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이온 생성부는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는 내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을 생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으로 인해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이온에 포함된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상기 의류 상의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온 생성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플라즈마 방전을 조절하여 상기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상기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의류 관리 장치.
As a portable clothing management device,
a fixing unit for fixing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holding unit including a space to mount a hanger for holding clothes;
a body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holding portion and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connected to the holding portion, rotating the holding portion by a first angle in a first direction, rotating the holding portion by a second angle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rotation unit for reciprocat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olding unit within the range of the sum of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a clothing cover installed on the body part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clothing;
an air intake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unit to suck in external air; and
An ion generating unit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to ionize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sucked in from the air intake unit to generate ions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ions;
A dust collecting unit configured to collect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ing due to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inside the clothing cover;
The dust collecting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dust collecting filter and an electrostatic film,
The ion generator generates a plasma discharge through a voltage applied to an inner positiv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in the body, and the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are generated due to the plasma discharge,
The cation and the an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ion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to form free radicals to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ing,
The control unit regulates th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plasma discharge by controlling voltages a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ion generating unit,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of the rotation unit to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a first area in which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are collected.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왕복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의류 상의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이 형성되는 의류 관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6,
A clothes management device in which a first area in which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are collected is formed through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rotating unit.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의류를 10 내지 40도의 범위에서 왕복 회전 운동하여, 상기 의류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의류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의류 커버, 상기 바디부의 측면 상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부로부터 흡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를 이온화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을 포함하는 이온을 생성하는 이온 생성부를 포함하는 의류 관리 장치; 및
상기 의류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제1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고,
상기 의류 커버는 상기 제1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집진하여, 공기 중에 부유하는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을 최소화하고,
상기 이온 생성부는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는 내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통해 플라즈마 방전을 생성하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으로 인해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이온에 포함된 상기 양이온 및 상기 음이온은 공기 중에서 서로 반응하여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여 의류 상의 이물질을 분해, 살균 또는 제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온 생성부의 양극판 및 음극판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상기 플라즈마 방전을 조절하여 상기 자유 라디칼의 생성량을 조절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제1 각도 및 제2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의류 상에서 제거된 이물질이 집진되는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의류 관리 시스템.
A holding part including a space for mounting a hanger for holding clothes, a rotating part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reciprocate and rotate the clothes in the range of 10 to 40 degree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clothes, the rotating par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cover, a clothing cover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lothing, an air intake part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part to suck in external air, and a lower surface disposed on the body part, from the air intake part. a clothing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n ion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ionize at least a portion of inhaled air to generate ions including positive and negative ions; and
Including an external device communicating with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A first area is formed in which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ing are collected,
The controller changes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first region and a location of the first region according to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external device;
The clothing cover includes a dust collection unit dispos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area,
The dust collecting unit collects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to minimize the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floating in the air,
The ion generator generates a plasma discharge through a voltage applied to an inner positiv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disposed in the body, and the positive ions and negative ions are generated due to the plasma discharge,
The cation and the anion included in the generated ion react with each other in the air to form free radicals to decompose, sterilize, or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clothing,
The control unit regulates the amount of free radicals generated by controlling the plasma discharge by controlling voltages applie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of the ion generating unit,
The control unit adjusts first angles and second angles of the rotation unit to change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where foreign substances removed from the clothes are collected.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외부 미세먼지 수치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외부 미세먼지 수치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의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clothes management device receives external fine dust levels from the external device,
A clothing management system that changes at least one of a size of the first area and a location of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he received external fine dust leve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관리 장치는 상기 외부 기기에서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사용자의 외부 활동 시간에 따라 상기 제1 영역의 크기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의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8,
The clothing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user's outdoor activity time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changes at least one of the size and location of the first area according to the provided user's outdoor activity time. .
KR1020210024464A 2021-02-24 2021-02-24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KR102536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64A KR102536399B1 (en) 2021-02-24 2021-02-24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464A KR102536399B1 (en) 2021-02-24 2021-02-24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818A KR20220120818A (en) 2022-08-31
KR102536399B1 true KR102536399B1 (en) 2023-05-26

Family

ID=8306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464A KR102536399B1 (en) 2021-02-24 2021-02-24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9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15Y1 (en) * 2017-10-24 2018-06-22 주식회사 주니픽셀 Portable Dryer For Cloth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3162B1 (en) * 2016-08-29 2023-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refreshing apparatus
KR102468777B1 (en) * 2018-03-14 202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handling apparatus
KR20190104939A (en) * 2019-08-22 2019-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Operating mode determining method and operating mode determ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15Y1 (en) * 2017-10-24 2018-06-22 주식회사 주니픽셀 Portable Dryer For Clot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818A (en) 2022-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969B2 (en) Evaporative humidifi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383437B2 (en) Wearable drug dispenser
EP2431335A1 (en) Electrical discharge unit for liquid treatment, humidity conditioning apparatus, and water heater
KR20170031956A (en) Neck band typee anion generating apparatus
KR102536399B1 (en) clothes care device and clothes care system using the same
CN109078785A (en) A kind of rotation disinfection robot
KR101944803B1 (en) Water Layer Type Air Cleaner
KR102631765B1 (en) Disinfection and human machine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JP2004144410A (en) Humidifier
KR101944801B1 (en) Water layer and plasma type air cleaner hav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EP3290899B1 (en) Adsorption pump
JP6641182B2 (en) Ion wind type liquid vaporizer and air conditioner
JP2013161551A (en) Ion generation cartridge and ion transmission device with the same
JP2017199779A (en) Magnetic terminal effector
JP5772877B2 (en) Air purifier with dehumidifying function
CN111853978A (en) Microclimate all-in-one machine
CN220721535U (en) Regularizing device
JP2014097380A (en) System for administering volatile material
JP2007040570A (en) Air conditioner
CN219797431U (en) Anion air purifier with wireless charging function
CN213666932U (en) Portabl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nstrument
KR20200086971A (en) Humidifying Member And Humidifier Having The Same
CN219913351U (en) A degassing unit for air purification kills
CN210842846U (en) Cleaning device
KR20050102786A (en) Negative ion generating and electron collecting system and a non-filter air cleaner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