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150B1 -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50B1
KR102536150B1 KR1020220131833A KR20220131833A KR102536150B1 KR 102536150 B1 KR102536150 B1 KR 102536150B1 KR 1020220131833 A KR1020220131833 A KR 1020220131833A KR 20220131833 A KR20220131833 A KR 20220131833A KR 102536150 B1 KR102536150 B1 KR 10253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adhesive
exterior member
electrode
adhesi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켐비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켐비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켐비즈
Priority to KR1020220131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3Manufacturing processes of 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466U-shaped, bag-shaped or fold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장 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and the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an inner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is provided.

Description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전자, 통신 및 우주 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에너지 동력원으로서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의 수요가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특히, 글로벌 친환경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기 자동차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 중이며, 국내외에서 이차전지에 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As the electronics, communication and space industries develop, the demand for secondary batteries as an energy power source is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global eco-friendly policies is emphasized, the electric vehicle market is growing rapidly,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on secondary batterie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다양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방전 전압 및 에너지 밀도를 가진 리튬 이차전지는 각종 모바일 기기 및 다양한 전자제품의 에너지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Among various secondary batteri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 high discharge voltage and energy density is widely used as an energy source for various mobile devices and various electronic products.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의 구조를 점착 부재를 이용하여 마감한 후, 캔, 파우치 등에 수납하여 제조될 수 있다.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closing a cell structure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using an adhesive member, and then storing the battery in a can or pouch.

상기 셀의 구조를 마감하는 방법으로서, 분리막의 외면을 테이핑하여 권취 또는 스태킹(staking)된 전극 구조를 고정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As a method of finishing the structure of the cell, a method of fixing the rolled or stacked electrode structure by tap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has been mainly used.

다만, 리튬 이차전지의 장기간 사용 시 전해액에 테이핑이 직접 노출됨으로 인해 테이핑의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발열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100℃ 이상의 고온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고온 조건에서 테이핑의 점착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리튬 이차전지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테이핑 두께에 의해 캔 또는 파우치에 투입될 수 있는 전해액의 함량이 감소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whe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ing is lowered due to the direct exposure of the taping to the electrolyte. In additio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generate a high temperature of 100° C. or more when an exothermic phenomenon occurs,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taping is rapidly reduced under such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stabil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pacit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reduced because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that can be put into the can or pouch is reduce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taping.

특히, 파우치에 수납된 리튬 이차전지를 마감하기 위해 테이핑을 사용하는 경우, 파우치의 외부에 테이핑 형상이 돌출되어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In particular, when taping is used to finis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stored in a pouch, the taping shape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pouch,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in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으며, 분리막의 외면 및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점착부가 형성됨으로써, 점착 특성이 우수하며, 전해액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de assembly that is not exposed to an electrolyte solution, has excellent adhesive properties, and can increase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by forming an adhesive por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장 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한다.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nclosure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n inner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070 N/10mm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y have an adhesive strength of 0.070 N/10 mm or more 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nds of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상기 외장 부재 단부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3) Measure the 180° adhesive force when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내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may include a porous substrate and a heat resistant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 및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som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be the same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셀은 지그재그 스택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s may be formed in a zigzag stack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는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art may include a binder and inorganic part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벤조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s cellulose, polyacrylate, polybenzoat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trichlorethylene, polyacrylonitril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butyl acrylate,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late, cellulose acetate pro Cionate, cyanoethyl pullulan, cyanoethyl polyvinyl alcohol, cyanoethyl cellulose, cyanoethyl sucrose, carboxylmethylcellulose, acrylonitrile styrene butadiene copolymer,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sulfone, po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 sulfone,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황산바륨, 보헤마이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마크네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실리카, 알루미늄질화물, 질화규소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a, barium sulfate, boehmi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and boron nitride.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a) 분리막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교대로 적층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셀 제조 후,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가 상기 셀의 외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단계, 및 (d)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하여 점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viding a separator, (b) manufacturing a cell by alternate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c) the After manufacturing the cell, an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at least once, and (d) forming an adhesive portion by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an end of the exterior member to each other.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 조립체는 하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070 N/10mm 이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assembly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may have an adhesive force of 0.070 N/10 mm or more 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nds of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상기 외장 부재 단부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3) Measure the 180° adhesive force when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의 분리막은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이 접혀진 부분에 상기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이 교대로 삽입되어 적층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in step (b) may be formed in a zigzag folded form, and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re alternately inserted and stacked at the folded portion of the separator. it could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점착부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art of step (d) applies an adhesive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re applied. It may be formed by attaching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include a binder and inorganic part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벤조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is cellulose, polyacrylate, polybenzoat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trichlorethylene, polyacrylonitril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butyl acrylate,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late, cellulose acetate pro Cionate, cyanoethyl pullulan, cyanoethyl polyvinyl alcohol, cyanoethyl cellulose, cyanoethyl sucrose, carboxylmethylcellulose, acrylonitrile styrene butadiene copolymer,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sulfone, pol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er sulfone,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polytetrafluoroethyle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황산바륨, 보헤마이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마크네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실리카, 알루미늄질화물, 질화규소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rganic particles ar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a, barium sulfate, boehmi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and boron nitr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점착부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유기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part in step (d) applies an organic solvent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th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can be attach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메틸에틸케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e, N-methyl-2-pyrrolidone, methyl ethyl ketone, ethanol, ethyl acetate and isopropyl alcohol. .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셀의 구조를 마감하기 위한 점착부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전해액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dhesive part for finishing the structure of the cell is not exposed to the electrolyte solu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 force from being lower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분리막의 외면 및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가 특정 수치범위의 점착력을 충족하여, 고온 조건에서도 점착력 저하를 감소시켜 점착부가 탈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 the adhesive force of a specific numerical range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hereby reducing the adhesive force deterioration even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thereby preventing the adhesive part from being detached. By minimizing it,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셀의 구조를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테이핑이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테이핑 두께만큼 전해액의 함량이 증가될 수 있어 이차전지의 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have a separate taping for finishing the structure of the cell, the content of the electrolyte solution can be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taping, so that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파우치의 외부에 테이핑 형상이 돌출되지 않아,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외관 품질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protrude the taped shape to the outside of the pouch, so that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pouch-type secondary batter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전극 조립체가 젤리롤 형태로 권취되는 경우, 종래 테이핑 보다 넓은 영역에 점착부를 형성할 수 있어, 보관 및 배송이 용이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wound in a jelly roll form, can form an adhesive portion in a wider area than conventional taping, so that storage and delivery are easy and saf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chematically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에 대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들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are mere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ernatively,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applica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electrode assembl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전극 조립체><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는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장 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한다.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el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nclosure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and an adhesive portion form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an inner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제1 전극(1), 제2 전극(2), 및 상기 제1 전극(1)과 상기 제2 전극(2)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3)을 포함하는 셀(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1, a second electrode 2, and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A cell 10 including a separator 3 is included.

상기 제1 전극(1)은 양극일 수 있다.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집전체는 이차 전지 내에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집전체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니켈(Ni), 알루미늄(Al), 타이타늄(Ti), 구리(Cu), 및 이들의 합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film), 시트(sheet), 호일(foil)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 may be an anode. The cathode may include a cathode current collector and a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The positiv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 known conductive material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chemical reac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cath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ny one of stainless steel, nickel (Ni), aluminum (Al), titanium (Ti), copper (Cu), and alloys thereof, and a film (Film), sheet (sheet), foil (foil) can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상기 양극 활물질층은 양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Li) 이온이 삽입 및 탈리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양극 활물질은 리튬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계 산화물, 리튬코발트계 산화물, 리튬니켈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산화물, 리튬니켈코발트알루미늄계 산화물, 리튬인산철계화합물, 리튬인산망간계 화합물, 리튬인산코발트계 화합물, 및 리튬인산바나듐계 화합물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ath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include a cathode active material.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into which lithium (Li) ions can be intercalated and deintercalated.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be lithium metal oxide. For example, the cathode active material may include lithium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cobalt oxide, lithium nickel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cobalt manganese oxide, lithium nickel cobalt aluminum oxide, lithium iron phosphate compound, lithium phosphoric acid It may be one of a manganese-based compound, a lithium cobalt phosphate-based compound, and a lithium vanadium phosphate-based comp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2 전극(2)은 음극일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 상에 형성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이차 전지 내에서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 집전체는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니켈(Ni), 타이타늄(Ti), 구리(Cu), 및 표면 처리된 구리(Cu)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film), 시트(sheet), 호일(foil)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2 may be a cathode. The negative electrode may includ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The an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 known conductive material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a chemical reaction in the secondary battery. For example, the anode current collector may include any one of stainless steel, nickel (Ni), titanium (Ti), copper (Cu), and surface-treated copper (Cu), and the film ( It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 sheet, and foil.

상기 음극 활물질층은 음극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리튬 이온이 삽입 및 탈리될 수 있는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극 활물질은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 등의 탄소계 물질, 리튬 합금, 규소(Si), 및 주석(Sn)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음극 활물질은 천연 흑연 혹은 인조 흑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n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include an anode active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a material into which lithium ions can be intercalated and deintercalated. For example, the anode active material may be any one of carbon-based materials such as crystalline carbon, amorphous carbon, carbon composite, and carbon fiber, lithium alloy, silicon (Si), and tin (Sn). According to embodiment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제1 전극(1) 및 상기 제2 전극(2)은 각각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집전체와 활물질층 간 결합을 매개하여, 기계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인더는 유기계 바인더 또는 수계 바인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계 바인더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ncryla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수계 바인더는 스티렌-부타디엔 러버(SB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도전재는 이차 전지의 전기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금속 계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인 탄소 계열 도전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전재는 흑연, 카본블랙, 그래핀, 및 탄소 나노 튜브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may each include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The binder may improve mechanical stability by mediating a bond between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For example, the binder may be an organic binder or an aqueous binder. For example, the organic binder is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FP),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polyacrylonitrile, and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ncrylate), and the aqueous binder may be styrene-butadiene rubber (SB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nductive material may improve electrical conductivity of a secondary battery. The conductive material may include a metal-based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may include a conventional carbon-based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ductive material may include any one of graphite, carbon black, graphene, and carbon nanotubes, and preferably include carbon nanotubes.

상기 셀(10)은 상기 제1 전극(1)과 상기 제2 전극(2)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3)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3)은 상기 제1 전극(1)과 상기 제2 전극(2) 간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이온의 흐름이 발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cell 10 includes a separator 3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 The separator 3 may be configured to prevent an electrical shor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and to generate a flow of ions.

상기 분리막(3)은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두께는 1 ㎛ 내지 100㎛, 2㎛ 내지 60㎛, 또는 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 크기(직경)은 0.01㎛ 내지 20㎛, 0.05㎛ 내지 5㎛, 또는 0.05㎛ 내지 3㎛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공성 고분자 필름 또는 다공성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필름은 에틸렌(Ethylene) 중합체, 프로필렌(Propylene) 중합체, 에틸렌/부텐(Ethylene/Butene) 공중합체, 에틸렌/헥센(Ethylene/Hexene)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Ethylene/Methacrylate) 공중합체 등과 같이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를 포함한 단일층 혹은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부직포는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세라믹(Ceramic)을 포함한 고내열성 분리막(Ceramic coated separator)일 수 있다.The separator 3 may be a porous substrate. The porous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1 μm to 100 μm, 2 μm to 60 μm, or 5 μm to 30 μm. The pore size (diameter) of the porous substrate may be 0.01 μm to 20 μm, 0.05 μm to 5 μm, or 0.05 μm to 3 μm. The porous substrate may be a porous polymer film or a porous non-woven fabric. The porous polymer film includes an ethylene polymer, a propylene polymer, an ethylene/butene copolymer, an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an ethylene/methacrylate It may be composed of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including a polyolefin polymer such as a copolymer. The porous nonwoven fabric may include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s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highly heat-resistant separator including ceram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상기 분리막(3)은 상기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내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3)은 상기 다공성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슬러리 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된 내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 상에 내열층이 포함됨으로써, 내열성이 우수하며, 고온 치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e separator 3 may include the porous substrate and a heat resistant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The separator 3 may include a heat resistant layer formed by applying a slurry composition to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rous substrate. By including a heat-resistant layer on the porous substrate, heat resistance is excellent and high-temperature dimensional stability may be improved.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루미나(Alumina), 베마이트(Boehmite), 수산화 알루미늄(Aluminum Hydroxide), 산화 티타늄(Titanium Oxide), 티타늄산 바륨(Barium Titanium Oxide),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수산화 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실리카(Silica), 클레이(Clay) 및 글라스 파우더(Glass powd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lurry composition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lumina, boehmi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oxide, barium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and magnesium hydroxide. ), silica, clay, and glass powder.

상기 슬러리 조성물은 상기 무기입자간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스티렌 부티렌 고무,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urry composition may include a binder to improve binding force between the inorganic particles. The bind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yrene butyrene rubber, polyacrylamide, polymethacrylate, polyethylacrylate, polyacrylate, polybutylacrylate, sodium polyacrylate, and polyvinylidene fluoride. can include

상기 셀(10)은 스태킹(Staking)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태킹 방식은 각형 이차 전지 대비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태킹 방식은 장시간 충·방전을 거듭하면 뒤틀림이 발생하여 이차 전지가 부풀어 오르는 와인딩 방식 대비 내구성이 우수하며, 이차 전지의 케이스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The cell 10 may be formed in a stacking method. The stacking method can improve energy density compared to prismatic secondary batteries. In addition, the stacking method has excellent durability compared to the winding method in which distortion occurs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repeated for a long time and the secondary battery swells, and the case space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상기 셀(10)은 지그재그(ZigZag) 스택(Stack) 방식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그재그 스택 방식은 상기 분리막(3)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쌓아 상기 셀(10)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상기 제1 전극(1) 및 상기 제2 전극(2)을 균일하게 적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 전극(1) 및 상기 제2 전극(2)의 접촉 가능성을 차단하여 화재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The cell 10 may be formed in a zigzag stack method. The zigzag stacking method minimizes stress of the cell 10 by stacking the separator 3 in a zigzag manner, and can uniformly stack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possibility of fire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셀(10)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장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 부재(20)는 상기 분리막(3)과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외장 부재(20)가 상기 셀(10)의 외면을 각각 1회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외장 부재(20)는 상기 셀(10)의 외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쌀 수 있다. 상기 외장 부재(20)에 의해 상기 셀(10) 사이에 적층된 상기 제1 전극(1), 상기 제2 전극(2) 및 상기 분리막(3)을 고정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from the separator 3 and includes an exterior member 20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10 . The exterior member 20 may mean the same as the separation membrane 3 . In FIG. 1 , the exterior member 20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3 is illustrated as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10 once, respectiv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exterior member 20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10 at least once. The first electrode 1, the second electrode 2, and the separator 3 stacked between the cells 10 may be fixed by the exterior member 20.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30)를 포함한다.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portion 30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상기 점착부(30)에 의해 상기 셀(10)의 외면을 감싸는 상기 외장 부재(20)의 권취가 끝나는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의 외면(3-1)은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부재(20)의 단부는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외장 부재(20)의 끝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은 상기 외장 부재(20) 끝단에서 상기 분리막의 외면(3-1)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An end portion where winding of the exterior member 2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10 is finished may be fixed by the adhesive portion 30 .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may mea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20 may refer to an end of the exterior member 20 extending from the separation membrane 3 .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may mea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or at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20.

도 1에서는 상기 점착부(30)가 상기 셀(10)의 상부 및 하부에 모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1 shows that the adhesive part 30 is formed on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cell 10, and FIG. 2 schematically shows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점착부(30)가 상기 셀(10)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다만, 상기 점착부(30)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셀(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만 형성되거나, 상기 셀(10)의 양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 it is illustrated that the adhesive portion 3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ell 10 . However, the adhesive portion 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nly on the top or bottom of the cell 10 or on both sides of the cell 10 .

종래에는 분리막의 권취가 끝나는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분리막의 외면에 마감 테이프를 부착하였다. 다만, 상기 마감 테이프가 전해액에 직접 노출됨으로써, 상기 마감 테이프의 점착력이 저하되며, 마감 테이프 두께만큼의 전해액 함량이 감소되어 이차 전지의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에 수납되는 경우, 파우치 외부에 마감 테이프 형상이 돌출되어, 이차 전지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fix the winding end of the separator, a finishing tap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However, since the finishing tape is directly exposed to the electrolyte, the adhesiveness of the finishing tape is lowered, and the electrolyte content is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tape, thereby reducing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a pouch, a finishing tape shape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pouch, resulting in deterioration in the external qu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하기 표 1에서는 마감 테이프 두께에 따른 마감 테이프 체적 및 상기 마감 테이프 체적에 따른 전해액 감소량을 나타내었다.Table 1 below shows the volume of the finishing tap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tape and the reduction amount of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finishing tape.

마감 테이프 두께finishing tape thickness 50㎛50㎛ 150㎛150㎛ 300㎛300㎛ 마감 테이프 체적(cc)Finishing tape volume (cc) 0.8800.880 1.6901.690 2.8802.880 전해액 감소량1)(g)Electrolyte reduction 1) (g) 1.0071.007 1.9331.933 3.2953.295 1) 전해액 감소량: 전해액의 밀도는 약 1.144g/cc이다.1) Decreased amount of electrolyte: The density of electrolyte is about 1.144 g/cc.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막의 외면에 마감 테이프가 존재하며, 상기 마감 테이프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전해액의 감소량도 증가하는 바, 이차 전지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able 1, a finishing tape exist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as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tape increases, the amount of electrolyte solution decreases, and thus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decreas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외장 부재(20)의 권취가 끝나는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 사이에 상기 점착부(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점착부(30)가 전해액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점착부(30)가 상기 전해액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마감 테이프 두께만큼의 전해액 함량이 증가되어 이차 전지의 용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감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는 바, 전극 조립체가 파우치에 수납되는 경우, 파우치 외부에 마감 테이프 형상의 돌출에 따른 이차 전지 외봔 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ix the winding end of the exterior member 20, the adhesive portion 30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By being formed, the adhesive portion 30 is not exposed to the electrolyte solu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dhesiveness of the adhesive part 30 from being lowered by the electrolyte, and the capacity of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electrolyte content by the thickness of the finishing tape. In addition, since the finishing tape is not used, when the electrode assembly is accommodated in the pouch,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finishing tape on the outside of the pouch.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하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070 N/10mm 이상일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dhesive force of 0.070 N/10 mm or more 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상기 외장 부재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3) Measure the 180° adhesive strength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상기 점착력은 0.070 N/10mm 이상, 0.071 N/10mm 이상, 또는 0.092 N/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약 30℃ 내지 60℃인 이차 전지의 작동 온도 조건에서 점착부가 탈리되는 형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adhesive force may be 0.070 N/10 mm or more, 0.071 N/10 mm or more, or 0.092 N/10 mm or more.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shape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detached under an operating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of about 30° C. to 60° C.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는 하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고온 점착력 유지율이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igh-temperature adhesiveness retention rat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which satisfies Equation 1 below.

[고온 점착력 유지율 측정 방법][Method for measuring high-temperature adhesive strength retention rate]

1)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점착력은 X이다.1) The adhesive force measured according to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is X.

2)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2)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were cut into 25 mm in width and 25 mm in length to prepare a specimen.

3)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3)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5 minutes.

3) 상기 외장 부재를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은 Y이다.3) The 180° adhesive strength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is Y.

[식 1][Equation 1]

0.80 < Y/X < 1.000.80 < Y/X < 1.00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이차 전지의 고온 조건에서도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 이차 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When Equation 1 is satisfie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portion is not greatly reduced even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상기 점착부(30)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0)는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에 의해 상기 분리막의 외면(3-1)과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 사이에 점착력이 부여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 입자에 의해 상기 점착부(30)의 내열성이 부여될 수 있다. The adhesive portion 30 may be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portion 30 may include a binder and inorganic particles. Adhesive force may be impar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by the binder, and heat resistance of the adhesive portion 30 may be imparted by the inorganic particles. can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벤조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inder is cellulose, polyacrylate, polybenzoat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trichloroethylene, poly Acrylonitril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butyl acrylate,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l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 pullulan, Cyanoethylpolyvinyl 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carboxylmethylcellulose,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poly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fluoroethylene.

상기 무기 입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황산바륨, 보헤마이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마크네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실리카, 알루미늄질화물, 질화규소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a, barium sulfate, boehmi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silica,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and boron nitr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점착부(30) 및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내열층은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0)에 포함된 바인더와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바인더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30)에 포함된 무기 입자와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무기 입자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be the same material.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include the bind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The binder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binder included in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d in the heat resistant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입자의 함량은 20 중량부 미만, 18 중량부 미만, 또는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점착부(30)가 고온 조건에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감소시켜, 상기 점착부(30)가 탈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less than 18 parts by weight, or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By satisfying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a phenomenon in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ortion 30 is lowered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reby minimiz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30 is detached.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a) 분리막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교대로 적층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셀 제조 후,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가 상기 셀의 외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단계, 및 (d)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하여 점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viding a separator, (b) manufacturing a cell by alternate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ith the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c) the After manufacturing the cell, an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at least once, and (d) forming an adhesive portion by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an end of the exterior member to each other. do.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3 schematically shows a manufacturing process of an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a) 분리막(3)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막(3)은 전술한 분리막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리막(3)은 릴 타입으로서, 일정 속도로 권출되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3)은 길이 방향으로 양측에서 일정한 힘의 인장력이 가해져 편평하게 펴진 상태에서 일정한 응력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viding a separator 3 . The separation membrane 3 may be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separation membrane. The separator 3 is a reel type, and may be unwound and supplied at a constant speed. The separator 3 may have a constant stress in a flattened state by applying a constant tensile force from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b) 상기 분리막(3)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1) 및 제2 전극(2)을 교대로 적층하여 셀(10)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는 정해진 전극 수에 충족되도록, 적층 공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셀은 전술한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셀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 manufacturing the cell 10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with the separator 3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e steps. In the step (b), the stacking process may be repeatedly performed to satisfy the predetermined number of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ell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electrode, the second electrode and the cell described above.

상기 (b) 단계에서의 분리막(3)은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막(3)이 접혀진 부분에 상기 제1 전극(1) 및 상기 제2 전극(2)이 교대로 삽입되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의 분리막(3)은 좌, 우 방향으로 번갈아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전극(1) 및 상기 제2 전극(2)은 상기 분리막(3)이 접힐 때마다 좌 또는 우에서 교대로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1 전극(1)이 먼저 적층되며, 제2 전극(2)이 가장 나중에 적층된 셀(10)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전극(2)이 먼저 적층되며, 제1 전극(1)이 가장 나중에 적층될 수 있다.The separator 3 in step (b) may be formed in a zigzag folded shape, and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are alternately inserted into the folded portion of the separator 3. It may be layered. The separator 3 in the step (b) may be formed in a zigzag folded form alternate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first electrode 1 and the second electrode 2 are the separator 3 Each time it is folded, it can be alternately inserted from the left or right side and stacked. 2 shows the cell 10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1 is stacked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2 is stacked las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electrode 2 is stacked first, and the second electrode 2 is stacked first. 1 electrode 1 may be laminated last.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c) 상기 셀(10) 제조 후,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20)가 상기 셀(10)의 외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외장 부재(20)는 전술한 외장 부재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된 각각의 외장 부재(20)가 상기 셀(10)의 각각의 측면을 1회 감싸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분리막(3)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외장 부재(20)가 상기 셀(10)의 양측면을 1회 감싸거나, 상기 셀(10)의 양측면을 2회 이상 감쌀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 after manufacturing the cell 10, the exterior member 20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3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10 at least once. It includes a wrapping step. The exterior member 20 may be the same as the aforementioned exterior member. In FIG. 2 , each exterior member 20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3 is illustrated as covering each side surface of the cell 10 on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one exterior member 20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3 may cover both sides of the cell 10 once or cover both sides of the cell 10 two or more times.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d)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을 서로 부착하여 점착부(3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d) 단계의 점착부(30)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 중 적어도 하나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을 서로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은 전술한 분리막의 외면 및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 forming an adhesive portion 30 by attaching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o each other. includes In the step (d), the adhesive part 30 applies an adhesive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then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1)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may be formed by attaching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may be the sam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상기 분리막(3)은 전술한 내열층이 형성되지 않은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내열층이 형성되지 않는 상기 분리막(3)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The separator 3 may be a porous substrate on which the aforementioned heat-resistant layer is not formed. In the step (d), the adhesive may be applied to impart adhesiveness to the separation membrane 3 on which the heat resistance layer is not formed.

상기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벤조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헥사풀루오로프로필렌,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부틸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콜,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아크리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알루미나, 황산바륨, 보헤마이트,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마크네슘 옥사이드,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실리카, 알루미늄질화물, 질화규소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formed fro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may include a binder and inorganic particles. The binder is cellulose, polyacrylate, polybenzoat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vinylidene fluoride-trichloroethylene, poly Acrylonitrile,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butyl acrylate,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ethylene oxide, cellulose acetate, cellulose acetate butylat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yanoethyl pullulan, Cyanoethylpolyvinyl 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ucrose, carboxylmethylcellulose, 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polyimide, polyamideimide, polysulfone, polyethersulfone,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poly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etrafluoroethylene.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aluminum hydroxide, magnesium hydroxide, calcium oxide, magnesium oxide, alumina, barium sulfate, boehmi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oxide, magnesium oxide, magnesium hydroxide, silica, aluminum nitride, silicon nitride and boron nitride. It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입자의 함량은 20 중량부 미만, 18 중량부 미만, 또는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점착부(30)가 고온 조건에서 점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감소시켜, 상기 점착부(30)가 탈리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less than 18 parts by weight, or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By satisfying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reduce a phenomenon in which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portion 30 is lowered under a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reby minimiz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30 is detached.

상기 (d) 단계의 점착부(30)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 중 적어도 하나에 유기 용매를 도포한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3-1)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20-1)을 서로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p (d), the adhesive portion 30 applies an organic solvent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3-1 of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then the outer surface 3 of the separation membrane -1) and the inner surface 20-1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may be formed by attaching each other.

상기 분리막(3)은 전술한 내열층이 형성된 다공성 기재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내열층이 형성된 상기 분리막(3)에 점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유기 용매를 도포할 수 있다.The separator 3 may be a porous substrate on which the aforementioned heat-resistant layer is formed. In the step (d), the organic solvent may be applied to impart adhesiveness to the separation membrane 3 on which the heat resistance layer is formed.

상기 점착부(30) 및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내열층은 상기 바인더 및 상기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30)에 포함된 바인더와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바인더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30)에 포함된 무기 입자와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무기 입자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be the same material.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include the bind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The binder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binder included in the heat resistance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d in the heat resistant layer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N-메틸-2-피롤리돈, 메틸에틸케톤,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organic sol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ne, N-methyl-2-pyrrolidone, methyl ethyl ketone, ethanol, ethyl acetate and isopropyl alcohol.

상기 (d) 단계는 분리막(3)의 구조에 따라 점착제 또는 유기 용매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점착부(30)를 형성함으로써,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공정을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고, 셀(10)의 구조를 마감하기 위한 별도의 테이핑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the step (d),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can be increased by selectively applying an adhesive or an organic solven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separator 3 to form the adhesive portion 30, and the cell ( 10) has an effect of not requiring a separate taping to finish the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제조 방법은 하기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070 N/10mm 이상일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may be 0.070 N/10 mm or more.

[측정 방법][measurement method]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상기 외장 부재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3) Measure the 180° adhesive strength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상기 점착력은 0.070 N/10mm 이상, 0.071 N/10mm 이상, 또는 0.092 N/10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약 30℃ 내지 60℃인 이차 전지의 작동 온도 조건에서 점착부가 탈리되는 형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adhesive force may be 0.070 N/10 mm or more, 0.071 N/10 mm or more, or 0.092 N/10 mm or more.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a shape in which the adhesive portion is detached under an operating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secondary battery of about 30° C. to 60° C.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100)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고온 점착력 유지율이 상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식 1을 만족하는 경우, 이차 전지의 고온 조건에서도 상기 점착부의 점착력이 크게 저하되지 않아, 이차 전지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meas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high-temperature adhesiveness retention rate may satisfy Equation 1 above. When Equation 1 is satisfie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portion is not greatly reduced even under high-temperature conditions of the secondary battery,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secondary battery.

이하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on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실시예Example

제조예 1Preparation Example 1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1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형분 45%인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are mixed in an acetone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 1: 4, and then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to obtain an adhesive composition. manufactured. Thereafter, 5 parts by weight of alumina, which is an inorganic particle,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n stirred in a stirrer for 1 hour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45%.

제조예 2Preparation Example 2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대신,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5:3.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stead of mixing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in acetone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1:4, styrene butyrene rubber as binder in acetone solvent (SB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5: 3.5, bu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3Preparation Example 3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대신,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실리카(Silica) 8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mixing 8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stead of mixing 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Alumina,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제조예 4Production Example 4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대신, 아세톤 용매에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을 5:1.5:3.5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stead of mixing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in acetone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1:4, styrene butyrene rubber (SBR) in acetone solvent ),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5: 1.5: 3.5, bu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5Preparation Example 5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대신,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실리카(Silica) 1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4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4, except for mixing 1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stead of mixing 5 parts by weight of alumina as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제조예 6 Preparation Example 6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대신,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mixing 2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stead of mixing 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제조예 7 Preparation Example 7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대신,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3:1:6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stead of mixing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in acetone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1:4, styrene butyrene rubber as binder in acetone solvent (SB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we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3:1:6, bu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제조예 8 Preparation Example 8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대신,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실리카(Silica)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for mixing 20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stead of mixing 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particles, Alumina,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제조예 9 Preparation Example 9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5:1:4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대신,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3:1:6의 중량비로 혼합하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하는 대신,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미나(Alumina) 2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Instead of mixing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in acetone solvent in a weight ratio of 5:1:4, styrene butyrene rubber as binder in acetone solvent (SBR), carboxymethyl 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3:1:6, instead of mixing 5 parts by weight of alumina, which is an inorganic particl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prepa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20 parts by weight of alumina, which is an inorganic particle,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제조예 10 Preparation Example 10

제조예 1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2㎛ 두께의 PET 필름 상에 도포한 후 50℃에서 72시간 동안 양생하여 150㎛ 두께의 점착 시트를 제조하였다.After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1 on a PET film having a thickness of 2 μm, it was cured at 50° C. for 72 hours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50 μm.

실시예 1Example 1

양극 활물질인 LiCoO2, 바인더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도전재인 카본 블랙을 92:4:4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N-메틸-2-피롤리돈에 분산시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20㎛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Cathode active material LiCoO 2 , binder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conductive material carbon black are mixed in a weight ratio of 92:4:4, and then dispersed in N-methyl-2-pyrrolidone to prepare a cathode slurry did The positive electrode slurry was coated o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dried, and roll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음극 활물질인 흑연계 활물질, 바인더인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도전재인 카본 블랙을 96:2:2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물에 분산시켜 음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슬러리를 15㎛ 두께의 구리 호일에 코팅한 후 건조, 압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An anode slurry was prepared by mixing a graphite-based active material as an anode active material, styrene-butadiene rubber (SBR) as a binder, and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material in a weight ratio of 96:2:2 and then dispersing in water. The negative electrode slurry was coated on a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15 μm, dried, and roll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상기 제조된 양극을 20㎛ 두께의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였다. 이후, 상기 제조된 음극을 상기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였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를 상기 셀의 외면에 1회 감싼 후,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부착하여 점착부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While placing the prepared anode on a separator made of polyethylene (PE)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the separator was bent by 180°. Thereafter, the separator was bent by 180° while placing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on the separator. A cell was manufactur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ending the separator at 180° while plac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n the separator. Then, after wrapping the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o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re attached to form an electrode assembly with an adhesive portion. was manufactured.

실시예 2Example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2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실시예 3Example 3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3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3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실시예 4Example 4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4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4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삭제delete

실시예 6Example 6

아세톤 용매에 바인더인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6:4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여 고분자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고분자 조성물에 상기 고분자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무기 입자인 알루마나(Alumina) 5 중량부를 혼합한 후 교반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리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20㎛ 두께의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분리막의 양면에 상기 분리막 조성물을 각각 슬롯 코팅하여 분리막을 제조하였다.A polymer composition was prepared by mixing styrene butyrene rubber (SBR)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binders in a weight ratio of 6:4 in an acetone solvent and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reafter, 5 parts by weight of alumina, an inorganic particle, was mix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 composition, and stirred in a stirrer for 1 hour to prepare a separator composition. Thereafter, the separator composition was slot-coated on both sides of a separator made of polyethylene (PE) having a thickness of 20 μm, respectively, to prepare a separator.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양극을 상기 제조된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였다. 이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음극을 상기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였다. 상기 양극 및 음극을 분리막에 배치하면서 상기 분리막을 180°절곡하는 과정을 반복 진행하여 셀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를 상기 셀의 외면에 1회 감싼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에 N-메틸-2-피롤리돈을 도포하고 15분 경과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부착하여 점착부가 형성된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While placing the same anode as in Example 1 on the prepared separator, the separator was bent by 180°. Thereafter, the separator was bent 180° while placing the same negative electrode as in Example 1 on the separator. A cell was manufactured by repeating the process of bending the separator at 180° while placing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on the separator. Then, after wrapping the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on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N-methyl-2-pyrrolidone wa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after 15 minutes, the An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adhesive portion was manufactured by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실시예 7Example 7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에 N-메틸-2-피롤리돈을 도포하는 대신,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에 아세톤을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Example 6 except for applying aceton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instead of applying N-methyl-2-pyrrolidon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6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6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7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7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8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8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대신, 제조예 9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9 was used instea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부착하여 점착부를 형성하는 대신, 제조예 10에서 제조된 점착 시트를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외면에 부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공정에 의해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였다.Instead of forming an adhesive portion by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us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 the adhesive sheet prepared in Production Example 10 was appli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exterior member. An electrode assembly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process as in Example 1 except for attaching to the outer surface.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실험예 1 - 점착력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 Adhesion evaluation

실시예 1 내지 4, 6, 7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의 점착부에 대한 각각의 점착력 및 고온 점착력 유지율을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The adhesive strength and the high-temperature adhesive strength retention rate of the electrode assembl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6, and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s.

- 점착력: 점착부가 형성된 분리막 및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Adhesiveness: When the separation membrane and exterior member with the adhesive part are 25mm in width and length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 이후, 상기 외장 부재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A specimen was prepared by cutting to a length of 25 mm. Thereafter,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ion membrane,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Then, the 180 ° adhesive force when the exterior member was pulled at a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 C. and 60% relative humidity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 고온 점착력 유지율: 상기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한 점착력은 X이다. - High-temperature adhesive force retention: The adhesive force measured according to the above measurement method is X.

상기 점착력 측정 방법과 별개로, 상기 점착력 측정 방법에서 사용된 시편과 동일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후,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이후, 상기 외장 부재를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 Y를 측정하였으며, 상기 X에 대한 Y의 비율을 산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Apart from the adhesive force measurement method, the same specimen as the specimen used in the adhesive force measurement method was manufactured. Thereafter,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5 minutes. Then, the 180 ° adhesive force Y when the exterior member was pulled at a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150 ° C. and 60% relative humidity was measured, and the ratio of Y to X Calculated and shown in Table 1 below.

실험예 2 - 전해액 주입 후 점착부 탈리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 Evaluation of adhesive detachment after electrolyte injection

실시예 1 내지 4, 6, 7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에 각각 수납한 후, 상기 각각의 파우치에 전해액을 주입한 후 밀봉하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이차 전지를 150℃ 및 상대습도 60%인 온열 캐비닛에서 1주일간 보관한 후, 상온에서 24시간 건조하였다. 이후, 각각의 파우치에서 실시예 1 내지 4, 6, 7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전극 조립체를 꺼낸 후, 점착부 전체 면적 대비 점착부에서 탈리된 면적을 산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Afte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6, and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in pouches, respectively, electrolyte solutions were injected into the pouches and then sealed to manufacture secondary batteries. Thereafter, the secondary battery was stored in a heating cabinet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 week, and then dried at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hen, after taking out the electrode assembl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6, and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from each pouch, the area detached from the adhesive portion compared to the total area of the adhesive portion was calculated and shown in Table 2 below. .

점착력adhesiveness 고온 점착력 유지율1) High-temperature adhesion retention rate 1) 점착부 탈리 비율2) Desorption rate of adhesive part 2) 실시예 1Example 1 0.131N/10mm0.131N/10mm 0.850.85 10%10% 실시예 2Example 2 0.133N/10mm0.133N/10mm 0.850.85 11%11% 실시예 3Example 3 0.111N/10mm0.111N/10mm 0.810.81 10%10% 실시예 4Example 4 0.113N/10mm0.113N/10mm 0.860.86 10%10% 실시예 6Example 6 0.077N/10mm0.077N/10mm 0.930.93 9%9% 실시예 7Example 7 0.071N/10mm0.071N/10mm 0.950.95 8%8%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061N/10mm0.061N/10mm 0.650.65 45%45%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068N/10mm0.068N/10mm 0.610.61 50%50%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058N/10mm0.058N/10mm 0.630.63 45%45%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0.032N/10mm0.032N/10mm 0.630.63 45%45%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3) - 3) -4) -4) -5) -5) 1) 고온 점착력 유지율: Y/X
2) 점착부 탈리 비율(%): 점착부에서 탈리된 면적/점착부 전체 면적 × 100
3), 4) -: 측정하지 않음
5) -: 완전 탈리됨
1) High temperature adhesion retention rate: Y/X
2) Desorption rate of adhesive part (%): Area detached from the adhesive part/total area of the adhesive part × 100
3), 4) -: Not measured
5) -: completely eliminated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정 방법으로 측정된 점착력이 0.070 N/10mm 이상을 충족하는 실시예 1 내지 4, 6, 7은 비교예 1 내지 5 대비 고온에서의 점착력 유지율이 우수하여, 점착부가 탈리되는 비율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종래와 같이 분리막의 외면 및 외장 부재 단부의 외면에 점착 시트를 부착한 비교예 5는 점착부가 완전히 탈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고온에서의 점착력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can be seen in Table 2, Examples 1 to 4, 6, and 7 in which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0.070 N / 10 mm or more have an adhesive retention rate at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5 It was excell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e at which the adhesive portion was detached was reduced. In particular, in Comparative Example 5 in which the adhesive sheet wa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rior member end as in the prior art, it was confirmed that the adhesive portion was completely detached, and thus the adhesive force at high temperat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1: 제1 전극
2: 제2 전극
3: 분리막
10: 셀
20: 외장 부재
30: 점착부
100, 200: 전극 조립체
1: first electrode
2: second electrode
3: separator
10: cell
20: Exterior member
30: adhesive part
100, 200: electrode assembly

Claims (7)

제1 전극,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셀;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셀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외장 부재; 및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점착부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이며,
상기 점착부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5:1~1.5:3~3.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고 있고,
무기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입자의 함량은 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이며,
상기 전극 조립체는 하기 측정 방법 1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111 N/10mm 내지 0.133 N/10mm이며, 하기 측정 방법 2로 측정되는 고온 점착력 유지율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측정 방법 1]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
3) 상기 외장 부재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 2]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3) 상기 외장 부재를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
[식 1]
0.81 ≤ Y/X ≤ 0.86
상기 Y는 상기 측정 방법 1로 측정되는 점착력이며, 상기 X는 상기 측정 방법 2로 측정되는 점착력이다.
a cell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and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n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and form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cell; and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n adhesive portion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ontaining a mixture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5: 3 to 3.5,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5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The electrode assembly has an adhesive strength of 0.111 N / 10 mm to 0.133 N / 10 mm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and a high temperature adhesive strength retention rat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2 Satisfies the following formula 1 Electrode assembly:
[Measurement method 1]
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Measure the 180° adhesive strength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method 2]
1) Specimens were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5 minutes.
3) Measure the 180° adhesive force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Equation 1]
0.81 ≤ Y/X ≤ 0.86
The Y is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1, and the X is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2.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내열층을 포함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separator is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a porous substrate and a heat resistanc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 및 상기 내열층에 포함된 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물질인 것인 전극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heat resistance layer are the same material.
(a) 분리막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교대로 적층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셀 제조 후, 상기 분리막으로부터 연장된 외장 부재가 상기 셀의 외면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싸는 단계; 및
(d)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하여 점착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점착부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또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5:1~1.5:3~3.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포함하고 있고,
무기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무기 입자의 함량은 5 중량부 내지 8 중량부이며,
상기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은 하기 측정 방법 1로 측정되는 점착력이 0.111 N/10mm 내지 0.133 N/10mm이며, 하기 측정 방법 2로 측정되는 고온 점착력 유지율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측정 방법 1]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3분간 유지하였다.
3) 상기 외장 부재를 6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
[측정 방법 2]
1) 상기 점착부가 형성된 상기 분리막 및 상기 외장 부재를 가로 길이 25mm 및 세로 길이 25mm로 절단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상기 점착부와 상기 분리막 사이를 박리한 후, 상기 점착부를 스테인리스(SUS304기판)에 고정하여,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15분간 유지하였다.
3) 상기 외장 부재를 150℃ 및 상대습도 60%에서 KS B 5521 규격의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300mm/min의 속도로 당겼을 때의 180°점착력을 측정한다.
[식 1]
0.81 ≤ Y/X ≤ 0.86
상기 Y는 상기 측정 방법 1로 측정되는 점착력이며, 상기 X는 상기 측정 방법 2로 측정되는 점착력이다.
(a) providing a separator;
(b) manufacturing a cell by alternately stacking a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electrode with the separator therebetween;
(c)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ell with an exterior member extending from the separator at least once after manufacturing the cell; and
(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the step of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o each other to form an adhesive portion,
The adhesive portion is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styrene butyrene rubber (SBR); carboxymethylcellulose (CMC);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containing a mixture in a weight ratio of 5: 1 to 1.5: 3 to 3.5,
Including inorganic particles,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5 parts by weight to 8 parts by weight,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 assembly,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measuring method 1 below is 0.111 N/10mm to 0.133 N/10mm, and the high-temperature adhesive strength retention rate measured by measuring method 2 below satisfies Equation 1 below. method:
[Measurement method 1]
1) A specimen was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3 minutes.
3) Measure the 180° adhesive force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60° C. and 60% relative humidity.
[Measurement method 2]
1) A specimen was prepared by cutting the separation membrane and the exterior member having the adhesive portion formed thereon into a horizontal length of 25 mm and a vertical length of 25 mm.
2) After peeling between the adhesive portion and the separator, the adhesive portion was fixed to stainless steel (SUS304 substrate) and maintained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for 15 minutes.
3) Measure the 180° adhesive force when the exterior member is pulled at a speed of 300 mm/min using a KS B 5521 standard tensile tester at 150° C. and 60% relative humidity.
[Equation 1]
0.81 ≤ Y/X ≤ 0.86
The Y is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1, and the X is the adhesive force measured by the measuring method 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점착부는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분리막의 외면 및 상기 외장 부재 단부의 내면을 서로 부착하여 형성된 것인 전극 조립체의 제조 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adhesive part of the step (d) is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to at least o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and then attach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nd of the exterior member to each other. manufacturing method.

삭제delete
KR1020220131833A 2022-10-13 2022-10-13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36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833A KR102536150B1 (en) 2022-10-13 2022-10-13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833A KR102536150B1 (en) 2022-10-13 2022-10-13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150B1 true KR102536150B1 (en) 2023-05-26

Family

ID=8653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833A KR102536150B1 (en) 2022-10-13 2022-10-13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1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92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15769A (en)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with safety improvement and a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8416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ed porous coating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90471A (en) *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A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extension of a separator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9892A (en) * 2013-10-31 2015-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Cell for electrochemical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160015769A (en) * 2014-07-31 2016-0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with safety improvement and a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same
KR20200078416A (en) *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A separator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a multi-layered porous coating lay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90471A (en) * 2019-01-21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A battery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an extension of a separator of an electrode assembly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4950B2 (en)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2020077611A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34642B1 (en) Positive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cell and lithium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US20130059211A1 (en) Cathodic electrode and electrochemical cell for dynamic applications
KR20200078011A (en)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10890525B (en) Posi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240049259A (en) Posi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60100348A (en) Electrical device
KR20200026595A (en)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3703168B1 (en)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79905A (en) Separator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0510980A (en) Strip type electrode used for cylindrical jelly roll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70073281A (en) Secondary battery
JP7313536B2 (en) High-nickel electrode sheet with reduced reactivity with mois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536150B1 (en) Electrod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3528519A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929475B1 (en) Electrode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20170100453A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116391273A (en) Electrode assembly and battery cell including the same
KR20180032763A (en) Electrode Assembly Applied with Partially Binding between Electrode and Separator
EP4224547A1 (en) Negative electrode, method of manufacturing negative electrod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negative electrode
KR102544496B1 (en)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06323B1 (en) All-Solid State Battery with Electrode Hybrid Film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58395B1 (en)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2647364B1 (en) Anode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