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561B1 -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 Google Patents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561B1
KR102535561B1 KR1020150190082A KR20150190082A KR102535561B1 KR 102535561 B1 KR102535561 B1 KR 102535561B1 KR 1020150190082 A KR1020150190082 A KR 1020150190082A KR 20150190082 A KR20150190082 A KR 20150190082A KR 102535561 B1 KR102535561 B1 KR 102535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layer
control layer
adhesive layer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0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9468A (en
Inventor
신현교
김기덕
김덕호
박창균
이정균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50190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561B1/en
Publication of KR2017007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5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보호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색상 조절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후면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ar cell;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 protective plat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a color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external plate; and a backsid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protective plate.

Description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Structure using a solar cell}Structure using a solar cell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태양 전지를 건물의 유리창 또는 차량의 썬루프에 적용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ar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various types of structures in which the solar cell is applied to a window of a building or a sunroof of a vehicle.

태양 전지는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A solar cell is a device that converts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using the properties of a semiconductor.

태양 전지는 P(positive)형 반도체와 N(negative)형 반도체를 접합시킨 PN 접합 구조를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태양 전지에 태양광이 입사되면, 입사된 태양광 에너지에 의해 상기 반도체 내에서 정공(hole)과 전자(electron)가 발생한다. 이때, 상기 PN접합에서 발생한 전기장에 의해서 상기 정공(+)는 P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위가 발생 되고, 그에 따라 전력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A solar cell has a PN junction structure in which a P (positive) type semiconductor and an N (negative) type semiconductor are bonded. When sunlight is incident on the solar cell having this structure, holes and electrons are generated in the semiconductor by the incident sunlight energy. At this time, due to the electric field generated at the PN junction, the holes (+) move toward the P-type semiconductor and the electrons (-) move toward the N-type semiconductor, thereby generating an electric potential, thereby generating electric power.

최근에는 이와 같은 태양 전지를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하는 시도가 있어왔다. 일예로서 건물의 유리창에 태양 전지를 부착하거나 또는 차량의 선루프에 태양 전지를 부착하는 등과 같이 태양 전지가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되고 있다. Recentl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ly such solar cells to various structures. For example, solar cells ar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ttaching solar cells to a window of a building or attaching a solar cell to a sunroof of a vehicl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종래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은, 외부 플레이트(1) 및 상기 외부 플레이트(1)에 부착된 태양 전지(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1 ,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includes an external plate 1 and a solar cell 2 attached to the external plate 1 .

상기 외부 플레이트(1)는 태양광(solar ray)에 노출되는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건물의 유리창 또는 차량의 썬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부 플레이트(1)는 태양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 예로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external plate 1 is provided on a surface exposed to sunlight, and may be formed of a window of a building or a sunroof of a vehicl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 outer plate 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so that sunlight can pass therethrough.

상기 태양 전지(2)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복수 개의 태양 전지(2)가 상기 외부 플레이트(1)에 부착되어 있다. The solar cell 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1 .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solar cells 2 are attached to the outer plate 1 .

이와 같은 종래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2) 사이의 광흡수 파장대가 일정하지 않을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2) 사이에 색상 차이가 발생함으로써 시각적 미감이 저하되고 결국 제품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a structure using such a conventional solar cell, when the light absorption wavelength band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2 is not constant, a color difference occurs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2,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in visual aesthetics. There is a downside to fall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is as follows.

상기 태양 전지(2)는 전력을 생산하는 핵심층으로서 태양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층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광흡수층은 태양광의 특정 파장 범위를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은 주로 단파장 범위의 광을 흡수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장파장 범위의 광은 투과시키기 때문에,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광흡수층을 구비한 태양 전지는 적외선 파장 범위에 해당하는 붉은 계열의 색을 띠게 된다. The solar cell 2 includes a light absorbing layer absorbing sunlight as a core layer for generating power. In this case, the light absorption layer may absorb a specific wavelength range of sunlight. For example, since a light absorption layer made of amorphous silicon mainly absorbs light in a short wavelength range to generate power and transmits light in a long wavelength range, a solar cell having a light absorption layer made of amorphous silicon corresponds to an infrared wavelength range. It will take on a reddish color.

이와 같은 특정 색상을 띠게 되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2)들 사이에 여러 가지 공정상의 원인에 의해서 광흡수 파장대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경우 복수 개의 태양 전지(2) 사이에 미묘한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색상 차이가 있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2)를 상기 외부 플레이트(1)에 부착할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색상의 조화가 깨져서 시각적 미감이 떨어지게 된다. 결국, 시각적 미감을 중요하게 여기는 건물의 유리창 또는 차량의 썬루프의 경우 제품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The light absorption wavelength range may not be constant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2 having a specific color, due to various process causes, in which case subtle color differences may occur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2. can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s 2 having different colors are attached to the external plate 1, the overall color harmony is broken, resulting in a deterioration in visual aesthetics. As a result, in the case of a window of a building or a sunroof of a vehicle for which visual aesthetics are importa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t quality is deteriorated.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색상 차이가 있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다 하여도 시각적 미감 저하를 줄임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using solar cells that can improve product quality by reducing visual aesthetic deteriora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solar cells having different colors are used aims to do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보호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색상 조절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후면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cell;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 protective plat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a color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external plate; and a backsid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protective plate.

상기 색상 조절층은 반투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lor control layer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layer.

상기 색상 조절층은 투명 접착제에 반투명 입자가 분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lor control layer may be formed by dispersing translucent particles in a transparent adhesive.

상기 색상 조절층은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및 상기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사이에 구비된 반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lor control layer may include a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상기 제1 파장 조절층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은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층에서 적외선 광을 반사할 수 있다. The first wavelength regulating layer and the second wavelength regulating layer are made of oxide, and the reflective layer is made of metal, so infrared light can be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상기 색상 조절층과 상기 태양 전지 사이에 전면 접착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A front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olor control layer and the solar cell.

상기 후면 접착층은 광차단물질 또는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ack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material or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상기 후면 접착층과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수분 침투 방지층과 추가 접착층이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추가 접착층은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과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and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back adhesive layer and the protection plate, and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and the protection plate.

상기 태양 전지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차례로 구비된 제1 전극, 반도체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전극이 상기 후면 접착층과 접할 수 있다. The solar cell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sequentially provided on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electrode may contact the back adhesive layer.

본 발명은 또한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보호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반투명 접착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후면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olar cell;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 protective plat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a translucent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outer plate; and a backsid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protective plate.

본 발명은 또한,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색상 조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olar cell;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nd a color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external plate.

본 발명은 전술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 패널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cell panel comprising a structure using the above-described solar cell.

본 발명은 전술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lar cell module including a structure using the above-described solar cell.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태양 전지와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색상 조절층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 사이에 색상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상기 외부 플레이트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 사이에 색상 차이가 인지되지 않아 시각적 미감이 증가되고 제품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lor control layer is provided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the external plate, even if there is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external plate Since no color difference is recognized between the solar cells, visual aesthetics may be increased and product quality may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 조절층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solar cell.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lor control 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hold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s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shown. 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is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In the case where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the case including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on top of', 'on top of', 'at the bottom of', 'next to', etc. Or, unless 'directly' is used,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precedence relationship is described in terms of 'after', 'following', 'next to', 'before', etc. It can also include non-continuous cases unles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also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Each feature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can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may be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은, 외부 플레이트(10), 색상 조절층(20), 전면 접착층(25),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후면 접착층(40), 및 보호 플레이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2,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plate 10, a color control layer 20, a front adhesive layer 25, a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 rear surface It includes an adhesive layer 40 and a protective plate 70 .

상기 외부 플레이트(10), 상기 색상 조절층(20), 및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전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후면 접착층(40), 및 상기 보호 플레이트(70)는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후면 상에 형성된다. 이하, 각각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uter plate 10, the color adjusting layer 20, and the front adhesive layer 25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nd the back adhesive layer 40 and the protective plate ( 7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외부 플레이트(10)는 외부의 태양광(solar ray)에 노출되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The external plate 10 is exposed to external sunlight (solar ray)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sunlight can pass through.

이와 같은 외부 플레이트(1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플레이트(10)는 건물의 유리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차량의 썬루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Such external plate 10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or example, the outer plate 10 may be formed of a window of a building or a sunroof of a vehicle.

상기 색상 조절층(20)은 태양광에 노출되지 않는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의 안쪽 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색상 조절층(20)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의 표면 중에서 태양광이 노출되는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color control layer 20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plate 10 that is not exposed to sunlight. That is, the color control layer 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external plate 10 to which sunlight is exposed.

상기 색상 조절층(20)은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색상 차이가 있다고 하여도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색상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The color control layer 20 serves to reduce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external plate 10 even if there is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do

상기 색상 조절층(20)은 반투명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의 색상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광의 투과율을 줄이는 것이 유리하지만 광의 투과율을 줄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효율 저하는 최소화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의 색상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전방에 반투명층으로 이루어진 색상 조절층(2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반투명이라 함은 광을 100% 투과하는 투명과 광을 100% 차단하는 불투명 사이를 의미한다. The color control layer 20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layer. In order to reduce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light transmittance, but reducing the light transmittance reduces the efficiency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while minimizing the reduction in efficiency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the front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 color control layer 20 made of a translucent layer may be form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ranslucent means between transparent for transmitting 100% of light and opaque for blocking 100% of light.

상기 반투명층으로 이루어진 색상 조절층(20)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과 같은 투명 접착제에 반투명 입자를 분산시켜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반투명 입자의 투과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상기 반투명 입자의 분산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색상 조절층(20)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접착제에 반투명 입자를 분산시킨 색상 조절층(20)은 부착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상의 물질을 경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color control layer 20 made of the translucent layer can be obtained by dispersing translucent particles in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polyvinyl butyral, and can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lucent particles or the degree of dispersion of the translucent particles. By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the color control layer 20 can be adjusted. The color control layer 20 in which translucent particles are dispersed in such a transparent adhesi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fil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ured liquid material.

한편, 상기 색상 조절층(20)은 도 3과 같이, 제1 파장 조절층(21), 반사층(22), 및 제2 파장 조절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 the color control layer 20 may include a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 a reflective layer 22 , and a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은 상기 전면 접착층(25)에 가깝게 위치한다.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is positioned close to the outer plate 10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is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adhesive layer 25 .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은 산화물(Oxide)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은 TIO2, SiO2, Si3N4, ZnO, Al2O3, 및 W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은 동일한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이한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re made of oxide. For example,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IO 2 , SiO 2 , Si 3 N 4 , ZnO, Al 2 O 3 , and WO 3 It may be made of any one oxide.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may be made of the same oxide or different oxides.

상기 반사층(22)은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서 금속(Meta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사층(22)은 Ag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reflective layer 2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nd is made of metal. The reflective layer 22 may be made of Ag.

이와 같이, 상기 색상 조절층(20)이 산화물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 및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층(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 상기 외부 플레이트(10)를 투과하여 상기 색상 조절층(20)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 저하되어 상기 색상 조절층(20)이 반투명층으로 기능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olor control layer 20 includes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made of oxide, and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When the reflective layer 22 made of metal is included between the layers 23,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external plate 10 and incident to the color control layer 20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lor control layer 20. It can function as this translucent layer.

특히, 상기 반사층(22)은 입사되는 적외선 광을 표면 플라즈마 공명(Surface Plasma Resonance) 효과를 통해 반사할 수 있어 외부의 적외선이 실내로 입사하지 못하고 반사되기 때문에 여름철에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지 않고 또한 온도 상승에 따라 태양 전지(30)의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reflective layer 22 can reflect incident infrared light through a surface plasma resonance effect,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does not rise in summer because external infrared rays do not enter the room and are refle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decrease in output of the solar cell 30 as the temperature rises.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은 그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반사되는 광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의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경우,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의 전방에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유색의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can control the wavelength of the reflected light when their thicknesses are properly adjusted. Therefore, whe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re appropriately adjusted,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ears color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outer plate 10. can

상기 제1 파장 조절층(21)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23)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단파장의 광투과도가 증가되어 본 발명에 따른 구조물이 푸른색 계열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22)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광의 반사율이 향상되어 광투과도가 떨어질 수 있다. When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re increased, short-wavelength light transmit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to blue color.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reflective layer 22 is increased, the reflectance of light is improved and light transmittance may be reduced.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상기 색상 조절층(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상기 색상 조절층(20)의 표면 중에서 상기 외부 플레이트(10)와 접하는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상기 색상 조절층(20)과 상기 태양 전지(30) 사이에 위치한다.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formed on the color control layer 20 .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color adjusting layer 20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plate 10 . Accordingly,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positioned between the color control layer 20 and the solar cell 30 .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과 같은 투명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접착층(25)은 부착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액상의 물질을 경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front adhesive layer 25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polyvinyl butyral. The front adhesive layer 2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film,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ured liquid material.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는 상기 전면 접착층(25)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는 상기 전면 접착층(25)의 표면 중에서 상기 색상 조절층(20)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는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re formed on the front adhesive layer 25 .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ront adhesive layer 25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lor control layer 20 .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태양 전지(30)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박막형 태양전지 또는 웨이퍼형 태양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olar cell 30 may be formed of various thin-film solar cells or wafer-type solar cells known in the art.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유리 등과 같은 기판 상에 박막의 형태로 반도체를 형성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고, 상기 웨이퍼형 태양전지는 실리콘 웨이퍼 자체를 기판으로 이용하여 태양전지를 제조한 것이다. 상기 웨이퍼형 태양전지는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우수하기는 하지만, 공정상 두께를 최소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또한, 웨이퍼가 불투명하기 때문에 채광이 요구될 수 있는 구조물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e thin-film solar cell is a solar cell manufactured by forming a semiconduct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on a substrate such as glass, and the wafer-type solar cell is manufactured using a silicon wafer itself as a substrate. Although the wafer-type solar cell has slightly better efficiency than the thin-film solar cell, there is a limit to minimizing the thickness in the process, and also, since the wafer is opaque, there is a limit to application to structures that may require light. .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는 웨이퍼형 태양전지에 비하여 효율이 다소 떨어지기는 하지만,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투명한 유리 기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채광이 요구될 수 있는 구조물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박막형 태양전지의 경우 광흡수층으로서 비정질 실리콘 또는 결정질 실리콘 등과 같이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광흡수층이 이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thin-film solar cell has slightly lower efficiency than the wafer-type solar cell, it can be manufactured with a thin thickness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pplication to structures that may require lighting because it can use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hin film solar cell, various light absorbing layers known in the art, such as amorphous silicon or crystalline silicon, may be used as the light absorbing layer.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상기 태양 전지(3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상기 태양 전지(30)의 표면 중에서 상기 전면 접착층(25)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상기 태양 전지(30)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70) 사이에 위치한다. The back adhesive layer 40 is formed on the solar cell 30 . The rear adhesive layer 4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olar cell 30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ront adhesive layer 25 . Therefore, the back adhesive layer 40 is positioned between the solar cell 30 and the protective plate 70 .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상기 보호 플레이트(70)의 후방에서 볼 때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색상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태양광은 상기 외부 플레이트(10)를 통해 입사된 후 상기 색상 조절층(20), 상기 전면 접착층(25), 및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광흡수율 차이가 생긴 경우 상기 보호 플레이트(70)의 후방에서 시각적 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The rear adhesive layer 40 may serve to reduce a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when viewed from the rear of the protective plate 70 . After sunlight is incident through the external plate 10, it passes through the color control layer 20, the front adhesive layer 25, and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When a difference in light absorptance occurs between (30), visual aesthetics may be deteriorated at the rear of the protection plate (70).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의 후방에 형성되는 상기 후면 접착층(40)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의 색상 차이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광을 차단하는 광차단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후면 접착층(40)이 광차단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보호 플레이트(70)의 후방에서 블랙 색상으로 보이게 되고, 상기 후면 접착층(40)이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할 경우에는 상기 보호 플레이트(70)의 후방에서 원하는 색상으로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폴리비닐부티랄과 같은 투명 접착제에 블랙 안료와 같은 광차단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폴리비닐부티랄과 같은 투명 접착제에 유색 안료와 같은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differe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can be reduced by using the back adhesive layer 40 formed at the rear of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 To this end, the back adhesive layer 40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material that blocks light or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that changes the wavelength of light. When the back adhesive layer 40 includes a light-blocking material, it appears black from the rear of the protective plate 70, and when the back adhesive layer 40 includes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the protective plate 70 ) can be seen in the desired color from the rear. For example, the back adhesive layer 40 may include a light blocking material such as a black pigment in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polyvinyl butyral, or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such as a colored pigment in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polyvinyl butyral. You may.

상기 후면 접착층(40)은 부착가능한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액상의 물질을 경화시킨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back adhesive layer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attachable film or in the form of a cured liquid material.

상기 보호 플레이트(70)는 상기 후면 접착층(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 플레이트(70)는 상기 후면 접착층(40)의 표면 중에서 상기 태양전지(30)와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protective plate 70 is formed on the back adhesive layer 40 . More specifically, the protective plate 7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f the back adhesive layer 40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ar cell 30 .

상기 보호 플레이트(70)는 상기 박막형 태양 전지(30)의 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otective plate 70 serves to protect the rear of the thin-film solar cell 30, and may be made of glass or plastic,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전면 접착층(25)이 형성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내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FIG. 2 except that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not formed.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different contents will be described below.

전술한 도 2에 따르면, 색상 조절층(20)과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전면 접착층(25)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도 3에 따르면 색상 조절층(20)과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 사이에 전면 접착층(25)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3에 따른 구조의 경우는 복수 개의 태양 전지(30)가 색상 조절층(20)에 접착되어 있다. According to FIG. 2 described above,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formed between the color adjusting layer 20 and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30, whereas according to FIG. 3, the color adjusting layer 20 and the plurality of solar cells The front adhesive layer 25 is not formed between (30).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3 , a plurality of solar cells 30 are bonded to the color control layer 20 .

즉, 도 3에 따른 구조의 경우 상기 색상 조절층(20)이 접착층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도 3에 따른 색상 조절층(20)은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과 같은 투명 접착제에 반투명 입자를 분산시켜 얻을 수 있은 반투명층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색상 조절층(20)이 도 3과 같이 제1 파장 조절층(21), 반사층(22), 및 제2 파장 조절층(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전면 접착층(25)이 필요하지만, 상기 색상 조절층(20)인 투명 접착제에 반투명 입자를 분산시킨 얻은 경우에는 별도의 전면 접착층(25)이 생략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3, the color control layer 20 also functions as an adhesive layer. To this end, the color control layer 20 according to FIG. 3 is preferably composed of a translucent layer obtained by dispersing translucent particles in a transparent adhesive such as polyvinyl butyral. That is, when the color control layer 20 includes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21, the reflective layer 22,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23 as shown in FIG. 3, the front adhesive layer 25 Although necessary, if the color control layer 20 is obtained by dispersing translucent particles in the transparent adhesive, a separate front adhesive layer 25 may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수분 침투 방지층(50)과 추가 접착층(60)을 추가로 포함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the same aspect as in FIG. 2 except that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and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are additionally included. I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using the battery.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different configura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후면 접착층(40)과 보호 플레이트(70) 사이에 수분 침투 방지층(50)과 추가 접착층(60)이 형성되어 있다. As can be seen in FIG. 5 ,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and an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are formed between the back adhesive layer 40 and the protective plate 70 .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은 상기 후면 접착층(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은 상기 후면 접착층(40)의 표면 중에서 상기 태양 전지(30)와 접하는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은 상기 태양 전지(30)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태양 전지(30)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수분 침투 방지층(50)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수분 침투 방지 재료, 예로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is formed on the back adhesive layer 40 . Specifically,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ck adhesive layer 40 opposite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olar cell 30 .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prevents the solar cell 30 from deteriorating by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solar cell 30 . Such a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may be made of various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materials known in the art, such as glass.

상기 추가 접착층(60)은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가 접착층(60)은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의 표면 중에서 상기 후면 접착층(40)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추가 접착층(60)은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과 상기 보호 플레이트(7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보호 플레이트(70)를 상기 수분 침투 방지층(50)에 접착시킨다. 상기 추가 접착층(60)은 투명한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색의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is formed on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 Specifically,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water permeation prevention layer 50 in contact with the rear adhesive layer 40 . Therefore,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is positioned between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and the protection plate 70 to adhere the protection plate 70 to th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 The additional adhesive layer 6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adhesiv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colored adhesive.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태양 전지(30)가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 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태양 전지(3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solar cell 30 is composed of a thin-film solar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onnected in series. It is the same as the structure us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FIG.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only the solar cell 3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태양 전지(30)는 기판(31), 제1 전극(32), 반도체층(33), 및 제2 전극(34)을 포함한 박막형 태양 전지로 이루어진다. As can be seen in FIG. 6 , the solar cell 30 is composed of a thin-film solar cell including a substrate 31 , a first electrode 32 , a semiconductor layer 33 , and a second electrode 34 .

상기 기판(31)은 상기 후면 접착층(4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31)은 상기 후면 접착층(40)의 표면 중에서 상기 보호 플레이트(70)와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판(31)은 투명한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ubstrate 31 is formed on the back adhesive layer 40 .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31 i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rface of the back adhesive layer 40 to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tection plate 70 . Such a substrate 31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상기 제1 전극(32)은 상기 기판(31)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전극(32)은 상기 기판(31)의 표면 중에서 상기 후면 접착층(40)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first electrode 32 is formed on the substrate 31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32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31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back adhesive layer 40 .

상기 제1 전극(32)은 ZnO, ZnO:B, ZnO:Al, SnO2, SnO2:F 또는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전극(32)은 단위셀 별로 형성되며,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전극(32)들이 제1 분리부(P1)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The first electrode 3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ch as ZnO, ZnO:B, ZnO:Al, SnO 2 , SnO 2 :F, or indium tin oxide (ITO). Such first electrodes 32 are formed for each unit cell, and thu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first separator P1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반도체층(33)은 상기 제1 전극(32)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층(33)은 상기 제1 전극(32)의 표면 중에서 상기 기판(31)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33)은 상기 제1 분리부(P1) 내에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반도체층(33)은 상기 제1 분리부(P1)를 통해서 상기 기판(31)과 접하고 있다.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32 . More specifically,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irst electrode 32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31 .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also formed in the first separator P1. Accordingly,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in contact with the substrate 31 through the first separator P1.

상기 반도체층(33)은 단위셀 별로 형성되며, 따라서 복수 개의 반도체층(33)들이 제2 분리부(P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반도체층(33)에는 콘택부(P2)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콘택부(P2)를 통해서 제1 전극(32)과 제2 전극(3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여 단위셀들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formed for each unit cell, and thus the plurality of semiconductor layers 3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econd separator P3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each semiconductor layer 33 is provided with a contact portion P2, so tha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2 and the second electrode 34 is possible through the contact portion P2, so that unit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can be connected with

이와 같은 반도체층(33)은 P형 반도체층, I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 PIN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반도체층(33)이 PIN구조로 형성되면, I형 반도체층이 P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에 의해 공핍(depletion)이 되어 내부에 전기장이 발생하게 되고, 태양광에 의해 생성되는 정공 및 전자가 상기 전기장에 의해 드리프트(drift)되어, 정공은 P형 반도체층을 통해 제1전극(32)으로 수집되고 전자는 N형 반도체층을 통해 제2 전극(34)으로 수집될 수 있다.Such a semiconductor layer 33 may be formed of a PIN structure includ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 I-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In this way, when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formed in a PIN structure, the I-type semiconductor layer is depleted by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electric field is generated therein, which is generated by sunlight. Holes and electrons may be drifted by the electric field, and holes may be coll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2 through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electrons may be coll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34 through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there is.

이때, 상기 P형 반도체층은 상기 제2 전극(34)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N형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전극(32)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I형 반도체층은 상기 P형 반도체층과 상기 N형 반도체층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P형 반도체층은 태양광의 입사면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N형 반도체층은 태양광의 입사면에서 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공의 드리프트 이동도(drift mobility)가 전자의 드리프트 이동도에 의해 낮기 때문에 입사광에 의한 수집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P형 반도체층을 태양광의 입사면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is located close to the second electrode 34,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electrode 32, and the I-type semiconductor layer is located close to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type semiconductor layers. That is,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cident surface of sunlight,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incident surface of sunlight. In general, since the drift mobility of holes is low due to the drift mobility of electrons,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is formed close to the incident surface of sunlight to maximize the collection efficiency by incident light.

상기 P형 반도체층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 실리콘에 P형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I형 반도체층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N형 반도체층은 비정질 또는 결정질 실리콘에 N형 도펀트가 도핑되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amorphous or crystalline silicon doped with a P-type dopant, the I-type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amorphous or crystalline silicon,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may include amorphous or crystalline silicon with an N-type dopant. It may be formed by doping,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제2 전극(34)은 상기 반도체층(3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전극(34)은 상기 반도체층(33)의 표면 중에서 상기 제1 전극(32)과 접하는 표면의 반대 면에 형성되어 있다. The second electrode 34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33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electrode 34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layer 33 opposite to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32 .

상기 제2 전극(34)은 ZnO, ZnO:B, ZnO:Al, SnO2, SnO2:F 또는 ITO(Indium Tin Oxide) 등과 같은 투명한 도전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Ag, Al, Ag+Mo, Ag+Ni, Ag+Cu 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34)은 단위셀 별로 형성되며, 따라서 복수 개의 제2 전극(34)들이 제2 분리부(P3)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제2 전극(34)은 상기 콘택부(P2)를 통해서 각각의 제1 전극(32)과 연결되어 있다. The second electrode 3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such as ZnO, ZnO:B, ZnO:Al, SnO 2 , SnO 2 :F or ITO (Indium Tin Oxide), Ag, Al, Ag+Mo, It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Ag+Ni or Ag+Cu. The second electrodes 34 are formed for each unit cell, and thus the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3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econd separator P3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each second electrode 34 is connected to each first electrode 32 through the contact portion P2.

도 6에 따른 구조의 경우는 반도체층(33)의 후방에 위치한 상기 기판(31)이 수분 침투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전술한 도 5와 같은 별도의 수분 침투 방지층(50)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6, the substrate 31 located behind the semiconductor layer 33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eventing moisture penetration, so that a separat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50 as shown in FIG. 5 is not required. ca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직렬로 연결된 복수 개의 단위셀을 포함하는 박막형 태양 전지로 이루어진 태양 전지(30)의 구조가 전술한 도 6에 따른 태양 전지(30)의 구조와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a solar cell 30 composed of a thin-film solar cell includ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connected in series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the solar cell 30 according to 6. Therefore, only the different structures will be described below.

전술한 도 6에 따르면, 기판(31)이 후면 접착층(40)과 접하고 있고 상기 기판(31)의 상면 상에 제1 전극(32), 반도체층(33), 및 제2 전극(34)이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34)이 투명 전면 접착층(25)과 접하고 있다.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FIG. 6, the substrate 31 is in contact with the back adhesive layer 40, and the first electrode 32, the semiconductor layer 33, and the second electrode 34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1. Formed sequentially, the second electrode 34 is in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front adhesive layer 25 .

그에 반하여, 도 7에 따르면, 기판(31)이 전면 접착층(25)과 접하고 있고 상기 기판(31)의 하면 상에 제1 전극(32), 반도체층(33), 및 제2 전극(34)이 차례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전극(34)이 후면 접착층(40)과 접하고 있다. In contrast, according to FIG. 7, the substrate 31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adhesive layer 25, and the first electrode 32, the semiconductor layer 33, and the second electrode 34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31. This sequence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electrode 34 is in contact with the back adhesive layer 40 .

전술한 도 6에 따른 구조와 달리 도 7에 따른 구조의 경우는 반도체층(33)의 후방에 기판(31)이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 5와 같은 별도의 수분 침투 방지층(5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nlike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6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7, since the substrate 31 is not located behind the semiconductor layer 33, a separate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as shown in FIG. 5 although not shown ( 50) is preferred.

한편, 도 7에 따른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33)은 P형 반도체층, I형 반도체층, 및 N형 반도체층을 포함한 PIN구조로 이루어지는데, P형 반도체층은 상기 제2 전극(34)에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N형 반도체층은 상기 제1 전극(32)에 가깝게 위치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층은 태양광의 입사면에서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고, N형 반도체층은 태양광의 입사면에서 먼 위치에 형성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7, the semiconductor layer 33 is made of a PIN structure including a P-type semiconductor layer, an I-type semiconductor layer, and an N-type semiconductor layer,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is the second electrode ( 34),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is located close to the first electrode 32. As described above, this is to form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at a position close to the incident surface of sunlight, and the N-type semiconductor layer to be formed at a position far from the incident surface of sunlight.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 패널 및 태양 전지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태양 전지 패널과 태양 전지 모듈은 각각 패널과 모듈을 구성하기 위한 당업계에 공지된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olar cell panel and a solar cell module including a structure using the solar cell described above. The solar cell panel and the solar cell module may include a general structure known in the art for configuring the panel and module, respectivel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부 플레이트 20: 색상 조절층
25: 전면 접착층 30: 태양 전지
31: 기판 32: 제1 전극
33: 반도체층 34: 제2 전극
40: 후면 접착층 50: 수분 침투 방지층
60: 추가 접착층 70: 보호 플레이트
10: outer plate 20: color control layer
25: front adhesive layer 30: solar cell
31: substrate 32: first electrode
33: semiconductor layer 34: second electrode
40: back adhesive layer 50: moisture penetration prevention layer
60: additional adhesive layer 70: protective plate

Claims (13)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의 후면 상에 위치하는 보호 플레이트;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색상 조절층;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보호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후면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색상 조절층은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및 상기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사이에 구비된 반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
solar cells;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 protective plat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olar cell;
a color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outer plate; and
It comprises a back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protective plate,
The color control layer is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comprising a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장 조절층과 상기 제2 파장 조절층은 산화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층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층에서 적외선 광을 반사하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wherein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are made of oxide, and the reflective layer is made of metal to reflect infrared light from the reflective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절층과 상기 태양 전지 사이에 전면 접착층이 추가로 구비되어 있는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wherein a front adhesive layer is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color control layer and the solar ce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접착층은 광차단물질 또는 파장변환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
According to claim 1,
The back adhesive layer is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made of a light blocking material or a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
삭제delete 태양 전지;
상기 태양 전지의 전면 상에 위치하여 태양광에 노출되는 외부 플레이트; 및
상기 태양 전지와 상기 외부 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 색상 조절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색상 조절층은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및 상기 제1 파장 조절층과 제2 파장 조절층 사이에 구비된 반사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
solar cells;
an outer plate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olar cell and exposed to sunlight; and
It comprises a color control layer provided between the solar cell and the external plate,
The color control layer is a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comprising a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a reflect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wavelength control layer and the second wavelength control layer.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 패널. A solar cell panel comprising a structure us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to 7 and 9.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태양 전지를 이용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태양 전지 모듈. A solar cell module comprising a structure using the solar cel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to 7 and 9.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90082A 2015-12-30 2015-12-30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KR1025355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82A KR102535561B1 (en) 2015-12-30 2015-12-30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82A KR102535561B1 (en) 2015-12-30 2015-12-30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68A KR20170079468A (en) 2017-07-10
KR102535561B1 true KR102535561B1 (en) 2023-05-23

Family

ID=5935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082A KR102535561B1 (en) 2015-12-30 2015-12-30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5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827B1 (en) * 2017-11-24 2018-07-06 (주) 비제이파워 The multi layered glass type photovoltaic module having generator function and enhanced esthetics
KR101872004B1 (en) * 2018-04-04 2018-06-28 (주) 비제이파워 The photovoltaic module having enhanced esthetics and power generation amount by forming pattern
KR101901976B1 (en) * 2018-04-19 2018-09-28 (주) 비제이파워 The photovoltaic module having enhanced esthetics by using pattern layer
KR102123857B1 (en) * 2018-07-19 2020-06-17 주식회사 이건창호 Concealable solar cell module
KR102043919B1 (en) * 2019-05-24 2019-11-12 이기우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s module
KR102289657B1 (en) * 2019-12-20 2021-08-12 주식회사 포스코 Protective glass for solar cell panel
KR102440318B1 (en) * 2020-07-24 2022-09-06 주식회사 에쓰와트 Media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module
KR102266581B1 (en) * 2020-08-31 2021-06-18 주식회사 코에스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20224B1 (en) * 2021-04-30 2024-01-03 이세현 Building integrated photo voltaic module using low temperature low pressure curing proces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3298A (en) * 1999-08-09 2001-02-23 Bridgestone Corp Solar cell color toning adhesive film and the solar cell
JP2012142346A (en) 2010-12-28 2012-07-26 Hitachi Ltd Wavelength conversion type sealing material sheet and solar battery module
JP2014072323A (en) 2012-09-28 2014-04-21 Mitsui Chemicals Inc Solar cell module
JP2015185712A (en) * 2014-03-25 2015-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olar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206B1 (en) * 2009-09-21 2011-09-28 주식회사 나노브릭 Color changeable solar cell
KR101449182B1 (en) * 2012-12-21 2014-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Structure Unit of Solar Loop Unified with Glas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3298A (en) * 1999-08-09 2001-02-23 Bridgestone Corp Solar cell color toning adhesive film and the solar cell
JP2012142346A (en) 2010-12-28 2012-07-26 Hitachi Ltd Wavelength conversion type sealing material sheet and solar battery module
JP2014072323A (en) 2012-09-28 2014-04-21 Mitsui Chemicals Inc Solar cell module
JP2015185712A (en) * 2014-03-25 2015-10-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olar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68A (en)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5561B1 (en) Structure using a solar cell
US20090165849A1 (en) Transparent solar cell module
KR102255573B1 (en) Solar module
NL2019318B1 (en) Photovoltaic module
WO2010025291A3 (en) Four terminal multi-junction thin film photovoltaic device and method
US20170018672A1 (en) High power solar cell module
KR101643236B1 (en) Structure using a thin film type solar cell
US20140360576A1 (en) Intrinsically Semitransparent Solar Cell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tted Color Spectrum
KR101327553B1 (en) Solar cell
CN111712929B (en) Solar module with uniform color impression and manufacturing method
WO2010142575A2 (en) Tandem solar cell integrated in a double insulating glass window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applications
JP2002043594A (en) Optical transmission type thin film solar cell module
US20110315216A1 (en) Color 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bipv) module
US20090277500A1 (en) Transparent solar cell module
WO2013089047A1 (en) Solar cell module and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2371050B1 (en) Sorar cell module
KR102472371B1 (en) Structure using a thin film type solar cell with a light shielding means
US20150364626A1 (en) Transparent electrode and solar cell including the same
KR102379143B1 (en) Solar cell, manufacturing method of solar cell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101300783B1 (en) Photovoltaic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102399482B1 (en) Structure including solar cell
KR20150092616A (en) Solar cell module
KR102225487B1 (en) A transparent electrode and a solar cell using the same
KR102398146B1 (en) Color sorar cell module
KR20130115825A (en) Bidirectional color embodiment thin film silicon solar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