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413B1 -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413B1
KR102535413B1 KR1020220127230A KR20220127230A KR102535413B1 KR 102535413 B1 KR102535413 B1 KR 102535413B1 KR 1020220127230 A KR1020220127230 A KR 1020220127230A KR 20220127230 A KR20220127230 A KR 20220127230A KR 102535413 B1 KR102535413 B1 KR 10253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ein
composition
sand
ground strength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2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변용훈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7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1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2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26Protein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1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18Prepolymers; 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제인 및 모래를 준비하는 단계(S1); 물,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인, 모래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용매를 탈수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The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includes preparing zein and sand (S1); Preparing a solvent containing water, ethanol and polyethylene glycol (S2); mixing the zein, sand and solvent (S3); and dehydrating the solvent (S4).

Description

제인을 이용한 지반 강도 보강 방법, 이를 이용한 조성물 및 건축 자재{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인을 이용한 지반 강도 보강 방법, 이를 이용한 조성물 및 건축 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strength reinforcement method using zein, a composition and a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토질은 강도가 낮고, 압축성이 높다. 이러한 특성은 전단 하중재하(shear loading) 시 지지력 손실(loos of bearing capacity), 부등침하(differential settlement) 및 횡방향 변형(lateral movement)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화학적 및 역학적 안정화 기술을 사용해왔다. 화학적 안정화 기술로는, 표면 반응을 통한 토질 개질과 관련된 화학적 바인더(binder)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반공학에서 토질 안정화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바인더는 석회 및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 cement)가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바인더는 제조과정에서 주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대기로 배출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general, unstable soils have low strength and high compressibility. These characteristics have problems of causing loos of bearing capacity, differential settlement and lateral movement during shear loading. To improve this, chemical and mechanical stabilization techniques have been used. As a chemical stabilization technique, a chemical binder associated with soil modification through surface reaction is generally used. Binders widely used for soil stabilization in geotechnical engineering include lime and Portland cement. However, traditional binders have a problem of discharging carbon dioxide, a major greenhouse gas, into the atmospher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환경친화적인 시멘트질 재료, 예를 들어 미생물이나 요소분해 효소를 이용하여 탄산칼슘침전을 유도하는 방법은 기존 바인더와 비교하여 그 지속 가능성 및 효율성 덕분에 잠재적인 토질 안정제로 최근에 도입되었다. 그러나, 박테리아 크기로 인하여 세립토(fine-grained soil)에 상기 재료를 적용할 수 없는 등 한계점이 있다.Environmentally friendly cementitious materials, such as the induction of calcium carbonate precipitation using microorganisms or urease,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as potential soil stabilizers due to their sustainability and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binders.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inability to apply the material to fine-grained soil due to the size of bacteria.

제인은 옥수수 배유의 단백질 부분으로, 옥수수의 약 44~79%를 구성하며, 접착 및 자체 안정화 특성을 가진다. 제인의 소수성은 많은 비극성 아미노 사슬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제인은 뼈 지지체의 조직 상호작용을 증가시키기 위해 조직공학에 사용되어 왔으며, 식품 보존 및 미생물에 민감한 의약품의 벽을 접착하는 데에 사용된 바 있다. 이러한 제인 바이오 폴리머는 입자간 결합, 토질 및 주변 환경에 대한 무독성, 생분해성 및 물과의 낮은 상호작용으로 인해 토질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잠재적인 결합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Zein is the protein part of corn endosperm, which makes up about 44-79% of corn, and has adhesive and self-stabilizing properties. It is known that the hydrophobicity of zein is related to many non-polar amino chains. In addition, zein has been used in tissue engineering to increase the tissue interaction of bone scaffolds and has been used to adhere to the walls of food preservation and microbial sensitive pharmaceuticals. These zein biopolymers are predicted to serve as potential binders to improv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soils due to interparticle bonding, non-toxicity to soils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biodegradability, and low interaction with water.

이에 따라, 미세(fine) 입자를 고결시킬 수 있는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지반 강도 보강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ground strength reinforcement method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capable of solidifying fine particl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반 공학에서 사용된 바 없는 제인을 이용한 지반 강도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 모래에 대한 제인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인의 함량을 조절하고, 제인을 첨가한 시료의 경화 기간을 달리 하였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round strength reinforcement method using zein, which has never been used in geotechnical engineering.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zein on sand, the amount of zein was adjusted and the curing period of the samples added with zein was varied.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인 및 모래를 준비하는 단계(S1);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ing jain and sand (S1);

물,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S2);Preparing a solvent containing water, ethanol and polyethylene glycol (S2);

상기 제인, 모래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S3); 및mixing the zein, sand and solvent (S3); and

상기 용매를 탈수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는,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comprising the step of dehydrating the solvent (S4).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side,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prepa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s provided.

또다른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또는 부재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building material or member including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is provided.

본 발명의 지반 강도 보강 방법에 의해 미세 입자를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반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친환경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탄소 중립을 위한 기존 바인더의 대체 보강제로 활용할 수 있다.The ground strength reinforc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the fine particles,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ground. In addition, by using eco-friendly materials, it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reinforcing agent for existing binders for carbon neutrality.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도 1은 제인을 위한 용매를 준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강도 향상을 위한 제인의 용해 반응 메커니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입자 크기 분포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인 함량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경화 기간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경화 기간 및 제인의 함량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경화 기간 및 제인의 함량에 따른 할선탄성계수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제인이 처리된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 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축압축강도와 균등계수 간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실시예 1 시료에 제인을 첨가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reparing a solvent for Jane.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action mechanism of dissolution of zein for strength improvement.
3 is a diagram showing a stress-strain diagram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Figure 4 shows a stress-strain diagram according to the zein content.
5 is a stress-strain diagram according to the curing period.
6 shows a comparison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results according to curing period and zein content of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igure 7 compares the results of the secant modulus according to the curing period and the content of zein of the sampl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Figure 8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elastic modulus of the sample treated with zein.
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uniformity coefficient.
10 show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in which zein was added to a sample of Example 1.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description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i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시멘트 또는 고결화 효과(cementation effect)는 떨어져 있던 퇴적물 입자가 교결물질의 침전으로 공극률 감소와 함께 굳어 퇴적암화 되는 작용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cementation or cementation effect refers to an action in which separated sediment particles harden together with a decrease in porosity due to the precipitation of a cementing material to form sedimentary rocks.

명세서 전체에서, 일축압축강도(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는, 구속 응력이 0일 때 시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축 방향 압축 응력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UCS) means the maximum axial compressive stress that a sample can withstand when the confining stress is zero.

명세서 전체에서, 할선 탄성계수(secant modulus of elasticity; E50)는, 응력-변형도 선도에서 원점과 지정된 점(예, 항복점(yield point))을 연결하는 선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이는, 응력-변형도 선도에서 재료의 강성(stiffness)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ecant modulus of elasticity (E 50 ) means the slope of a line connecting the origin and a designated point (eg, yield point) on a stress-strain diagram. It is used to describe the stiffness of a material in a stress-strain dia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은 제인 및 모래 시료를 준비하는 단계(S1); 물,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인, 모래 시료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용매를 탈수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The manufacturing method includes preparing zein and sand samples (S1); Preparing a solvent containing water, ethanol and polyethylene glycol (S2); mixing the zein, the sand sample and the solvent (S3); and dehydrating the solvent (S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1 단계에서, 상기 제인의 함량은 상기 모래 시료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In step S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zein may be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제인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 압축강도가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인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현장 적용시 경제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When the content of zein is less than 1%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is not sufficiently expressed. On the other hand, if the content of zein exceeds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there may be a problem with economic feasibility when applied in the fie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1 단계에서, 상기 모래 시료는 규사 및 미사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nd sample may include silica sand and silt.

상기 규사 및 미사의 중량비는 1:9 내지 9:1일 수 있다.The weight ratio of the silica sand and the silt may be 1:9 to 9: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1 단계에서, 상기 모래 시료의 균등계수는 2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13.1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11.2 내지 13.1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step S1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formity coefficient of the sand sample may be 2 to 14, preferably 2.5 to 13.5, and more preferably 2.8 to 13.1. Most preferably, it may be 11.2 to 1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S2 단계의 에탄올, 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부피비는 4:5:1일 수 있다. 에탄올 및 물은 제인의 용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가소제(superplasticizer)로 선택되어 제인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용매는 안정적인 용액을 얻기 위해 1 내지 10분간 교반된다(도 1).I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ratio of ethanol, water, and polyethylene glycol in step S2 may be 4:5:1. Ethanol and water are used to improve the solubility of zein. Polyethylene glycol is chosen as the superplasticize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zein. The solvent is stirred for 1 to 10 minutes to obtain a stable solution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S4 단계는, 용매가 제인의 비극성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제인의 극성 아미노기를 증류수에 노출시키는 단계(a1); 및 용매가 노출된 제인과 결합하여 제인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a2);를 포함할 수 있다(도2).Step S4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posing the polar amino group of zein to distilled water by reacting the solvent with the non-polar amino group of zein (a1); and combining with the solvent-exposed zein to form zein nanoparticles (a2); may include (FIG.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 S4 단계는, 상기 용매가 노출된 제인과 결합하여 고결현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S4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vent combines with the exposed zein to have a caking phenomenon.

이하, 상기 S4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인은 양친매성(amphiphilicity)이고, 50 % 이상의 비극성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인은 순수한 물에는 분산될 수 없으나, 60~95 %의 에탄올을 첨가한 수용액에서는 쉽게 분산될 수 있다. 에탄올은 수용액의 극성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제인 및 용매의 혼합물에서,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은 제인의 비극성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제인의 극성 아미노기를 증류수로 노출시킬 수 있다. 혼합물에서 용매는 노출된 아미노기와 결합하여, 고결화 효과(cementation effect)를 갖는 거대 제인 나노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탈수 과정에서, 용매가 점점 증발하여 제인의 고결화를 강화시킨다. 유도된 고결화는 제인 분자와 기능적 구조 사이의 소수성(hydrophobic) 상호작용 및 단백질 네트워크의 증가를 보여줄 수 있다.Hereinafter, the step S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Zeins are amphiphilic and can consist of 50% or more non-polar amino acids. Zein cannot be dispersed in pure water, but can be easily disp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60-95% ethanol. Ethanol can lower the polarity of an aqueous solution. In the mixture of zein and solvent, ethanol and polyethylene can react with the non-polar amino groups of zein, exposing the polar amino groups of zein to distilled water. The solvent in the mixture can combine with the exposed amino groups to form large zein nanoparticles with a cementation effect.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the solvent gradually evaporates, which enhances the zein's consolidation. The induced consolidation can show an increase in the protein network and hydrophobic interactions between the zein molecule and the functional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prepa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일축압축강도는 5 내지 3100 kPa,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70 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65 kPa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65 kPa일 수 있다.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may be 5 to 3100 kPa, preferably 7 to 3070 kPa, and more preferably 10 to 3065 kPa. Most preferably, it may be 50 to 3065 kPa.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탄성계수는 0.3 내지 140 MPa,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130 M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22.6 MPa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2.6 MPa일 수 있다.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may be 0.3 to 140 MPa, preferably 0.35 to 130 MPa, and more preferably 0.4 to 122.6 MPa. Most preferably, it may be 3 to 122.6 MPa.

다만, 기재된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range.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용도는 침식 방지용, 투수계수 저감용 및 식생 발아용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may further include any one of erosion prevention, permeability reduction, and vegetation germination.

상기 조성물은 3일 내지 28일 동안 경화될 수 있다. 경화 기간이 3일 미만인 경우, 제인의 함량에 따라 강도발현이 부족하여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The composition can be cured for 3 to 28 days. If the curing period is less than 3 day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cannot be performed due to insufficient strength development depending on the content of zein.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또는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ilding material or member including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may be provid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to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실시예 1Example 1

미사 및 규사를 함유하는 모래 시료를 준비하였다. 이 때, 미사의 함량은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50 중량%이었다. Sand samples containing silt and silica sand were prepared. At this time, the content of silt was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실시예 2Example 2

미사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It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silt is 3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미사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It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silt is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미사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70 중량%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It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silt is 7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미사의 함량이 모래 시료 전체 중량 대비 90 중량%인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It is the same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silt is 9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sample.

실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및 실험 준비Experimental Example 1: Prepara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Preparation for Experiments

실험예 1-1: 제인의 준비Experimental Example 1-1: Preparation of Jane

상업적 제인은 오일 및 지방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벤젠이나 에테르 용액을 이용하여 옥수수 커널(maize kernel)로부터 추출된다. Commercial zein is extracted from maize kernels using benzene or ether solutions to remove oil and fatty substances.

실험예 1-2: 모래 시료 준비Experimental Example 1-2: Sand sample preparation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입자 크기 분포 그래프(grain size distribution curve)는 ASTM D6913/D6913M (ASTM D6913, 2017)에 따라 체 분석(sieve analysis)으로부터 획득하였다. Grain size distribution curves of Examples 1,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obtained from sieve analysis according to ASTM D6913/D6913M (ASTM D6913, 2017).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도분포특성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여기서, D50은 중간 입도(mean diameter), D10, D30, D60은 각각 10, 30, 60% 통과량의 입자크기를 나타낸다. Cu는 균등계수(coefficient of uniformity), Cc는 곡률 계수(coefficient of curvature), #200 [%]은 200호 체(sieve)를 통과하는 비율, Gs는 비중(specific gravity) 및 USCS(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은 흙의 분류를 위한 통일분류법을 의미한다.Particle siz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Here, D 50 is the mean diameter, and D 10 , D 30 , and D 60 are the particle sizes of 10, 30, and 60% passage, respectively. C u is the coefficient of uniformity, C c is the coefficient of curvature, #200 [%] is the rate passing through the No. 200 sieve, G s is the specific gravity and USCS (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means a unified classification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soil.

구분division DD 1010 DD 3030 DD 5050 DD 6060 CC uu CC cc #200 [%]#200 [%] GG ss USCSUSCS 실시예 1Example 1 0.070.07 0.240.24 0.670.67 0.800.80 11.211.2 1.01.0 14.614.6 2.672.67 SMSM 실시예 2Example 2 0.090.09 0.560.56 1.011.01 1.211.21 13.113.1 2.82.8 9.69.6 2.642.64 SW-SMSW-SM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0.320.32 0.800.80 1.151.15 1.321.32 4.14.1 1.51.5 4.34.3 2.632.63 SWSW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0.090.09 0.230.23 0.590.59 0.720.72 8.08.0 0.80.8 13.113.1 2.692.69 SMSM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0.080.08 0.130.13 0.190.19 0.220.22 2.82.8 1.01.0 13.413.4 2.692.69 SMSM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중은 2.63 내지 2.69이고, 평균 직경은 0.19 내지 1.15 mm이었다. 균등계수는 2.8 내지 13.1로, 실시예 1 및 2에서 입자크기의 분포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압축 속성(compaction property)를 조사하기 위해, ASTM D698 (ASTM D698, 2012)에 따라 다짐시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최대 건조 단위 중량(maximum dry unit weight) 및 최적 함수비(optimum moisture content)는 표 2에 기재하였다.The specific gravity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2.63 to 2.69, and the average diameter was 0.19 to 1.15 mm. The uniformity coefficient was 2.8 to 13.1, and the distribution of particle sizes was the widest in Examples 1 and 2.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mpaction properti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 compaction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ASTM D698 (ASTM D698, 2012). The maximum dry unit weight and optimum moisture content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2.

구분division 최대 건조단위중량 (kN/mdry unit weight (kN/m 33 )) 최적 함수비 (%) Optimal water content (%) 실시예 1Example 1 20.520.5 10.310.3 실시예 2Example 2 19.819.8 13.213.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20.120.1 10.410.4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19.919.9 11.511.5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17.217.2 10.410.4

실험예 1-3: 제인 및 모래의 혼합 과정Experimental Example 1-3: Mixing Process of Jane and Sand

토질의 역학적 특성에 대한 제인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인이 처리된 시료를 준비하였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zei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oil, samples treated with zein were prepared in the following manner.

제인이 처리된 모래 시료의 각각은 상업적 제인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모래를 함유하고, 제인은 모래 전체 중량 대비 1, 3 및 5 중량% 첨가되었다. 균일한 제인 및 모래의 혼합물을 만들기 위하여, 제인 및 모래는 5분 동안 혼합되었다. Each of the sand samples treated with zein contained commercial zein and sand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zein was added at 1, 3 and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To make a uniform mixture of zein and sand, the zein and sand were mixed for 5 minutes.

용매는 99 % 에탄올, 증류수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고, 에탄올, 증류수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부피비는 4:5:1이었다. 안정한 용매를 만들기 위하여 1 내지 5분 간 계속하여 교반되었다. The solvent contained 99% ethanol, distilled water and polyethylene glycol, and the volume ratio of ethanol, distilled water and polyethylene glycol was 4:5:1. Stirring was continued for 1 to 5 minutes to make a stable solvent.

제인 처리된 시료는 자동 믹서를 이용하여 최적 함수비에서 용매와 혼합되었다.The zeined sample was mixed with the solvent at the optimum water content using an automatic mixer.

실험예 1-4: 시료 준비Experimental Example 1-4: Sample preparation

모든 시료는 탈부착 가능한 MC-나일론 몰드에 원통형으로 다짐되어 준비된다. 각 시료의 간극을 줄이기 위해, 3개의 다른 균일한 시료의 층에서 중량 5.4 N의 해머로 층당 25번의 타격을 가하였다. 모든 다짐된 시료는 상온에서 2일 양생 후 탈형되어, 단열 챔버안에서 40 ℃의 온도 및 30 %의 습도 하에 목표된 기간동안 양생시켰다.All samples are prepared by being compacted into a cylindrical shape in a detachable MC-nylon mold. In order to reduce the gap between each sample, 25 blows per layer were applied with a hammer of 5.4 N in a layer of three different uniform samples. All the compacted samples were demolded after curing for 2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cured for a targeted period of time under a temperature of 40 °C and a humidity of 30% in an adiabatic chamber.

실험예 1-5: 일축압축시험 준비Experimental Example 1-5: Preparation for uniaxial compression test

모든 시료의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는 시료를 3, 7 및 28일 동안 경화한 후에 일축압축시험에 의해 조사되었다. 본 시험은 ASTM D2166 (ASTM D2166, 2006)에 따라 원통형 시료로 수행되었다. 각 시료의 상단에 1 mm/min의 재하속도로 최대 5 %의 축방향 변형률까지 축방향 하중을 가하였다.The compressive strength and modulus of elasticity of all samples were investigated by uniaxial compression test after curing the samples for 3, 7 and 28 days. This test was performed on cylindrical samples according to ASTM D2166 (ASTM D2166, 2006). An axial load was applied to the top of each sample at a loading rate of 1 mm/min, up to an axial strain of 5%.

실험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응력-변형도 선도(stress-strain curve)Experimental Example 2: Stress-strain curv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응력-변형도 선도는 재료의 시편에 가한 하중과 변형을 측정하여 얻은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초기에 축 변형도가 증가함에 따라 축 응력이 증가하고, 그 후 최대압축응력에 도달하는데, 이 값이 일축압축강도로 결정된다. 그 후, 축 변형률이 더 증가함에 따라 압축응력은 감소한다.A stress-strain diagram is a graph obtained by measuring the load and strain applied to a specimen of a material. In general, the axial stress increases as the axial strain increases initially, and then reaches the maximum compressive stress, which is determined as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fter that, the compressive stress decreases as the axial strain further increases.

1. 입자 크기 분포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1. Stress-strain diagram according to particle size distribution

실시예 1 및 2, 비교예 1 내지 3의 시료의 응력-변형도 선도 결과는 도 3에 도시하였다. 이 때 각 시료에는 모래 전체 중량 대비 3 중량%의 제인이 첨가되었고, (a) 3일 및 (b) 28일 경화 후에 응력-변형도 관계를 확인하였다.The stress-strain diagram results of the samples of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re shown in FIG. 3 . At this time, 3% by weight of zein was added to each sample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and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was confirmed after curing (a) 3 days and (b) 28 days.

일축압축강도는 실시예 1 및 2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Examples 1 and 2.

2. 제인 함량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2. Stress-strain diagram according to zein content

실시예 1 시료에는 모래 전체 중량 대비 1, 3 및 5 중량%의 제인이 첨가되었고, 그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다. (a)는 경화 기간이 3일, (b)는 경화 기간이 28일인 경우 응력-변형도 결과이다.Example 1 Samples were added with 1, 3, and 5% by weight of zei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 (a) is the stress-strain result when the curing period is 3 days and (b) is the curing period is 28 days.

실시예 1은 제인 함량이 높아질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In Example 1,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the zein content increased.

3. 경화 시간에 따른 응력-변형도 선도3. Stress-Strain Diagram with Curing Time

실시예 1 시료를 3일, 7일 및 28일 경화한 후에 응력-변형도 관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제인은 모래 전체 중량 대비 5 중량% 이 첨가되었다.Example 1 After curing the samples for 3 days, 7 days, and 28 days,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is shown in FIG. 5 . Zein was added in an amount of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실시예 1은 경화 시간이 길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In Example 1,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the curing time increased.

실험예 3: 일축압축강도 및 할선탄성계수Experimental Example 3: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secant modulus

1. 일축압축강도1.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제인의 함량 및 경화 기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는 도 6에 도시하였다. (a), (b) 및 (c)는 각각 제인의 함량이 모래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3 중량% 및 5 중량%인 경우의 결과이다.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zein content and curing period of all examples and comparative samples is shown in FIG. 6 . (a), (b) and (c) are the results when the content of zein was 1% by weight, 3% by weight and 5% by we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모든 시료에서 제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제인의 첨가로 모래 입자의 고결화 현상이 발생한다(도2). 제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미세 입자를 포함하여 더 많은 입자간 결합(interparticle bonding)이 야기되기 때문이다. In all samples,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the zein content increased. The addition of zein causes a phenomenon of consolidation of sand particles (Fig. 2). This is because as the content of zein increases, more interparticle bonding, including fine particles, is induced.

또한, 모든 시료에서 경화 기간이 길수록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하였다. 이는 경화 기간이 길수록 용매의 탈수에 따른 고결화된 입자의 크기가 커짐에 따른 효과로 인한 것으로 예측된다.In addition, in all samples,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the curing period increased. This is expected to be due to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solidified particles due to the dehydration of the solvent as the curing period is longer.

제인 함량이 토질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일 때, 28일 경화 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일축압축강도 값이 가장 컸다. 이로부터 실시예 1 및 2의 고결화된 입자 수 및 그 크기가 가장 많이 증가했음을 예측할 수 있다.When the zein content was 1 to 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soil, after curing for 28 days,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values of Examples 1 and 2 were the highest. From this,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number and size of the solidified particles of Examples 1 and 2 increased the most.

2. 탄성계수2. Modulus of elasticity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제인의 함량 및 경화 기간에 따라 압축강도의 50%에 해당하는 응력 및 변형률 지점에서의 할선탄성계수는 도 7에 도시하였다. (a), (b) 및 (c)는 각각 제인의 함량이 모래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3 중량% 및 5 중량%인 경우의 결과이다.The secant modulus at the stress and strain points corresponding to 50% of the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the zein content and the curing period of all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FIG. 7 . (a), (b) and (c) are the results when the content of zein was 1% by weight, 3% by weight and 5% by weight, respective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제인 함량이 증가할수록 탄성계수가 증가했다. 이는 제인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시료가 정전기적으로 안정되고, 미사와 모래 사이에서 바이오 필링(bio-filling)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As the zein content increased, the modulus of elasticity increased. This is explained by the fact that as the zein content increases, the sample becomes more electrostatically stable and bio-filling is formed between the silt and the sand.

경화 기간이 길수록 탄성계수가 증가했다. 제인이 처리된 시료를 28일동안 경화한 경우, 3일동안 경화한 시료에 비하여 500 % 이상 강성(stiffness)이 향상되었다.The longer the curing period, the higher the modulus of elasticity. When the sample treated with zein was cured for 28 days, the stiffness was improved by more than 500% compared to the sample cured for 3 days.

3.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elastic modulus) 간 관계3. Relationship betwee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제인이 처리된 시료의 일축압축강도와 탄성계수 간 관계는 도 8에 도시하였다. 제인 함량 및 경화 기간에 상관없이, 탄성계수가 증가하면 일축압축강도도 증가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ample treated with zein is shown in FIG. 8 . Irrespective of the zein content and curing period,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as the elastic modulus increased.

4. 일축압축강도와 시료의 균등계수(coefficient of uniformity)4.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coefficient of uniformity of the sample

일축압축강도(qu)와 균등계수(Cu)의 관계는 하기와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q u ) and uniformity coefficient (C u ) is as follows.

Figure 112022104876251-pat00001
Figure 112022104876251-pat00001

제인의 함량이 모래 전체 중량 대비 3 중량%인 경우의 일축압축강도와 균등계수간 관계를 도 9 및 이하 표 3에 도시하였다. 이로부터, 제인에 의해 유도되는 강도 증가율이 시료의 균등계수가 클수록 더 커짐을 알 수 있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and the uniformity coefficient when the content of zein is 3%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sand is shown in FIG. 9 and Table 3 below.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increase in strength induced by zein increases as the uniformity coefficient of the sample increases.

경화기간 [일]Curing period [days] 기울기, αslope, α 결정계수,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 2 33 39.5939.59 0.9740.974 77 52.2852.28 0.9490.949 2828 60.8060.80 0.9690.969

실험예 4: 미세 상호작용(microscopic interaction)Experimental Example 4: Microscopic Interaction

실시예 1 시료에 제인을 첨가한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a) 및 (b)는 각각 제인의 함량이 모래 전체 중량 대비 1 중량% 및 5 중량%인 경우의 결과이다.Example 1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mage in which zein was added to the sample is shown in FIG. 10 . (a) and (b) are the results when the content of zein is 1% by weight and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sand, respectively.

제인은 모래 입자를 덮어, 혼합물에 있는 미세입자 및 거친입자를 연결하여 기공을 채운다. 도 10(a)에 따르면, 1 %의 제인을 첨가하였을 때에는 주로 미세입자를 연결하여 모래 혼합물에서 생체 막힘(bio-clogging)을 일으킨다. 도 10(b)에 따르면, 제인의 함량의 증가는 미세입자 및 거친입자 사이에 상호작용을 향상시킨다. The zein covers the sand grains, connecting the fine and coarse grains in the mixture and filling the pores. According to FIG. 10(a), when 1% zein was added, bio-clogging was caused in the sand mixture by mainly connecting fine particles. According to FIG. 10(b), increasing the content of zein enhances the interaction between fine and coarse particles.

실시예 1의 모래의 넓은 입자 크기 분포는 제인이 처리된 시료의 입자간 결합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제인의 단백질-단백질 네트워크의 증가를 통해 시료의 정전기 안정화(electrosteric stabilization)을 가속화시킨다. 또한, 제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결화된 입자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는 제인이 처리된 시료의 탄성계수 및 압축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는 혼합물 내 미세입자 및 거친입자 간 제인의 시멘트 효과와 관련된다. The wid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of Example 1 enhances the interparticle bonding of the zein-treated sample and consequently accelerates the electrosteric stabilization of the sample through an increase in the protein-protein network of the zein. In addition, as the content of zein increases, the size of the solidified particles increases, which increases the elastic modulu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zein-treated sample. This is related to the cementing effect of the zein between the fine and coarse particles in the mixture.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may b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method describe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method described, or other components may be used. Or even if it is replac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Claims (13)

제인 및 모래를 준비하는 단계(S1);
물, 에탄올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용매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제인, 모래 및 용매를 혼합하는 단계(S3); 및
상기 용매를 탈수시키는 단계(S4);를 포함하고,
상기 S4 단계는,
상기 용매가 상기 제인의 비극성 아미노기와 반응하여 제인의 극성 아미노기를 증류수에 노출시키는 단계(a1); 및
상기 용매가 노출된 제인과 결합하여 제인 나노입자를 형성하는 단계(a2);를 포함하고,
상기 S4 단계는, 상기 제인 나노입자가 모래의 고결화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Preparing Jane and Sand (S1);
Preparing a solvent containing water, ethanol and polyethylene glycol (S2);
mixing the zein, sand and solvent (S3); and
Including; dehydrating the solvent (S4);
In step S4,
exposing the polar amino group of the zein to distilled water by reacting the solvent with the non-polar amino group of the zein (a1); and
A step (a2) of forming zein nanoparticles by combining with the solvent-exposed zein;
The step S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zein nanoparticles have a solidifying effect of sand,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제인의 함량은 상기 모래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S1, the content of the zein is 1 to 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and,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모래는 규사 및 미사를 포함하는,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step S1, the sand includes silica sand and silt,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규사 및 미사의 중량비는 1:9 내지 9:1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5,
The weight ratio of the silica sand and the silt is 1:9 to 9:1,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모래의 균등계수는 2 내지 14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S1, the uniformity coefficient of the sand is 2 to 14,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 단계의 에탄올, 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부피비는 4:5:1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제조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olume ratio of ethanol, water and polyethylene glycol in step S2 is 4: 5: 1, a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A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prepared by any one of claims 1 and 4 to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일축압축강도는 5 내지 3100 kPa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9,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is 5 to 3100 kPa,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탄성계수는 0.3 내지 140 MPa인,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9,
The elastic modulus of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is 0.3 to 140 MPa,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의 용도는 침식 방지용, 투수계수 저감용 및 제방 보강용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
According to claim 9,
The use of the ground strength reinforcing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y one of erosion prevention, permeability reduction and embankment reinforcement, ground strength reinforcing composition.
제9항의 지반 강도 보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축 자재 또는 부재.A building material or member comprising the composition for reinforcing ground strength of claim 9.
KR1020220127230A 2022-10-05 2022-10-05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KR1025354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230A KR102535413B1 (en) 2022-10-05 2022-10-05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230A KR102535413B1 (en) 2022-10-05 2022-10-05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13B1 true KR102535413B1 (en) 2023-05-26

Family

ID=86536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230A KR102535413B1 (en) 2022-10-05 2022-10-05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1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3095A (en) * 2018-05-24 2019-11-28 東亞合成株式会社 Soil improv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3095A (en) * 2018-05-24 2019-11-28 東亞合成株式会社 Soil improver composition and us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uedraogo et al. Physical,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dobes stabilized with fonio (Digitaria exilis) straw
CN1934052B (en) Ultra-high-performance self-compacting concrete, its preparation method and uses
Izaguirre et al. Characterization of aerial lime-based mortars modified by the addition of two different water-retaining agents
Kou et al. Properties of concrete prepared with PVA-impregnated recycled concrete aggregates
CN108658532B (en) Self-compacting concre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493829B1 (en) Material to be used as a concrete additive
Tian et al. The influence of bagasse fibre and fly ash on the long-term properties of green cementitious composites
JP2009500273A (en) Viscous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5033018A1 (en) Additive for cementitious materials
CN109305792B (en) Soil curing agent, preparation method and soil curing construction method
Kalkan et al. Strength performance of stabilized clayey soils with quartzite material
KR102535413B1 (en) Method for strength improvement of soil using zein, composition and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the same
CN113248203B (en) Anti-permeability high-strength concre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0024854B1 (en) Hydraulic cements and method of their production
CN112805261A (en) Formulations comprising cellulose ethers and/or polysaccharides and fatty alcohols
Preetham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 stabilization of soft clay using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KR102237759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embankment block comprising ferronickel slag
GB2293821A (en) Admixtures for slip forming of concrete
CN109678421B (en) A kind of concrete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EP2401238B1 (en) Composition used for preparing concrete without adding water
CN113816684A (en) Ultra-high-ductility cement-based composite material for anti-permeability reinforce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8529932A (en) Pumpable light aggregate concre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Hartono et al. Influence of the pulverised method on the plasticity and strength behaviour of cement stabilised clayshale and sandstone
CN113025342B (en) Sandy soil curing agent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2278207B1 (en) Quick-hardening cement concrete composition using modified sulfur nano solution and road repairing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