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096B1 -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096B1
KR102535096B1 KR1020220114759A KR20220114759A KR102535096B1 KR 102535096 B1 KR102535096 B1 KR 102535096B1 KR 1020220114759 A KR1020220114759 A KR 1020220114759A KR 20220114759 A KR20220114759 A KR 20220114759A KR 102535096 B1 KR102535096 B1 KR 10253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blood vessel
suction conduit
su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원
Original Assignee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096B1/ko
Priority to PCT/KR2023/012242 priority patent/WO20240392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79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suction of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8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 introduction of a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94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rossing total occlusions, i.e. pier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5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n open distal end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다수의 측면구멍으로 통한 미세유체회로 생성으로 지속적인 혈전 흡입이 가능하며 혈전을 작게 쪼개거나 부수어 깨끗이 제거하고, 혈관손상과 분쇄된 혈전의 원위부 색전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혈전을 제거할 수 있으며, 미세유체회로를 생성하여 혈전을 지속적으로 변형시키고, 작게 부수면서 생성된 유체회로를 따라 이동시켜 유도도관을 통해 혈전을 회수하기 때문에 뇌혈관처럼 작은 직경과 구불구불한 경로의 혈관 내의 혈전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제거할 수 있고, 혈관벽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금속 등 경도가 높은 재질이 아닌 유체제트이기 때문에 혈관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Thrombus Removal Device with Aspiration Catheter Style Capable of Endovascular Blood Flow Reopening and Microfluidic Circuit Generation}
본 발명은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다수의 측면구멍으로 통한 미세유체회로 생성으로 지속적인 혈전 흡입이 가능하며 혈전을 작게 쪼개거나 부수어 깨끗이 제거하고, 혈관손상과 분쇄된 혈전의 원위부 색전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혈전을 제거할 수 있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뇌졸중은 세계적으로 세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이며, 뇌졸중으로 매년 140,000명의 미국인이 뇌졸중으로 사망한다.
뇌졸중의 87%는 뇌 영역으로의 혈류가 차단되는 허혈성 뇌졸중으로써, 골든타임 이내에 혈전을 제거하지 않으면 뇌혈류가 방해되어 뇌졸중이 진행하고 비가역적 뇌손상을 초래한다.
스텐트 리트리버나 흡입도관은 혈전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혈관을 재개통하기 위해 개발 및 구현된 혈전제거장치로, 스텐트 리트리버나 흡입도관을 이용한 혈전제거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혈전 제거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기관 임상시험을 통해 재개통 성공률은 70-80%에 도달할 정도로 높은 재개통 성공률을 보이는 등, 스텐트 리트리버나 흡입도관을 이용한 혈전제거술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증명되었으며 현재 주요 혈관 폐색에 의한 급성뇌졸중의 표준치료가 되었다. 표준진료지침을 따르면 증상 발생 24시간 이내 급성 뇌졸중 환자와 증상발생 시간을 모르는 각성 뇌졸중 환자가 동맥내 혈전제거술의 적응증이 된다.
그러나, 기존의 스텐트 리트리버 또는 혈전흡입 도관을 이용한 동맥내 혈전제거술은 1)혈관 손상, 2)윈위색전증의 위험성, 3)여러 차례 혈전제거장치 설치를 반복해야 할 필요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1) 혈관손상의 문제점
일반적인 스텐트 리트리버를 이용한 혈전제거술은 스텐트 구조물에 의해 혈관에 기계적인 압력을 가하므로 혈관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두통과 혈관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심지어 혈관파열 또는 뇌혈관벽 손상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의 합병증까지 만들 수 있다.
일반적인 흡입도관의 사용도 뇌혈관의 손상 또는 관통 등 드물지만 치명적인 합병증을 만들수 있다.
동물실험에서 스텐트 리트리버를 이용한 혈전제거술 이후에 내피세포의 손상과 증식이 관찰되었고, 혈전제거술 후 혈관벽 자기공명영상에서 혈관벽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조영증강 되는 소견을 보였다.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혈관벽과 접촉을 최소화한 혈관 내 혈전제거장치가 바람직하다.
2) 원위 색전증의 문제점
일반적인 혈전제거시술 과정에서 기존의 혈전이 위치한 부위와는 다른 새로운 혈관영역으로 혈전이 색전할 수 있어, 시술 중 1 ~ 8.6% 빈도로 원위 색전증의 잠재적 부작용을 일으킬 위험성을 갖고 있다.
혈전 내부결속력의 약화로 인한 혈전의 파열은 새로운 혈관영역의 뇌경색 즉 의원성 색전증(iatrogenic embolism)을 유발할 수 있어 이를 예방 및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기존의 혈전제거 기구는 혈전에 인장력이 작용하여 혈전의 구조를 변형, 신장(elongation), 골절 등의 변화를 유도하여 색전을 초래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텐트 리트리버가 혈전을 끌고 내려오는 과정 중에 스텐트 리트리버에 걸린 혈전이 인장력으로 혈전이 길어지고 파편화될 수 있다. 또는 혈전이 혈전제거장치와 분리되어, 이들 혈전 또는 파편들이 혈류를 타고 원위부 혈관으로 이동하거나 흩어질 수 있다. 부스러진 혈전 조각(색전)은 혈류를 타고 말초혈관의 작은 가지로 이동하고 다른 혈관을 차단하여 조직으로의 혈액 공급을 손상시킨다.
대조적으로 투석을 위한 동정맥루 막힘, 정맥혈전증 등의 혈관내 혈전제거시술에서는 흡입혈전제거술 전에 혈전을 파편화 및 침용(marceration)의 시술단계를 일상적으로 수행한다. 혈전을 흡입하기 전에 풍선팽창을 하고 혈전 내에 0.035인치 j-팁 와이어 유도하에 돼지꼬리 카테터를 회전하는 등 혈전을 흡입하기 전에 일상적으로 혈전을 파편화하거나 마모시킨다. 이는 도관의 전진을 용이하게 하고, 혈전 흡입력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흡입 카테터를 제자리에 놓고 음압을 30초 동안 유지한 뒤, 음압을 유지하면서 카테터를 빼내면서 혈전을 제거한다. 반면 뇌혈관의 혈전제거술은 원위색전증의 위험성 때문에 의도적인 혈전의 파편화를 조장하지 않는다.
3) 혈전회수 실패/재개통 실패로 인한 혈전제거장치의 반복적인 설치의 필요성
일반적인 혈전제거기구의 발전으로 혈전 제거 성공률이 많이 향상되었다고 하나, 여전히 혈전제거기구는 혈전제거에 실패할수 있다. 모든 혈전이 한번의 혈전제거 시도만에 깨끗이 회수되는 것은 아니어서 혈전제거장치를 여러 차례 혈관내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흡입 도관은 혈전제거에 유용한 도구이나, 흡입도관의 흡입 성공율은 도관의 직경에 달려있다. 그러나 도관의 직경이 아무리 크다 해도 흡입도관을 통한 흡입 과정에서 흡입 카테터 내강의 폐쇄로 인한 흡입 중단이 발생할 수 있으며, 흡입 술기를 계속하기 위해서는 혈전으로 막힌 흡입카테터를 체외로 빼내고 도관의 내강을 세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요 혈관 폐색을 재개통하기 위해 여러 번의 혈전제거장치 통과가 필요한데 이로 인해 시술 시간이 길어지고 허혈성 뇌손상의 위험도가 증가한다.
이와 같이 많은 경우 시술의 성공은 큰 직경의 흡입도관을 목표혈관에 위치시킬 수 있는 시술자의 숙련도에 달려 있고 따라서 시술 프로토콜을 표준화하기 어렵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1076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다수의 측면구멍으로 통한 미세유체회로 생성으로 지속적인 혈전 흡입이 가능하며 혈전을 작게 쪼개거나 부수어 깨끗이 제거하고, 혈관손상과 분쇄된 혈전의 원위부 색전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혈전을 제거할 수 있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미세유체회로를 생성하여 혈전을 지속적으로 변형시키고, 작게 부수면서 생성된 유체회로를 따라 이동시켜 유도도관을 통해 혈전을 회수하기 때문에 뇌혈관처럼 작은 직경과 구불구불한 경로의 혈관 내의 혈전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제거할 수 있고, 혈관벽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금속 등 경도가 높은 재질이 아닌 유체제트이기 때문에 혈관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혈관 내에 발생된 혈전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혈전이 발생된 혈관 내에 위치하도록 혈관을 따라 이동되고, 설치시 상기 혈관 내의 혈류우회 기능을 수행하며, 흡입시 혈전을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 유체를 혈전에 작용시켜 혈전을 이동, 변형, 파편화하도록 미세흐름회로를 생성하는 미세흐름회로부와;
상기 혈관 내에서부터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어 흡입 술기시에 혈관의 혈류를 차단한 뒤,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되어 본체부에 의해 이송된 혈전을 흡입하여 신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 유체를 혈관 내에 분사하여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흐름 생성에 보조하는 미세철선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는, 원통형으로 양끝단부와 중공된 내부가 관통되는 외측 흡입도관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내측 흡입도관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의 내측과 내측 흡입도관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어 이격 공간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의 내주연 또는 내측 흡입도관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과 내측 흡입도관의 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과 내측 흡입도관의 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와 연통되어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를 이격공간으로 전달하는 후방 커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의 외측 흡입도관과 내측 흡입도관은 이동방향으로 전방의 둘레가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넓게 형성되도록 직경이 달라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흡입도관의 외부면 중 이격공간이 위치한 외부면에는 이격공간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이격공간으로 이송된 미세 유체가 배출홀을 통해 혈관 내의 혈전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흡입도관과 내측 흡입도관의 연결부가 위치한 외부면에서부터 미세 유체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한 혈전을 유입하도록 다수개의 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은 외측 흡입도관의 외부면에서부터 연결부와 내측 흡입도관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내측 흡입도관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흐름회로부는, 상기 본체부의 후방 커버부 끝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내부에 미세한 유체를 이송시켜 혈전에 분사하는 미세유체이송관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유체이송관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유체이송관 내에 미세한 유체를 주입하는 미세주입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흡입부는, 상기 혈관 내에 일측이 구비되어 혈관의 혈류를 차단하고, 타측은 신체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내부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이송관 및 및 다양한 기구를 유도하고, 체외로 혈전을 이송하는 유도도관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유도도관(10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각종 장치와 연결시켜주는 허브(200)와;
상기 허브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체, 혈액 및 혈전을 흡입하는 흡입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도도관은,
첨단부와;
상기 첨단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가 팽창수축이 가능하여 혈관 내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팽창부와;
상기 팽창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팽창부의 팽창수축을 유도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허브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를 좌,우로 구동시켜 팽창부를 팽창수축시키는 조절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주입펌프는 흡입부의 흡입펌프와 동기화(同期化)되어 작동시 흡입펌프와 동시에 같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철선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끝단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미세한 유체를 혈관으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되는 미세철선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철선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철선 내에 미세한 유체를 주입 이송시키 유체주입펌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다수의 측면구멍으로 통한 미세유체회로 생성으로 지속적인 혈전 흡입이 가능하며 혈전을 작게 쪼개거나 부수어 깨끗이 제거하고, 혈관손상과 분쇄된 혈전의 원위부 색전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혈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유체회로를 생성하여 혈전을 지속적으로 변형시키고, 작게 부수면서 생성된 유체회로를 따라 이동시켜 유도도관을 통해 혈전을 회수하기 때문에 뇌혈관처럼 작은 직경과 구불구불한 경로의 혈관 내의 혈전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제거할 수 있고, 혈관벽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금속 등 경도가 높은 재질이 아닌 유체제트이기 때문에 혈관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전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설치되는 혈전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미세흐름회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미세흐름회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실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에 미세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전제거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철선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전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관 내 설치되는 혈전제거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미세흐름회로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미세흐름회로부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분해 실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에 미세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입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도 8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혈전제거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낸 단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철선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는 혈관(1) 내에 발생된 혈전(2)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본체부(10)와, 미세흐름회로부와, 흡입부와, 미세철선부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전이 폐색하고 있는 혈관(1) 내에 위치하도록 혈관(1)을 따라 이동 및 설치하여, 상기 혈관(1) 내의 혈류 재개통 상태를 생성한다. 혈전흡입을 위해, 혈류중단 상태에서 미세유체회로 생성을 통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한 혈전(2)을 유입하여 흡입부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본체부(10)는 혈관(1)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요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 또는 기존 연질의 재질에 적절한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니티놀 (Nitinol) 합금 브레이딩(braiding) 작업을 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원통형으로 양끝단부와 중공된 내부가 관통되는 외측 흡입도관(11)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으로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내측 흡입도관(12)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어 이격 공간(16)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주연 또는 내측 흡입도관(12)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16)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14)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16)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와 연통되어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를 이격공간(16)으로 전달하는 후방 커버부(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은 이동방향으로 전방의 둘레가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넓게 형성되도록 직경이 달라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 중 이격공간(16)이 위치한 외부면에는 이격공간(16)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홀(17)이 형성되어 이격공간(16)으로 이송된 미세 유체가 배출홀(17)을 통해 혈관(1) 내의 혈전(2)에 분사된다.
또한, 상기 배출홀(17)은 도 7에서처럼,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에서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이격공간(16)과 연통되고, 상기 이격공간(16)으로 이송된 미세 유체가 배출홀(17)을 통해 혈관(1) 내에 발생된 혈전(2)에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 중 연결부(13)가 위치한 외부면에는 미세 유체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한 혈전(2)을 유입하도록 다수개의 유입홀(18)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홀(18)은 도 7에서처럼,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에서부터 연결부(13)와 내측 흡입도관(12) 내벽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내측 흡입도관(12)의 내주연까지 관통됨으로써, 상기 내측 흡입도관(12)의 내측과 연통되고, 상기 유입홀(18)을 통해 유입된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한 혈전(2)이 내측 흡입도관(12)의 내측을 통해 흡입부에 전달되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신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3)는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어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 사이를 이격시켜 미세 유체가 이송될 수 있는 공간(16)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13)는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개의 연결부(13)가 흡입도관(11,12)의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이에 이격공간(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커버부(14)와, 후방 커버부(15)는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사이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16)을 차단하도록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전방 커버부(14)와, 후방 커버부(15)는 원통형의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에 맞춰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 커버부(15)의 후면에는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유체이송관(21)이 연결되도록 연결구(19)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19)는 연결되는 미세유체이송관(21)의 개수에 맞춰 1개 이상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19)는 후방 커버부(15)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관통 형성되어 이격공간(16)과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후방 커버부(15)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이격공간(16)에 연결구(19)를 통해 유입된 미세 유체가 고루 전달되도록 원형 링 형태의 연결홈(19a)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19a)의 일측에 연결구(19)가 연통되며, 상기 연결홈(19a)은 이격공간(16)과 연통되어 미세 유체가 연결홈(19a)을 따라 이송되다 이격공간(16)에 각각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미세흐름회로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외부면에 부착되어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한 유체를 이송시켜 혈전(2)을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하는 미세흐름회로를 생성하도록 미세유체이송관(21)과, 미세주입펌프(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은 본체부(10)의 후방 커버부 연결구에 연통되도록 부착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의 내부에는 미세주입펌프(22)를 통해 주입된 미세한 유체를 이송시켜 혈전(2)에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은 한개 이상 형성되는데, 상기 후방 커버부의 연결구 개수에 맞춰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개의 미세유체이송관(21)은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세주입펌프(22)는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유체이송관(2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유체이송관(21) 내에 미세하게 유체를 주입하도록 조절해준다.
여기서, 상기 미세주입펌프(22)는 흡입부의 흡입펌프(300)와 동기화(同期化)되어 미세주입펌프(22)가 작동되거나 흡입펌프(300)가 작동되면 동시에 같이 작동된다. 이때, 같이 작동되어야하는 이유는 아래에서 기술한다.
상기 흡입부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1) 내에서부터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어 흡입 시술시에 혈관(1)의 혈류를 차단한 뒤,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되어 본체부(10)에 의해 이송된 혈전(2)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도도관(100)과, 허브(200)와, 흡입펌프(300)로 구성된다.
상기 유도도관(100)은 혈관(1) 내에 일측이 구비되어 혈관(1)의 혈류를 차단하고, 타측은 혈관(1)의 외측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내부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 및 기타 혈관내 기구 등을 유도하고, 팽창부의 팽창으로 혈류차단시에 혈전, 혈액, 및 유체를 흡입제거하도록 구성한다. 즉, 첨단부(110)와, 상기 첨단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가 팽창수축이 가능하여 혈관(1) 내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팽창부(120)와, 상기 팽창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팽창부(120)의 팽창수축을 유도하는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허브(20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30)를 좌,우 또는 전,후로 구동시켜 팽창부(120)를 팽창수축시키는 조절부(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첨단부(tip,110)는 유도도관(100)의 제일 끝단부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를 통해 미세유체이송관(21) 및 기타 혈관내 기구 등을 유도하고, 혈전, 혈액, 및 유체를 흡입제거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첨단부(110)는 이동방향으로 전진시 탐색을 용이하기 위해 유도도관(100)의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조금씩 감소되도록 좁아진 또는 직경이 일정한 원통형이며, 가요성이 있는 플렉시블(flexible) 소재로 구성되어 혈관(1)계를 통한 탐색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팽창부(120)는 첨단부(110)와 몸체부(130) 사이에 형성되어 팽창 가능하여 혈관(1) 내벽에 밀착되는 풍선구간 또는 팽창구간을 구비하여 혈관(1)을 막는다. 상기 팽창부(120)는 스트럿(Strut) 또는 와이어 등 골격과 이를 둘러싸는 신축성 있는 막으로 구성되며, 상기 팽창부(120)의 스트럿 구조 전단은 첨단부(110)에 고정되고, 상기 팽창부(120)의 스트럿 구조 후단은 몸체부(130)에 고정되는데, 상기 팽창부(120)는 원통형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핀이 형성되고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또는 티타놀 재질로 이루어진 와이어로 제조하는데, 와이어를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원주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각 핀에 엮거나 교차시켜 다수의 공간을 가진 그물망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팽창부(120)의 길이가 전,후 방향으로 조절되면서 동시에 팽창 또는 수축하여 팽창부의 외경이 변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30)는 내벽(body wall)에 와이어를 슬라이딩할 수 있는 모노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모노레일 와이어의 한쪽 끝을 팽창부(120)에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의 다른쪽 끝은 조절부(140)에 고정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140)는 몸체부(130)가 와이어를 타고 이동할 때, 이 작용을 조절하는 톱니바퀴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부(140)는 몸체부(130)와 허브(200) 사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톱니바퀴가 나선형으로 회전되면서 와이어를 밀었다 당겼다 하면서 몸체부(130)를 전,후로 작동시키고, 그와 동시에 팽창부(120)도 전,후로 작동되면서 팽창부(120)의 직경이 커졌다 작아졌다하면서 팽창수축되는 것이다.
상기 허브(200)는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유도도관(10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각종 장치와 연결시켜주는데, 상기 허브(200)에는 투명한 재질로 유도도관 포트(A1), 조영제와 수액포트(B), 흡입펌프포트(D), 중앙챔버(C), 미세흐름회로부 포트(A2)를 연결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허브(200)의 내부에는 공기 유무를 탐지하는 센서가 더 설치되어 센서로 공기가 있을 경우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펌프(300)는 허브(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체, 혈액 및 혈전(2)을 흡입하는데, 흡입시 흡입력이 본체부(10)의 내부에 전달되어 음압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팽창부의 팽창에 의한 혈류차단은 혈전(2)이 혈관(1)의 원위부로 색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과 함께, 혈전(2) 흡입작업시에 닫힌 공간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음압이 본체부(10)의 내경에 전달되어 유입홀(18)의 2차 유체제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부(10) 제작방법은 도 11a에서처럼, 두개의 동심원 원통(외측 흡입도관(11), 내측 흡입도관(12))을 겹쳐서 중간층의 빈공간(이격 공간(16))을 안쪽 동심원(내측 흡입도관(12))에 바깥쪽으로 돌출된 구조물(연결부(13))이 있거나 반대로 도 11b에서처럼, 바깥쪽 동심원(외측 흡입도관(11))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구조물(연결부(13))에 의해 중간층의 빈공간(이격 공간(16))이 만들어지는 형태로 제작된다.
또는 도 11c에서처럼, 안쪽 동심원(내측 흡입도관(12))에 바깥쪽과 바깥쪽 동심원(외측 흡입도관(11))에서 안쪽에 각각 돌출된 구조물(연결부(13))이 형성된 상태로 끼워져서 중간층의 빈공간(이격 공간(16))이 만들어지는 형태로도 제작된다.
상기 미세철선부는 도 1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 유체를 혈관(1) 내에 분사하여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흐름 생성에 보조하도록 미세철선(31)과, 유체주입펌프(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철선(31)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끝단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미세한 유체를 혈관(1)으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홀(33)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분사홀(33)은 미세철선(31)의 끝단부인 전면, 외주연에 다수개가 각각 형성되어 다방면으로 미세 유체가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유체주입펌프(32)는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철선(3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철선(31) 내에 미세한 유체를 주입 이송시키고, 상기 유체주입펌프(32)는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주입펌프(22) 및 흡입부의 흡입펌프(300)와 동기화(同期化)되어 미세주입펌프(22)가 작동되거나 흡입펌프(300)가 작동되면 동시에 같이 작동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혈전제거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도 12를 참고하여 단계별로 상세하게 기술한다.
1단계) 유도도관 설치
혈관(1)을 폐색하고 있는 혈전(2)을 제거하기 위해서 목표 혈관(1)의 입구에 원위부팽창 유도도관(100)을 위치시킨다.
2단계) 미세유체공급과 혈관 내 전진
혈전(2) 제거 작업의 준비단계로 미세주입펌프(22)로부터 유체를 공급하여 혈전제거장치의 표면을 친수성 처리한다. 미세흐름회로의 유체공급 여부와 양을 조절하여 혈전제거장치의 혈관(1)벽 부착을 방지하면서 혈관(1) 내에 위치하도록 유지하고, 낮은 마찰력으로 전진하여 목표혈관(1)구간에 도달하도록 한다. 혈관계를 통한 혈전제거장치의 탐색/전진/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근위 부분보다 더 유연한 원위 부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전제거장치는 유도도관(100)의 내부를 통해 삽입한 뒤 전방으로 이동시켜 본체부(10)와 미세흐름회로부가 유도도관(100)의 외부로 전진하여 나오도록 한다. 유도철사와 동심축으로 혈전제거장치를 전진시키거나, 유체흐름회로의 유체공급 제어에 의한 마찰력 감소를 이용하여 목표혈관(1)구간으로 접근한다.
3단계) 혈관 내 즉각적인 재개통(endovascular flow bypass)
원위부팽창 유도도관(100) 내에서 혈전제거장치를 삽입하여 혈전(2)이 폐색하고 있는 혈관(1)구간까지 전진한다. 혈전(2)구간에 혈전제거장치를 설치함과 동시에 혈전(2)은 혈전제거장치와 혈관(1)벽 사이 공간으로 밀려나고 혈전제거장치의 내강을 통해 즉각적인 혈류 재개통이 일어난다. 기구의 기능부위를 혈전(2)의 전체 구간을 모두 다 덮을 수 있을 구간으로 위치시키면, 혈관(1)을 막고 있는 혈전(2)을 혈관(1)벽 측면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혈전(2)구간에 위치한 혈전제거장치의 기능 부위에 의해 밀려난 혈전(2)은 혈전제거장치와 혈관(1)벽 사이 공간에 속박(displacement)된다. 한편, 혈관(1) 내 혈류 재개통을 통해 혈관(1) 단면의 중심을 차지하는 혈류는 혈전(2)의 전체구간을 통과한다.
4 단계) 미세유체회로 발생과 작용
유도도관(100)의 팽창부(120) 외경을 증가하여 혈류를 중단시킨 상태에서 동기화(synchronized)된 미세주입펌프(22)와 흡입펌프(300)가 작동되면서 미세유체회로를 발생한다. 미세주입펌프(22)에서 주입된 생리식염수 등 유체는 지지부위의 미세유체이송관(21)을 거쳐 기능부위의 미세유체이송관(21)으로 이동하며,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의 배출홀(17)을 통해 혈전제거장치와 혈관(1)벽 사이 공간으로 분사된다.
이때, 유체주입시스템에서 상기 미세주입펌프(22)를 작동시켜 유체를 주입할 때 유체의 압력은 미세유체이송관(21)를 통해 배출홀(17)까지 전달되며, 대표적으로 생리식염수 등 유체가 미세유체이송관(21)을 따라 흐르고,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을 통해 이송된 미세 유체는 본체부(10)의 이격공간으로 전달된 뒤, 외측 흡입도관의 배출홀(17)을 통해 유체제트가 발생하면서 혈전제거장치와 혈관(1)벽 사이의 공간으로 분사한다.
혈전제거장치의 바깥쪽 면에서 생성되는 제트 흐름/배출홀(17)을 통한 생리식염수 제트에 의해 혈전은 수분함량 증가, 점탄성의 변화, 변형, 마모, 분열 등이 발생하고, 이에 상응하게 흡입부의 유도도관(100)을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켜 변형, 마모 등으로 작아진 혈전을 혈전제거장치의 내강과 외강 사이에 구비된 다수의 유입홀(18) 및 배출홀(17)을 통해 생성된 제트흐름과 유체회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더욱더 혈전을 변형시키고 흡입한다. 혈전은 미세유체회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순차적인 변형을 거쳐 야금야금 제거된다.
또한, 상기 미세주입펌프(22)에 상응하여 흡입펌프(300)가 동시에 작동한다. 유도도관(100)에 연결된 흡입펌프(300)에서 지속적인 흡입을 시행하며 혈전제거장치의 내강을 비롯한 혈관(1)의 전 경로에서 음압이 발생한다. 이 음압에 의해 미세주입펌프(22)에 의해 주입된 생리식염수(유체)는 본체부(10)의 유입홀(18)을 통해 혈전제거장치의 내강으로 진입하고 이 때 잘게 부스러진 혈전(2)이 동시에 유도도관(100)을 거쳐 흡입펌프(300)로 흡입된다.
여기서, 혈전(2)이 제트 유체에 의해 배출홀(17)로부터 밀려나거나 유입홀(18)로 빨려 들어가면서 찢어지고 작아진 혈전(2)이 이동한다. 흡입력을 증강하기 위해 팽창부(120)를 팽창하는 등 흡입하는 유도도관(100)의 외경을 증가시키고 유도도관(100)의 외벽을 혈관(1) 내벽에 밀착하여 흐름을 정지하여 닫힌 공간을 형성한다.
혈류를 중단한 상태에서, 허브(200)에 연결된 흡입펌프(300)의 흡입을 시작하고 생성된 음압이 혈전제거장치의 중앙관강으로 전파한다. 유도도관(100) 내강의 음압이 본 발명의 미세유체이송관(21)의 안쪽방향에 유체제트를 만들고 미세유체회로를 형성한다. 혈전제거장치내강의 음압은 본체부(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유입홀(18)을 통해 혈전제거장치 외강과 내강 사이에 유체 제트를 생성하여 혈전(2)의 조각화 및 이동을 유발한다. 유체제트를 타고 혈전(2)은 파편 형태로 소형화하여 혈전(2)이 이동하다가 유입홀(18)에 끼여서 파편화하거나 작게 변형되어 구멍을 통과하고 이동한다.
5 단계) 혈전제거장치의 회수
미세회로를 통한 흡입과정을 마무리하기 위해, 유도도관(100)과 동심축으로 혈관(1)구간에 위치시켰던 혈전제거장치를 미세주입펌프(22)의 흡입과 흡입펌프(300)의 흡입을 동시에 시행하면서 서서히 혈전제거장치를 체외로 회수한다. 중단 없이 효과적인 미세흐름회로의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유도도관(100) 내부에 추가의 흡입도관을 동심성(coaxial)으로 설치하여 혈전(2) 구간에 위치하고 흡입펌프(300)를 연결하여 흡입도관과 혈전제거장치를 한 단위로 천천히 체외로 제거할 수 있다. 이 방식은 회수를 위한 전 과정동안에 미세주입펌프(22)와 흡입펌프(300)의 동조화된 작동에 의한 미세유체회로를 유지하면서 혈전제거장치를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본체부 11 : 외측 흡입도관
12 : 내측 흡입도관 13 : 연결부
14 : 전방 커버부 15 : 후방 커버부
16 : 이격 공간 17 : 배출홀
18 : 유입홀 19 : 연결구
21 : 미세유체이송관 22 : 미세주입펌프
23 : 배출홀
31 : 미세철선 32 : 유체주입펌프
33 : 분사홀
100 : 유도도관 110 : 첨단부
120 : 팽창부 130 : 몸체부
140 : 조절부
200 : 허브 300 : 흡입펌프

Claims (10)

  1. 혈관(1) 내에 발생된 혈전(2)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혈전(2)이 발생된 혈관(1) 내에 위치하도록 혈관(1)을 따라 이동되고, 설치시 상기 혈관(1) 내의 혈류 재개통 기능을 수행하며, 흡입시 혈전(2)을 유입하여 이송시키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 유체를 혈전에 작용시켜 혈전을 이동, 변형, 파편화하도록 미세흐름회로를 생성하는 미세흐름회로부와;
    상기 혈관(1) 내에서부터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어 흡입 술기시에 혈관(1)의 혈류를 차단한 뒤,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되어 본체부(10)에 의해 이송된 혈전(2)을 흡입하여 신체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부와;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미세 유체를 혈관(1) 내에 분사하여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흐름 생성에 보조하는 미세철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본체부(10)는, 원통형으로 양끝단부와 중공된 내부가 관통되는 외측 흡입도관(11)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에 구비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이격된 공간(16)으로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내측 흡입도관(12)과;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측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외측 사이에 형성되어 이격 공간(16)을 형성시키고,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내주연 또는 내측 흡입도관(12)의 외주연을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는 연결부(13)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16)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전방 커버부(14)와;
    상기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의 후방에 형성되어 미세 유체가 이송되는 이격공간(16)을 차단하도록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미세흐름회로부와 연통되어 미세흐름회로부의 미세 유체를 이격공간으로 전달하는 후방 커버부(1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의 외측 흡입도관(11)과 내측 흡입도관(12)은 이동방향으로 전방의 둘레가 좁고 후방으로 갈수록 둘레가 넓게 형성되도록 직경이 달라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 중 이격공간(16)이 위치한 외부면에는 이격공간(16)과 연통되는 다수개의 배출홀(17)이 형성되어 이격공간(16)으로 이송된 미세 유체가 배출홀(17)을 통해 혈관(1) 내의 혈전(2)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 중 연결부(13)가 위치한 외부면에는 미세 유체에 의해 이동, 변형 및 파편화한 혈전(2)을 유입하도록 다수개의 유입홀(18)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홀(18)은 외측 흡입도관(11)의 외부면에서부터 연결부(13)와 내측 흡입도관(12)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내측 흡입도관(12)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흐름회로부는,
    상기 본체부(10)의 후방 커버부 끝단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내부에 미세한 유체를 이송시켜 혈전(2)에 분사하는 미세유체이송관(21)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유체이송관(2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유체이송관(21) 내에 미세한 유체를 주입하는 미세주입펌프(2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혈관(1) 내에 일측이 구비되어 혈관(1)의 혈류를 차단하고, 타측은 신체의 외부에 구비되며,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내부를 통해 상기 미세유체이송관(21) 및 및 다양한 기구를 유도하고, 체외로 혈전(2)을 이송하는 유도도관(100)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유도도관(100)의 끝단부에 연결되어 각종 장치와 연결시켜주는 허브(200)와;
    상기 허브(2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체, 혈액 및 혈전(2)을 흡입하는 흡입펌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도관(100)은,
    첨단부(110)와;
    상기 첨단부(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가 팽창수축이 가능하여 혈관(1) 내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팽창부(120)와;
    상기 팽창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팽창부(120)의 팽창수축을 유도하는 몸체부(130)와;
    상기 몸체부(130)의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허브(200)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30)를 좌,우 또는 전,후로 구동시켜 팽창부(120)를 팽창수축시키는 조절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주입펌프(22)는 흡입부의 흡입펌프(300)와 동기화(同期化)되어 작동시 흡입펌프(300)와 동시에 같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철선부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상태에서 흡입부의 내측을 따라 신체의 외부까지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을 관통한 끝단부에는 내부에 이송되는 미세한 유체를 혈관(1)으로 분사하는 다수개의 분사홀(33)이 형성되는 미세철선(31)과;
    상기 신체의 외부에 구비된 미세철선(3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미세철선(31) 내에 미세한 유체를 주입 이송시키 유체주입펌프(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KR1020220114759A 2022-08-18 2022-09-13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KR10253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59A KR102535096B1 (ko) 2022-09-13 2022-09-13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PCT/KR2023/012242 WO2024039214A1 (ko) 2022-08-18 2023-08-18 혈전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759A KR102535096B1 (ko) 2022-09-13 2022-09-13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096B1 true KR102535096B1 (ko) 2023-05-26

Family

ID=8653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759A KR102535096B1 (ko) 2022-08-18 2022-09-13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214A1 (ko) * 2022-08-18 2024-02-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혈전제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851A (ja) * 2007-02-05 2014-03-06 Boston Scientific Ltd 血栓除去装置
US20160022294A1 (en) * 2009-07-08 2016-01-28 Sanuwave, Inc. Occlusion and clot treatment with intracorporeal pressure shock waves
KR102371076B1 (ko) 2020-04-16 2022-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39851A (ja) * 2007-02-05 2014-03-06 Boston Scientific Ltd 血栓除去装置
US20160022294A1 (en) * 2009-07-08 2016-01-28 Sanuwave, Inc. Occlusion and clot treatment with intracorporeal pressure shock waves
KR102371076B1 (ko) 2020-04-16 2022-03-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전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9214A1 (ko) * 2022-08-18 2024-02-22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혈전제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4941B2 (en) Direct stream hydrodynamic catheter system
US10321932B2 (en) Direct stream hydrodynamic catheter system
US10188409B2 (en) Aspiration thrombectomy cathet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969255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reatment within a bodily duct of a patient
US8657777B2 (en) Rapid exchange fluid jet catheter
US8439878B2 (en) Rheolytic thrombectomy catheter with self-inflating proximal balloon with drug infusion capabilities
EP3620204A1 (en) Rapid aspiration thrombectomy system
US20020058904A1 (en) Thrombus removal device
US20070239182A1 (en) Thrombus removal device
US20060200191A1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treating an intravascular occlusion
US8303538B2 (en) Rheolytic thrombectomy catheter with self-inflating distal balloon
WO20121510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undesirable material within a circulatory system utilizing a balloon catheter
EP1959842A2 (en) Exhaust-pressure-operated balloon catheter system
EP0621761A1 (en) SURGICAL CUTTING TOOL.
EP1786502A2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 blood vessel
WO2007133959A2 (en) Device for treating chronic total occlusion
CN111759399A (zh) 取栓装置
WO2012148645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ving and fragmenting undesirable material within a circulatory system
KR102535096B1 (ko)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흡입도관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KR102535089B1 (ko)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스텐트 리트리버 형태의 혈전제거장치
EP3253438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reatment within a bodily duct of a patient
KR102536453B1 (ko) 혈관 내 혈류 재개통과 미세흐름회로의 생성이 가능한 미로격벽을 가진 혈관기구
WO201612636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ministering treatment within a bodily duct of a patient
WO2024044710A1 (en) Contrast injection and visual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hrombus removal device
EP4333743A1 (en) Improved funnel catheter and novel methods of uti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