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168B1 -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168B1
KR102534168B1 KR1020220119083A KR20220119083A KR102534168B1 KR 102534168 B1 KR102534168 B1 KR 102534168B1 KR 1020220119083 A KR1020220119083 A KR 1020220119083A KR 20220119083 A KR20220119083 A KR 20220119083A KR 102534168 B1 KR102534168 B1 KR 102534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kiosk
user terminal
affiliated store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먼슬리키친
Priority to KR102022011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16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1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 G06Q30/0229Multi-merchant loyalty c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system for providing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franchises, which may comprise: at least one kiosk which receives a user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receives at least one selected franchise and menu, before performing payment; a user terminal which receives the at least one selected franchise and menu and performs payment; at least one franchise terminal which receives an order event generated at the at least one kiosk and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n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delivering unit which delivers the order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kiosk and the user terminal to the at least one franchise terminal, a saving unit which integrates and saves points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order event delivered to the at least one franchise terminal, and an integration unit which sets such that points sav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used in at least one franchise terminal, at least one kiosk and an application. Therefore, points may be integrated.

Description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sion system between merchants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본 발명은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 지점별 및 각 가맹점 간 사용자의 포인트를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affiliated stores, and provides a system for integrating and using user's points for each branch and between each affiliated store.

최근 스마트폰과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그를 이용한 여러 마케팅과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이름들을 새로이 붙이고 있는 서비스들도 실상 기존에 있던 제도들이 스마트폰을 통하여 활발히 활용되는 것에 다름 아닌 경우가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비스가 활발해지면서 그 질적 성격도 변화시키기도 한다. 정보통신기술과 연계하여 급속히 활용되는 여러 제도들 중 하나로, 포인트 제도를 꼽을 수 있는데, 고객의 상품 구매나 서비스 이용 실적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보너스 점수를 주어, 정해진 점수에 다다르면 그를 사용하여 상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이용 받을 수 있게 하는 제도로 설명되어 왔다. 일종의 로열티 프로그램(Loyalty Program)으로 고객을 유인하고자 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커피숍에서부터 인터넷 오픈마켓, 통신사, 항공사, 정유사, 금융회사까지 그 범위를 헤아릴 수가 없어서, 그 관리 또한 번거로워지고 있는 상황이다.Recently, as the use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services has become common, various marketing and services using them have appeared. In fact, there are many cases where services with various names are no different from existing systems that are actively utilized through smartphones, but in some cases, as services become more active, their qualitative characteristics change. One of the many systems that are rapidly being used in connection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the point system. Bonus points are given at a certain rate according to the customer's product purchase or service usage performance, and when the specified score is reached, the point system is used to purchase the product. It has been described as a system that enables users to use or use services. It can be seen as a way to attract customers with a kind of loyalty program. From coffee shops to Internet open markets,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airlines, oil companies, and financial companies, it is impossible to count the scope, so the management is also becoming cumbersome.

이때, 멤버쉽을 위한 포인트나 마일리지를 가상화폐로 지급하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21-0090806호(2021년07월21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117212호(2019년10월16일 공개)에는, 마일리지 지급시 영업이익의 공유를 위하여 소비자, 가맹점 및 중소제조사 간 발생된 이익에 대하여 가상화폐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공하는 구성과, 사용자의 마일리지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면, 항공사의 요청에 따라 마일리지를 차감하고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를 제공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a platform that pays points or mileage for membership in virtual currency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0117212 (disclosed on October 16, 2019), in order to share operating profits when paying mileage, virtual currency is provided based on blockchain for profits generated between consumers, affiliates, and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and user mileage When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 configuration for deducting mileage and providing blockchain-based virtual currenc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irline is disclosed.

다만, 전자 및 후자의 구성 모두 각 개별 마일리지나 포인트를 제공하는 구성이어서 고객에게 혜택이 갈 정도의 가상화폐가 제공될 수 없다. 즉, 각 기업마다 마일리지나 포인트 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나 사업자가 아닌 개인인 사용자가 한 회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포인트의 수혜를 받을 정도로 많이 구매하거나 이용하지는 않는다. 각 개인에게 포인트란 극소량의 돈에 불과하여 마일리지를 모으는데 충성도를 높이지 않는다. 포인트에 대한 필요성과 그 만큼의 값어치의 요구도는 상당히 높은데, 포인트의 현금가치, 이용확률의 폭, 취득노력, 적절성, 편리성, 경제적 유용성 및 이용혜택을 고려하면 각 개인은 포인트 때문에 많은 비용과 노력을 하지 않게 된다. 이에, 각 가맹점의 포인트를 통합하여 코인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를 락인(Lock-In) 시킬 수 있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configurations provide individual mileage or points, virtual currency cannot be provided to the extent of benefiting the customer. In other words, each company operates a mileage or point system, but users who are individuals, not business operators, do not purchase or use a company's products or services in large enough numbers to benefit from points. Points are only a small amount of money for each individual, so they do not increase loyalty in collecting mileage. The need for points and the demand for their value are quite high. Considering the cash value of points, the breadth of probability of use, effort to acquire, appropriateness, convenience, economic usefulness, and benefits of use, each individual spends a lot of money and effort because of points. will not do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that can lock-in users by integrating the points of each affiliate and providing them as coins is requi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지점별 입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POS(Point of Sale)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키오스크(Kiosk) 및 O2O(Online to Offline) 주문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간을 연동시키고, 하나의 사용자 계정으로 각 지점 내 가맹점에서 사용한 포인트를 동일 지점 내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하거나 다른 지점 내 동일 가맹점 또는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할 수 있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int of sale (POS)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for each branch, a kiosk for ordering and payment, and a user for performing online to offline (O2O) order payment Integration of points between affiliates, which can link applications on terminals and integrate points used at affiliated stores within each branch with one user account to be used at other affiliated stores within the same branch or used at the same affiliated store or other affiliated stores within other branches A service provision system can be provided.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 고유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된 주문 이벤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통합하여 적립하는 적립부, 사용자 단말에서 적립받은 포인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는 통합부를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user's unique identification code, select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menu, and performs payment, at least one kiosk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a menu selection and performing payment, at least one kiosk, and at least one merchant terminal receiving an order even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t least one order event generated from at least one kiosk and user terminal. A delivery unit for delivering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a accumulation unit for integrating and accumulating points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for order events delivere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 point accumulated from the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 an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t least one kiosk and an integration unit configured to be usable in an application.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지점별 입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POS(Point of Sale)와,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키오스크(Kiosk) 및 O2O(Online to Offline) 주문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간을 연동시키고, 하나의 사용자 계정으로 각 지점 내 가맹점에서 사용한 포인트를 동일 지점 내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하거나 다른 지점 내 동일 가맹점 또는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POS (Point of Sale)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located in each branch, a kiosk for ordering and payment, and O2O (Online to Offline) Links between applications of user terminals that perform order payment, and points used at merchants in each branch can be used at other merchants in the same branch or integrated so that they can be used at the same merchant or other merchants in other branches with one user account.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point aggreg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point aggreg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and one or more other characteristic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etc., are used at or approximating that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inherent in the stated meaning are given, and do not convey an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help prevent exploitation by unscrupulous infringers of the disclosed disclosure. The term "step of (doing)" or "step of"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and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by one hardware. On the other hand, '~ uni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Functions provided withi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combined into smaller numbers of components and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e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by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apparatus,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 mapping or matching the terminal's unique number or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ich is the terminal's identifying data.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1 between affiliated stores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kiosk 500. ) may be included. However, since the integrated point service providing system 1 between affiliated stores of FIG. 1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an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a network 200 . In addition,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kiosk 500 through the network 200 . In additio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 Also, at least one kiosk 5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the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networks, telephone networks, and wired and 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s networks. Examples of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3G, 4G, 5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Long Term Evolution (LTE),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Wi-Fi , Internet (Internet), LAN (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PAN (Personal Area Network), RF (Radio Frequency), Bluetooth (Bluetooth) network, NFC ( A Near-Field Communication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 analog broadcasting network,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and even if at least one term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the singular or plural number of each compon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embodiments.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O2O(Online to Offline) 주문 및 결제를 하거나, 키오스크(500)에서 주문 및 결제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주문 및 결제로 부여받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동일 지점 다른 가맹점에서, 또는 다른 지점 동일 가맹점이나 다른 지점 다른 가맹점에서 주문 및 결제를 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merchants to order and pay O2O (Online to Offline), or order and pay at the kiosk 500 It may be a user's terminal.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user who orders and pays at another affiliated store at the same branch, the same affiliated store at another branch, or another affiliated store at another branch using points granted for ordering and paymen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In this cas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를 등록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먼슬리키친, 먼키)은, 한 지점에 복수의 가맹점이 입점해 있는 푸드코트형 구내식당을 기반으로 한다. 각 지점은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포인트 통합이 가능하고 각 포인트를 어느 지점 및 어느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현재 본 발명의 플랫폼은 도 4n과 같이 하나의 지점에 복수의 가맹점이 입점한 공유주방 플랫폼이고, 각 빌딩이나 학교 또는 기관 등의 구내식당에 한 개의 푸드기업이 들어가 1 가지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한 건물이나 빌딩에 수 십 개의 소상공인의 가맹점이 입점해 있고, 200 개가 넘는 메뉴를 제공하며, 각 직원을 위한 구내식당 뿐만 아니라, 배달주문도 받을 수 있도록 배달주문을 함께 처리하는 것을 전제한다. 각 지점에는 키오스크(500)가 구비되어 있고, 각 가맹점에는 가맹점 단말(400)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플랫폼을 통하여 모두 연동이 될 수 있다.The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 point integration service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between affiliated stores. Also,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gister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kiosk 500 . A platform (Monthly Kitchen, Munk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food court-type cafeteria in which a plurality of affiliated stores are located at one location. Since each branch is managed by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point integration is possible and each point is configured to be used at any branch and any affiliated store. Currently,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ared kitchen plat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ffiliates are located at one branch, as shown in FIG. , It is premised that dozens of small business franchises are located in one building, provide more than 200 menus, and process delivery orders together so that they can receive not only a cafeteria for each employee, but also delivery orders. Each branch is equipped with a kiosk 500, and each affiliated store has an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which can all be linked through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문접수를 받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n affiliated store that receives an order by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문접수를 받고 주문접수된 건을 각 가맹점 단말(400)로 M2M 또는 D2D로 직접 전달하거나,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거쳐 전달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At least one kiosk 500 receives an order by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and directly delivers the received order to each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by M2M or D2D, or , It may be a device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at least one kiosk 5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laptop,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navigation system and a web browser. At this time, at least one kiosk 5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kiosk 5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ensures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It may include all type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phones, smart pads, tablet PCs,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describe an embodiment in which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도 2를 참조하면,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전달부(310), 적립부(320), 통합부(330), 연동부(340), 수요예측부(350), 식자재주문관리부(360) 및 케이터링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delivery unit 310, a accumulation unit 320, an integration unit 330, an interlocking unit 340, a demand prediction unit 350, a food material order management unit ( 360) and a catering unit 37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로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kiosk ( 500), when transmitting a point integration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between affiliated stor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kiosk 500, It is possible to install or open point integration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and web pages between affiliated stores. Also, the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and at least one kiosk 5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users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and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and the like. In addition, an application means an application on a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 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전달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 및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는, 사용자 고유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접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transmission unit 310 may transmit an order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kiosk 500 and the user terminal 100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The user terminal 100 may perform payment while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menu. At least one kiosk 500 may perform payment by receiving a user's unique identification code and selecting at least one member store and menu.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receive an order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kiosk 500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

적립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달된 주문 이벤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통합하여 적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고유식별코드는,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 계정과 연결된 1 차원 바코드 또는 2 차원 바코드일 수 있다.The accumulation unit 320 may integrate and accumulate points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100 for the order event transmitte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100 may be a one-dimensional barcode or a two-dimensional barcode linked to a user account of the user terminal 100 .

통합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립받은 포인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점이나 가맹점 외에 다른 가맹점이나 회사 또는 음식점 등에서 포인트를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때 포인트 사용 제휴를 맺은 계약 조건에 의거하여 포인트 누적 변환식을 이용한 후 포인트를 설정할 수 있다.The integration unit 330 may set the points accumulated in the user terminal 100 to be usable i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at least one kiosk 500 and an application. If, in addition to the branch or affiliated st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points at other affiliated stores, companies, or restaurants. there is.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1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1

이때 r은 본 발명의 플랫폼에서 계약 조건에 의한 포인트 반영 비율이다. nor은 각 포인트 제공사의 포인트를 본 발명의 플랫폼의 기준에 맞도록 변환하기 위한 정규화 인자이다. 포인트 통합 시스템에 맞게 변환된 포인트들은 각 포인트 저장소에 저장되고 이러한 포인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플랫폼에 따른 각 지점 및 가맹점이 아니더라도 제휴된 모든 업체, 기관, 회사, 예를 들어, 외식업체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사용자 및 포인트 제공사는 포인트의 반영 결과, 계약 설정 변경, 포인트 제공사의 등록 여부 조회 및 사용 등에 대한 다양한 관리 시스템을 제공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r is the point reflection rate according to the contract conditions i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nor is a normalization factor for converting the points of each point provider to meet the standards of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s converted to suit the point integration system are stored in each point storage and can be used by all affiliated companies, institutions, companies, for example, restaurants, etc., even if they are not each branch and affiliate according to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In addition, users and point providers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management systems for points reflection results, contract setting changes, registration inquiry and usage of point providers, and the like.

연동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POS(Point of Sale)와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를 연동시키고,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와 사용자 단말(100)의 애플리케이션 간 연동을 제공하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 간 연동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구성요소 간 연동을 위하여 REST API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REST API에 대한 기본개념을 설명하면,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의 약자로, 월드와이드웹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에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기존에 다양한 웹 아키텍처 스타일이 정의되어 있지만, 현대 웹 아키텍처의 특성을 보다 잘 반영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아키텍처이다. REST는 주로 HTTP/1.0 사양과 초기 HTTP/1.1을 기반으로 개발하면서 웹 개념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됐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자원을 리소스로 표현하는 ROA(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s)와 메소드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웹상의 리소스들을 HTTP에서 SOAP이나 쿠키를 통한 세션 트래킹 등의 별도 전송 계층 없이 전송할 수 있는 간단한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여러 네트워크 기반 아키텍처 스타일에서 파생된 하이브리드 스타일로, 균일한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정의하는 제약 조건을 제공한다.The interlocking unit 350 interlocks the Point of Sale (POS)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with the at least one kiosk 500, and interoperates between the at least one kiosk 500 and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100. Linkage is provided, and linkage between at least one kiosk 500 may be set. At this time, REST API can be used for interworking between each component. At this time, to explain the basic concept of REST API, REST stands for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which is a software architecture style operated in distributed hypermedia systems such as the World Wide Web. Although various web architecture styles have been defined in the past, it is a network-based architecture to better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web architecture. REST was primarily used as a means of conveying web concepts while developing based on the HTTP/1.0 specification and early HTTP/1.1. The biggest feature is that it is based on ROA (Resource Oriented Architecture), which expresses all resources as resources, so that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s) and methods can be used simply. In other words, it is a simple interface that can transmit resources on the web without a separate transport layer such as HTTP to SOAP or session tracking through cookies. It is also a hybrid style derived from several network-based architectural styles, providing constraints that define uniform connector interfaces.

REST API의 설계목표에 대해 설명하면, REST는 HTTP를 그대로 적용해보자하는 시도를 통해 개발되었는데, REST 의 핵심설계 목표는, 컴포넌트간의 유연한 상호연동성컴포넌트를 결합함으로써 더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범용 인터페이스는,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HTTP와 URI를 기준으로 하므로, 어디서든지 사용 가능한 범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컴포넌트의 독립적 배포는, 컴포넌트들은 REST를 기반으로 연동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들은 완전히 독립된 프로그램으로 독립적인 배포 및 개발이 가능하다. 또, 지연 감소, 보안강화, 레거시 시스템을 인캡슐레이션하는 중간 컴포넌트 역할을 수행한다. REST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엔드 서버 중간에서 중간 컴포넌트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클라이언트는 엔드 서버에 직접 연결할 필요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중계자 역할을 하는 REST 서버의 구조를 통해서 로드 밸런싱, 공유 메모리(캐쉬)등을 이용할 수 있고, 가용성, 확장성, 성능을 향상시키고 보안 정책을 적용하기도 간단하고, 대표적으로 오픈소스 솔루션 NGINX, WSO2 가 있다 To explain the design goal of REST API, REST was developed through an attempt to apply HTTP as it is. The core design goal of REST is to provide more efficient services or perform tasks by combining flexible interoperability components between components. There is a purpose. Since the universal interface is based on HTTP and URI, which are used as standards, it provides a universal interface that can be used anywhere. As for the independent distribution of components, although the components are interlocked and used based on REST, they can be independently distributed and developed as completely independent programs. In addition, it plays the role of an intermediate component that reduces latency, strengthens security, and encapsulates legacy systems. Since the REST server acts as an intermediate component between the client and the end server, the client can use the service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o the end server. Load balancing and shared memory (cache) can be used through the REST server structure that acts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lient and server, and it is easy to improve availability, scalability, and performance, and apply security policies, and is a representative open source solution. There are NGINX and WSO2

<마이크로서비스><Microser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PI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기존 응용프로그램/서비스를 마이크로서비스로 변환할 수 있다. 어떤 경우든 마이크로서비스의 크기, 범위 및 기능을 적절히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개발 및 제공의 민첩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고려 사항은 서비스들의 경계를 찾고 이를 비즈니스 역량과 비교하고, 마이크로서비스 설계가 민첩하고 독립적인 개발 및 서비스를 보장하는지 확인하며, 크기 및 범위는 주어진 비즈니스 기능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고, SOAP와 달리 마이크로서비스는 매우 적은 기능과 단순한 메시지 포맷을 가지며, 광범위한 서비스에서 시작하여 작은 요구사항으로 리팩토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An AP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velop a software application program using a microservice architecture or convert an existing application program/service into a microservice. In any case, it's important to properly size, scope, and function microservices to meet the agility of service development and delivery. Consideration finds the boundaries of services and compares them to business capabilities, ensures that microservice design ensures agile and independent development and service, size and scope are aimed at facilitating a given business function, and unlike SOAP, Microservices have very few functions and simple message formats, starting with a wide range of services that can be refactored into smaller requirements.

<마이크로서비스의 메시징><Messaging of microservices>

모놀리식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여러 프로세서/구성요소의 비즈니스 기능이 함수 호출이나 언어 수준 메소드 호출을 통해 서비스 간의 메시징이 이루어진다. REST 기반의 융합 서비스에서는 좀 더 느슨하게 결합된 웹 서비스 수준 메시징으로 변환되었고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다. 동기식 메시징 REST는, 클라이언트가 서비스의 응답을 기다린다. 이는 모든 자원이 리소스로 표시되는 REST API 를 기반으로 HTTP 요청-응답으로 구현되는 간단한 메시징 스타일을 제공한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즈니스 유스 케이스를 실현하려면 다양한 마이크로서비스/프로세스 간에 통신 구조가 있어야 한다.In a monolithic application, the business functions of multiple processors/components are messaging between services through function calls or language-level method calls. REST-based convergence services have been translated into more loosely coupled web service-level messaging and are based on the HTTP protocol. In synchronous messaging REST, the client waits for a response from the service. It provides a simple messaging style implemented as an HTTP request-response based REST API where all resources are represented as resources. In a microservices architecture, software applications are composed of independent services. Therefore, to realize business use cases, there must be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the various microservices/processes.

<API-Gateway 스타일><API-Gateway style>

모든 클라이언트를 위한 기본 진입점으로 메시지 게이트웨이를 사용하고 이 수준에서 일반적인 비기능 요구사항을 구현한다. 이를 통해서 REST/HTTP를 통해 관리되는 API를 사용할 수 있고, 기존 마이크로서비스의 게이트웨이 레벨에서 필요한 추상화를 제공하며, 경량화된 메시지 라우팅 및 변환이 가능하며, 보안, 모니터링과 같은 비기능적 요구사항 적용이 가능하고, 마이크로서비스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기능이 분산되어 있으므로 동일한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 각 서비스가 독립적이지 않은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각 마이크로서비스들은 자체 데이터베이스를 갖는다. 분산 데이터 관리의 핵심 요소는 다음과 같다. 각 마이크로서비스에는 개별 데이터베이스에만 액세스 할 수 있고 타데이터베이스에는 액세스가 불가하다. 일부 비즈니스 시나리오에서는 단일 트랜잭션에 대해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해야 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 API 를 통해서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Use a message gateway as the primary entry point for all clients and implement general non-functional requirements at this level. This allows the use of APIs managed through REST/HTTP, provides the necessary abstraction at the gateway level of existing microservices, enables lightweight message routing and transformation, and enables the application of non-functional requirements such as security and monitoring. and lightweight microservices. Functionality is distributed in a microservices architecture, so using the same central database ensures that each service is not independent. So each microservice has its own database. The key elements of distributed data management are: Each microservice can access only individual databases and cannot access other databases. In some business scenarios, multiple databases may need to be updated for a single transaction, and in these cases, updating can be done through an API.

<서비스 레지스트리 및 서비스><Service Registry and Services>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서비스의 수는 상당히 많고 신속하고 민첩한 개발/배치 특성으로 인해 위치가 동적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런타임 중 마이크로서비스 위치를 찾아야 한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서비스 레지스트리와 서비스 발견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다. ① 마이크로서비스 인스턴스는 시작할 때 서비스 레지스트리에 등록되고, 종료 시 등록이 취소된다. 소비자는 레지스트리를 통해 사용 가능한 마이크로서비스와 그 위치를 찾는다. ② 사용 가능한 마이크로서비스와 그 위치를 찾기 위한 서비스 발견 메커니즘이 필요하고 클라이언트 발견과 서버 발견 두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③ 클라이언트 또는 API Gateway는 서비스 레지스트리에 질의하여 서비스 인스턴스의 위치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클라이언트 또는 API Gateway가 전달받은 서비스 인스턴스 위치로 요청을 보낸다.In a microservices architecture, the number of services is quite large and their locations change dynamically due to their rapid and agile development/deployment nature. Therefore, the location of the microservice must be found during runtime. A solution to this problem is to use the service registry and service discovery facilities. ① A microservice instance is registered in the service registry when it starts, and unregistered when it terminates. Consumers find available microservices and their location via the registry. ② A service discovery mechanism is needed to find available microservices and their location. There are two types of client discovery and server discovery. ③ The client or API Gateway queries the service registry and receives the location data of the service instance. The client or API Gateway sends a request to the received service instance location.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각 마이크로서비스는 독립적 배포, 서비스 수준 확장, 신속한 구축이 가능하고 특정 마이크로서비스의 오류가 타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 요구사항을 해결하여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 컨테이너를 적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컨테이너는 Docker로 이를 사용하는 주요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마이크로서비스를 Docker 컨테이너 이미지로 패키징하고, ② 각 서비스 인스턴스를 컨테이너로 배포하며, ③ 확장은 컨테이너 인스턴스 수를 변경하여 수행하고, ④ 빠른 개발, 배포, 실행을 지원한다.In the microservice architecture, each microservice can be independently deployed, service level extended, and built quickly, and errors in a specific microservice must not affect other services. Containers can be applied to deploy services to address this requirement. A representative container is Docker, and the main steps to use it are as follows: ① Microservices are packaged as Docker container images, ② Each service instance is deployed as a container, ③ Extension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number of container instances, and ④ Rapid development, deployment, and execution are supported.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OAuth2 및 OpenID Connect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API 보안 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 OAuth2는, 액세스 위임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 권한을 인증 받고 액세스 토큰을 확보한다. 이는 사용자/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인증 서버에서만 검색 가능한 참조만을 갖는다. 공공 네트워크/인터넷에서도 안전하게 적용된다. OpneID Connect는, OAuth 와 유사하지만 액세스 토큰 외에도 인증 서버가 사용자/클라이언트 정보가 포함된 ID 토큰을 발행한다. 이는 주로 JWT(JSON Web Token)에 의해 구현되며 인증서버에 의해 서명된다. OAuth 와 OpenID Connect 서버에 인증을 남겨놓으면 마이크로서비스가 누군가의 데이터를 사용할 권한을 부여받고 성공적으로 액세스가 가능하다. 이 경우 모든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해 단일 진입점이 있는 API Gateway 스타일을 사용한다. 클라이언트는 권한 서버에 연결하여 액세스 토큰을 얻고 이와 함께 API Gateway로 요청 메시지를 보낸다. API Gateway에서는 토큰과 요청을 마이크로서비스에 전달할 수 있다.Microservice architectures can leverage popular API security standards such as OAuth2 and OpenID Connect. OAuth2 authenticates the client's authority with the access delegation protocol and secures an access token. It contains no information about the user/client and has only references that are searchable only on the authentication server. It is also safely applied on public networks/internet. In OpenID Connect, similar to OAuth, but in addition to an access token, the authentication server issues an ID token containing user/client information. It is mainly implemented by JWT (JSON Web Token) and signed by the authentication server. By leaving the authentication to the OAuth and OpenID Connect servers, the microservice is authorized to use someone's data and can access it successfully. In this case, we use the API Gateway style with a single entry point for all client requests. The client connects to the authorization server to obtain an access token and sends a request message to API Gateway with it. API Gateway can pass tokens and requests to microservices.

수요예측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주문수요를 예측하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demand prediction unit 350 may predict order demand using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d provide the predicted order deman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

<주문 수요 예측><Order Demand Forecast>

배달 주문은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접수되므로, 이러한 데이터의 규모와 크기 또 다양성이 충분히 커지는 경우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주문 수요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주문의 이용건수를 시간과 날씨에 따라 예측함으로써 기상경영과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시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공공 데이터를 더 이용할 수 있고, 주문의 이용건수가 기상변수와 시간변수에 영향을 받는지 알기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독립 t검정을 실시할 수 있다. 분석결과 주문의 이용건수는 요일별, 시간별, 계절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면, 시간요인과 기상요인이 주문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Delivery orders are received through applications, so when the size, size, and variety of these data become large enough, big data can be built and order demand can be predicted. By predicting the number of orders used according to time and weather, basic information for weather management and efficient time management can be presented. If data are insufficient, more public data can be used,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independent t-tests can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number of orders is affected by weather and tim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orders by day, time, and season, it means that time factors and meteorological factors are influencing the use of orders.

이를 위하여, 시간요인과 기상요인, 주문의 이용 건 수의 관계를 기계학습을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랜덤포레스트 모형과 서포트 벡터머신 모형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곱근 오차(RMSE)를 통해 기계학습모형의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랜덤포레스트 모형의 변수중요도를 살펴보면 시간, 요일, 월, 평균온도, 강수 순으로 나타났다면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 주문 수요의 예측이 가능해질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각 지점에 입점한 가맹점으로 수요에 따른 공급사슬관리를 수행하도록 가이드를 줄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factors, meteorological factors, and the number of uses of orders can be examined through machine learning. For example, a random forest model and a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can be used, and the square root error (RMSE) The results of the learning models can be compared. If you look at the variable importance of the random forest model, if it appears in the order of time, day, month, averag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you can use this to predict real-time order demand. Guidelines can be given to perform supply chain management according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랫폼은, 메뉴의 판매실적을 이용하여 품목군(Cluster)별 수요예측을 수행하도록 하고, 수요예측을 시계열 기법 및 인과형 기법을 결합한 분해법에 기반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랫폼에 누적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면 음식 주문 수요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분해법은 시점 t별로 예측하고자 하는 메뉴군 p의 예측수요를 Fpt라 정의하고, 시간에 따른 지수를 Tpt(추세요인), Cpt(순환요인), Spt(계절요인), Rpt(랜덤요인) 등으로 반영하여 이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The platfor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emand forecasting for each item group using menu sales performance, and can perform demand forecasting based on a decomposition method combining a time series technique and a causal technique. Using data accumulated on the plat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elp predict demand for food orders. In the decomposition method, Fpt is defined as the predicted demand of the menu group p to be predicted for each time point t, and the index according to time is Tpt (trend factor), Cpt (cyclic factor), Spt (seasonal factor), Rpt (random factor), etc. In reflection, i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2 below.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2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2

이때, 각 요인들의 지수값은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외식 산업계에서는 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판매계획을 수립하는 권한을 지점장이나 매니저가 가지고 있다. 판매계획을 수립하는 매니저와 지점장을 i라고 정의하면, 수요예측은 각 매니저와 지점장을 대상으로 수행하여 참조치로 제공되어야 하며, 수학식 2는 각 단위 매장이나 지점의 예측수요 Fipt를 고려하여 이하 수학식 3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xponential value of each factor can be obtained through actual data analysi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the branch manager or manager has the authority to establish a sales plan using the results of demand forecasting. If i is defined as a manager and a branch manager who establishes a sales plan, demand forecasting should be performed for each manager and branch manager and provided as a reference value, and Equation 2 is calculated as follows by considering the predicted demand Fipt of each unit store or branch. It can be expressed as in Equation 3.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3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3

매장 매니저와 지점의 지점장은 수학식 3에서 제공된 수요예측결과를 참고하고, 실시간으로 파악된 수요변동을 반영하여 수학식 4와 같이 판매계획 Dipt를 수립한다.The store manager and branch manager refer to the demand forecast result provided in Equation 3 and reflect the demand change identified in real time to establish a sales plan Dipt as shown in Equation 4.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4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4

수학식 4에서 αipt는 각 매장이나 지점에서 수요예측결과를 참조하여 판매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메뉴군별로 이용하는 예측반영 지수이다.In Equation 4, αipt is a prediction reflection index used for each menu group to establish a sales plan by referring to the demand forecast result at each store or branch.

<생산계획 수립><Establishment of production plan>

수요예측 결과를 참조하여 판매계획이 수립되면, 이후 판매계획 수립 수량에 맞춰 생산이 진행된다. 그리고, 판매계획 결과를 이용하여 생산된 메뉴재고에 대하여 판매계획을 수립한 당사자가 절대적인 책임을 지게 되며, 판매계획 수립자가 생산된 재고에 대하여 책임을 지는 방식으로 PSI(Production, Sales, Inventory)라고 한다. 메뉴군 단위로 판매계획을 수립하기 때문에, 판매계획을 수립한 지점의 지점장이나 단위 매장의 매니저는 메뉴군 단위로 PSI 책임이 주어지게 된다. 판매계획과 생산계획을 연동시키고 발생한 재고를 판매계획 수립자에게 책임지도록 할 경우 수립자는 수요예측 결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된다. 과소생산 또는 과잉생산된 결과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되므로 생산담당자는 정확하게 판매계획 중심으로 생산해야 한다. After a sales plan i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demand forecasting, production proceeds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the sales plan. In addition, the person who established the sales plan takes absolute responsibility for the menu inventory produced using the sales plan results, and the sales planner is responsible for the inventory produced, which is called PSI (Production, Sales, Inventory). do. Since the sales plan is established in units of menu groups, the branch manager of the branch or the manager of the unit store where the sales plan is established is given PSI responsibility in units of menu groups. When the sales plan and production plan are linked and the generated inventory is made responsible for the sales plan setter, the setter actively utilizes the results of the demand forecast. Since they will be held responsible for the results of underproduction or overproduction, the production manager must accurately focus on the sales plan.

메뉴군 판매계획에 의한 생산계획을 수립할 때, 시점 t에서 메뉴군 p에 대해 생산되어야 하는 수량 Mpt는 수학식 5에 따라 개별 판매계획들의 합으로 도출될 수 있다.When establishing a production plan based on the menu group sales plan, the quantity Mpt to be produced for the menu group p at time t can be derived as the sum of the individual sales plans according to Equation 5.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5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5

수학식 5와 같이 도출한 생산계획 결과는 메뉴군을 위한 것이므로 해당 생산계획 결과값을 다시 분할(Disaggregation)하여 생산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개별 메뉴(SKU) 단위의 생산계획 결과를 다시 구해야 한다. 개별 메뉴단위 생산계획 수량을 Ast라 할 때, 수학식 6과 같이 구할 수 있다.Since the production planning result derived as in Equation 5 is for the menu group, the production planning result value must be disaggregated again to obtain the production planning result for each menu (SKU) unit that can be used at the production site. When the individual menu unit production plan quantity is Ast, it can be obtained as in Equation 6.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6
Figure 112022099138581-pat00006

이때 βpt는 각 개별메뉴 단위별로 바로 직전 시기의 판매실적비율을 이용하여 구한 메뉴군 생산계획의 개별메뉴 단위 배분 지수이다. 메뉴군 생산계획량과 개별메뉴 단위로 배분된 생산계획량 사이에는 수학식 5를 만족해야 한다. 물론,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수요를 예측할 수 있고 상술한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βpt is the individual menu unit distribution index of the menu group production plan obtained by using the sales performance ratio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period for each individual menu unit. Equation 5 must be satisfied between the planned production amount of the menu group and the planned production amount allocated to each individual menu unit. Of course, it will be apparent that demand can be predict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method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식자재주문관리부(360)는, 예측된 수요에 대응하여 공급사슬관리를 수행하도록 식자재를 주문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단말(미도시)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주문에 사용되고 남은 식자재 잔량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식자재의 카테고리 및 가격을 설정하며, 식자재의 구매 이벤트가 수신되면 수락여부를 결정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때, VMI(Vendor Managed Inventory)는 공급사슬 내 생산자와 판매자 간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생산자가 직접 판매자의 재고를 관리하는 전략이다. 전통적인 재고관리 기법에서는 판매자의 주문에 기반하여 생산자가 식자재을 공급해 주는 체계임에 반해 VMI 환경에서는 판매자의 판매 및 재고정보를 기반으로 생산자가 식자재 재고의 보충시점 및 보충량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서는 생산자와 판매자 간의 강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수요정보의 공유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The food material order management unit 360 may order food materials to perform supply chain management in response to predicted demand. At this time, the seller terminal (not shown) uploads data on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ingredients used in at least one type of order, sets the category and price of the food ingredients, and determines whether to accept or not to sell when a purchase event for the food ingredients is received. there is. At this time, VMI (Vendor Managed Inventory) is a strategy in which producers directly manage sellers' inventory bas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producers and sellers in the supply chain. In the traditional inventory management technique, the producer supplies food ingredients based on the seller's order, whereas in the VMI environment, the producer determines the replenishment time and amount of food material inventory based on the seller's sales and inventory information. To this end, sharing of demand information based on a strong partnership between producers and sellers is essential.

VMI를 적용할 경우, 판매자는 재고보충에 대한 걱정 없이 식자재의 판매 활동에 전념할 수 있으며, 생산자는 식자재의 생산과 판매자에게로의 공급에만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급사슬의 관점에서도 전통적인 재고관리 기법보다 전체 재고수준이 감소하고 동시에 고객의 서비스 수준은 높아져 생산자와 판매자 모두 윈윈(Win-Win)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VMI 적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자재 잔량 데이터도 VMI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기업은 식자재의 잔량을 관리하는 직원을 두지 않고도 자동으로 관리하고 처리할 수 있고, 구매자도 직접 식자재를 구하는 수고 없이도 자동으로 매칭해주고 식자재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이하와 같은 분산제조환경에서의 재고관리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분산제조환경은 서로 다른 식자재 납품 기업이 산재한 것을 반영할 수 있다.When VMI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ellers can concentrate on sales of food materials without worrying about replenishment of inventory, and producers can focus only on producing food materials and supplying them to sellers. In addition, from the supply chain perspective, the overall inventory level is reduced compared to traditional inventory management techniques, and at the same time, the customer's service level is improved, enabling a win-win for both producers and seller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VMI is increasing. Accordingly, VMI can also be applied to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materi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companies can automatically manage and process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materials without having an employee who manages them, and buyers can also directly manage the remaining amount of food materials. You can automatically match and receive food materials without the effort of seeking. At this time, the following inventory management model in a distribu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can be used. A distributed manufacturing environment may reflect the scattering of different food material delivery companies.

케이터링부(37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동일한 지점에 속해있는 가맹점인 경우, 주문을 통합하여 합주문으로 생성한 후 배달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The catering unit 370, when ordering at least one menu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in the user terminal 100, i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belongs to the same branch, the order is integrated and created as a combined order After that, you can make a delivery request.

이하, 상술한 도 2의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의 위치를 저장하고, 각 지점에 입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500)를 등록한다. 그리고, (b)와 같이 포인트 통합이 가능하도록 각 구성요소를 연동시키며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가맹점에 복수의 메뉴를 주문하더라도 합주문을 수행하고, 솔루션으로 온오프라인 주문을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tores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branch and register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t least one kiosk 500 located at each branch do. In addition, as shown in (b), each component is linked to enable point integration, and even if one user orders multiple menus from multiple affiliates, a combined order can be performed, and online and offline orders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as a solution. .

도 4a 및 도 4b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먼키, 먼슬리키친의 줄임말, MONKi)은, 도 4c와 같이 먼키식구, 즉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독 서비스를 신청하여 먼키식구가 된 경우 10% 할인을 제공받을 수 있고, 각 가맹점 단말(400)의 가맹점주는 고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도 4d와 같이 맛집쇼핑을 한 눈에 할 수 있도록 하고, 도 4e 및 도 4f와 같이 식사주문시간을 예약함으로써 구내식당에 가더라도 또는 배달주문을 하더라도 기다리지 않고 원하는 메뉴의 음식을 바로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g와 같이 개별 맛집의 통합 주문을 통하여 여러 개의 주문을 하더라도 배송비를 중과받지 않고 한 번의 배송비만 내면 다양한 가맹점에서 다양한 메뉴를 주문할 수 있고, 도 4h와 같이 간편결제도 서비스하며, 도 4i와 같이 시간예약, 알림톡, 즐겨찾기, 묶음결제 및 AI 메뉴 추천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 각 가맹점의 가맹점주도 도 4j와 같은 온오프라인 매출로 5 중 매출구조를 유지하며 폐업률을 낮출 수 있고, 현재 도 4k 내지 도 4m과 같은 지점(홀 및 입점 가맹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 4n과 같이 빅데이터로 특수상권을 분석하여 지점을 오픈하기 때문에 입지가 보장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application (Monkey, short for Monthly Kitchen, MONKi)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a 10% discount can be provided, and the owner of each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can expect fixed sales. As shown in FIG. 4D, restaurant shopping can be done at a glance, and by reserving the meal order time as shown in FIGS. 4E and 4F, even if you go to a cafeteria or place an order for delivery, you can get the food of the desired menu right away without waiting. . As shown in FIG. 4g, even if multiple orders are placed through the integrated order of individual restaurants, you can order various menus from various merchants by paying only one shipping fee without heavy shipping costs, and as shown in FIG. 4h, simple payment is also available, and as shown in FIG. 4i It can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time reservation, notification talk, favorites, bundle payment, and AI menu recommendation. In addition, the owner of each franchise store can maintain a 5-fold sales structure with online and offline sales as shown in FIG. 4j and lower the rate of closure, and is currently operating branches (halls and affiliated stores) as shown in FIGS. 4k to 4m, and FIG. 4n As such, the position is guaranteed because the branch is opened by analyzing the special commercial district with big data.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have not been described for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between affiliated stores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between affiliates through FIG. 1 above,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affiliated stores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such an embodiment, an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하고(S5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된 주문 이벤트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통합하여 적립한다(S5200).Referring to FIG. 5,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wards an order event generated in at least one kiosk and user terminal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S5100), and for the order event delivered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e user terminal Points are integrated and accumulated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S5200).

그리고,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적립받은 포인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한다(S5300).Then,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sets the points accumulated in the user terminal to be usable i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t least one kiosk, and an application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simultaneously executed or deleted.

이와 같은 도 5의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Matter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about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between affiliated stores in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sion method between affiliated stores through FIGS. 1 to 4 above,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 Computer 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lso, computer 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operating system, etc. and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that is,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i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service. In this sense,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point integration service between affiliated stor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can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6)

사용자 고유식별코드를 입력받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메뉴를 선택받으며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접수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한 주문 이벤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달된 주문 이벤트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고유식별코드를 기준으로 포인트를 통합하여 적립하는 적립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립받은 포인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에 구현된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및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하는 통합부와, 적어도 하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상기 메뉴에 대한 주문수요를 예측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제공하는 수요예측부와, 상기 예측된 주문수요에 대응하여 공급사슬관리를 수행하도록 식자재를 주문하는 식자재주문관리부를 포함하는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수요예측부는 시계열 기법 및 인과형 기법을 결합한 분해법에 기반하여 상기 메뉴에 대한 주문수요를 더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kiosk that receives a user's unique identification code, selects at least one member store and menu, and performs payment;
A user terminal that performs payment while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member store and menu;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receiving an order event generated from the at least one kiosk and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A transmission unit for delivering an order event generated in the at least one kiosk and the user terminal to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 point based on the unique identification code of the user terminal for the order event transmitted to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 accumulation unit that integrates and accumulates, an integration unit that sets the points accumulated in the user terminal to be usable in at least one kiosk and application implemented i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the menu with at least on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n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demand forecasting unit that predicts order demand for and provides it to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a food material order management unit that orders food materials to perform supply chain management in response to the predicted order demand. include,
Wherein the demand prediction unit further predicts the order demand for the menu based on a decomposition method combining a time series method and a causal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POS(Point of Sale)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를 연동시키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간 연동을 제공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키오스크 간 연동을 설정하는 연동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Linking the at least one point of sale (POS) of the at least one merchant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kiosk, providing interworking between the at least one kiosk and an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establishing interworking between the at least one kiosk linkage;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merch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에서 적어도 하나의 메뉴를 주문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동일한 지점에 속해있는 가맹점인 경우, 주문을 통합하여 합주문으로 생성한 후 배달요청을 수행하는 케이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맹점 간 포인트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When ordering at least one menu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in the user terminal, i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is an affiliated store belonging to the same branch, a catering unit that integrates the orders to create a combined order and then performs a delivery request ;
Point integration service providing system between merchant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20119083A 2022-09-21 2022-09-21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KR1025341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83A KR102534168B1 (en) 2022-09-21 2022-09-21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83A KR102534168B1 (en) 2022-09-21 2022-09-21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168B1 true KR102534168B1 (en) 2023-05-26

Family

ID=86536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83A KR102534168B1 (en) 2022-09-21 2022-09-21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16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237A (en) * 2012-05-16 2013-11-26 김형근 Point accumulatiing system using wireless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45157B1 (en) * 2015-11-10 2016-08-02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Method and apparatus for total service for providing food
KR20180124299A (en) * 2017-05-11 2018-11-21 이서우 Shiping Processing System In a Bundle
KR20200104597A (en)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프레시앤텍 Apparatus for Intelligent Informait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237A (en) * 2012-05-16 2013-11-26 김형근 Point accumulatiing system using wireless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45157B1 (en) * 2015-11-10 2016-08-02 주식회사 넥스미디어 Method and apparatus for total service for providing food
KR20180124299A (en) * 2017-05-11 2018-11-21 이서우 Shiping Processing System In a Bundle
KR20200104597A (en)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프레시앤텍 Apparatus for Intelligent Informaiton Ser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uhalis et al. Smart hospitality—Interconnectivity and interoperability towards an ecosystem
Buhalis et al. eTourism: critic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r tourism destinations
US75161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electronic acquisition and maintenance of goods and services via the internet
KR102064615B1 (en)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mall integrated platform service based on big data
JP2015501034A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ve consumer engagement platform based on location
US11488202B2 (en) Unified channel management
KR101859055B1 (en)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 posts, an appratus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CN103699999A (en)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WIFI (Wireless Fidelity) intelligent routing equipment
CN111489231A (en) Mobile terminal e-commerce service system based on Internet
KR101397181B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grated business service
KR20200028818A (e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roviding flatform between customer, account, and agency worker
Alahuhta et al. Mobilizing business applications
KR10227616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ales data
JP2020102188A (en) Distribu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connecting initial provider and buyer through intermediate distributor
Stender et al. Modeling of B2B mobile commerce processes
KR102534168B1 (en) System for providing point merging service between franchise
KR101714274B1 (en) A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user posts, an appratus for providing the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KR102286848B1 (en)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service for member store
KR20210044974A (en) System for Integrated Delivery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1106159B1 (en) Total administration system for commodity sale
Pitta et al. Market design for iot data and services the emergent 21th century commodities
Yurtlu Current Cloud-Based Software Services Used in Online Marketing of Hotels in Turkey
KR102549219B1 (en) System for providing booking management service between customer and company
KR20200119112A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grated business service
KR101576495B1 (en) Method for providing public institution customer sharing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